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8427A - 고강도 침식전극 - Google Patents

고강도 침식전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8427A
KR20000068427A KR1019997001792A KR19997001792A KR20000068427A KR 20000068427 A KR20000068427 A KR 20000068427A KR 1019997001792 A KR1019997001792 A KR 1019997001792A KR 19997001792 A KR19997001792 A KR 19997001792A KR 20000068427 A KR20000068427 A KR 20000068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layer
wire
copper
erosion electrod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1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6060B1 (ko
Inventor
클라우스 타우버
한스 헤르만니
하인리히 그로스
베른드 바르텔
Original Assignee
쾨네 에르스트-에리히, 라스히만 호르스트
베르켄호프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쾨네 에르스트-에리히, 라스히만 호르스트, 베르켄호프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쾨네 에르스트-에리히, 라스히만 호르스트
Publication of KR20000068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8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6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60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02Wire-cutting
    • B23H7/08Wire electrodes

Abstract

본 발명은 우량한 전기도전율을 가진 고강도 침식전극에 관한 것이다.
상기 침식전극은 강철심, 동 또는 동함유합금의 중간층 및 적어도 40% 의 아연을 함유한 외층으로 구성되였다.
강철심은 0.6~1wt% 의 카본을 함유한 패턴팅 처리된 구조로 구성되고, 침식전극 직경의 50~75% 에 대응하는 코어영역을 점하고 있고, 중간층은 전직경의 5~40% 의 영역을 점유하며, 외층은 10~30% 의 영역을 점유하고 있으며, 그리고 외층의 아연함유량은 40~60wt% 간에 있다.

