KR20000076283A - 액체분배장치 및 유하액막식 열교환기 및 흡수식 냉동기 - Google Patents

액체분배장치 및 유하액막식 열교환기 및 흡수식 냉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6283A
KR20000076283A KR1019997008380A KR19997008380A KR20000076283A KR 20000076283 A KR20000076283 A KR 20000076283A KR 1019997008380 A KR1019997008380 A KR 1019997008380A KR 19997008380 A KR19997008380 A KR 19997008380A KR 20000076283 A KR20000076283 A KR 20000076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dispensing
duct
distribution
heat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8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1985B1 (ko
Inventor
후지이다츠오
미야케사토시
사토다케히로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쓰도무
Priority to KR1019997008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1985B1/ko
Publication of KR20000076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6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1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19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5/00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7Relating to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technolo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62Absorption base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액체분배장치가 경사져 설치된 경우, 액체에 금속입자 등의 이물이 혼입한 경우라도 분배의 균일성을 양호하게 확보하고, 저렴한 액체분배장치, 유하액막식 열교환기, 흡수식 냉동기를 얻는다.
이를 위하여 액체분배장치는 횡단면이 박스형을 이루고 액체의 입구가 되는 개구부와 액체의 출구가 되는 분배구멍(11)을 가지고 이 분배구멍이 측면에 형성된 1차 분배용 덕트(1)와, 이 1차 분배용 덕트(1)의 바깥쪽면 및 아래쪽면과는 간극을 가지고 1차 분배용 덕트(1)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영역으로 분할하여 형성한 박스형의 2차 분배용 트레이군(2)으로 이루어지며, 이 2차 분배용 트레이(2)의 바닥면에 상기 액체를 적하시키기 위한 액체적하구멍(21)을 형성하는 것인 이 액체분배장치를 유하액막식 열교환기, 흡수식냉동기에 조립한다.

Description

액체분배장치 및 유하액막식 열교환기 및 흡수식 냉동기{LIQUID DISTRIBUTOR, FALLING FILM HEAT EXCHANGER AND ABSORPTION REFRIGERATOR}
종래, 유하액막식 열교환기용 액체분배장치는 적하식, 스프레이식 등이 있으며, 이를 사용한 유하액막식 열교환기는 흡수식냉동기의 증발기, 흡수기, 재생기, 2중효용 흡수식 냉동기의 저온재생기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증발기로서는 밀폐용기내에 전열관을 수평으로 다수 배치하여 관군으로 하고, 그 관군의 표면에 증발을 수반하는 냉각매체인 냉매액을 흘러내리게 하여 냉매액의 증발을 상기 밀폐용기에 연결되어 있는 흡수기로 증기를 흡수함으로써 촉진하고, 이 증발열에 의하여 전열관을 거쳐 관내의 열교환매체를 냉각하고 있다.
증발은 전열관 표면을 덮는 냉매액의 기액 경계면에서 생기`고, 전열관표면의 전면적에 대한 냉매액으로 덮힌 부분의 면적의 비율이 클 수록 증발성능이 향상된다. 이 면적의 비율은, 유하액막을 형성하는 냉매액을 각 전열관의 길이방향에 빈틈 없이 공급함으로써 증가한다. 또 전열관군을 세로방향으로 복수열 배치한 경우는, 냉매액을 각 관 열의 최상단의 전열관의 길이 방향에 빈틈 없이 공급함으로써, 전열관표면의 전면적에 대한 냉매액으로 덮힌 부분의 면적의 비율이 증가하여 증발기의 성능이 향상된다.
따라서 증발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유하액막을 형성하는 냉매액을 각 전열관의 전체 길이에 걸쳐 균일하게 분배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또 한정된 냉매액 공급량으로 넓은 범위로 액막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유하액막을 형성하지 않고 낙하하는 필요없는 냉매액이 생기지 않도록 모든 냉매액을 확실하게 전열관군상에 분배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점에서 액체를 평면적으로 똑같이 살포하는 스프레이식과 비교하여 전열관의 표면에 확실하게 액체를 공급할 수 있는 적하식이 유리하다.
적하식 액체분배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국 특개평5-172438호 공보에 기재한 것을 들수있다. 이 장치에서는 살포밀도의 배분, 즉 분배성능을 향상시키기위하여 분기헤더, 전열관과 평행하게 배치한 1차 분배용 분배관, 비산방지용 덮개 판, 2차 분배용 액체방울 분산판을 조합시켜 적하식 분배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또 적하식 액체분배장치로서는, 일본국 특개평7-4782호 공보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다. 이 장치에서는 전열관과 평행으로 배치한 박스형의 1차 분배용 트레이의 하부에 폭이 넓은 산형 형상의 2차 분배용 가이드체를 구비하고, 가이드체의 액체받이부의 사방에 가로막음벽을 설치하여 트레이형상으로 하여 상면에 액체를 모아둠으로서 경사를 따라 설치된 경우의 경사의 위쪽측에서 가이드체의 액면이 끊기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 전열관의 형상에 의하여 흡수식 냉동기본체가 경사져 설치된 경우의 성능저하를 방지하는 방법으로서는, 일본국 특개평8-159605호 공보에 기재된 장치와 같이, 전열관에 관축(管軸)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오목부를 관축방향으로 단속적으로 배열한 것이 있다.
상기 스프레이식의 액체분배장치는, 전열관과 평행하게 설치된 분배관의 하면에 노즐을 설치할 필요가 있으며, 액체를 미립화하기 위하여 4 mm 이하의 작은 지름의 살포구멍이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금속입자 등의 이물이 혼입한 경우에, 살포구멍이 이물에 의하여 막혀 살포불량을 일으킨다.
또 상기 일본국 특개평5-172438호 공보에 기재된 것은, 2열의 전열관에 대하여 1개의 분배관과 그것에 부속되는 덮개판 및 액체방울 분산판이 필요하게 되는 등, 형상이 복잡하고 코스트가 높아진다. 또 상기 일본국 특개평7-4782호 공보에 기재된 액체살포장치도 2열의 전열관에 대하여 1개의 트레이 및 사방으로 가로막음벽을 구비한 가이드체가 필요하게 되고, 또한 액체를 원활하게 적하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가이드체에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물차단 돌기를 연장 설치할 필요가 있는 등, 부품개수가 많고, 또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코스트가 높아진다.
또한 사방으로 가로막음벽을 설치한 가이드체는, 일종의 트레이형상으로 표면에 액체를 모아 둘 수 있으나, 설치조건에 의하여 경사가 생긴 경우, 1차 분배용 트레이로부터 유출된 액체가 경사에 의하여 가이드체 위를 경사의 아래쪽측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위쪽측과 아래쪽측에서는 분배구멍에 있어서의 액깊이에 의한 헤드가 현저하게 달라지고, 경사의 위쪽측에 설치된 적하구멍으로부터의 유량은 감소하여, 아래쪽측에서는 유량이 증대된다. 이와 같이 액체분배장치가 경사져 설치된 경우에 가이드체의 경사 아래쪽측으로부터의 액체의 유출을 저지할 수는 있으나, 길이방향의 분포는 여전히 불균일성이 현저하게 된다.
