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6531A - 쉬프트 기억장치 - Google Patents

쉬프트 기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6531A
KR20000066531A KR1019990013730A KR19990013730A KR20000066531A KR 20000066531 A KR20000066531 A KR 20000066531A KR 1019990013730 A KR1019990013730 A KR 1019990013730A KR 19990013730 A KR19990013730 A KR 19990013730A KR 20000066531 A KR20000066531 A KR 20000066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storage device
memory
data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3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휘
Original Assignee
홍상표
주식회사 엘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상표, 주식회사 엘디티 filed Critical 홍상표
Priority to KR1019990013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66531A/ko
Publication of KR20000066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6531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2Treatment
    • C04B20/026Comminuting, e.g. by grinding or breaking; Defibrillating fibres other than asbesto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억장치 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기억장치내의 다른 주소로 쉬프트하기 위한 장치로서 특히 액정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화상을 액정화면의 상하좌우로 쉬프트 하여 표시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액정화면 화상데이터 기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기억장치는 액정화면상의 한 화소에 일대일로 대응하는 기억소자가 액정화면의 화소의 수만큼 갖추어져 있고, 그 기억소자에 기록된 데이터를 읽고 임시 저장하는 저장장치와 읽고 쓰기를 행할 시 필요한 주소를 발생하는 주소발생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서 기억소자 내에 기록된 데이터를 상하좌우로 쉬프트 함으로서 그 기억소자의 출력으로 표시되는 액정화면의 화상이 상하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데이터 쉬프트 기능을 갖는 액정화면 화상데이터 기억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쉬프트 기억장치 { SHIFT REGISTER MEMORY }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액정화면 상에 표시되고 있는 화상을 액정화면의 상하좌우로 이동하게 할 목적으로 액정화면 화상데이터 기억장치의 내용을 현재의 주소에서 다른 주소로 이동하여 기록하기 위해서는 현재 기록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중앙처리장치(CPU)가 읽어 와서 처리를 한 다음 원하는 주소에 써넣어야 하는데, 예를 들어 액정화면에 표시된 화상을 한 화소만큼 좌 혹은 우로 이동하는 동작을 실행하기 위하여 화상데이터 기억장치에 기록된 데이터를 이동하고자 한다면, 먼저 중앙처리장치는 현재 기록된 데이터를 1바이트 읽어온다. 읽어온 데이터를 1비트 쉬프트 레프트(SHIFT LEFT) 혹은 쉬프트 라이트(SHIFT RIGHT)한다. 주소를 변경하고 쉬프트된 데이터를 써넣는다. 다시 주소를 변경하여 다음 데이터를 읽어 온다.
여기서 예를 들어, 가로 100화소 세로 16화소로 구성된 액정화면이 있다면 총 화소 수는 1600개이고 이를 표시하기 위한 기억소자의 수는 1600비트가 필요하며 이것은 200바이트(BYTE)에 해당하므로 상기와 같은 동작을 200회 반복하여 실행하여야 모든 데이터의 이동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동작하기 위하여 프로그램과 중앙처리장치의 동작상의 손실이 막대하며, 데이터의 이동이 완료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본 발명은 액정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화상을 액정화면의 상하좌우로 이동하여 표시하기 위하여 액정화면에 표시되는 화상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화상데이터 기억장치의 화상데이터를 기억장치내의 다른 주소로 이동하게 하는 액정화면의 화상데이터 기억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화면 표시장치는 액정화면 제어장치와 액정화면 구동장치로 구성되어 있는데, 액정화면 제어장치는 액정화면 화상데이터 기억장치를 내장하고 있으며, 그 기억장치에 기록된 화상데이터가 액정화면 구동장치를 거쳐서 액정화면에 표시된다.
화상데이터 기억장치의 하나하나의 기억소자는 액정화면의 화소에 일대일로 대응되어 있어서 해당 기억소자의 내용을 바꾸면 액정화면의 표시도 바뀌게 된다. 예를 들면 액정화면이 가로 100화소 세로 16화소로 구성되어 있다면 총 1600화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므로 화상데이터 기억장치도 1600개의 기억소자가 있어야 한다.