Description

고강도 침식전극{HIGH-STRENGTH EROSION ELECTRODE}
강철심, 강철심 주위에 구성된 중간층 및 아연함유한 외층으로 구성된 복합층의 와이어전극은 예컨데 독일특허 DE-PS 29 06 245 에 공지되여 있다.
강철심으로 구성된 모든 공지의 와이어전극은 동 또는 황동 전극과 비교하여 증가된 강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모든 이들 침식전극은 그들이 비교적 높은 강도를 가지면 전기적 도전율이 매우 낮아 겨우 8 s.m/mm2에 도달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 비교적 높은 인장력은 높은 또는 두꺼운 가공물의 절삭 또는 매우 작은 부분의 절삭에 대하여는 높은 와이어인장력을 요구함으로 특히 장점이 된다.
그러나 이들 공지의 와이어전극은 그들의 침식성능이 비교적 낮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10㎛의 침식와이어 직경을 가진 매우 작은 부분을 절삭한 경우에는 와이어의 휨과 진동을 최소로 감소시키기 위하며 높은 와이어강도가 필요하다.
지금까지, 텅스텐 또는 몰리브덴와이어는 100㎛이하의 와이어직경을 가진 매우 작은 부분의 절삭을 위하여 사용되여 있다.
그러나, 텅스텐 또는 몰리브텐와이어는 제조하는데 높은 비용이 든다.
강철심 및 황동외층을 가진 침식와이어는 텅스텐 와이어에 비하여 항상 적은 강도 및 열등한 침식작용을 나타냄으로 지금까지 이 목적을 위하여는 성공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스파크침식처리를 위한 와이어전극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대한 와이어전극에 관한것이며, 이 와이어전극은 강철심, 동 또는 고동함유합금의 중간층 및 적어도 40% 의 아연을 가진 외층으로 구성되여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침식와이어의 개략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기본 목적은 상기형의 강철심을 가진 고강도 침식전극 및 1800N/mm2이상의 강도 및 또한 10 s.m/mm2이상의 비교적 높은 도전율을 가진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목적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 의 특징으로 달성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와이어전극은 0.6~1% 의 카본함유량을 가진 강철심(K)을 구비하며, 그것에 의해 고동함유 동합금은 중간층(ZS)으로서 상기 강철심에 적용된다.
이 중간층은 전극와이어가 완성되었을때 40~60% 의 아연함유량을 가진 아연합금으로 구성된 외층(MS)에 의해 덮혀진다.
동일한 고강도에서 비교적 높은 도전율의 침식전극을 성취하는 조건은 강철심이 바람직하게는 소르바이트(sorbite)로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구조를 구비하는 것이며, 이때에 외층과 강철심간에는 다량의 동을 함유한 즉 다만 낮게 합금된 추가층이 배열된다.
여기서 합금 CuAg1 의 형태의 은(Ag)은 특히 합금원소로서 바람직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소량의 안연을 함유한 동합금은 바람직하게 본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 중간층위에는 최소 40% 와 최대 60% 의 아연함유량을 가진 아연합금으로 구성된 외층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와이어전극은 황동관 또는 황동대의 슬리브가 동으로 덮힌 강철심위에 형성되며, 그후 복합물은 신선(wire drawing)에 의해 축소된다.
이 제조방식은 외층의 아연함유량이 많을수록 문제가 많다.
또 다른 방법은 침지법(dipping method)에 의해 아연함유외층을 가진 동피보강철심을 공급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여기서 아연함유량은 임의로 조절될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한 어려움은 동일한 강도를 가진 외층을 원주에 구성하는 것이다.
와이어전극의 제조에 대한 매우 바람직한 방법은 강철심이 동층으로 덮어지는 것이며, 이때 강철심의 구조는 패턴팅(Patented)처리된 형태로 존재하게 된다.
그다음 아연합금이 이 동중간층에 배치되며, 이때 가장 간단한 경우 외층이 순수아연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바로 뒤를 이어 확산 어닐링이 이루어지며, 확산온도에 종속되는 확산어닐링의 지속시간은 전외층이 최대 60% 의 아연함유량의 아연합금으로 형성되도록 선정된다.
또한 확산어닐링의 지속시간은 강철심, 중간층 및 외층에 대한 필요영역이 조정되도록 결정되며, 이때 3개층의 이들 영역은 최종 와이어에서 달성된 강도뿐 아니라, 그의 도전율에 대해서도 중요하다.
그러나, 침식전극의 강도 그리고 도전율에 대한 결정적 요소는 최종 와이어의 강철심은 패턴팅 처리한 구조로 구성되며, 이때 전기적 도전율 및 강도는 동일하게 극대화된다.
이미 패턴팅 처리한 상태에 있는 강철심은, 확산어닐링이 성취된후, 신선에 의해 그의 직경이 축소된다.
전극의 강철심영역은 전체전극의 50~75% 간에 놓여 있으며, 중간층영역은 5~40%간에, 그리고 외층영역은 10~30%간에 놓여 있다.
또한, 외층의 아연함유량이 40~60%, 바람직하게 약간 50% 이상이 되는 요구를 충족하면, 그때에는 전극은 10~18 s.m/mm2의 도전율, 동시에 1800~2500 N/mm2의 강도를 얻을수 있다.
여기서, 알아낼수 있는 것은, 고도전율 및 고강도에 대한 요구는 서로 대립되는 것이다.
즉 고강도를 가진 발명에 의한 와이어는 비교적 낮은 전기적 도전율을 가지며, 그리고 그 역도참이다.
본 발명에 의한 침식와이어는 10㎛이하의 직경, 즉 지금까지 공지하에 사용되는 충분히 작은 직경으로 인장할 수 있다.
그러므로 특히 바람직한 것은 작은 직경의 이들 침식와이어는, 지금까지 사용된 텅스텐 및 모리브덴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제조비용이 현저하게 낮으며, 노화를 나타내지 않으며, 원료가격이 낮으며, 또한 제조시 높은 안전성을 제공하며 그리고 일정한 침식특성을 보유한다.
지금까지 사용된 몰리브덴 또는 텅스텐 와이어의 파손은 50%까지 달했으나, 본 발명에 의한 침식와이어의 생산품질은 매우 우수함으로, 침식기계에서 실제로 파손되지 않는다.
굽힘 및 진동을 작게 유지하기 위하여 큰 와이어 장력이 요구됨으로 큰 길이의 가공물을 절삭할때, 100㎛이상의 직경을 가진 침식와이어의 경우에는, 특히 고강도가 유리하다.
본 발명에 의한 전극은 고도전율 및 비교적 고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높은 윤곽정밀도를 가진 절삭특성은 매우 우수하다.
이때 이 정밀성은 와이어의 고강도에 의거하여 높은 와이어 장력에 의해 유리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외어어전극은 산업상이용가능성이 크다.

