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4576A - 무선호출 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컨텐트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호출 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컨텐트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4576A
KR20000074576A KR1019990018607A KR19990018607A KR20000074576A KR 20000074576 A KR20000074576 A KR 20000074576A KR 1019990018607 A KR1019990018607 A KR 1019990018607A KR 19990018607 A KR19990018607 A KR 19990018607A KR 20000074576 A KR20000074576 A KR 20000074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content
user
digital
sig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8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우
Original Assignee
오세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우 filed Critical 오세우
Priority to KR1019990018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74576A/ko
Publication of KR20000074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457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2Selective call receivers
    • H04W88/023Selective call receivers with message or information receiving capabilit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개시된 디지털 컨텐트 서비스 시스템은 뉴스, 증권, 날씨 등의 디지털 컨텐트를 여러 정보 제공자들로부터 공급받아 FLEX(Flexible high speed paging) 무선호출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들이 소지한 단말장치로 동시에 전송하고, 각 단말장치에서는 사용자가 요청한 디지털 컨텐트만을 선별적으로 전송받으며, 전송받은 디지털 컨텐트를 단말장치 내에 구비된 LCD 패널이나 텔레비전 수상기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휴대 전화 등의 외부 장치와 연결하여 서비스 제공자와 실시간으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뉴스, 증권 등의 각종 정보를 고유의 정보 코드와 함께 디지털 컨텐트로 제작하여 공급하는 복수의 정보 제공자와, 정보 제공자들로부터 공급받은 복수의 디지털 컨텐트에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수신받을 수 있도록 범용 CAP 코드를 포함하여 무선호출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무선호출신호를 무선호출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무선호출 서비스 사업자와, 무선호출 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무선호출 통신망을 통해 전송된 무선호출신호를 수신하여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디지털 컨텐트를 사용자가 선택한 디지털 컨텐트의 정보 코드에 따라 저장하며, 사용자에 의한 키입력 신호에 따라 해당 디지털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단말장치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전화번호 호출 서비스 및 단문 전송 서비스만 제공하는 기존의 무선호출 통신망을 그대로 이용하여 대량의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고품질의 정보 서비스 시스템으로 전환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무선호출 통신망의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하고, 기존 무선호출 서비스 요금보다 훨씬 저렴한 비용으로 각종 디지털 컨텐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음은 물론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리가 증대되며, 단말장치에 통신 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의 무선호출 통신망의 단점인 단방향 수신을 극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선호출 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컨텐트 서비스 시스템{Service system for digital contents using a paging network}
본 발명은 무선호출 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컨텐트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호출 서비스 사업자가 뉴스, 증권, 날씨 등 여러 종류의 디지털 컨텐트를 여러 정보 제공자(Information Provider)들로부터 공급받아 무선 호출 통신망을 통해 여러 사용자들이 소지한 단말장치로 동시에 전송하고, 각 단말장치에서는 사용자가 요청한 디지털 컨텐트만을 선별적으로 전송받으며, 전송받은 디지털 컨텐트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단말장치 내에 구비된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텔레비전 수상기 등을 통해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휴대전화 등의 외부 장치와 연결하여 서비스 제공자와 실시간으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무선호출 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컨텐트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호출 수신기는 현재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휴대용 이동통신방식의 일종으로서, 무선호출 수신기를 휴대하고 이동중인 특정인에게 신호음, 숫자, 문자 등의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이 이동중인 사람을 호출하는데 사용하는 무선호출 수신기는 초기에는 무선호출 수신기를 소지하고 있는 특정인에게 단순히 호출 신호와 함께 전화번호 등의 숫자 위주의 정보만을 제공하였으나, 최근에는 음성 사서함(VMS : Voice Mail System) 서비스를 이용하여 현재 호출되지 않는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남길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증권 정보, 날씨, 스포츠 경기 등과 관련된 각종 생활 정보 서비스를 간단한 문자를 통해 제공하기에 이르렀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무선호출 수신기는 기지국과 무선호출 수신기 사이의 신호규정(프로토콜, protocol)으로 POCSAG(Post Office Code Standardization Advisory Group) 신호방식과 FLEX(FLEXible high speed paging) 신호방식의 2가지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우선, POCSAG 신호방식은 기지국에서 무선호출 수신기로 프리앰블, 동기코드, 프레임 순으로 신호를 전송하며, 영문자 2자리를 포함하여 9자리로 된 CAP 코드라고 하는 가입자 식별번호가 각 무선호출 수신기마다 부여되어 있다.
