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9799A - 흡수용품용 표면재료, 표면재료를 포함하는 흡수용품 및 흡수용품에서 재료의 사용 - Google Patents

흡수용품용 표면재료, 표면재료를 포함하는 흡수용품 및 흡수용품에서 재료의 사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9799A
KR20000069799A KR1019997005943A KR19997005943A KR20000069799A KR 20000069799 A KR20000069799 A KR 20000069799A KR 1019997005943 A KR1019997005943 A KR 1019997005943A KR 19997005943 A KR19997005943 A KR 19997005943A KR 20000069799 A KR20000069799 A KR 20000069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fibers
bicomponent
absorbent article
bicomponent fi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5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그너슨잉그브리트
오로프슨울라
Original Assignee
에스체아 히기에너 프로덕츠 악티에볼라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체아 히기에너 프로덕츠 악티에볼라그 filed Critical 에스체아 히기에너 프로덕츠 악티에볼라그
Publication of KR20000069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979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6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being formed of multipl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25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2013/5100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 A61F2013/5102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being polymeric fibres
    • A61F2013/5102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being polymeric fibres being in thermoplast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2013/5100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 A61F2013/5102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being polymeric fibres
    • A61F2013/5102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being polymeric fibres being bicompon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2Applications used for fi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방축, 나선형 탄력성 열가소성 다성분 섬유(1), 바람직하게 2성분섬유(1)를 포함하는, 흡수용품용 표면재료(5)에 관련된다. 다성분 섬유내 성분(2,3)은 서로 다른 수축성을 가지고 서로 병렬 관계로 위치한다. 재료는 소수성 섬유로 이루어지고 비어있는 공기가 잘 통하는 구조를 가져 흡수용품에서 액체를 신속히 통과시키고 흡수층 또는 시트(7)에 운반시킨다. 재료는 매끄럽고 부드러운 표면을 가지기 때문에, 사용시 착용자에 가깝게 위치할 시트(5)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표면재료(5)를 포함하는 흡수용품에 관련하고, 흡수용품에서 포착/운반 시트 및 표면시트 둘다로서 이 재료의 사용에도 관련한다.

Description

흡수용품용 표면재료, 표면재료를 포함하는 흡수용품 및 흡수용품에서 재료의 사용{SURFACE MATERIAL FOR ABSORBENT ARTICLES, ABSORBENT ARTICLES THAT INCLUDE THE SURFACE MATERIAL, AND THE USE OF THE MATERIAL IN ABSORBENT ARTICLES}
흡수용품은 전형적으로 수개의 재료의 층 또는 시트, 예를 들어, 액체 불투과성 뒷받침 시트, 뒷받침 시트 위에 배치된 흡수 층 또는 시트, 그 위에 포착층/운반층 그리고 최종적으로 사용시 착용자에 가깝게 위치하도록 의도된 표면시트 또는 상부시트로 이루어진다. 포착/운반층은 비어있는 공기가 잘 통하는 구조를 가지고, 주어진 부피의 액체를 신속히 흡수하고 이 액체를 흡수층에 신속히 이행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포착/운반 시트는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합성섬유를 공기를 통과시켜 접착시키거나 바느질 가공하여 제조될 수 있는 높이 부풀은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층 또는 시트는 거칠고 따끔따끔한 표면을 가지므로 층이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닿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포착시트 상부에 감촉이 더 부드럽고, 더 안락한 표면시트를 까는 것이 필요하다. 표면시트는 이를테면, 부직포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층을 가지는 재료가 이를테면, SE-B-470 064로부터 당기술에 알려져 있다. 이 공개물은 2성분섬유와 초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진 시트를 포함하는 흡수섬유구조를 교시한다. 2성분섬유는 열-방축, 나선형, 탄력성 열가소성 2성분섬유로 구성되고, 섬유 성분은 서로 다른 수축성을 가지고, 서로 나란한 관계로 위치한다. 초흡수성 재료는 입자형태이고, 섬유구조에서는 주로 나선형 2성분섬유의 회전점에서 기계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유지된다. 이 흡수섬유구조는 흡수제품의 흡수시트에 사용되고 2성분섬유의 주목적은 초흡수성 재료를 보유하여, 양호한 흡수성을 가지는 흡수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US-A-1,551,378은 부직포의 신축성있는 편물을 교시한다. 편물은 섬유를 열적으로 수축시키는 동시에 접촉점에서 섬유를 함께 융합시킴으로써 상호 접착된 2성분섬유로부터 제조된다. 섬유 성분은 서로 다른 수축성을 가지기 때문에, 가열되면, 3차원 나선형을 형성한다. 편물은 운동복 및 옥외작업복에서 열 절연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EP-A1-0 306 262 및 GB-A-2 214 201은 이를테면, 기저귀와 생리대에서의 흡수구조를 교시한다. 이들 구조는 구조에 탄력성을 첨가하고, 또한 흡수제품을 사용하는 동안 주름지는 것에 대한 저항을 증강시키기 위해 꼬인 섬유를 포함한다.
