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9967B1 - Car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Car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9967B1
KR100979967B1 KR1020070123633A KR20070123633A KR100979967B1 KR 100979967 B1 KR100979967 B1 KR 100979967B1 KR 1020070123633 A KR1020070123633 A KR 1020070123633A KR 20070123633 A KR20070123633 A KR 20070123633A KR 100979967 B1 KR100979967 B1 KR 100979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housing
refrigerator
push button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36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56477A (en
Inventor
이상주
박상두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하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하롬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3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9967B1/en
Publication of KR20090056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64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9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99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with refrigerating or warm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레이를 슬라이드식으로 개방할 때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1차 부드럽게 개방되고, 이후 트레이를 잡아당겨 2차 개방시킴으로써 트레이 개방시 발생하는 충격을 줄여 냉장고의 고장율을 줄이고, 트레이에 저장된 용기 위치를 지정하여 용기를 안정되게 보관할 수 있는 자동차용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ray is slidably opened, the first opening is smoothly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and the second opening is pulled out to reduce the impact caused when the tray is opened to reduce the failure rate of the refrigerator, and the container stored in the tray. Regarding the refrigerator for automobiles can be stably stored in a container by specifying a position,

이의 구성은 수납실 양외측면 길이방향에 레일이 돌출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를 내부에 수용하고 이 트레이가 슬라이드방식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그 내부 양측면 길이방향에 상기 레일을 수용하는 안내홈이 형성되며, 후방에는 상기 트레이의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송풍팬이 장착된 하우징; 상기 송풍팬과 대응되게 트레이 후방에 장착되고, 전원공급에 의해 상기 트레이의 수납실을 냉각시키는 열전반도체소자 어셈블리; 상기 트레이가 하우징에 삽입될 때 트레이를 잠금하고, 상기 트레이 전방에 장착된 누름버튼을 누를 때 상기 트레이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트레이 로킹수단; 및 상기 누름버튼을 눌러 트레이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때 트레이의 초기 개방상태를 부드럽게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Its configuration is a tray protruding rai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both sides of the storage chamber; Guide grooves for accommodating the tray therein and accommodating the rai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both sides thereof are formed to allow the tray to slide in and out, and a housing equipped with a blower fan at the rear for heat exchange of the tray. ; A thermoelectric semiconductor element assembly mounted to the rear of the tray so as to correspond to the blowing fan, and cooling the storage compartment of the tray by power supply; Tray locking means for locking the tray when the tray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and releasing the locked state of the tray when pressing the push button mounted in front of the tray; And control means for smoothly controlling the initial opening state of the tray when pressing the push button to unlock the tray.

트레이, 냉장고, 자동차, 차량용, 열전반도체소자, 코일스프링 Tray, Refrigerator, Automobile, Vehicle, Thermoelectric Semiconductor, Coil Spring

Description

자동차용 냉장고{Car refrigerator}Car refrigerator {

본 발명은 자동차용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레이를 슬라이드식으로 개방할 때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1차 부드럽게 개방되고, 이후 트레이를 잡아당겨 2차 개방시킴으로써 트레이 개방시 발생하는 충격을 줄여 냉장고의 고장율을 줄이고, 트레이에 저장된 용기 위치를 지정하여 용기를 안정되게 보관할 수 있는 자동차용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for an automobile, and in particular, when the tray is slidably opened, the first opening is smoothly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and the second tray is pulled out to reduce the impact generated when the tray is open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obile refrigerator capable of stably storing a container by reducing a failure rate and designating a container location stored in a tray.

최근의 고급자동차는 소비자의 욕구에 부응하기 위해 편의 시설인 자동차용 냉장고가 장착되고 있다. 상기 냉장고는 차종에 따라 트렁크에 장착되거나 또는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콘솔박스에 장착되기도 한다.Recently, luxury cars are equipped with a refrigerator for automobiles as a convenience facility to meet the needs of consumers. The refrigerator may be mounted in a trunk or mounted in a console box between a driver's seat and a passenger seat, depending on the vehicle model.

콘솔박스에 장착된 자동차용 냉장고는 콘솔박스 사용이 가능하도록 콘솔박스 하부에 수납되는데, 그 개폐구조를 보면 내용물을 보관하는 트레이가 뒷자석 방향으로 왕복슬라이드 이동하여 수납실을 개폐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The car refrigerator mounted on the console box is stored in the lower part of the console box so that the console box can be used. The opening / closing structure of the car refrigerator adopts a method of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ompartment by moving the tray for storing the contents back and forth in the rear magnet direction. In most cases.