또한 1차 분배용 트레이가 개방형이기 때문에, 1차 분배용 트레이로부터의 액체의 분배에 관해서도 경사져 설치된 경우에는, 그 위쪽측과 아래쪽측의 분배구멍에 있어서의 액깊이에 의한 헤드의 차이에 의하여 분배가 불균일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일본국 특개평5-172438호 공보, 특개평7-4782호 공보 기재중의 어느것에 있어서도 단일한 액체분배장치로부터 액체를 공급할 수 있는 전열관의 열수가 2열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집합에 의하여 유하액막식 열교환기의 전열관의 열수를 홀수로 설정하고자 하면, 일렬의 전열관열에 유하액막을 형성할 수 있는 액체공급량이 전열관상에 공급되는 일 없이 열교환기의 바닥부로 낙하하여 필요없는 살포가 되는 등, 설계상의 자유도가 낮고, 성능이나 사이즈, 코스트를 고려한 최적화에 지장을 초래한다.
또 상기 일본국 특개평8-159605호 공보기재의 것에 있어서는, 전열관의 표면에 관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오목부를 관축방향으로 단속적으로 배열함으로써, 경사에 의한 성능저하를 일으키지 않으나, 이 효과는 최상단의 전열관에 액체가 균일하게 분배, 적하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과제의 본질적인 해결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시에 경사를 수반한 경우라도, 양호한 분배를 실현하는 액체분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열관상에 적하해야 할 액체에 금속입자 등의 이물이 혼입된 경우에도 이들의 영향을 배제하여 액체의 양호한 분배를 장기에 걸쳐 실현하는 액체분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열관상에 적하해야 할 액체의 포화증기압이 유하액막식 열교환기내의 증기압과 다른 경우에도, 급격한 증기의 흡수, 자기증발 및 비등 등에 의한 분배, 살포의 불안정을 일으키는 일 없이 안정된 액체의 공급, 적하를 실현하는 액체분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순한 형상으로 하여 저비용의 액체분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상으로 설명한 액체분배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고성능의 유하액막식 열교환기 및 고성능의 흡수식 냉동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열관의 열수의 제약이 없고 설계상의 자유도가 높은 성능, 사이즈, 코스트를 고려하여 최적화할 수 있는 유하액막식 열교환기 및 흡수식 냉동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액체분배장치 및 유하액막식 열교환기 및 흡수식 냉동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액체분배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액체분배장치의 단면구조 및 전열관군과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액체분배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액체분배장치가 축방향으로 경사져 설치된 경우의 전열관군에 대한 적하의 형태 및 유하액막의 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액체분배장치의 1차 분배용 덕트로부터 2차 분배용 트레이에 대한 유량분포를 평균치로부터의 불일치를 들어 나타내는 도,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액체분배장치의 통기구멍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액체분배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액체분배장치의 2차 분배용 트레이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액체분배장치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2차 분배용 트레이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액체분배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유하액막식 열교환기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흡수식 냉동기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계통도이다.
상기 목적은, 열교환의 과정에서 상변화를 수반하는 액체를 전열관군상에 상부로부터 분배하여 살포하는 액체분배장치에 있어서, 액체분배장치를 액체의 출구가 되고, 또한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복수의 분배구멍을 덕트의 길이방향으로 나열하여 형성한 1차 분배용 덕트와, 이 1차 분배용 덕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1차 분배용 덕트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상기 분배구멍에 대응하여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됨과 동시에 각 영역에 상기 액체를 적하시키기 위한 액체적하구멍을 형성한 2차 분배용 트레이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또 상기 목적은, 관의 내외에서 열교환을 행하는 전열관군과, 이 전열관 군을 구성하는 각 전열관의 상부로부터 열교환매체를 분배하여 살포하는 액체분배장치를 가지고, 이 열교환매체가 중력에 의하여 흘러내리면서 상기 전열관 외벽면에 액막을 형성하여 관내를 흐르는 열교환매체와 열교환을 행하는 유하액막식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액체분배장치는 액체의 출구로 되고, 또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복수의 분배구멍을 덕트의 길이방향으로 나열하여 형성한 1차 분배용 덕트와, 이 1차 분배용 덕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1차 분배용 덕트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상기 분배구멍에 대응하여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됨과 동시에, 각 영역에 상기액체를 적하시키기 위한 액체적하구멍을 형성한 2차 분배용 트레이로 구성되고, 상기 전열관군을 구성하는 각 전열관은 상기 액체분배장치에 형성된 액체적하구멍에 평행인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증발기, 흡수기, 고온재생기, 저온재생기, 이들 증발기, 흡수기, 저온재생기에 조립되어 관의 내외에서 열교환을 행하는 전열관군의 상부로부터 열교환매체를 분배하여 살포하는 액체분배장치 및 응축기를 구비하는 다중효용 흡수식 냉동기에 있어서, 상기 액체분배장치는 액체의 출구로 되고, 또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복수의 분배구멍을 덕트의 길이방향으로 나열하여 형성한 1차 분배용덕트와, 이 1차 분배용 덕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1차 분배용 덕트의 아래쪽에 설치되고, 상기 분배구멍에 대응한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됨과 동시에 각 영역에 상기 액체를 적하시키기 위한 액체적하구멍을 형성한 2차 분배용 트레이로 구성되고, 상기 전열관군을 구성하는 각 전열관은 상기 액체분배장치에 형성된 액체적하구멍에 평행인 유하액막식 열교환기를 적어도 상기 증발기, 흡수기, 저온재생기중의 어느 하나에 조립함으로서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체분배장치는 밀폐형의 1차 분배용 덕트(1) 및 개방형의 2차 분배용 트레이군(2)으로 구성되어 있고, 액체분배장치에 액체를 공급하는 배관(3) 및 입구헤더(4)가 접속되어 있다. 헤더(4)의 하부는 1차 분배용덕트(1)내로 연통되어 있다.
또 1차 분배용 덕트(1)는 상향 ㄷ자형 단면을 가지는 제 1 구성부재(10)와, 하향 ㄷ자형 단면을 가지는 제 2 구성부재(15)로 구성되어 있으며, 안쪽 단면형상은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다. 또 제1 구성부재(10)의 좌우의 측면에 각각 동일형상의 복수개의 액체의 분배구멍(11)이 설치되어 있고, 이들은 좌우 1열씩 즉 2열의, 1차 분배용 덕트(1)의 축방향의 직선상에 중심점을 가짐과 동시에 모두 동일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제 2 구성부재(15)의 수직부(15a)는 분배구멍(11)으로부터 유출된 액체를 2차 분배용 트레이로 유도하는 가이드판을 형성하고 있음과 동시에, 복수개의 통기구멍(16)이 설치되어 있다. 이 통기구멍(16)은 액체분배장치를 측면에서 보아 1차 분배용 덕트(1)의 각 액체분배구멍(11)의 중간부로 개구하고 있다. 또한 도면에는 생략하였으나, 제 1 구성(10)는 양쪽 끝부, 즉 짧은 변부가 액체의 유출을 막는 가로막음벽으로 되어 있고, 따라서 1차 분배용 덕트(1)는 액체의 입구, 즉 입구헤더(4)와의 연통부와 액체의 분배구멍(11)이외로 외부와의 연통부를 가지지 않은 밀폐형으로 되어 있다.
