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3798A - Portable cooling and warming apparatus using a thermoelement - Google Patents

Portable cooling and warming apparatus using a thermoele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3798A
KR20000073798A KR1019990017334A KR19990017334A KR20000073798A KR 20000073798 A KR20000073798 A KR 20000073798A KR 1019990017334 A KR1019990017334 A KR 1019990017334A KR 19990017334 A KR19990017334 A KR 19990017334A KR 20000073798 A KR20000073798 A KR 20000073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thermoelectric element
bottom plate
heat sink
c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73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295463B1 (en
Inventor
김기진
박찬형
Original Assignee
김기진
영성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진, 영성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기진
Priority to KR1019990017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5463B1/en
Publication of KR20000073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37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5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5463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21/00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321/02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s;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s
    • F25B2321/023Mounting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PURPOSE: A refrigerating and heating apparatus is provided to maximize refrigerating and heating efficiency of foods and other items and to conveniently install an apparatus in various places as well as in a vehicle. CONSTITUTION: For using a refrigerating and heating apparatus(100) as a refrigerator, a cap(108) of the apparatus is opened to put a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bottle(112) into the space(S) of a cooling pipe(120) and a switch(110) is pressed down to select a refrigeration mode. The refrigeration mode is started with lighting-on of a first blue lamp. With the starting of the refrigeration mode, a current of a proper direction is fed to a therms-element(150). The therms-element absorbs heat in its upper portion by the Peltier effect while heat is emitted in its lower portion. By the heat absorption, the heat of a cooling panel is absorbed via a spacer block(124). Thereby, the cooling panel is cooled.

Description

열전소자를 이용한 이동식 냉온장 장치{Portable cooling and warming apparatus using a thermoelement}Portable cooling and warming apparatus using a thermoelement

본 발명은 운반이 가능한 차량용 냉온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전소자의 펠티에 효과에 의한 흡열작용과 발열작용을 이용하고 진공 단열효과를 적용시킴으로써, 음료수는 물론 각종 음식물과 같은 보관물품에 대한 냉온장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고, 차량 내부 뿐만아니라 다양한 장소에 간단하게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는 이동식 냉온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d storage device for a vehicle that can be transported, and more particularly, by using the endothermic action and exothermic action by the Peltier effec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applying the vacuum insulation effect, to the storage goods such as beverages as well as various foods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cold and cold storage, and relates to a mobile cold storage device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and used in various places as well as inside the vehicle.

산업이 발전하고 그에 따라 생활이 풍족해지면서 삶의 질적 향상에 대한 관심이 점차로 고조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대다수의 현대인들은 여가를 즐기기 위해서 차량을 이용하여 가족단위로 강이나 바다 등의 유원지를 자주 찾는다.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s the industry develops and as a result, life is enriched. In line with this trend, most modern people frequently use cars to find amusement parks such as rivers and seas in order to enjoy their leisure time.

그런데, 최근들어 차량의 보유대수가 급증한 관계로 연휴때만 되면 고속도로와 국도 모두가 심한 정체현상을 보이고 있고, 그에 따라 차량내에서 보내는 시간이 길어지고 있다. 차량을 이용한 장시간의 여행중에 느끼는 갈증이나 배고픔을 해소하기 위해서 대부분의 차량 이용자들은 각종 형태의 아이스 박스나 보온병 등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휴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차량 탑승객의 편의를 위하여 차량 실내에 장착 사용할 수 있는 냉온장치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However, as the number of vehicles has recently increased, both highways and national roads have experienced severe congestion only during the holiday season, and accordingly, the time spent in the vehicle is lengthening. In order to quench the thirst and hunger during long trips by car, most vehicle users carry foods using various types of ice boxes and thermos. Many cold and warm devices are being developed.

종래의 차량용 냉온장치들은 기존의 냉장고 및 온장고의 구성 및 작동원리를 그대로 채용하고 단지 크기만을 축소하여 차량내부에 장착시킨 것이 대부분이다. 예를 들면, 차량 내부의 에어콘이나 히이터 기능을 활용하여 냉온 송풍구로부터 나오는 냉온기를 냉온장치 내로 도입할 수 있도록 구성한 장치들이 대부분이다. 그런데, 이러한 차량용 냉온장치들은 구성이 복잡하고 설치공간이 많이 들며 제작 비용이 많이 든다. 또한, 차량 자체의 냉난방 효율을 저하시키게 되고, 구성상의 한계로 인하여 계절별로 사용에 제약을 받는 결점이 있다.Conventional cold air conditioners for the vehicle are mostly adopted by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principle of the existing refrigerator and the warmer as it is mounted only inside the vehicle by reducing the size only. For example, most of the devices are configured to introduce a cold or hot air coming from the cold and hot air blower into the cold and hot device by utilizing the air conditioner or heater function inside the vehicle. By the way, these vehicle cold and warm devices are complicated in construction, a lot of installation space and expensive manufacturing costs. In addition, the cooling and heating efficiency of the vehicle itself is lowered, and there is a drawback of being restricted in use seasonally due to the configuration limitations.

대한민국 특허 제 164175 호에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자동차용 냉온장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자동차용 냉온장장치는 자동차 뒷자석 후미의 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차내에 유입된 공기를 활용하기 위한 공기순환 덕트와 취출관을 설치하고 그 내부에 송풍팬과 방열판을 설치하며, 방열판 상측에 열전소자와 단열 저장통을 설치하고, 저장통 주변에 순환팬과 증발기를 설치하였다.Republic of Korea Patent No. 164175 discloses a cold storage device for automobiles u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The cold storage device for cars is installed in the rear of the rear of the car, install an air circulation duct and a blowout pipe for utilizing the air introduced into the car, and install a blower fan and a heat sink inside the heat sink, A thermoelectric element and an insulated reservoir were installed, and a circulation fan and an evaporator were installed around the reservoir.