그런데, 종래 콘솔박스에 설치된 차량용 냉장고는 트레이 전방에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어 이 손잡이를 잡아당겨 내용물을 보관하는 트레이를 개방하였는데, 정지된 상태의 트레이 초기 개방마찰력을 극복하기 위해 트레이를 강하게 잡아당겨야 하므로 이에 따른 사용상의 많은 문제가 있었다.By the way, the conventional vehicle refrigerator installed in the console box has a handle installed in front of the tray to open the tray for storing the contents by pulling the handle, because the tray must be pulled strongly to overcome the initial opening friction of the tray stopped There have been many problems in use.

다시 말해, 손잡이를 강하게 잡아당기면 트레이가 빠른속도로 개방되면서 냉장고에 충격을 가하게 되므로 냉장고가 고장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었고, 또한 손잡이를 약하게 잡아당기면 트레이가 많이 열리지 않아 재차 트레이를 개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In other words, if you pull the handle firmly, the tray opens at a high speed and impacts the refrigerator, causing the refrigerator to break down. there was.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의 자동차용 냉장고는 트레이 전방에 누름버튼을 설치하여 트레이를 개방하고 있는데, 누름버튼을 누르게 되면 이와 연동된 레버가 회전하면서 트레이를 밀쳐 1차 개방하고 이후 사용자는 개방된 트레이를 원하는 만큼 잡아당겨 개방하게 된다.In order to solve this inconvenience, recent automobile refrigerators are opening the tray by installing a push button in front of the tray. When the push button is pressed, the lever interlocked with the lever rotates to push the tray to open it first, and then the user opens the tray. Pull the tray as much as you want to open it.

그러나, 이 경우에도 누름버튼을 강하게 누르게 되면 트레이가 강하게 개방되면서 냉장고에 충격을 가하여 고장의 원인을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even in this case, if the push button is strongly pressed, the tray is strongly opened and impacts the refrigerator so that the cause of the failure still cannot be solved.

또한, 상기와 같이 트레이가 강하게 개방되면 트레이 내부에 보관된 내용물, 예컨대, 캔음료와 같은 내용물은 흔들리게 되고 이러한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면 트레이와 하우징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여 냉장성능이 저하되는 문제도 발생하였다. In addition, if the tray is strongly opened as described above, contents stored in the tray, for example, contents such as canned beverage, may be shaken, and if such a phenomenon occurs frequently, a gap may occur between the tray and the housing, thereby lowering the refrigerating performance. Also occurred.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자동차용 냉장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트레이를 슬라이드식으로 개방할 때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1차 부드럽게 개방되고, 이후 트레이를 잡아당겨 2차 개방시킴으로써 트레이 개방시 발생하는 충격을 줄여 냉장고의 고장율을 줄일 수 있는 자동차용 냉장고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automotive refrigerator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which is the first smooth opening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when the tray is slidably opened, and then pull the tray It is to provide an automotive refrigerator that can reduce the failure rate of the refrigerator by reducing the impact generated when opening the tray by the second open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트레이에 저장된 용기 위치를 지정하여 용기를 안정되게 보관할 수 있는 자동차용 냉장고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for an automobile that can stably store a container by designating a container location stored in a tray.

이러한 자동차용 냉장고는, 수납실 양외측면 길이방향에 레일이 돌출되는 트레이;Such an automobile refrigerator includes: trays on which rails protru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both sides of the storage chamber;

상기 트레이를 내부에 수용하고 이 트레이가 슬라이드방식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그 내부 양측면 길이방향에 상기 레일을 수용하는 안내홈이 형성되며, 후방에는 상기 트레이의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송풍팬이 장착된 하우징;Guide grooves for accommodating the tray therein and accommodating the rai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both sides thereof are formed to allow the tray to slide in and out, and a housing equipped with a blower fan at the rear for heat exchange of the tray. ;

상기 송풍팬과 대응되게 트레이 후방에 장착되고, 전원공급에 의해 상기 트레이의 수납실을 냉각시키는 열전반도체소자 어셈블리;A thermoelectric semiconductor element assembly mounted to the rear of the tray so as to correspond to the blowing fan, and cooling the storage compartment of the tray by power supply;

상기 트레이가 하우징에 삽입될 때 트레이를 잠금하고, 상기 트레이 전방에 장착된 누름버튼을 누를 때 상기 트레이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트레이 로킹수단; 및 Tray locking means for locking the tray when the tray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and releasing the locked state of the tray when pressing the push button mounted in front of the tray; And

상기 누름버튼을 눌러 트레이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때 트레이의 초기 개방상태를 부드럽게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며,And a control means for smoothly controlling the initial opening state of the tray when pressing the push button to release the lock state of the tray.

