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2556A - 소형 어항 및 산소발생기의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소형 어항 및 산소발생기의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2556A
KR20000072556A KR1020000053619A KR20000053619A KR20000072556A KR 20000072556 A KR20000072556 A KR 20000072556A KR 1020000053619 A KR1020000053619 A KR 1020000053619A KR 20000053619 A KR20000053619 A KR 20000053619A KR 20000072556 A KR20000072556 A KR 20000072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oxygen generator
inner tube
water
fish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3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호
Original Assignee
이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호 filed Critical 이형호
Priority to KR1020000053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72556A/ko
Publication of KR20000072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255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6Arrangements for heating or lighting in, or attach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도조절장치 등의 전기용품이 구비된 어항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어항을 분리 결합이 간편한 본체와 설치함으로 구성하여 본체에는 물과 열대어 등의 물고기를 넣고 설치함에는 온도조절장치 등의 전기용품을 설치하여 어항의 세척 및 물갈이가 쉬운 동시에 전기용품의 수리가 쉽도록 하며, 산소발생기를 어항의 하부에 위치한 설치함에 설치할 수 있도록 연결호스는 물의 역류가 방지되도록 하되 역류방지 방식은 작고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온도조절장치의 발열체를 전구로 할 경우에는 소비전력이 낮아 밝기가 약한 소형 전구를 다수개 사용하고 전구에 짙은 채색을 함으로써 전구가 너무 밝은 빛을 발산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1개의 전구가 수명을 다하여도 나머지 전구가 발열하여 항상 일정한 수온을 유지하도록 하며, 소비전력이 낮은 소형 전구를 소수만 사용하고도 물을 가열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설치함의 공기온도를 통해 수온을 간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온도조절장치의 온도감지 센서를 설치함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설치함의 측면과 하부에 단열층을 구비하고, 덮개의 하부에는 숯의 교체가 간편하도록 숯통을 연결하여 다공질인 숯을 자주 교체하여 줌으로써 산소발생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숯을 사용해 산소를 공급하도록 하는 동시에 물을 정수할 수 있도록 한 소형 어항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형 어항 및 산소발생기의 설치방법{.}
본 발명은 어항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온도조절장치 등의 전기용품이 어항의 본체와 분리, 결합이 간단하여 어항의 세척 및 물갈이가 편리한 동시에 전기용품의 수리가 간편하고 전기용품이 외부에 드러나지 않으며, 산소발생기가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숯을 산소공급의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소형 어항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는 어항에 구비된 여러 가지의 전기용품이 어항의 본체와 일체형으로 되어 있거나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가 어려워 어항의 세척이나 물갈이가 어려움은 물론 전기용품의 수리도 어렵고, 어항에 구비된 온도조절장치는 방수형으로 제작되어 크고 물속에 직접 넣어야 되며 산소발생기는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면보다 높은 곳에 설치하거나 연결호스를 수면보다 높은 위치까지 올라가게 하는 것이어서 전기용품과 전선등이 지져분하게 드러나므로 미관상 좋지 않았을 뿐아니라 어항을 소형화하는데에도 한계가 있었다.
