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5494B1 - Storage container and apparatus for cooling and heating with the same - Google Patents

Storage container and apparatus for cooling and heating with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5494B1
KR101335494B1 KR1020120019570A KR20120019570A KR101335494B1 KR 101335494 B1 KR101335494 B1 KR 101335494B1 KR 1020120019570 A KR1020120019570 A KR 1020120019570A KR 20120019570 A KR20120019570 A KR 20120019570A KR 101335494 B1 KR101335494 B1 KR 101335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ntainer
cold
housing
article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95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97920A (en
Inventor
지준동
탁윤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to KR1020120019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5494B1/en
Publication of KR20130097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79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5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54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6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oling receptacles, e.g. tanks
    • F25D31/007Bottles or c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21/00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321/02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s;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s
    • F25B2321/023Mounting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3Bott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5C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저장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온장고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는,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를 포함하며, 수납부의 바닥면은 수납부의 측면 중 적어도 한 부분과 수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A storage container and a cold storage device including the same are disclosed. The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accommodating part, and a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is formed to be inclined to be perpendicular to at least one part of the side surfaces of the accommodating part.

Description

저장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온장고 장치{STORAGE CONTAINER AND APPARATUS FOR COOLING AND HEATING WITH THE SAME}Storage container and cold and hot storage device including the same {STORAGE CONTAINER AND APPARATUS FOR COOLING AND HEATING WITH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저장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온장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품으로의 열전달 효율을 향상시킨 저장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온장고 장치에 관한 것이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container and a cold storage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orage container and a cold storage device including the same to improve the heat transfer efficiency to the article.

일반적으로, 저장 용기는 내부에 물품(예를 들어, 음식류, 음료류 등)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저장 용기에는 외부 온도에 따라 내부에 수납된 물품을 냉각시키거나 가열하는 열전 소자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름철에는 저장 용기에 수납된 물품의 온도를 차갑게 냉각시키고, 겨울철에는 저장 용기에 수납된 물품의 온도를 따뜻하게 데우기 위해, 저장 용기의 일측에 열전 소자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열전 소자의 후단에는 열전 소자에서 발생한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general, the storage container has a space for storing an article (for example, food, beverages, etc.) therein. Such a storage container may be formed with a thermoelectric element for cooling or heating an article stored therein according to an external temperature. For example, a thermoelectric element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storage container to cool the temperature of the article stored in the storage container in the summer and to warm the temperature of the item stored in the storage container in the winter. In this case, a heat dissipation part for dissipating heat generated by the thermoelectric element to the outside may be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여기서, 저장 용기는 주로 측면이 바닥면과 수직한 형태로 제작되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형태의 저장 용기를 예를 들어, 사출 성형 또는 프레스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그런데, 저장 용기의 측면과 바닥면이 수직한 형태로 제조하는 경우, 사출 성형 공정 또는 프레스 공정 후에 해당 금형에서 저장 용기를 용이하게 빼내려면 해당 금형에 빼기 구배가 적용되어 있어야 한다. Here, the storage container is mainly produced in the form of the side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conventionally, this type of storage container is manufactured by, for example, injection molding or press method. However, when the sid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is manufactured in a vertical shape, a subtraction gradient must be applied to the mold to easily remove the storage container from the mold after the injection molding process or the pressing process.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과 측면이 수직한 형태의 저장 용기(20)를 제조하는 경우, 금형(10)의 측면에 빼기 구배(θ)가 적용되어 있어야 저장 용기(20)를 금형(10)에서 용이하게 빼낼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빼기 구배(θ)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빼기 구배(θ)의 각도를 조금 과장하여 표현하였지만, 일반적으로 빼기 구배(θ)의 각도는 1 ~ 2°에 해당한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1, when manufacturing the storage container 20 of the shape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the subtraction gradient θ is applied to the side of the mold 10, the storage container 20 Can be easily taken out from the mold (10). Here, in order to explain the concept of the subtraction gradient θ, the angle of the subtraction gradient θ has been exaggerated slightly, but in general, the angle of the subtraction gradient θ corresponds to 1 to 2 °.

