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9860A - 음극선관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음극선관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9860A
KR20000069860A KR1019997006048A KR19997006048A KR20000069860A KR 20000069860 A KR20000069860 A KR 20000069860A KR 1019997006048 A KR1019997006048 A KR 1019997006048A KR 19997006048 A KR19997006048 A KR 19997006048A KR 20000069860 A KR20000069860 A KR 20000069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t
electron gun
manufacturing
high frequency
cathode 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6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한네스 아리에 기츠베르트 피에테르 담스테그트
드릭 반호우웰링겐
Original Assignee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요트.게.아. 롤페즈
Publication of KR20000069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986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42Measurement or testing during manufa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음극선관 또는 음극선관을 구비하는 장치를 시험하기 위하여 전자총의 일부는 고주파 전자방사를 통해 가열된다. 고주파 전자방사 가열로 인하여, 음극선관이 턴-온된 이후 시험 동작이 수행될 수 있기 전에 경과해야만 하는 시간인 웜-업(warm-up) 기간은 예를 들면 약 30분에서 약 2분으로 단축될 수 있다.

Description

음극선관 제조 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A CATHODE RAY TUBE}
이러한 제조 방법은 공지되어 있다.
음극선관(CRT)은 특히 TV 수상기 및 컴퓨터 모니터에 사용된다.
CRT 제조 방법의 과정에서, CRT는 영상 에러의 확인을 위해 시험될 수 있으며, 만일 영상 에러가 검출되면 CRT의 설정을 변경한다.
상기 시험은 시간을 낭비하며, 이에 따라 CRT의 원가를 높인다.
본 발명은 전자총을 구비하는 음극선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CRT 제조 방법을 기술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연계된 및 연계되지 않은 열 드리프트 도시도.
상기 도면들에는 척도(scale)가 표시되지 않았다. 도면에서 도일한 부분에 대해선 동일한 참조번호로 기재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문에서 언급된 형태의 CRT 제조 방법을 제공하여서 CRT가 보다 빨리 시험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은 전자총의 일부가 고주파 방사에 의해 가열된 다음, 상기 CRT가 시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지된 방법에서, CRT는 CRT의 여러 부분이 작동 온도에 도달하는 즉, 소위 "열 드리프트(thermal drift)"가 안정화되는 대기 기간 이후에 턴-온 되고 시험된다. 상기 대기 기간은 일반적으로 30-50분이 걸린다. 상기 대기 기간 (또는 웜-업(warm-up) 기간)을 감축하면 시간과 이에 따른 경비가 절약된다. 예를 들면 전자총의 일부는 하나의 전극이나 다수의 전극 또는 전자총의 다른 금속-함유 부분일 수 있고, 또는 전자총 전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자총의 전극을 고주파 방사로 가열함으로써 대기 기간이, 예를 들면, 수 분 또는 2분 이하로 상당히 감축될 수 있다는 인식에 기반을 두고 있다. 그 결과로 가열 시간은 상당히 감축된다.
고주파 가열은 다른 장점, 다시 말하면 전극의 온도가 손쉽게 조절될 수 있고, 전극은 작동 온도로 빨리 가열 될 수 있으며, 또한 단지 금속 부분 즉, 전극만이 가열된다는 장점들을 또한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고주파 코일은 전자총 주변에 배치되는데, 소위 G2 전극에 가깝게 상기 코일이 놓여 있으면 많은 유리한 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관점 및 기타 관점들은 이후에 설명된 실시 예들을 참조함으로써 분명하게되고 명료하게 될 것이다.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1)(도 1)는 디스플레이 윈도우(3), 콘(4) 및 넥(5)을 갖는 진공 엔벨로프(2)를 구비한다. 상기 넥(5)은 세 개의 전자빔(7, 8, 9)을 생성하기 위한 전자총(6)을 수용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10)은 디스플레이 윈도우의 안쪽에 위치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10)은 적색, 녹색 및 청색으로 발광하는 형광체로 된 형광 패턴을 구비한다. 전자빔(7,8,9)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 향하는 도중에 편향(deflection) 유니트(11)에 의해 디스플레이 스크린(10)을 가로질러 편향되고, 디스플레이 윈도우(3)의 안쪽면에 배치되며, 애퍼쳐(13)(apertures)를 갖는 박막(thin plate)을 구비하는, 새도 마스크(12)를 통과한다. 