또한 온도조절장치 대신 전구로 된 발열장치만이 구비된 어항("열대어 어항 물 가온장치" 실용신안출원번호 20-1980-0006428 등)은 계절적 조건이나 일교차 등을 고려하지 않아 수온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음은 물론 하나의 전구로 물을 가열하기 위하여 소비전력이 높은 전구를 사용하므로 밝은 빛이 지속적으로 공급되어져 열대어가 스트레스를 받아 죽고 방에 놓여있으면 수면을 방해하며 지속적으로 켜져있어 한개의 전구가 수명을 다하면 수온이 떨어져 열대어가 죽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으로 어항의 세척 및 물갈이가 쉽고 전기용품의 수리도 쉬우며 외부에서 전기용품이 보이지 않아 미관상 좋으면서 소형화된 어항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어항을 분리 결합이 가능한 본체와 설치함 등으로 구성하여 본체에는 물과 열대어 등의 물고기를 넣고 설치함에는 온도조절장치 등의 전기용품을 설치하도록 하여 어항의 세척 및 물갈이가 쉬운 동시에 전기용품의 수리가 쉽도록 하되 물이 들어있어 무거운 본체를 설치함에 쉽게 안착시켜 결합시키고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며, 산소발생기를 어항의 하부에 위치한 설치함에 설치할 수 있도록 연결호스는 물의 역류가 방지되도록 하되 역류방지 방식은 작고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온도조절장치의 발열체를 전구로 할때는 소비전력이 낮아 밝기가 약한 소형 전구를 다수 개 사용하고 전구에 짙은 채색을 함으로써 전구가 너무 밝은 빛을 발산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1개의 전구가 수명을 다하여도 나머지 전구가 발열하여 항상 일정한 수온을 유지하도록 하며, 소비전력이 낮은 소형 전구를 소수만 사용하고도 물을 가열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온도조절장치의 센서를 설치함에 위치시키지 않아도 설치함의 공기온도를 통해 수온을 간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함의 측면과 하부에 단열층을 구비하며, 덮개의 하부에는 숯의 교체가 간편하도록 하는 숯통을 연결하여 다공질인 숯을 자주 교체하여 줌으로써 산소발생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산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물을 정수하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어항 단면도로서 연결호스와 산소발생기의 연결 및 이탈이 설치함의 외부에서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상태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어항 단면도로서 연결호스와 산소발생기의 연결 및 이탈이 설치함의 내측에서 이루어지고 온도조절장치의 온도감지 센서가 본체의 바닥면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도 2에 있어서 본체와 설치함이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연결호스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어항에 산소발생기가 설치되지 않고 바이오 샌드와 숯을 사용하여 산소를 공급하면서 숯을 사용하여 물을 정수할 수 있도록 덮개의 하부에 숯통을 연결한 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 2. 설치함
3. 덮개 4. 온도조절장치
5. 산소발생기 6. 설치함결합구멍
7. 결합돌기 8. 연결호스
9. 외부관 10. 내부관
11. 큰 구멍 12. 미세한 구멍
13. 단열층 14. 설치공간
15. 센서 16a, 16b. 전도부
17a, 17b, 17c. 전구 18. 바이오 샌드
19. 구멍 20. 숯통
21a, 21b. 고무재질의 판 22a, 22b. 공기전달구
23. 수면