따라서 가입자를 무선호출할 경우 기지국에서는 무선호출신호와 함께 CAP 코드가 송출되며, 기지국에서 송출된 무선호출신호는 해당 CAP 코드를 지닌 무선호출 수신기로 수신된다.
이때 상술한 POCSAG 신호방식에서는 수신 가능한 주파수 번호가 4개까지 할당될 수 있도록 CAP 코드가 부여되어 있는데, 최초의 CAP 코드에는 각 무선호출 수신기마다 고유한 ID(IDentification) 코드가 부여되며, 나머지 3개의 CAP 코드는 무선호출 서비스 사업자가 문자 서비스를 제공할 때 사용된다.
또한, FLEX 신호방식은 정확한 시간을 기반으로 하고 GPS 위성을 이용하여 동시전송(simulcasting) 및 동기전송(synchronization transmission)을 하는 방식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POCSAG 신호방식 무선호출 단말기가 자기 데이터를 예측하지 못하고 해당 프레임을 모두 검색하는 단점을 해결하여 보다 빠른 데이터 전송과 배터리 절약을 꾀한다.
즉, FLEX 신호방식은 약 6400bps(bit/second)까지의 고속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고, 4개의 CAP 코드가 부여된 POCSAG 신호방식보다 훨씬 많은 최대 16개의 CAP 코드가 부여되어 보다 다양한 문자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때 최초의 CAP 코드에는 상술한 POCSAG 신호방식과 마찬가지로 각 무선호출 수신기마다 고유한 ID 코드가 부여되고 나머지 CAP 코드는 무선호출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문자 서비스를 이용할 때 사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POCSAG 또는 FLEX 신호방식 무선호출 수신기를 통해 무선 호출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각종 문자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 무선호출 수신기는 각각의 무선호출 수신기에 부여된 CAP 코드 하나마다 하나의 문자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여러 종류의 문자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계속적으로 CAP 코드를 증가시키거나 임시의 어드레스가 저장된 CAP 코드를 사용하여야 한다.
즉 POCSAG 신호방식 무선호출 수신기의 경우에는 무선호출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문자 서비스를 최대 3개까지 제공받을 수 있으며, FLEX 신호방식 무선호출 수신기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요청하는 문자 서비스에 해당하는 수만큼의 문자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지만, 16개를 초과할 수 없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POCSAG 또는 FLEX 신호방식 무선호출 수신기는 전화번호 및 간단한 정보를 수신자에게 일방적으로 전송하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수신받는 서비스의 종류가 극히 제한되어 있음은 물론 단방향의 문자호출 서비스에만 적합하므로 사용자가 다양한 정보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말장치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였으며, 심야 시간대에는 호출 서비스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지만 무선호출 시스템은 가동상태에 있기 때문에 매우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무선호출 수신기는 무선호출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문자 서비스를 제공받을 경우 무선호출 수신기에 부여된 CAP 코드의 수에 따라 무선호출 수신기가 구분하여 수신할 수 있는 문자 서비스의 제한이 있어 다양한 문자 서비스를 원하는 사용자에게 불편함이 있었음은 물론, 사용자에 의한 서비스 변경시 즉각적인 대응을 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무선호출 수신기는 소형의 LCD 및 간단히 순차적으로 검색할 수 있는 키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수신된 다양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검색하기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지 못함은 물론, 수십 KB(kilo bytes) 용량의 비활성 메모리인 플래시(flash) 메모리를 사용하여 수신된 정보를 저장하기 때문에 제한된 정보만을 저장하는 단점이 있었으며, 외부 기기와 연결 가능한 인터페이스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외부 기기와 정보를 교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호출 서비스 사업자가 뉴스, 증권, 날씨 등 여러 종류의 디지털 컨텐트 및 개인 외 전자우편을 여러 정보 제공자들로부터 공급받아 심야 시간대에 기본적인 모든 디지털 컨텐트를 FLEX 무선 호출 통신망을 통해 여러 사용자들이 소지한 단말장치로 동시에 전송하는 방식과 실시간을 요하는 정보는 매일 수시로 전송하는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무선호출 통신망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호출 