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5001A - 흡입기 - Google Patents

흡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5001A
KR20000065001A KR1019980708529A KR19980708529A KR20000065001A KR 20000065001 A KR20000065001 A KR 20000065001A KR 1019980708529 A KR1019980708529 A KR 1019980708529A KR 19980708529 A KR19980708529 A KR 19980708529A KR 20000065001 A KR20000065001 A KR 20000065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ister
inhaler
suction tube
inlet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8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1814B1 (ko
Inventor
알프레드 폰 슈크만
Original Assignee
데이비드 에릭 길즈
아스트라세네카 악티엔볼라게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비드 에릭 길즈, 아스트라세네카 악티엔볼라게트 filed Critical 데이비드 에릭 길즈
Priority claimed from PCT/EP1997/002144 external-priority patent/WO1997040876A2/en
Publication of KR20000065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5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1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18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75/325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being a flat not- rigid sheet, e.g. puncturable or peelable foil
    • B65D75/327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being a flat not- rigid sheet, e.g. puncturable or peelable foil and forming several compar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3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pills or tablets
    • A61J1/035Blister-typ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capsules, e.g.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3Details of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 A61M15/0038Cut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45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multiple prepacked dosages on a same carrier, e.g. bl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10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 A61M16/12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by mixing different gases
    • A61M16/122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by mixing different gases with dilution
    • A61M16/125Diluting primary gas with ambient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6Solids
    • A61M2202/064Powd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Packag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입기에 관한 것으로, 이 흡입기는 두 단부사이에 연장된 흡입기 동체, 상기 두 단부중 일측의 유출구, 상기 두 단부중 타측의 흡입튜우브와, 흡입튜우브와 유출사이의 유체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체내의 흡입채널을 가지며, 흡입튜우브는 흡입기 동체를 통한 공기의 흡인으로 흡입튜우브와 흡입채널을 통하여 유출구로부터 블리스터의 분말을 흡인할 수 있도록 분말을 수용하는 블리스터로 삽입될 수 있게 되어 있고, 흡입튜우브에 채널유입구가 제공되며 채널유입구의 일부 둘레에서만 블리스터의 필름커어버를 절취하기 위하여 채널유입구의 일부 둘레에 컷터가 제공되어 있고 블리스터와 방향 및 내용물에 따라 식벽가능한 블리스터 포 장내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흡입튜우브의 길이를 따른 위치에 형성된 통로유입구와 채널유입구에 인접한 통로유출구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통로가 연장되어 있다.

Description

흡입기
본 발명은 흡입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조분말약제의 투여를 위한 흡입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흡입기와 함께 사용토록 분말이 수용된 블리스터 포장과 블리스터로부터 분말을 투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천식과 같은 호흡기질환의 치료를 위한 흡입용 건조분말 형태의 약제를 공급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블리스터 포장으로서 알려진 밀봉포장에 각각의 약 제를 포장하여 저장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블리스터 포장은 각각 분말약제가 수용되고 포일과 같은 커어버로 밀봉되는 일련의 성형 요입부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사용자는 각각의 블리스터로부터 손으로 포일을 벗기어 내거나 포일에 구멍을 내거나 블리스터의 컵형부분에 구멍을 내기 위한 복잡한 기구가 사용되어야 한다.
일부 환자, 예를들어 어린사람이나 천식발작을 경험한 어른과 같은 일부 환자에게는 수용된 분말을 흩뜨리지 아니하고 포일의 가장 자리를 찾아내 블리스터로부터 벗기어내는 일이 어려울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블리스터를 자동적으로 개봉하기 위한 기구는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더욱이, 자동기구는 블리스터로부터 포일을 벗기어내지는 못하고 포일 또는 블리스터자체의 겁형부분을 절단해낸다. 일부의 경우에 있어서, 이러한 절단작업은 포일 또는 블리스터의 일부가 분리될 수 있고 흡입기류와 접하게 되는 위험이 일어날 수 있다. 더욱이, 모든 분말이 블리스터로부터 분리되거나 적어도 분말의 실질부분이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포일 또는 블리스터를 절단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것으로 입증되었다.
본 발명에 따라서 건조분말약제를 투여하기 위한 흡입기가 제공되는바, 이 흡입기가 두 단부사이에 연장된 흡입기 동체, 상기 두 단부중에서 일측단부에 형성된 유출구, 상기 두 단부중에서 타측단부에 형성된 흡입튜우브와, 상기 흡입튜우브와 상기 유출구사이에 유체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동체내에 형성된 흡입채널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흡입튜우브가 흡입기동체를 통한 흡입으로 블리스터로부터 흡입튜우브와 흡입채널을 통하여 유출구밖으로 분말이 흡입될 수 있도록 분말이 수용된 블리스터로 삽입될 수 있는 형상과 크기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블리스터로부터 장치의 유출구측으로 분말을 이송하는 방법이 제공되는 바, 장치가 채널에 의하여 유출구에 연결된 유입구를 갖는 것에 있어서, 이 방법이 블리스터내에 유입구를 삽입하는 단계와 장치를 통하여 유입구측으로의 기류를 형성토록 유출구로부터 공기를 흡인하는 단계로 구성되며, 기류가 블리스터로부터 분말을 흡취하여 채널을 통하여 이를 유출구측으로 운반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비교적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적게들고 사용이 간편하며서 불리스터로부터 분말을 매우 효과적으로 옮길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한다.
흡입기 동체가 블리스터 포장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어 흡입기 동체는 규칙적인 시간간격을 두거나 또는 수시로 용이하게 세척될 수 있는 부가적인 잇점을 갖는다. 흡입기동체는 흡입기의 오염이나 그작동에 장애를 주는 위험이 없이 전체를 물에 담그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등으로 세척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보다 복잡한 흡입장치와는 현저히 상이한 것으로, 종래의 경우 분말이 블리스터에 밀봉된 경우에도 흡입기의 다른 부분에 이미 묻어 있는 분말은 흡입장치의 보다 복잡한 부분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없으며 세척과정을 통하여 적시어져 장치의 정확한 작동에 간섭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본발명에 따라서 얇은 필름커어버로 밀봉된 블리스터로 부터 건조분말을 투여하기 위한 흡입기가 제공되는 바, 이 흡입기는 블리스터에 삽입되는 단부를 갖는 흡입튜우브로 구성되며, 상기 단부는 분말이 흡인되는 채널유입구와, 밀봉 블리스터로 삽입시 절취필름플랩을 형성토록 채널유입구의 일부둘레에서 필름커어버를 절취하는 채널유입부의 일부 둘레에 형성된 컷터를 갖는다.
이와 같이 하므로서, 블리스터의 커어버 포일은 필요시에 확실하게 절취되는 한편 커어버의 절취부가 커어버의 나머지 부분에 그대로 붙어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절취커어버가 사용자에 흡입될 수 없다.