본 발명을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어항은 본체(1), 설치함(2), 덮개(3), 온도조절장치(4), 산소발생기(5)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1)의 하부에는 설치함결합구멍(6)이 형성되어 있으며 설치함(2)에는 결합돌기(7)가 형성되어 있어 물고기가 들어있는 본체(1)를 설치함(2)에 안착시키면 결합돌기(7)가 본체(1)의 설치함결합구멍(6)에 끼워져 결합되고 본체(1)를 위로 들면 분리되도록 되어 있으며, 본체(1)의 내측에는 산소발생기(5)와 연결되고 물의 역류가 방지되는 연결호스(8)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역류방지 수단은 작고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외부관(9)과 내부관(10)으로 구성하여 외부관(9)에는 직경 0.5mm정도의 큰 구멍(11)을 천공하고 내부관(10)에는 미세한 구멍(12)(종래 사용되고 있는 연결호스에 바늘을 찔러 형성된 정도의 크기)을 천공하되 내부관(10)을 신축성있는 재질(종래 산소발생기에 사용되고 있는 통상의 연결호스와 같은 재질)로 하여 내부관(10)에 일정이상의 공기압력이 채워지면 미세한 구멍(12)이 커져 공기가 새어나가고 공기압력이 떨어지면 미세한 구멍(12)이 막히도록 되어 있으며, 설치함(2)의 측면과 하부에는 단열층(13)이 형성되어 있어 온도조절장치(4)의 발열체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물을 가열하는 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본체(1)에 위치한 물의 온도를 설치함(2)의 내부 공기온도를 통해서도 간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안쪽에는 온도조절장치(4)나 산소발생기(5) 등의 전기용품을 설치할 수 있도록 설치공간(14)이 형성되어 있어 온도조절장치(4)나 산소발생기(5) 등의 전기용품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온도조절장치(4)는 본체(1)의 안쪽에 위치하는 물의 온도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도록 온도감지 센서(15)가 본체(1)의 내측에 위치하고 센서(15)를 제외한 부분은 설치함(2)에 위치하도록 하되 본체(1)를 설치함(2)에 안착시키면 센서(15)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전선의 전도부(16a)가 설치함(2)에 위치한 온도조절 장치(4)로부터 돌출된 전선의 전도부(16b)와 접촉하여 센서(15)가 작동하며 본체(1)를 들면 센서(15)가 본체(1)와 함께 간단히 분리되도록 할 수 있고, 온도조절장치(4)의 온도감지 센서(15)까지도 설치함(2)에 위치하도록 온도감지 센서가 일체형으로 되어있는 통상의 온도조절장치를 사용하거나 전기 다리미와 같이 온도감지 센서(다리미에는 바이오메탈이 사용됨)가 내장된 온도조절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설치함(2)에 위치한 단열층(13)이 열효율을 높이는 작용을 하는 동시에 설치공간(14)의 열이 설치함(2)의 측면과 하부를 통해서 밖으로 나가지 못하고 본체(1)의 바닥면을 통해서 본체(1)의 안쪽에 있는 물과 열교환을 하도록 함으로써 본체(1)의 안쪽 물의 온도를 설치공간(14)의 공기온도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작용도 하기 때문인데 이와같이 간접적인 방법으로 수온을 측정하는 경우에 있어서 어항의 본체(1)가 커 수온이 외부공기(실내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면적이 크면 수온과 설치함(2)의 내부공기 온도는 차이가 심하고 어항의 본체(1)가 작으면 온도차이가 크지않기 때문에 어항이 소형일 때가 좋다.
그러나 실내공기와 직접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본체(1)의 내측 물의 온도는 설치함(2)의 설치공간(14)에 위치한 공기의 온도와 다소 차이가 있으므로 온도감지센서(15)를 본체(1)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또 설치함(2)에 구비되는 온도조절장치(4)의 발열체(發熱體)를 전구로 할 수 있는데 이때 소비전력이 높은 큰 전구를 사용하게 되면 너무 밝은 빛을 발산하게 되고 짙은 채색을 하여도 빛을 차단하지 못하므로 소비전력이 낮아 밝기가 약한 작은 전구(17a, 17b, 17c)를 다수개 사용하고 외측에 짙은 채색을 하여 전구(17a, 17b, 17c)가 밝은 빛을 발산하지 못하도록 하는 동시에 한개의 전구(17a나 17b나 17c)가 수명을 다하여도 나머지 전구가 발열하여 일정한 수온을 유지할 수 있도록한다.