그런데, 이렇게 구성된 자동차용 냉온장장치에서는 저장통에 접착 설치된 알루미늄 블록과 방열판이 철제 나사로 체결되어 있어서 알루미늄 블록의 열이 나사를 통해서 배출됨으로써 열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전체구성이 복잡하여 제작비 및 설치공간이 많이 들고, 차량의 제작 당시에 붙박이 방식으로 설치 제공되므로 소비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안기게 되며, 근본적으로는 그 이용이 차량내로 한정된다.However, in the cold storage device for automobile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aluminum block and the heat dissipation plate bonded to the storage container are fastened by iron screws, so that heat loss may occur because the heat of the aluminum block is discharged through the screws. In addition, the overall configuration is complicated, the production cost and installation space is a lot, the installation is provided in a built-in manner at the time of production of the vehicle bears an economic burden to the consumer, and its use is basically limited to the vehicle.

그러므로, 냉온장 효과가 우수하고 차량 내부에 간단히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여관이나 콘도 등의 숙박장소로도 휴대가 가능한 새로운 냉온장장치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cold and cold device that is excellent in the effect of cold and cold, can be easily installed and used inside a vehicle, and can also be carried as a lodging place such as an inn or a condo.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열전소자의 펠티에 효과에 의한 흡열작용과 발열작용을 이용하고 진공 단열효과를 적용시키며 운반이 가능하도록 단일 유니트의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음료수는 물론 각종 음식물과 같은 보관물품에 대한 냉온장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고, 차량 내부 뿐만아니라 다양한 장소에 간단하게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는 냉온장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the endothermic and exothermic action by the Peltier effec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apply the vacuum insulation effect and transport of a single unit By configuring the shape,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cooling and cooling efficiency for the storage items such as beverages and various foods, and to provide a cold and cold storage device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and used in various places as well as inside the vehicle.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냉온장 장치의 외부 사시도,1a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col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냉온장 장치의 저면도,Figure 1b is a bottom view of the mobile col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냉온장 장치의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obile col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냉온장 장치의 냉각관과 냉각판을 뒤집어진 상태로 나타낸 외부 사시도,3A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cooling tube and the cooling plate of the cold / cold device shown in FIG. 2 in an inverted state;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이동식 냉온장 장치의 방열판을 나타낸 외부 사시도, 그리고3b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t sink of the mobile cold storage device shown in FIG. 2, and

도 4는 이동식 냉온장 장치의 냉각판과 방열판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cooling plate and the heat sink of the mobile cold storage devic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0 : 냉온장 장치 101 : 콘테이너100: cold storage device 101: container

103 : 방열구 104 : 커넥터103: heat dissipation hole 104: connector

106 : 흡기구 108 : 캡106: intake vent 108: cap

110 : 스위치 114 : 단열재110 switch 114 insulation

116 : 진공 튜브 120 : 냉각관116: vacuum tube 120: cooling tube

122 : 냉각판 124 : 스페이서 블록122: cooling plate 124: spacer block

130 : 방열판 140 : 클램핑 볼트130: heat sink 140: clamping bolt

150 : 열전소자 152a : 제 1 바이메탈150: thermoelectric element 152a: first bimetal

152b : 제 2 바이메탈 160 : 냉각팬152b: second bimetal 160: cooling fan

162 : 핑거 가드 164 : 체결 보울트162: finger guard 164: fastening bolt

170 : 하부 브라켓 S : 공간170: lower bracket S: spa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외측 상부에는 한쌍의 손잡이가 부착되고, 외측 하부에는 방열구가 형성되고, 상기 방열구의 인접위치에는 외부 전원과의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커넥터가 설치되며, 바닥 중앙부에는 흡기구가 형성된 원통형 콘테이너;A pair of handles are attached to the outer upper portion, a heat dissipation hole is formed at an outer lower portion thereof, a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an external power source is installed at an adjacent position of the heat dissipation hole, and a cylindrical container having an air intake hole at a bottom center portion thereof;

상기 콘테이너 내에서 냉장 또는 온장될 물품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한정하는 일체형의 내부 케이싱과 바닥판;An integral inner casing and bottom plate defining an interior space within the container for containing the article to be refrigerated or warmed;

상기 바닥판의 외측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바닥판과 결합되는 방열판;A heat dissipation plate disposed on an outer lower portion of the bottom plate and coupled to the bottom plate;

상기 방열판의 일표면 상에 장착되고, 외부로부터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에 열을 흡수 또는 방출시키기 위한 열전소자;A thermoelectric element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heat sink and configured to absorb or release heat when a current is applied from the outside;

상기 바닥판의 표면 상에 장착되고, 상기 바닥판의 온도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열전소자로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을 단속하기 위한 제 1 온도 감지수단;First temperature sensing means mounted on a surface of the bottom plate to sense a temperature change of the bottom plate and to regulate a flow of current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상기 방열판의 상기 일표면 상에 장착되고, 상기 방열판의 온도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열전소자로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을 단속하기 위한 제 2 온도 감지수단;Second temperature sensing means mounted on the one surface of the heat sink, for sensing a temperature change of the heat sink and controlling a flow of current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상기 바닥판과 상기 방열판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Coupling means for coupling the bottom plate and the heat sink;

상기 방열판의 바로 아래에 설치되고, 냉장모드시에 상기 방열판에서 발생하는 열을 강제적으로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한 냉각 팬; 그리고A cooling fan installed under the heat sink and forcibly dissipating heat generated from the heat sink in the cold mode; And

상기 콘테이너와 상기 내부 케이싱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 케이싱을 단열시키기 위한 단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장 장치를 제공한다.It is provided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inner casing provides a cold and cold storage device comprising a heat insulating means for insulating the inner casing.

상기 콘테이너의 상부의 가장자리 일측에는 냉온장 장치의 냉장모드와 온장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선택 스위치가 장착된다.One side of the upper edge of the container is equipped with a selection switch for setting the refrigerating mode and the warm mode of the cold storage device.