여기서, 상기 누름버튼을 누르면 상기 트레이는 잠금상태가 해제되면서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1차 부드럽게 개방되고, 이후 사용자의 당김에 의해 2차 더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when the push button is pressed, the tray is first released by the control means smoothly while the lock state is released, and thereafter, the tray is further opened by the user's pulling.

여기서, 상기 트레이는 보관된 내용물 위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중앙에 경계돌기가 형성된다.Here, the tray is formed with a boundary protrusion in the center to set the location of the stored contents.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자동차용 냉장고는 탄성부재의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트레이가 완만하게 인출되면서 부드럽게 1차 개방되고, 이후 사용자는 상기 개방된 트레이를 원하는 만큼 당겨 2차 개방함으로써 트레이 개방에 따른 충격을 완화시켜 냉장고의 고장율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The refrigerator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gently first opened while the tray is slowly drawn out by the accumulated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and the user pulls the opened tray as much as desired to open the secondary tray, thereby impacting the tray opening. This can reduce the failure rate of the refrigerator by mitigating.

상기와 같이 트레이가 부드럽게 1차 개방되는 냉장고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고급차의 느낌을 실제로 체험하여 만족감을 높일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자동차는 높은 경쟁력을 갖게 되는 장점이 있다.By using a refrigerator in which the tray is first opened smoothly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actually experience the feeling of a luxury car, thereby increasing the satisfaction, and thus, the car has a high competitiveness.

또한, 저장된 내용물은 개방될 때 충격을 심하게 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트 레이에 형성된 경계돌기에 의해 안정되게 보관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In addition, the stored contents not only are not severely impacted when opened, but also have the advantage of maintaining a stable storage state by the boundary protrusion formed in the tra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냉장고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a refrigerato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냉장고가 잠금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냉장고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냉장고의 개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냉장고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가 잠금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가 1차 개방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가 2차 개방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cked state of the automobil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utomobil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a to 3c is an open of the automobil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4 is a side view of a refrigerator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ide view showing a locked state of th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side view showing a first open state of th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view showing a second open state of th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trol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용 냉장고(1)는, 수납실(21)을 갖는 트레이(2), 상기 트레이(2)를 개폐가능하게 수납하는 하우징(3), 상기 트레이(2)의 수납공간을 냉각시키는 열전반도체소자 어셈블리(4), 상기 트레이(2)의 잠금/해제하는 로킹수단(5), 및 상기 로킹수단(5)의 누름버튼(51)을 눌러 트레이(2)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때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트레이(2)의 초기 개방상태를 부드럽게 제 어하는 제어수단(6);을 포함하며,As shown in the drawing, the automobile refrigerator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y 2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21, a housing 3 for housing the tray 2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eable, and a tray 2. Locking the tray 2 by pressing the thermoelectric semiconductor element assembly 4 for cooling the storage space, the locking means 5 for locking / unlocking the tray 2, and the push button 51 of the locking means 5. And control means (6) for smoothly controlling the initial open state of the tray (2) by the accumulated elastic force when releasing the state.

여기서, 상기 로킹수단(5)의 누름버튼(51)을 누르면 상기 트레이(2)는 잠금상태가 해제되면서 상기 제어수단(6)에 의해 1차 부드럽게 개방되고, 이후 사용자의 당김에 의해 2차 더 개방된다.Here, when the push button 51 of the locking means 5 is pressed, the tray 2 is first opened by the control means 6 while the lock state is released, and thereafter, the tray 2 is further opened by the user's pulling. Open.

상기 트레이(2)는 슬라이드식으로 개폐됨을 감안하여 상부가 개구되게 내부에 수납실(21)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실(21) 양외측면 길이방향에 하우징(3)에 출입안내하는 레일(22)이 돌출된다. In order to open and close the tray 2 in a sliding manner, a storage compartment 21 is formed therein so that the upper portion is opened, and a rail 22 for guiding the housing 3 into the housing 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both sides of the storage compartment 21. ) Is protruding.

상기 수납실(21)의 내벽은 열전도율이 좋은 철금속 또는 비철금속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납실(21)의 내벽은 후술하는 열전반도체소자 어셈블리(4)의 열전소자(41) 흡열면과 접촉되어 열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수납실을 냉각시키게 된다.The inner wall of the storage chamber 21 is made of ferrous metal or nonferrous metal with good thermal conductivity. The inner wall of the storage chamber 21 is in contact with the heat absorbing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41 of the thermoelectric semiconductor element assembly 4 to be described later to facilitate the heat exchange to cool the storage chamber.