Claims (9)

  1. 강철심, 동 또는 고동함유합금의 중간층 및 적어도 40%의 아연함유합금의 외층으로 구성된 고강도 침식전극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0.6~1wt% 의 카본함유량을 가진 강철이 코어로서 사용되며, 그 위에 동 또는 고동함유합금의 중간층이 제공되며, 아연 또는 고아연함유합금의 외층이 중간층위에 제공되며, 그리고 첫번째 중간 어닐링전에 와이어전극은, 일반적으로는 외층은 융해점이 강철심의 패턴팅에 필요한 오스테나이트처리(austenitization)온도보다 높은 아연함유량을 가진 합금을 형성하도록, 타방으로는 확산처리는 침식와이어의 1개 또는 다수의 다음 패턴팅을 고려하며 외층이 필요한 성분 및 강도를 유지할 수 있게 긴시간 실행되도록 확산어닐링을 하며, 이때 침식전극은 각 중간어닐링시 파텐팅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침식전극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동중간층을 구비한 본 발명에 의한 스틸와이어는 초기와이어로서 사용되며, 그 아연함유외층은 중간층 위에 형성되며, 다음에 와이어는 소정의 성분 및 강도를 가진 황동외층을 형성하도록 확산어닐링되며, 그리고 침식전극은 각 변형절삭후 최종직경도달전에 패턴팅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침식전극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확산어닐링후 외층은 60% 를 초과않는 아연함유량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침식전극의 제조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침식와이어는 0.8mm 의 코어직경 및 0.1mm 의 중간층의 층두께를 가지며, 중간층위에 구성된 외층은 30㎛이며, 그 다음 와이어는 400℃ 온도에서 4시간이상 확산어닐링을 하게되며, 그후 약 0.4mm 의 직경으로 인장되고, 그후에 침식와이어는 패턴팅처리되며 그리고 필요에 따라 추가패턴팅처리하에 최종직경으로 인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침식전극의 제조방법.
  5. 강철심, 동 또는 고동을 함유한 합금으로 된 중간층 및 적어도 40% 의 아연을 가진 외층으로 구성된 침식전극에 있어서,
    철강심은 0.6~1wt% 의 카본함유량을 가진 패턴팅 처리된 구조로 구성되며 침식전극의 횡단면의 50~75% 의 코어영역을 점유하며, 중간층은 5~40% 의 영역을 그리고 외층은 10~30% 의 영역을 보유하고, 그리고 외층의 아연함유량은 40~60wt% 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식전극.
  6. 제 5 항에 있어서,
    침식전극의 도전율은 적어도 바람직하게는 12 S·m/mm2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식전극.
  7. 제 5 항에 있어서,
    중간층은 소량의 은을 함유한 동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식전극.
  8. 제 7 항에 있어서,
    중간층은 CuAg1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식전극.
  9. 제 5 항에 있어서,
    침식와이어의 강도는 적어도 1800N/mm2,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0N/m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식전극.
KR10-1999-7001792A 1996-09-04 1997-08-22 고강도 침식전극 KR1004560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35775.6 1996-09-04
DE19635775A DE19635775A1 (de) 1996-09-04 1996-09-04 Hochfeste Erodierelektro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8427A true KR20000068427A (ko) 2000-11-25
KR100456060B1 KR100456060B1 (ko) 2004-11-06