상기 단열수단은 상기 내부 케이싱의 바로 외측에 설치되는 폴리우레탄 재질의 단열재 및 단열재 외측에 설치되는 진공 튜브를 포함한다.The heat insulating means includes a polyurethane tube and a vacuum tube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s installed directly outside the inner casing.

상기 냉온장 장치의 작동모드가 냉장모드인 경우, 상기 열전소자는 상부면을 통해서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열을 흡수하고 하부면을 통해서 열을 방출시키며, 상기 냉온장 장치의 작동모드가 온장모드인 경우에는 상부면을 통해서 열을 방출시키고 열전소자의 하부면을 통해서 열을 흡수한다.When the operating mode of the cold storage device is the refrigeration mode, the thermoelectric element absorbs heat from the bottom plate through the upper surface and releases heat through the lower surface, when the operating mode of the cold storage device is the warm mode The heat releases heat through the upper surface and absorbs heat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온장 장치에서는, 방열판에 설치된 열전소자의 펠티에 효과에 의한 흡열작용과 발열작용을 이용하고 내부 케이싱 주위에 설치된 단열재와 진공 튜브의 단열효과를 이용함으로써, 내부 케이싱 내에 저장되는 각종 음식물의 냉온장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ld / warm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endothermic action and the exothermic action by the Peltier effec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installed on the heat sink, and using the heat insulation effect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the vacuum tube installed around the inner casing, It can maximize the cooling and cooling efficiency of various foods stored in the casing.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냉온장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mobile col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냉온장 장치의 외부 사시도이고, 도 1b는 이동식 냉온장 장치의 저면도이다.1A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col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B is a bottom view of the mobile cold storage device.

도 1a 및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온장 장치(100)는 스테인레스로 이루어진 원통형 콘테이너(101)를 구비한다. 콘테이너(101)의 외측 상부에는 한쌍의 손잡이(102)가 부착된다. 콘테이너(101)의 하부에는 냉온장 장치(100) 내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한 방열구(103)가 형성되고, 방열구(103)의 인접위치에는 외부 전원과의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커넥터(104)가 설치된다. 콘테이너(101)의 바닥 주변부에는 고무로 이루어진 4개의 다리(105)가 부착되고, 바닥 중앙부에는 흡기구(106)가 형성된다.1A and 1B, the cold storage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ylindrical container 101 made of stainless steel. A pair of handles 102 are attached to the outer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101.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101 is formed with a heat dissipation hole 103 for dissipating heat generated in the cold / cold storage device 100 to the outside, and a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an external power source at an adjacent position of the heat dissipation hole 103. 104 is installed. Four legs 105 made of rubber are attached to the bottom periphery of the container 101, and an inlet port 106 is formed at the bottom center.

콘테이너(101)의 상부(107)는 외관을 고려하여 다양한 무늬를 갖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상부(107) 중앙에는 냉온장 장치(100)의 내부 공간(S)(도 2 참조)을 개폐시키기 위한 플라스틱 캡(108)이 설치된다. 상부(107)의 가장자리 일측에는 사용자로 하여금 냉온장 장치(100)의 냉장모드와 온장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하는 작동모드 선택 스위치(110)가 장착된다. 스위치(110)의 양측에는 냉온장 장치(100)의 냉장모드와 온장모드를 가시적으로 구별하여 나타내기 위한 한쌍의 표시램프(109a,109b)가 부착된다. 제 1 표시램프(109a)는 냉온장 장치(100)의 냉장모드를 나타내는 것으로 청색을 띠며, 제 2 표시램프(109b)는 냉온장 장치(100)의 온장모드를 나타내는 것으로 적색을 띤다.The upper portion 107 of the container 101 is made of synthetic resin having various patterns in consideration of appearance. In the center of the upper portion 107, a plastic cap 108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ternal space S (see FIG. 2) of the cold / cold storage device 100 is installed. One side of the edge of the upper portion 107 is equipped with an operation mode selection switch 110 that allows the user to select the refrigeration mode and the warm mode of the refrigerating device 100. A pair of display lamps 109a and 109b are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switch 110 to visually distinguish between the refrigerating mode and the warming mode of the refrigerating and cooling device 100. The first display lamp 109a is colored blue to indicate the refrigerating mode of the cold storage device 100, and the second display lamp 109b is colored red to indicate the cold mode of the cold / cold storage device 100.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냉온장 장치의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obile col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냉온장 장치(100)는 냉온장 장치(100)의 내부 공간(S)을 한정하는 원통형의 냉각관(120)을 포함한다. 냉각관(120)의 열린 상부는 캡(108)에 의해서 개폐되고, 냉각관(120)의 하부는 냉각관(120)과 일체로 결합된 원형의 냉각판(122)(도 3a 참조)에 의해서 폐쇄된다. 냉각관(120)과 냉각판(122)은 열전도도가 좋은 알루미늄으로 제조된다.Referring to FIG. 2, the cold / cold storage device 100 includes a cylindrical cooling tube 120 defining an inner space S of the cold / cold storage device 100.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cooling tube 120 is opened and closed by a cap 108,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cooling tube 120 is opened by a circular cooling plate 122 (see FIG. 3A) integrally coupled with the cooling tube 120. It is closed. The cooling tube 120 and the cooling plate 122 are made of aluminum having good thermal conductivity.

냉각관(120)의 내부 공간(S)에는 여러 가지 형태의 음식물이 보관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페트 병(112)이 내장된다. 냉각판(122)의 외측 하부에는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방열판(130)이 배치된다. 냉각판(122)과 방열판(130)은 스테인레스로 제작된 클램핑 볼트(140)에 의해서 단단하게 결합된다.Various types of food can be stored in the internal space S of the cooling tube 120, and preferably, the PET bottle 112 is built in. The heat dissipation plate 130 made of aluminum is disposed at an outer lower portion of the cooling plate 122. The cooling plate 122 and the heat sink 130 are tightly coupled by the clamping bolt 140 made of stainless steel.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이동식 냉온장 장치의 냉각관과 냉각판을 뒤집어진 상태로 나타낸 외부 사시도이고, 도 3b는 방열판을 나타낸 외부 사시도이다.FIG. 3A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oling tube and the cooling plate of the mobile cold storage device shown in FIG. 2 in an inverted state, and FIG. 3B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heat sink.