이와 같이, 금형(10)에 빼기 구배(θ)가 적용되어 제조된 저장 용기(20)는 그 측면이 빼기 구배(θ)의 각도에 해당하는 만큼 경사가 생기기 때문에, 저장 용기(20)의 측면과 바닥면이 정확히 직각을 이루지 못하게 된다. 이 경우, 음료캔이나 물병 등을 저장 용기(20)에 수납할 때, 음료 캔이나 물병 등이 저장 용기(20)의 측면에 밀착되지 못하고 일정 간격 이격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storage container 20 manufactured by applying the subtraction gradient θ to the mold 10 is inclined by the side corresponding to the angle of the subtraction gradient θ, and thus, the side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20. And the bottom surface are not exactly right angle. In this case, when the beverage can or the water bottle and the like are stored in the storage container 20, the beverage can or the water bottle and the like cannot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20, and are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여기서, 음료 캔이나 물병 등은 저장 용기(20)의 바닥면에만 접촉하기 때문에, 열전 소자를 통해 저장 용기(20)를 냉각하거나 가열하여도 저장 용기(20)에서 음료캔이나 물병 등에 전달되는 열 효율이 저하되게 된다. 즉, 종래의 저장 용기(20)는 저장 용기(20)의 바닥면을 통해서만 열 전달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저장 용기(20)에서 물품으로의 열 전달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Here, since the beverage can or the water bottle contacts only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20, the heat transferred from the storage container 20 to the beverage can, water bottle, or the like even when the storage container 20 is cooled or heated through the thermoelectric element. The efficiency is lowered. That is, the conventional storage container 20 has a problem that the heat transfer efficiency from the storage container 20 to the article because the heat transfer is made only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20.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저장 용기의 측면과 바닥면이 직각을 이루어 저장 용기에서 물품으로의 열 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저장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온장고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orage container and a cold storage device including the same that can improve the heat transfer efficiency from the storage container to the article at a right angl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는,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부의 바닥면은 상기 수납부의 측면 중 적어도 한 부분과 수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accommodating part,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is formed to be inclined to be perpendicular to at least one part of the side surfaces of the accommodating pa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장고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부의 바닥면은 상기 수납부의 측면 중 적어도 한 부분과 수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저장 용기; 및 상기 저장 용기를 수납하며, 상기 저장 용기와 일정 간격 이격되는 저장 용기 하우징을 포함한다.
Cold storag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orage container including at least one hous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is inclined to be perpendicular to at least one portion of the side of the housing; And a storage container housing accommodating the storage container and spaced apart from the storage contain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저장 용기의 바닥면이 저장 용기의 측면 중 적어도 한 부분과 직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물품의 일측이 저장 용기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물품은 저장 용기의 바닥면뿐만 아니라 저장 용기의 측면에도 밀착되기 때문에, 저장 용기에서 물품으로의 열 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is formed to be inclined at right angles to at least one portion of the sides of the storage container, so that one side of the article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storage container. In this case, the article is adhered not only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but also to the side of the storage container, so that the heat transfer efficiency from the storage container to the article can be improved.

그리고, 저장 용기의 측면 일부를 절개하여 제거함으로써, 열 전달에 관여하지 않는 부분에 들어가는 재질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저장 용기의 하부면에 단열 거리 확보부를 저장 용기와 일체로 돌출하여 형성함으로써, 저장 용기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열전 소자의 열을 저장 용기로 전달할 때 발생하는 열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by cutting away a portion of the side of the storage contain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terial cost to enter the portion not involved in heat transfer. In addition, by forming the insulating distance securing portion integrally with the storage container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torage container and to minimize the heat loss generated when transferring the hea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to the storage container. .

도 1은 종래의 저장 용기 제조 시 측면에 빼기 구배가 적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장고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장고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장고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온장고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온장고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온장고 장치에서, 저장 용기의 외측면에 방열 돌기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온장고 장치에서, 저장 용기의 내측면에 방열 돌기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btraction gradient is applied to the side when manufacturing a conventional storage container.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ld / warm storag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ld / col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ld and col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ld / col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showing a cold and cold storage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heat dissipation protrusion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in the cold / col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eat dissipation protrusio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in a cold / col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저장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온장고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a specific embodiment of a storage container and a cold / cold storage device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10. However, this is an exemplary embodiment onl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and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a means for efficiently describ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장고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장고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장고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서, 냉온장고 장치는 냉장고와 온장고를 겸용하여 사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냉장고 또는 온장고로만 사용하는 경우도 포함된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ld / col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ld / col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cold storage apparatus. Here, the cold and hot storage device includes not only a combination of a refrigerator and a warmer, but also a case of using only a refrigerator or a warmer.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냉온장고 장치(100)는 저장 용기 하우징(102), 저장 용기(104), 용기 보조 부재(106), 지지 부재(108), 열전 소자(110), 및 방열부(112)를 포함한다.2 to 4, the cold storage apparatus 100 includes a storage container housing 102, a storage container 104, a container auxiliary member 106, a support member 108, a thermoelectric element 110, and heat dissipation. Part 112 is included.

저장 용기 하우징(102)은 내부에 저장 용기(104)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다. 저장 용기 하우징(102)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저장 용기 하우징(102)은 커버(미도시)를 구비하여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 용기 하우징(102)은 저장 용기(104)를 수납하는 공간 이외의 다른 추가 공간을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The storage container housing 102 has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storage container 104 therein. The top of the reservoir container 102 may be ope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torage container housing 102 may include a cover (not shown)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In addition, the storage container housing 102 may be formed to have an additional space other than the space for storing the storage container 104.

저장 용기(104)는 저장 용기 하우징(102) 내에서 고정 설치된다. 예를 들어, 저장 용기(104)의 하부면이 저장 용기 하우징(102)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저장 용기 하우징(102) 내에서 저장 용기(104)를 견고히 고정시키기 위해, 저장 용기(104)의 외측면과 저장 용기 하우징(102)의 내측면을 연결하며 별도의 고정 부재(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저장 용기 하우징(102) 내에서 저장 용기(104)가 설치되는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The storage vessel 104 is fixedly installed in the storage vessel housing 102. For example,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104 may be fixedly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housing 102. At this time, in order to securely hold the storage container 104 in the storage container housing 102, the outer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104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housing 10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have a separate fixing member (not shown). May be formed. However, the location in which the storage container 104 is installed in the storage container housing 102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nstalled in various other locations.

저장 용기(104)가 저장 용기 하우징(102)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경우, 저장 용기(104)의 하부면 일부 및 측면은 저장 용기 하우징(102)과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저장 용기(104)와 저장 용기 하우징(102)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는 단열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When the storage container 104 is fixedly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housing 102, a portion and a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104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torage container housing 10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is case, a heat insulating material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spaced space between the storage container 104 and the storage container housing 102.