컷터는 축방향으로 연장된 간극으로 나누어진 다수의 축방향으로 연장된 블레이드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하므로서, 공기가 항시 축방향으로 연장된 간극을 통하여 흐를 수 있으므로 기류 통로가 컷터에서 블리스터로부터 채널유입구측으로 존재하게 된다. 더욱이, 블레이드와 간극사이의 관계에 의하여 커어버 포일은 컷터 사이의 간극을 연결토록 절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블레이드는 커어버포일이 커어버의 나머지 부분으로 분리되어 블리스터 측으로 밀려 들어가기 전에 커어버포일을 먼저 절취한다. 흡입 튜우브의 단부의 나머지 부분은 플랩을 블리스터 측으로 밀어 넣는데 도움이 되도록 최종 삽입 순간에 절취커어버 포일과 접촉하게 될 것이다. 채널 유입구와 일체로 형성된 이러한 컷터를 이용하므로서, 블리스터는 흡입 튜우브가 블리스터에 결합될 때에만 절취된다. 이와 같이 하여 커어버 포일의 관통이 일어나고 흡입튜우브가 결합되어 사용중에 블리스터와의 결합 및 밀봉이 지속되며 어떠한 손실도 일어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얇은 피름커어버로 밀봉된 블리스터로부터 건조분말을 투여하기 위한 흡입기를 제공하는 바, 이 흡입기는 흡입기에 삽입될 수 있게 되어 있고 분말이 흡입되는 채널유입구를 갖는 단부와 길이를 따라 한 위치에 형성된 흡입 통로유입구와 상기 채널 유입구에 인접한 통로 유입구사이에 연장되어 블리스터에 삽입된 단부에 의하여 블리스터와 블리스터 상부의 공간사이에 유체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 통로를 갖는 흡입 튜우브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므로서, 유입 공기채널이 블리스터에 형성되므로 분말이 블리스터로 부터 확실하게 흡인될 수 있다. 특히, 이들 유입공기채널은 블리스터내의 모든 분말이 옮겨질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이 되게 블리스터의 외주연에 형성된다.
또한, 흡입기는 블리스터 포장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유니트로 구성되고, 이 지지유니트는 지지된 블리스터 포장의 각 블리스터를 위한 각각의 안내부를 포함하며, 각 안내부는 각 블리스터로 상기 흡입튜우브를 안내하고 이와 같이 안내된 상기 흡입튜우브로 흡입기동체를 지지한다.
또한 약제가 수용된 적어도 하나의 블리스터로 구성되는 블리스터 포장이 제공되는바, 이 블리스터는 상기 분말을 수용하기 위한 컵형부분, 블리스터의 분말을 밀봉하기 위한 얇은 필름커어버와, 흡입기의 흡입튜우브를 블리스터로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컵형부분으로부터 연장된 축방향의 기다란 통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하므로서, 흡입기 동체가 블리스터에 정확히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흡입기 동체가 블리스터내로 안내되므로 흡입기동체의 연속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더욱이, 사용자는 이를 이용함에 있어서 보다 큰 신뢰를 갖게 될 것이다.
블리스터 팩이 각 블리스터를 형성하는 일련의 요입부를 갖는 평면부로 구성되는 경우, 지지유니트는 평면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일련의 요입부와 정렬되도록 하는 일련의 통공을 갖는 안내벽을 포함하고, 안내 벽은 안내부를 형성토록 평면부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지지유니트는 블리스터 팩이 수용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안내벽이 이 하우징의 벽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블리스터 포장은 하우징내에 확고하게 고정되어 사용자는 편리하게 블리스터를 안내부에 정렬시킬 수 있다.
지지유니트는 블리스터 포장의 일련의 요입부가 삽입되는 일련의 요입부를 갖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므로서 지지부재의 각 요입부가 안내벽에 형성된 각 통공에 대향되게 배치되게 하는 것이 좋다.
지지부재는 힌지형 구조를 이용하여 하우징의 내 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좋기로는 지지부재가 지지유니트에 블리스터 포장을 출납토록 하우징의 내외측으로 활동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하므로서, 블리스터는 하우징으로부터 편리하게 출납될 수 있다.
지지부재는 사용치 않을 때에 흡입기 동체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힌지형덮개를 갖는 트레이와 같이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서 흡입기 전체가 사용자에게 매우 편리하게 되고 흡입기 동체는 지지유니트로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다.
지지부재는 사전에 결정된 크기와 위치를 갖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 또는 요구를 가지므로서 이에 대응하는 요구와 돌출부를 갖는 블리스터 포장만이 지지부재에 의하여 수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정확한 형태의 블리스터 팩 만이 흡입기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들어, 지정된 흡입기가 지정된 약제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지지부재는 이러한 지정된 약제를 수용하고 있는 블리스터 팩만을 삽입토록 구성될 수 있다.
흡입기 동체의 유입구와 지지유니트의 안내부의 형상도 특정형태의 흡입기에 대하여 지정되어 어떠한 흡입기의 흡입기 동체가 다른 흡입기의 안내부에 삽입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이점에 관하여, 본 발명은 또한 일련의 블리스터를 제공하는 바, 이들 각 블리스터는 얇은 필름커어버로 밀봉되고 각 약제가 수용되는 요입부로 구성되며, 각 요입부의 크기와/또는 형상은 각 요입부내의 약제형태를 유일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또한 하나의 블리스터를 포함하거나 다수의 블리스터를 포함하는 블리스터 포장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여 투여하기에 적합한 약제는 흡입으로 공급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적당한 흡입형 약제로서는 예를들어 살부타몰, 테르부탈린, 리미테롤, 페놀테롤, 레프로테롤, 아드레날린, 피르부테롤, 이소프레날린, 오르시프레날린, 비톨테롤, 살메테롤, 포르모테롤, 크렌부테롤, 프로카테롤, 브록사테롤, 피큐메테롤, TA-2005, 마부테롤과 이들의 약물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에스테르 및 염과 같은 β2 - 부신피질수용기 작용물질 ; 예를들어 이프라트로피움브롬화물과 같은 앤티콜리너직 기관지확장제 ; 예를들어 베클로메타손, 플루티카손, 부데소니드, 티프레단, 덱사메타손, 베타메타손, 플루오시놀론,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 모메타손 등과 이들의 약물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에스테르와 염 ; 예를들어 소디움 크로모글리케이트와 네도크로밀 소디움과 같은 항알레그기성 약제 ; 거담제 ; 뮤콜리틱스 ; 항히스타민제 ; 시클로옥시게나제 억제제 ; 류코트리엔합성억제제 ; 류코트리엔 길항약제, 포스표리파제 -A2 (PLA2)억제제, 천식 혈소판집합인자(PAF)길항약제 및 예방약 ; 항부정맥 약제, 신경안정제, 강심제, 호르몬, 항고혈압 약제, 항당노병 약제, 구충제 및 항암제, 진정 및 진통 약제, 항생제, 항류머티즘 약제, 면역제, 항진균약제, 및 항저혈압약제, 백신, 항바이러스약제, 단백질, 예를들어 펩티드 호르몬 및 성장인자로서의 폴리펩티드 및 펩티드, 폴리펩티드 백신, 효소, 엔돌핀, 혈액응고 캐스케이드에 관련된 리포단백질 및 폴리펩티드, 비타민 및 기타 예를들어 세포면수용체 차단제, 산화억제제, 유리기 포착제 및 N, N' - 디아세틸 시스틴의 유기염 등이 있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 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며 다음과 같다.
