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9145A - 자체 지지되는 통나무형 건축 구성재 - Google Patents

자체 지지되는 통나무형 건축 구성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9145A
KR20000069145A KR1019997004659A KR19997004659A KR20000069145A KR 20000069145 A KR20000069145 A KR 20000069145A KR 1019997004659 A KR1019997004659 A KR 1019997004659A KR 19997004659 A KR19997004659 A KR 19997004659A KR 20000069145 A KR20000069145 A KR 20000069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component
building construction
thermal insulation
construction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4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우니 타피오 레포
Original Assignee
조우니 타피오 레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우니 타피오 레포 filed Critical 조우니 타피오 레포
Publication of KR20000069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9145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4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10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39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04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B2002/0206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of rectangular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inishing Wall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측면(7), 내측면(8), 상기 측면들 사이의 단열 부분(1) 및, 단열 부분과 측면을 상호 연결하는 부재(5,6)를 가지는 통나무형 건축물 구성재(10)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축물 구성재(10)의 단열 부분(1)은 하중 지지 구조로서 작용한다. 단열 부분과 측면 사이에는 공간(14)이 있으며, 상기 공간은 상호 연결 부재(5,6)내 개구부를 통해서 그 상부 및 하부 건축물 구성재의 공간들과 공기 접촉하고 있다. 건축물에서 필요한 모든 배선 및 배관은 공장에서 구성재의 공간(14)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측면(7,8)은 공장에서 코팅으로 마무리될 수 있다. 완전하게 사용될 준비가 된 건축물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구성재로부터 매우 급속하게 세워질 수 있다.

Description

자체 지지되는 통나무형 건축 구성재{Self-supporting log-like building component}
본 발명은 저층 건축물의 건축에 관한 것이다. 저층 건축물은 일반적으로 통나무, 톱으로 켠 목재 및, 패널로부터 제작된 구성재로 건축될 뿐만 아니라, 그들 자체로써도 건축되고 있다. 당해 기술 분야의 목적은 미리 조립된 부품들을 사용하여 그로부터 완성된 건축물이 신속하고 적은 노력으로 제작될 수 있게 하는 것이었다. 미리 조립된 구성재로부터 조립되는 통나무 및, 톱으로 켠 목재 주택을 팩키지(package)화한 것이 개발되어왔다.
비록 일부 종류의 즉각적인 건축이 "완성 인도 방식"의 건축물로써 이루어졌을지라도, 부품과 전기 장치의 조립, HEPAC 과 건축물 내부 작업은 오랜 작업 시간뿐만 아니라 직업적인 기술 및 섬세한 숙련을 필요로 한다. 제작 시간이 짧아서, 부분적으로는 건축물당 설계 부담을 증가시킨다.
전체적으로, 간단한 방법 및 비용 절감이 건축 산업에서 달성되었을 경우에, 이것은 종종 변명의 여지없이 건축물의 표준 품질을 상당히 저하시켰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점도 주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청구 범위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자체 지지 통나무형 건축 구성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구성재의 수직 단면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두개의 건축물 구성재들중 하나가 다른 것의 위에 배치되어 있는 수직 단면과, 다른 구성재가 상기 두개의 구성재 위에 내려놓여지기 이전 상태인 그 위의 건축물 구성재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III-III 선을 따른 부분적인 수평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IV-IV 선을 따른 부분적인 수평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건축물 구성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다른 구현예에 따른 건축물 구성재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구성재의 측면은 다른 형상을 가진다.
도 7은 다른 구현예에 따른 건축물 구성재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구성재의 측면은 또 다른 형상을 가진다.
도 8은 다른 구현예에 따른 세개의 건축물 구성재를 도 2의 상태에 따라서 도시한 것이며, 이들 구성재에서 구성재의 상부 표면과 구성재의 측면은 분리된 부분이다.
도 9는 다른 구현예에 따른 건축물 구성재를 상부 표면 없이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도 9에 따른 세개의 건축물 구성재를 도 2에 따라서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XI-XI 를 따라 도시한 수평 단면도이다.
도 12는 다른 구현예에 따른 건축물 구성재를 도 2에 따라서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도 12에 따른 세개의 건축물 구성재를 도 2에 따라서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도 13에서 XIV-XIV 선을 따라서 도시한 수평 단면도이다.
도 15는 다른 구현예에 따른 건축물 구성재를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 없이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도 15에 따른 세개의 건축물 구성재를 도 2에 따른 상태로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도 16에서 XVII-XVII 선을 따라서 도시한 수평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에서 XVIII-XVIII 선을 따라서 도시한 수평 단면도이다.
도 19는 다른 구현예에 따른 두개의 건축물 구성재를, 측면에 의해 형성되는 자가 위치 수단 없이, 구성재들이 서로로부터 짧은 수직 방향 거리로 이격된 상태에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20은 다른 구현예에 따른 두개의 건축물 구성재를 도 19에 따른 방식으로 도시한 것이며, 여기에서 단지 하나의 측면에만 자체 위치 수단이 제공된다.
도 21은 다른 구현예에 따른 두개의 건축물 구성재를 도 19에 따른 방식으로 도시한 것이며, 여기에서 자체 위치 수단은 구성재의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용 구성재를 제공하는 것인데, 상기 건축용 구성재는 공장에서 치수상의 정확도와 함께 최종적인 치수로 제작되었고 표면 처리, 전기, 통신 및, HEPAC 배선과 배관등과 같은 필요 부속품을 구비한 것이다. 그들의 치수상의 정확성과 구조에 기인하여, 구성재들은 하나의 위에 다른 하나가 간단하고 신속하게 적층될 수 있으며, 따라서 마무리된 완성된 벽이 획득된다. 이러한 작업은 특별한 기술이 없는 사람도 수행할 수 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업의 결과는 기술적으로 그리고 시각적으로 초보 숙련공의 수준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그보다 낫기까지 하다.