도 3a 및 3b를 참조하면, 방열판(130)과 결합되는 냉각판(122)의 표면에는 알루미늄 재질의 스페이스 블록(124)이 돌출하여 형성된다. 스페이스 블록(124)의 상부면(125)은 하기에서 설명될 열전소자(150)와의 접촉을 위해서 편평한 형상을 갖는다. 스페이스 블록(124)이 형성되지 않은 냉각판(122)의 표면 위치에는 제 1 바이메탈(152a)이 장착된다. 제 1 바이메탈(152a)은 냉각판(122)의 온도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측정값에 따라서 열전소자(150)에 전달되는 전류의 흐름을 단속한다.3A and 3B, a space block 124 made of aluminum protrudes from a surface of the cooling plate 122 coupled with the heat sink 130. The upper surface 125 of the space block 124 has a flat shape for contact with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0 to be described below. The first bimetal 152a is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cooling plate 122 where the space block 124 is not formed. The first bimetal 152a senses a change in temperature of the cooling plate 122 and interrupts the flow of current deliver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0 according to the detected measurement value.

방열판(130)은 사각형상을 갖는다. 냉각판(122)과 결합될 방열판(130)의 일표면상에는 열전소자(150)가 장착된다. 열전소자(150)는 사각형상을 가지며, 스페이서 블록(124)의 상부면(125)과의 접촉에 적합하도록 편평한 상부면을 갖는다. 해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열전소자(150)는 서로다른 2개의 N,P형 반도체 소자를 직렬로 연결했을 때 두 금속의 접합부를 통하여 전류가 흐르면 그 접합부에서 열이 발생하거나 또는 흡수되는 펠티에 효과(Peltier's effect)를 이용하는 소자이다. 따라서, 열전소자(150)는 어떤 한가지 방향으로 전류를 흘려서 열을 방출하는 경우, 전류의 방향을 반대로하면 열을 흡수하게 된다.The heat sink 130 has a rectangular shape.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0 is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heat sink 130 to be coupled to the cooling plate 122.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0 has a quadrangular shape, and has a flat top surface suitable for contact with the top surface 125 of the spacer block 124. As is known in the art,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0 generates heat or absorbs heat when the current flows through the junctions of two metals when two different N, P-type semiconductor elements are connected in series. It is a device using Peltier's effect. Therefore, when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0 emits heat by flowing a current in one direction,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0 absorbs heat when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is reversed.

열전소자(150)가 부착된 방열판(130)의 표면 상에는 제 2 바이메탈(152b)이 또한 부착된다. 제 2 바이메탈(152b)은 방열판(130)의 온도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측정값에 따라서 열전소자(150)에 전달되는 전류의 흐름을 단속한다. 냉각판(122)과의 결합면에 대향하는 방열판(130)의 하부면 상에는 공기와의 접촉면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다수의 수직 방열판(132)이 형성된다. 수직 방열판(132)은 방열판(130)과 일체로 형성되어 하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연장된다.The second bimetal 152b is also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heat sink 130 to which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0 is attached. The second bimetal 152b senses a change in temperature of the heat sink 130 and intercepts the flow of current deliver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0 according to the measured measurement value. A plurality of vertical heat sinks 132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eat sink 130 opposite to the coupling surface with the cooling plate 122 to increase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air. The vertical heat sink 132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heat sink 130 and extends down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도 4는 이동식 냉온장 장치의 냉각판과 방열판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cooling plate and the heat sink of the mobile cold storage device.

도 4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냉각판(122)과 방열판(130)은 스페이서 블록(124)의 외주부에 형성된 제 1 체결공(126)과, 열전소자(150)의 외부 양측위치에서 방열판(130)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 2 체결공(134)을 지나는 클램핑 보울트(140)에 의해서 서로 결합된다. 이때, 클램핑 보울트(140)는 냉각판(122)과 방열판(130)의 결합에 따른 냉각판(122)과 방열판(130) 사이의 열교환을 차단하고 냉각판(122) 외측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응결수로 인한 부식을 근원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스테인레스로 만들어진다.Referring to FIG. 4, the cooling plate 122 and the heat sink 13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include the first fastening hole 126 form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spacer block 124 and the outer both sides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0. It is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clamping bolt 140 passing through the second fastening hole 134 formed through the heat sink 130. In this case, the clamping bolt 140 blocks heat exchange between the cooling plate 122 and the heat sink 130 according to the coupling of the cooling plate 122 and the heat sink 130, and condensation may occur on the outside of the cooling plate 122. Made from stainless steel, to prevent water corrosion.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페트병(112)을 내장하고 있는 냉각관(120)의 바로 외측에는 폴리우레탄 재질의 단열재(114)가 설치된다. 단열재(114)는 냉각관(120) 주위를 에워싸서 냉각관(120)의 단열효과를 증대시킨다. 또한, 단열재(114)의 외측에는 진공 튜브(116)가 배치된다. 진공 튜브(116)는 스테인레스관의 내부를 진공처리하여 만든 것으로, 냉각관(120)의 단열효과를 극대화시킨다.Referring back to FIG. 2, a polyurethane insulating material 114 is installed just outside the cooling tube 120 in which the PET bottle 112 is embedded.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14 surrounds the cooling tube 120 to increase the heat insulating effect of the cooling tube 120. In addition, a vacuum tube 116 is disposed outside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14. The vacuum tube 116 is made by vacuuming the inside of the stainless steel tube, maximizing the thermal insulation effect of the cooling tube 120.