현재의 흡수용품이 가지는 몇가지 문제는 포착/운반 시트가 비싸고, 이들의 거칠고 따끔따끔한 표면으로 인해 피부에 접촉시 불쾌감을 느낀다는 것이다. 따라서, 인체에 대해 더 부드러운 표면시트가 추가로 필요하게 되고, 제조시 추가의 시트로 작업되므로, 용품이 더 비싸지고, 제조하기는 더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들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저귀, 생리대, 요실금보호대, 팬티라이너 및 유사용품과 같은 흡수용품용 표면재료, 상기 표면재료를 포함하는 흡수용품 그리고 흡수용품에서 통합된 외부 시트 및 포착/운반 시트로서 이 재료의 사용에 관련된다.
도 1은 나선형 2성분섬유의 개략도이다.
도 2a, 2b 및 2c는 각각 도 1의 선 II-II 상에서 가져온 서로 나란히 위치한 섬유의 세가지 예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몇몇 점에서 서로 융합된 나선형 2성분섬유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요실금보호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위 쪽에서 본 요실금보호대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재료의 하나의 구체화를 전자현미경으로 100배 확대하여 주사한 사진이다.
도 7은 도 6에서 보여지는 재료의 섬유의 횡단면을 1000배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진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부분적으로 열-방축, 나선형, 탄력성 열가소성 다성분섬유, 바람직하게 2성분섬유를 포함하는, 기저귀, 생리대, 요실금보호대, 팬티라이너 및 유사용품과 같은 흡수용품용 표면재료에 관련된다. 나선형 섬유는 재료에 비어있는 공기가 잘 통하는 구조를 제공하므로, 구조가 액체를 신속히 받아들여서 표면시트를 통과하여, 아래에 놓인 흡수층으로 운반할 수 있다. 표면재료는 또한 부드럽고 매끄러운 표면을 가진다.
본 발명의 흡수용품은 바닥 액체-불투과성 시트, 흡수시트와 상기 표면재료로 이루어지고 사용시 착용자에 가깝게 위치하도록 의도된 상부 액체-투과성 표면시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흡수용품에서 통합된 표면 및 포착/운반 시트로서 상기-설명된 재료의 사용에 관련된다. 표면재료가 비어있는 공기가 잘 통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포착/운반 시트로서 역할을 할 것이다. 시트는 또한 부드럽고 매끄러워 표면시트로서의 역할도 동시에 할 수 있다.
재료는 약 40-100 g/m2, 바람직하게 약 50-90 g/m2 단위넓이 당 중량을 가진다.
본 발명은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표면재료는 열-방축, 나선형으로 된 탄력성 열가소성 다성분섬유, 바람직하게는 2성분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섬유성분이 서로 다른 수축성을 가지며 서로 나란한 관계로 배치된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열-방축, 나선형으로 된 탄력성 2성분섬유는 도 1에서 보여진다.
본 발명은 2성분섬유에 관하여 아래에 설명된다.
다른 타입의 서로 병렬된 2성분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a는 두성분(2,3)가 나란히 위치하고, 타원형의 형태를 가지며, 각 섬유의 표면의 일부를 따라 함께 붙어 있는 섬유(1)의 횡단면도이다. 도 2b는 성분(2,3)이 도 2a의 실례와 유사하게 서로 병렬된 섬유의 또다른 타입을 예증한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에, 2성분섬유(1)는 두 성분(2,3) 사이에 2성분섬유의 단면을 가로지르는 상호 연결선을 가지는 원형의 횡단면을 가진다. 도 2c는 편심의 외피-코어 섬유인 세번째 타입의 섬유를 보여준다. 섬유(1)의 첫번째 성분(2)는 두번째 성분(3)의 외피로 둘러싸인 편심적으로 놓인 코어의 형태를 가진다. 첫번째 성분(2)를 포함하는 코어는 두번째 성분(3)의 내에 놓여있기 때문에, 첫번째 성분(2)의 일부 표면이 2성분섬유의 겉면 또는 경계에 놓이게 되면 두번째 성분은 속이 비게 될 것이다. 따라서, 첫번째 성분(2)은 자유롭게 놓인 외부의 일부를 가질 것이다.
