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1995B1 - Small refrigerator for motorcycle - Google Patents

Small refrigerator for motorcy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1995B1
KR101931995B1 KR1020170129394A KR20170129394A KR101931995B1 KR 101931995 B1 KR101931995 B1 KR 101931995B1 KR 1020170129394 A KR1020170129394 A KR 1020170129394A KR 20170129394 A KR20170129394 A KR 20170129394A KR 101931995 B1 KR101931995 B1 KR 101931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engaging
protrusion
insertion space
motorcy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93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병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알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알텍
Priority to KR1020170129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1995B1/en
Priority to PCT/KR2018/011396 priority patent/WO2019074225A1/en
Priority to CN201880028908.XA priority patent/CN110582443B/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9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1/00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ll refrigerator for a motorcycle, including a main body having an inner cooling space, a cooling unit provided with a cooling portion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supplying cold air to the cooling space, a coupling bracket fixed to moving means and having an insertion space for main body insertion, a handle member slidab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and a fastening portion capable of fixing the main body to the bracket or releasing the fixing state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handle member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in a state where the main body is inserted in the insertion space. The small refrigerator for a motor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fixed to or released from the moving means such as a motorcycle by the fastening portion. Accordingly, attachment to and detachment from the moving means can be performed based on user needs.

Description

오토바이용 소형 냉장고{Small refrigerator for motorcycle}Small refrigerator for motorcycle [0001]

본 발명은 오토바이용 소형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토바이와 같은 이동수단 내부에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한 소형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niature refrigerator for a motorcy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iniature refrigerator which can be easi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moving means such as a motorcycle.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매파이프를 통해 냉매가 순환되어 냉각작용을 하는 전기식 냉각장치와,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열을 방출시키는 전자식 냉각장치로 크게 대별되는 데, 전기식 냉각장치는 냉장고의 하부에 마련되는 기계실에 설치된 압축기와 응축기 및 냉동실의 후방에 마련되는 증발기, 그리고 이들을 상호 연통시키며 소정의 냉매가 순환되는 냉매파이프들로 구성되어진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 refrigerator is roughly classified into an electric cooling device in which a refrigerant circulates through a refrigerant pipe to perform a cooling action, and an electronic cooling device that releases heat using a thermoelectric device. An evaporator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ondenser and the freezer compartment, and refrigerant pipes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is circulat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일반적인 냉장고는 많은 부속품들로 인해 그 설치공간이 많이 필요하게 되어 냉장고의 부피가 과대해지고, 또한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그 수리가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다수의 부품을 제조하고 조립하는 공정이 복잡하기 때문에 냉장고의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전기식 냉장고에서 냉매로 사용하고 있는 프레온가스 등은 지구의 오존층 파괴를 통한 지구환경오염의 주 원인이 되고 있기 때문에 그 사용이 세계적으로 억제되는 추세이어서 새로운 냉각방식이 요구되어진다.The conventional refrigerator thus constructed requires a lot of installation space due to its large number of accessories, which leads to an excessive volume of the refrigerator. In addition, when a fault occurs, it is difficult to repair the refrigerator,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refrigerator is increased. Also, since Freon gas used as a refrigerant in the electric refrigerator as described above is the main cause of global environmental pollution through destruction of the ozone layer on the earth, its use is being suppressed worldwide, and a new cooling method is required.

상기와 같은 요구를 반영하여 자동차나 오토바이에 사용되는 일부 소형냉장고는 냉장고의 후면에 외부케이스와 내부케이스 사이에 소정의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열전소자와, 이 열전소자의 일측에 결합되는 알루미늄블럭과, 이 알루미늄블럭의 일측에 접촉되며 냉장고의 내부케이스와 단열벽 사이에 위치되어 냉장고의 내부와 열교환하여 냉각작용을 하는 냉교환기와, 상기 열전소자의 타측에 결합되어 열전소자로 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열교환기로 구성된다.Some of the small refrigerators used in automobiles and motorcycles reflect the above-mentioned demands, and the refrigerator includes a thermoelectric element which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refrigerator by a predetermined coupling means between the outer case and the inner case, A cold exchanger which is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aluminum block and is located between the inner case of the refrigerator and the heat insulating wall and performs heat exchange with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to perform a cooling function; To the outside.

그러나, 종래의 소형 냉장고의 경우, 자동차나 오토바이와 같은 이동수단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소형 냉장고를 이동수단 내에서만 사용해야 되며, 고장 발생시 소정 냉장고를 이동수단으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이 요구되어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small-sized refrigerator, since the small-sized refrigerator is fixed to the moving means such as an automobile or a motorcycle, it is required to use the small-sized refrigerator only within the moving means and the operation of separating the predetermined refrigerator from the moving means is troublesome .