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컨텐트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단말장치마다 고유한 ID 코드 어드레스를 첫 번째 CAP 코드에 저장하고 나머지 CAP 코드에는 범용 코드 어드레스가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무한적으로 다양한 정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며, 무선호출 서비스 사업자 측에서 전송되는 여러 정보중 각 단말장치의 사용자가 요청한 서비스 분류 코드에 따른 디지털 컨텐트만을 선별적으로 수신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무선호출 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컨텐트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호출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많은 디지털 컨텐트를 저장할 수 있는 대용량 플래시 메모리 및 수신된 디지털 컨텐트를 디스플레이 하고 손쉽게 검색할 수 있는 대화면의 자체 LCD 및 텔레비전 수상기 등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제공하며, 휴대 전화 등의 외부 기기와의 통신 수단을 구비하여 양방향의 휴대전화망을 서비스 제공자와 실시간으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호출 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컨텐트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호출 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컨텐트 서비스 시스템에 사용되는 각 단말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5와 도 6은 상술한 도 3과 도 4의 각 단말장치와 외부 기기의 연결 상태의 예를 각각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호출 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컨텐트 서비스 시스템의 디지털 컨텐트 전송방법의 흐름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정보 제공자 200 : 무선호출 서비스 사업자
300 : 단말장치 310 : 수신 모듈
311 : PLL부 312 : RF 수신부
313 : D/A 컨버터부 314 : 디코더부
320 : 마이크로 컴퓨터 330 : 메모리부
340 : 키 입력부 350 : 디스플레이부
360 : 상태 확인부 361 : LED
362 : 스피커 370 : 전원부
380 : 영상신호 변환부 390 : 통신 인터페이스부
400 : 영상표시기기 500 : 통신 기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호출 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컨텐트 서비스 시스템은 뉴스, 증권 등의 각종 정보를 고유의 정보 코드와 함께 디지털 컨텐트로 제작하여 공급하는 복수의 정보 제공자와, 정보 제공자들로부터 공급받은 복수의 디지털 컨텐트에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수신받을 수 있도록 범용 CAP 코드를 포함하여 무선호출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무선호출신호를 무선호출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무선호출 서비스 사업자와, 무선호출 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무선호출 통신망을 통해 전송된 무선호출신호를 수신하여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디지털 컨텐트를 사용자가 선택한 디지털 컨텐트의 정보 코드에 따라 저장하며, 사용자에 의한 키입력 신호에 따라 해당 디지털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단말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무선호출 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컨텐트 서비스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호출 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컨텐트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정보 제공자(100)는 뉴스, 증권, 신문기사 등의 각종 정보를 고유의 정보 코드와 함께 디지털 컨텐트로 제작하여 후술되는 무선호출 서비스 사업자(200)에게 공급한다.
또한 상술한 정보 제공자(100)는 각각의 디지털 컨텐트를 실시간 또는 일정한 시간 간격(예를 들어, 하루 간격)으로 계속 업데이트하여 무선호출 서비스 사업자(200)에게 제공한다.
무선호출 서비스 사업자(200)는 정보 제공자(100)들로부터 공급받은 복수의 디지털 컨텐트에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수신받을 수 있도록 범용 CAP 코드를 포함하여 무선호출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무선호출신호를 무선호출 통신망을 통해 후술되는 각 단말장치(300)로 전송한다.
이때 사용되는 무선호출 통신망은 대량의 디지털 컨텐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POCSAG 신호방식 보다는 FLEX 신호방식의 무선호출 통신망을 이용하게 된다.