2성분섬유는 일반적으로 둥근형태이지만, 이를테면 타원형, 삼엽(三葉) 또는 직사각형의 횡단면형태를 가지는 섬유와 같이 다른 횡단면 형태를 가지는 섬유도 가능하다.
선택된 섬유성분은 서로 다른 수축성을 가져야 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이러한 성질을 가지는 2성분섬유에 열을 가하면, 2성분의 각각은 서로 다른 정도로 수축할 것이므로 섬유의 한쪽이 다른 쪽보다 더 짧아지게 될 것이고, 이로 인해 섬유가 꼬이고 수축하여 도 1에서 보여지는 나선형의 형태가 될 것이다. 본 목적에 적합한 2성분섬유는 참고번호 EP-HS P2로 일본 오사카의 Chisso Corporation에 의해 시판된다. 이 섬유는 각각 고융점과 저융점을 가지는 두개의 다른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되는 1.7 dtex의 굵기의 수축, 용융 섬유이다. 이 섬유는 도 2c에서 보여지는 나란한 타입이다.
이들 2성분섬유로 이루어지는 표면재료는 예를 들면, 병렬된 섬유로부터의 고오즈 직물을 카딩하고, 오븐-접착함으로써 제조된다. 30-60 mm, 바람직하게 40-50 mm의 길이를 가지는 스테이플섬유를 사용한다. 섬유성분은 다른 정도로 수축할 것이므로, 2성분섬유가 꼬이고 수축하여 나선형의 형태를 가지게 될 것이다. 열-처리되고 접착된 시트는 2성분섬유가 나선형이고 공기가 잘 통하는 구조가 시트에 첨가되기 때문에 오븐에 들어가는 카딩된 실보다 더 두껍게 될 것이다. 2성분섬유가 열-처리 과정에서 용융되기 때문에, 섬유는 또한 실제 섬유 구조에 결합제로서의 역할도 한다. 따라서, 도 3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나선은 용융되고 나선의 분리된 지점에서 서로 융합될 것이다. 2성분섬유(1)는 점(4)에서 서로 접착된다.
표면재료는 소수성 섬유로 적당하게 이루어진다. 나선형 섬유는 표면재료에 비어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것은 재료가 액체를 흡수하지는 않으나, 그 대신 액체를 제품내로 빠르게 포착하고 운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표면재료는 흡수용품에서 포착/운반 시트로서의 역할을 한다. 표면시트가 액체를 빠르게 통과시키기 때문에, 사용시 시트의 표면은 착용자의 피부에 건조하게 느껴질 것이다. 제품 표면에서의 액체의 이동은 방지된다.
본 발명의 표면재료는 현재의 포착/운반 시트와는 반대로 부드럽고 매끄럽다. 재료는 약 1.5-3.3 dtex, 바람직하게 1.7-2.5 dtex의 굵기를 가지는 섬유로부터 제조된다. 이들 섬유는, 종래의 포착/운반 시트에 사용되는 약 4 dtex의 굵기를 가지는 결합섬유와 혼합된 약 6 dtex의 굵기를 가지는 전형적 섬유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가늘다. 섬유가 더 거칠수록 재료는 더 딱딱하고 더 따끔따끔하다. 이 종래의 시트는 착용자의 피부와 직접 접촉되는 데 사용하기에는 너무 딱딱하고, 너무 따끔따끔하다. 그러나 앞서 밝힌 섬유의 굵기는 종래의 재료에 포착/운반 시트로서의 역할을 하기 위해 충분한 공기가 잘 통하는 또는 비어있는 구조를 첨가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약 1.5-3.3 dtex의 굵기를 가지는 2성분섬유가 재료를 종래의 재료보다 더 매끄럽고 더 부드럽게 만들어, 본 발명의 재료는 착용자의 피부에 가깝게 놓이고 접촉될 수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시트가 포착/운반 시트로서 그리고 표면시트로서의 둘다의 역할을 하고, 그러므로 원래의 추가의 표면시트의 필요성이 제거된다.