등록특허공보 제10-0544729호: 소형 냉장고의 에어플로 장치Patent Registration No. 10-0544729: Air flow device of small refrigerato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오토바이와 같은 이동수단에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한 오토바이용 소형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iniature refrigerator for a motorcycle which can be easi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moving means such as a motorcyc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토바이용 소형 냉장고는 내부에 냉각공간이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공간으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각부가 마련된 냉각유닛과, 이동수단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가 인입될 수 있도록 삽입공간이 마련된 결합 브라켓과,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손잡이 부재와, 상기 본체가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에 대한 상기 손잡이 부재의 위치에 따라 상기 본체를 상기 브라켓에 고정시키거나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결속부를 구비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mall-sized refrigerator for a motor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cooling space therein, a cooling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provided with a cooling unit for supplying cool air to the cooling space, A coupling bracket slidably provided on the main body, a coupling bracket provided with an insertion space for allowing the main body to be pulled in, a handle member slidably mounted on the main body, And a binding portion capable of fixing the main body to the bracket or releasing the fixing state.

상기 손잡이 부재는 상기 삽입공간에 대한 상기 본체의 인입방향인 기준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결속부는 상기 본체가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 부재가 상기 기준방향을 따라 이동될 경우 상기 본체를 상기 결합 브라켓에 고정시키고, 상기 본체가 상기 결합 브라켓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기준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손잡이 부재가 이동될 경우, 상기 결합 브라켓에 대한 상기 본체의 고정상태를 해제한다. Wherein the pulling member is slidably installed in the main body along a reference direction that is a pulling direc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insertion space, When the knob is mov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eference direction while the main body is fixed to the coupling bracket, the fixing state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bracket, Lt; / RTI >

상기 삽입공간에 상기 본체가 삽입 시 상호 대향되는 상기 본체의 외주면 또는 결합 브라켓의 내측면 중 어느 측면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부는 상기 삽입공간에 상기 본체가 삽입 시 상호 대항되는 상기 본체의 외주면 또는 결합 브라켓의 내측면 중 다른 측면에 형성된 결합돌기와, 상기 본체가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 부재가 상기 기준방향을 따라 이동될 경우,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를 상기 결합 브라켓의 내측면에 밀착시키고,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 부재가 상기 기준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상기 본체를 상기 결합 브라켓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가이드;를 구비한다. Wherein an engaging groove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or an inner surface of the engaging bracket when the main body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when the main body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The engaging projection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r the engaging bracket and the engaging protrusion being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when the pull tab is moved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with the bod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The engaging protrusion is engaged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engaging bracket so that the engaging protrusion is detached from the engaging groove when the pull tab is mov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eference direction, And a guide for separating the engaging bracket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engaging bracket.

상기 손잡이 부재는 상기 본체와 함께 상기 삽입공간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손잡이 부재의 외측면에 형성된 돌출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가 상기 삽입공간으로 인입시 상기 돌출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 브라켓의 내측면에는 상기 기준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슬라이딩 홈과, 상기 제1슬라이딩 홈의 단부에 연장되되, 상기 결합 브라켓에 마련된 상기 결합돌기 또는 결합홈에 인접되게 만곡된 제2슬라이딩 홈에 형성된다. Wherein the pull tab is slidably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together with the main body, the guide portion includes a protrusion protrusion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pull tab, A first sliding groove extending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coupling bracket so that the protrusion protrusion can be inserted into the space when the protrusion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space and the first sliding groove extending on the end of the first sliding groove, And is formed in the second sliding groove curved adjacent to the projection or engagement groove.

상기 손잡이 부재는 상기 본체와 함께 상기 삽입공간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결합 브라켓의 내측면에 형성된 돌출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가 상기 삽입공간으로 인입시 상기 돌출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 부재의 외측면에는 상기 기준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슬라이딩 홈과, 상기 제1슬라이딩 홈의 단부에 연장되되, 상기 결합 브라켓에 마련된 상기 결합돌기 또는 결합홈로부터 멀어지게 만곡된 제2슬라이딩 홈에 형성된다. The pull tab is slidably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pull tab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together with the main body, the guide portion has a protrusion protrusion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coupling bracket, A first sliding groove extending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on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pull member so that the protrusion can be inserted when the slid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space, and a second sliding groove extending on an end of the first sliding groove, And is formed in the second sliding groove which is curved away from the projection or engagement groove.

상기 손잡이 부재는 상기 기준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상기 기준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딩 바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바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바가 상기 기준방향을 따라 이동시 상기 기준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간섭될 수 있도록 상기 기준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상단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바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바가 상기 기준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본체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의 타측면에 간섭될 수 있도록 상기 기준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하단부재를 구비한다. Wherein the pull tab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extending in the reference direction and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liding bar so that the sliding bar can be held by the user, An upper member bent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reference direction so as to be interfered with on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extendi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reference direction when moved along the first direction; And a lower end member bent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reference direction so that the sliding bar can interfere with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to support the main body when the sliding bar mov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eference direction.

상기 본체는 상기 냉각공간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전기가 충전된 보조 배터리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납공간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The main body may have a storage space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ooling space so that the auxiliary battery charged with electricity may be received.