이러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구성재에 의해서 이루어지는데, 그것의 주된 특징은 첨부된 청구 범위 제 1 항의 특징부에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구성재는, 주로 수직한 외측 표면과 수직한 내측 표면을 가지고 그 사이에서 단열부 및, 상기 단열부와 상기 측면들을 상호 연결하는 부재를 가지고 있는 통나무형 구성재이다. 건축물 구성재의 단열부는 수직 방향의 하중을 수용하는 하중 지지용 구조체인데, 상기 구조체는 실질적으로 구성재의 높이를 가지지만, 단열부의 적어도 일측에서, 단열부와 외측 및/또는 내측면 사이에 공간이 있도록 좁게 되어 있다. 상기 공간 또는 공간들내에는 측면 또는 측면들과 단열부에 부착된 횡단 부재가 있다. 건축물 구성재는 이들이 하중 지지 구조를 형성하도록 하나가 다른 하나의 상부에 자체적으로 위치하는 방식으로 적층될 수 있게 디자인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구성재는 완전하게 미리 조립되는 완성 건축물의 일부이다. 이것의 외측면은 공장에서 소기의 표면 처리를 받게 되며, 이것의 내측면도 그러하다. 외측면과 내측면은 모듈화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외표면은 목재 베니어, 목재 합성물, 석재 합성물 또는 다양한 재료로 구성된 재생 성분일 수 있다. 표면은 공장에서 그 어떤 처리도 받을 수 있다. 내표면은 외표면과 동일한 재료일 수 있지만, 공장에서 도색, 도배, 패널 부착등과 같은 그 어떤 표면 처리도 받을 수 있다. 측면에는 예를 들면 장식 윤곽이 주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통나무형 건축 구성재로부터 세워진 저층 건축물은 기본적으로 패널 판재로 제작된 건축물과 유사하다. 구성재의 상이한 표면 처리 및 형상으로써 매우 상이한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건축물 구성재의 단열부는 구성재의 하중 지지 구조를 구성하며 필요한 단열 및 다른 단열 효과를 단독으로 제공한다. 단열부는 구성재의 내측에 있는 폐쇄된 수밀(watertight) 케이징이다. 단열부의 코어는 예를 들면 미네랄 울(mineral wool)이며, 코어의 측면상에 하중 지지용 판재가 있다. 코어는 다공질 플라스틱 또는 미네랄 울(mineral wool)인 것이 바람직스러우며, 하중 지지용 판재는 베니어 판재인 것이 바람직스럽다. 선택적으로는 코어가 단열부의 하중 지지용 요소일 수도 있으며, 그러한 경우에 이것은 예를 들면 섬유 평면의 배향이 수직한 구조체 미네랄 울이다. 이러한 경우에, 단열부의 측면상에 기밀 필름 또는 시이트가 있을 수 있다.
단열부와 측면들의 일측 또는 양측 표면 사이에는 공간이 있으며, 그 안에는 전기, 통신, 데이타 네트워크와, HEPAC 배선 및 배관등과 같은 건축물에 필요한 모든 배관 및 배선이 설치될 수 있다. 하나의 위에 다른 것이 적층되는 건축물 구성재에 있어서, 이러한 공간들은 측면과 단열부에 부착된 횡방향 부재내 개구부를 통해서 교통된다. 따라서 단열부와 측면 사이에는 연속적인 공기 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러한 공기 통로는 공간의 벽을 환기시킨다.
건축물 구성재는 그 아래에 있는 구성재의 상부에서 자체적으로 위치를 정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구성재의 상부 및 하부 표면은 겹침에 의해서 또는 형상에 의해서 상호 잠기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따라서 하나의 구성재 위에 다른 구성재를 적층시키는데 있어서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다; 구성재들은 구성재의 횡방향에서의 정확성을 가지고 하나가 다른 것의 상부에 자체적으로 위치를 정하게 된다. 선택적으로는, 구성재의 상부 및 하부 측이 그렇게 설계되지 않았다면, 보조 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은 횡방향에서의 정확성을 가지고 하나의 구성재를 다른 구성재의 위에 안내하기 위하여 횡방향 부재내 개구부를 통해 밀려 들어가게 된다.
길이 방향의 위치 선정은 예를 들면 구성재상에 이루어진 표시부에 따라서, 또는 건축물 도면에 따라서 수행된다.
건축물 구성재를 미리 조립하기 때문에, 이들은 절대적으로 치수상으로 정확하며, 따라서 조립에 있어서 치수상의 편위에 의한 곤란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구성재를 사용하는 건축은 어린이들의 게임과 같이 용이해진다. 구성재는 취급하기에 가벼우며, 한 사람일지라도 들어올릴 수 있다. 구성재는 단지 중력에 의해서 서로 달라붙는다. 또한 구성재를 서로 결합시키도록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접착제는 서로에 대하여 접촉하게 되는 일 표면 또는 양 표면상에 부가되거나, 또는 이와는 달리 표면에 미리 제거 가능한 덮개를 가진 접착제 스트립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또는 이와는 달리, 구성재내 개구부를 통해 관통되는 결합구(fastner)가 결합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구성재는 미리 정확한 표면 처리와, 방습 처리와, 환기용 틈새를 가지기 때문에 정확한 구성이 자동적이다. 상이한 상감(inlays)이나 절제부를 만드는 것은 간단한 공구를 사용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전기와 난방 설비 및, 필요한 경우에 데이타 네트워크 설비들은 공장에서 구성재 안에 만들어진다. 구성재가 함께 조립될때 이루어질 필요가 있는 것은 단지 결여된 연결 기구를 정위치에 결합시키는 것이다.