제 1, 제 2 및 제 3 도는 흡입기 하우징의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
제 4 도는 흡입기 하우징의 안내부에 흡입기동체가 삽입된 것을 보인 사시도,
제 5 도와 제 6 도는 흡입기 동체의 측면도와 평면도,
제 7 도는 제 6 도의 VII - VII 선 단면도,
제 8 도는 흡입기 동체의 마우스피스 단부를 보인 정면도,
제 9 도는 흡입기 동체의 유입구단부를 보인 배면도,
제 10 도는 제 9 도의 확대도,
제 11 도는 제 4 도의 XI-XI 선 단면도로서 흡입기 동체와 흡입기 하우징을 보인 단면도,
제 12 도는 제 6 도의 XII - XII 선 단면도로서 흡입기동체를 보인 단면도,
제 13 도는 제 5 도의 XIII - XIII 선 단면도로서 흡입기 동체의 단면도,
제 14 도는 흡입기 하우징내에 수용된 블리스터에 삽입된 흡입기 동체의 유입구를 보인 부분확대 단면도,
제 15 도는 흡입기 하우징내에 수용된 블리스터에 삽입된 흡입기 동체의 단면을 보인 것으로 제 11 도와 제 14 도에서 보인 단면에 수직의 각도에서 보인 단면도,
제 16 도는 다른 실시형태의 흡입기 하우징의 상측부를 보인 부분정면도,
제 17 도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체 유니트에 삽입된 흡입기동체를 보인 사시도,
도 18 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사용되는 블리스터 포장을 보인 사시도,
제 19 도는 제 18 도의 블리스터 포장에 인접한 제 17 도의 지지체 유니트를 보인 사시도,
제 20 도는 제 19 도의 XX - XX 선 단면도로서 블리스터 포장상에 배치된 지지체 유니트의 부분확대단면도,
제 21 도는 제 19 도의 지지체 유니트의 두 안내부를 보인 평면도,
제 22 도는 제 21 도의 지지체 유니트의 변형형태를 보인 부분평면도,
제 23 도는 제 22 도의 XXIII - XXIII 선 단면도로서 안내부와 블리스터의 단면도,
제 24 도는 컵형 블리스터 외측의 낱개 구분 구조를 갖는 블리스터 포장을 본인 평면도,
제 25 도는 낱개 구분구조를 보인 제 24 도의 블리스터 포장의 부분 확대도,
제 26 도는 제 25 도의 XXVI - XXVI 선 단면도로서 제 24 도와 제 25 도의 블리스터 포장의 부분확대 단면도,
제 27 도는 낱개구분구조의 다른 형태를 갖는 블리스터 포장의 평면도,
제 28 도는 제 29 도의 XXVIII - XXVIII 선 단면도로서 흡입기 동체의 유입구의 변형형태를 보인 부분확대 단면도,
제 29 도는 제 28 도의 흡입기동체의 유입구를 보인 정면도.
흡입기의 기본적인 사용상태가 도 1 - 도 4 에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다.
흡입기는 두 개의 주요 구성요소, 즉 블리스터 포장용기 V 와 흡입기 동체 S 로 구성된다. 용기 V 에는 보호커어버가 제공될 수 있다.
블리스터 포장용기 V 에는 도 18 에서 보인 바와 같이 분말약제가 수용되는 블리스터 포장이 착설 된다. 이 블리스터 포장용기는 블리스터 포장의 블리스터 어레이에 일치하는 안내부 L 의 어레이를 갖는다.
흡입기동체 S 는 성인의 새끼 손가락 정도의 길이를 가지고 이후 설명되는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챔버(34)내에 착설된다. 챔버(34)로부터 흡입기 동체 S 가 분리되고 그 유입구단부(19)(20)가 하나의 안내부 L 로 삽입되고 용기 V 측으로 가압되어 각 안내부 L 아래에 수용된 각 블리스터의 밀봉 포일이 파열된다.
이후 설명되는 바와 같이, 흡입기 동체 S 는 유입구(19)(20)와 마우스 피스(17)사이에 연장된 흡입채널(31)을 포함한다. 따라서, 블리스터에 삽입된 유입구(19)(20)를 이용하므로서 사용자는 흡입유동가교로서 작용하는 흡입기 동체 S 를 통하여 블리스터내에 수용된 분말을 흡입토록 마우스 피스(17)로부터 흡입채널(31)를 통해 흡입할 수 있다. 이후 명백하여지는 바와 같이 연속적인 투여는 사전에 사용되지 않는 각 블리스터에 해당하는 안내부 L 에 흡입기 동체 S 를 연속하여 삽입하므로서 수행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V 는 블리스터포장이 수용되는 하우징(1)을 포함한다. 우선 실시 형태에서, 이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 흡입기 동체 S 가 보관되는 챔버(34)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34)는 힌지핀(35)에 의하여 회전개폐되는 덮개(33)로 폐쇄된다. 폐쇄연결부가 경사지게 연장되어 보다 넓은 파지면영역이 폐쇄 캡, 즉 덮개(33)에 형성되고 그 만큼 상부의 벽측으로 연장되어 잡기가 수월하게 된다. 이 연결부는 하우징의 평면연장부에 대하여 45 ° 를 이루는 것이 좋다. 물론 다른 구조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들어 흡입기 동체 S 는 하우징(1)의 측부에 형성된 개방부측에 축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에 있어서, 동체 S 가 결합되는 기다란 브러쉬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므로서, 동체 S 가 보관될 때에 이 동체는 그 흡입채널(31)을 통하여 연장된 브러쉬에 의하여 제자리에 고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브러쉬에 의하여 청소된다. 실제로, 동체 S 가 브러쉬로부터 당기어져 분리될 때 이 동체는 사용직전에 청소될 수 있다.
동체 S 와 용기 V 가 분리되어 이들 중 하나를 분실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측을 타측에 연결하는 줄과 같은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매우 가늘고 가벼운 줄이 사용되는 것이 좋다. 이는 스프링기구에 의하여 동체 S 와 용기 V 의 일측 또는 타측내부에 자동적으로 후퇴될 수 있다. 예를들어, 이러한 줄은 비교적 약한 탄력에 대항하여 풀리는 로울러의 둘레에 권취될 수 있다.