본 발명에 다른 오토바이용 소형 냉장고는 결속부에 의해 오토바이와 같은 이동수단에 용이하게 고정되거나 고정상태가 해제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이동수단에 탈부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small refrigerator for a motor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be easily fixed to a moving means such as a motorcycle or can be released from a fixed state by a binding portion and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moving means according to a user's ne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토바이용 소형 냉장고가 오토바이에 장착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오토바이용 소형 냉장고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오토바이용 소형 냉장고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오토바이용 소형 냉장고에 대한 단면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mall-sized refrigerator for a motor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a motorcycle,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iniature refrigerator for motorcycle of Fig. 1,
FIG. 3 and FIG. 4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mini-refrigerator for motorcycle of FIG. 1,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iniature refrigerator for motorcycle of FIG. 1;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소형 냉장고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Hereinafter, a miniature refrigerator for a motorcy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larify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i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오토바이용 소형 냉장고(200)가 도시되어 있다. 1 to 5 show a small refrigerator 200 for a motor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오토바이용 소형 냉장고(200)는 내부에 냉각공간(213)이 마련된 본체(210)와, 상기 본체(210)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공간(213)으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각부(미도시)가 마련된 냉각유닛(200)과, 이동수단(15)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210)가 인입될 수 있도록 삽입공간(303)이 마련된 결합 브라켓(300)과, 상기 본체(2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손잡이 부재(400)와, 상기 본체(210)가 상기 삽입공간(303)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210)에 대한 상기 손잡이 부재(400)의 위치에 따라 상기 본체(210)를 상기 브라켓에 고정시키거나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결속부(500)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a small refrigerator 200 for a motorcycle includes a main body 210 having a cooling space 213 therein, a cooling unit installed in the main body 210 to supply cool air to the cooling space 213, A coupling bracket 300 which is fixed to the moving means 15 and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space 303 for allowing the main body 210 to be drawn in; And a grip member 400 slidably mounted on the main body 210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21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303, 210) can be fixed to the bracket or can be released from the fixed state.

본체(210)는 내부에 냉각공간(213)이 마련된 메인 케이스(211)와, 케이스(211)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개폐덮개(212)를 구비한다. The main body 210 has a main case 211 in which a cooling space 213 is provided and an opening and closing lid 212 for opening and closing an opened upper portion of the case 211.

상기 케이스(211)는 냉각공간(213)이 마련되되, 상기 냉각공간(213)은 사용자가 음료병을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211)는 상기 냉각공간(213)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전기가 충전된 보조 배터리(19)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납공간(2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납공간(214)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보조 배터리(19)를 인입하거나 전자기기를 보조 배터리(19)에 연결할 수 있도록 후면이 개방되게 형성되며, 케이스(211)의 후면에는 개방된 수납공간(214)의 후면을 덮을 수 있도록 탈착덮개(미도시)가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수납공간(214)은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The case 211 is provided with a cooling space 213, and the cooling space 213 is formed such that the upper part thereof is open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insert the beverage bottle. The case 211 is formed with a storage space 214 at a position spaced rearward from the cooling space 213 so that the auxiliary battery 19 charged with electricity can be received. The storage space 214 is formed such that the user can easily pull the auxiliary battery 19 or connect the electronic device to the auxiliary battery 19.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211 is opened in the storage space (Not shown) so as to be able to cover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214.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storage space 214 may be formed so that the upper surface thereof is opened.

그리고, 케이스(211)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냉각부가 설치될 수 있도록 냉각공간(213)의 하부에 설치공간이 마련되며, 하면에는 상기 설치공간으로 외기가 유입되거나 설치공간의 내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다수의 배출공(215)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케이스(211)는 전면이 전방으로 볼록하게 만곡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케이스(211)는 후면 하단부에 결합홈(511)이 형성되어 있다. Although the case 211 is not shown in the drawing, an installation space is provided in a lower portion of the cooling space 213 so that a cooling unit can be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an outside air flows into the installation space,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215 are formed so as to be discharged. On the other hand, the case 211 is preferably formed such that the front surface thereof is curved convexly forward. The case 211 has a coupling groove 511 formed at the lower end of its rear surface.

개폐덮개(212)는 냉각공간(213)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케이스(211)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개폐덮개(212)는 냉각공간(213)의 단면보다 더 큰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opening and closing lid 212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case 211 so as to open and close the opened upper part of the cooling space 213. The opening and closing lid 212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at of the cooling space 213.

냉각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케이스(211)의 설치공간에 설치된 열전소자와, 열전소자의 하면에 설치되어 열전소자의 하면으로 외기를 강제 송풍시키는 냉각팬을 구비한다. 상기 열전소자는 전원이 공급시 상면이 냉각되며, 하면이 가열되는 것으로 냉각되는 상면이 냉각공간(213)에 노출되거나 냉각공간(213)에 대응되는 케이스(211)의 천장면에 설치된다. 한편, 냉각부는 상술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냉각공간(213)을 냉기를 공급할 수 있는 냉각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 가능하다. 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cooling section includes a thermoelectric element provided in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case 211 and a cooling fan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for forcibly blowing the outside air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The upper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cooled when the power is supplied and the upper surface cooled by the lower surface is exposed to the cooling space 213 or installed in the ceiling of the case 211 corresponding to the cooling space 213. On the other hand, the cooling sec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but any cooling means capable of supplying cold air to the cooling space 213 is applicable.