계산에 따르면, 전기, 수도 및, 난방 설비를 구비하고 외부 및 내부의 표면이 마무리된 분리형 주택은 그에 대응하는 분리형 주택의 건립에 소용되는 시간의 약 1/20 인 시간내에, 즉 짧은 시간내에 건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장 현저한 장점은 완성된 벽이 저렴한 건축 비용으로 신속하게 제작된다는 것이다. 건축은 비싸지 않으며 최종 결과는 항상 좋다. 시스템 건축의 방법에 의해서, 시각적으로 그리고 기술적으로 종래의 목재 건축 방법에 의해 제작된 벽과 유사하고 그리고 전통적인 목재 건축 방법에 의해 제공되는 모든 장점을 가지지만 어떤 면에서는 기술적으로 더 나은 벽 표면이 이루어진다.
그렇게 단열되어 있는, 통나무와 같은 건축물 구성재로부터 건립된 벽의 외표면은 패널 판재 표면과 유사하며, 그것의 윤곽은 자유롭게 선택된다. 이와는 달리 벽이 완전히 매끄러울 수 있다. 모듈화된 표면에 부착된 표면부는 거의 그 어떤 표면 재료일 수 있다.
숙련된 노동을 이용할 수 없거나 또는 그러한 노동이 매우 비싼 지역이나 또는 나라에서, 건축은 완전히 새로운 상황으로 발생하게 될 것이다. 제한된 노동력으로 수행될때 조차도 건축은 비싸지 않고, 신속하며, 그리고 높은 품질로써 이루어진다.
치수상의 정확성에 기인하여, 건축물 구성재는 가장 작은 배달 부분까지 포함하여 포괄적인 배달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원칙적으로, 건축 현장에서 톱밥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구성재는 하나의 장소에서 대량 생산의 집중화된 방식으로 목재 건축물을 생산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구성재는 최적의 형태로 획득될 수 있으며, 이것은 먼 거리까지도 용이하게 운반된다.
가장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건축물 구성재의 외측 표면과 내측 표면 및, 구성재의 상호 연결하는 상부 표면은 하나의 부분, 즉, 구성재의 외각 부분으로서 모듈화되었다. 형상에 기초한 그 어떤 측면 장식부뿐만 아니고, 구성재의 자체 위치 수단은 모듈화에 의해서 간단하게 제조될 수 있다.
건축물 구성재의 외각 부분은 목재 베니어, 목재 합성물, 석재 합성물, 재생 합성물, 플라스틱 또는 그 어떤 다른 유사 재료일 수 있다.
목재 베니어로 제작된 건축물 구성재 외각 부분
구성재의 외각 부분은 목재 베니어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목재 베니어의 특성은, 비록 순수한 목재의 특정한 단점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기본적으로 순수한 목재 패널의 특성과 기본적으로 유사하다. 바람직한 외관은 표면 베니어의 선택에 의해서 달성된다. 횡방향으로 밴딩(banding)되면, 압축된 목재는 순수한 목재보다 상당히 작게 치수상의 변화 및 균열을 겪게 되고, 따라서 문제를 덜 일으키며 페인트 칠과 같은 표면 처리에 대한 양호한 기초를 제공한다. 페인트 칠의 기초로서, 압축된 목재는 라미네이팅에 의해 보다 양호하게 제작될 수 있다. 페인트 칠은 공장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되는 페인트 상태 및 페인트의 화학적 성질은 최적화될 수 있다. 따라서 페인트 표면의 내구성은 대체로 페인트 재료 자체의 내구성에 의존한다.
목재 합성물로 제작된 건축 구성재 외각 부분
구성재의 외각 부분은 중밀도 섬유(mdf) 또는 고밀도 섬유(hdf) 합성물과 같은 목재 합성물로 제작될 수 있다. 압축된 목재 합성물은 압축된 라미네이트 목재보다 상당히 저렴하다. 압축된 목재 합성물을 사용할때, 목재와 명백하게 유사하게 되지는 않지만, 대신에 다른 많은 양호한 특성들이 얻어진다. 표면이 베니어로 되면, 목재와 같은 외관도 이루어질 수 있다.
외각 부분의 수직 방향 윤곽은 필요한 형상으로 작업하기에 용이하다. 압축 목재 합성물(mdf)의 페인트 특성은 그 어떤 다른 목재 생산물의 특성들보다도 양호하다. 그 조성에 따라서, 압축 목재 합성물은 화재와 기후에 대한 저항성에 영향을 미치는 보다 넓은 가능성을 제공한다.
다른 재료의 선택
건축물 구성재의 외각 부분은 원칙적으로 그 기술적인 특성에 있어서 바람직한 형상 및 용도에 적절한 그 어떤 합성물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생 용기로 사용되는 다양한 압축 석재 및 플라스틱 재료는 외각 부분의 원재료로서 많이 사용될 수 있다.
재생 합성물로부터 외각 부분을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며, 특히 요구되는 표준이 핀란드에서와 같이 높지 않은 지역에서 그러하다. 그러한 지역은 개발 도상국, 재해 지역, 프로젝트용의 임시 건축물, 즉, 건축이 저렴하여야 하고 신속하여야만 하는 모든 용도를 포함한다.