액정화면 구동장치는 상기 화상데이터 기억장치의 출력 데이터를 액정화면이 동작할 수 있는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의 예와 같이 가로 100화소 세로 16화소로 구성된 액정화면에 대하여 가로신호(SEG신호) 100개와 세로신호(COM신호) 16개를 출력하는데, 총 1600화소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한번에 100개씩, 즉 SEG신호의 수만큼을 해당 COM신호에 따라 시분할로 출력하여 액정화면에 표시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상데이터 기억장치는 액정화면에서의 화상의 이동을 위하여 중앙처리장치(CPU)가 이동 명령을 주면 자동으로 기억장치 내의 데이터를 이동하며, 이동동작이 완료되면 이를 중앙처리장치가 알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화상데이터 기억장치는 액정화면에 표시된 화상이 상하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 이동, 하 이동, 좌 이동, 우 이동 명령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모든 데이터 지우기 및 모든 데이터 채우기 명령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상데이터 기억장치는 데이터의 이동을 한번에 SEG신호의 수만큼의 데이터를 동시에 이동하므로, COM신호의 수만큼 이동동작이 자동으로 반복되어 화상데이터의 이동이 완료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액정화면 화상데이터 기억장치의 구성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소발생장치의 구성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명령제어기의 구성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억장치의 구성블록도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도 1 및 도 2, 도 3, 도 4를 참조하여 그 구성을 설명하면 본 발명은 중앙처리장치로부터 동작명령을 받아 저장하는 제어 레지스터(1)와 그 제어 레지스터로부터 시작명령을 받아 기억장치(4)의 주소신호를 발생하는 주소발생장치 (2)와 제어 레지스터(1)로부터 제어명령을 받아 어떤 명령인지를 해석하고 그 명령에 따라 기억장치(4)가 적절히 동작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명령제어기(3)와 명령제어기(3)의 제어신호와 주소발생장치의 주소신호를 입력받아 현재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를 상하좌우에 해당하는 주소 혹은 비트(BIT)로 이동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기억장치(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기억장치(4)의 출력은 액정화면 구동장치로 전달되고, 액정회면 구동장치는 기억장치(4)의 출력을 SEG구동 신호로 변환하고 시간을 맞추어 COM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액정화면을 구동한다.
본 발명의 제어 레지스터(1)는 4비트의 데이터 저장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앙처리장치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특히 본 발명의 제어 레지스터(1)는 데이터 이동명령 수행 중에는 중앙처리장치로부터 받은 명령을 저장 유지하고 있다가 명령제어기(2)로부터 명령수행 종료신호가 오면 저장하고 있던 명령내용을 삭제하여 전체 시스템이 정상적인 액정화면 표시동작으로 복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중앙처리장치는 제어레지스터(1)의 내용을 참조함으로서 명령수행 완료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소 발생장치(2)에는 여러 종류의 주파수의 클럭들이 입력되는데 그중 1개의 클럭입력을 선택할 수 있는 클럭선택장치(5)와 클럭선택장치(5)가 선택하여 출력한 카운터 클럭신호를 입력받고 또한 명령제어기(3)로부터 업(UP)/ 다운(DOWN) 제어신호를 받아 업 카운트 또는 다운 카운트 동작을 하는 업/다운 카운터(6)와 업/다운 카운터(6)의 카운트 출력을 입력받고 또한 명령제어기(2)로부터 가감산 제어신호를 받아 가감산 연산을 하는 가감산회로(7)와 가감산회로(7)의 연산출력신호를 디코드하여 기억장치(4)의 주소신호를 생성하는 주소디코더(8)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기억장치(4)의 구성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소자(13)와 여러 개의 입력신호를 받아 그중 1개를 선택하여 상기 기억소자에 써넣을 수 있도록 하는 신호선택회로인 MUX(16)와 또한 상기 기억소자에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할 때에 그 출력된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여 액정화면 구동장치에 데이터를 공급하는 저장장치인 랫치(19)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억소자는 필요에 따라 1비트에서 수십 비트로 구성할 수 있는데 그 수는 COM신호의 수와 같다. MUX(16)는 입력이 4개로서 각각의 입력을 A, B, C, D라 한다면, A입력은 해당 기억소자(13)의 왼쪽에 있는 기억소자(12)의 랫치(18)의 출력에 연결되어 있고, B입력은 해당 기억소자(13)의 랫치(19)의 출력과 연결되어 있고, C입력은 해당 기억소자(13)의 오른쪽에 있는 기억소자(14)의 랫치(20)의 출력에 연결되어 있고, D입력은 중앙처리장치(CPU)와 같은 외부장치에서 보낸 주소신호로 해당 MUX를 선택하고, 또한 상기 외부장치에서 보낸 데이터를 입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기억소자(13)와 MUX(16)와 랫치(19)로 구성된 것은 본 발명의 장치의 SEG신호 1개에 대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이 SEG신호의 수만큼 있어야 한다.