단말장치(300)는 디지털 컨텐트만을 고유하게 수신할 수 있는 단방향 단말장치로서, 무선호출 서비스 사업자(200)에 의해 무선호출 통신망을 통해 전송된 무선호출신호를 수신하여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디지털 컨텐트를 사용자가 선택한 디지털 컨텐트의 정보 코드에 따라 저장하며, 사용자에 의한 키입력 신호에 따라 해당디지털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한다.
즉 각각의 단말장치(300)는 사용자의 디지털 컨텐트 서비스 요청에 따라 무선호출 서비스 사업자(200) 측에서 전송된 사용자가 요청한 디지털 컨텐트의 정보 코드를 저장한 후, 무선호출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복수의 디지털 컨텐트중 고유의 정보 코드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디지털 컨텐트만을 선별적으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그 이외의 디지털 컨텐트는 스킵(skip)한다.
이때 사용자에 의한 디지털 컨텐트 서비스의 요청은 전화, 인터넷 등의 통신망, 팩시밀리와 휴대전화와 연결되어 단말장치(300) 자체를 통해 이루어지며, 무선호출 서비스 사업자(200) 측에서 각 단말장치(300)로 전송되는 정보 코드는 이전에 설정되어 있는 공통의 코드이다.
또한, 상술한 단말장치(300)는 그 용도에 따라 개인이 소지하고 다니면서 또는 차량과 텔레비전 수상기에 거치하여 원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일반용 단말장치와, 버스 등의 대중교통수단이나 거리에 설치되어 일반인들이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도록 하거나 외부 영업지원, A/S(애프터서비스) 지원업무 등을 수행하기 위한 특수용 단말장치 등으로 분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호출 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컨텐트 서비스 시스템에 사용되는 각 단말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5와 도 6은 상술한 도 3과 도 4의 각 단말장치와 외부 기기의 연결 상태의 예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도 2는 기기 내에 대화면 LCD 패널 등이 구비된 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수신 모듈(310)은 안테나를 통해 무선호출 서비스 사업자(200)로 부터 전송된 해당 채널의 무선호출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며,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디코딩하여 후술되는 마이크로 컴퓨터(320)로 출력한다.
이 수신 모듈(310)은 마이크로 컴퓨터(320)에서 출력된 PLL(Phase Locked Loop) 제어신호에 따라 동조를 맞추는 PLL부(311)와, PLL부(311)의 동조에 따라 해당 채널의 무선호출신호를 수신하는 RF(Radio Frequency) 수신부(312)와, RF 수신부(312)로 수신된 무선호출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D/A(Digital/Analog) 컨버터부(313)와, D/A 컨버터부(313)를 통해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더부(314)로 구성된다.
마이크로 컴퓨터(32O)는 롬(ROM)과 램(RAM)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기기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즉 마이크로 컴퓨터(320)는 수신 모듈(310)을 통해 입력되어 디코딩된 각각의 디지털 컨텐트의 정보 코드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무선호출 서비스사업자(200) 측에서 전송되어 후술되는 메모리부(330)에 저장된 정보 코드와 비교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디지털 컨텐트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사용자가 요청한 디지털 컨텐트인 경우 해당하는 디지털 컨텐트를 메모리부(330)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며, 후술되는 키 입력부(340)를 통한 사용자의 키입력에 따라 메모리부(330)에 저장된 각종 디지털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320)는 기기의 전반적인 상태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후술되는 상태 확인부(360)를 제어한다.
메모리부(330)는 마이크로 컴퓨터(32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요청한 각 디지털 컨텐트의 정보 코드를 저장하여 무선호출 서비스 사업자(200)로부터 디지털 컨텐트가 전송되면 마이크로 컴퓨터(320)에서 정보 코드를 비교할 수 있도록 출력하며, 마이크로 컴퓨터(320)의 제어에 따라 무선호출 서비스 사업자(200)로부터 전송된 각종 디지털 컨텐트를 저장하고 출력한다.