상기 트레이(2)는 수납실(21) 바닥면에 저장되는 용기 위치를 설정하는 경계돌기(23)가 돌출되는데, 트레이(2)의 수납실(21) 면적이 2개의 캔음료를 보관할 수 있음을 감안하여 경계돌기(23)는 중앙에 돌출되는 것이 좋다.The tray 2 protrudes a boundary protrusion 23 for setting a container position stored at the bottom of the storage compartment 21, and the area of the storage compartment 21 of the tray 2 can store two canned beverages. In view of this, the boundary protrusion 23 may protrude in the center.

상기 트레이(2)는 그 하부에 후술하는 하우징(3)의 랙기어(34)와 치합하는 피니언(24)기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트레이(2)가 잠금 및 해제되기 위해 직선왕복운동할 때 상기 랙기어(34)와 피니언기어(24)가 치합하여 트레이(2)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The tray 2 is provided with a pinion 24 gear engaged with the rack gear 34 of the housing 3 described later. Therefore, the rack gear 34 and the pinion gear 24 mesh with each other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tray 2 when the tray 2 is linearly reciprocated to lock and release the tray 2.

또한, 상기 트레이(2)에는 로킹수단(5)이 장착되는데, 전방에는 누름버튼(51)이 노출되고, 그 양측면에는 상기 누름버튼(51)과 연동되게 설치되어 누름버튼(51)을 누를 때 트레이(2) 내부로 삽입되고 누름버튼(51)을 해제할 때 트레이(2) 외부로 돌출되어 트레이(2)를 하우징(3)에 잠금하는 로킹돌기(52)가 설치 된다.
상기와 같이 트레이(2)에 설치된 누름버튼(51)을 누르면, 누름버튼(51)의 작동에 따라 도 3a 및 도 3b에서 부분확대로 도시한 바와 같이 로킹돌기(52)가 연동하게 된다.
도 3a에서 부분확대로 도시한 도면은 누름버튼(51)을 누르기 이전으로써 로킹돌기(52)가 하우징(3)에 잠금되어 있는 상태로써,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로킹돌기(52)가 로킹홈(53)에 잠금되어지는 상태이다.
반면, 도 3b에서 확대도로 도시한 부분확대도는 누름버튼(51)을 누른 상태로써, 상기 누름버튼(51)을 누르면, 외측에서 내측으로 좁아지는 경사면을 갖는 누름버튼(51)의 작동편에 의해 로킹돌기(52)의 가동편이 규제 연동하여서 양쪽으로 벌려져 있던 로킹돌기(52)가 내측으로 오므려져 로킹돌기(52)의 단부가 로킹홈(53)으로부터 벗어나 잠금 해제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반면, 누름버튼(51)에 가해졌던 외력을 제거하면, 로킹돌기(52)에 반발탄성력을 인가하는 반발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로킹돌기(52)가 외측으로 벌어짐과 더불어 로킹돌기(52)의 가동편에 의해 누름버튼의 작동편이 밀려나 원래의 위치로 복원하여 로킹돌기(52)가 로킹홈(53)에 잠금 되어지게 되는 것으로써, 상기의 설명은 공지의 연동구조들 중 가장 일반적으로 이루어지는 기술중의 하나이다.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트레이를 포함하는 하우징(3)은 상기 트레이(2)를 수납 밀폐하여 열전반도체소자 어셈블리(4)에 의해 수납실(21)이 냉각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하우징(3)은 상기 트레이(2)를 내부에 수용하고 이 트레이(2)가 슬라이드방식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그 내부 양측면 길이방향에 상기 레일(22)을 수용하는 안내홈(31)이 형성되며, 후방에는 상기 트레이(2)의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송풍팬(32)이 장착된다. 상기 송풍팬(32)은 열전반도체소자 어셈블리(4)의 히트싱크(42)에서 발생하는 고열을 외부로 송풍시키는 기능을 한다.
In addition, the tray (2) is equipped with a locking means (5), the push button 51 is exposed in the front, both sides are installed in conjunction with the push button 51 when pressing the push button 51 The locking protrusion 52 is inserted into the tray 2 and protrudes out of the tray 2 when the push button 51 is released to lock the tray 2 to the housing 3.
When the push button 51 installed on the tray 2 is pressed as described above, the locking protrusion 52 is interlocked as shown in partial enlargement in FIGS. 3A and 3B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51.
3A show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locking protrusion 52 that is locked to the housing 3 before the push button 51 is pressed, and the locking protrusion 52 is locked by the spring repulsive force. 53) is locked.
On the other hand, the partial enlarged view shown in the enlarged view in FIG. 3B is a state in which the push button 51 is pressed, and when the push button 51 is pressed, the operating piece of the push button 51 having an inclined surface narrowing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is pressed. As a result, the locking projections 52, which are opened to both sides of the locking projections 52 in a regulated interlocking manner, are retracted inward so that the ends of the locking projections 52 are released from the locking grooves 53 to be unlocked.
On the other hand, if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push button 51 is removed, the locking protrusion 52 is opened to the outside by the repulsive force of the rebound spring applying the resilient elastic force to the locking protrusion 52 and the locking protrusion 52 is movable. By pushing the operation piece of the push button is restored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locking projection 52 is locked to the locking groove 53, the above description is made among the most commonly known techniques of interlocking structures Is one of.
The housing 3 including the tray operated as described above is to seal the tray 2 so that the storage chamber 21 can be cooled by the thermoelectric semiconductor element assembly 4. The housing 3 has a guide groove 31 for accommodating the tray 2 therein and accommodating the rail 2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both sides thereof so that the tray 2 can slide in and out. In the rear, a blowing fan 32 is mounted to allow heat exchange of the tray 2. The blowing fan 32 functions to blow high heat generated from the heat sink 42 of the thermoelectric semiconductor element assembly 4 to the outside.

