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6214A -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 Google Patents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6214A
KR20000066214A KR1019990013151A KR19990013151A KR20000066214A KR 20000066214 A KR20000066214 A KR 20000066214A KR 1019990013151 A KR1019990013151 A KR 1019990013151A KR 19990013151 A KR19990013151 A KR 19990013151A KR 20000066214 A KR20000066214 A KR 20000066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dow mask
support
frame assembly
tie bar
suppo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3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정수
Original Assignee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순택
Priority to KR1019990013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66214A/ko
Publication of KR20000066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621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6Representation of non-cartographic information on maps, e.g. population distribution, wind direction, radiation levels, air and sea rou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c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섀도우마스크 프레임조립체가 개시된다. 개시된 섀도우마스크 프레임조립체는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어 전자빔이 통과하는 슬롯을 형성하는 복수의 스트립과, 상기 스트립을 상호 연결하며 슬롯을 구획하는 타이바와, 최외각 스트립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이바 지지부를 구비하는 섀도우마스크; 및 상기 섀도우마스크의 양 장변부를 지지하여 스트립에 인장력을 가하는 한 쌍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고정하는 텐션부재와, 상기 텐션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타이바 지지부와 결합되어 열팽창시 외측으로 인장력을 가하는 서포트를 구비한 프레임;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섀도우마스크 프레임조립체{Frame assembly for shadow mask of CPT}
본 발명은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프레임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가열시 포아송 콘트랙션(Poisson Contraction)현상을 보정하는 섀도우마스크 프레임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섀도우마스크는 박판상에 다수의 전자빔 통과용의 슬롯이 형성된 타입과, 프레임에 소정의 간격으로 와이어가 설치되어 스트립 상의 전자빔 통과용의 슬롯을 가지는 타입 등이 있다.
도 1에는 통상적인 음극선관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통상적인 음극선관은 내면에 형광막(11)이 형성된 패널(14)과, 상기 형광막(11)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패널(14)의 내측면에 고정된 섀도우마스크 프레임조립체(10)와, 상기 패널(14)과 봉착되는 것으로 그 네크부와 콘부에 설치된 전자총(17)과 편향요오크(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에는 통상적인 음극선관에 설치되는 섀도우마스크 프레임조립체(10)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섀도우마스크 프레임조립체(10)는 다수의 스트립(12e)이 단변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트립(12e)들의 사이에는 슬릿형 슬롯(12a)이 형성되는 섀도우마스크(12)와, 이 섀도우마스크(12)의 양단부 즉 장변부(12c) 가장자리와 결합되어 상기 섀도우마스크(12)를 지지하는 프레임(15)을 구비한다.
상기 프레임(15)은 섀도우마스크(12)와 결합되어 고정시키는 소정의 틀로서 상기 섀도우마스크(12)와 결합된 스커트부(25a)를 포함하며 상기 스커트부(25a)에는 스프링(16)이 설치된다.
상술한 종래의 섀도우마스크 프레임조립체(10)는 프레임(15)의 측면에 설치된 상기 스프링(16)이 패널(14)의 내측면에 고정된 스터드 핀(14a)에 결합됨으로써 패널(14)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음극선관은 상기 전자총(17)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이 형광막(11)의 주사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편향요오크(13)에 의해 편향된 후 프레임(15)에 지지된 섀도우마스크(12)의 슬롯(12a)을 통과하여 형광막(11)에 랜딩됨으로써 화상을 형성하게 된다.