건축물 구성재의 내화성은 표면 베니어 아래에 얇은 금속층을 라미네이팅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금속층이 구성재에 특별한 특성을 부여하게 되는 경우, 예를 들면, 내한 저장등과 같은 경우에는 금속층이 압축 재료의 표면층으로서 부착될 수도 있다. 사용 가능한 다른 표면 처리는 다양한 필름을 표면상에 형성하는 것과 같은 목재 및 압축 재료 산업의 모든 다른 공지의 방법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멜라민 필름, 플라스틱 라미네이트 및, PVC 피복 같은 것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구성재는 또한 생태학적이다. 이것은 재생 가능한 천연 자원으로부터 제작된다. 이것은 열역학적으로 경제적이다. 이것의 페인트 표면은 종래 건축물의 페인트 표면보다 상당히 오래 지속된다. 건축물의 건립은 단지 한 장소에서만 폐기물을 발생시키며, 즉 제조 공장에서만 폐기물을 발생시키며, 따라서 폐기물 문제는 해결하기가 쉽다. 이것은 단지 한번만 포장되고 그리고 단지 한번만 건축 장소로 운반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따른 건축물 구성재는 본 발명에 따른 최고의 구현예이며, 최적화로 실시된 본 발명의 모든 해법을 구비한다. 통나무형 구성재는 참조 번호 10 으로 표시되어 있다. 구성재는 하중 지지용 단열 부분(1)을 구비하는데, 이것은 모듈화된 외각 부분(9)과 하부 표면(6) 사이에 감싸여진다. 단열 부분은 단열 재료의 코어(2)와, 그 측면에 결합된 하중 지지용 판재(3)를 구비한다. 외각(9)은 구성재의 외측면(7)과 내측면(8)을 구비하며, 그리고 그들과 일체인 상부 표면(5)을 구비한다. 하부 표면(6)은 U 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그것의 분기부(11)는 구성재의 측면(7,8) 내표면에 부착된다.
구성재 측면(7,8)의 상부 모서리는 측면이 내측으로 굽혀진 부분(12) 및, 그 위의 수직 부분(13)을 가지도록 내측으로 경사져 있다. 양 측면(7,8)의 하부 모서리는 하부 표면(6)의 다소 아래인 지점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하부 표면(6)과 측면(7,8)의 하부 부분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안으로 측벽(7,8)의 상부 모서리 및, 구성재의 상부 표면(5)으로 만들어진 구성재의 상부 부분이 정확한 형상으로써 끼워진다. 이처럼 끼워지기 때문에, 구성재는 구성재 폭의 방향에서 정확하게 하나가 다른 하나의 상부에 자체적으로 위치된다. 형상의 잠금 기능 및 중력에 기인하여, 구성재는 서로에 대하여 잘 결합되며 다른 결합 수단이 꼭 필요하지는 않다.
단열 부분(1)의 판재(3)와 구성재의 측면 사이에 있는 공간은 참조 번호 14 로 표시되어 있다. 구성재의 상부 표면(5)과 하부 표면(6)에는 공간(14)의 영역내에 개구부(15)가 있다. 개구부는 타원형이고 개구부들 사이의 거리는 개구부의 길이 보다 작으며, 바람직스럽게는 현저하게 작다. 따라서, 하나의 위에 다른 것이 놓여진 구성재 사이에 공기 공간이 통하게 되는데, 이는 구성재들의 서로에 대한 길이 방향 위치에 상관 없이 구성재들의 개구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나의 위에 다른 것이 있도록, 하나의 위에 다른 것이 있는 두개의 구성재들의 상부 및 하부 표면들 각각이 서로 접촉하기 때문이다.
공기 공간이 통하는 것은 구성재의 통풍을 보장한다. 공기 공간이 통하는 것은 배선 및 배관이 하나의 구성재 높이로부터 다른 것으로 연장될 수 있게 한다. 공간(14) 자체는 벽의 내측에 배관 및 배선이 감추어질 수 있게 한다. 서로 접촉하고 있는 개구부는 기계적인 결합 수단도 사용될 수 있게 한다.
단열 부분(1)의 코어(2)는 미네랄 울이나 또는 다공질 플라스틱이며, 그에 부착된 판재(3)는 합판인 것이 바람직스럽다. 외각 부분(9)은 목적에 적절한, 즉 몰딩에 적절한 그 어떤 합성물이다. 구성재의 하부 표면(6)은 동일한 합성물인 것이 바람직스럽지만, 상이한 재료일 수도 있다. 상부 및 하부 표면(5,6)은 단열 부분에 대하여 있거나 또는 그에 결합되며, 하부 표면의 분기부(11)는 측면(7,8)의 내측에 결합된다.
도 1 내지 도 4는 대략 1:2 의 축척으로 도시되어 있다. 구성재의 폭은 대략 250 내지 300 mm 인것이 바람직스러우며 그것의 높이는 대략 150 내지 180 mm 인것이 바람직스럽다. 구성재의 치수가 구조 및 기능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은 명백하다. 구성재는 대략 3 내지 4 m 의 길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최적의 제작 길이는 경험과 공장의 설비에 근거하여 결정된다. 구성재는 예를 들면 건축 현장에서 연장될 수 있으며, 따라서 두개의 연속적인 구성재들은 바람직스럽게는 적절한 중간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상호 연결된다. 중간 부재는 대향하는 통나무 단부 내측에서 연결 목적을 위해서 끼워진 수단내에, 예를 들면 단열 부분내 형성된 요부내에 끼워지며, 통나무들이 서로에 대하여 정확하게 밀려졌을때 상기 중간 부재들은 맞물리게 된다. 중간 부재들은 금속, 플라스틱, 목재 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일 수 있다. 완전한 단열 효율을 유지하기 위하여, 중간 부재는 정확하게 끼워져서 그것을 위해 형성된 공간을 채우게 된다.
하부 표면뿐만 아니라 외각 부분(9)의 두께는 8 내지 16 mm 정도이다. 자체 위치 수단, 즉, 하나의 구성재 위에 다른 것을 겹친 높이는 대략 20 mm 이다. 구성재의 좁아진 상부 부분의 높이는 약간 더 크며, 대략 35 내지 40 mm 이다. 이러한 높이의 편차 때문에, 벽 표면내에 홈(16)이 형성되는데, 상기 홈은 장식 효과를 나타낸다. 여기에 언급된 치수들도 구성재의 구조 및 기능에 실질적인 효과를 가지지 않는다는 점은 명백하며, 그들은 다양한 인자들에 따라서 변환될 수 있다.
단열 부분(1) 코어(2)의 치수는 구성재의 사용에 따른다. 마찬가지로, 하중 지지용 판재(3)의 두께는 완전히 의도된 용도에 따른다.
