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0897A - 콘테이너 백 - Google Patents

콘테이너 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0897A
KR20000070897A KR1019997007162A KR19997007162A KR20000070897A KR 20000070897 A KR20000070897 A KR 20000070897A KR 1019997007162 A KR1019997007162 A KR 1019997007162A KR 19997007162 A KR19997007162 A KR 19997007162A KR 20000070897 A KR20000070897 A KR 20000070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c
sleeves
container bag
sleeve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7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찰스 시드니 퓨터만
Original Assignee
퓨터만, 찰스
렉삼 멀록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퓨터만, 찰스, 렉삼 멀록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퓨터만, 찰스
Publication of KR20000070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089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18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double-walled or with 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75Lifting fittings
    • B65D88/1681Flexible, e.g. loops, or reinforc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콘테이너 백(10)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제거가능한 슬리이브(20)들 이를테면 4개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가능한 재질의 포대본체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운반걸이(18)로 구성된다. 부가적으로, 상기 포대본체, 받침부 및 선택적인 상단부에는 제거가능한 포대본체 슬리이브(20)에 부착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으며 또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는 제거가능한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덮개가 제공될 수 있다. 4 개의 슬리이브(20)를 갖는 새로운 중복사용 FIBC는 첫 번째 적재물이 채워져 최종 목적지까지 운반된다. 거기서 적재물은 하역되고 상기 FIBC는 재사용을 위하여 회수된다. 두 번째 적재물을 채우기 전에 상기 외측 슬리이브(20)가 오염된 경우 상기 슬리이브(20)를 제거하여 그 내부가 노출되도록 한다. 최종적으로는 외측 슬리이브(20)에 의해 보호되어온 최초 사용전의 상태가 된다. FIBC를 최종적으로 사용함으로써 FIBC의 포대본체가 드러나 모든 슬리이브들(20)이 제거될 때 까지 이러한 과정이 반복된다. 이러한 네 개의 슬리이브들(20)에 의해 FIBC의 오염문제를 해소하여 최소한 5회 이상의 재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테이너 백{CONTAINER BAG}
본 발명은 콘테이너 백에 관한 것으로, 특히 0.5 ∼ 2 톤 내외의 적재하물을 운반하기에 적합하도록 된 주지의 유연한 중간물인 산적화물(散積貨物) 콘테이너(FIBC's)에 관한 것이다.
산적화물 콘테이너는 수화물의 처리와 운송에 점진적으로 그 사용이 증가되고 있으며, 특히 과립상의 물체 혹은 분말상의 물체 등의 운송에 사용된다.
전형적인 FIBC는 에틸렌계 탄화수소의 일종인 폴리올레핀 방사로부터 직조된 원단으로 제조되며 또한 반드시 운반걸이를 가진다.
이러한 콘테이너의 예들은 영국특허 제1591991호 및 제2063816호에 잘 개시되어 있다.
상기 FIBC's는 각종 국내외의 안전규격에 맞아야 하는데 이를테면 보통 5:1의 안전율이 요구될 경우 FIBC를 1톤으로 가정했을 때 적어도 5톤의 하중을 견딜수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많은 FIBC's는, 심지어 소위 "일회용"이라고 불리는 FIBC's 조차도 충분히 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질기다.
실제로는 다수의 FIBC's가 "중복형" 제품으로 팔린다.
그러나 이러한 FIBC's는 흔히 사용중에 쉽게 더럽혀지는 바, 예컨대 지게차의 마스트 기름이 묻어 FIBC의 측면이 오염되게 된다.
FIBC의 재사용시 내부가 완전히 깨끗하도록 새 안감으로 수선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미 사용된 FIBC는 종종 그 표면에 생긴 여러종류의 기름자국, 얼룩 및 그와 유사한 것들에 의해 외관상 미려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특히 화학이나 의약제품과 같은 고가의 제품을 운반하는 경우, 사용자들이 비록 새로운 안감으로 내부를 수선하였다고 하더라도 외관상으로는 얼룩이생긴 콘테이너에 고가의 제품을 운반하는 위험을 감수하기를 꺼리는 것을 이해할 수 있게 한다.