삭제delete

상기 하우징(3)은 후술하는 보조레일(22)을 가조립할 때 보조레일(22)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33)이 형성된다.The housing 3 is provided with a locking step 33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auxiliary rail 22 when the auxiliary rail 22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하우징(3)은 전방 양측면 상기 트레이(2)의 로킹돌기(52)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로킹돌기(52)를 수용하는 로킹홈(53)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housing 3 is provided with locking grooves 53 for receiving the locking protrusions 52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protrusions 52 of the tray 2 on both front sides thereof.

상기 열전반도체소자 어셈블리(4)는 산업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기술로서, 주로 소형냉온장고에 사용된다.The thermoelectric semiconductor device assembly 4 is a well-known technique widely used in the industrial field, and is mainly used in a small cold and hot store.

이를 간단히 설명하면, 열전반도체소자(41)의 방열면에는 히트싱크(42)가 밀 착고정되어 넓은 면적으로 방열을 수행하고, 흡열면에는 쿨블록(미도시)이 밀착고정되어 열전반도체소자(41)에서 발생된 저온의 열을 외부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히트싱크(42)에서 방열된 고온은 상기 송풍팬(32)이 강제로 토출시키게 된다.Briefly described, the heat sink 42 is tightly fixed to the heat dissipation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semiconductor element 41 to perform heat dissipation in a large area, and a cool block (not shown) is tightly fixed to the heat absorption surface so that the thermoelectric semiconductor element ( The low temperature heat generated in 41) is transferred to the outside. The high heat radiated from the heat sink 42 is forcibly discharged by the blowing fan 32.

이와 같이 구성된 열전반도체소자 어셈블리(4)는 흡열면이 열전달이 우수한 트레이(2)의 내벽과 밀접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전원이 공급될 때 흡열면에 설치된 쿨블록이 트레이(2)의 내벽을 냉각시켜 수납실(21)을 냉각시키게 된다.In the thermoelectric semiconductor device assembly 4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 cool block installed on the heat absorbing surface cools the inner wall of the tray 2 when power is supplied while the heat absorbing surface is closely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tray 2 having excellent heat transfer. The cooling chamber 21 is cooled.

상기 로킹수단(5)은 트레이(2) 전방에 형성되는 누름버튼(51), 상기 누름버튼(51)을 누름조작할 때 트레이(2) 내부로 삽입되고 트레이(2) 누름을 해제할 때 돌출되어 트레이(2)를 하우징(3)에 잠금하는 로킹돌기(52), 및 상기 하우징(3) 전방 양측에 상기 로킹돌기(52)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로킹홈(53)을 포함한다. 상기 로킹수단(5)은 공지의 것이고, 그 동작상태는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어수단(6)은 상기 누름버튼(51)을 누를 때 잠금상태가 해제된 트레이(2)를 1차적으로 부드럽게 개방되게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핵심적인 부분이라 하겠다.
The locking means (5) is push button 51 formed in front of the tray (2), the push button 51 is inserted into the tray (2) when the operation is pressed and protrudes when the tray 2 is released And a locking protrusion 52 for locking the tray 2 to the housing 3, and locking grooves 53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protrusion 52 on both sides of the front of the housing 3. The locking means 5 is well known, and the operation state thereof has already been described,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control means (6) is to open the tray 2 is unlocked primarily when the push button 51 is pressed, it will be a key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삭제delete

상기 제어수단(6)의 구성은 상기 하우징(3)의 양외측면 길이방향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22)과 함께 슬라이드 이동하는 보조레일(61)과,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3) 외측면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보조레일(61)에 고정되어 트레이(2) 잠금 상태 해제시 트레이(2)를 1차 개방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62);를 포함한다.The control means 6 has a secondary rail 61 which slides together with the rail 22 and is installed at both outer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3, and one end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3. And an elastic member 62 having the other end fixed to the auxiliary rail 61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hat primarily opens the tray 2 when the tray 2 is unlocked.