액정화면 구동장치는 COM신호를 생성하여 액정화면에 인가하는데, COM신호는 현재 출력되고있는 SEG신호가 액정화면의 몇번째줄에 표시될 것인가를 나타낸다. 또한 액정화면 구동장치는 상기 기억장치(4)의 출력을 받아 액정화면에 SEG신호로서 출력을 하는데 상기 기억장치(4)의 기억소자가 COM신호의 수만큼 여러 비트로 구성되어 있으면 각각의 비트를 COM신호에 맞추어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중앙처리장치와 같은 외부장치에서 기억장치(4)에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주소신호와 데이터를 전송하면 그 데이터는 상기 주소신호가 지정하는 MUX의 D입력을 경유하여 해당 기억소자의 해당 비트에 저장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중앙처리장치는 모든 기억소자에 화상 데이터를 써넣음으로서 액정화면에 표시하고자하는 화상을 표시할 수가 있다.
다음, 액정화면에 표시된 화상을 상하좌우로 움직이고자 하면, 제어 레지스터(1)에 동작명령을 써넣는다. 동작명령을 받은 제어레지스터(1)는 동작명령을 해석하여 명령제어기(3)에 제어명령을 보내고 또한 주소발생장치(2)에 시작명령을 보낸다. 여기서 동작명령은 상 이동, 하 이동, 좌 이동, 우 이동, 화면 지우기, 화면 채우기 등의 명령이 있으며 각각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편의상 예를 들어, 액정화면이 가로 100화소 세로 16화소로 구성되어 있고, 가장 아래의 줄을 COM0 가장 위의 줄을 COM15와 같은 순서로 되어 있고, 기억장치에 기억소자와 MUX와 랫치의 구성이 100개가 있어서 각각의 랫치의 출력이 왼쪽부터 SEG0에서 가장 오른쪽이 SEG99와 같은 순서로 배열되어 있고, 각각의 기억소자는 16비트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설명을 하겠다. 또한 모든 기억소자의 1각각의 비트는 주소발생장치(2)에서 발생된 주소신호로서 그 신호에 해당하는 비트를 읽거나 쓸 수가 있는데, COM0에 해당하는 비트의 주소를 주소 0으로하고, COM15에 해당하는 비트의 주소를 주소 15로 하는데 나머지 비트들도 같은 방법으로 주소를 부여한다.
상 이동 및 하 이동의 경우 시작명령을 받은 주소발생장치(2)는 기억장치(4)의 주소를 발생하는데, 먼저 발생된 읽기 주소는 모든 기억소자(12, 13, 14 등)의 해당 주소의 비트의 데이터를 출력하여 각각의 랫치(18, 19, 20 등)에 저장하게 한다. 제어명령을 받은 명령제어기(3)는 신호를 발생하여 기억장치(4)의 모든 MUX(15, 16, 17 등)를 제어하여 MUX의 입력이 B입력이 되도록 한다. 즉 MUX는 랫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입력으로 받아서 기억소자로 출력한다. 주소발생장치(2)는 다음에 쓰기 주소를 발생하여 기억장치(4)의 모든 기억소자의 해당 비트에 각각의 MUX에서 온 데이터를 저장하게 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16회 반복하므로 서 기억장치(4)내의 화상 데이터가 이동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의 동작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 이동의 경우, 먼저 읽기 주소 14가 발생되어 기억장치(4)의 모든 기억소자의 해당 비트의 데이터를 각각의 랫치에 저장하고, 다음 쓰기 주소 15가 발생되어 모든 랫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각각의 기억소자의 해당 비트에 저장한다. 이리하여 모든 기억소자의 주소 14에 해당하는 비트의 데이터가 주소 15에 해당하는 비트로 옮겨지게 된다. 다시 읽기 주소 13이 발생되어 모든 기억소자의 해당 비트의 데이터가 각각의 랫치에 저장되고 다음에 쓰기 주소 14가 발생되어 모든 랫치에 저장된 데이터가 각각의 기억소자의 해당 비트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면 기억장치(4)의 모든 데이터가 상 이동하게 되는데 마지막 주소 0에 해당하는 비트에는 '0'이 저장되도록 함으로서 이동 동작이 완료된다.