이 메모리부(330)는 전원 제거시 정보를 손실없이 유지함은 물론 정기적인 정보의 취득 및 업그레이드를 가능하게 하며 많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대용량(예를 들어, 수 MB(mega bytes)의 용량)의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한다.
그리고 메모리부(330)는 메모리 블록을 영구 메모리 블록과 임시 메모리 블록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 사용하게 되는데, 마이크로 컴퓨터(320)의 제어에 의해 해당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 용량이 제한되며, 일정시간이 지난 정보는 자동으로 삭제되거나 새롭게 취득한 정보에 의해 갱신되도록 하여 오버플로우(overflow)가 발생되지 않는다.
키 입력부(340)는 메모리부(330)에 저장된 각종 디지털 컨텐트의 검색과 디스플레이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신호가 입력되는 부분으로서, 단말장치(300)의 소정 위치에 복수의 키를 구비하기도 하고, 터치 스크린(touch screen)방식을 사용하기도 하며, 리모트 콘트롤러를 사용하기도 한다.
디스플레이부(350)는 통상적으로 LCD 패널로 구성되며, 키 입력부(340)를 통한 사용자의 키신호에 따라 메모리부(330)에 저장된 각종 디지털 컨텐트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상태 확인부(360)는 마이크로 컴퓨터(320)의 제어에 따라 전원 상태, 수신 상태 등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복수의 LED(361)를 점등시키며, 메시지가 수신 되거나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스피커(362)를 통해 특정음을 출력한다.
이때 사용자가 기기의 각종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점등되는 LED(361)는 디스플레이부(35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전원부(370)는 단말장치(300)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부분으로서, 휴대용 배터리를 사용하거나 또는 가정용 110/220V 전원을 사용하며, 단말장치(300)를 차량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차량의 배터리를 사용한다.
또한, 도 3은 상술한 도 2에서와 같이 기기 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350)를 통해 각종 디지털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텔레비전 수상기 등의 영상표시기기(400)에 연결하여 디지털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말장치(300)의 구성으로서, 상술한 도 2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여기에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 경우 상술한 도 2의 디스플레이부(350)가 단말장치(300)에 구비되어 있지 않지만, 디스플레이부(350)가 구비되어 있는 단말장치(300)를 영상표시기기에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영상신호 변환부(380)는 사용자에 의한 각종 디지털 컨텐트의 검색 및 디스플레이 키신호에 의해 마이크로 컴퓨터(32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메모리부(330)에 저장된 각종 디지털 컨텐트를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PAL(Phase Alternating by Line system), SVHS(Super Video Home System) 방식 등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영상표시기기(400)를 연결하는 영상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도 4는 상술한 도 2와 도 3에서 설명한 것과는 다르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룰러폰, PCS폰과 같은 휴대 전화 등의 통신 기기(500)와 RS232C 또는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ccess)으로 연결하여 디지털 컨텐트의 디스플레이는 물론 단말장치(300)의 단점인 단방향 서비스를 통신 기기(500)를 통해 사용자의 디지털 컨텐트 서비스 요청을 수행하는 양방향 서비스로 확장시켜 사용하도록 하는 단말장치(300)의 구성으로서, 상술한 도 2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여기에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90)는 사용자에 의한 각종 디지털 컨텐트의 검색 및 디스플레이 키신호에 의해 마이크로 컴퓨터(32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메모리부(330)에 저장된 각종 디지털 컨텐트 및 디지털 컨텐트 요청신호를 RS232C 또는 적외선 통신 등의 해당 통신 프로토콜에 적합한 데이터로 변환하여 통신 기기(500)로 송신하거나 또는 통신 기기(500)에 RF로 수신된 정보를 RS232C 또는 적외선 통신을 통해 입력 받아 마이크로 컴퓨터(320)에 제공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무선호출 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컨텐트 서비스 시스템의 작용을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호출 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컨텐트 서비스 시스템의 디지털 컨텐트 전송방법의 흐름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우선, 무선호출 서비스 사업자(200) 측에서 제공하는 여러 디지털 컨텐트의 정보 코드를 참조하여 단말장치(300)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디지털 컨텐트 서비스를 선택한 후, 전화, 인터넷 등의 통신망, 팩시밀리 등을 통해 디지털 컨텐트 서비스를 요청하거나 또는 단말장치(300)에 연결된 통신 기기(500)를 통해 디지털 컨텐트 서비스를 요청한다(S10).