결합 브라켓(300)은 오토바이와 같은 이동수단(15)에 고정되는 고정판(301)과, 고정판(301)의 좌우측 단부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지지부재(302)를 구비한다. The coupling bracket 300 includes a fixing plate 301 fixed to a moving means 15 such as a motorcycle and a plurality of supporting members 302 provided at left and right ends of the fixing plate 301,

고정판(301)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고정볼트에 의해 오토바이와 같은 이동수단(15)에 볼팅된다. 상기 고정판(301)은 운전자가 착석하는 운전석에 인접된 위치의 이동수단(15)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xing plate 301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bolted to a moving means 15 such as a motorcycle by a fixing bolt. The fixing plate 301 is preferably fixed to the moving means 15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driver's seat on which the driver sits.

지지부재(302)는 복수개가 고정판(301)의 좌우단부에 대해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며, 사이에 본체(21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303)이 형성된다. 이때, 지지부재(302)들은 케이스(211)의 좌우폭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며, 삽입공간(303)으로 인입된 본체(210)를 파지할 수 있도록 단부가 상호 인접되는 방향으로 만곡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본체(210)는 지지부재(302) 사이의 삽입공간(303)에 대해 지지부재(302)의 상측에서 하방으로 인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302 are protruded forward from left and right ends of the fixing plate 301, and an insertion space 303 into which the main body 210 can be inserted is formed. At this time, the support members 30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case 211, and the ends of the support members 302 are curved in a mutually adjacent direction so as to be able to grip the main body 210, Respectively.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main body 210 is pulled down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member 302 with respect to the insertion space 303 between the support members 302.

손잡이 부재(400)는 상기 삽입공간(303)에 대한 상기 본체(210)의 인입방향인 기준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본체(210)의 외측면에, 상기 기준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딩 바(401)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바(401)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바(401)가 상기 기준방향을 따라 이동시 상기 기준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본체(210)의 일측면에 간섭될 수 있도록 상기 기준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상단부재(402)와, 상기 슬라이딩 바(401)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바(401)가 상기 기준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본체(210)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210)의 타측면에 간섭될 수 있도록 상기 기준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하단부재(403)를 구비한다. The pull tab 400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210 extending in the reference direction which is the pulling direction of the main body 210 with respect to the insertion space 303 and a sliding bar 401 The sliding bar 401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liding bar 401 so that the user can grip the sliding bar 401. When the sliding bar 401 is moved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An upper member 402 which is bent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reference direction so as to be interfered with one side of the sliding bar 401 and an upper member 402 which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liding bar 401, And a lower end member 403 bent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reference direction so as to be interfered with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210 to support the main body 210 when the main body 210 is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main body 210. [

슬라이딩 바(401)는 복수개가 본체(210)의 케이스(211) 좌우측면에 각각 상기 기준방향인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슬라이딩 바(401)는 냉각공간(213)에 대해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본체(210)의 좌우측면에 각각 설치되되, 본체(210)의 상하방향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plurality of sliding bars 401 are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of the case 211 of the main body 210 so as to be slid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sliding bars 401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210 at a position spaced apart rearward with respect to the cooling space 213, and are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vertical length of the body 210.

상단부재(402)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며, 양단부가 각각 슬라이딩 바(401)의 상단부에 연장된다. 상기 상단부재(402)는 사용자가 본체(210)를 이동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고, 상기 슬라이딩 바(401)가 상기 기준방향을 따라 이동시 상기 기준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본체(210)의 일측면 즉, 본체(210)의 상면에 간섭된다. The upper member 402 extends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both ends extend to the upper end of the sliding bar 401, respectively. The upper end member 402 is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grasp the main body 210 when the main body 210 is moved and to move the main body 210 in a direction crossing the reference direction when the sliding bar 401 is moved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210.

하단부재(403)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며, 양단부가 각각 슬라이딩 바(401)의 하단부에 연장된다. 상기 하단부재(403)는 상기 슬라이딩 바(401)가 상기 기준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 본체(210)의 타측면인 하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본체(210)의 하면에 간섭된다. The lower member 403 extends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both ends extend to the lower end of the sliding bar 401, respectively. The lower member 403 is interfered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210 so as to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210 when the sliding bar 401 move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reference direction.