2차 분배용 트레이군(2)은, 복수개의 트레이(2a, 2b, …, 2m)(도 5참조)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 트레이에는 액체적하구멍(21)이 다수 설치되어 있으며, 이 주위에는 아래쪽을 향하는 돌기(22)가 형성되어 있다. 1차 분배용 덕트(1)의 복수개의 액체의 분배구멍(11)은 덕트의 좌우에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트레이에 대하여 좌우 1개씩의 1세트의 분배구멍이 대응하고 있다. 따라서 각 트레이에 대한 1차 분배용 덕트(1)의 액체분배구멍(11)은 각각 2개씩이며, 동수로 되어 있다. 2차 분배용 트레이(2a, 2b, …, 2m)의 하면에 다수 설치한 액체적하구멍(21)은 버링가공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고, 이들의 주위에 형성된 아래쪽을 향하는 돌기(22)는 버링가공시에 트레이의 바닥면의 부재가 아래쪽으로 변형됨으로써 형성된 것이다.
분배되는 액체는 배관(3)에 의하여 헤더(4)로 유도되어 1차 분배용 덕트(1)에 유입된 후, 액체의 분배구멍(11)으로부터 유출된다. 또한 이 액체는 1차 분배용덕트(1)의 제 2 구성부재(15)의 수직부(15a)에 의하여 2차 분배용 트레이군(2)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트레이(2a, 2b, …, 2m)로 유도된 후, 각 트레이에 설치된 액체적하구멍(21)으로부터 전열관군(5)상에 적하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1차 분배용 덕트를 밀폐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액체분배구멍의 안 지름을 적절하게 결정함으로써 덕트로부터 각 트레이에 대한 분배를 결정하는 액체분배구멍의 유동저항, 즉 분배구멍전후의 압력차를 크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축방향으로 경사져 설치된 경우에 있어서도, 덕트로부터 각 트레이에대한 분배에 관해서는 이 유동저항에 의한 압력차가 지배적이 되어 경사에 의하여 생기는 양쪽 끝부의 고저차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효과를 도 5를 사용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는 가로축에 입구헤더측을 기점으로 하는 트레이번호, 세로축에는 1차 분배용 덕트(1)로부터 각 트레이(2a, 2b, …, 2m)에 공급되는 액체유량의 모든 트레이의 평균치에 대한 크기의 불일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는 액체분배장치가 축방향으로 경사를 따라 설치된 경우를 상정하여 덕트입구측에서 보아 선단부가 30 mm 높은 경우, 30 mm 낮은 경우 및 비교를 위해 완전히 수평으로 설치된 경우의 액체의 분배특성을 나타내었다. 이 분배특성은 1차 분배용 덕트(1)의 내부마찰손실, 선단부로 감에 따라 유속이 저하함에 의한 정압회복, 각 액체분배구멍(11)의 압력손실 및 덕트의 축방향의 경사에 의한 압력변화를 고려하여, 2차 분배용 트레이의 수를 13개로 한 경우를, 계산으로 구한 것이다.
도면에서 분배장치는 경사에 의하여 선단부가 입구로부터 상하방향으로 30 mm의 차이를 일으킨 경우에 있어서도 각 트레이에 대한 분배량은 평균치의 ±5% 이내로 되어 있어 양호한 분배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액체분배구멍(11)을 각 2차 분배용 트레이(2a, 2b,…, 2m)에 대하여 동수로 2개, 또한 모든 액체분배구멍(11)을 동일반경의 원형으로 하는 것, 이들을 덕트의 축방향으로 2열로 직선상에 중심을 가지도록 배치함으로써 상기하는 효과를 실현하고 있다.
또 1차분 분배용 덕트의 축방향 단면형상은 직사각형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액체에 금속입자 등의 이물(12)이 혼입한 경우, 이들은 액체의 흐름의 영향이 작은 직사각형의 각진 부에 체류한다. 따라서 이들은 1차 분배용 덕트에 의하여 포착되기 때문에 2차 분배용 트레이군(2)에 대한 적하구멍(21)의 적하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1차 분배용 덕트(1)로부터의 액체분배구멍(11)을 덕트의 측면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각진 부에 의하여 포착된 이물이 하부로 유지됨과 동시에, 상기한 2차 분배용 트레이군(2)에 대한 유출방지작용이 더욱 효과적으로 되어 진다.
또한 이 액체분배구멍을 덕트의 단면적을 상하로 이분하는 수평면(13)에 대하여 높은 개소에 중심점을 가지도록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중력에 의해 덕트내의 하부로 가라앉은 이물을 일정량 유지할 수 있어 상기한 이물포착작용을 장기간에 걸쳐 실현할 수 있다.
또 각 2차 분배용 트레이(2a, 2b, …, 2m)위에 공급되는 액체는, 1차 분배용덕트의 양호한 분배특성에 의하여 거의 같은 유량이 된다. 이 때문에 각 트레이상에 유지되는 액체의 양도 거의 같아진다.
따라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열관군이 경사짐으로써 액체분배장치 전체로서의 적하량의 분포가 적하량이 많은 개소와, 적은 개소가 교대로 생기어도 적하량이 적어 유하액막의 생성이 불충분한 영역에는 인접하는 적하량이 많은 개소로부터 액체가 이동하여 오기 때문에, 위치적으로 가장 높아지는 아주 일부를 제외하고 관군의 광범위한 영역에서 유하액막의 생성을 양호하게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차 분배용 덕트(1)의 외부, 즉 2차 분배용 트레이군(2)의 상부는 통기구멍(16) 및 단부의 개구부(17)를 거쳐 열교환기내의 공간과 연통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액체분배장치에 공급된 액체가 열교환기내의 증기압에 대하여 슈퍼히트상태인 경우, 1차 분배용 덕트(1)로부터 유출된 단계에서 자기증발을 일으켜 포화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적하시에 자기증발에 의하여 전열관군의 외부로 비산되는 일 없이 원활하고 안정된 액체의 적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2차 분배용 트레이 위의 자기증발에 의하여 발생한 증기는, 도 6에 점선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통기구멍(16) 및 단부의 개구부(17)를 통하여 열교환기내로 흐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열관군(5)위에 분배해야 할 액체가 열교환기내의 증기압에 대하여 슈퍼히트상태인 경우를 상정하여 도 6과 같이 통기구멍(16)을 다수개 설치하고 있으나, 이러한 경우가 일어나지 않을 것 같은 조건으로 액체분배장치를 사용하는 경우는, 통기구멍은 생략하여도 좋다. 단, 기동시에 2차 분배용 트레이위에 액면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내부의 기체를 배출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개구부(17)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2차 분배용 트레이(2a, 2b, …, 2m)의 하면에 다수형성한 액체적하구멍(21)의 주위에 아래쪽을 향하는 돌기(22)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액체는 적하구멍의 바로 밑으로 확실하게 적하되어 트레이의 하면에 부착되거나 전열관군의 외부나 전열관의 사이로 낙하하여 필요없이 살포되는 일이 없다. 또 돌기(22)를 버링가공에 의하여 트레이의 하면부재를 변형시킴으로써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새로운 부품을 별개로 사용하는 일 없이, 저코스트로 할 수 있다.