Family

ID=7804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1792A KR100456060B1 (ko) 1996-09-04 1997-08-22 고강도 침식전극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448527B1 (ko)
EP (1) EP0925138B1 (ko)
JP (1) JP2000517248A (ko)
KR (1) KR100456060B1 (ko)
CN (1) CN1080159C (ko)
AT (1) ATE208677T1 (ko)
BR (1) BR9711674A (ko)
CA (1) CA2264902C (ko)
DE (2) DE19635775A1 (ko)
ES (1) ES2167787T3 (ko)
HK (1) HK1020266A1 (ko)
TW (1) TW360576B (ko)
WO (1) WO199800976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645B1 (ko) * 2002-11-06 2005-04-27 홍덕스틸코드주식회사 와이어 방전가공용 전극선과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23512B2 (en) * 1997-08-29 2004-04-20 Selective Genetics Inc. Methods using genetic package display for detecting and identifying protein-protein interactions that facilitate internalization and transgene expression and cells or tissues competent for the same and methods for evolving gene delivery vectors
DE19913694A1 (de) * 1999-03-25 2000-11-02 Berkenhoff Gmbh Drahtelektrode
AU2001273949A1 (en) * 2000-05-24 2001-12-03 N V. Bekaert S.A. Electric discharge machining wire
PT1295664E (pt) * 2001-09-21 2008-05-16 Berkenhoff Gmbh Eléctrodo de arame para corte por electro-erosão
EP1295663B1 (de) * 2001-09-21 2007-05-23 Berkenhoff GmbH Drahtelektrode mit strukturierter Grenzfläche
WO2005097387A1 (en) * 2004-04-01 2005-10-20 Nv Bekaert Sa Electrode for high-speed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JP4917747B2 (ja) * 2004-11-10 2012-04-18 トクセン工業株式会社 放電加工用電極線
DE102012102325B3 (de) 2012-03-20 2013-07-18 OxiMa Tec GmbH Elektrode zur Bearbeitung eines Werkstückes
DE102013009767A1 (de) 2013-06-11 2014-12-11 Heinrich Stamm Gmbh Drahtelektrode zum funkenerosiven Schneiden von Gegenständen
CN104400159A (zh) * 2014-10-28 2015-03-11 苏州市宝玛数控设备有限公司 一种高效多层复合电极丝
RU2756092C1 (ru) * 2020-12-07 2021-09-28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Алтай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грар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ФГБОУ ВО Алтайский ГАУ)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сварочного биметаллического электрода намораживанием
CN113823435B (zh) * 2021-09-08 2024-04-23 湖州金钛导体技术有限公司 一种复合电极丝、复合电极丝的制备方法及应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5909B (en) * 1978-03-03 1982-12-01 Charmilles Sa Ateliers Electrode for spark erosion machining
US4686153A (en) * 1984-12-08 1987-08-11 Fujikura Ltd. Electrode wire for use in electric discharge machining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EP0253942B1 (en) * 1986-07-17 1991-03-27 Consiglio Nazionale Delle Ricerche Tartrate-containing alloy bath for electroplating brass on steel wires and procedure for employing the same
ES2033916T3 (es) * 1987-10-23 1993-04-01 Berkenhoff Gmbh Electrodo erosivo, esencialmente electrodo de alambre para la mecanizacion electrica-erosiva.
US4988552A (en) * 1988-06-17 1991-01-29 Composite Concepts Company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d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645B1 (ko) * 2002-11-06 2005-04-27 홍덕스틸코드주식회사 와이어 방전가공용 전극선과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6060B1 (ko) 2004-11-06
TW360576B (en) 1999-06-11
JP2000517248A (ja) 2000-12-26
ATE208677T1 (de) 2001-11-15
EP0925138B1 (de) 2001-11-14
EP0925138A1 (de) 1999-06-30
DE19635775A1 (de) 1998-03-05
CA2264902C (en) 2005-08-09
ES2167787T3 (es) 2002-05-16
BR9711674A (pt) 1999-08-24
CN1219899A (zh) 1999-06-16
CN1080159C (zh) 2002-03-06
CA2264902A1 (en) 1998-03-12
WO1998009764A1 (de) 1998-03-12
HK1020266A1 (en) 2000-04-07
US6448527B1 (en) 2002-09-10
DE59705408D1 (de) 2001-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6060B1 (ko) 고강도 침식전극
CA1327157C (en) Eroding electrode, in particular a wire electrode for the spark-erosive working
US6781081B2 (en) Wire electrode for spark erosion cutting
EP3128019B1 (en) Copper alloy wire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0733431B1 (de) Drahtelektrode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Drahtelektrode, insbesondere für das Funkenerodierverfahren
US20160368035A1 (en) Copper alloy twisted wire,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electric wire for automobile
KR20040068601A (ko) 스파크 침식 가공용 전극 와이어
CH632103A5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chwachstromkontaktbeschichtung.
KR0133291B1 (ko) 스파크 침식 절단에 사용하는 와이어 전극의 제조방법
JPH0465022A (ja) 自動車用電線導体
KR20010020671A (ko) 와이어 전극
JPH03501101A (ja) 放電加工電極
US5231270A (en) Wire electrode
JPS61136733A (ja) ワイヤ放電加工用電極線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451451B1 (ko) 와이어 방전 가공용 전극선
US6806433B2 (en) High-strength erosion electrode
WO2005097387A1 (en) Electrode for high-speed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P3862759B1 (de) Manteldrah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anteldrähten
JP2008115423A (ja) 耐屈曲性ケーブル用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導体を用いた耐屈曲性ケーブル
MXPA99002095A (en) High-strength erosion electrode
JPH07156021A (ja) 放電加工用電極線
CN110328420B (zh) 一种电极丝及其制备方法
JPS6366892B2 (ko)
RU99106787A (ru) Высокопрочный электрод для электроэрозионной обработки
JPH02270212A (ja) 極細線用銅合金複合線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