반대로 어떤 제품은 FIBC가 깨끗한 경우(얼룩을 뺌으로써) FIBC에 안감을 대어 수선할 필요가 없지만 그 외부는 여전히 전처럼 지저분한 상태로 남아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개선시킨 FIBC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대본체에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착탈가능한 슬리이브들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가능한 포대본체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운반걸이로 구성된 콘테이너 백이 제공된다.
부가적으로, 상기 포대본체, 받침부 및 선택적인 상단부에는 제거가능한 포대본체 슬리이브에 부착되거나 부착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또는 일체로 형성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착탈가능한 덮개가 제공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착탈가능한 슬리이브는 이를 테면 4개 정도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어떤 FIBC의 방식은 다음과 같이 사용됨을 알 수 있다.
말하자면, 4개의 슬리이브를 완전히 갖춘 중복사용이 가능한 FIBC는 그것의 첫번째 수화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최후 목적지까지 운송된다.
그런 후에 상기 수화물은 하역되며 상기 FIBC는 재활용을 위해 회수된다.
그리고, 그것의 두 번째 수화물이 채워지기 전에 외측의 슬리이브를 살핀 후 만약 오염이 되었다면 이를 제거하여 그 바로 밑에 있는 슬리이브가 노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나중의 슬리이브는 외측 슬리이브에 의해 보호되어 온 최초의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과정은 FIBC의 정상적인 포대본체가 드러나는 모든 슬리이브가 제거될 때까지 반복되며 아마도 그때 최종 사용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4개의 슬리이브는 FIBC로부터 최소한 다섯 번 정도 오염없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슬리이브 혹은 슬리이브들은 아주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FIBC에 부착된다.
이들 슬리이브들은 자르거나 재봉을 하거나 혹은 부착되기에 적당한 다른 어떤 방식으로 느슨하게 덧붙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슬리이브는 절단하거나 혹은 재봉선을 자르거나 벗겨냄으로써 용이하게 제거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슬리이브에는 회사로고나 혹은 어떤 지시문구를 새겨 FIBC에 나타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FIBC에서 슬리이브의 보다 나은 유용성은 FIBC에 더 많은 안정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구조상 관모양이며 비교적 가볍고 값싼 재료인 슬리이브들은 일체로 형성되거나 혹은 재봉되거나 또는 각 슬리이브가 개별적으로 형성된 받침부 덮개에 병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부 덮개는 이음매듭을 갖는 바, 이를테면 FIBC의 배출구에 적용가능한 교차이음매듭과 같은 것이다.
병합된 받침부의 부수적인 유용성은 백이 땅에 놓일 때 도움을 주고 또한 사용자가 팔레트없이도 사용가능하게 하여 준다.
상기 슬리이브 및/또는 받침부는 재봉과 같은 수단에 의해 부착되는데 재봉실의 색깔은 각 겹마다 달리하여 사용자가 즉시 말할 수 있고 노출된 색깔에 의해 얼마나 많은 겹의 사용가능한 슬리이브가 남아 있는지 알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FIBC를 형성하는 것으로부터 직조된 원단뿐만 아니라 상기 슬리이브 및 받침부는 이런 형식의 콘테이너 백에 사용되는 상투적인 직물일 것이며 폴리우레탄 혹은 폴리프로필렌 방사로부터 직조될 것이다.
상기 FIBC의 측벽은 직조물 내부에 보강용 방사를 갖는 보강구역 혹은 보강면을 갖는 직조물로 만들어지며, 이러한 것은 예컨대 영국특허 제1591091호에 공개되어 있다.
이러한 보강면은 상기 특허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공되며 폴리마이드, 폴리에스테르, 꼬이거나 혹은 가는 섬유가 있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고신축력의 방사로 형성된다.
상기 운반걸이는 이러한 보강면에 부착된다.
상기 FIBC는 그 측벽 하측으로 연장된 "현수식"의 운반걸이를 갖거나 상기 콘테이너 포대본체의 받침부 하측에 부착되거나 둘 중 하나일 것이다.