냉온장 장치(100) 내에서 방열판(130)의 바로 아래에는 냉각 팬(160)이 설치된다. 냉각 팬(160)은 하부 브라켓(170) 내에 배치 고정되는데, 하부 브라켓(170)은 일단이 콘테이너(101) 내측에 부착 고정되고 타단이 방사상 내측으로 일정길이만큼 연장된 고정 프레임(172)에 결합 고정된다. 즉, 하부 브라켓(170)의 상단은 고정 프레임(172)의 중간에 체결되고, 하부 브라켓(170)의 하단은 고정 프레임(170)과 냉온장 장치(100)의 바닥 사이에서 수직하게 연장된 체결 보울트(164)에 의해서 고정된다.The cooling fan 160 is installed directly under the heat sink 130 in the cold / cold storage device 100. The cooling fan 160 is fixedly disposed in the lower bracket 170, and the lower bracket 170 is coupled to the fixing frame 172,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101 and the other end of which extends radially in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It is fixed. That is, the upper end of the lower bracket 170 is fastened in the middle of the fixing frame 172, and the lower end of the lower bracket 170 is fastened vertically extending between the fixing frame 170 and the bottom of the cold / cold device 100. It is fixed by the bolt 164.

냉각 팬(160)은 냉온장 장치(100)가 냉장모드일 때 작동하여 방열판(130)을 식혀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냉각팬(160)과 하부 브라켓(170)의 내측 하단 사이에는 사용자의 접근을 방지하지 위한 핑거 가드(162)가 설치된다.The cooling fan 160 operates when the cold / cold storage device 100 is in the refrigerating mode to perform the function of cooling the heat sink 130. A finger guard 162 is installed between the cooling fan 160 and the inner lower end of the lower bracket 170 to prevent the user's access.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냉온장 장치(100)의 작동원리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the cold and cold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냉온장 장치(10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커넥터(104)를 통해서 냉온장 장치(100)를 전원에 접속시킨다. 이러한 상태하에서 냉온장 장치(100)를 냉장고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냉온장 장치(100)의 캡(108)을 열고 냉각관(120)의 공간(S) 내로 냉수가 담긴 페트병(112)을 넣은다음, 냉장보관을 위해서 스위치(110)를 눌러 냉장모드를 선택한다. 그러면, 청색등인 제 1 램프(109a)가 켜지면서 냉장모드가 개시된다.In order to use the cold / cold storag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d / cold storage device 100 is first connected to a power source through the connector 104. In this state, in order to use the refrigerator device 100 as a refrigerator, the cap 108 of the refrigerator device 100 is opened and a PET bottle 112 containing cold water is put into the space S of the cooling pipe 120. In order to store the refrigerator, press the switch 110 to select the refrigeration mode. Then, the first lamp 109a, which is a blue light, is turned on to start the refrigeration mode.

냉장모드가 개시되면, 열전소자(150)에 냉장모드에 따른 적정 방향의 전류가 인가된다. 이때, 열전소자(15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펠티에 효과에 의해서 열전소자(150)의 상부에서는 흡열작용을 하게되고 열전소자(150)의 하부에서는 발열작용을 하게된다. 그 결과, 열전소자(150)의 상부면에서 발생한 흡열작용에 의해서 주위의 열, 즉 스페이서 블록(124)을 통해서 냉각판(122)의 열을 흡수하여 냉각판(122)을 냉각시키게 된다.When the refrigeration mode is started, a current in a proper direction according to the refrigeration mode is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0. At this time,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0 has an endothermic effect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0 by the Peltier effect as described above, and exothermic action on the lower por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0. As a result, due to the endothermic action gener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0, the heat of the cooling plate 122 is absorbed through the spacer block 124, thereby cooling the cooling plate 122.

이때, 냉각판(122)에 장착된 제 1 바이메탈(152a)은 냉각판(122)의 온도변화를 측정하고 측정 온도 값이 일정 수치에 달하게 되는 경우 열전소자(150)로의 전류 공급을 차단하여 적정 수준의 냉각이 이루어지게 한다. 만일, 일정시간이 경과되어 페트병(112)의 온도가 상승하고 계속해서 냉각판(122)의 온도도 상승하면,제 1 바이메탈(152a)이 이를 감지하여 열전소자(150)로 다시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페트병(112)을 냉각시키게 된다.At this time, the first bimetal 152a mounted on the cooling plate 122 measures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cooling plate 122, and when the measured temperature value reaches a predetermined value, shuts off the supply of current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0 so as to be appropriate. Allow for a level of cooling. If a predetermined time passes and the temperature of the PET bottle 112 rises and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plate 122 continues to increase, the first bimetal 152a detects this and applies a current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0 again. The PET bottle 112 is cooled.

한편, 열전소자(150)의 하부면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열전소자(150)의 흡열작용에 대응되는 발열작용이 이루어진다. 즉, 열전소자(150)의 하부면에서는 냉각관(120)과 냉각판(122)으로부터 흡수한 열에 상당하는 많은 양의 열이 발생된다. 이때 발생되는 열은 방열판(130)과 수직 방열판(132)를 통해서 효과적으로 발열되고, 이렇게 발열된 열은 방열구(103)를 통해서 냉온장 장치(100)의 외부로 방출된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0 is a heat generating action corresponding to the endothermic ac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0 as described above is made. That is, the lower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0 generates a large amount of heat corresponding to the heat absorbed from the cooling tube 120 and the cooling plate 122. Heat generated at this time is effectively generated through the heat sink 130 and the vertical heat sink 132, the heat generated in this way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ld and warm device 100 through the heat dissipation hole (103).

냉온장 장치(100)의 냉장모드에서는 방열판(130) 아래에 배치된 냉각팬(160)이 작동하여 방열판(130)에서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돕는다. 즉, 열전소자(150) 하부면의 발열작용에 의해서 발생되는 열을 냉온장 장치(100)의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시키는 것이 전체 냉온장 장치(100)의 성능을 좌우하게 되므로, 냉각팬(160)을 작동시켜서 방열판(130)의 열을 외부로 강제 방출시킨다.In the refrigerating mode of the cold storage device 100, the cooling fan 160 disposed below the heat sink 130 operates to help the heat generated from the heat sink 13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at is, since quickly discharging the heat generated by the exothermic ac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0 to the outside of the cold-heating device 100 will affect the performance of the entire cold-cooling device 100, the cooling fan 160 ) To force the heat of the heat sink 130 to the outside.