새도 마스크는 현가 수단(14)에 의해 디스플레이 윈도우에 현가된다. 상기 세 개의 전자빔은 수렴하고, 서로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로 새도 마스크의 애퍼쳐를 통과하여, 결과적으로 각 전자빔은 단일 컬러의 형광체에 충돌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CTR 제조 방법을 도시한다. 넥(5) 주변에는 작동할 때 예를 들어 HU-2형(수냉식) Himmelwerk 발생기와 같은 고주파 발생기(22)에 결합되는 고주파 코일(21)이 제공된다. 이 예에서 코일(21)은 내부 직경이 32mm인 단일 권선을 갖는다. 이 예에서 코일은 전자총(6)의 프리-포커싱(free-focusing) 부분(G1, G2 및 G3-전극)과 거의 동일 평면이 되도록 바람직하게 배치된다. 실험적인 설정에 있어, 48kHz 주파수를 갖는 고주파 전자장은 0.9킬로와트에서 4초 동안 생성되었다. 고주파 전자방사의 주파수는 20-100kHz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높은 주파수에서는 상당히 큰 온도 차이가 국부적으로 (예를 들면 전극의 가장자리에서) 발생는데, 이것은 열 스트레스(stress)를 유발할 수 있다. 보다 낮은 주파수에서는 전자 총의 비교적 큰 부분이 가열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을 이용하거나, 또는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얻어진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다. 상기 그래프에서는, 소위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열 드리프트가 CRT에서 턴-온 한 이후 시간 함수로 도시)되었다. 열 드리프트는 CRT의 가열 결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전자빔의 변위를 일으키는 현상이다. 도면에 그래프로 도시된 상기 열 드리프트는 인-라인(in-line) 전자총을 구비하는 CRT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서, 중앙 전자빔에 대해 가장 바깥쪽에 있는 두 개의 전자빔의 (마이크로미터 단위로 측정된) 변위 측정이다. 그러한 변위는 컬러 에러를 유발한다. 만일 상기 변위가 더 이상 발생하지 않으면, 열 드리프트는 "0"이다. CRT 제조 방법에 있어서 중요한 단계는 CRT의 조절단계인데, (CRT 전극의 전압 또는 편향 유니트를 통과하는 전류와 같은) 획득된 화상 품질이 요구하는 표준에 부합하도록 하기 위해 다수의 조절 가능한 계수들이 설정된다. 도 3의 그래프에서 "1"과 "2"는 CRT를 턴-온 한 이후 공지된 방법에서 열 드리프트를 나타낸다. 단지 약 30-40분 이후에나 스크린 상의 전자빔의 위치는 더 이상 열 드리프트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되어(변위가 더 이상 발생하지 않게 되어) CRT의 조절 가능한 계수들이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대기 시간"은 경비와 공간을 요한다. 그래프(3, 4,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서 열 드리프트를 보여준다. 이 예에서, 코일은 CRT의 넥 주변, 즉 G2-G3 전극 위치에 근접하게 배치된 후, 가열 동작이 (위에서 기술된 방법으로) 4초 동안 수행된다. 뒤이어 CRT가 턴-온 된다. 2분이 넘지 않는 대기 시간 이후에, 열 드리프트는 곡선(1과 2)에서 30-40분의 대기 시간 이후에 얻어진 열 드리프트에 필적하게 된다. 상기 대기 시간이 감축될 수 있기 때문에, 시간(또한 이에 따른 경비)이 절약된다. 가열 코일( 및 이에 따른 가열될 전자총 부분)의 위치는 이런 관점에서 중요하다. 가열 코일과 G2 전극 사이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효과는 감소한다. 다시 말해, 필요한 대기 기간은 증가한다.
본 발명에 따른 CRT 제조 방법이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코일(21)의 공급 전류의 주파수는 변할 수 있으며,또한 코일이 활성화되는 기간이 변할 수 있다. 코일은 한번 이상의 권선을 포함할 수도 있다. 시험 도중에 코일은 CRT의 넥 주위에 배치될 필요가 없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고주파 가열과 CRT 턴-온 사이는 짧은 기간(예를 들어 1분)이 될 수도 있다. 상기 고주파 가열의 결과로, 전자총(의 일부)은 가열된다. 전자총이 진공 상태에 놓여지고, 전자총과 CRT의 다른 부분 사이는 작은 열 접촉이 존재하기 때문에, 가열된 전자총(의 일부)의 온도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그 코일이 사용된 이후에 상기 가열 코일은 제거될 수 있으며, CRT는 필요한 결합을 갖춘 다음 활성화된다. 상기 도면들은 CRT 제조 방법을 보여준다. CRT는 앞서 기술된 것처럼 시험된다. TV 수상기나 컴퓨터 모니터와 같은 CRT를 구비하는 장치들은 그 제조 과정에서 역시 시험되는데, 상기 시험은 열 드리프트가 거의 없거나 아주 적을 때까지 수행될 수 없을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CRT를 구비하는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전자총의 일부가 고주파 방사로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Claims (4)