하 이동의 경우, 먼저 읽기 주소 1이 발생되어 기억장치(4)의 모든 기억소자의 해당 비트의 데이터를 각각의 랫치에 저장하고, 다음 쓰기 주소 0이 발생되어 모든 랫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각각의 기억소자의 해당 비트에 저장한다. 이리하여 모든 기억소자의 주소 1에 해당하는 비트의 데이터가 주소 0에 해당하는 비트로 옮겨지게 된다. 다시 읽기 주소 2가 발생되어 모든 기억소자의 해당 비트의 데이터가 각각의 랫치에 저장되고 다음에 쓰기 주소 1이 발생되어 모든 랫치에 저장된 데이터가 각각의 기억소자의 해당 비트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면 기억장치(4)의 모든 데이터가 하 이동하게 되는데 마지막 주소 15에 해당하는 비트에는 '0'이 저장되게 함으로서 이동동작이 완료된다.
좌 이동의 경우, 제어명령을 받은 명령제어기(3)는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기억장치(4)의 모든 MUX를 제어하여 MUX의 입력이 C입력이 되도록 한다. 즉 모든 MUX는 각각 자신의 기억소자보다 오른쪽에 있는 기억소자의 랫치의 출력을 입력으로 받아서 자신의 기억소자로 출력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시작명령을 받은 주소발생장치(2)는 기억장치(4)의 주소를 발생하는데, 하나의 주소가 발생되면 모든 기억소자의 각각의 해당 주소의 비트의 데이터를 출력하여 각각의 랫치에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그 주소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모든 랫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다시 기억소자에 저장하게 하면 MUX의 작용으로 모든 기억소자의 해당 비트는 각각 자신이 소속된 기억소자의 오른쪽에 있는 기억소자의 랫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저장하게 되므로 모든 기억소자의 해당 비트의 데이터가 좌로 이동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동작을 주소 0에서 주소 15가지 순차적으로 진행하면 모든 기억소자의 모든 비트의 데이터는 좌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가장 오른쪽에 있는 기억블록의 MUX의 C 입력은 '0'을 인가함으로서 해당 기억소자에는 '0'이 입력된다.
우 이동의 경우 좌 이동과 같은 동작을 하나, 명령제어기(3)가 기억장치(4)의 모든 MUX의 입력이 A입력, 즉 MUX가 자신의 기억소자보다 왼쪽에 있는 기억소자의 랫치의 출력을 입력으로 받아 자신의 기억소자로 출력하도록 함으로서 모든 데이터가 우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가장 왼쪽에 있는 기억블록의 MUX의 A 입력은 '0'을 인가함으로서 해당 기억소자에는 '0'이 입력된다.
화면 지우기의 경우, 기억장치에 기록된 모든 화상 데이터를 '0'으로 하는 것으로서, 명령제어기(3)는 모든 기억장치(4)의 모든 MUX의 출력을 '0'이 출력되게끔 하여 두고, 주소발생장치(2)는 주소 0에서 주소 15까지 순차적으로 주소를 발생하며, 각 주소발생시 마다 모든 기억소자의 해당 비트에 쓰기를 하면 모든 데이터가 '0'이 된다.
화면 채우기의 경우, 기억장치에 기록된 모든 화상 데이터를 '1'로 하는 것으로서, 명령제어기(3)는 모든 기억장치(4)의 모든 MUX의 출력을 '1'이 출력되게끔 하여 두고, 주소발생장치(2)는 주소 0에서 주소 15까지 순차적으로 주소를 발생하며, 각 주소발생시 마다 모든 기억소자의 해당 비트에 쓰기를 하면 모든 데이터가 '1'이 된다.
상기의 동작 설명에서 주소발생장치(2)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주소발생장치(2)는 상 이동의 경우 읽기 주소 14를 가장 먼저 발생하고 다음에 쓰기 주소 15를 발생하고, 다시 읽기 주소 13을 발생하고 다음에 쓰기 주소 14를 발생하는 동작을 이어 가는데, 그러기 위해서 먼저, 주소발생장치의 업/다운 카운터(6)에 업/다운 제어신호를 보내어 업/다운 카운터(6)가 초기치 2진수 '1111'에서 다운 카운트를 하게 만들고 클락 선택장치(5)에서 선택된 카운트 클럭을 업/다운 카운터(6)에 공급하면 업/다운 카운터(6)은 2진수 '1111'에서 2진수 '0000'까지 16단계를 순차적으로 다운 카운트한다. 이때 매 단계마다 가감산 회로(7)에 가감산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1'감산한 출력과 감산하지 않은 출력을 한번씩 순차적으로 출력되게 하고 그 출력을 주소 디코더(8)로 디코드하면 상기와 같은 상 이동동작을 하기 위한 주소가 출력된다. 이때 '1' 감산한 주소가 읽기 주소가 되고, 감산하지 않은 주소가 쓰기 주소가 된다.