도 6은 참고번호 EP-HS P2, 1.7 dtex의 굵기를 가지는 일본 오사카의 Chisso Corporation에 의해 시판되는 2성분섬유로부터 제조된 발명재료의 하나의 구체화를 예증하는 사진이다. 2성분섬유는 두개의 서로 다른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수축 용융 섬유이다.
사진에서 섬유는 100배 확대된다. 섬유가 열처리의 결과로 나선형으로 된 것이 사진에서 보여질 것이다.
도 7은 1000배 확대한 것만 제외하고는 도 6에서 보여지는 것과 동일한 재료의 사진이다. 사진은 섬유의 횡단면을 보여주는데, 섬유가 도 2c에 따라서 서로 병렬 관계에 있는 것이 보일 것이다. 성분2는 코어로서 보여지고 성분3이 코어주위에 배치되어 있다. 성분3은 열-처리 가공으로 용융되고, 흘러서 완전히 성분2로 이루어지는 코어를 덮는다.
방축 섬유(1)에서 두 성분(2,3)의 각각은 가열되면 서로 다른 정도로 수축될 것이 필수적이다. 이 수축 불균형은 방축된 섬유를 나선형으로 만들 것이다. 방축된 2성분섬유(1)는 매우 신장성있고 탄력성있어서, 시트에서 자유로운 움직임의 적당한 한도를 제공한다. 그래서 재료는 완성된 제품에서 쉽게 형태가 잡힐 수 있고, 안락한 형태로 착용자의 체형에 맞게 될 것이다.
하나의 바람직한 구체화에서 2성분섬유(1)의 성분(2,3)은 서로 다른 융점과 수축성을 갖는 각각 다른 타입의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다.
또 다른 구체화에서, 2성분섬유(1)의 성분(2,3)은 각각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스테르이다.
또 다른 구체화에서, 표면재료는 또한 이를테면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의 열가소성 결합섬유를 포함한다.
다양한 중합체가 또한 다른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점에서 사용될 수 있는 중합체의 예는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코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코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크릴 등이다. 중합체는 또한 공지된 관행에 따라서 이를테면 유연제와 같은 어떤 다른 종래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2성분섬유(1)의 두 성분(2,3)이 서로 다른 수축성을 가지는 것이다.
다른 2성분섬유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구체화를 또한 생각할 수 있다.
표면재료가 단지 2성분섬유만을 포함할 때, 많이 비어있는 공기가 잘 통하는 구조를 가질 것이다. 재료가 또한 열가소성 결합섬유를 포함하는 구체화의 경우에, 이들 섬유는 수축되지 않을 것이나 2성분섬유와 같은 방식으로 나선형이 될 것이다. 따라서, 결합섬유를 포함하는 시트는 단지 2성분섬유만을 포함하는 시트만큼 비어있는 또는 공기가 잘 통하는 구조는 아닐 것이고, 두껍지도 않을 것이다. 결합섬유는 시트의 굵기와 공허를 억제하거나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재료가 결합섬유를 포함할 때, 결합섬유는 2성분섬유와 함께 카딩되어 고오즈를 형성한 후, 오븐 접착된다.
본 발명은 또한 액체-불투과성 뒷받침 시트(6), 흡수시트(7) 및 사용시 착용자에 가깝게 위치하는 액체-투과성 표면시트 또는 상부시트(5)로 이루어지는, 기저귀, 생리대, 요실금보호대, 팬티라이너 또는 유사용품과 같은 흡수용품에 관련되는데 상기 흡수용품은 표면시트 재료가 열-방축, 나선형 탄력성 열가소성 2성분섬유(1)를 포함하고, 상기 2성분섬유의 성분(2,3)은 서로 다른 수축성을 가지고 나란한 관계로 위치한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표면시트는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시트 재료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발명의 표면시트(5)를 포함하는 요실금보호대의 횡단면이다. 요실금보호대는 또한 액체-불투과성 뒷받침 시트(6), 뒷받침시트 다음의 흡수시트(7) 및 흡수시트(7) 위에 사용시 착용자에 가깝게 위치하도록 의도된 액체-투과성 상부시트 또는 표면시트(5)를 포함한다. 상부 표면시트(5)는 상기 열-방축, 나선형 탄력성 열가소성, 또한 소수성인 2성분섬유(1)로 이루어져 있다. 표면시트는 비어있는 공기가 잘 통하는 구조를 가지고 또한 매끄럽고 부드러운 표면을 가진다. 상부 표면시트는 또한 포착/운반 시트로서의 역할도 하고, 액체를 빠르게 통과시켜 흡수시트(7)에 운반한다. 표면시트는 매끄럽고 부드러워 착용자의 피부에 안락하게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표면시트(5)는 착용자에 면하고, 흡수용품을 착용하였을 때,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놓여지도록 의도되며, 표면시트 및 포착/운반 시트 둘다를 형성한다.