저장 용기(104)는 예를 들어, 음료수 또는 물병 등과 같은 물품(150)을 수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저장 용기(104)는 제1 수납부(104-1) 및 제2 수납부(104-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저장 용기(104)가 두 개의 수납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저장 용기(104)는 그 이외의 다양한 개수의 수납부를 포함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Storage container 104 includes at least one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an article 150, such as, for example, a beverage or a water bottle. For example, the storage container 104 may include a first accommodating part 104-1 and a second accommodating part 104-2. Here, although the storage container 104 is shown as including two receiving portions,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torage container 104 may be implemented to include various other numbers of storage portions.

저장 용기(104)의 제1 수납부(104-1) 및 제2 수납부(104-2)는 수납하는 물품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저장 용기(104)를 원 기둥 형상의 두 개의 수납부가 접합되어 있는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저장 용기(104)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저장 용기(104)는 그 이외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04-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04-2 of the storage container 104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article to be stored. Here, although the storage container 104 is shown as a shape in which two housing portions of a circular column shape are joined, the shape of the storage container 104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torage container 104 is formed in various other shapes. Can be.

여기서, 저장 용기(104)의 바닥면은 제1 수납부(104-1) 및 제2 수납부(104-2)의 측면 중 적어도 한 부분과 직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한다. 즉, 저장 용기(104)의 제조시 제1 수납부(104-1) 및 제2 수납부(104-2)의 측면에는 빼기 구배가 적용되므로, 제1 수납부(104-1) 및 제2 수납부(104-2)의 측면은 빼기 구배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저장 용기(104)의 바닥면을 빼기 구배 각도만큼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하면, 제1 수납부(104-1) 및 제2 수납부(104-2)의 측면과 바닥면이 직각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Here,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104 is formed to be inclined to form a right angle with at least one portion of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04-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04-2. That is, since the subtraction gradient is applied to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04-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04-2 when the storage container 104 is manufactured,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04-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are applied. The side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104-2 is formed to be inclined by the subtraction gradient angle. At this time, if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104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by a subtraction gradient angle, the side surfaces and the bottom surfaces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04-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04-2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Can b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여기서, 저장 용기(104)의 변형 없이 저장 용기(104)의 바닥면과 제1 수납부(104-1) 및 제2 수납부(104-2)의 측면 중 적어도 한 부분과 직각을 이루도록 하려면, 제1 수납부(104-1) 및 제2 수납부(104-2)의 다른 측면 중 일부를 절개하여 제거하여야 한다. 이때, 저장 용기(104)는 알루미늄, 구리, 마그네슘, 텅스텐 등과 같이 열 전도성이 우수하나 값이 비싼 재질을 사용하여 제조되므로, 제1 수납부(104-1) 및 제2 수납부(104-2)의 다른 측면 중 일부를 절개하여 제거하면, 저장 용기(104)에 들어가는 재질의 양을 줄일 수 있어 비용 절감 효과도 누릴 수 있게 된다.Here, to be perpendicular to at least on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104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storage portion 104-1 and the second storage portion 104-2 without deforma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104, Some of the other side surfaces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04-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04-2 are cut out and removed. In this case, since the storage container 104 is manufactured using a material having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such as aluminum, copper, magnesium, tungsten, etc., but having an expensive value,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04-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04-2. Removing and removing some of the other aspects of) may reduce the amount of material that enters the storage container 104 and thus also benefit from cost savings.

여기서, 저장 용기(104)는 제1 수납부(104-1) 및 제2 수납부(104-2)의 측면 과 저장 용기(104)의 바닥면이 직각을 이루기 때문에, 음료수 또는 물병 등과 같은 물품(150)을 제1 수납부(104-1) 및 제2 수납부(104-2)에 수납하면, 물품(150)의 일측이 제1 수납부(104-1) 및 제2 수납부(104-2)의 측면에 밀착되어 접촉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저장 용기(104)의 바닥면 뿐만 아니라 저장 용기(104)의 측면을 통해서도 열 전달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저장 용기(104)에서 물품으로의 열 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Here, the storage container 104 is an article such as a beverage or a water bottle, because the side of the first storage unit 104-1 and the second storage unit 104-2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104 forms a right angle. When the 150 is stored in the first housing 104-1 and the second housing 104-2, one side of the article 150 is located in the first housing 104-1 and the second housing 104. -2)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In this case, since heat transfer is performed not only at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104 but also at the side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104, the heat transfer efficiency from the storage container 104 to the article can be improved.

용기 보조 부재(106)는 제1 수납부(104-1) 및 제2 수납부(104-2)의 절개되어 제거된 부분에 각각 결합된다. 용기 보조 부재(106)는 제1 수납부(104-1) 및 제2 수납부(104-2)의 절개되어 제거된 부분에 각각 결합됨으로써, 제1 수납부(104-1) 및 제2 수납부(104-2)가 해당 물품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용기 보조 부재(106)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질과 같이 저장 용기(104)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저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용기 보조 부재(106)는 저장 용기(104)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container auxiliary member 106 is coupled to the cut-out portions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04-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04-2, respectively. The container auxiliary member 106 is coupled to the cut-out portions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04-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04-2, respectively, whereby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04-1 and the second number are provided. The payment part 104-2 serves to mainta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article. In this case, the container auxiliary member 106 may be made of a material which is relatively inexpensive as compared with the storage container 104, for example, a plastic materia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ntainer auxiliary member 106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torage container 104.