다음으로, 냉온장 장치(100)를 온장고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냉온장 장치(100)의 캡(108)을 열고 냉각관(120)의 공간(S) 내로 온수가 담긴 페트병(112)을 넣은다음, 온장보관을 위해서 스위치(110)를 눌러 온장모드를 선택한다. 그러면, 적색등인 제 2 램프(109b)가 켜지면서 온장모드가 개시된다.Next, in order to use the cold storage device 100 as a warmer, open the cap 108 of the cold storage device 100 and put the PET bottle 112 containing hot water into the space (S) of the cooling pipe 120, and then , Press the switch 110 for the warm storage to select the warm mode. Then, the warm lamp mode is started while the second lamp 109b which is a red light is turned on.

온장모드가 개시되면, 열전소자(150)에 온장모드에 따른 적정 방향의 전류가 인가된다. 이때, 열전소자(150)는 펠티에 효과에 의해서 열전소자(150)의 상부에서는 발열작용을 하게되고 열전소자(150)의 하부에서는 흡열작용을 하게된다. 그 결과, 열전소자(150) 상부면에서의 발열작용에 의해서 발생된 열이 스페이서 블록(124)을 통해서 냉각판(122)과 냉각관(120)으로 전달되어 냉각관(120) 내의 페트병(112)을 가열시키게 된다.When the warm mode is started, a current in an appropriate direction according to the warm mode is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0. At this time,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0 is exothermic in the upper por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0 by the Peltier effect and the endothermic action in the lower por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0. As a result, heat generated by the exothermic a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0 is transferred to the cooling plate 122 and the cooling tube 120 through the spacer block 124, so that the PET bottle 112 in the cooling tube 120 ) Will heat up.

이때, 냉각판(122)에 장착된 제 1 바이메탈(152a)은 냉각판(122)의 온도변화를 측정하고 측정 온도 값이 일정 수치에 달하게 되는 경우 열전소자(150)로의 전류 공급을 차단하여 적정 수준의 온장이 이루어지게 한다. 만일, 일정시간이 경과되어 페트병(112)의 온도가 하강하고 계속해서 냉각판(122)의 온도도 내려가면, 제 1 바이메탈(152a)이 이를 감지하여 열전소자(150)로 다시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페트병(112)을 가열시키게 된다.At this time, the first bimetal 152a mounted on the cooling plate 122 measures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cooling plate 122, and when the measured temperature value reaches a predetermined value, shuts off the supply of current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0 so as to be appropriate. Allow the level to be warmed. If a predetermined time passes and the temperature of the PET bottle 112 falls and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plate 122 continues to decrease, the first bimetal 152a detects this and applies a current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0 again. The PET bottle 112 is heated.

한편, 열전소자(150)의 하부면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열전소자(150)의 발열작용에 대응되는 흡열작용이 이루어진다. 이때, 냉온장 장치(100)의 온장모드에서는 방열판(130) 아래에 배치된 냉각팬(160)이 작동을 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the bottom end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0 is an endothermic action corresponding to the heat generation ac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0 as described above is made. At this time, the cooling fan 160 disposed under the heat sink 130 does not operate in the warm mode of the cold / warm device 100.

전술한 바와같은 냉온장 모드가 진행되는 동안, 냉각관(120) 주위에 이중으로 설치된 단열재(114)와 진공 튜브(116)는 냉장 모드에 따라서 냉각되는 냉각관(120)의 냉장효과를 유지시킬 뿐만아니라, 외부로부터 냉각관(120) 쪽으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마찬가지로, 단열재(114)와 진공 튜브(116)는 온장 모드에 따라서 가열되는 냉각관(120)의 온장효과를 유지시킬 뿐만아니라, 냉각관(120)의 열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During the cold and cold mode as described above,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14 and the vacuum tube 116 is installed around the cooling tube 120 to maintain the refrigerating effect of the cooling tube 120 is cooled in accordance with the refrigeration mode. In addition, it effectively prevents the heat transfer from the outside toward the cooling tube (120). Similarly,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14 and the vacuum tube 116 not only maintain the warming effect of the cooling tube 120 that is heated according to the warming mode, but also effectively prevent the heat of the cooling tube 120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하기 표 1에는 단열재에 따른 냉각효과의 비교결과가 나타나 있다.Table 1 shows a comparison result of the cooling effect according to the insulation.

단위(℃)Unit (℃)

시간(분)시스템Minute system 00 55 1010 1515 2020 2525 3030 3535 4040 4545 5050 6060 7070 8080 9090 100100 120120 140140 150150 비단열Non-insulation WW 2020 1818 1616 1414 1313 1212 1212 1111 1111 1111 1010 99 88 66 55 44 44 44 44 TT 1818 1515 1212 88 77 77 77 77 77 77 66 66 66 66 66 66 66 66 66 진공vacuum WW 2020 1919 1818 1616 1515 1414 1414 1313 1212 1111 1010 99 88 77 55 33 22 22 22 TT 1818 1515 99 55 33 33 33 22 22 1One 00 00 -1-One -1-One -1-One -1-One -2-2 -2-2 -2-2 스티로폼Styrofoam WW 2020 1717 1414 1212 1010 88 77 66 55 44 33 22 22 22 22 22 22 1One 1One TT 1818 1616 1313 99 77 55 44 44 33 -3-3 -3-3 -3-3 -3-3 -4-4 -4-4 -4-4 -5-5 -7-7 -8-8 우레탄폼Urethane Foam WW 2020 1818 1515 1010 77 66 55 33 33 22 1One 00 -1-One -1-One -1-One -2-2 -2-2 -2-2 -2-2 TT 1818 1414 1111 88 33 00 -2-2 -3-3 -4-4 -5-5 -5-5 66 -6-6 -6-6 -7-7 -7-7 -8-8 -9-9 -10-10