연결호스(8)의 역류방지는 외부관(9)을 사용하지 않고 내부관(10)만을 사용하는 것으로도 가능한데 이 경우에는 공기가 미세한 구멍(12)을 통해 나가게 되어 물과 직접 강하게 접촉하고 이로 인하여 작은 기포를 많이 만들어 내는데 작은 기포는 먼곳에서 보이지 않아 기포발생이 주는 아름다움을 감상할 수 없을 뿐 아니라 기포가 많이 발생하면 소음이 발생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어항에 산소발생기(5)를 설치할 경우에는 설치함에 작은 공기구멍을 천공하여야 하므로 열효율이 다소 떨어지고 어항의 크기가 커지기 때문에 산소발생기(5)를 설치하지 않고 화학적인 방법으로 산소를 발생시키는 물질, 예를 들면 산소를 발생하는 물질로서 판매되고 있는 바이오 샌드(18)를 깔면 어항의 크기를 보다 소형화 할 수 있으며, 정수장치로서는 기계적인 장치보다는 숯을 넣어 물을 정수하도록 함으로써 어항의 크기를 보다 소형화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숯을 자주 교체하여 주어 다공질인 숯을 산소공급의 수단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구멍(19)이 천공되어 있으며 개폐가 가능한 숯통(20)을 덮개(3)의 하부에 연결하여 숯을 숯통(20)에 넣어 교체가 쉽도록 함으로써 숯을 물의 정수에 사용하는 동시에 산소공급의 수단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어항 본체(1)는 미관을 고려하여 다양한 모양으로 할 수 있지만 소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면서 미관과 관상용 열대어의 활동반경을 동시에 고려할 때 중앙부가 볼록한 항아리 형으로 하는 것이 적합하고 그 반경은 작은(2.5cm정도 크기) 관상용 열대어의 경우 최소 20cm가 되는 것이 좋으며 이 경우3∼5마리 정도를 넣는 것이 바람직한데 어항을 항아리형으로 하면 본체(1)의 설치함결합구멍(6)과 설치함(2)의 결합돌기(7)도 원형으로 된다. 이때 온도감지 센서(15)로 부터 돌출된 전도부(16a)가 본체의 바닥면 중심부를 기준하여 한쪽으로 치우쳐 있으면 온도감지 센서(15)의 전도부(16a)와 설치함(2)에 위치한 온도조절장치(4)의 전도부(16b)를 접촉시키는 것이 어려우므로 온도감지 센서(15)로 부터 돌출되어있는 전도부(16a)를 본체의 바닥면 중심부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체(1)에 위치한 연결호스(8)와 설치함(2)에 위치한 산소발생기(5)를 연결할 때 설치함(2)의 외측에서 연결과 이탈이 가능하도록 한 실시예이고, 도 2와 도 3은 설치함(2)의 내측에서 연결과 이탈이 이루어지도록, 즉 본체(1)를 설치함(2)에 안착시키면 연결이 되도록 고무재질의 판(21a, 21b)이 부착된 공기전달구(22a, 22b)를 본체(1)와 설치함(2)에 각각 부착하여 본체(1)를 설치함(2)에 안착시키면 물이 들어있는 본체(1)의 무게로 고무재질의 판(21a, 21b)이 눌려 압축되면서 산소발생기(5)로 부터 배출된 공기가 공기전달구(22a, 22b)의 접합부를 통해서 외측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연결호스(8)를 통해서만 배출되도록 하되 설치함(2)의 결합돌기(7)가 원형이더라도 쉽고 정확하게 접촉시킬 수 있도록 공기전달구(22a, 22b)를 본체(1)의 바닥면 중앙부에 위치시키고 온도감지 센서(15)로부터 돌출된 전도부(16a)도 중심부에 위치시킨 실시예이다.
또 본체(1)와 설치함(2)의 결합방식에 있어서 설치함(2)이 본체(1)의 외측으로 끼워지도록 하면 미관상 좋지 않으므로 설치함(2)이 본체(1)의 내측으로 끼워져 외부에서 설치함(2)이 보이지 않도록 하고, 본체(1)의 설치함결합구멍(6)과 설치함(2)의 결합돌기(7)에 경사가 없으면 무거운 본체(1)를 설치함(2)에 정확히 맞추어 수직으로 내려 놓아서 안착시켜야 하는 등의 어려움이 있으므로, 설치함결합구멍(6)과 설치함(2)에는 경사를 주어 본체(1)를 수직으로 내려놓지 않아도 경사면을 따라 본체(1)가 미끄러져 내려가 쉽고 정확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어항의 상부에 수경재배용 식물을 키울 수도 있으며 큰 숯을 어항의 본체(1)에 넣고 본체(1)의 외부로 나와있는 숯의 상부에 난초 등을 키우도록 할 수도 있으며 온도조절장치(4)의 전구(17a, 17b, 17c)와는 별도로 단순히 미관만을 고려한 소형 전구를 추가로 설치하여 필요한 경우 소형전구를 밝히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작용을 발열체가 다수 개의 전구로 되어 있는 온도조절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예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어항에 구비된 온도조절장치(4)에 전원이 공급되면 다수 개의 전구(17a, 17b, 17c)가 동시에 발광을 하게되고 발광중에 발생된 열이 본체(1)의 바닥면을 통해 내측으로 전달되어 물의 온도를 서서히 상승시키는데 물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이 되면 온도조절장치(4)에 구비된 센서(15)가 종래와 같은 방법으로 작동하여 발열체인 전구(17a, 17b, 17c)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일정온도 이하가 되면 발열체인 전구(17a, 17b, 17c)에 전원을 다시 공급한다.