용기 보조 부재(106)는 예를 들어, 제1 수납부(104-1) 및 제2 수납부(104-2)의 절개되어 제거된 부분에 슬라이딩 결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용기 보조 부재(106)는 제1 수납부(104-1) 및 제2 수납부(104-2)의 절개되어 제거된 부분에 접착 부재 또는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container auxiliary member 106 may be slidably coupled to the cut and removed portions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04-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04-2.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ntainer auxiliary member 106 may be coupled to the cut and removed portions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04-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04-2 by using an adhesive member or a fastening means. It may be.

지지 부재(108)는 용기 보조 부재(106)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물품(150)의 일측이 저장 용기(104)의 바닥면과 수직을 이루는 제1 수납부(104-1) 및 제2 수납부(104-2)의 측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물품(150)의 타측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support member 108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container auxiliary member 106 so that one side of the article 150 is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104 and the second male part. It serves to support the other side of the article 150 to remain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payment (104-2).

즉, 제1 수납부(104-1) 및 제2 수납부(104-2) 내에 물품(150)이 수납될 때, 물품(150)의 일측이 제1 수납부(104-1) 및 제2 수납부(104-2)의 측면(바닥면과 수직을 이루는 부분)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열 전도 효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용기 보조 부재(106)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지지 부재(108)를 통해 물품(150)의 타측을 지지하여 준다. 이 경우, 지지 부재(108)는 제1 수납부(104-1) 및 제2 수납부(104-2) 내에서 물품(150)이 유동하지 않도록 물품(150)을 고정시키는 역할도 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article 150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04-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04-2, one side of the article 150 is formed by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04-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04-2. The support member 108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auxiliary member 106 can be improved because the heat conduction efficiency can be increased only by maintaining the state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part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104-2. Support the other side of the article 150 through). In this case, the support member 108 also serves to fix the article 150 to prevent the article 150 from flowing in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04-1 an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104-2.

지지 부재(108)는 예를 들어,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수납부(104-1) 및 제2 수납부(104-2)에 물품(150)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고 꺼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 부재(108)는 그 이외의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support member 108 may be made of, for example,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In this case, the article 150 can be easily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04-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04-2 and can be taken ou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upport member 108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열전 소자(110)는 저장 용기(104)의 하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저장 용기 하우징(102)의 바닥면에는 열전 소자(110)가 삽입되는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열전 소자(110)가 저장 용기(104)의 하부면에 직접 접촉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열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열전 소자(110)는 저장 용기 하우징(102)의 하부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104. In this case, an insertion groove (not shown) into which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is inserted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housing 102. In this case, since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104, unnecessary heat loss can be preven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housing 102.

열전 소자(110)는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또는 열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는 소자를 말한다. 여기서는 열전 소자(110)를 통해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하는데, 이때 열전 소자(110)에 인가되는 전원의 극성에 따라 열전 소자(110)를 통해 저장 용기(104)의 냉각 또는 가열이 가능하게 된다.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refers to an element capable of converting electrical energy into thermal energy or therm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Here, the electrical energy is converted into thermal energy through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in which the cooling or heating of the storage container 104 is possible through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according to the polarity of the power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do.

예를 들어, 여름과 같이 더운 날씨에는 열전 소자(110)의 전면에서 열을 흡수하여 열전 소자(110)의 배면으로 열을 방출하도록 열전 소자(11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열전 소자(110)를 통해 저장 용기(104)를 냉각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겨울과 같이 추운 날씨에는 열전 소자(110)에 인가하는 전원의 극성을 반대로 한다. 즉, 열전 소자(110)의 배면에서 열을 흡수하여 열전 소자(110)의 전면으로 열을 방출하도록 전원을 인가 할 수 있다. 이 경우, 열전 소자(110)를 통해 저장 용기(104)를 가열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in hot weather such as summer, power may be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to absorb heat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and release heat to the rear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The storage container 104 may be cooled through the element 110. And, in cold weather such as winter, the polarity of the power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is reversed. That is, power may be applied to absorb heat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to release hea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In this case, the storage container 104 may be heated through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방열부(112)는 열전 소자(110)의 배면에 설치되어 열전 소자(110)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여 방출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방열부(112)는 주위의 열을 흡수하여 열전 소자(110)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즉, 방열부(112)는 열전 소자(110)가 저장 용기(104)를 냉각할 때, 열전 소자(110)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여 방출하는 기능을 하고, 열전 소자(110)가 저장 용기(104)를 가열할 때, 주위의 열을 흡수하여 열전 소자(110)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The heat dissipation unit 112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to absorb and release heat generated from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In addition, the heat dissipation unit 112 functions to absorb heat arou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That is, the heat dissipation unit 112 functions to absorb and release heat generated by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when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cools the storage container 104,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stores the storage container. When heating the 104, the function of absorbing the surrounding heat to transfer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사시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저장 용기(104)는 제1 수납부(104-1) 및 제2 수납부(104-2)를 포함한다. 제1 수납부(104-1) 및 제2 수납부(104-2)의 측면은 빼기 구배가 적용되어 제조되며, 그로 인해 제1 수납부(104-1) 및 제2 수납부(104-2)의 측면은 빼기 구배 각도(θ)만큼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저장 용기(104)의 바닥면을 상부로 빼기 구배 각도(θ)만큼 경사지게 형성하면, 저장 용기(104)의 바닥면이 제1 수납부(104-1)의 측면 일부(L1) 및 제2 수납부(104-2)의 측면 일부(L2)와 직각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5 and 6, the storage container 104 includes a first accommodating part 104-1 and a second accommodating part 104-2. Side surfaces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04-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04-2 are manufactured by applying a subtraction gradient, and thus,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04-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04-2 are manufactured. ) Is formed to be inclined by the subtraction gradient angle θ. At this time, when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104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by the subtraction gradient angle θ,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104 is formed by the side portion L1 and the first side of the first storage unit 104-1. 2 may be perpendicular to the side portion (L2) of the storage portion 104-2.