상기 결속부(500)는 상기 결속부(500)는 상기 본체(210)가 상기 삽입공간(303)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 부재(400)가 상기 기준방향을 따라 이동될 경우 상기 본체(210)를 상기 결합 브라켓(300)에 고정시키고, 상기 본체(210)가 상기 결합 브라켓(3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기준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손잡이 부재(400)가 이동될 경우, 상기 결합 브라켓(300)에 대한 상기 본체(210)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는 것으로서, 결합돌기(510) 및 가이드를 구비한다. When the pull tab 500 is moved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when the pull tab 4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303, Is fixed to the coupling bracket 300 and the main body 210 is fixed to the coupling bracket 300 and the knob member 400 is mov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eference direction, (Not shown) to release the fixed state of the main body 210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300, and includes a coupling protrusion 510 and a guide.

결합돌기(510)는 삽입공간(303)에 노출된 고정판(301)의 전면 하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510)는 고정판(301)에 대해 전방으로 돌출되되, 후술되는 가이드부(520)에 의해 본체(210)가 고정판(301)의 전면에 밀착시 상기 결합홈(511)에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홈(511)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ngaging projection 510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ront surface of the fixing plate 301 exposed in the insertion space 303. The coupling protrusion 510 protrudes forward with respect to the fixing plate 301 and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511 when the main body 2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fixing plate 301 by a guide unit 520 The coupling groove 511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groove 511.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결합돌기(510)가 고정판(301)의 전면에 형성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결합돌기(510)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케이스(211)의 후면에 형성되고, 고정판(301)의 전면에 결합홈(511)이 형성될 수도 있다. Although the coupling protrusions 510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xing plate 301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coupling protrusions 510 are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xample, but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211, An engaging groove 511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xing plate 301.

가이드부(520)는 상기 손잡이 부재(400)의 외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출돌기(521)를 구비한다. 상기 돌출돌기(521)는 손잡이 부재(400)의 슬라이딩 바(401) 외측면에 각각 돌출형성된다. 이때, 결합 브라켓(300)의 내측면에는 본체(210)가 삽입공간(303)에 삽입시 돌출돌기(52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1슬라이딩 홈(522) 및 제2슬라이 홈이 형성되어 있다. The guide unit 520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521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le member 400. The protrusions 521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liding bar 401 of the knob member 400, respectively. The first sliding groove 522 and the second sliding groove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bracket 300 so that the protrusion protrusion 521 can be inserted when the main body 21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303 .

제1슬라이딩 홈(522)은 복수개가 삽입공간(303)에 노출된 지지부재(302)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지지부재(302)의 상단부로부터 기준방향 즉,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된다. 상기 제1슬라이딩 홈(522)은 돌출돌기(521)의 전후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단부는 돌출돌기(521)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plurality of first sliding grooves 522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302 exposed in the insertion space 303 and extended from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member 302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reference direction. The first sliding groove 522 is formed to have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protrusion 521 and the upper end of the first sliding groove 522 is formed to be opened so that the protrusion 521 can be inserted easily.

제2슬라이딩 홈(523)은 복수ㅐㄱ가 제1슬라이딩 홈(522)들의 하단부에 각각 하방으로 연장되되, 제1슬라이딩 홈(522)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결합 브라켓(300)에 마련된 결합돌기(510)에 인접되게 만곡되게 연장된다. 이때, 제2슬라이딩 홈(523)은 고정판(301)의 전면에 결합돌기(510) 대신에 결합홈(511)이 형성될 경우, 결합홈(511)에 인접되도록 만곡되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sliding groove 523 extends downwardly from the lower ends of the first sliding grooves 522. The second sliding grooves 523 extend in the downward direction from the first sliding grooves 522 to the coupling protrusions 510). In this case, the second sliding groove 523 may be curved so as to be adjacent to the coupling groove 511 when the coupling groove 511 is form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fixing plate 301 instead of the coupling projection 510.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돌출돌기(521)가 슬라이딩 바(401)에 형성되고, 제1 및 제2슬라이딩 홈(522,523)이 지지부재(302)에 형성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돌출돌기(521)들이 지지부재(302)들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제1 및 제2슬라이딩 홈(522,523)이 슬라이딩 바(401)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제1슬라이딩 홈(522)은 슬라이딩 바(401)의 하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제2슬라딩 홈은 제1슬라이딩 홈(522)의 상단부에 연장되되, 제1슬라이딩 홈(522)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결합 브라켓(300)에 마련된 상기 결합돌기(510) 또는 결합홈(511)로부터 멀어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protrusion protrusion 521 is formed on the sliding bar 401 and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grooves 522 and 523 are formed on the supporting member 302. However, But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grooves 522 and 523 may be formed on the sliding bar 401. In this case, The first sliding groove 522 extends up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sliding bar 401. The second sliding groove extends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sliding groove 522 and the first sliding groove 522 The engaging protrusion 510 or the engaging groove 511 provided on the engaging bracket 300 may be formed to be away from the engaging protrusion 510 or the engaging groove 511.