흡입기에 사용될 블리스터 포장은 도 18 에서 보인 것과 유사한 것이 좋다. 이 블리스터 포장(2)은 분말(9)을 수용하도록 요입부(8)가 형성된 얇은 벽으로 된 평면상의 시이트 동체(11)를 갖는다. 특히, 요입부(8)는 컵형부분(10)으로서 형성된다. 그리고 시이트 동체(11)는 요입부(8)내의 분말(9)을 밀봉하는 비지지부(14')를 형성하도록 알루미늄 포일과 같은 박판시이트(14)로 덮힌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블리스터 포장(2)은 낱낱의 블리스터(8)가 안내부 L 의 바로 아래에 놓이도록 하우징(1)내에 배치된다. 특히, 하우징(1)에는 블리스터 포장(2)이 배치되는 평면상 안내벽(6)이 구비되어 있다. 이 안내벽(6)은 안내부 L 를 형성하고 흡입기동체 S 의 유입구 부분(19)(20)을 비지지형 커어버 포일(14')측으로 안내하여 이 유입구 부분이 경사지지 않게 삽입되도록 하는 통공을 갖는다. 안내부는 커어버 포일의 비지지형 부분(14') 을 둘러싸는 프레임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러나, 한 실시형태에서, 안내벽(6)의 하측에는 도 11 에서 보인 바와 같이 안내벽(6)의 하측면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블리스터 포장(2)을 고정하는 기다란 벽(6')이 구비되어 있다. 이 기다란 벽(6')은 인접한 역의 안내부 L 사이에 배치되고 용기 V 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들은 안내벽(6)과 이후 설명되는 지지트레이(3)에 대하여 블리스터 포장(2)을 고정하는 작용을 한다. 그러나, 안내부 L 의 영역에서 블리스터포장(2)과 안내벽(6)사이에 공간을 제공하므로서 기다란 벽(6')은 사용되는 특정 블리스터의 둘레와 내부로 양호한 공기의 흐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블리스터 포장용기 V 는 블리스터 포장(2)이 교환될 수 있도록 하여 단일흡입기가 블리스터 포장(2)이 비워질 때 이들 연속 블리스터 포장에 사용될 수 있다. 힌지형 백(hinged back)을 제공하는 것과 같이 블리스터 포장(2)을 용기 V 에 대하여 출납케 하는 많은 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우선실시형태에서, 활동형 트레이(3)가 제공된다. 이 트레이(3)는 하우징(1)의 일측단부에서 안팍으로 활동하며 그 자체에는 블리스터 포장(2)의 컵(10)의 간격에 일치하는 일련의 요입부 또는 컵수용캐비티(12)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이와같이 하므로서, 블리스터 포장(2)은 트레이(3)가 하우징(1)으로 삽입되었을 때 블리스터(8)(10)와 비지지형 커어버 포일(14')이 정확히 안내부 L 에 정렬되게 인출된 트레이(3)상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컵수용 캐비티(12)는 적어도 외부윤곽에 있어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시이트에 근접한 취부형역에서 원통형인 블리스터 포장(2)의 컵(10)과 일치한다. 캐비티(12)는 크리스 - 크로싱 로우의 형태인 분화구의 구조를 형성하며 격벽(13)이 이들의 단부면에 의하여 시이트 동체(11)를 지지한다.
트레이(3)를 용이하게 이동시키기 위하여, 도시된 실시형태에는 안내벽(6)의 요구(15)측으로 돌출된 탭, 즉 핸들(4)이 구비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요구(5)는 돌출됨이 없이 안내벽(6)의 좁은 벽쪽의 가장자리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트레이(3)에는 이를 수납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캐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는 간단히 트레이(3)와 하우징(10)의 대향면에 톱니형태로 제공되거나 핸들(4)의 일부로서 제공되어 사용자가 핸들(4)를 어떠한 방향으로 편향되게 할 때에만 트레이(3)가 해제될 수 있게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3)가 하우징(1)에 대하여 안팍으로 활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하우징(1)에는 "C" 자형태의 가이드(7)가 구비되어 있다.
흡입기동체 S 가 인내부 L 과 블리스터 포장(2)과 상호작용함을 고착하기 전에 흡입기 동체 S 를 도 5 - 도 13 을 참조하여 설명키로 한다. 도 12 와 도 13 의 단면도로 가장 잘 보인 바와 같이, 흡입기 동체 S 는 일측단부에 유입구를 갖는 기다란 동체, 타측단부에 유출구는 갖는 마우스피스(17)와, 유입구와 유출구사이에 유체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흡입채널(31)로 구성된다. 우선 실시형태에서, 마우스피스(17)와 흡입기동체 S 의 유출구단부는 그 형태가 타원형인 반면에 유입구단부는 원형으로 되어 있다. 다음의 설명으로 명백하게 되는 바와 같이, 이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다만 부가적인 잇점만을 줄 뿐이다. 특히 납작한 타원형의 마우스피스는 이것이 원형일 때 보다 이에 잘 맞게 된다. 더욱이, 흡입채널(31)을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것이 유입구단부로부터 유출구측으로 벌어지게 형성하므로서 유입구에서 공기흐름의 속도가 빨라져 블리스터로 부터 분말을 모으고 이러한 분말이 뭉쳐지지 않도록 개선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채널(31)이 테이퍼형으로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흡입기동체 S 의 일반적인 외부형상은 적어도 턱(21)의 부분까지 그 길이의 대부분이 타원형을 이루게 된다. 실제로 이러한 타원형의 형태는 블리스터 포장용기 V 의 안내부 L 측으로 삽입될 부분(19)을 위하여 턱(21)에서 변화된다. 타원형의 평면부분은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타원형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흡입기 동체 S 의 하측에 리브(18)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리브는 사용자에게 편리하도록 하는 구조로서 흡입기 동체 S 를 잡을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이는 특히 비지지형 커어버 포일(14')을 파열시키기 위한여 흡입기 동체 S 가 안내부 L 에 삽입될 때 이 흡입기 동체에 적은 힘을 가하여도 되므로 유용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턱(21)의 바로 뒤쪽으로 리브(18)의 저면에 유입구(32)가 흡입채널(31)측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횡방향 통공은 부가적인 공기가 흡입채널(31)측으로 흡인되어 흡입기 동체 S 의 유입구로 부터 이 흡입기 동체로 흡입되는 공기 - 분말 혼합체와 혼합되게 하는 보충공기유입구이다. 이러한 보충공기유입구(32)의 제공은 사용자가 크게 농축되지 않는 분말혼합체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흡입채널(31)을 통한 공기흐름과 혼합하는 보충공기의 작용은 공기흐름에 교란을 일으켜 분말이 뭉쳐지지 않도록 보조한다. 이러한 효과는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흡입채널(31)을 좁게하므로서 향상된다. 두 횡방향 공기유입통공(32)의 단면이 저면영역에서 흡입채널(31)의 원형 단면과 거의 일치되게 하는 것이 좋다.