또한 액체적하구멍(21)은 액체분배장치 전체에 있어서 장치의 축방향으로 복수의 열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적하되는 액체도 또 복수의 열형상이 되고, 이들 각 열을 열교환기내에 설치되는 각 전열관 또는 세로방향의 전열관열에 대응시킴으로써 공급된 모든 액체를 확실하게 전열관군 위로 유도할 수 있다.
액체분배장치에 관하여 도 7 및 도 8을 사용하여 더욱 설명한다.
액체분배장치는 입구헤더(4), 1차 분배용 덕트를 구성하는 제 1 부재(10), 제 2 부재(15), 2차 분배용 트레이군(2)을 접속하여 구성되고, 2차 분배용 트레이군(2)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일형상의 2차 분배용 트레이(2a, 2b,…, 2h)를 1차 분배용 덕트의 축방향으로 일렬로 병설되어 있다.
입구헤더(4)에는 액체를 공급하는 배관을 접속하는 개구부(41)를 설치하고, 1차 분배용 덕트의 제 1 부재(10)에는 입구헤더(4)내와 1차 분배용 덕트내를 연통시키는 개구부(18)를 설치한다. 2차 분배용 트레이(2a, 2b, …,2h)는 대략 직육면체형상이기 때문에 접속이 용이하다. 또 장치전체의 조립도 적하식 분배장치이어서 아주 용이하며, 2차 분배트레이군(2)에 설치한 액체적하구멍(21)의 축방향의 열수를 늘림으로써 1세트의 구성에 대하여 다수 열의 전열관에 액체를 공급할 수 있어 유하액막식 열교환기 전체로서의 코스트다운을 달성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2차 분배용 트레이군(2)을 동일형상의 트레이(2a, 2b, …, 2h)의 열형상 배치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이 트레이의 수를 증감시켜 전체의 길이를 변경함으로써 용량이 다른 열교환기에도 동일한 트레이를 적용할 수가 있어 동일부품의 양산효과에 의한 생산효율의 향상, 즉 코스트다운을 달성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액체분배장치의 구성방법에 관한 다른 실시형태를 도 9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는 도 7에 있어서의 2차 분배용 트레이(2)를 동일형상의 복수의 트레이로 구성하는 대신에 1차 분배용 덕트와 같은 길이를 가지는 트레이본체(25)에 트레이(25)내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이들 영역 상호의 액체의 유동을 억지하는 수단인 트레이 간막이판(26)을 설치하여 2차 분배용 트레이(2)를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2차 분배용 트레이(2)의 내부를 분할하는 부분이 트레이 간막이판(26) 1매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트레이 전체의 재료가 적게 끝나 경량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 10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나타내는 액체분배장치는 도 1 내지 도 8에 나타낸 실시의 형태 또는 도 9에 나타낸 실시형태와 같은 부품구성 및 내부형상이나, 다음점에 있어서 다르다.
즉 도 10에서는 1차 분배용 덕트(1)에 대한 유체입구 및 입구헤더(4)가 상기 1차 덕트(1) 상면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입구배관(3)으로부터 입구헤더(4)를 거쳐 액체분배장치의 1차 분배용 덕트로 유입된 액체는 액체분배장치를 가로방향에서 보아 좌우로 분류하고, 그 후는 도 1 내지 도 8 또는 도 9에 나타낸 실시형태와 같이 액체분배구멍으로부터 2차 분배용 트레이(2)에 분배된다.
이와 같이 도 10에 나타낸 액체분배장치에 있어서는 1차 분배용 덕트(1)에 대한 유체입구 및 입구헤더(4)가 상기 1차 덕트(1)의 상면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유입한 액체가 좌우로 각각 거의 같은 유량으로 분류된다. 이 때문에 도 1 내지 도 8에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덕트내 최대유량은 대략 절반이 된다. 따라서 1차 분배용 덕트의 단면적을 작게 할 수 있어 내부에 충전되는 유체의 부피도 저감되기 때문에 경량화, 저코스트화가 가능하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 도 1 내지 도 8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대하여 단면이 동등한 1차 분배용 덕트 및 그것을 이용한 액체분배장치로 2배의 액체유량을 조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고, 따라서 도 10의 구성은 특히 대형, 대용량의 유하액막식 열교환기에 이들 액체분배장치를 적용하는 경우에 가장 적합하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유하액막식 열교환기의 실시형태의 예를 도 2 및 도 1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유하액막식 열교환기의 실시형태예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하액막식 열교환기(70)는 박스체 즉 밀폐용기(71), 그 내부에 설치된 살포장치 즉 액체분배장치(72) 및 전열관군 (5)이 전열관군(5)의 표면에 유하액막을 형성하는 제 1 열교환매체를 열교환기의 외부로부터 유도하는 입구배관(3) 및 입구헤더(4), 관군 표면으로부터 낙하한 액체를 일단 축적하는 하부의 액체 체류부(6), 이 액체 체류부(6)로부터 액체를 외부로 유도하는 출구배관(7) 및 전열관내를 흐르는 제 2 열교환매체의 유로(80 내지 90)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액체분배장치(72)는 상기한 액체분배장치이다.
또한 제 2 열교환매체의 유로(80 내지 90)는, 박스체(71)의 하부에 설치된 입구배관(80), 제 1 헤더(81), 제 1 패스(82), 제 2 헤더(83), 제 2 패스(84), 제 3 헤더(85), 제 3 패스(86), 제 4 헤더(87), 제 4 패스(88), 제 5 헤더(89) 및 박스체(71)의 상부에 설치된 출구배관(90)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내지 제 4 패스(82, 84, 86, 88)는 전열관군(5)을 높이방향으로 복수의 작은 관군으로 분할한 경우의 각 작은 관군의 관내측의 유로이다. 또 이들유로(80 내지 90)는 박스체(71)내의 전열관외 의 공간과 연통부를 가지지 않고, 완전하게 분리되어 있다.