한편,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오토바이용 소형 냉장고(200)의 사용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 method of using the small-sized refrigerator 200 for a motor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본체(210)를 이동수단(15)에 고정할 경우, 결합 브라켓(300)의 삽입공간(303)에 본체(210)를 삽입한다. 이때, 결합 브라켓(300)에 마련된 제1슬라이딩 홈(522)들에 돌출돌기(521)들이 삽입되도록 본체(210)를 결합 브라켓(300)에 인입한다. 다음, 손잡이 부재(400)의 상부를 누르면, 본체(210)에 대해 손잡이 부재(400)가 하방으로 슬라이딩된다. 이때, 손잡이 부재(400)에 마련된 돌출돌기(521)는 제1슬라이딩 홈(522)에서 제2슬라이딩 홈(523)으로 인입되고, 손잡이 부재(400)의 상단부재(402)에 의해 본체(210) 상면이 간섭되어 본체(210)도 상기 손잡이 부재(400)와 함께 이동한다. 손잡이 부재(400)의 이동에 따라 본체(210)는 제2슬라이 홈을 따라 후면이 고정판(301)의 전면에 밀착되면서 고정판(301)의 전면에 형성된 결합돌기(510)가 본체(210)의 후면에 형성된 결합홈(511)에 삽입되어 본체(210)가 결합 브라켓(300)에 고정된다. First, when the main body 210 is fixed to the moving means 15, the main body 21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303 of the coupling bracket 300. At this time, the main body 21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bracket 300 so that the protrusions 521 are inserted into the first sliding grooves 522 provided in the coupling bracket 300. Next, when the upper part of the knob member 400 is pressed, the knob member 400 slides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210. [ At this time, the protrusion 521 provided on the pull member 400 is drawn into the second sliding groove 523 from the first sliding groove 522, and the upper member 402 of the knob member 400 pushes the main body 210 So that the main body 210 moves together with the pull member 400. The main body 210 moves along the second slideway and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21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fixing plate 301 so that the engaging protrusion 510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xing plate 301 is pressed against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210 And the main body 210 is fixed to the coupling bracket 300 by inserting it into the coupling groove 511 formed on the rear surface.

한편, 본체(210)를 결합 브라켓(300)으로 분리시킬 경우, 사용자가 손잡이 부재(400)의 상단부를 파지한 다음 본체(210)에 대해 손잡이 부재(400)를 상부로 슬라이딩 시킨다. 이때, 돌출돌기(521)는 제2슬라이딩 홈(523)으로부터 제1슬라이딩 홈(522)으로 이동되고, 돌출부재의 이동에 따라 본체(210)는 고정판(301)의 전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결합홈(511)으로부터 결합돌기(510)가 분리된다. 한편, 손잡이 부재(400)의 하단부재(403)에 의해 본체(210)의 하부가 지지지되어 손잡이 부재(400)와 함께 본체(210)가 이동된다. 사용자는 상단부재(402)를 파지한 상태로 결합 브라켓(300)으로부터 본체(210)를 분리한다. 이때, 본체(210)의 상면과 손잡이 부재(400)의 상단부재(402)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마련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상단부재(402)를 파지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main body 210 is separated by the coupling bracket 300, the user grips the upper end of the pull-tab 400 and then slides the pull-tab 400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210. At this time, the protrusion protrusion 521 is moved from the second sliding groove 523 to the first sliding groove 522. As the protrusion member moves, the main body 210 is separate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fixing plate 301, 511, the engaging projection 510 is detached.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210 is supported by the lower end member 403 of the pull member 400 and the main body 210 is moved together with the pull member 400. [ The user separates the main body 210 from the engaging bracket 300 while holding the upper member 402. At this time, a predetermined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210 and the upper member 402 of the pull member 40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upper member 402.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다른 오토바이용 소형 냉장고(200)는 결속부(500)에 의해 오토바이와 같은 이동수단(15)에 용이하게 고정되거나 고정상태가 해제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이동수단(15)에 탈부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small refrigerator (200) for a motor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be easily fixed to the moving means (15) such as a motorcycle or released from the fixed state by the coupling unit (500)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detached and attached to the means 15.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disclosed embodiments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or use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o these embodiments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generic principles defined herein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presented herein.

100: 오토바이용 소형 냉장고
200: 냉각유닛
210: 본체
211: 케이스
212: 개폐덮개
300: 결합 브라켓
301: 고정판
302: 지지부재
303: 삽입공간
400: 손잡이 부재
401: 슬라이딩 바
402: 상단부재
403: 하단부재
500: 결속부
510: 결합돌기
511: 결합홈
520: 가이드
521: 돌출돌기
522: 제1슬라이딩 홈
523: 제2슬라이딩 홈
100: Small refrigerator for motorcycle
200: cooling unit
210:
211: Case
212: opening / closing cover
300: Coupling bracket
301: Fixed plate
302: support member
303: Insertion space
400: handle member
401: Sliding bar
402: upper member
403: lower member
500:
510: engaging projection
511: Coupling groove
520: Guide
521: protrusion projection
522: first sliding groove
523: second sliding groove

Claims (7)