흡입기 동체 S 가 안내부 L 에 배치될 때 안내부 L 의 주위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보충공기 유입구(32)를 폐쇄하지 않게하므로 턱(21)에 인접하여 보충공기 유입구(32)를 배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흡입기 동체 S 의 유입구단부는 두부분, 즉 흡입튜우브(19)와 환상컷터(20)로 구성된다.
흡입튜우브(19)는 안내부 L 에 고정결합되는 형태인 반면에 그 측부 둘레에서 파열된 블리스터 아래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단면상으로 통공(15)의 형상과 일치하며 원형으로 되어 있어 벽(6)과의 양호한 지지접촉이 이루어진다. 이는 마찰접촉으로 연결되는 플러그를 형성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턱(21)은 흡입기동체의 상측부로부터 흡입튜우브(19)를 분리하도록 제공된다. 이 턱(21)은 안내벽(6)의 상부측에 경사지지 않게 안치되며 안내벽(6)에 접하여 흡입튜우브(19)가 항상 동일한 정도로 안내부 L 와 블리스터(8)(10)에 삽입되게 한다. 물론, 흡입튜우브(19)는 그 단부가 분말을 흡입하기에 가장 적합한 블리스터내의 위치에 놓이는 길이가 선택된다.
흡입튜우브(19)의 특징은 외측에 형성되고 그 길이를 따라 하측으로 연장된 공기 유입채널(29)이 제공된 점이다. 이후 상세히 설명되고 도 14 에서 보인 바와 같이, 이들 채널(29)은 블리스터 포장의 표면상부로부터 파열된 커어버 포일(14')의 아래의 위치로 공기통로를 제공한다. 환언컨데, 흡입기 동체 S 를 통한 흡입중에 공기가 공기유입채널(29)을 통하여 아래로 블리스터(8)(10)에 흡인되어 분말(9)을 끌어올린다. 그리고 그 결과의 공기/분말 혼합체는 흡입채널(31)을 통하여 흡입튜우브(19)측으로 계속 올라온다.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튜우브(19)의 단부에는 환상컷터(20)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그 외주연의 둘레에 배열된 다수의 절취블레이드(28)를 갖는다. 절취블레이드는 서로 간극(26)으로 분리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3 개의 환상 절취 블레이드(28)를 형성토록 4 개의 간극(26)이 형성되어 있다. 간극(26)사이의 나머지 네 번째 세그먼트에는 블레이드가 구비되어 있지 않다. 도 5 와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세그먼트는 블리스터(8)(10)의 상부면을 향하여 상측으로 경사져 있다. 실제로, 환상 컷터(20)는 흡입기 동체 S 의 축선에 대하여 경사져 있어 절취 블레이드가 없는 세그먼트에 대향된 절취블레이드(28)가 다른 절취 블레이드(28)에 앞서 블리스터 포장(2)의 커어버 포일(14')에 접촉하게 된다.
도면들로부터 명백하게 되는 바와 같이, 흡입튜우브(19)가 안내부 L 에 삽입될 때, 환상 컷터(20)의 절취 블레이드(28)가 파열되지 않은 커어버 포일(14')과 접촉하게 된다. 흡입기 동체 S 를 더욱 안내부 L 측으로 밀어 넣을 때 절취 블레이드(28)는 커어버 포일(14')을 절취 하기 시작할 것이다. 물론, 간극(26)에 이르면 커어버 포일(14')는 블레이드(28)에 의하여 절취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간극(26)은 커어버 포일(14')이 블레이드(28)사이에서 커어버 포일(14')에서의 연속적인 절취가 이루어지도록 용이하게 절취되게 블레이드(28)와 블리스터(8)(10)에 대한 크기를 갖는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환상 커어터(20)의 블레이드(28)는 흡입튜우브(19)의 전체 둘레로 연장되어 있지 않고 커어버포일(14')을 절취하지 아니하는 약 90 °의 세그먼트가 남겨져 있다. 실제로, 이는 절취 블레이드(28)가 커어버포일(14')을 절취하고 블리스터(8)(10)의 내부로 삽입될 때까지는 커어버포일(14')과 접촉하기 시작하지 않는다. 절취 블레이드(28)는 환상 커터(20)의 전체 두께의 단순히 예리한 변부이고 환상컷터(20)의 외측변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흡입컷터(20)가 블리스터(8)(10)측으로 더욱 삽입될 때 환상 컷터(20)가 절취된 커어버포일(14')과 함께 삽입된다. 이와 같이 절단되지 않은 커어버 포일(14')의 부분은 힌지(27)로서 작용한다. 환언컨데, 지지되지 않은 부분(14')의 밸브플랩형으로 절취된 탭과 지지되지 않는 부분(14')의 가장 자리 영역사이에 실제로 힌지형성 브릿지가 남는다. 흡입튜우브(19)가 완전히 블리스터(8)(10)내로 삽입되며, 블레이드(28)가 형성되지 않은 환상컷터(20)의 세그먼트가 포일과 접촉하게 될 것이나 절단된 커어버포일(14')이 블리스터(8)(10)측으로 밀려들어가게 만 할 것이므로 환상컷터(20)의 중앙에 형성된 흡입채널유입구가 블리스터(8)(10)의 내부측으로 개방되도록 한다.
커어버포일(14')은 도 1 에서 보인 바와 같이 상측부에서 힌지를 형성토록 절취된다. 이는 통상적인 사용의 경우 장치가 각 블리스터의 분말이 용이한 이동을 위하여 힌지로부터 수집될 수 있도록 단부로 부터 하향 경사진 블리스터 포장이 유지되도록 할 것이다.
절취 및 삽입구성은 항시 신뢰가능하고 일관성 있게 커어버 포일(14')의 절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반면에 힌지(27) 때문에 절단된 커어버포일(14')은 사용자의 흡입기류측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 방사상 내측으로 절삭형성된 블레이드(28)의 단절 부분은 공기 유입단면과 같이 커어버포일 물질에 의하여 폐색될 수 없는 주연 방향의 종방향 공기유입채널(29)을 형성한다. 흡입튜우브(19)양측의 채널(29)은 커어버 포일(14)의 하측에서 공기가 블리스터(8)(10)측으로 효과적으로 흡인되게 한다. 또한 이들은 블리스터(8)(10)를 통하여 분말(9)이 공기의 흐름에 노출될 수 있도록 여러 위치에서 블리스터(8)(10)의 외주연측으로 유입공기를 안내한다. 다른 한편으로 간극(26)은 공기 분말 혼합체가 항상 절취된 커어버 포일(14')을 지나 흡입채널(31)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도 1 과 도 4 로 돌아가서, 안내부 L 는 단순히 원형공의 형태로 형성되지 아니하고 방사상 연장부(16(16')(25)를 갖는 통공(15)으로 형성된다. 실제로, 가장 효과적인 공간을 이용하기 위하여 수평방향으로 인접한 통공(15)이 연장부를 형성하여 이들이 공통의 연장부(16)로 연결된다.