또한 하 이동의 경우, 읽기 주소 1을 먼저 발생하고 다음에 쓰기 주소 0을 발생하고, 다시 읽기 주소 2를 발생하고 다음에 쓰기 주소 1을 발생하는 동작을 이어 가는데, 그러기 위해서 먼저, 주소발생장치(2)의 업/다운 카운터(6)에 업/다운 제어신호를 보내어 업/다운 카운터(6)가 초기치 2진수 '0000'에서 업 카운트를 하게 만들고, 클럭 선택장치(5)에서 선택된 카운트 클럭을 업/다운 카운터(6)에 공급하면 업/다운 카운터(6)는 2진수 '0000'에서 2진수 '1111'까지 16단계를 순차적으로 업 카운트한다. 이때 매 단계마다 가감산 회로(7)에 가감산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1'가산한 출력과 가산하지 않은 출력을 한번씩 순차적으로 출력되게 하고 그 출력을 주소 디코더(8)로 디코드하면 상기와 같은 하 이동동작을 하기 위한 주소가 출력된다. 이때 '1' 가산한 주소가 읽기 주소가 되고, 가산하지 않은 주소가 쓰기 주소가 된다.
그리고 좌 이동, 우 이동, 화면 지우기 및 화면 채우기의 경우 주소발생장치 (2)는 주소 0에서 주소 15까지를 순차적으로 발생하면 되므로, 업/다운 카운터(6)에 업/다운 제어신호를 보내어 업/다운 카운터(6)가 초기치 2진수 '0000'에서 업 카운트를 하게 만들고 클럭 선택장치(5)에서 선택된 카운트 클럭을 업/다운 카운터(6)에 공급하면, 업/다운 카운터(6)는 2진수 '0000' 에서 2진수 '1111'까지 16단계를 순차적으로 업 카운트한다. 이를 주소 디코더(8)로 디코드하여 상기와 같은 동작을 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의 명령제어기(3)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명령해석장치(9)에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명령해석장치(9)는 타이밍 발생장치(10)에 동작개시신호를 보낸다. 동작개시신호를 받은 타이밍 발생장치(10)는 입력된 클럭을 분주하여 타이밍신호를 만들어 명령해석장치(9)와 종료신호 발생장치(11)에 보낸다. 명령해석장치(9)는 입력된 제어신호와 타이밍신호를 조합하여 가감산 제어신호와 랫치 제어신호와 MUX 제어신호를 만든다. 가감산 제어신호는 제어명령이 상 이동, 하 이동의 경우 주소발생장치(2)의 가감산회로(7)에 인가되어 감산 혹은 가산 동작을 하게 한다. 랫치 제어신호는 기억장치(4)의 모든 랫치에 각각의 기억소자의 출력 데이터를 저장하게 하는 신호이다. 그리고 MUX 제어신호는 기억장치(4)의 모든 MUX의 입력을 선택하거나 혹은 MUX의 출력을 '1' 또는 '0'으로 고정하는 제어를 하는 신호이다. 종료신호 발생장치(11)는 주소출력장치(2)의 업/다운 카운터(6)의 출력과 타이밍 발생장치(10)의 타이밍신호를 이용하여 제어명령의 수행이 종료되었음을 검출하고, 이를 종료신호로 하여 제어레지스터에 인가하여 모든 동작이 종료되도록 한다.