여기서, 제1 수납부(104-1) 및 제2 수납부(104-2)가 원형으로 이루어진 관계로, 제1 수납부(104-1)의 측면 일부(L1) 및 제2 수납부(104-2)의 측면 일부(L2)는 각각 제1 수납부(104-1) 및 제2 수납부(104-2)의 상단과 하단을 가로지르는 일직선일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납부(104-1)의 측면 일부(L1) 및 제2 수납부(104-2)의 측면 일부(L2)는 저장 용기(104)의 소정 지점(A)에서 제1 수납부(104-1) 및 제2 수납부(104-2)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가로 지르는 일직선일 수 있다. 이 경우, 물품(150)이 제1 수납부(104-1) 및 제2 수납부(104-2)에 수납되면, 물품(150)의 일측은 제1 수납부(104-1)의 측면 일부(L1) 및 제2 수납부(104-2)의 측면 일부(L2)에서 선 접촉을 이루게 된다.Here, since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04-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04-2 ar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 part of the side surface L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04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04-1 are formed.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L2 of −2) may be a straight line crossing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04-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04-2, respectively. That is, as shown in FIG. 6, the side portion L1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04-1 and the side portion L2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04-2 are predetermined points of the storage container 104. In (A), the first storage unit 104-1 and the second storage unit 104-2 may be a straight line crossing the upper and lower ends, respectively. In this case, when the article 150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04-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04-2, one side of the article 150 is part of a side surfac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04-1. Line contact is made at L1 and a part L2 of the side surface of the 2nd accommodating part 104-2.

여기서, 제1 수납부(104-1) 및 제2 수납부(104-2)의 측면에서 저장 용기(104)의 바닥면과 수직을 이루는 부분(즉, L1 및 L2)을 제외한 부분 중 일부는 절개하여 제거하여야, 저장 용기(104)의 변형 없이 저장 용기(104)의 바닥면이 제1 수납부(104-1)의 측면 일부(L1) 및 제2 수납부(104-2)의 측면 일부(L2)와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게 된다.Here, some of the portions except for the portions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104 (that is, L1 and L2) from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storage part 104-1 and the second storage part 104-2 are formed.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104 should be cut out and removed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104 has a side portion L1 of the first storage portion 104-1 and a side portion of the second storage portion 104-2. It becomes possible to form so that it may become orthogonal to L2.

여기서는 제1 수납부(104-1) 및 제2 수납부(104-2)가 원형으로 이루어져 제1 수납부(104-1)의 측면 일부(L1) 및 제2 수납부(104-2)의 측면 일부(L2)가 저장 용기(104)의 바닥면과 직각을 이루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저장 용기(104)의 형상에 따라 저장 용기(104)의 한 측면 전체가 바닥면과 직각을 이루도록 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04-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04-2 are formed in a circular shape, so that the side portions L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04-2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04-1 are circular. Although the side portion L2 is illustrated as being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104,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 entirety of one side of the storage container 104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104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storage container 104. It can also be at right angles.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저장 용기(104)의 하부면에는 단열 거리 확보부(104-3)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단열 거리 확보부(104-3)는 저장 용기(104)의 하부면 중 열전 소자(110)와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단열 거리 확보부(104-3)는 저장 용기(104)의 하부면에서 열전 소자(110)와 접촉되지 않는 부분들을 방열부(112)와 일정 거리 이격시켜 단열 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단열 거리 확보부(104-3)는 저장 용기(10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 용기(104)의 제조 공정을 간소화 할 수 있고, 열전 소자(110)에서 발생한 열이 저장 용기(104)로 전달될 때 발생하는 열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5, an insulating distance securing part 104-3 may protrude from a lower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104. The insulation distance securing unit 104-3 may be formed at a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104 that contacts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In this case, the thermal insulation distance securing unit 104-3 may secure a thermal insulation distance by separating a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104 not contacted with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heat radiating unit 112. It plays a role. Here, the thermal insulation distance securing unit 104-3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torage container 104. In this case,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torage container 104 can be simplified, and heat loss generated when heat generated from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is transferred to the storage container 104 can be minimized.

한편, 냉온장고 장치(100)는 차량(예를 들어, 앞 좌석의 콘솔 박스, 뒷 좌석의 암레스트, 글로브 박스, 차량 전면의 판넬 내부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차량 내에 설치된 냉방 장치(예를 들어, 에어컨) 및 난방 장치(예를 들어, 히터)를 이용하여 저장 용기(104)를 냉각 또는 가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 내의 냉방 장치 및 난방 장치를 냉난방 장치라고 한다.Meanwhile, the cold / cold storage device 100 may be installed in a vehicle (for example, a console box of a front seat, an armrest of a rear seat, a glove box, an inside of a panel of the front of the vehicle, etc.). At this time, the storage container 104 may be cooled or heated using a cooling device (for example, an air conditioner) and a heating device (for example, a heater) installed in the vehicle. Hereinafter, the cooling device and heating device in a vehicle are called air conditioning devices.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온장고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온장고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ld and hot refrigerator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lan view showing a cold and cold refrigerator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냉온장고 장치(100)는 기체 유입부(131) 및 기체 배출부(134)를 더 포함한다. 이때, 저장 용기 하우징(102)과 저장 용기(104) 사이에는 단열재가 형성되지 않고 빈 공간이 존재할 수 있다.7 and 8, the cold storage apparatus 100 further includes a gas inlet 131 and a gas outlet 134. In this case, an insulation may not be formed between the storage container housing 102 and the storage container 104, and an empty space may exist.