상기 보조레일(61)은 트레이(2) 1차 개방시 레일(22)과 함께 이동한 후 정지될 수 있도록 후단부에 스톱퍼(61-1)가 돌출되고, 그 내측면에는 상기 탄성부재(62)를 수용하는 슬롯(61-2)이 형성되며, 이 슬롯(61-2) 내부에는 상기 탄성부재(62)를 걸어 고정하는 걸림편(61-3)이 돌출된다. 상기 보조레일(61)은 왕복이동할 때 빠지지 않도록 하우징(3)에 체결조립된 커버(63) 내부에 수납된다.When the auxiliary rail 61 is first opened, the stopper 61-1 protrudes from the rear end of the auxiliary rail 61 so that the auxiliary rail 61 can be stopped after moving with the rail 22. ) Is formed a slot (61-2), and the engaging piece (61-3) for fixing the elastic member 62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slot (61-2). The auxiliary rail 61 is accommodated in the cover 63 fastened and assembled to the housing 3 so as not to fall out when the auxiliary rail 61 is reciprocated.

이와 같이 구성된 보조레일(61)은 상기 트레이(2)가 하우징(3)에 잠금되기 위해 이동할 때 그의 스톱퍼(61-1)가 레일(22) 단부에 걸려 정지되고 그 정지된 상태에서 계속 이동하는 트레이(2)의 레일(22)과 함께 이동하면서 그와 연결된 탄성부재(62)를 인장시키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62)는 이완과 복원될 수 있는 재질이면 다 가능하고, 구입의 편리성과 수명을 감안하여 코일스프링 또는 고무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인장력 변화가 거의 없는 코일스프링이 좋다.
The auxiliary rail 6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tops when the tray 2 moves to lock the housing 3, and the stopper 61-1 stops at the end of the rail 22 and continues to move in the stopped state. It moves along with the rail 22 of the tray 2 to tension the elastic member 62 connected thereto.
The elastic member 62 may be any material that can be relaxed and restor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and life of the purchase, a coil spring or a rubber material may be used. Preferably, the coil spring has little change in tensile force.

삭제delete

상기 탄성부재(62)는 트레이(2)가 하우징(3) 내부로 삽입되어 잠금될 때 보조레일(61)의 이동에 따라 늘어난 상태, 즉 인장상태가 되면서 탄성을 축적하고, 트레이(2)의 잠금상태가 해제될 때 축적된 탄성이 풀리면서 트레이(2)를 가볍게 이동시켜 1차 개방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제어수단(6)은 도 8과 같이 탄성부재(62)만을 이용하여 트레이(2)를 1차 개방시킬 수 있다. 즉 탄성부재(62) 일단부를 상기 하우징(3) 외측면에 고정되게 하고 타단부를 레일(22)의 단부에 고정하여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When the tray 2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3 and locked, the elastic member 62 accumulates elasticity while being stretch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auxiliary rail 61, that is, in a tensioned state, When the locked state is released, the accumulated elasticity is released and the tray 2 is lightly moved to open first.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means 6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irst open the tray 2 using only the elastic member 62 as shown in FIG. That is, even if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62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3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end of the rail 22,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삭제delete

따라서, 누름버튼(51)을 눌러 트레이(2) 잠금상태를 해제하면 탄성부재(62)는 자유로운 상태가 되어 잠금시 축적된 탄성이 풀리면서 트레이(2)를 이동시켜 1차 개방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lock 2 is released by pressing the push button 51, the elastic member 62 becomes free, and the elasticity accumulated at the time of locking is released to move the tray 2 to first open. .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트레이(2)를 하우징(3) 내부로 삽입하게 되면 로킹수단(5)이 트레이(2)를 잠금하고, 트레이(2) 전방에 형성된 누름버튼(51)을 눌러 트레이(2)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면 탄성부재(62)의 축적된 탄성력이 풀리면서 트레이(2)를 가볍게 밀어내 1차 개방시키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ray 2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3, the locking means 5 locks the tray 2 and presses the push button 51 formed at the front of the tray 2. When the locked state of the tray 2 is released, the accumulated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62 is released and the tray 2 is lightly pushed out to open the primary.