발열체가 다수 개의 전구(17a, 17b, 17c)로 이루어져 있어 한 개의 전구(17a나 17b나 17c)가 수명을 다하여도 나머지 전구는 계속 작동하여 수온을 일정한 온도로 유지하므로 다수 개의 전구(17a, 17b, 17c)는 안전장치의 역활을 하며, 발열체인 전구(17a, 17b, 17c)는 온도조절장치(4)에 의하여 온(ON) 오프(OFF) 되므로 지속적으로 켜져있지 않아 수명이 길며 온도조절장치(4)가 물 밖에 위치하므로 온도조절장치(4)가 방수형으로 제작될 필요 없어 종래의 온도조절장치보다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고, 설치함(2)의 측면과 하부에 단열층(13)이 구비되어 있어 온도조절장치(4)로 부터 발생된 열이 어항의 본체(1)를 가열하는 효율이 높으며 어항이 소형이어서 소비전력이 낮은 소형전구를 소수만 사용하고도 물을 일정한 온도 이상으로 가열할 수 있게 되며, 온도조절장치(4)의 발열체인 전구(17a, 17b, 17c)의 교체가 간편하므로 온도조절장치(4)에 끼워진 전구(17a, 17b, 17c)의 갯수를 조절하거나 채색된 색상의 종류가 다른 전구를 개인적인 취향에 맞추어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온도조절장치(4)의 발열체인 전구(17a, 17b, 17c)에 빛을 차단하기 위한 짙은 채색이 되어 있고 단열층(13)에 의하여 소비전력이 낮은 소형 전구(17a, 17b, 17c)를 사용할 수 있어 본 발명의 전구(17a, 17b, 17c)는 은은한 빛을 발산할 뿐 밝은 빛을 발산하지는 않으므로 어항이 놓인 방에서도 잠을 잘 수 있고, 전구(17a, 17b, 17c)에서 발생되는 열이 고온이 아닌 비교적 저온이며 급격하게 가열되는 것이 아니라 서서히 가열되는 것이기 때문에 열대어가 급격한 환경변화를 겪지 않음은 물론 어항 본체(1)의 바닥 부분에 있는 물과 윗부분에 있는 물의 온도 차이가 거의 없다.
산소발생기(5)의 연결호스(8)에 산소가 공급됨에 따라 내부관(10)의 압력이 커지면 미세한 구멍(12)이 커져 압력이 외부관(9)으로 새어나가고 외부관(9)의 큰 구멍(11)을 통해 본체(1)의 내측으로 배출되는데 외부관(9)에 천공된 큰 구멍(11)은 크기 때문에 배출되는 공기가 물과 약하게 부딪히고 적당한 크기의 기포를 적은 양만 만들어 내므로 소음이 적으며 산소발생기(5)의 작동이 중지되면 내부관(10)의 압력이 약하여 미세한 구멍(12)이 막히므로 물이 내부관(10)으로 역류하지 못한다.