여기서, 기체 유입부(131)의 일측은 저장 용기 하우징(102)의 일측에 형성되고, 기체 유입부(131)의 타측은 냉난방 장치의 토출부(미도시)와 연결된다. 그리고, 기체 배출부(134)의 일측은 저장 용기 하우징(102)의 타측에 형성되고, 기체 배출부(134)의 타측은 냉난방 장치의 회수부(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냉온장고 장치(100)는 기체 유입부(131) 및 기체 배출부(134)의 내부 통로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 조절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one side of the gas inlet 13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torage container housing 102, and the other side of the gas inlet 131 is connected to a discharge part (not shown) of the air conditioner. In addition, one side of the gas discharge unit 134 may be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storage container housing 102, and the other side of the gas discharge unit 134 may be connected to a recovery unit (not shown)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In addition, the cold and hot storage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n opening and closing control unit (not shown) that can open and close the inner passage of the gas inlet 131 and the gas outlet 134.

예를 들어, 차량 내의 냉방 장치가 가동되는 경우, 냉온장고 장치(100)는 개폐 조절부(미도시)를 통해 기체 유입부(131) 및 기체 배출부(134)의 내부 통로를 개방한다. 그러면, 냉난방 장치의 토출부(미도시)로부터 냉기가 기체 유입부(131)를 통해 저장 용기 하우징(102) 내부로 유입된다. 저장 용기 하우징(102) 내부로 유입된 냉기는 저장 용기 하우징(102)과 저장 용기(104) 사이의 빈 공간을 따라 이동하면서 저장 용기(104)에 냉기를 공급하다가 기체 배출부(134)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기체 배출부(134)를 통해 배출된 냉기는 냉난방 장치의 회수부(미도시)를 통해 냉난방 장치로 회수된다.For example, when the air conditioner in the vehicle is operated, the cold / cold storage device 100 opens the internal passages of the gas inlet 131 and the gas outlet 134 through an opening and closing control unit (not shown). Then, the cool air is introduced into the storage container housing 102 through the gas inlet 131 from the discharge portion (not shown) of the air conditioning and heating device. The cold air introduced into the storage container housing 102 moves along the empty space between the storage container housing 102 and the storage container 104 to supply the cooling air to the storage container 104 and then through the gas discharge unit 134. Discharged. At this time, the cold air discharged through the gas discharge unit 134 is recovered to the air conditioning unit through a recovery unit (not shown)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그리고, 차량 내의 난방 장치가 가동되는 경우, 냉온장고 장치(100)는 개폐 조절부(미도시)를 통해 기체 유입부(131) 및 기체 배출부(134)의 내부 통로를 개방한다. 그러면, 냉난방 장치의 토출부(미도시)로부터 온기가 기체 유입부(131)를 통해 저장 용기 하우징(102) 내부로 유입된다. 저장 용기 하우징(102) 내부로 유입된 온기는 저장 용기 하우징(102)과 저장 용기(104) 사이의 빈 공간을 따라 이동하면서 저장 용기(104)에 온기를 공급하다가 기체 배출부(134)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기체 배출부(134)를 통해 배출된 온기는 냉난방 장치의 회수부(미도시)를 통해 냉난방 장치로 회수된다.When the heating apparatus in the vehicle is operated, the cold / cold storage apparatus 100 opens the internal passages of the gas inlet 131 and the gas outlet 134 through an opening and closing control unit (not shown). Then, the warm air is introduced into the storage container housing 102 through the gas inlet 131 from the discharge portion (not shown) of the air conditioning and heating device. The warm air introduced into the storage container housing 102 moves along the empty space between the storage container housing 102 and the storage container 104 to supply the warmth to the storage container 104 and then through the gas discharge unit 134. Discharged. At this time, the warm air discharged through the gas discharge unit 134 is recovered to the air conditioning unit through a recovery unit (not shown)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여기서, 차량 내의 냉난방 장치를 통해 저장 용기(104)에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할 때, 열전 소자(110)를 함께 이용하면, 저장 용기(104)를 빠른 시간에 기 설정된 온도로 냉각하거나 가열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열전 소자(110)를 구비하지 않고 차량 내의 냉난방 장치만을 이용하여 저장 용기(104)를 냉각 또는 가열 할 수도 있다. Here, when supplying cold or warm air to the storage container 104 through the air conditioner in the vehicle, when using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the storage container 104 can be cooled or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n a short time. do.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torage container 104 may be cooled or heated using only a heating and cooling device in a vehicle without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여기서는 기체 유입부(131)의 일측 및 기체 배출부(134)의 일측이 저장 용기 하우징(102)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체 유입부(131)의 일측이 저장 용기 하우징(102)의 일측을 통과하여 저장 용기(104)의 일측에 연결되고, 기체 배출부(134)의 일측이 저장 용기 하우징(102)의 타측을 통과하여 저장 용기(104)의 타측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냉난방 장치의 토출부(미도시)로부터 냉기 또는 온기가 저장 용기(104) 내부로 직접 유입되게 된다.Here, although one side of the gas inlet 131 and one side of the gas outlet 134 are illustrated as being connected to the storage container housing 102,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ne side of the gas inlet 131 may be a storage container housing ( One side of the storage container 104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torage container 104 by passing through one side of 102, and one side of the gas discharge part 134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torage container 104 by passing through the other side of the storage container housing 102. In this case, cold air or warm air flows directly into the storage container 104 from the discharge part (not shown) of the air conditioning and heating device.