이들 연장부(16)(16')(25)에 일치되게 흡입동체 S 의 흡입튜우브(19)에는 돌출부(23)(24)가 형성되어 있다. 도 14 는 돌출부(23)가 연장부(16)(또는 16')내로 삽입되는 것을 보이고 있다. 마찬가지로 이는 돌출부(24)가 연장부(25)에 삽입되는 것이 이해될 수 있도록 한다.
일치하는 연장부(16)(16')(25)와 돌출부(23)(24)는 안내부 L 에서 삽입된 흡입기 동체 S 를 보다 확고하게 유지하고 이로서 흡입기의 사용이 보다 용이할 수 있도록 한다.
연장부와 돌출부의 비대칭형 구조를 이용하므로서 흡입기 동체 S 는 사전에 결정된 어느 한 특정 방향으로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사용자가 보다 일관성 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블리스터가 비 대칭형의 컵 형상을 가질 때 이는 흡입튜우브(19)가 항상 정확한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이유로 유리한 것이다.
블리스터의 특성에 관계없이 흡입기 동체 S 는 항상 동일한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다음의 잇점을 갖는다. 사용자는 이미 사용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미 사용된 블리스터내에 흡입기 동체 S 의 흡입튜우브(19)를 삽입할 수만 있다. 만약 사용자가 잘못하여 흡입기동체 S 의 흡입튜우브를 이미 사용된 블리스터에 삽입하고 이를 이미 사용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삽입한 경우에 절단된 커어버 포일(14')은 완전히 분리되어 이것이 사용자에게 흡입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그러나, 상기 언급된 구조에서는 이것이 불가능하다. 도 14 에서 보인 바와 같이, 돌출부(23)(24)는 블리스터 포장(2)의 상부면에 접한다. 실제로, 턱(22)이 블리스터 포장(2)에 접하도록 제공되며 돌출부(23)(24)가 제공된 경우에는 이들이 이러한 접속턱을 형성한다. 턱의 접속으로 블리스터 포장이 컵수용캐비티(12)를 둘러싸고 있는 격벽(13)의 상측부에 고정되게 한다. 이와 같이 하므로서, 턱(21)의 위치에 관계없이 예를들어 허용공차의 이유에서 변화가 있는 경우 환상컷터(20)와 흡입튜우브(19)는 블리스터(8)(10)내에 너무 깊게 삽입되지 않을 것이다. 이는 특히 흡입튜우브(19)가 너무 깊이 삽입된 경우 블레이드(28)가 없는 환상컷터(20)의 세그먼트가 커어버 포일(14')을 파열시켜 분리시키므로 중요한 것이다.
물론, 안내부 L 은 다른 상이한 형상의 것이 이용될 수 있다. 도 16 은 그 가능성의 하나를 보인 것으로 평면상 측부(37)를 갖는 통공(15)을 이용하는 것을 보인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흡입기 동체 S 와 안내부 L 의 상대방향을 고정시키는 돌출부와 연장부를 대신할 수 있다. 평면부(37)는 이에 평행한 필름힌지(27)에 직경방향으로 대향되게 놓이는 것이 좋다. 이로써 균일하고 짧은 밸브-플랩형 절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흡입튜우브(19)의 단부면에서 개방영역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더욱이, 중력에 의하여 물질이 플랩의 선단 전방에 쌓이게 되고 분말(9)은 컵의 소규모 체적을 채울 것이다.
본 발명이 블리스터 포장용기 V 에 관련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도 17 에서 보인 바와 같이 브리스터 포장(2)을 수용하지 않는 대등한 장치 G 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본적으로 이 장치 G 는 선행실시형태의 안내벽과 같은 안내벽(6)으로 구성되며 안내부 L 의 통공(15)을 형성하는 스터브(36)를 갖는다. 이 스터브(36)에는 경사지지 않게 흡입튜우브(19)가 삽입된다. 이 장치 G 는 플라스틱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장치 G 는 기능적으로 동일하나 상업적으로는 상이한 두가지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는 도 19 에서 보인 바와 같이 블리스터 포장과 일체가 되게 형성되거나, 선행실시형태와 같이 연속 블리스터 포장(2)과 사용하는 별도의 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장치 G 가 블리스터 포장 자체의 일부로서 제조될 때에 안내벽(6)은 예를들어 접착 또는 열접착으로 커어버 포일(14)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장치 G 가 별도 구성요소로서 생산될 때에 블리스터 포장은 분리가능하게 그 배면에 고정하고 정확한 상대위치에서 고정하도록 하는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들어 장치 G 의 4 개 변부 중에서 3 개에는 일반적으로 "C" 자형의 연장편이 구비되어 있어 블리스터 포장이 이러한 연장편이 없는 변부측으로 부터 장치 G 상의 제 위치로 삽입된다.
기능적으로, 장치 G 는 용기 V 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된다. 특히, 흡입기동체 S 의 흡입튜우브(19)와 환상컷터(20)가 커어버 동일(14')의 힌지(27)를 제외하고는 모든 커어버포일부분을 파열토록 안내부 L 의 개방부(15)측으로 삽입된다.
용기 V 와 함께 사용되는 챔버대신에 장치 G 에는 이에 동체 S 를 취부하기 위하여 예를들어 탄성 고리와 같은 하나 이상의 클립이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안내부 L 에는 연장부가 구비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흡입기 동체 S 의 흡입튜우브(19)에도 돌출부가 구비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은 돌출부/연장부 또는 안내부 L 의 형상이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이점에 관하여 도 22 와 도 23 의 실시형태는 도 16 의 실시형태와 같이 흡입기 동체 S 가 항상 동일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부(15)에 평면부(37)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도 20 및 도 21 과는 약간 상이하다.
도 20 및 도 21 의 실시형태와 도 22 및 도 23 의 실시형태는 블리스터(8)(10)의 상측부와 동일한 단면을 갖는 스터브(36)의 이용을 설명하고 있다. 특히, 도 23 의 블리스터(8)(10)는 스터브(36)의 평면부(37)와 일치하는 평면부(38)를 갖는다. 그러나, 스터브(36)가 그 블리스터(8)(10)와 동일한 형상일 필요는 없다. 블리스터(8)(10)에 삽입되는 흡입튜우브(19)의 부분을 이러한 블리스터(8)(10)로 부터 모든 분말(9)을 빨아올릴 수 있도록 블리스터(8)(10)의 모든 영역을 커어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흡입튜우브(19)와 흡입기용체 S 의 다른 부분들은 블리스터(8)(10)의 주연밖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스터브(36)의 형상과/또는 크기는 자유롭게 변화될 수 있다. 실제로 스터브(36)가 블리스커(8)(10)보다 부분적으로 큰 경우에 선행실시형태에서 설명된 턱(22)과 같은 턱이 흡입기 동체 S 에 제공될 수 있다.