도 5는 위에서 본 또 다른 요실금보호대의 구체화를 예증한다. 요실금보호대는 액체-불투과성 바닥시트(6), 흡수시트 또는 층(7) 및 사용시 착용자에 가깝게 위치하는 액체-투과성 상부시트 또는 표면시트(5)로 이루어진다. 표면시트(5)는 두개의 재료로 이루어지는데, 첫번째는 본 발명의 표면재료(8)이고 두번째는 부직포재료(9)이다. 본 발명의 표면재료(8)은 습윤부위에 놓여지고 소수성의 부직포재료(9)는 본 발명의 표면재료(8)의 주위에 요실금보호대의 가장자리에 놓여진다. 부직표 재료(9)는 필수적으로 액체 불투과성이고 흡수층으로부터 액체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의도되어 어떤 액체도 용품의 측면으로 투과될 수 없다. 부직포 재료는 이를테면 본 발명의 표면재료와 함께 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섬유의 성분(2,3)이 서로 다른 수축성을 가지고 나란한(또는 서로 병렬) 관계로 위치한, 열-방축, 나선형 탄력성 열가소성 2성분섬유(1)로 이루어지는 상기 재료의 사용에 관련된다. 상기 재료는, 통합된 표면시트 및 포착/운반 시트(5) 아래에 흡수 시트 또는 층(7) 및 액체-불투과성 뒷받침 시트(6)을 포함하는 기저귀, 생리대, 요실금보호대, 팬티라이너 또는 유사용품과 같은 흡수용품에서 통합된 표면시트 및 포착/운반 시트로서 사용된다.
앞서 밝힌 것과 같이, 열-방축, 나선형, 탄력성 열가소성 2성분섬유(1)을포함하는 재료는 상당히 공기가 잘 통하고, 많이 비어있는 구조를 가질 것이다. 섬유가 소수성이기 때문에, 재료는 액체를 흡수하지 않을 것이고, 그 대신 액체를 신속히 통과시키고, 흡수시트(7)로 운반시킬 것이다. 본 발명의 재료는 매끄럽고 부드러운 표면을 가진다. 따라서, 재료를 착용자의 살갓이 벗겨지지 않으면서, 불편한 촉감을 느끼게 하지도 않으면서 사용시 착용자에 가깝게 위치하는 시트에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재료는 포착/운반 시트로서, 표면시트로서 둘다 사용할 수 있다. 이 점이 현재 이 목적으로 사용되는 재료와 비교하여 장점이다. 현재 포착/운반 시트는 따끔따끔하고 거진 표면을 가지기 때문에, 그러한 시트를 착용자의 피부와 직접 접촉하게 되는 용도로 사용하기에 부적당하다. 이것은 종래의 용품의 경우 추가의 표면시트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재료는 그러한 추가의 표면시트의 필요성을 제거한다.
본 발명이 설명된, 그리고 예증된 이들의 구체화에 제한되지 않고, 그 이상의 변형이 하기 청구항의 범위내에 가능할 것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Claims (22)

  1. 기저귀, 생리대, 요실금보호대, 팬티라이너 및 유사용품과 같은 흡수용품용 표면재료에 있어서, 표면재료(5)가 열-방축, 나선형, 탄력성 열가소성 다성분 섬유(1), 바람직하게 2성분섬유(1)를 포함하고, 상기 섬유내 소수성 성분(2,3)이 서로 다른 수축성을 가지고 나란한 관계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재료.