상술한 슬롯(12a)을 형성하는 스트립(12e)은 외부의 진동이 유입될 경우 떨리는 현상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떨림 현상은 슬롯(12a)의 간격을 일정하지 않게 만들고 또한 스트립(12e)의 위치를 이동시켜 상기 전자총(17)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이 정확하게 형광막(11)의 형광점에 랜딩되지 못하게 하는 문제점을 유발시킨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섀도우마스크의 포아송 콘트랙션 현상을 해소하기 위하여 섀도우마스크와 프레임이 개선된 섀도우마스크 프레임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음극선관의 입단면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섀도우마스크 프레임조립체를 일부 절제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섀도우마스크 프레임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특징부 중의 하나인 서포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섀도우마스크 프레임조립체에서 포아송 콘트랙션 현상이 해소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섀도우마스크 프레임조립체의 개략적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50...섀도우마스크 프레임조립체
11...형광막 12, 32...섀도우마스크
12a, 32a...슬롯 13...편향요오크
14...패널 15, 40...프레임
16...스프링 17...전자총
25a...스커트부 30...서포터
32b...타이바 지지부 32e...스트립
32d...타이바 36...서포터푸트
44...고팽창합금편 45...저팽창합금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섀도우마스크 프레임조립체는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어 전자빔이 통과하는 슬롯을 형성하는 복수의 스트립과, 상기 스트립을 상호 연결하며 슬롯을 구획하는 타이바와, 최외각 스트립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이바 지지부를 구비하는 섀도우마스크; 및 상기 섀도우마스크의 양 장변부를 지지하여 스트립에 인장력을 가하는 한 쌍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고정하는 텐션부재와, 상기 텐션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타이바 지지부와 결합되어 열팽창시 외측으로 인장력을 가하는 서포트를 구비한 프레임;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은, 상기 타이바들과 타이바 지지부는 동일 선상에 위치된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서포터는 상기 타이바 지지부와 결합되는 서포터암과, 상기 서포터암을 지지하는 서포터푸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서포터푸트는 바이메탈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섀도우마스크 프레임조립체(5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섀도우마스크 프레임조립체(50)는 섀도우마스크(32)와 상기 섀도우마스크(32)와 결합되는 프레임조립체(40)를 포함한다.
상기 섀도우마스크(32)는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는 다수의 스트립(32e)들에 의해 전자빔이 통과하는 슬롯(32a)이 형성된다. 스트립(32e)들의 사이에는 소정의 폭을 가지며 상기 슬롯(32a)을 구획하는 다수의 타이바(32d)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슬롯(32a) 내의 다수의 타이바(32d)끼리의 간격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섀도우마스크(32)의 단변부의 단부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부 중의 하나로써 상기 타이바(32d)와 연장되는 타이바지지부(32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40)은 상호 나란하며 상하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개의 지지부재(35b)와, 상기 지지부재(35b)의 양단부와 결합하여 사각형상을 이루는 텐션부재(35a)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35b)는 그 양단부가 벤딩되어 있고 상기 섀도우마스크(32)의 장변부와 결합된다.
또한 상기 텐션부재(35a)에는 상기 지지부재(35b)의 양단부가 벤딩됨으로서 형성된 정도의 높이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터(30)가 수직으로 설치된다.
상기 서포터(30)는 상기 섀도우마스크(32)의 장변부와 결합되는 바(Bar)형태의 서포터암(37)과, 상기 프레임(40)에 결합되어 상기 서포터암(37)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복수개의 서포터푸트(36)를 포함한다.
상기 서포터푸트(36)는 일종의 바이메탈(Bi-metal)로써 상기 섀도우마스크(32)의 중심부 측에 위치되는 고팽창합금편(44)과 외측방향에 위치되는 저팽창합금편(45)이 상호 접합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서포터푸트(36)는 고팽창합금편(44)과 저팽창합금편(45)의 팽창율이 상기 포아송 컨트랙션현상을 해제시키는 정도의 것이면 사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섀도우마스크 프레임조립체의 동작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섀도우마스크 프레임조립체의 동작을 도 4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동작을 종래 기술로서 설명된 도 1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같이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패널(14)의 내부에 장착된 전자총(17)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은 유공부(32f)에 형성된 슬롯(32a)을 통과하여 형광막(11)을 여기 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전자총(17)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인 열전자는 섀도우마스크(32)의 슬롯(32a)을 모두 통과하지 못하고, 그 일부가 섀도우마스크(32)에 랜딩됨으로써 섀도우마스크(32)가 가열되게 된다.
한편, 상기 섀도우마스크(32)는 프레임조립체(50)에 그 장변부 방향의 가장자리가 상기 프레임조립체(50)에 결합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섀도우마스크(32)는 약 5~6 Kg의 인장력으로 당겨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인장력으로 인하여 상기 섀도우마스크(32)의 단변부의 측변은 상기 섀도우마스크(32)의 중심측으로 만곡되어진 상태이다.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섀도우마스크 프레임조립체(50)에서 섀도우마스크(32)의 단변부의 단부가 상기 섀도우마스크(32)의 중심측으로 만곡되는 포아송 콘트랙션현상이 나타난 것을, 상술한 바와 같이 가열된 섀도우마스크(32) 및 프레임조립체(40)에 의해 서포터푸트(36)가 열을 받아 섀도우마스크(32)의 중심과 반대측으로 휘어져 교정하는 것이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서포터푸트(36)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화살표방향으로 휘어지는 과정에서 소정의 인장력을 발생시키며 이러한 인장력은 타이바지지부(32b)를 같은 방향으로 인장시키고, 이후 타이바지지부(32b)는 인접한 측면의 타이바(32d)를 당김으로써 슬롯(32a)을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시키면서 포아송 콘트랙션 현상을 해소시킨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섀도우마스크 프레임조립체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섀도우마스크(62)는 다수의 슬릿형 슬롯(62a)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62a)에 교번적으로 다수의 스트립(62e)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슬롯(62a) 내에는 소정의 폭으로 상기 슬롯(62a)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스트립(62e)의 측면을 연결하도록 다수의 타이바(62d)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슬롯(62a) 내의 다수의 타이바(62d)끼리의 간격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타이바(62d)는 인접한 슬롯(62a) 내에 형성된 타이바(62d)와 소정의 상하 위상차를 갖도록 상호 교호적으로 설치된다.