숯을 넣어 물을 정수하므로 이끼의 발생률이 현격하게 감소됨은 물론 물갈이를 자주하지 않아도 되며, 숯을 산소공급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유는 숯이 다공질이기 때문에 젖어있지 않은 마른 숯에는 많은 공기가 들어가 있어 숯을 물에 넣으면 숯이 물을 흡수하게 되면서 숯의 내부에 들어가 있던 산소가 외부로 서서히 나오기 때문이다.
미설명 부호 23은 수면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어항을 분리 결합이 간편한 본체와 설치함 등으로 구성하여 본체에는 물과 열대어 등의 물고기를 넣고 설치함에는 온도조절장치 등의 전기용품을 설치하여 전기용품을 본체로 부터 쉽게 이탈시킴으로써 어항의 세척 및 물갈이가 쉬운 동시에 전기용품의 수리가 쉽고, 온도조절장치와 산소발생기 등의 전기용품과 그 부속들이 어항의 하부에 위치한 설치함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보이지 않음으로써 미관상 좋으며, 온도조절장치의 발열체를 전구로 할때 소비전력이 낮아 밝기가 약한 소형 전구가 다수 개 사용되고 전구에 짙은 채색이 되어 전구가 밝은 빛을 발산하지 않는 동시에 한개의 전구가 수명을 다하여도 수온이 항상 일정한 온도로 유지되고, 덮개의 하부에 숯의 교체가 간편한 숯통을 연결하여 다공질인 숯을 자주 교체하여 줌으로써 산소발생기나 바이오샌드를 사용하지 않고도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동시에 물을 정수하여 이끼의 발생률을 현격히 감소시키며, 온도조절장치가 방수형으로 제작될 필요없고 전기용품들의 부속(전기선, 산소발생기의 연결호스등)들이 지져분하게 설치되지 않아 미관을 고려하면서 어항을 보다 소형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Claims (4)

  1. 온도조절장치와 산소발생기 등의 전기용품이 구비되어 있는 어항에 있어서, 본체(1), 설치함(2), 덮개(3), 온도조절장치(4), 산소발생기(5)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1)의 하부에는 경사가 있는 설치함결합구멍(6)이 형성되어 있으며 설치함(2)에는 경사가 있는 결합돌기(7)가 형성되어 있어 물고기가 들어있는 본체(1)를 설치함(2)에 안착시키면 결합돌기(7)가 본체(1)의 설치함결합구멍(6)에 끼워져 결합되고 본체(1)를 위로 들면 분리되도록 되어 있으며, 본체(1)의 내측에는 산소발생기(5)와 연결되고 물의 역류가 방지되는 연결호스(8)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역류방지 방법은 외부관(9)과 내부관(10)으로 구성하여 외부관(9)에는 직경 0.5mm정도의 큰 구멍(11)을 천공하고 내부관(10)에는 미세한 구멍(12)을 천공하되 내부관(10)을 신축성있는 재질로 하여 내부관(10)에 일정이상의 공기압력이 채워지면 미세한 구멍(12)이 커져 공기가 새어나가고 공기압력이 떨어지면 미세한 구멍(12)이 막히는 방법으로 되어 있으며, 설치함(2)의 측면과 하부에는 단열층(13)이 형성되어 있고 안쪽에는 온도조절장치(4)나 산소발생기(5) 등의 전기용품 등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어항.
  2. 제 1항에 있어서, 온도조절장치(4)의 온도감지 센서(15)는 본체(1)의 내측에 위치하고 센서(15)를 제외한 부분은 설치함(2)에 위치하도록 하되 본체(1)를 설치함(2)에 안착시키면 센서(15)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전선의 전도부(16a)가 설치함(2)에 위치한 온도조절장치(4)로부터 돌출된 전선의 전도부(16b)와 접촉하여 센서(15)가 작동하며 본체(1)를 들면 센서(15)가 본체(1)와 함께 간단히 분리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어항.