  1. 전자총을 구비하는 CRT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총의 일부는 고주파 방사에 의해 가열되며, 그 후에 상기 CRT가 시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T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고주파 코일은 상기 전자총 주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T 제조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코일은 상기 G2-전극 가까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T 제조 방법.
  4. 전자총을 갖춘 CRT를 구비하는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총의 일부는 고주파 방사에 의해 가열되며, 그 후에 상기 장치가 시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T 구비 장치 제조 방법.
KR1019997006048A 1997-11-05 1998-10-26 음극선관 제조 방법 KR200000698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7203436 1997-11-05
EP97203436.7 1997-11-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9860A true KR20000069860A (ko) 2000-11-25

Family

ID=8228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6048A KR20000069860A (ko) 1997-11-05 1998-10-26 음극선관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048240A (ko)
EP (1) EP0950255A1 (ko)
JP (1) JP2001507861A (ko)
KR (1) KR20000069860A (ko)
WO (1) WO19990236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19691B (en) * 1999-03-30 2001-01-2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Display device comprising a deflection unit and a deflection unit for a display device
US20050151708A1 (en) * 2004-01-12 2005-07-14 Farmer Ronald E. LED module with uniform LED brightness
US7377669B2 (en) * 2005-03-28 2008-05-27 U.S. Led, Ltd. LED module and system of LED modules with integral branch connectors
CN101217093B (zh) * 2007-12-26 2010-06-02 彩虹显示器件股份有限公司 一种彩管表面不良的处理方法
US20090278465A1 (en) * 2008-05-09 2009-11-12 U.S. Led, Ltd. Power conversion unit for led lighti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2186A (en) * 1989-10-24 1990-08-28 Rca Licensing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a color picture tube electron gun with reduced convergence drift
JP2937386B2 (ja) * 1990-03-08 1999-08-23 株式会社東芝 カラー受像管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507861A (ja) 2001-06-12
WO1999023683A1 (en) 1999-05-14
US6048240A (en) 2000-04-11
EP0950255A1 (en) 1999-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1375A (en) Cathode, electron gun, and cathode-ray tube having a heating element for use during cold electron emisson
KR20000069860A (ko) 음극선관 제조 방법
US5932957A (en) Cathode-ray tube having detentioning rod assembly for a tension mask frame
KR900001504B1 (ko) 칼라 수상장치
EP0072588B1 (en) Cathode-ray tube
EP0453039B1 (en) Cathode ray tube comprising an electron gun
EP0396722B1 (en) Methods for post-assembly custom fine-tuning of an electron beam characteristic in a cathode ray imaging tube and tuned tube
KR100408584B1 (ko) 음극선관및음극선관용편향장치
JPS6310444A (ja) カラー表示装置
KR100302201B1 (ko) 전자총 구조체
US6441547B1 (en) Cathode ray tube with narrowed neck portion
KR100471962B1 (ko) 음극선관용편향요크
KR100396668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50001081B1 (ko) 섀도우마스크의 도밍(domming)측정장치
KR0131437Y1 (ko) 칼라수상관용 전자총의 실드컵구조
KR100209613B1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JP3017815B2 (ja) 陰極線管
KR100215816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0166016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334064B1 (ko) 칼라음극선관의게터플레싱장치
KR0126368Y1 (ko) 브라운관용 새도우 마스크
KR20020064114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고정장치
KR20000074897A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00033554A (ko) 음극선관
KR20020082697A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