통공(15)또는 스터브(36)에 형성된 안내부 L 의 형상과 크기의 변화는 다른 충분한 잇점을 갖는다. 안내부 L 의 형상은 투여할 약제에 따라서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흡입기 동체 S 는 이들이 사용될 약제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비록 흡입기 S 의 기본 디자인이 모든 약제에 대하여 적합하게 사용될 수는 있으나, 단일 흡입기 동체 S 가 여러 형태의 약제에 대하여 사용되지 않는 것이 좋다. 따라서, 둘 이상의 약제를 투여하게되는 사용자에 대하여서는 약제의 형태에 다라서 흡입기 동체 S 와 안내부 L 을 독특하게 형상화 하므로서 사용자가 부주의하게 상이한 약제에 대하여 동일한 흡입기 동체 S 를 이용하지 않도록할 수 있다.
장치 G 가 블리스터에 부착되는 경우 방향이나 약제를 구분하기 위하여 안내부 L 를 형상화하여 블리스터에 대하여 고정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본 발명과 함께 사용되는 장치의 경우에 블리스터 포장이 교환될 때 사용자는 장치에 대하여 블리스터 포장을 항상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하거나 블리스터 포장에 정확한 약제가 수용되게 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따라서, 본 발명은 다수의 밀봉형 블리스터를 포함할 뿐만아니라 블리스터 포장의 방향과/또는 성분을 구별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블리스터 포장을 제안한다.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장치에 있어서는 예를들어 자기 테이프와 바코드의 형태인 전자판독 정보가 블리스터 포장에 구비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간단한 기계적인 시스템으로 구분하는 구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블리스터 포장에는 방향과 약제형태를 구분하는 특수한 형상, 크기 및 위치를 갖는 부분이 구비되도록 제안된다. 특히 방향을 구분할 수 있도록 이러한 구조는 가능한 삽입방향 사이에서 블리스터 포장의 회전에 대하여 비대칭 이어야 한다.
도 24 - 도 26 는 원형의 컵형 요입부(8)의 중간영역(39)에서 평면상 시이트(11)가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아직 커어버 포일(14)에 의하여 덮히어 있는 특정부위에서 3 개의 개방부(40)가 형성된 블리스터 포장을 보이고 있다. 이들 영역을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모서리에 이들의 중심점이 배치된다. 특히 이 실시형태는 블리스터 포장용기 V 에 삽입되기 전에 블리스터 포장이 트레이(3)상에 놓이는 도 1 의 실시형태에 매우 적합하다. 도 26 에서 보인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서 트레이(3)에는 블리스터(2)의 개방부(40)에 일치하는 크기, 형상 및 위치를 갖는 돌출부(41)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블리스터 포장이 트레이상에 배치되어 그 블리스터(8)(10)가 트레이(3)의 일치하는 요구 내에 놓일 때에 돌출부(41)가 개방부(40)측으로 삽입된다. 도 24 에서 보인 바와 같이, 블리스터 포장(2)이 반대 방향으로 트레이(3)상에 배치된 경우에는 트레이(3)의 돌출부(41)가 블리스터 포장(2)의 개방부(40)와 정렬되지 않아 블리스터 포장(2)이 트레이(3)로부터 돌출되어 블리스터 포장 용기 V 로 삽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개방부를 형성할 중간 영역(39)은 20 군데이므로 이들 조합의 변화는 매우 큼을 알수 있다. 개방부는 보이지 않게 감추어지는 것이 좋으므로 개방부(40)가 포일(14)로 덮히는 것이 좋다.
블리스터 포장(2)에서 개방부(40)의 형상, 배치 또는 크기는 특정한 약제를 구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블리스터 포장이 상이한 약제에 해당하는 돌출부를 갖는 트레이(3)에 사용되는 경우 블리스터 포장(2)은 트레이로부터 돌출되어 역시 삽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언급된 개방부(40)와 돌출부(41)은 마름모꼴 도는 사각형의 윤곽을 갖는다. 그러나, 도 27 에서 보인 바와 같이 가장자리(42)로부터 연장된 슬리트(40)를 형성하는 것과 같이 변화를 둘 수도 있다.
도시된 슬리트는 이들이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게 정렬되어 있다. 이들은 포장시이트(2)의 직사각형 기본 윤곽의 단변부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이들 슬리트의 길이는 단변부길이의 반보다는 크다. 따라서, 슬리트는 포장시이트(2)의 중앙영역에서 서로 겹친다. 슬리트의 배열은 패러센트럴형이다. 이러한 형태의 개방부(40)와 관련된 응형 다이부분은 웨브형 형상 또는 블레이드의 형상에 일치하고 장치의 기부(3)로 부터 연장된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커어버 포일(14)이 개방부(40)와 일치하도로 파열 될 수 있다.
블리스터 포장에는 예를들어 적당히 배치된 블리스터의 작은 여분의 형태로서 돌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실제로, 이들 돌출부는 컵(10)과 마찬가지로 열성형 돌출부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블리스터자체의 형상과 위치는 방향과/또는 약제형태를 구별할 수 있도록 한다.
연속 블리스터 포장에 사용되는 장치 G 를 위하여 돌출부/요구가 블리스터 포장(2)의 커어버 포장(14)측에 그리고 장치 G 의 대향면에 제공될 수 있다. 대향변부에서 "C" 자형 연장편을 갖는 언급된 실시형태의 경우에 있어서, 일측단부로부터 타측단부로 장치 G 와 블리스터 포장(2)의 폭을 경사지게 하여 블리스터 포장(2)이 좁은 단부에서 부터 장치 G 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8 과 도 29 는 상기 언급된 실시형태에 적용할 수 있는 흡입기동체 S 의 흡입튜우브(19)에 대한 변형 형태를 보이고 있다. 이 변형 형태에서, 공기 유입구(29)는 환상 컷터(20)의 간극(26)에서 끝나는 흡입튜우브(19)의 측부로 연장되지 아니하고 간극(26)사이에서 절취블레이드(28)에 인접한 넓은 유출구를 갖는 흡입튜우브(19)의 벽에 형성된 채널을 둘러싸며 공기는 흡입튜우브(19)의 측부에 형성된 통공(29')을 통하여 흡입된다. 유출구는 부호 a, b 및 c 로 보인 링형부분이다. 이러한 변형형태는 블리스터의 전주연에서 블리스터(8)(10)측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잇점을 갖는다.