여기서 전열관군(5)을 구성하는 전열관은 각각 서로 평행임과 동시에 액체분배장치(72)와도 평행하게 설치되고, 이들 액체분배장치(72) 및 전열관군(5)은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 전열관군(5)내에 있어서 각 전열관은 수직방향으로 복수의 열을 형성하고 있고, 이 열의 수는 7열로 되어 있다. 한편, 액체분배장치(72)의 하면에 다수 설치된 액체적하구멍(21)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체분배장치전체로서 1차 분배용 덕트(1)에 평행한 복수의 열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 액체적하구멍(21)이 형성하고 있는 열의 수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7열이며, 상기전열관군(5)내의 각 전열관이 구성하는 열의 수와 동수, 즉 100% 로 되어 있다.
또한 액체적하구멍의 열과 전열관의 열의 위치관계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액체적하구멍의 바로 밑에 전열관열이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각 전열관열의 중심선(51)이 그 상부에 설치된 액체적하구멍(21)의 중심을 지나도록 배치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하액막식 열교환기(7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전열관밖으로 공급되는 제 1 매체는 입구배관(3)으로부터 입구헤더(4)를 거쳐 박스체(71)내의 최상부에 설치된 액체분배장치(72)로 유입된다. 액체분배장치 (72)에서는 상기한 액체분배장치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 액체분배작용에 의하여 전열관군 (5)을 구성하는 각 전열관열의 최상단의 전열관의 표면에 살포되어 유하액막(52)을 형성하여 전열관내의 제 2 매체와 열교환을 행하면서 전열관군(5)상을 흘러내려 액체체류부(6)에 도달한 후, 출구배관(7)으로부터 열교환기 밖으로 유출한다.
이때, 전열관내에 공급되는 제 2 매체는 입구배관(80)으로부터 열교환기(70)내의 제 1 헤더(81)로 유입하여 제 1 패스(82)를 구성하는 각 전열관의 관내에 분배되어 관내를 흐르고, 동시에 관 밖을 흘러내리는 제 1 매체와의 열교환을 행한다. 제 1 패스(82)를 통과한 제 2 매체는 각 전열관내로부터 제 2 헤더(83)로 유입하여 다시 혼합한다. 제 2 헤더(83)에서는 이 혼합한 제 2 매체가 제 2 패스(84)를 구성하는 각 전열관의 관내에 분배되어 관 밖을 흘러내리는 제 1 매체와의 열교환을 행하고, 이하 마찬가지로 제 3 헤더(85), 제 3 패스(86), 제 4 헤더(87), 제 4 패스(88), 제 5 헤더(89)를 통과하여 출구배관(90)으로부터 열교환기밖으로 유출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유하액막(52)을 형성하는 제 1 매체를 각 전열관의 전체 길이에 걸쳐 빈틈 없이 공급할 수 있어 전열관 표면의 전면적에 대한 유하액막(52)으로 덮힌 부분의 면적의 비율이 증가하여 열교환기의 성능이 향상한다는 효과가 있다. 즉 유하액막에 덮히지 않고 열교환에 기여하지 않는 부분의 비율이 내려 가기 때문에 종래보다도 적은 전열면적으로 동등한 성능을 얻을 수 있어, 열교환기의 소형화, 경량화, 저코스트화를 달성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액체분배장치의 금속입자 등의 이물에 의한 액체 적하구멍의 폐색을 장기간에 걸쳐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에 의하여 경년열화가 적은 유하액막식 열교환기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액체분배장치의 열교환기나 그것을 포함하는 기기시스템이 액체분배장치 및 전열관군의 축방향으로 경사를 따라 설치된 경우에 있어서도 제 1유체의 양호한 분배, 즉 전열관군상에 대한 공급이 가능해진다는 효과에 의하여 경사를 따르는 설치에 대한 성능안정성이 양호한 유하액막식 열교환기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액체분배장치의 2차 분배용 트레이의 상부에 통기구멍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매체가 열교환기내의 증기압에 대하여 과열상태, 또는 과냉각상태로 유입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제 1 매체의 급격한 자기증발 및 증기흡수의 불안정 요인을 배제하여, 2차 분배용 트레이상의 액면을 원활하게 형성할 수 있는 범용성이 높은 유하액막식 열교환기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전열관군(5)을 구성하는 각 전열관을 각각 서로 평행하게 설치하여 액체적하구멍(21)을 포함하는 단면방향에서 보아 수직방향으로 복수의 열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들 열의 중심선, 즉 열을 형성하는 각 전열관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직선(51)이 각각 상부의 액체 적하구멍(21)의 중심선과 일치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전열관군(5)내에 형성된 수직방향의 복수의 열은 모두 액체 적하구멍(21)이 형성하는 축방향의 열중 어느 하나의 바로 밑에 중심선이 위치하도록 배치하였기 때문에, 액체분배장치(72)로부터 적하된 제 1 매체는 모두 전열관군(5)내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각 전열관열의 최상단의 전열관의 단면방향에서 본 중앙부에 정확하게 공급된다.
따라서 단면방향 단부에 대한 공급에 의한 관군으로부터의 이탈이나, 액체체류부(6)에 대한 직접 낙하 등의 유하액막형성 저해요인을 배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열관군(5)을 높이방향으로 복수의 작은 관군으로 분할하여 그들 내부에 전열관내를 흐르는 제 2 매체의 제 1 내지 제 4 패스(82, 84, 86, 88)를 형성하고, 하부의 작은 관군으로부터 상기 제 2 매체를 순차 유통시켜 유하액막을 형성하여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하여 흐르는 제 1 매체와의 열교환을 시키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대향류형 열교환기를 구성할 수 있어 고성능, 고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열관군(5)을 직관의 집합으로 구성하여 높이방향으로 분할하는 대신에 상기 전열관군(5)을 복수의 수평한 전열부와 이 전열부의 사이에 설치된 높이 방향으로 180°방향 전환하는 턴부로 이루어지는 사행관의 집합체로 구성하여 전열관내를 흐르는 제 2 매체를 상기 사행관군의 하부로부터 유통시킨 경우에 있어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일한 액체분배장치에서 다수의 열로 구성되는 전열관군의 모두에게 제 1 매체를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전열관의 열수가 홀수인 경우에 있어서도 제 1 매체의 여분의 공급량이 생기는 일없이 전열관군상에 분배할 수 있다. 따라서 유하액막식 열교환기의 설계시의 자유도가 높아져 상기 일본국 특개평5-172438호 공보 및 특개평7-4782호 공보에 기재된 것과 비교하여 최적화가 도모된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소형, 경량, 저코스트, 고성능, 고효율로서 경년열화가 적고, 경사에 따르는 설치에 대한 성능안정성이 양호 하며, 범용성이 높고, 설계상의 자유도가 높아 최적화가 가능한 유하액막식 열교환기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흡수식 냉동기의 실시형태에 관하여 도 12와 표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흡수식 냉동기란 소위 흡수식의 총칭이며, 흡수냉동기, 흡수냉온수기, 제 1 종 흡수히트펌프(히트앰플리파이어), 제 2 종 흡수히트펌프(히트트랜스포머)를 포함한다.