기타의 구성과 동작은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섀도우마스크 프레임조립체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섀도우마스크의 포아송 콘트랙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타이바에 의해 스트립 사이의 간격 변화를 줄임으로써,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을 형광막의 형광점에 정확하게 주사되도록 한다.
셋째; 스트립의 진동에 의해 슬롯의 간격이 변함으로써 발생되는 화상의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어 전자빔이 통과하는 슬롯을 형성하는 복수의 스트립과, 상기 스트립을 상호 연결하며 슬롯을 구획하는 타이바와, 최외각 스트립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이바 지지부를 구비하는 섀도우마스크; 및
    상기 섀도우마스크의 양 장변부를 지지하여 스트립에 인장력을 가하는 한 쌍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고정하는 텐션부재와, 상기 텐션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타이바 지지부와 결합되어 열팽창시 외측으로 인장력을 가하는 서포트를 구비한 프레임;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도우 마스크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바들과 타이바 지지부는 동일 선상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프레임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타이바 지지부와 결합되는 서포터암과, 상기 서포터암을 지지하는 서포터푸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프레임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푸트는 바이메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프레임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 타이바 지지부들의 사이에 위치되는 타이바들은 상호 교호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프레임조립체.
KR1019990013151A 1999-04-14 1999-04-14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200000662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3151A KR20000066214A (ko) 1999-04-14 1999-04-14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3151A KR20000066214A (ko) 1999-04-14 1999-04-14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6214A true KR20000066214A (ko) 2000-11-15

Family

ID=19579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3151A KR20000066214A (ko) 1999-04-14 1999-04-14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662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398B1 (ko) * 2001-05-08 2007-11-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랫 마스크와 이 마스크의 조립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제조된 텐션 마스크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398B1 (ko) * 2001-05-08 2007-11-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랫 마스크와 이 마스크의 조립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제조된 텐션 마스크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8903B1 (ko) 평면형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US4572983A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an improved support structure for a color selection electrode
US4613785A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an improved simplified support structure for a color selection electrode
US6246164B1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a low expansion tension mask attached to a higher expansion frame
JP3746425B2 (ja) テンション付与マスク−支持フレーム組立体を持つカラー受像管
JP3261738B2 (ja) カラ−受像管のためのマスクフレ−ム構造体
EP0446792B1 (en) Colour picture tube having shadow mask-frame assembly support
KR20000066214A (ko)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US6646369B2 (en) Display tube comprising a mask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KR100322065B1 (ko) 평면형 음극선관의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100385214B1 (ko) 평면형 음극선관의 텐션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US6731055B2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a low expansion tension mask attached to a higher expansion frame
EP1428239B1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a low expansion tension mask attached to a higher expansion frame
JP4125231B2 (ja) 陰極線管のためのインサートを有するマスクのサポートブレード構造
KR100322064B1 (ko) 평면형 음극선관의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100322066B1 (ko) 평면형 음극선관의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100300398B1 (ko) 칼라음극선관용섀도우마스크프레임조립체
US4460843A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improved temperature compensating support for a mask-frame assembly
US4528475A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spring supports for a mask-frame assembly
KR100741055B1 (ko) 칼라 음극선관용 텐션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100385211B1 (ko) 훅스프링과 이를 이용한 평면형 음극선관
KR100385212B1 (ko) 평면형 음극선관용 텐션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20040009087A (ko) 칼라 음극선관용 텐션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20030025686A (ko) 칼라 음극선관용 텐션마스크
KR20030083994A (ko) 텐션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와 이를 가지는 칼라 음극선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