도 2는 하나의 구성재 위에 다른 것이 놓여진 구성재의 배치 및 그들의 자체 위치 잡기와, 서로에 대한 형상 잠금을 도시한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선 III-III 및, IV-IV 를 따른 건축물 구성재의 수평 단면을 도시한다. 구성재의 상부 및 하부 표면(5,6)은 공간(14)의 영역내에 열을 이루는 타원형의 개구부(15)를 가진다. 개구부는 타원형이며, 그들의 길이는 개구부 사이의 거리보다 실질적으로 크다. 따라서 구성재의 길이 방향 위치에 상관없이 연속적인 공기 공간이 형성된다는 점이 보장된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4 에 따른 건축물 구성재의 사시적인 표현을 도시한다.
도 6 및 도 7 에 따른 구현예는 상이한 형상의 측면을 가진다. 도 6에서 내측면(17)은 매끄러우며 약간 하방향으로 그리고 외측으로 경사져있다. 경사에 기인하여, 구성재의 상부 부분은 하부 부분보다 더 좁으며, 상기 하부 부분은 상부 부분을 수용하여 그것과 함께 정확한 형상으로 설치된다. 하부 표면의 분기 부분(18)은 각기 내측으로 경사져있다.
도 6에서, 외부 측면(19)의 중간 부분은 확정되지 아니한 장식의 동기를 형성하도록 윤곽이 이루어진다.
도 7에서 외부 측면(20)은 겹쳐진 부위 아래에 약간 만곡되어 있다. 홈(21)은 겹쳐진 부위에에서 형성된다. 내측면(22)은 수직이며, 홈이 발생되지 않도록 자체 위치 수단이 형성된다. 벽은 연속적인 구성재에 의해서 형성된 벽 표면내에서 매끄럽게 연속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현예를 도시하는데, 여기에서 구성재의 측면(23,24)은 분리된 부재이며 구성재의 상부 및 하부 표면(25,26)은 분리된 부재이다. 측면은 모듈화되는 것이 바람직스러우며, 상부 및 하부 표면은 직선의 판재이다. 측면은 상부 및 하부 표면보다 약간 두꺼운 것이 바람직스럽다. 측면의 상부 가장자리 영역은 지점(27)에서 내측으로 경사지며, 영역(28)에서는 지점(27)의 위로 수직이다. 하부 가장자리 영역(29)에서는 표면의 내측으로부터 스트립을 제거함으로써 각기 폭을 넓히는 효과가 있다. 상부 표면(25)은 측면의 단열 부분과 단부 표면에 대하여 함께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스러우며, 하부 표면은 단열 부분과 측면의 노취 단부 표면(30)에 대하여 각각 결합된다.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은 동일한 폭이다. 따라서 구성재의 좁아진 상부 부분은 형상의 정확성과 함께 하부 가장자리 영역의 노취 지점내에 끼워지며, 표면(25,26)은 서로에 대하여 접착된다. 사용된 치수에 기인하여, 홈(31)은 겹쳐진 부위 아래에 형성된다.
상부 및 하부 표면(25,26)은 측면의 재료와 동일한 재료 또는 상이한 재료일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구성재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단열 부분은 상부 표면에 의해서만, 또는 하부 표면에 의해서만 덮여지거나 또는 전혀 덮여지지 않느다.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구현예는 단열 부분이 시일된 케이싱의 경우이다. 이것은 도 1 내지 도 8에 따른 구현예에 있는 경우이다. 단열 부분의 측면(7,8)에 고정되게 결합된 합판 판재(8)가 있게 되며, 건축물 구성재의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5,6)들 각각은 단열 부분의 상부 및 하부 표면에 대하여 지지되거나 또는 고정되게 결합된다. 단열 부분의 코어가 하중 지지 구조를 구성한다면, 합판 판재의 장소에 필름 또는 다른 판재가 있을 수 있다. 단열 부분에 대한 표면의 결합은 예를 들면 라미네이션과 같은 그 자체로서 공지된 방법에 의해 수행된다.
단열 부분의 케이싱과 같은 특성은 그것의 견고성을 증진시키며 따라서 그 강성을 증가시킨다. 물론 측면이 기밀 유지된다면 단열 부분의 기밀도 마찬가지로 보장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건축물 구성재가 단지 하부 표면만, 또는 상부 표면만을 구비하도록 적용될 수도 있다. 도 9 내지 도 11 은 상부 표면이 없는 건축물 구성재를 도시하고, 도 12 내지 도 14는 각각 하부 표면이 없는 건축물 구성재를 도시한다.
도 9 에 따른 건축물 구성재로부터 형성된 도 10의 벽(31) 안에서, 단열 부분의 기밀 상태가 보장되는데, 이는 구성재의 일 하부 표면(6)이 항상 그 사이에 있는 단열 부분(1)이 하나의 위에 다른 것을 지지하기 때문이다. 서로에 대한 건축물 구성재의 결합 및, 그들의 자체 위치 설정은, 구성재의 측면(7,8)과 그 하부 표면(6)이 일체로서 형성되고 그 안의 표면들 사이 모서리 영역(32)이 강화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두 모서리 영역(32)안에는 아래에 있는 구성재 측면의 상부 가장자리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노취(33)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는 측면내에 약간의 내측 굽힘부(12)를 형성함으로써 좁혀졌으며, 그로부터 측면이 수직 상방으로 연속된다. 따라서 측면(7,8)은 예를 들면 도 2에 따른 구현예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겹쳐진다.