내부에 냉각공간이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공간으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각부가 마련된 냉각유닛;
이동수단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가 인입될 수 있도록 삽입공간이 마련된 결합 브라켓;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삽입공간에 대한 상기 본체의 인입방향인 기준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 부재; 및
상기 본체가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에 대한 상기 손잡이 부재의 위치에 따라 상기 본체를 상기 결합 브라켓에 고정시키거나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결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속부는 상기 본체가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 부재가 상기 기준방향을 따라 이동될 경우 상기 본체를 상기 결합 브라켓에 고정시키고, 상기 본체가 상기 결합 브라켓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기준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손잡이 부재가 이동될 경우, 상기 결합 브라켓에 대한 상기 본체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는,
오토바이용 소형 냉장고,
A cooling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provided with a cooling unit for supplying cool air to the cooling space;
An engaging bracket fixed to the moving means, the engaging bracket having an insertion space for allowing the main body to be drawn in;
A handle member slidab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and slidab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along a reference direction that is a pulling direc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insertion space; And
And a binding portion capable of fixing or releasing the fixing state of the main body to the coupling bracket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pull member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while the main body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Wherein the coupling portion fixes the main body to the coupling bracket when the pull tab is moved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while the main body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When the pull tab is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pull tab,
Small refrigerator for motorcycl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간에 상기 본체가 삽입 시 상호 대향되는 상기 본체의 외주면 또는 결합 브라켓의 내측면 중 어느 측면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부는
상기 삽입공간에 상기 본체가 삽입 시 상호 대항되는 상기 본체의 외주면 또는 결합 브라켓의 내측면 중 다른 측면에 형성된 결합돌기; 및
상기 본체가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 부재가 상기 기준방향을 따라 이동될 경우,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를 상기 결합 브라켓의 내측면에 밀착시키고,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 부재가 상기 기준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상기 본체를 상기 결합 브라켓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오토바이용 소형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engaging groove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or an inner surface of the engaging bracket,
The binding portion
An engaging protrusion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or on the other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engaging bracket, the engaging protrusion being opposed to the insertion space when the main body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And
The main body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bracket so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can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when the pull tab is moved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while the main body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And a guide portion for separating the main body from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engaging bracket so that the engaging protrusion is detached from the engaging groove when the pull tab is mov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eference direction in a state where the engaging projection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groove doing,
Small refrigerator for motorcyc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부재는 상기 본체와 함께 상기 삽입공간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손잡이 부재의 외측면에 형성된 돌출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가 상기 삽입공간으로 인입시 상기 돌출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 브라켓의 내측면에는 상기 기준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슬라이딩 홈과, 상기 제1슬라이딩 홈의 단부에 연장되되, 상기 결합 브라켓에 마련된 상기 결합돌기 또는 결합홈에 인접되게 만곡된 제2슬라이딩 홈에 형성된,
오토바이용 소형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handle member is slidably install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together with the main body,
Wherein the guide portion includes a protrusion protrusion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handle member, and the protrusion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when the main body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And a second sliding groove formed in the second sliding groove which is curved to be adjacent to the engaging protrusion or the engaging groove provided on the engaging bracket, the sliding groove being formed on the end of the first sliding groove,
Small refrigerator for motorcyc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부재는 상기 본체와 함께 상기 삽입공간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결합 브라켓의 내측면에 형성된 돌출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가 상기 삽입공간으로 인입시 상기 돌출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 부재의 외측면에는 상기 기준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슬라이딩 홈과, 상기 제1슬라이딩 홈의 단부에 연장되되, 상기 결합 브라켓에 마련된 상기 결합돌기 또는 결합홈로부터 멀어지게 만곡된 제2슬라이딩 홈에 형성된,
오토바이용 소형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handle member is slidably install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together with the main body,
Wherein the guide portion includes a protrusion protrusion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engaging bracket so that the protrusion protrusion can be inserted when the main body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And a second sliding groove formed in the second sliding groove, which is extended from the end of the first sliding groove, and is curved away from the engaging projection or the engaging groove provided in the engaging bracket,
Small refrigerator for motorcycle.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부재는
상기 기준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상기 기준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딩 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바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바가 상기 기준방향을 따라 이동시 상기 기준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간섭될 수 있도록 상기 기준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상단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 바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바가 상기 기준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본체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의 타측면에 간섭될 수 있도록 상기 기준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하단부재;를 구비하는,
오토바이용 소형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The pull-
A sliding bar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extending in the reference direction, the sliding bar being slidable in the reference direction;
The sliding bar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liding bar so that the sliding bar can be gripped by the user, and the sliding bar can be interlocked with one side of the main body extendi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reference direction when the sliding bar is moved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An upper member bent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upper member; And
And a lower end member which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liding bar and is bent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reference direction so as to be interfered with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to support the main body when the sliding bar mov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eference direction, ; ≪ / RTI >
Small refrigerator for motorcyc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냉각공간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전기가 충전된 보조 배터리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납공간이 형성된,
오토바이용 소형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has a storage space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ooling space so that the auxiliary battery charged with electricity can be received,
Small refrigerator for motorcycle.