삭제delete

이후, 사용자는 상기 1차 개방된 트레이(2)를 가볍게 잡아당겨 2차로 트레이(2)를 개방하여 수납실(21)에 보관된 내용물을 꺼낼 수 있다.Thereafter, the user may lightly pull the first open tray 2 to open the tray 2 secondly and take out the contents stored in the storage chamber 21.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냉장고가 잠금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cked state of a refrigerato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냉장고의 분해 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냉장고의 개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Figure 3a to 3c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automobil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냉장고의 측면도4 is a side view of a refrigerator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가 잠금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a locked stat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가 1차 개방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Figure 6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ay is first o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가 2차 개방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Figure 7 is a side view showing a second open stat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면도Figure 8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trol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자동차용 냉장고 2 : 트레이1: car refrigerator 2: tray

3 : 하우징 4 : 열전반도체소자 어셈블리3: housing 4: thermoelectric semiconductor device assembly

5 : 로킹수단 6 : 제어수단5: locking means 6: control means

61 : 보조레일 62 : 탄성부재 61: auxiliary rail 62: elastic member

Claims (8)

수납실 양외측면 길이방향에 레일이 돌출되는 트레이;Trays on which rails protrude in both longitudinal sides of the storage chamber; 상기 트레이를 내부에 수용하고 이 트레이가 슬라이드방식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그 내부 양측면 길이방향에 상기 레일을 수용하는 안내홈이 형성되며, 후방에는 상기 트레이의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송풍팬이 장착된 하우징;Guide grooves for accommodating the tray therein and accommodating the rai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both sides thereof are formed to allow the tray to slide in and out, and a housing equipped with a blower fan at the rear for heat exchange of the tray. ; 상기 송풍팬과 대응되게 트레이 후방에 장착되고, 전원공급에 의해 상기 트레이의 수납실을 냉각시키는 열전반도체소자 어셈블리;A thermoelectric semiconductor element assembly mounted to the rear of the tray so as to correspond to the blowing fan, and cooling the storage compartment of the tray by power supply; 상기 트레이가 하우징에 삽입될 때 트레이를 잠금하고, 상기 트레이 전방에 장착된 누름버튼을 누를 때 상기 트레이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트레이 로킹수단; 및 Tray locking means for locking the tray when the tray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and releasing the locked state of the tray when pressing the push button mounted in front of the tray; And 상기 누름버튼을 눌러 트레이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때 트레이의 초기 개방상태를 부드럽게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며,And a control means for smoothly controlling the initial opening state of the tray when pressing the push button to release the lock state of the tray. 여기서, 상기 누름버튼을 누르면 상기 트레이는 잠금상태가 해제되면서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1차 부드럽게 개방되고, 이후 사용자의 당김에 의해 2차 더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냉장고.Here, when the push button is pressed, the tray is first unlocked by the control means while the lock state is released, and then the car refrigerator further opens by the user's pull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양외측면 길이방향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과 함께 슬라이드 이동하고, 후단부에는 상기 트레이의 레일 단부 에 걸리는 스톱퍼가 형성되는 보조레일; 및The auxiliary rail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means comprises: auxiliary rails provided at both outer side lengths of the housing to slide together with the rails, and a rear end formed with a stopper on the rail end of the tray; And 상기 보조레일 내부에 수용되고 그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 외측면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보조레일에 고정되어 트레이를 1차 개방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And an elastic member accommodated in the auxiliary rail,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auxiliary rail, to open the tray first. 여기서, 상기 트레이가 하우징에 잠금될 때 보조레일은 스톱퍼가 레일 단부에 걸려 트레이와 함께 이동하면서 탄성부재를 인장시키고, 누름버튼을 눌러 트레이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때 탄성부재는 인장상태가 복원되면서 그 복원력에 의해 트레이를 1차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냉장고.Here, when the tray is locked to the housing, the auxiliary rail tensions the elastic member while the stopper is caught by the rail end and moves together with the tray, and the elastic member is restored as the tension member is released when the push button is released. An automobile refrigerator characterized by opening the tray primarily by the restoring for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수납실 바닥면에 저장되는 용기 위치를 설정하는 돌기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냉장고.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y has a protrusion protruding to set a container position stored on a bottom of a storage compartmen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보조레일 가조립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냉장고.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housing has a locking jaw to prevent separation when the auxiliary rail is assembled.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조레일은 하우징에 조립된 커버 내부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냉장고.The refrigerator of claim 2, wherein the auxiliary rail is accommodated in a cover assembled to a housing.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 또는 고무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냉장고.The refrigerator of claim 2, wherein the elastic member is selected from coil springs or rubber. 수납실 양외측면 길이방향에 레일이 돌출되는 트레이;Trays on which rails protrude in both longitudinal sides of the storage chamber; 상기 트레이를 내부에 수용하고 이 트레이가 슬라이드방식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그 내부 양측면 길이방향에 상기 레일을 수용하는 안내홈이 형성되며, 후방에는 상기 트레이의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송풍팬이 장착된 하우징;Guide grooves for accommodating the tray therein and accommodating the rai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both sides thereof are formed to allow the tray to slide in and out, and a housing equipped with a blower fan at the rear for heat exchange of the tray. ; 상기 송풍팬과 대응되게 트레이 후방에 장착되고, 전원공급에 의해 상기 트레이의 수납실을 냉각시키는 열전반도체소자 어셈블리;A thermoelectric semiconductor element assembly mounted to the rear of the tray so as to correspond to the blowing fan, and cooling the storage compartment of the tray by power supply; 상기 트레이가 하우징에 삽입될 때 트레이를 잠금하고, 상기 트레이 전방에 장착된 누름버튼을 누를 때 상기 트레이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트레이 로킹수단; 및 Tray locking means for locking the tray when the tray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and releasing the locked state of the tray when pressing the push button mounted in front of the tray; And 일단부가 상기 레일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하우징에 고정되어 트레이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때 트레이를 부드럽게 1차 개방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And an elastic member having one end fixed to the rail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housing to gently first open the tray when the tray is unlocked.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는 트레이가 하우징에 잠금될 때 인장되어 탄성을 축적하고, 트레이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때 인장력이 복원되면서 트레이를 1차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냉장고.In this case, the elastic member is tensioned when the tray is locked to the housing to accumulate elasticity, when the unlocking state of the tray when the tension force is restored, the automobil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opening of the tray.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 또는 고무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냉장고.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elastic member is selected from coil springs or rubber.
KR1020070123633A 2007-11-30 2007-11-30 Car refrigerator KR1009799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633A KR100979967B1 (en) 2007-11-30 2007-11-30 Car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633A KR100979967B1 (en) 2007-11-30 2007-11-30 Car refrig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6477A KR20090056477A (en) 2009-06-03
KR100979967B1 true KR100979967B1 (en) 2010-09-03