어떤 경우에는 상기 운반걸이가 인조방사로 된 가죽끈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한 바, 이를 테면 자동차용 시트밸트로 사용되는 끈, 폴리마이드 또는 폴리에스테르로 된 방사, 혹은 로우프, 적당한 장력을 가진 밧줄과 같은 것이 적당하다.
상기 4개의 운반걸이는 상기 콘테이너 백의 대향된 코너부에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너부는 반드시 측면의 재봉선에 의해 구분될 필요는 없다.
이러한 백의 구조는 내용물이 충진될 때 그 형상이 대충 입방체가 되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며, 더욱 잘 쌓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콘테이너 백은 최고로 장비된 것이며, 및/또는 FIBC 분야에서 투입구 뿐만 아니라 배출구는 일반적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의 실시예를 따라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면설명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FIBC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도; 그리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FIBC의 저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FIBC(10)는 일반적으로 측벽(12)과 받침부(14)로 이루어진다.
백은 원형으로 직조되기도하고 상기 측벽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재봉된 봉합선(16)에 의해 서로 부착될 수도 있다.
운반걸이(18)는 백의 대향된 코너부에 제공된다.
상기 백(10)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슬리이브(20)를 갖는데 바람직하게는 4개가 적당하다.
상기 슬리이브(20)는 에컨대 재봉과 같은 수단(22)에 의해 상기 백에 느슨하게 부착되며, 연속적인 각 슬리이브(20)에 사용된 실의 색깔은 얼마나 많은 슬리이브가 남아있는지를 즉시 가시적으로 알 수 있도록 각기 달리함이 바람직하다.
각 슬리이브(20)는 매듭끈(30)을 구비한 배출구(28)에 적용가능하도록 교차이음매듭(26)으로 결속하여 받침부(24)를 병합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개봉이 방지된 받침부는 각 슬리이브(20)에 부착될 수도 있고, 아니면 추가로 하나의 받침부가 사실상 중복사용 목적의 FIBC(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본 발명의 백은 총 4 개의 슬리이브들(20)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운반물로 채워진다.
이 단계에서는 4 개의 슬리이브(20)들이 구비된다.
그런 후에, 상기 운반물은 배출되고, 백(10)은 재 사용되게 된다.
이때, 상기 외측 슬리이브(20)의 오염여부를 면밀하게 살피고, 만약 오염이 되었다면, 오염된 부위를 자르거나 혹은 재봉(22)을 뜯어내거나 하여 외측 슬리이브를 제거하게 된다.
그런후에 사용하기전의 초기상태 및 확실하게 백을 재 사용할 수 있도록 된상태가 되도록 이후 각 겹의 슬리이브를 벗겨낸다.
각 슬리이브는 예컨대 지시사항, 회사로고, 위험경고문 등과 같이 필요하거나 원하는 인쇄물을 나타낼 수 있다.
모든 4 개의 슬리이브(20)들이 FIBC로부터 제거되더라도 노출된 외부 포대본체(12)는 재 사용동안 완전히 오염될 때까지 사용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FIBC는 간단하여 경제적이고 중복사용에 따른 오염문제를 해결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1)

  1. 포대본체에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착탈가능한 슬리이브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가능한 포대본체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운반걸이로 구성된 콘테이너 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대본체 및 받침부에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착탈가능한 덮개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 백.
  3. 제2항에 있어서, 착탈가능한 상기 받침부용 덮개는 상기 포대본체의 슬리이브에 부착되거나 혹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 백.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 덮개는 FIBC의 배출구에 적용가능하도록 교차이음매듭과 같은 이음매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 백.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착탈가능한 상기 덮개는 상단부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 백.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착탈식 슬리이브는 하나 이상, 이를테면 네 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 백.
  7. 제1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 또는 슬리이브들은 상기 FIBC에 용이하게 제거가능한 방식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백.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들은 자르거나 혹은 재봉을 하거나 그 이외의 다른 적당한 부착방식에 의해 느슨하게 덧붙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 백.
  9. 제1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들은 관상구조이고 비교적 가볍고 값싼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 백.