이에 따라 무선호출 서비스 사업자(2O0)는 사용자가 신청한 해당 디지털 컨텐트의 정보 코드를 해당 단말장치로 전송하고(S20), 해당 단말장치(300)는 무선호출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무선호출신호를 수신하여 마이크로 컴퓨터(320)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부(330)에 정보 코드를 저장한다(S30).
이제, 각 정보 제공자(100)들이 헤더 부분에 정보 코드를 삽입하여 디지털 컨텐트를 제작한 후(S40), 제작된 디지털 컨텐트를 무선호출 서비스 사업자(200)에게 제공하면, 무선호출 서비스 사업자(200)는 각 정보 제공자(100)들로부터 받은 각종 디지털 컨텐트에 범용 CAP 코드를 포함하여 무선호출신호로 변환한 후 각 단말장치(300)로 전송한다(S50).
상술한 단계(S50)를 통해 각 단말장치(300)로 전송된 디지털 컨텐트가 수신되면(S60), 마이크로 컴퓨터(320)에서는 상술한 단계(S30)를 통해 메모리부(330)에 저장된 정보 코드와 지금 수신된 디지털 컨텐트의 헤더 부분에 있는 정보 코드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S70).
상술한 단계(S70)의 판단 결과, 메모리부(330)에 저장된 정보 코드와 지금 수신된 정보 코드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해당 정보 코드의 디지털 컨텐트를 메모리부(330)에 저장한다(S80).
그러나, 상술한 단계(S70)의 판단 결과, 메모리부(330)에 저장된 정보 코드와 지금 수신된 정보 코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정보 코드의 디지털 컨텐트를 저장하지 않고 그냥 스킵한다(S90).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S70∼S90)를 통해 사용자가 요청한 디지털 컨텐트의 수신이 모두 완료된 후, 단말장치(300)는 키 입력부(340)를 통한 사용자에 의한 디지털 컨텐트의 검색이나 디스플레이 키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100).
판단 결과 사용자에 의한 키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메모리부(33O)에 저장된 각종 디지털 컨텐트를 단말장치(300) 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350) 또는 각 단말장치(300)와 연결된 영상표시기기(400)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S110).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무선호출 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컨텐트 서비스 시스템에 의하면, 무선호출 서비스 사업자로부터 실시간 또는 심야 시간대를 이용하여 다수의 가입자가 동시에 동일한 디지털 컨텐트를 수신하기 때문에 무선호출 통신망의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함은 물론, 기존 무선호출 서비스 요금보다 훨씬 저렴한 비용으로 각종 디지털 컨텐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전화번호 호출 서비스 및 단문 전송 서비스만 제공하는 무선호출 통신망을 대량의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고품질의 정보 서비스 시스템으로 전환하여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채널 이용도를 높임은 물론 새로운 데이터 시스템을 구축하지 않고 기존의 무선호출 통신망을 그대로 이용함에 따라 통신망 구축비용이 소요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무선호출 서비스 사업자 측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컨텐트를 저장하고 디스플레이하는 단말장치에 영상표시기기 또는 통신 기기 등을 접속하여 한번에 많은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리가 증대됨은 물론, 단말장치에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존의 무선호출 통신망의 단점인 단방향 수신을 극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9)

  1. 뉴스, 증권 등의 각종 정보를 고유의 정보 코드와 함께 디지털 컨텐트로 제작하여 공급하는 복수의 정보 제공자;
    상기 정보 제공자들로부터 공급받은 복수의 디지털 컨텐트에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수신받을 수 있도록 범용 CAP 코드를 포함하여 무선호출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무선호출신호를 무선호출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무선호출 서비스 사업자; 및
    상기 무선호출 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무선호출 통신망을 통해 전송된 무선호출신호를 수신하여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디지털 컨텐트를 사용자가 선택한 디지털 컨텐트의 정보 코드에 따라 저장하며, 사용자에 의한 키입력 신호에 따라 해당 디지털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단말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호출 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컨텐트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무선호출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복수의 디지털 컨텐트중 고유의 정보 코드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디지털 컨텐트만을 선별적으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그 이외의 디지털 컨텐트는 스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호출 통신망을 이용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호출 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컨텐트 서비스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호출 통신망은,
    대량의 디지털 컨텐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FLEX 신호방식의 무선호출 통신망을 이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호출 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컨텐트 서비스 시스템.