화상데이터 기억장치에 기록된 화상데이터를 화상데이터 기억장치 내에서 이동할 경우, 중앙처리장치는 본 발명의 장치의 제어레지스터에 이동명령만 주면 본 발명의 장치는 화상데이터의 이동을 독자적으로 수행하고 완료시 이를 중앙처리장치가 알 수 있도록 함으로서, 중앙처리장치는 그 동안 다른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데이터가 한번에 SEG신호의 수만큼을 동시에 이동하므로, COM신호의 수만큼만 이동동작을 자동 반복하면 화상데이터의 이동이 완료한다. 또한 주소발생 및 쉬프트 동작 등이 자동으로 수행되므로 그 이동속도가 매우 빠르다. 따라서 액정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화상의 움직임을 매우 빠르고 부드럽게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Claims (5)

  1. 기억장치 내에 기록된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표시장치에 표시된 내용을 상하좌우로 움직이게 하기 위하여 기억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동시킬 때, 중앙처리장치 혹은 데이터 처리장치에서 입력된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억장치와, 중앙처리장치 혹은 데이터 처리장치에서 동작명령을 받아 이를 저장하는 명령저장장치와, 저장된 동작명령을 해석하여 제어신호를 만드는 명령해석장치와, 상기 기억장치의 주소를 발생하는 주소발생장치와, 동작명령 수행시 상기 기억장치와 상기 주소발생장치의 제어신호들을 만들고 동작수행 종료를 검출하여 상기 명령저장장치에 인가하는 제어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액정화면 화상데이터 기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기억장치의 구성이 여러 비트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억소자와, 여러 개의 입력중 하나의 입력을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는 선택장치와, 상기 기억소자의 출력을 일시 저장할 수 있는 임시 저장수단을 갖추고, 상기 선택장치의 출력을 상기 기억장치의 임의의 비트에 저장할 수 있고, 상기 임시 저장수단의 출력이 상기 선택장치의 입력의 하나가 되고, 또한 상기 임시 저장수단이 상기 기억장치의 출력이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화면 화상데이터 기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기억장치의 구성이 상기 2항과 같은 구성으로 여러 개 좌우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2항의 선택장치의 입력 중 하나의 입력이 자신의 기억소자의 왼쪽에 있는 기억소자의 임시 저장수단의 출력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 하나의 입력이 자신의 기억소자의 오른쪽에 있는 기억소자의 임시 저장수단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화면 화상데이터 기억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발생장치의 구성이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업/다운 카운터와,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업/다운 카운터의 출력에 가감산연산을 할 수 있는 가감산장치와, 상기 가감산장치의 출력을 디코드하여 상기 기억장치의 모든 기억소자의 특정 비트를 선택하는 주소를 출력하는 주소발생장치로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화면 화상데이터 기억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중앙처리장치 혹은 데이터 처리장치에서 입력한 동작명령을 저장하여 두었다가 동작명령의 수행이 종료될 시 이를 검출하여 저장된 동작명령을 삭제하여 중앙처리장치 등의 장치가 동작명령 수행종료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명령저장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화면 화상데이터 기억장치
KR1019990013730A 1999-04-19 1999-04-19 쉬프트 기억장치 KR200000665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3730A KR20000066531A (ko) 1999-04-19 1999-04-19 쉬프트 기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3730A KR20000066531A (ko) 1999-04-19 1999-04-19 쉬프트 기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6531A true KR20000066531A (ko) 2000-11-15

Family

ID=19580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3730A KR20000066531A (ko) 1999-04-19 1999-04-19 쉬프트 기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6653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37782A (en) Liquid crystal display drive circuit with variable sequence of backplate scanning and variable duty factor
KR950006503A (ko) 액정 디스플레이 액정 드라이버
KR860002872A (ko) 화상메모리 주변장치
KR19980072449A (ko)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
US8350832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for display controller
JPH035990A (ja) デュアル・ポート・メモリ
US3918041A (en) Multiplex display system
JP2015079078A (ja) 表示制御装置及び方法、半導体集積回路装置、並びに、表示装置
JPH04303233A (ja) 表示駆動制御用集積回路及び表示システム
JP3698137B2 (ja) 表示ドライバ、電気光学装置及び表示ドライバの制御方法
JPH07175445A (ja) メモリ内蔵液晶ドライバと液晶ディスプレイ
WO2001018779A1 (en) Led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1174404B (zh) 用于显示控制器的半导体集成电路装置
KR20000066531A (ko) 쉬프트 기억장치
GB2065943A (en) Controlling a digital display device of either dynamic or static type
KR100472478B1 (ko) 메모리 억세스 제어방법 및 장치
CN100442351C (zh) 数据驱动器、光电装置、电子设备及驱动方法
US831049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display data
JP4987230B2 (ja) 表示システムのための駆動方法、駆動回路、及び駆動装置
JP2005202423A (ja) 画像表示装置
US5500653A (en) Character data writing device
JPH11231847A (ja) 液晶ディスプレイ・コントローラ
JPH075845A (ja) 相転移型液晶ディスプレイの書き込み方式
JP2785092B2 (ja) 平板型表示装置
CN109545131B (zh) 显示驱动器、显示装置以及操作显示驱动器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