*사용전력: 12V, 5A, W: 물의 온도, T: 냉각튜브의 온도* Power: 12V, 5A, W: Water temperature, T: Cooling tube temperature

상기 표 1에 따르면, 진공단열의 경우, 초기에는 단열효과를 보이지 못했으나 90분 이후에는 비단열보다 나은 단열효과를 나타내었다. 스티로폼의 경우, 30분∼45분에 냉수의 적정온도인 7에서 4도의 냉수 온도에 도달하였다. 우레탄폼의 경우, 스티로폼보다 효과적인 단열효과를 보임으로 인하여 냉각효과도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진공단열과 우레탄폼 단열을 병용하기 때문에 더욱 우수한 단열효과 및 냉각효과를 보임을 알 수 있다.According to Table 1, in the case of vacuum insulation, initially did not show the thermal insulation effect, but after 90 minutes showed a better thermal insulation effect than the non-thermal insulation. In the case of styrofoam, a cold water temperature of 7 to 4 degrees, which is a proper temperature of cold water, was reached in 30 to 45 minutes. In the case of urethane foam, the cooling effect was also higher due to the more effective insulation effect than styrofoam. In conclus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the heat insulating effect and the cooling effect are more excellent because the polyurethane insulation is used together.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온장 장치(100)에서는, 방열판(130)에 설치된 열전소자(150)의 펠티에 효과에 의한 흡열작용과 발열작용을 이용하고 냉각관(120) 주위에 설치된 폴리우레탄 단열재(114)와 진공 튜브(116)의 단열효과를 이용함으로써, 냉각관(120) 내에 저장되는 각종 음식물의 냉온장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스테인레스 재질의 클램핑 보울트(140)를 이용하여 냉각판(122)과 방열판(130)을 결합시킴으로써, 냉각판(122)과 방열판(130) 사이의 열교환을 차단하고 냉각판(122) 외측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응결수로 인한 부식을 근원적으로 방지한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냉온장 장치(100)는 휴대가 간편하여 차량 내부는 물론, 콘도나 여관 등의 다양한 숙박장소에서도 간단하게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in the cold / cold storag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othermic action and the exothermic action by the Peltier effec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0 installed on the heat sink 130 are used and the cooling tube 120 is around. By using the insulation effect of the polyurethane insulation 114 and the vacuum tube 116 installed,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cooling and cooling efficiency of the various foods stored in the cooling tube (120). In addition, by combining the cooling plate 122 and the heat sink 130 using a clamping bolt 140 of stainless material, to block the heat exchange between the cooling plate 122 and the heat sink 130 and from the outside of the cooling plate 122 Essentially prevents corrosion due to condensation water that may be generated. In addition, the cold and cold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carry and can be easily installed and used in various lodging places such as a condo or an inn, as well as inside a vehicl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Claims (6)

외측 상부에는 한쌍의 손잡이가 부착되고, 외측 하부에는 방열구가 형성되고, 상기 방열구의 인접위치에는 외부 전원과의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커넥터가 설치되며, 바닥 중앙부에는 흡기구가 형성된 원통형 콘테이너;A pair of handles are attached to the outer upper portion, a heat dissipation hole is formed at an outer lower portion thereof, a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an external power source is installed at an adjacent position of the heat dissipation hole, and a cylindrical container having an air intake hole at a bottom center portion thereof; 상기 콘테이너 내에서 냉장 또는 온장될 물품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한정하는 일체형의 내부 케이싱과 바닥판;An integral inner casing and bottom plate defining an interior space within the container for containing the article to be refrigerated or warmed; 상기 바닥판의 외측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바닥판과 결합되는 방열판;A heat dissipation plate disposed on an outer lower portion of the bottom plate and coupled to the bottom plate; 상기 방열판의 일표면 상에 장착되고, 외부로부터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에 열을 흡수 또는 방출시키기 위한 열전소자;A thermoelectric element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heat sink and configured to absorb or release heat when a current is applied from the outside; 상기 바닥판의 표면 상에 장착되고, 상기 바닥판의 온도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열전소자로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을 단속하기 위한 제 1 온도 감지수단;First temperature sensing means mounted on a surface of the bottom plate to sense a temperature change of the bottom plate and to regulate a flow of current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상기 방열판의 상기 일표면 상에 장착되고, 상기 방열판의 온도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열전소자로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을 단속하기 위한 제 2 온도 감지수단;Second temperature sensing means mounted on the one surface of the heat sink, for sensing a temperature change of the heat sink and controlling a flow of current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상기 바닥판과 상기 방열판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Coupling means for coupling the bottom plate and the heat sink; 상기 방열판의 바로 아래에 설치되고, 냉장모드시에 상기 방열판에서 발생하는 열을 강제적으로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한 냉각 팬; 그리고A cooling fan installed under the heat sink and forcibly dissipating heat generated from the heat sink in the cold mode; And 상기 콘테이너와 상기 내부 케이싱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 케이싱을 단열시키기 위한 단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장 장치.And a heat insulating means disposed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inner casing to insulate the inner ca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테이너의 상부 중앙에는 상기 내부 케이싱의 열린 상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캡이 설치되며, 상기 콘테이너의 상기 상부의 가장자리 일측에는 상기 냉온장 장치의 냉장모드와 온장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선택 스위치가 장착되고, 상기 스위치의 양측에는 상기 냉장모드와 상기 온장모드를 가시적으로 구별하여 나타내기 위한 한쌍의 표시램프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장 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 cap for opening and closing an open upper portion of the inner casing is installed at an upper center of the container, and one side of the upper edge of the container is configured to set a refrigerating mode and a warming mode of the cold storage device. A selection switch is mounted, and both sides of the switch are provided with a pair of display lamps for visually distinguishing the refrigeration mode from the warm mo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싱과 상기 바닥판은 알루미늄으로 제조되고, 상기 내부 케이싱의 하부는 상기 바닥판에 의해서 폐쇄되며, 상기 방열판과 결합되는 상기 바닥판의 상기 표면상에는 스페이스 블록이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스 블록의 상부면은 상기 열전소자와의 접촉을 위해서 편평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바닥판의 상기 표면 상에서 상기 스페이스 블록이 형성되지 않은 위치에 상기 제 1 온도 감지수단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장 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ner casing and the bottom plate is made of aluminum,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casing is closed by the bottom plate, a space block protrudes on the surface of the bottom plate coupled with the heat sink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pace block has a flat shape for contact with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the first temperature sensing means is mounted at a position where the space block is not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ottom plate. Cooling and cooling device made with.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스테인레스로 제조되며, 상기 스페이서 블록의 외주부에는 제 1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열전소자의 외부 양측위치에서 상기 방열판에는 상기 제 1 체결공에 대응하는 제 2 체결공이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과 상기 방열판은 상기 제 1 체결공과 상기 제 2 체결공을 관통하여 지나는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서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장 장치.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upling means is made of stainless steel, the first fastening hole i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spacer block, the second fasten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hole in the heat sink in the both sides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The ball is formed through the cold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plate and the heat sink is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coupling means passing through the first fastening hole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과의 결합면에 대향하는 상기 방열판의 하부면 상에는 공기와의 접촉면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다수의 수직 방열판이 하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연장하여 형성되고, 상기 열전소자는, 상기 냉온장 장치의 작동모드가 냉장모드인 경우에 상기 열전소자의 상부면을 통해서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열을 흡수하고 상기 열전소자의 하부면을 통해서 열을 방출시키며, 상기 냉온장 장치의 작동모드가 온장모드인 경우에 상기 열전소자의 상부면을 통해서 열을 방출시키고 상기 열전소자의 하부면을 통해서 열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장 장치.The thermoelectric device of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vertical heat sinks are formed by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downward in order to increase a contact surface with air on a lower surface of the heat sink that faces the mating surface with the bottom plate. And absorbing heat from the bottom plate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dissipating heat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cold storage device is the refrigerating mode. In the case of the warm mode, the heat dissipation device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absorbs heat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수단은 상기 내부 케이싱의 바로 외측에 설치되는 폴리우레탄 재질의 단열재 및 상기 단열재 외측에 설치되는 진공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진공 튜브는 스테인레스관의 내부를 진공처리하여 만든 것을 특징으로 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eat insulating means includes a polyurethane heat insulating material installed directly outside the inner casing and a vacuum tube installed outside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the vacuum tube is made by vacuuming the inside of the stainless tube Characterized by 는 냉온장 장치.Cold storage device.
KR1019990017334A 1999-05-14 1999-05-14 Portable cooling and warming apparatus using a thermoelement KR1002954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7334A KR100295463B1 (en) 1999-05-14 1999-05-14 Portable cooling and warming apparatus using a thermoel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7334A KR100295463B1 (en) 1999-05-14 1999-05-14 Portable cooling and warming apparatus using a thermoel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3798A true KR20000073798A (en) 2000-12-05
KR100295463B1 KR100295463B1 (en) 2001-07-12