도면은 본 발명에 의한 흡수식 냉동기의 일형태인 흡수냉온수기의 계통도이며, 표는 액체분배장치 및 유하액막식 열교환기를 사용한 요소기기의 명칭 및 전열관외 에서 생기는 상변화의 형태, 유하액막식 열교환기에 있어서 유하액막을 형성하는 제 1 매체 및 전열관내를 흐르는 제 2 매체의 흡수냉온수기내에서의 작동유체명을 표시하고 있다.
요소기기의 명칭 전열관외 상변화의 형태 전열관외의 제 1 매체 전열관내의 제 2 매체
증발기 냉매액으로부터의 증기의 발생(증발) 냉매액 냉수
흡수기 흡수용액에 대한 증기의 흡수 흡수용액(농용액 →희석용액) 냉각수
저온재생기 흡수용액으로부터의 증기의 발생 흡수용액(희석용액 →농용액) 냉매증기(관내에서 응축)
흡수냉온수기는 흡수용액을 외부의 열원에 의하여 가열농축하는 고온재생기 (101), 전열관외에 흡수용액의 유하액막을 형성하여, 상기 고온재생기 (101)에서 발생한 냉매증기의 열에너지로 가열농축하는 저온재생기(102), 이 저온 재생기(102)에서 발생한 냉매증기를 응축함과 동시에 고온재생기(101)에서 발생하여 저온재생기(102)의 관내에서 응축한 냉매액과 혼합하는 응축기(103), 관외에 냉매액의 유하액막을 형성하여 증발시켜 관내의 냉수를 냉각하는 증발기(104), 이 증발기(104)에서 발생한 냉매증기를 흡수용액의 유하액막에 의하여 흡수하여 용기내를 저압으로 유지하여 증발을 촉진하는 흡수기(105), 상기 고온재생기(101) 및 저온재생기(102)로부터 흡수기(105)로 순환하는 흡수용액으로부터 현열을 회수하여 에너지 절약을 도모하는 저온열교환기(106), 고온열교환기(107) 및 이들을 접속하는 배관류와 펌프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저온재생기(102), 증발기(104), 흡수기(105)에 대하여 본 발명에 관한 액체분배장치 및 유하액막식 열교환기의 구성이 적용되어 있다.
다음에 이들 3가지의 요소기기에 본 발명에 의한 액체분배장치 및 유하액막식 열교환기를 적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여기에 흡수냉온수기는 작동유체로서 냉매에 물, 흡수용액에 취화리튬수용액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2중 효용형이며, 흡수냉온수기는 냉방운전을 행하고 있는 것으로 하여 설명을 행한다.
증발기(104)에 있어서의 열교환매체는 응축기(103)로부터 유입한 냉매액과 냉방부하계통과 흡수냉온수기와의 사이를 왕복하는 냉수이다. 냉매액은 기액경계면을 거쳐 증발하기 때문에 유하액막을 형성할 필요가 있으며, 유하액막식 열교환기의 제 1 매체로서 일단 증발기(104)의 하부에 축적되어, 증발기의 하부에 설치된 냉매살포용 펌프에 의하여 액체분배장치(72e)에 공급된다.
한편 전열관내를 흐르는 제 2 매체는 냉방부하계통과 흡수냉온수기와의 사이를 왕복하는 냉수로 한다. 액체분배장치(72e)로부터 전열관군상에 공급된 냉매액은 유하액막을 형성하여 관내를 흐르는 냉수로부터 열을 빼앗아 증발한다. 이 작용에 의하여 냉방부하관내의 냉수가 냉각되어 이 냉수를 냉방부하시스템에 공급하여 냉방을 행한다. 증발이 다 되지 못하고 용기의 바닥부로 흘러내린 냉매액은 응축기 (103)로부터 유입한 냉매액과 혼합하여 다시 액체분배장치(72e)에 공급된다.
다음에 흡수기(105)에 있어서의 열교환매체는 재생기시스템으로부터 저온열교환기(106)를 지나 순환하여 온 흡수용액과, 이것을 냉각하여 흡수용액의 흡수능력을 유지하는 냉각수이다. 흡수용액은 기액경계면을 거쳐 증발기로부터의 냉매증기를 흡수하기 위하여 유하액막을 형성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유하액막식 열교환기의 제 1 유체로서 액체분배장치(72a)에 공급하여 전열관내를 흐르는 제 2 매체를 냉각수로 한다. 냉매증기를 흡수하여 바닥부로 흘러내린 흡수용액은 흡수기(105)의 하부에 설치된 용액순환펌프(107)에 의하여 다시 저온열교환기(106)를 지나 재생기시스템으로 보내진다.
다음에 저온재생기(102)에 있어서의 열교환매체는 흡수기(105)로부터 저온열교환기(106)를 거친 후에 고온재생기(101)와 저온재생기(102)로 분기된 후의 저온재생기(102)의 흡수용액과, 고온재생기(101)에 있어서 발생하여 저온재생기내에서 응축하는 냉매증기이다. 흡수용액은 기액경계면을 거쳐 냉매증기를 발생하기 위하여 유하액막을 형성할 필요가 있고, 유하액막식 열교환기의 제 1 유체로서 액체분배장치(72g)에 공급한다.