  10. 제1항 내지 제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 및/또는 받침부는 재봉과 같은 수단에 의해 부착되고 연속적인 각 겹에 사용된 재봉실의 색깔을 달리하여 사용자가 즉시 말 할 수 있으며, 노출된 재봉실의 색깔에 의해 얼마나 많은 겹의 슬리이브가 남아 있는지를 즉시 알 수 있도록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 백.
  11. 제1항 내지 제1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FIBC를 형성하는 것으로부터 직조된 원단 뿐만 아니라 상기 슬리이브 및 받침부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방사로부터 직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 백.
KR1019997007162A 1997-02-07 1998-01-27 콘테이너 백 KR200000708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702574.6 1997-02-07
GBGB9702574.6A GB9702574D0 (en) 1997-02-07 1997-02-07 Container ba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0897A true KR20000070897A (ko) 2000-11-25

Family

ID=10807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7162A KR20000070897A (ko) 1997-02-07 1998-01-27 콘테이너 백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1015355A1 (ko)
JP (1) JP2001511097A (ko)
KR (1) KR20000070897A (ko)
AU (1) AU5772798A (ko)
CA (1) CA2279532A1 (ko)
GB (1) GB9702574D0 (ko)
ID (1) ID22496A (ko)
NO (1) NO993639L (ko)
TR (1) TR199901896T2 (ko)
WO (1) WO19980348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24129B1 (de) * 2021-03-29 2022-03-15 Jan Svejda Behälte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91091A (en) * 1977-01-10 1981-06-17 Miller Weblift Ltd Containers
DK148880C (da) * 1979-12-05 1986-04-07 Miller Weblift Ltd Beholder til massegods
IT8819942A0 (it) * 1988-03-24 1988-03-24 Verbano Saccheria Contenitore per il trasporto diprodotti sfusi, in particolare in polvere.
US4874258A (en) * 1988-06-23 1989-10-17 Marino Technologies, Inc. Bulk cargo container with inner liner
US5192134A (en) * 1991-11-12 1993-03-09 Polett Walter J Re-usable flexible bulk containers
US5938338A (en) * 1994-09-09 1999-08-17 Rohm & Haas Company Recycleable bulk bag containers
US5529393A (en) * 1994-12-02 1996-06-25 Polett; Walter J. Flexible bulk container with disposable l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772798A (en) 1998-08-26
ID22496A (id) 1999-10-21
JP2001511097A (ja) 2001-08-07
TR199901896T2 (xx) 2001-01-22
NO993639D0 (no) 1999-07-27
NO993639L (no) 1999-07-27
CA2279532A1 (en) 1998-08-13
EP1015355A1 (en) 2000-07-05
WO1998034854A1 (en) 1998-08-13
GB9702574D0 (en) 1997-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59473A (en) Collapsible receptacle with integral sling
US4194652A (en) Collapsible receptacle for flowable materials
CA1171805A (en) Securing a liner within a flexible container
US4143796A (en) Collapsible receptacle for flowable materials
US5762421A (en) Reusable bulk bag with liner
US4036361A (en) Collapsible container
FI57913B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en flexibel saeck och en flexibel saeck
US5967579A (en) Industrial diaper for flexible bulk containers
US6921201B2 (en) Bulk bag for meat and meat products
EP1021351B1 (en) Reusable packaging
US5209364A (en) Collapsible containment system
US20100322538A1 (en) Flexible bulk containers constructed to be liftable from below by a forklift
US5529393A (en) Flexible bulk container with disposable liner
GB2036691A (en) Flexible skip
US5713510A (en) Containers
US20020164093A1 (en) Container with repositionable slip-sheet to cover outlet
KR101803469B1 (ko) 외피에 삽입된 내피를 갖는 인서트 구조의 컨테이너백
US20010027826A1 (en)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with fork lift guide
CA1158574A (en) Collapsible receptacle with integral sling
US4948265A (en) Container bag
KR101966970B1 (ko) 컨테이너 백
EP0292741A2 (en) Portable bag
KR101803470B1 (ko) 오버랩 구조의 컨테이너백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컨테이너백
KR20000070897A (ko) 콘테이너 백
SA516371623B1 (ar) حاوية مرنة متوسطة الحج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