Family

ID=19585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7334A KR100295463B1 (en) 1999-05-14 1999-05-14 Portable cooling and warming apparatus using a thermoele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546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3816A (en) * 2003-12-03 2005-06-10 (주)씨에스씨 Cordless cooler and heater having vacuum stopper
KR102416608B1 (en) * 2022-01-18 2022-07-05 주식회사 그린트리컴퍼니 Supercool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947B1 (en) 2006-02-23 2007-04-18 이진영 A cooling and heating apparatus with thermal electric module
KR101215940B1 (en) * 2009-12-16 2012-12-27 (주)퓨리셈 Cooling table
KR101084001B1 (en) * 2010-08-16 2011-11-16 정강용 The apparatus of drinking and alcol with micom
KR101931995B1 (en) * 2017-10-11 2018-12-24 주식회사 디알텍 Small refrigerator for motorcy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3816A (en) * 2003-12-03 2005-06-10 (주)씨에스씨 Cordless cooler and heater having vacuum stopper
KR102416608B1 (en) * 2022-01-18 2022-07-05 주식회사 그린트리컴퍼니 Supercool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5463B1 (en) 2001-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9669A (en) Air-circulating base for bottled water cooling and dispensing apparatus
KR910009003B1 (en) Portable refrigerator
KR101319434B1 (en) A cooling and heating cabinet device of rear seat for vehicle using thermoelectric element
JP2001208465A (en) Appliance for thermal insulation of drink
WO2006064432A1 (en) A thermoelectric cooling/heating appliance
KR100295463B1 (en) Portable cooling and warming apparatus using a thermoelement
KR20120066212A (en) Cooling and heating box of vehicle
KR0164175B1 (en) A cooling and warming apparatus for a car using thermoelement
KR200323808Y1 (en) Food vessel by thermoelectric module
US5609033A (en) Water cooling device for water purifiers
KR200284177Y1 (en) Table for cooling beer
KR101941056B1 (en) Apparatus for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for vehicle
KR200285179Y1 (en) Wine cold storage flag
KR101737906B1 (en) Apparatus for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for vehicle
WO2002020292A1 (en) High-efficiency thermoelectric cooling and heating box for food and drink storage in a vehicle
KR200221103Y1 (en) A cooling and heating apparatus without environmental pollution
KR102154631B1 (en) Heating and cooling cup holder
KR200172148Y1 (en) Cooling and heating system for a vacuum bottle
JP2547699B2 (en) Cold storage
KR101335494B1 (en) Storage container and apparatus for cooling and heating with the same
KR20070033190A (en) Inside structure of refrigerator for car
KR200351189Y1 (en) Cooling and warming apparatus using thermo-electric device
JPH07101497A (en) Cool/hot liquid container utilizing peltier effect
KR200300360Y1 (en) keeping-cold device of alcoholic liquors container
KR200164270Y1 (en) Cool and heat storage for port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