한편 냉매증기도 또 저온재생기내에서 상변화를 일으키는 매체이나, 응축현상의 경우는 유하액막을 형성하지 않더라도 전열면에 대한 응축에 의하여 기액경계면이 자연스럽게 형성되기 때문에, 제 2 매체로서 전열관내에 공급하여 관내에서 응축시킨 후, 응축기(103)내로 유도된다. 냉매증기를 발생하여 바닥부로 흘러내린 흡수용액은 고온재생기(101)로부터의 흡수용액과 함께 다시 흡수기(104)로 순환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2의 실시형태에서는 흡수냉온수기의 저온재생기 (102), 증발기(104), 흡수기(105)에 유하액막식 열교환기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소형, 경량, 저코스트, 고성능, 고효율이며, 경년열화가 적고, 경사를 따르는 설치에 대한 성능안정성이 양호하며, 범용성이 높고 설계상의 자유도가 높아 최적화가 가능한 흡수식 냉동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흡수식 냉동기의 냉매 및 흡수용액의 순환계통에는 순환용 펌프가 설치되는 외에, 용액순환량의 제어에 사용되는 전자밸브나 가변저항밸브, 출하시나 메인티넌스시에 사용하는 유량조정밸브 및 개폐밸브, 운전시에 고온재생기의 용액량을 적정하게 유지하는 플로트밸브 등의 유체요소가 설치된다. 이들 순환계통에 금속입자나 구리도금이 박리하여 생긴 이물 등이 혼입한 경우에는, 이들 이물이 냉매 순환계통의 일부인 증발기(104)의 액체분배장치(72e), 흡수용액의 순환계통의 일부인 액체분배장치(72a, 72g)에 의하여 포착되고, 이들 이물에 기인하는 펌프의 불량이나 각종 유체요소의 동작불량, 미세한 유로의 폐색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어 신뢰성 높은 흡수식 냉동기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액체분배장치 및 유하액막식 열교환기에 있어서 열교환기 본체 또는 그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장치본체가 경사져 설치된 경우나 분배하는 액체가 과냉각 또는 과열상태로 공급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양호한 분배성능, 유하액막의 형성이 가능하게 되고, 또 작동유체중에 혼입한 이물이 양호하게 제거되어 경년열화가 적어져, 전열관의 열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음으로써 설계자유도가 높아짐과 동시에 이상의 이점을 저코스트로 실현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 유하액막식 열교환기를 흡수식 냉동기의 저온재생기, 증발기, 흡수기 등에 적용함으로써 흡수식 냉동기의 소형화, 경량화, 저코스트화를 실현하고, 또 신뢰성이 향상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6)

  1. 열교환 과정에서 상변화를 따르는 액체를 전열관군상에 상부로부터 분배하여 살포하는 액체분배장치에 있어서,
    액체분배장치를 액체의 출구로 되고, 또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복수의 분배구멍을 덕트의 길이방향으로 나열하여 형성한 1차 분배용 덕트와, 이 1차 분배용 덕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1차 분배용 덕트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상기 분배구멍에 대응하여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됨과 동시에 각 영역에 상기 액체를 적하시키기 위한 액체적하구멍을 형성한 2차 분배용 트레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분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분배용 덕트는, 위쪽으로 개방된 ㄷ자형의 제 1 부재를 아래쪽으로 개구된 ㄷ자형의 제 2 부재의 아래쪽에서 설치하여 구성되며,
    상기 2차 분배용 트레이는 위쪽으로 개방된 ㄷ자형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분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분배구멍은 위쪽으로 개방된 ㄷ자형의 제 1 부재 측면의 중앙보다 높은 위치에 중심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분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2차 분배용 트레이에 형성한 액체적하구멍의 주위에 저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분배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2차 분배용 트레이는 위쪽으로 개방된 ㄷ자형의 박스형을 한 긴 부재를 복수개의 영역에 간막이판으로 분할하여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분배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분배용 트레이는 위쪽으로 개방된 ㄷ자형의 박스형부재를 복수개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분배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분배용 덕트의 아래쪽으로 개방된 ㄷ자형의 제 2 부재의 길이방향의 측면에 통기구멍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분배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멍은 각 분배구멍의 중간부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분배장치.
  9. 관의 내외에서 열교환을 행하는 전열관군과, 상기 전열관군을 구성하는 각 전열관의 상부로부터 열교환매체를 분배하여 살포하는 액체분배장치를 가지고, 상기 열교환매체가 중력에 의하여 흘러내리면서 상기 전열관 외벽면에 액막을 형성하여 관내를 흐르는 열교환매체와 열교환을 행하는 유하액막식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액체분배장치는 액체의 출구가 되고 또한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복수의 분배구멍을 덕트의 길이방향으로 나열하여 형성한 1차 분배용 덕트와, 이 1차 분배용덕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1차 분배용 덕트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상기 분배구멍에 대응하여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영역으로 분할됨과 동시에 각 영역에 상기 액체를 적하시키기 위한 액체적하구멍을 형성한 2차 분배용 트레이로 구성되고, 상기 전열관군을 구성하는 각 전열관은 상기 액체분배장치에 형성한 액체적하구멍에 평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하액막식 열교환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전열관군을 구성하는 전열관의 열수를 액체적하구멍을 형성하는 열수의 90 내지 100%의 범위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하액막식 열교환기.
  11. 제 9항에 있어서,
    전열관군을 높이 방향으로 복수의 군으로 분할하여 전열관내를 흐르는 열교환매체를 아래쪽의 군으로부터 순차 흘리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하액막식 열교환기.
  12. 관의 내외에서 열교환을 행하는 전열관군과, 이 전열관군을 구성하는 각 전열관의 상부로부터 열교환매체를 분배하여 살포하는 액체분배장치를 가지며, 이 열교환매체가 중력에 의하여 흘러내리면서 상기 전열관 외벽면에 액막을 형성하여 관내를 흐르는 열교환매체와 열교환을 행하는 유하액막식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액체분배장치는, 액체의 출구가 되고, 또한 분배하기 위한 복수의 분배구멍을 덕트의 길이방향으로 나열하여 형성한 1차 분배용 덕트와, 이 1차 분배용 덕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1차 분배용 덕트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상기 분배구멍에 대응하여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됨과 동시에 각 영역에 상기 액체를 적하시키기 위한 액체적하구멍을 형성한 2차 분배용 트레이로 구성되고, 상기 전열관군을 구성하는 각 전열관은 상기 액체분배장치에 형성한 액체적하구멍에 평행이고, 전열관군을 구성하는 전열관의 열수를 액체적하구멍이 형성하는 열수의 90 내지 100%의 범위로 하고, 상기 전열관군을 높이방향으로 복수의 군으로 분할하여 전열관내를 흐르는 열교환 매체를 아래쪽의 군으로부터 순차 흘리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하액막식 열교환기.