도 11은 선 XI-XI 를 따른 수평 단면도이며, 하부 표면(6)에 있는 개구부(15)가 다소 모서리 영역(32)내로 연장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 12 내지 도 14는 건축물 구성재가 상부 표면만을 가지고 하부 표면을 가지지 않은 차이가 있는 대응 시스템을 도시한다. 측면(7,8)은 상부 표면(5)과 일체로 되어 있다. 측면(7,8)의 상부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는 측면에서 내측 방향 굽힘부(12)를 형성함으로써 단축되었으며, 상기 내측 굽힘부로부터 측면이 상방향 수직으로 연속된다. 측면의 하부 가장자리에는 하방향의 베이스와 함께 삼각형 단면을 가진 강화부(34)가 형성되었다. 강화부(34)의 베이스에는 단열 부분의 하부 가장 자리 높이에 작은 노취(35)가 있다. 노취(35)의 일측에는 구성재의 측면(7,8)이 실질적으로 단열 부분의 하부 가장자리 아래의 지점으로 연속된다. 구성재의 상부 표면에는 노취(35)의 다른 측인 강화부(34)의 부분에 대응하는 다른 작은 노취(37)가 있다. 하나의 구성재 위에 다른 하나가 설치되었을때, 구성재의 상부 표면(5)과 구성재의 강화부(34)를 가진 측면 하부 가장자리는 정확한 형상으로서 서로 잠김 상태가 된다. 단열 부분(1)은 상부 표면(5) 사이에 완전히 감싸여지고, 그리고 구조의 견고성은 상기 형상의 잠김 상태에 의해 보장된다.
도 14는 선 XIV-XIV 를 통한 수평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며, 개구부(15)가 노취(37)와 단열 부분 사이에 있는 부위에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15 내지 도 18은 건축물 구성재의 구현예를 도시하는데, 이것은 구성재의 상부 표면이나 또는 하부 표면을 가지지 않는다. 대신에, 측면(7)과 단열 부분(2) 사이에 L 형상의 측벽(38,39)이 있도록 구성재의 측면(7) 윤곽이 구성되는데, 상기 전자의 L 형상 측벽(38)은 측면의 상부 가장자리 영역내에서 상방향으로 배향되고, 상기 후자의 L 형상 측벽(39)은 하부 가장자리 영역내에서 하방향으로 배향된다. 측면(7)의 상부 영역내에는 내측으로의 굽힘부(12)가 있는데, 그 위에서 측면이 수직 방향으로 연속된다. 측면의 하부 가장자리는 실질적으로 단열 부분의 하부 가장자리 아래에 있는 지점으로 연장된다.
구성재의 다른 측면(43)은 단열 부분의 측면에 직접적으로 결합된다. 이것은 단열 부분(2)과 같은 높이를 가지지만, 약간 하방향으로 이전되어 위치한다. 따라서 구성재는 이전 구성재의 상부에 있는 정확한 지점에 자체적으로 위치하게 되며, 겹쳐지는 측면(7,43)에 의해서 그 위치에 형상 잠김 상태가 된다. 단열 부분은 하나의 위에 다른 하나가 직접적으로 지지된다.
단면도인 도 17 과 도 18 은 개구부(15)가 측벽(38,39)의 수평 부분내에 형성된 것을 도시한다. 측면(7)은 여기서 외부의 측면을 구성하며, 측면(8)은 내부 측면을 구성한다. 측면(8)은 예를 들면 내부벽용으로 적당한 석고 판재일 수 있다. 개구부(15)를 가진, 측벽(38,39)으로 구성된 수평 부분을 가지는 측면(7)은 단열 부분에 직접적으로 결합된 측면에 의해 대체될 수 없다. 그러한 경우에는 연속적인 공기 공간에 의해 제공되는 환풍구가 결여되며, 따라서 벽 구조체는 기능성을 상실한다.
다른 한편, 단열 부분에 결합된 측면(8)은 측벽(7,38,39)으로 대체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내부 벽의 연속적인 공기 공간은 벽 내부에 감추어진 배선 및 배관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1 은 자체 위치 수단이 다른 방식으로 제공되었던 건축물 구성재의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19에 도시된 구현예에서, 측면(7,8)들은 자체 위치 수단을 가지지 아니한다. 건축 현장에서, 보조 장치가 하나의 개구부 위에 다른 하나의 개구부가 있는 개구부들 안으로 끼워지는 방식으로 상부 및 하부 표면내의 개구부(15)가 이용되는데, 보조 장치의 가장 큰 단면 치수는 개구부의 가장 작은 직경에 해당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재는 하나의 위에 다른 하나가 있는 위치에 직접적으로 자리잡게 될 수 있다. 구성재는 개구부에 맞물리는 결합재 및/또는 접착제(미도시)를 사용함으로써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20 에 도시된 구현예에서, 측면들중 하나는 예를 들면 도 1에 다른 자체 위치 수단을 가지는 반면에, 자체 위치 수단은 다른 측면(40)에서는 결여된다. 일측의 자체 위치 수단을 사용함으로써, 하나의 구성재 위에 다른 구성재를 위치시키는 것은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은 도 19에 따른 경우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수행된다.
도 21에 도시된 구현예에서, 측벽은 자체 위치 수단을 가지지 아니한다. 대신에, 돌출부(41) 및 그에 대응하는 노취(42)가 구성재의 하부 표면 및, 상부 표면에 각각 형성되었다. "자동적인" 위치 선정은 이러한 수단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구성재의 디자인과 장비가 의도된 용도에 따라서 첨부된 청구 범위내에서 광범위하게 변화될 수 있다는 점은 명백하다.
또한 "저층 건축물"이라는 용어는 고립된 주책만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 이것이 의도하는 건축물은 그 어떤 홀(hall), 산업용 건축물, 학교, 병원, 아파트 건물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구성재는 기술적인 특성 및 가변성에 기인하여 다른 많은 영역에서 활용될 수 있다.