Family

ID=40987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3633A KR100979967B1 (en) 2007-11-30 2007-11-30 Car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996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504B1 (en) 2012-02-29 2013-08-01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Multy tray for automobile
CN112240671A (en) * 2020-10-26 2021-01-19 安徽赛超电器有限公司 Portable vehicle-mounted refriger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506B1 (en) * 2020-02-17 2020-07-21 주식회사유니캠프 Movable cold-heated storage device installed in interior space of vehic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3043Y1 (en) * 1995-11-22 1998-09-15 한승준 Cup holder
KR100731005B1 (en) 2006-04-11 2007-06-22 주식회사 대창 Refrigerator for ca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3043Y1 (en) * 1995-11-22 1998-09-15 한승준 Cup holder
KR100731005B1 (en) 2006-04-11 2007-06-22 주식회사 대창 Refrigerator for ca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504B1 (en) 2012-02-29 2013-08-01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Multy tray for automobile
CN112240671A (en) * 2020-10-26 2021-01-19 安徽赛超电器有限公司 Portable vehicle-mounted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6477A (en) 200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9258B1 (en) Guide mechanism, open-close mechanism of covering member using the guide mechanism, interior equipment for automobile using the open-close mechanism
JP4397378B2 (en) Vehicle storage device
US7976113B2 (en) Home bar for refrigerator
KR101042473B1 (en) Refrigerator
KR100979967B1 (en) Car refrigerator
KR100645186B1 (en) Center upper tray
KR101417535B1 (en) Multibox for vehicle
US11066855B2 (en) Glove compartment
KR20210082785A (en) Sliding Car Refrigerator
KR970007503B1 (en) Door locking device of a refrigeration
KR200391926Y1 (en) Push-button type lock assembly for automobile armrest
JP2006283415A (en) Locking structure
KR100395067B1 (en) Console Arm-rest Locking Apparatus for Car
JP4607185B2 (en) Slide storage remote control push button structure
JP2003237476A (en) Console box
JP4650766B2 (en) Storage device
JP4601533B2 (en) Lock mechanism
JP4059866B2 (en) Cup holder device
KR101034199B1 (en) Refrigerator
KR100920447B1 (en) Door rocking apparatus for car refrigerator
JP4306569B2 (en) Drawer device
JP2000142250A (en) Glove box for automobile
JP4063799B2 (en) Unlocking device
JP3794466B2 (en) Open / close lock device
KR100459821B1 (en) Door for auto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