  2. 제 1 항에 있어서, 2성분섬유(1)내 성분(2,3)이 각각 다른 타입의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재료.
  3. 제 1 항에 있어서, 2성분섬유(1)의 성분(2,3)이 각각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재료.
  4. 제 1 항에 있어서, 재료가 2성분섬유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재료.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재료가 이를테면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의 열가소성 결합섬유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재료.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성분섬유가 약 1.5-3.3 dtex, 바람직하게 1.7-2.5 dtex의 굵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재료.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재료가 약 40-100 g/m2, 바람직하게 50-90 g/m2의 단위 넓이 당 중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재료.
  8. 액체-불투과성 뒷받침 시트(6), 흡수 시트 또는 층(7) 및 사용시 착용자에 가깝게 위치하도록 의도되는 액체-투과성 상부 표면시트(5)로 이루어지는 기저귀, 생리대, 요실금보호대, 팬티라이너 또는 유사용품과 같은 흡수용품에 있어서, 표면시트 재료가 열-방축, 나선형, 탄력성 열가소성 다성분 섬유(1), 바람직하게 2성분섬유(1)를 포함하고, 상기 섬유내 소수성 성분(2,3)이 서로 다른 수축성을 가지고 나란한 관계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용품 .
  9. 제 8 항에 있어서, 표면시트(5)가 통합된 표면시트 및 포착/운반 시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용품.
  10. 제 9 항에 있어서, 2성분섬유(1)내 성분(2,3)이 서로 다른 타입의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용품.
  11. 제 9 항에 있어서, 2성분섬유(1)내 성분(2,3)이 각각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용품.
  12. 제 8 항에 있어서, 표면시트 재료가 2성분섬유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용품.
  13. 제 8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면재료(5)가 이를테면,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의 열가소성 결합섬유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용품.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성분섬유가 약 1.5-3.3 dtex, 바람직하게 1.7-2.5 dtex의 굵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용품.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면시트가 약 40-100 g/m2, 바람직하게 50-90 g/m2의 단위 넓이 당 중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용품.
  16. 통합된 표면시트 및 포착/운반 시트(5) 아래에 흡수시트(7)와 액체-불투과성 뒷받침시트(6)를 포함하는 기저귀, 생리대, 요실금보호대, 팬티라이너 및 유사용품과 같은 흡수용품에서 통합된 표면시트 및 포착/운반 시트(5)로서, 열-방축, 나선형, 탄력성 열가소성 다성분 섬유(1), 바람직하게 2성분섬유(1)을 포함하고, 상기 섬유의 소수성 성분(2,3)이 서로 다른 수축성을 가지고 나란한 관계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의 사용.
  17. 제 16 항에 있어서, 2성분섬유(1)의 성분(2,3)이 서로 다른 폴리프로필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의 사용.
  18. 제 16 항에 있어서, 2성분섬유(1)의 성분(2,3)이 각각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의 사용.
  19. 제 16 항에 있어서, 재료가 2성분섬유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의 사용.
  20. 제 16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재료가 이를테면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의 열가소성 결합섬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의 사용.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성분섬유가 약 1.5-3.3 dtex, 바람직하게 1.7-2.5 dtex의 굵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의 사용.
  22.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재료가 약 40-100 g/m2, 바람직하게 50-90 g/m2의 단위 넓이 당 중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의 사용.