  4. 안테나를 통해 무선호출 서비스 사업자로부터 전송된 해당 채널의 무선호출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며,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수신 모듈;
    상기 수신 모듈을 통해 입력된 디코딩된 각각의 디지털 컨텐트의 정보 코드를 사전에 설정된 정보 코드와 비교하여 사용자가 신청한 디지털 컨텐트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사용자가 신청한 디지털 컨텐트인 경우 해당 디지털 컨텐트의 저장을 제어하며, 저장된 각종 디지털 컨텐트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사용자가 선택한 디지털 컨텐트의 정보코드를 저장하고 있으며, 마이크로 컴퓨터의 제어에 따라 각종 디지털 컨텐트를 저장하고 출력하는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각종 디지털 컨텐트의 검색과 디스플레이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신호가 입력되는 키 입력부; 및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부에 저장된 각종 디지털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트 단말 장치.
  5. 안테나를 통해 무선호출 서비스 사업자로부터 전송된 해당 채널의 무선호출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며,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수신 모듈;
    상기 수신 모듈을 통해 입력된 디코딩된 각각의 디지털 컨텐트의 정보 코드를 사전에 설정된 정보 코드와 비교하여 사용자가 신청한 디지털 컨텐트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사용자가 신청한 디지털 컨텐트인 경우 해당 디지털 컨텐트의 저장을 제어하며, 저장된 각종 디지털 컨텐트를 외부에 연결된 영상표시기기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사용자가 선택한 디지털 컨텐트의 정보코드를 저장하고 있으며, 마이크로 컴퓨터의 제어에 따라 각종 디지털 컨텐트를 저장하고 출력하는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각종 디지털 컨텐트의 검색과 디스플레이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신호가 입력되는 키 입력부; 및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부에 저장된 각종 디지털 컨텐트를 NTSC, PAL, SVHS 방식 둥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영상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하여 영상표시기기를 통해 디지털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영상신호 변환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트 단말장치.
  6. 안테나를 통해 무선호출 서비스 사업자로부터 전송된 해당 채널의 무선호출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며,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수신 모듈;
    상기 수신 모듈을 통해 입력된 디코딩된 각각의 디지털 컨텐트의 정보 코드를 사전에 설정된 정보 코드와 비교하여 사용자가 신청한 디지털 컨텐트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사용자가 신청한 디지털 컨텐트인 경우 해당 디지털 컨텐트의 저장을 제어하며, 각종 디지털 컨텐트 요청신호를 외부에 연결된 통신 기기를 통해 출력함은 물론 통신 기기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컨텐트를 저장하고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사용자가 선택한 디지털 컨텐트의 정보코드를 저장하고 있으며, 마이크로 컴퓨터의 제어에 따라 각종 디지털 컨텐트를 저장하고 출력하는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각종 디지털 컨텐트의 검색과 디스플레이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신호가 입력되는 키 입력부; 및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의 제어에 따라 디지털 컨텐트 요청신호를 해당 통신 프로토콜에 적합한 데이터로 변환하여 유/무선으로 통신 기기로 출력하고, 통신 기기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컨텐트를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로 제공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호출 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컨텐트 단말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기기를 통해 무선호출 서비스 사업자측에 사용자가 원하는 디지털 컨텐트를 요청하여 단방향 단말장치를 쌍방향으로 확장시켜 사용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트 단말장치.