  3. 제 1항에 있어서, 산소발생기(5)가 설치되지 않고 바이오 샌드(18)가 깔려있으며, 덮개(3)의 하부에는 숯을 넣을 수 있도록 개폐가 가능하고 다수 개의 구멍(19)이 천공되어 있는 숯통(20)이 연결되어 있으며, 온도조절장치(4)는 발열체(發熱體)가 소비전력이 낮은 다수 개의 전구(17a, 17b, 17c)로 되어 있고 이 전구(17a, 17b, 17c)에는 짙은 채색이 되어 전구(17a, 17b, 17c)가 너무 밝은 빛을 내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어항.
  4. 어항의 수면보다 낮은 위치에 산소발생기를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산소발생기(5)에 연결되는 연결호스(8)에 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 수단을 구비하는데 역류방지 수단은 외부관(9)과 내부관(10)으로 구성하여 외부관(9)에는 직경 0.5mm정도의 큰 구멍(11)을 천공하고 내부관(10)에는 미세한 구멍(12)을 천공하되 내부관(10)을 신축성있는 재질로 하여 내부관(10)에 일정이상의 공기압력이 채워지면 미세한 구멍(12)이 커져 공기가 새어나가고 공기압력이 떨어지면 미세한 구멍(12)이 막히도록 한 방식을 사용하여 연결호스(8)를 수면보다 높은 위치까지 올라가게 하지 않고 직접 물속에 넣을 수 있도록 하면서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발생기의 설치방법.
KR1020000053619A 2000-09-08 2000-09-08 소형 어항 및 산소발생기의 설치방법 KR200000725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3619A KR20000072556A (ko) 2000-09-08 2000-09-08 소형 어항 및 산소발생기의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3619A KR20000072556A (ko) 2000-09-08 2000-09-08 소형 어항 및 산소발생기의 설치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6080U Division KR200244934Y1 (ko) 2000-09-16 2000-09-16 소형 어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2556A true KR20000072556A (ko) 2000-12-05

Family

ID=19688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3619A KR20000072556A (ko) 2000-09-08 2000-09-08 소형 어항 및 산소발생기의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7255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12494A (zh) * 2018-04-28 2018-11-16 金华市凌特水产养殖技术有限公司 多功能金鱼养殖设备
CN112352728A (zh) * 2020-11-11 2021-02-12 杨玉生 一种水产养殖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12494A (zh) * 2018-04-28 2018-11-16 金华市凌特水产养殖技术有限公司 多功能金鱼养殖设备
CN112352728A (zh) * 2020-11-11 2021-02-12 杨玉生 一种水产养殖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5458B2 (en) Night light for plumbing fixtures
CN201226706Y (zh) 多功能水培装置
WO2018039921A1 (zh) 桌面型智能花箱
CN201715084U (zh) 自动开关式发光水龙头
JP2004008125A (ja) 土栽培と水栽培と鑑賞魚共生用の鉢の構造
JP2018059299A (ja) 液体の保温及び凍結防止方法
KR20000072556A (ko) 소형 어항 및 산소발생기의 설치방법
KR200244934Y1 (ko) 소형 어항
KR100694421B1 (ko) 수족관의 제어 방법
KR200227222Y1 (ko) 소형 어항
KR200228844Y1 (ko) 열대어용 소형 어항
CN201588278U (zh) 一种带夜灯的冲厕水箱控制面板
CN101669781A (zh) 一种分体式多功能足浴盆
CN207005839U (zh) 新型多功能led灯
CN210484678U (zh) 端进水杀菌水龙头
CN204164879U (zh) 一种悬挂式灯泡灯
CN204949159U (zh) 一种可控供水的自发电鱼缸
CN211832085U (zh) 一种植物栽培装置
CN210624804U (zh) 一种带有监测器的加湿器
KR100742725B1 (ko) 기능성 어항
CN109906818B (zh) 盆栽智能浇水装置
CN208688622U (zh) 一种花盆水位指示灯
CN214316575U (zh) 盆景滴灌器
CN101974932A (zh) 一种具有漏水警示功能的便器
CN201497163U (zh) 电解热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