또한, 여기서는 기체 배출부(134)의 타측이 냉난방 장치의 회수부(미도시)와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체 배출부(134)의 타측은 차량 내에서 그 이외의 장소(예를 들어, 차량의 트렁크 등)에 연결될 수도 있고, 차량 외부로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other side of the gas discharge unit 134 has been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to the recovery unit (not shown) of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other side of the gas discharge unit 134 may be located in other places in the vehicle ( For example, it may be connected to the trunk of the vehicle, etc., or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한편, 저장 용기(104)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방열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저장 용기(104)로 전달되는 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온장고 장치에서, 저장 용기의 외측면에 방열 돌기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온장고 장치에서, 저장 용기의 내측면에 방열 돌기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On the other hand, by forming at least one heat dissipation protrusion on the outer surface or the inner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104,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thermal efficiency delivered to the storage container 104.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eat dissipation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in the cold / col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the storage container in the cold / col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eat dissipation projection is formed on the inner side.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냉난방 장치의 토출부(미도시)로부터 냉기 또는 온기가 저장 용기 하우징(102) 및 저장 용기(104)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경우에는, 저장 용기(104)의 외측면에 복수 개의 방열 돌기(137)를 형성한다. 그리고, 도 10을 참조하면, 냉난방 장치의 토출부(미도시)로부터 냉기 또는 온기가 저장 용기(104) 내부로 직접 유입되는 경우에는, 저장 용기(104)의 내측면에 복수 개의 방열 돌기(137)를 형성한다. First, referring to FIG. 9, when cold air or warm air flows into a space between the storage container housing 102 and the storage container 104 from the discharge portion (not shown) of the air conditioning and heating apparatus, the outer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104.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protrusions 137 are formed thereon.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10, when cold air or warm air flows directly into the storage container 104 from the discharge part (not shown) of the air conditioning and heating device, the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protrusions 137 may be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104. ).

이와 같이, 저장 용기(104)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에 복수 개의 방열 돌기(137)를 형성함으로써, 냉난방 장치의 토출부(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냉기 또는 온기가 저장 용기(104)와 접촉하는 면적을 넓혀 주며, 그로 인해 저장 용기(104)로 전달되는 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by forming the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protrusions 137 on the outer side or the inner side of the storage container 104, the cool air or warm air supplied from the discharge portion (not shown) of the air conditioner is in contact with the storage container 104. This increases the area, thereby improving the thermal efficiency delivered to the storage vessel 104.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I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equivalents to the appended claims, as well as the appended claims.

100 : 냉온장고 장치 102 : 저장 용기 하우징
104 : 저장 용기 104-1 : 제1 수납부
104-2 : 제2 수납부 104-3 : 단열 거리 확보부
106 : 용기 보조 부재 108 : 지지 부재
110 : 열전 소자 112 : 방열부
131 : 기체 유입부 134 : 기체 배출부
137 : 방열 돌기 150 : 물품
100: cold storage device 102: storage container housing
104: storage container 104-1: first storage portion
104-2: second storage portion 104-3: heat insulation distance securing portion
106: container auxiliary member 108: support member
110: thermoelectric element 112:
131: gas inlet 134: gas outlet
137: heat radiation projection 150: article

Claims (8)