KR1019997005943A 1996-12-30 1997-12-12 흡수용품용 표면재료, 표면재료를 포함하는 흡수용품 및 흡수용품에서 재료의 사용 KR200000697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604833A SE9604833L (sv) 1996-12-30 1996-12-30 Ytmaterial för absorberande alster, absorberande alster innefattande ytmaterialet samt användning av materialet i absorberande alster
SE9604833-5 1996-12-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9799A true KR20000069799A (ko) 2000-11-25

Family

ID=20405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5943A KR20000069799A (ko) 1996-12-30 1997-12-12 흡수용품용 표면재료, 표면재료를 포함하는 흡수용품 및 흡수용품에서 재료의 사용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EP (1) EP0961604B1 (ko)
JP (1) JP2001508332A (ko)
KR (1) KR20000069799A (ko)
AU (1) AU729050B2 (ko)
CA (1) CA2275339A1 (ko)
CO (1) CO4900011A1 (ko)
DE (1) DE69712791T2 (ko)
DK (1) DK0961604T3 (ko)
PL (1) PL187865B1 (ko)
SE (1) SE9604833L (ko)
TW (1) TW548109B (ko)
WO (1) WO1998029071A1 (ko)
ZA (1) ZA971167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8798B1 (ko) * 2000-12-29 2003-06-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부드러움성 및 흡수속도가 향상된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를지닌 일회용 흡수제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14864C2 (sv) 1997-06-26 2001-05-07 Sca Hygiene Prod Ab Insläpps- eller transportskikt för absorberande alster samt absorberande alster innefattande ett dylikt skikt och användning av skiktet
US6454989B1 (en) 1998-11-12 2002-09-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ocess of making a crimped multicomponent fiber web
US7402723B2 (en) 2002-12-20 2008-07-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olymeric web exhibiting a soft and silky tactile impression
US8057729B2 (en) 2002-12-20 2011-11-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making a forming structure
US7655176B2 (en) 2002-12-20 2010-02-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making a polymeric web exhibiting a soft and silky tactile impression
US20040121120A1 (en) 2002-12-20 2004-06-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 for making a polymeric web exhibiting a soft and silky tactile impression
US8052666B2 (en) 2004-12-30 2011-11-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astening system having elastomeric engaging elements and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made therewith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70064B (sv) * 1992-02-04 1993-11-01 Moelnlycke Ab Absorberande fiberstruktur innefattande värmekrympta, spiraliserade, elastiska termoplastiska bikomponentfibrer
CA2138584C (en) * 1993-12-30 2006-08-15 Wanda Walton Jackson Apertured film/nonwoven composite for personal care absorbent articles and the like
FI100165B (fi) * 1995-03-01 1997-10-15 Bki Holding Corp Menetelmä hygieniatuotteen imukerroksen valmistamiseksi ja menetelmäll ä valmistettu imukerro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8798B1 (ko) * 2000-12-29 2003-06-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부드러움성 및 흡수속도가 향상된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를지닌 일회용 흡수제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61604B1 (en) 2002-05-22
PL187865B1 (pl) 2004-10-29
PL334386A1 (en) 2000-02-28
DE69712791T2 (de) 2002-11-28
CO4900011A1 (es) 2000-03-27
ZA9711677B (en) 1998-06-25
EP0961604A1 (en) 1999-12-08
CA2275339A1 (en) 1998-07-09
AU5501398A (en) 1998-07-31
JP2001508332A (ja) 2001-06-26
SE9604833L (sv) 1998-07-01
DK0961604T3 (da) 2002-09-09
DE69712791D1 (de) 2002-06-27
AU729050B2 (en) 2001-01-25
WO1998029071A1 (en) 1998-07-09
TW548109B (en) 2003-08-21
SE9604833D0 (sv) 1996-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0898B1 (en) Fluid acquisition/transfer layer in an absorbent article
EP1035820B1 (en) Absorbent article
US6159881A (en) Thermoformable barrier nonwoven laminate
JP3168564B2 (ja) 不織布およびそ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US5669798A (en) Composite nonwoven material process of manufacture and its application to any absorbent article of hygiene
JP3216813B2 (ja) 長繊維不織布及びそ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US6452062B1 (en) Composite nonwoven material and its application to any absorbent article of hygiene
PL202943B1 (pl) Materiał zwróconej do ciała powłoki artykułu higienicznego i artykuł higieniczny z zastosowaniem tego materiału
GB2263914A (en) Absorbent fibrous structure
NZ212999A (en) Entangled non woven fabric; fusible fibres at one surface thermobonded to base fibres
JPH09291454A (ja) 伸縮弾性不織布
KR20000069799A (ko) 흡수용품용 표면재료, 표면재료를 포함하는 흡수용품 및 흡수용품에서 재료의 사용
JP2002526279A (ja) 層を結合するための少なくとも一つの熱可塑性成分を含む吸収製品
JP4442932B2 (ja) 吸収性物品用液体非透過性シート
CA1216703A (en) Hygiene product and a method for its manufacture
JPH09286085A (ja) 透湿性複合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EP1078621B1 (en) Absorptive article
JPH09285484A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S6392701A (ja) 使いすておむつ
WO1998036722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material for use as a cover layer for absorbent articles
JP3657052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H06237956A (ja) 体液吸収性物品
JPH09137353A (ja) 低融点不織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