KR1020170129394A 2017-10-11 2017-10-11 Small refrigerator for motorcycle KR1019319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9394A KR101931995B1 (en) 2017-10-11 2017-10-11 Small refrigerator for motorcycle
PCT/KR2018/011396 WO2019074225A1 (en) 2017-10-11 2018-09-27 Cooling-and-heating cabinet utilizing thermoelectric device and method for supplying power
CN201880028908.XA CN110582443B (en) 2017-10-11 2018-09-27 Cooling and heating cabinet using thermoelectric el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9394A KR101931995B1 (en) 2017-10-11 2017-10-11 Small refrigerator for motorcy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1995B1 true KR101931995B1 (en) 2018-12-24

Family

ID=65010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9394A KR101931995B1 (en) 2017-10-11 2017-10-11 Small refrigerator for motorcycl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931995B1 (en)
CN (1) CN110582443B (en)
WO (1) WO2019074225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822B1 (en) * 2018-10-04 2019-10-02 정지연 Motocycle power supply methdo of reservoir using thermoelement and
CN114651158A (en) * 2019-11-01 2022-06-21 高模泰精密机械株式会社 Small refrigerator with front door and upper do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31071A (en) * 2021-04-26 2021-07-16 南京交通职业技术学院 Automobile storage battery structure with high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110Y1 (en) * 2003-04-19 2003-07-22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Handle structure of kimchi storag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5463B1 (en) * 1999-05-14 2001-07-12 김기진 Portable cooling and warming apparatus using a thermoelement
US6530231B1 (en) * 2000-09-22 2003-03-11 Te Technology, Inc. Thermoelectric assembly sealing member and thermoelectric assembly incorporating same
KR101092396B1 (en) * 2005-09-05 2011-12-09 한라공조주식회사 Rergerrator for a vehicle
KR20110028037A (en) * 2009-09-11 2011-03-17 박정만 Container for food delivery
KR101585897B1 (en) * 2010-04-08 2016-01-1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Cooling and heating box for a vehicle using thermoelectric element module and its control method
KR20120075811A (en) * 2010-12-29 2012-07-09 박정만 Cooling or heating device of water-case for byc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55646B1 (en) * 2011-12-09 2014-01-29 강민성 A refrigeration plant used a bake
CN202827906U (en) * 2012-07-28 2013-03-27 白树春 Fresh-keeping and heating device for lunch box for electric bicycle
CN204245446U (en) * 2014-11-19 2015-04-08 河海大学 A kind of bicycle-mounted cold heat water kettle
KR101728147B1 (en) * 2015-03-02 2017-04-18 한양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Cold container cooling / heating devices are equipped with bicycle
KR101717671B1 (en) * 2015-04-27 2017-03-17 이선정 Heating or cooling container for bicycle
KR20170028657A (en) * 2015-09-04 2017-03-14 한양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Cold container cooling/heating devices are equipped with motorcycle
CN106671845A (en) * 2016-12-15 2017-05-17 合肥观云阁商贸有限公司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 on-board water cup refrigera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110Y1 (en) * 2003-04-19 2003-07-22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Handle structure of kimchi storag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822B1 (en) * 2018-10-04 2019-10-02 정지연 Motocycle power supply methdo of reservoir using thermoelement and
CN114651158A (en) * 2019-11-01 2022-06-21 高模泰精密机械株式会社 Small refrigerator with front door and upper do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74225A1 (en) 2019-04-18
CN110582443A (en) 2019-12-17
CN110582443B (en) 2021-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1995B1 (en) Small refrigerator for motorcycle
KR100825410B1 (en) Handle structure for refrigerator
KR20180106835A (en) Refrigerator
WO2018024479A1 (en) Refrigeration appli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efrigeration appliance
JP2010175225A (en) Outdoor uni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2168584A (en) Bracket mounting structure of heat exchanger
JP2016118313A (en) refrigerator
JP2011099575A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3902556B2 (en) Storage
KR100979967B1 (en) Car refrigerator
KR101533008B1 (en) Server rack with flexible cooling duct coupled to assembly type cooling air discharge port
JP5083237B2 (en) Outdoor unit
JP6723500B2 (en) Mounting structure and refrigerator
JP2008241050A (en) Refrigerator
JPH09318222A (en) Cold accumulator of movable cold insulation storage
CN220541476U (en) Vehicle-mounted refrigerator structure and vehicle
JP2006177592A (en) Refrigerator
KR102496557B1 (en) Central wall device for refrigrator
JP2022104680A (en) refrigerator
JPH0117034Y2 (en)
JP2008182107A (en) Cooler
KR100534820B1 (en) Cooling device for vehicle using evaporator
JP2023074624A (en)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refrigerator
KR20170132635A (en) Central wall device for refrigrator
KR102496556B1 (en) Central wall device for refrig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