Claims (24)

  1. 실질적으로 수직인 외측면(7;19;23)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내측면(8;17,24), 수직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인 상기 내외 측면들 사이의 단열 부분(1) 및, 상기 단열 부분과 상기 내외 측면들을 상호 연결하는 부재를 가지고, 하중 지지 구조를 형성하도록 하나의 위에 다른 하나가 자체적으로 위치되게끔 적재될 수 있는 자체 지지 통나무형 건축물 구성재(10)에 있어서,
    단열 부분(1)은 수직 하중을 수용하고 실질적으로 상기 구성재의 높이를 가진 하중 지지 구조이지만, 내외 측면들중 하나, 바람직스럽게는 외측면을 향하는 적어도 그 측부에 공간(14)이 있을 정도로 좁으며, 그리고 상기 공간 안에서, 또는 각 공간들 안에서, 상기 측면 및, 상기 단열 부분의 대향 표면에 결합된 횡단 부재(5,6,25,26)들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지지 통나무형 건축물 구성재(10).
  2. 제 1 항에 있어서, 외측면(7)을 향하는 공간(14)은 횡방향 부재내 개구부(15)를 통해서 주위와 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구성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구성재의 내측면은, 내측면을 향해서 면하는 단열 부분(1)의 표면에 결합된, 예를 들면 석고 판재인 내부 벽 판재(4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구성재.
  4. 제 1 항에 있어서, 단열 부분(1)의 각 측에는 공간(14)이 있고 그리고 각 공간은 횡단 부재(5,6)내 개구부(15)를 통해서 주위와 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구성재.
  5. 제 2 항 내지 제 4 항에 있어서, 개구부(15)는 구성재의 길이 방향인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구성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에 있어서, 건축물 구성재의 측면(7,8)과 단열 부분(1)을 상호 연결하는 횡단 부재는 건축물 구성재의 상부 표면(5) 및/또는 하부 표면(6)으로 구성되어, 각기 단열 부분의 상부 표면에 대하여 안착되거나 또는 그에 결합되고, 그리고/또는 단열 부분의 하부 표면에 대하여 안착되거나 또는 그에 결합되고, 그리고 외측면과 내측면의 상부 부분 및/또는 하부 부분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구성재.
  7. 제 6 항에 있어서, 하부 표면(6)은 U 자 형상의 수직 단면을 가지고, 그리고 그것의 분기부(11)는 외측면과 내측면(7,8)의 내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구성재.
  8. 제 1 항 내지 제 5 항에 있어서, 건축물 구성재의 단열 부분(1)과 측면(7)을 상호 연결하는 횡단 부재는, 일 단부에서 건축물 구성재의 측면과 접합되고 다른 단부에서 단열 부분의 측벽(3)과 연결되는 적어도 두개의 횡단 분기부를 구비한 윤곽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구성재.
  9. 제 8 항에 있어서, 측벽 구조는 두개의 L 형상 플렌지(38,39)를 구비하며, 그것의 횡단 분기부는 건축물 구성재의 측면(7)에 접합되고, 그리고 그것의 수직 분기부는 단열 부분의 측벽(3)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구성재.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의 어느 한 항 또는 몇개의 항에 있어서, 건축물 구성재의 상부 및 하부 표면(5,6)은 짝을 이루는 자체 위치 수단(28,29,30)을 가지며, 상기 자체 위치 수단은 구성재의 횡방향 배향에 대해서 건축물 구성재의 하나 위에 다른 하나를 정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구성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자체 위치 수단은 하나의 내측에 다른 하나가 끼워지거나 또는 겹쳐지는 수단이며, 그 하나(28;7;7,37;42)는 건축물 구성재의 상부 표면내에 위치하며 다른 하나(29,30;7,33;35,36;41)는 하부 표면에 있는 대응 지점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구성재.
  12. 제 10 항에 있어서, 자체 위치 수단은 외측면과 내측면의 각 가장자리 또는 양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구성재.
  13. 제 10 항에 있어서, 자체 위치 수단은 단열 부분의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에 각각 있으며 짝을 이루는 암수 수단(42,4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구성재.
  14. 제 13 항에 있어서, 구성재의 상부 부분이 정확한 형상으로써 상부 구성재의 하방향으로 연속되는 측벽 내측에 끼워지도록, 외측면과 내측면(7,8)의 상부 가장자리가 내측으로 경사져서(12) 그들의 하부 가장자리가 하부 표면(6) 아래의 지점까지 직접적으로 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구성재.
  15. 제 6 항 내지 제 12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 표면은 평탄한 판재(25,26)이며 외측면과 내측면은 모듈화된 판재(23,2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구성재.
  16. 제 6 항 내지 제 12 항의 어느 한 항 또는 몇개의 항에 있어서, 상부 표면(5)과 외측면 및 내측면(7,8)은 하나의 부분(9)으로서 모듈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구성재.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의 어느 한 항 또는 몇개의 항에 있어서, 각 외측면과 내측면들 또는 그들중의 하나는 직선으로부터 이탈된 윤곽, 바람직스럽게는 만곡된 윤곽(20) 또는 장식적인 윤곽(19)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구성재.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의 어느 한 항 또는 몇개의 항에 있어서, 그것의 외측면과 내측면 및/또는, 상부 표면 및/또는, 하부 표면은 목재 베니어, 목재 합성물, 재생 합성물, 석재 합성물, 또는 그 어떤 유사한 합성물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구성재.
  19. 제 18 항에 있어서, 건축물 구성재의 표면에 라미네이트 되어 있는, 예를 들면 종이층, 금속층, 멜라민 필름 또는 플라스틱 필름과 같은 특정한 재료의 층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구성재.
  20.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내화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외측벽 및/또는 외측벽의 내측에 라미네이트되어 있는, 예를 들면 금속층과 같은 특정한 재료의 층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구성재.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에 있어서, 단열 부분(1)은 기밀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구성재.
  22. 제 21 항에 있어서, 단열 부분(1)은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또는 미네랄 울과 같은 단열 코어(2)를 구비하고, 예를 들면 코어의 측면에 결합된 합판과 같은 하중 지지용 판재(3)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구성재.