  8. 제 4 항 내지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는,
    사용자에 의해 디지털 컨텐트 서비스가 요청된 후 무선호출 서비스 사업자측에서 전송된 각 디지털 컨텐트의 정보 코드를 메모리부에 저장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트 단말장치.
  9. (1) 각 단말장치 사용자의 디지털 컨텐트 서비스 요청에 따라 무선호출 서비스 사업자측에서 사용자가 요청한 디지털 컨텐트의 정보 코드를 해당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과정;
    (2) 상기 과정(1)을 통해 입력된 정보 코드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
    (3) 각 정보 제공자가 헤더 부분에 미리 설정된 정보 코드를 삽입하여 제작한 디지털 컨텐트에 범용 CAP 코드를 포함하여 무선호출신호로 변환한 후 각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과정;
    (4) 상기 과정(3)을 통해 전송된 무선호출신호에 포함된 각종 디지털 컨텐트의 정보 코드를 상기 과정(2)에서 저장된 정보 코드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디지털 컨텐트만 선별적으로 저장하는 과정; 및
    (5) 사용자의 키조작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트를 단말장치 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 또는 각 단말장치와 연결된 영상표시기기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호출 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컨텐트 전송방법.
KR1019990018607A 1999-05-21 1999-05-21 무선호출 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컨텐트 서비스 시스템 KR200000745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8607A KR20000074576A (ko) 1999-05-21 1999-05-21 무선호출 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컨텐트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8607A KR20000074576A (ko) 1999-05-21 1999-05-21 무선호출 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컨텐트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4576A true KR20000074576A (ko) 2000-12-15

Family

ID=19587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8607A KR20000074576A (ko) 1999-05-21 1999-05-21 무선호출 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컨텐트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7457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6402A (ko) * 2001-06-19 2002-12-31 주식회사 팜링크 고속 무선호출망을 이용한 증권 시세정보 압축 전송방법
KR100811520B1 (ko) * 2006-07-20 2008-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선별적 컨텐츠다운로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6402A (ko) * 2001-06-19 2002-12-31 주식회사 팜링크 고속 무선호출망을 이용한 증권 시세정보 압축 전송방법
KR100811520B1 (ko) * 2006-07-20 2008-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선별적 컨텐츠다운로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50742C (zh) 便携式电视(tv)电话及控制其操作的方法
US6112074A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with automatic geographic event notification
GB2284964A (en) Radiotelephone operable on a plurality of radio systems
JP2001078271A (ja) 移動通信網での発信者情報提供装置及び発信者情報伝送方法
KR950012825B1 (ko) 정보 서비스 데이타 메시지 전송을 개시하는 지정된 프레임을 이용하는 페이징 시스템
JPH05503402A (ja) 指定バッチ情報サービス・データ・メッセージ伝送を用いるページング・システム
CN100403658C (zh) 具有呼叫管理能力的无线通信设备及其方法
AU697479B2 (en) Selective calling system and selective calling receiver
US20020111155A1 (en) Language selecting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6400256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apable of displaying simultaneously the latest messages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callers
GB2314185A (en) Radio receiver
JPH11112405A (ja) デジタル無線電話システム
KR20000074576A (ko) 무선호출 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컨텐트 서비스 시스템
KR100247583B1 (ko) 무선 페이징 수신기의 수신 메시지 인덱스 관리 방법 및 그장치
JPH11243569A (ja) メッセージ受信機
JPH11234760A (ja) 無線通信端末
JP2000244976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基地局及び移動局
KR20020078406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예약 전송 방법
JPH0898252A (ja) 無線通信装置
CN1224314A (zh) 无线选呼接收机、选呼接收机和选呼方法
US627569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information on a roaming channel
KR100621022B1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텔레텍스트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방법
US20080261589A1 (en) Mobile radio terminal
KR100301660B1 (ko) 무선호출신호를이용한개인정보단말기
JP3528246B2 (ja) 選択呼出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