  13. 흡수식 냉동기, 증발기, 흡수기, 재생기관, 이들 증발기, 흡수기, 재생기에 조립되어 관의 내외에서 열교환을 행하는 전열관군의 상부로부터 열교환매체를 분배하여 살포하는 액체분배장치 및 응축기를 구비하는 단효용 흡수식 냉동기에 있어서,
    상기 액체분배장치는 액체의 출구가 되고, 또한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복수의 분배구멍을 덕트의 길이방향으로 나열하여 형성한 1차 분배용 덕트와, 이 1차 분배용 덕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1차 분배용 덕트의 아래쪽에 설치되고, 상기 분배구멍에 대응하여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영역으로 분할됨과 동시에 각 영역에 상기 액체를 적하시키기 위한 액체적하구멍을 형성한 2차 분배용 트레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열관군을 구성하는 각 전열관은 상기 액체분배장치에 형성한 액체적하구멍에 평행인 유하액막식 열교환기를 적어도 상기 증발기, 흡수기, 재생기중의 어느 하나에 조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
  14. 증발기, 흡수기, 고온재생기, 저온재생기, 이들 증발기, 흡수기, 저온재생기에 조립되어 관의 내외에서 열교환을 행하는 전열관군의 상부로부터 열교환매체를 분배하여 살포하는 액체분배장치 및 응축기를 구비하는 다중효용 흡수식 냉동기에 있어서,
    상기 액체분배장치는 액체의 출구가 되고, 또한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복수의 분배구멍을 덕트의 길이방향으로 나열하여 형성한 1차 분배용 덕트와, 이 1차 분배용 덕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1차 분배용 덕트의 아래쪽에 설치되고, 상기 분배구멍에 대응하여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됨과 동시에 각 영역에 상기 액체를 적하시키기 위한 액체적하구멍을 형성한 2차 분배용 트레이로 구성되고, 상기 전열관군을 구성하는 각 전열관은 상기 액체분배장치에 형성한 액체적하구멍에 평행인 유하액막식 열교환기를 적어도 상기 증발기, 흡수기, 저온재생기의 어느 하나에 조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
  15. 증발기, 흡수기, 고온재생기, 저온재생기, 이들 증발기, 흡수기, 저온재생기에 조립되어 관의 내외에서 열교환을 행하는 전열관군의 상부로부터 열교환매체를 분배하여 살포하는 액체분배장치 및 응축기를 구비하는 다중효용 흡수식 냉동기에 있어서,
    상기 액체분배장치는, 액체의 출구가 되고, 또한 분배하기 위한 복수의 분배구멍을 덕트의 길이방향으로 나열하여 형성한 1차 분배용 덕트와, 이 1차 분배용 덕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1차 분배용 덕트의 아래쪽에 설치되고, 상기 분배구멍에 대응하여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영역으로 분할됨과 동시에 각 영역에 상기 액체를 적하시키기 위한 액체적하구멍을 형성한 2차 분배용 트레이로 구성되고, 상기 전열관군을 구성하는 각 전열관은 상기 액체분배장치에 형성한 액체적하구멍에 평행인 유하액막식 열교환기를 적어도 상기 증발기, 흡수기, 저온재생기 중 어느 하나에 조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냉동기.
  16. 증발기, 흡수기, 고온재생기, 저온재생기, 이들 증발기, 흡수기, 저온재생기에 조립되어 관의 내외에서 열교환을 행하는 전열관군의 상부로부터 열교환매체를 분배하여 살포하는 액체분배장치 및 응축기를 구비하는 다중효용 흡수식 냉동기에 있어서,
    상기 액체분배장치는 액체의 출구가 되고, 또한 분배하기 위한 복수의 분배구멍을 덕트의 길이방향으로 나열하여 형성한 1차 분배용 덕트와, 이 1차 분배용 덕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1차 분배용 덕트의 아래쪽에 설치되고, 상기 분배구멍에 대응하여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영역으로 분할됨과 동시에 각 영역에 상기 액체를 적하시키기 위한 액체적하구멍을 형성한 2차 분배용 트레이로 구성되고, 상기 전열관군을 구성하는 각 전열관은 상기 액체분배장치에 형성한 액체적하구멍에 평행하며, 전열관군을 구성하는 전열관의 열수를 액체적하구멍이 형성하는 열수의 90 내지 100%의 범위로 하고, 상기 전열관군을 높이방향으로 복수의 군으로 분할하여 전열관내를 흐르는 열교환매체를 아래쪽의 군으로부터 순차 흘리는 유하액막식 열교환기를 적어도 상기 증발기, 흡수기, 저온재생기중의 어느 하나에 조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
KR1019997008380A 1999-09-15 1997-03-17 액체분배장치 및 유하액막식 열교환기 및 흡수식 냉동기 KR100331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7008380A KR100331985B1 (ko) 1999-09-15 1997-03-17 액체분배장치 및 유하액막식 열교환기 및 흡수식 냉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7008380A KR100331985B1 (ko) 1999-09-15 1997-03-17 액체분배장치 및 유하액막식 열교환기 및 흡수식 냉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6283A true KR20000076283A (ko) 2000-12-26
KR100331985B1 KR100331985B1 (ko) 2002-04-10

Family

ID=54774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8380A KR100331985B1 (ko) 1999-09-15 1997-03-17 액체분배장치 및 유하액막식 열교환기 및 흡수식 냉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198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3124A (ko) * 2012-12-06 2014-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발기 및 이를 포함하는 터보 냉동기
KR102292395B1 (ko) * 2020-02-13 2021-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발기
US11624533B2 (en) 2020-02-13 2023-04-11 Lg Electronics Inc. Evaporator
US11898780B2 (en) 2020-02-13 2024-02-13 Lg Electronics Inc. Evaporator
KR102670381B1 (ko) * 2023-05-17 2024-05-2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유하액막식 증발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04490A1 (en) 2016-08-26 2019-07-03 Carrier Corporation Refrigerant distributor for falling film evaporato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3124A (ko) * 2012-12-06 2014-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발기 및 이를 포함하는 터보 냉동기
KR102292395B1 (ko) * 2020-02-13 2021-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발기
US11536497B2 (en) 2020-02-13 2022-12-27 Lg Electronics Inc. Evaporator
US11624533B2 (en) 2020-02-13 2023-04-11 Lg Electronics Inc. Evaporator
US11898780B2 (en) 2020-02-13 2024-02-13 Lg Electronics Inc. Evaporator
KR102670381B1 (ko) * 2023-05-17 2024-05-2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유하액막식 증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1985B1 (ko) 2002-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69634B2 (ja) 液体分配装置及び流下液膜式熱交換器並びに吸収式冷凍機
US7849710B2 (en) Falling film evaporator
JP3702270B2 (ja) コンパクトな吸収式冷凍機及びそのための溶液を流す方法
EP2841868B1 (en) Heat exchanger
US20080163637A1 (en) Gas trap distributor for an evaporator
US6247331B1 (en) Absorption refrigerator and the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CN104395687A (zh) 热交换器
JP4701147B2 (ja) 2段吸収冷凍機
JP3445941B2 (ja) 多段蒸発吸収型の吸収冷温水機及びそれを備えた大温度差空調システム
KR100331985B1 (ko) 액체분배장치 및 유하액막식 열교환기 및 흡수식 냉동기
US3316727A (en) Absorption refrigeration systems
JPH10220914A (ja) 吸収式冷凍機のプレート型蒸発器及び吸収器
KR890004392B1 (ko) 공냉 흡수식 냉수기
KR100532516B1 (ko) 흡수식히트펌프
JP2568769B2 (ja) 吸収冷凍機
JP4879125B2 (ja) 吸収冷凍機
KR100357928B1 (ko) 흡수식 냉동장치의 적하장치
CN218884325U (zh) 一种降膜式换热器及磁悬浮冷水机组
JP2000241044A (ja) 吸収式冷凍機
JP2002243309A (ja) 吸収冷凍機
JP3277349B2 (ja) 吸収冷凍機用蒸発吸収器
JP2607038B2 (ja) 吸収式冷凍装置
JPH07190557A (ja) 吸収式冷凍装置
JP3408116B2 (ja) 吸収式冷凍装置
JPH06147696A (ja) 吸収冷凍機の液分配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