  23. 제 21 항에 있어서, 단열 부분(1)의 단열 코어(2)는, 예를 들면 그 안의 섬유 평면이 수직인 구조용 미네랄 울과 같은 하중 지지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구성재
  24. 제 1 항 내지 제 23 항의 어느 한 항 또는 몇개의 항에 따른 건축물 구성재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또는 건축물의 일부.
KR1019997004659A 1996-11-27 1997-11-26 자체 지지되는 통나무형 건축 구성재 KR200000691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964726 1996-11-27
FI964726A FI101494B1 (fi) 1996-11-27 1996-11-27 Itsekantava hirrenomainen rakennuselementti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9145A true KR20000069145A (ko) 2000-11-25

Family

ID=8547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4659A KR20000069145A (ko) 1996-11-27 1997-11-26 자체 지지되는 통나무형 건축 구성재

Country Status (23)

Country Link
EP (1) EP0954655A1 (ko)
JP (1) JP2001504561A (ko)
KR (1) KR20000069145A (ko)
CN (1) CN1238822A (ko)
AP (1) AP9901592A0 (ko)
AU (1) AU5055698A (ko)
BG (1) BG103531A (ko)
BR (1) BR9713152A (ko)
CA (1) CA2272324A1 (ko)
EA (1) EA199900496A1 (ko)
EE (1) EE9900212A (ko)
FI (1) FI101494B1 (ko)
GE (1) GEP20002305B (ko)
HU (1) HUP0000429A3 (ko)
ID (1) ID24193A (ko)
IL (1) IL130066A0 (ko)
NO (1) NO992521L (ko)
NZ (1) NZ336408A (ko)
OA (1) OA11121A (ko)
SK (1) SK70799A3 (ko)
TR (1) TR199901176T2 (ko)
WO (1) WO1998023825A1 (ko)
YU (1) YU2329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71247B (zh) * 2010-06-25 2012-04-18 天津港保税区佳辰国际贸易有限公司 木制罗汉柱
CN102102421A (zh) * 2010-12-20 2011-06-22 黄靓 一种分体保温组合梁
WO2012154103A1 (en) * 2011-05-09 2012-11-15 Per Hobro Building block with interacting elements
CA2777208A1 (en) 2011-05-13 2012-11-13 Ronald A. Wrightman Log with thermal break
CA2865832C (en) * 2012-03-01 2016-07-05 Composante De Construction Ecolog.Ix Inc. Engineered building block modular construct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6079A (en) * 1988-11-18 1990-12-11 Liljegren Said D Building structure having stacked wooden beam walls
AU661295B2 (en) * 1991-01-22 1995-07-20 Arnes Plat Ab Building element
DE9214307U1 (ko) * 1992-10-23 1993-03-04 Lorenzhaus Hans-Peter Lorenz, 7597 Rheinau, De
SE504924C2 (sv) * 1994-05-06 1997-05-26 Hans Karlsson Isolerat stock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EP20002305B (en) 2000-11-25
EE9900212A (et) 1999-12-15
BR9713152A (pt) 2000-02-08
BG103531A (en) 2000-03-31
AU5055698A (en) 1998-06-22
WO1998023825A1 (en) 1998-06-04
HUP0000429A3 (en) 2000-09-28
OA11121A (en) 2003-04-04
NZ336408A (en) 2001-03-30
TR199901176T2 (xx) 1999-07-21
NO992521D0 (no) 1999-05-26
EA199900496A1 (ru) 2000-06-26
EP0954655A1 (en) 1999-11-10
JP2001504561A (ja) 2001-04-03
FI101494B (fi) 1998-06-30
HUP0000429A2 (hu) 2000-08-28
FI101494B1 (fi) 1998-06-30
YU23299A (sh) 2000-03-21
IL130066A0 (en) 2000-02-29
FI964726A0 (fi) 1996-11-27
AP9901592A0 (en) 1999-06-30
ID24193A (id) 2000-07-13
SK70799A3 (en) 2000-03-13
CN1238822A (zh) 1999-12-15
CA2272324A1 (en) 1998-06-04
NO992521L (no) 199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1993A (en) Construction module, method for producing such modules and the use of the module
US4677806A (en) Wooden building system with flange interlock and beams for use in the system
CA2182242C (en) Pre-insulated prefab wall panel
US5899037A (en) Composite wall structure
US3712004A (en) Building construction system
US5271878A (en) Insulating half-log panel
EP0758422B1 (en) An isolated log element
US6851233B2 (en) Cast log structure
CA2383643A1 (en) Laminated construction element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n earthquake-resistant building
CN201502114U (zh) 复合夹芯墙体及其构件
US3742665A (en) Modular building construction
GB1601619A (en) Building block and module system for building
KR20000069145A (ko) 자체 지지되는 통나무형 건축 구성재
RU74404U1 (ru) Сборная строитель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из продольных элементов и продольный элемент (варианты) для сборки этой конструкции
US20210396002A1 (en) Modular construction system
RU59096U1 (ru) Сэндвич-панель для щитового дачного дома
JPH06341177A (ja) 壁構成エレメントならびに該壁構成エレメントから形成された壁
US20070289240A1 (en) Self aligning three dimensional support structure for a roof constructed with prefabricated components
KR200172590Y1 (ko) 컨테이너 하우스용 벽면 적층판넬
FI60902B (fi) Av laettbaerverk framstaelld byggnadsenhet
JPS6344508Y2 (ko)
US7412803B2 (en) Endpiece for wood siding
JPS63219739A (ja) 壁体、支柱、天井の軽量建築部材およびその他の建築部材からなる建築ユニツトならびに軽量建築板
JPS58120938A (ja) 軽量プレフアブ建物
CN111705949A (zh) 一种便于制备的装配式墙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