물품을 수납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부의 측면 중 빼기 구배가 적용되어 경사지게 형성되는 측면 일부; 및
상기 측면 일부의 저부에 연결되고 상기 빼기 구배의 각도만큼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측면 일부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물품은 상기 수납부의 상기 측면 일부 및 상기 바닥면과 동시에 접촉하여, 상기 측면 일부 및 상기 바닥면을 통해 동시에 열 전도가 이루어지는, 저장 용기.
At least one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article,
A portion of a side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formed to be inclined by a subtraction gradient applied thereto; And
A bottom surface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portion of the side surface and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by the angle of the subtraction gradient, and perpendicular to the portion of the side surface,
And the article is in contact with the side portion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at the same time, so that heat conduction is simultaneously performed through the side portion and the bottom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용기는,
상기 수납부의 측면 중 상기 바닥면과 수직을 이루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 중 일부가 제거되어 형성되는, 저장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orage container comprises: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storage portion, except for a portion except the portion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the storage contain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용기는,
상기 수납부의 측면에서 상기 제거된 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수납부가 상기 물품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용기 보조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저장 용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torage container comprises:
And a container auxiliary member coupled to the removed portion at the side of the housing to allow the housing to mainta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artic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의 일측은, 상기 바닥면과 수직을 이루는 상기 수납부의 상기 측면 일부에 밀착되어 수납되고,
상기 저장 용기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용기 보조 부재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물품의 타측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저장 용기.
The method of claim 3,
One side of the article is accommodated in close contact with a portion of the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Wherein the storage container comprises:
And a support member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nd formed inside the container auxiliary member to support the other side of the article.
물품을 수납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의 측면 중 빼기 구배가 적용되어 경사지게 형성되는 측면 일부; 및 상기 측면 일부의 저부에 연결되고 상기 빼기 구배의 각도만큼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측면 일부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물품은 상기 수납부의 상기 측면 일부 및 상기 바닥면과 동시에 접촉하여, 상기 측면 일부 및 상기 바닥면을 통해 동시에 열 전도가 이루어지는, 저장 용기; 및
상기 저장 용기를 수납하며, 상기 저장 용기와 일정 간격 이격되는 저장 용기 하우징을 포함하는, 냉온장고 장치.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including at least one housing part for receiving an article, the side surface of which is formed to be inclined by a subtraction gradient applied to the side of the housing part; And a bottom surface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portion of the side surface and inclined upward by the angle of the subtraction gradient, and perpendicular to the portion of the side surface, wherein the article has a portion with the side portion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A storage container in contact at the same time, wherein thermal conduction is simultaneously performed through the side portion and the bottom surface; And
And a storage container housing accommodating the storage container and spaced apart from the storage contain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냉온장고 장치는,
일측이 상기 저장 용기 하우징 및 상기 저장 용기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고, 타측이 냉난방 장치의 토출부와 연결되는 기체 유입부; 및
일측이 상기 저장 용기 하우징 및 상기 저장 용기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상기 냉난방 장치의 토출부로부터 유입된 냉기 또는 온기를 배출하는 기체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냉온장고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cold /
A gas inlet part of which one side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storage container housing and the storage container,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a discharge part of a cooling and heating device;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storage container housing and the storage container further comprises a gas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cold or warm air introduced from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cooling and heating device, cold storage apparatu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냉온장고 장치는,
일측이 상기 저장 용기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열전 소자; 및
상기 열전 소자의 타측에 형성되는 방열부를 더 포함하는, 냉온장고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cold /
A thermoelectric element formed at one side of a lower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And
And a heat dissipation unit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용기는,
상기 저장 용기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열 돌기를 더 포함하는, 냉온장고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torage container comprises:
Cold storage device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heat dissipation projection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r inner side of the storage container.
KR1020120019570A 2012-02-27 2012-02-27 Storage container and apparatus for cooling and heating with the same KR1013354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570A KR101335494B1 (en) 2012-02-27 2012-02-27 Storage container and apparatus for cooling and heating with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570A KR101335494B1 (en) 2012-02-27 2012-02-27 Storage container and apparatus for cooling and heating with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920A KR20130097920A (en) 2013-09-04
KR101335494B1 true KR101335494B1 (en) 2013-12-02

Family

ID=49450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9570A KR101335494B1 (en) 2012-02-27 2012-02-27 Storage container and apparatus for cooling and heating with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549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18918A1 (en) * 2021-01-18 2022-07-22 Psa Automobiles Sa DEVICE FOR RECEIVING LIQUID CONTAINER(S) WITH TILT COMPENSATION, FOR VEHICLE EQUIP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11001A1 (en) * 2018-06-21 2021-04-28 Grad APS Apparatus for displaying and chilling a beverag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3494U (en) * 1992-12-28 1994-07-22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Flower container
JPH0752977A (en) * 1993-01-25 1995-02-28 Kohei Abe Simple heat-retaining holder, heat-retaining case and heat-retaining case with container
KR100464960B1 (en) * 2004-05-13 2005-01-15 김익섭 Ice cooler
KR20060051453A (en) * 2004-11-12 2006-05-19 오상석 Refrigerator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3494U (en) * 1992-12-28 1994-07-22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Flower container
JPH0752977A (en) * 1993-01-25 1995-02-28 Kohei Abe Simple heat-retaining holder, heat-retaining case and heat-retaining case with container
KR100464960B1 (en) * 2004-05-13 2005-01-15 김익섭 Ice cooler
KR20060051453A (en) * 2004-11-12 2006-05-19 오상석 Refrigerator for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18918A1 (en) * 2021-01-18 2022-07-22 Psa Automobiles Sa DEVICE FOR RECEIVING LIQUID CONTAINER(S) WITH TILT COMPENSATION, FOR VEHICLE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920A (en) 2013-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60550B2 (en) Thermoelectric cooling / heating equipment
US20140338366A1 (en) Thermally-conditioned beverage holders and bins
US20160325665A1 (en) Receiving device for beverage containers
KR101335494B1 (en) Storage container and apparatus for cooling and heating with the same
KR101349723B1 (en) Cooling and heating cabinet for vehicle
US10081286B2 (en) Storage container
KR101950751B1 (en) Apparatus for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for vehicle
KR102533183B1 (en) hot and cold room
CN110582443B (en) Cooling and heating cabinet using thermoelectric element
US10443908B2 (en) Beverage cooler or warming apparatus
JP2015145745A (en) Cooling gear device
KR101941056B1 (en) Apparatus for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for vehicle
KR101980268B1 (en) Apparatus for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for vehicle
KR101980266B1 (en) Apparatus for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for vehicle
KR101083388B1 (en) Apparatus for condensing and suppling of steam in electric cooker
KR102154631B1 (en) Heating and cooling cup holder
KR101980267B1 (en) Apparatus for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for vehicle
KR200390049Y1 (en) Portable Cooling/Heating Cabinet
KR100295463B1 (en) Portable cooling and warming apparatus using a thermoelement
KR101534584B1 (en) Apparatus for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for vehicle
JP2017106659A (en) refrigerator
KR101766043B1 (en) Heating and cooling tumbler and heating and cooling system
JP2011140321A (en) Heat-insulating storage device
KR102131886B1 (en) Storage
KR20050003558A (en) Ptc using ice box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