Claims (44)

  1. 건조분말을 투여하기 위한 흡입기에 있어서, 흡입기가 두 단부사이에 연장된 흡입기동체(S), 상기 두단부의 일측에 형성된 유출구(17), 상기 두 단부의 타측에 형성된 흡입튜우브(19, 20)와, 상기 흡입튜우브(19, 20)와 상기 유출구(17)사이에 유체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동체(S)내에 형성된 흡입채널(31)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흡입튜우브(19, 20)가 흡입기 동체(S)를 통한 흡입으로 흡입튜우브(19, 20)와 흡입채널(31)을 통하여 블리스터로부터의 분말을 유출구(17)측으로 흡입토록 분말을 수용하는 블리스터에 삽입할 수 있는 형태와 크기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블리스터 포장(2)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유니트(V, G)가 구성되어 있으며, 지지유니트(V, G)가 지지된 블리스터 포장(2)의 각 블리스터를 안내하기 위한 각 안내부(L) 를 포함하고, 각 안내부(L)는 상기 흡입튜우브(19, 20)를 각 블리스터로 안내하고 이와 같이 안내된 상기 흡입튜우브(19, 20)로 흡입기 동체(S)를 지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3. 제 2 항에 있어서, 각 블리스터를 형성하는 일련의 요입부(10)를 갖는 평면부로 구성되는 블리스터 포장(2)에 사용되고, 지지유니트(V, G) 상기 요입구에 대향된 상기 평면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안내벽(6)을 포함하고 일련의 요입부와 정렬되는 일련의 통공(15, 16)을 가지며, 안내벽(6, 36)이 상기 안내부(L, 36)를 형성토록 상기 평면부로부터 연장됨을 특징으 로하는 흡입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지지유니트(V)가 블리스터 포장(2) 이 수용되는 하우징(1)을 포함하고, 안내벽(6)이 상기 하우징(1)의 벽임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지지유니트(V)가 블리스터 포장의 일련의 요입부를 수용하기 위한 일련의 요입부(12)를 가지고, 지지부재(3)의 각 요입부(12)가 상기 안내벽(6)의 상기 통공(15)의 각각에 대하여 대향되게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지지부재(3)가 지지유니트(V) 에 블리스터 포장(2)을 출납토록 하우징(1)의 안팍으로 활동가능하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지지부재(3)가 하나 이상의 돌출부(41)또는 사전에 결정된 크기와 위치의 요구를 가지므로서 이에 일치하는 요구(40)또는 돌출부를 갖는 블리스터 포장(2)만이 지지부재(3)에 수용될 수 있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41) 또는 요구(40)가 상기 블리스터 포장이 사전에 결정된 상대 방향으로만 삽입될 수 있는 크기 를 갖거나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9. 제 2 항 - 제 8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튜우브(19, 20)와 상기 각 일련의 통공(15, 16)이 상기 흡입튜우브(19, 20)가 사전에 결정된 상대방향으로 상기 일련의 통공(15,16)의 어느 하나에만 삽입될 수 있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일련의 통공(15, 16)이 적어도 하나의 방사상 연장부(16, 16')를 갖는 원형의 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일련의 통공(15, 16)의 적어도 일부가 적어도 하나의 방사상연장부(16, 16')에 의하여 함께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12. 제 2 항 - 제 11 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지지유니트(V) 가 상기 흡입기 동체(S) 를 사용치 않을 때 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가 힌지형 덮개를 갖는 트레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14. 전기 청구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채널유입구가 흡입튜우브(19)의 단부에 형성되며 이 흡입튜우브(19)의 단부는 채널유입구의 일부 둘레에만 컷터(20)가 형성되어 있어 밀봉된 블리스터(8)에 삽입시 컷터(20)가 절단필름플랩(14')을 형성토록 채널유입구의 일부 둘레에서만 블리스터(8)의 필름커어버(14')를 절취함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15. 얇은 필름커어버(14')로 밀봉된 블리스터(8)로부터 건조분말을 투여하기 위한 흡입기에 있어서, 흡입기가 블리스터(8)측으로 삽입되는 단부를 갖는 흡입튜우브(19)로 구성되고, 이 단부는 분말이 흡인되는 채널흡입구와, 밀봉된 블리스터에 삽입시 절단필름 플랩(14')을 형성토록 채널유입구의 일부둘레에서 필름커어버(14')를 절취하기 위하여 채널유입구의 일부둘레에만 형성된 컷터(20)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컷터(20)가 축방향으로 연장된 간극(26)으로 나누어지는 다수의 축방향 연장의 블레이드(28)로 구성됨을 특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블레이드(28)가 흡입튜우브(19)의 단부의 나머지부분에서 축방향 외측으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18. 제 14 항에 - 제 17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컷터(20)가 흡입튜우브(19)의 외주연둘레에 형성되어 흡입튜우브(19)가 블리스터(8)내로 삽입될 때 흡입튜우브(19)의 내주연이 절단필름플랩(14')을 블리스터(8)내로 밀어 놓음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19. 얇은 필름커어버(14')로 밀봉된 블리스터(8)로부터 건조분말을 투여하기 위한 흡입기에 있어서, 흡입기가 흡입튜우브(19)로 구성되고, 이 흡입튜우브가 블리스터(8)내로 삽입되는 단부를 가지며, 이 단부는 분말이 흡인되는 채널유입구를 가지고, 또한 상기 흡입튜우브는 흡입튜우브(19)의 길이를 따른 한 위치의 통로 유입구(29')와 상기 채널 유입구에 인접한 통로 유출구사이에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 통로(29)를 가지며, 블리스터(8)에 단부가 삽입되었을 때 유입구통로(29)가 블리스터(8)와 이 블리스터(8)의 상부 공간사이에 유체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20. 제 1 항 - 제 13 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채널 유입구가 흡입튜우브(19)의 단부에 형성되고 흡입튜우브(19)가 흡입튜우브(19)의 길이를 따른한 위치의 통로 유입구(29')와 상기 채널유입구에 인접한 통로유출구사이에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 통로(29)를 가지며, 블리스터(8)에 단부가 삽입되었을 때 유입구 통로(29)가 블리스터(8)와 이 블리스터(8)의 상부공간 사이에 유체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21. 제 14 항 - 제 18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입튜우브(19)가 흡입 튜우브(19)의 길이를 따른 한 위치의 통로유입구(29')와 상기 채널유입구에 인접한 통로 유출구사이에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통로(29)가 블리스터(8)와 이 블리스터(8)의 상부 공간사이에 유체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통로유출구가 컷터(20)에 인접하여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23. 제 16 항에 종속할 때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통로 유출구가 상기 간극(26)의 하나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24. 제 16 항에 종속할 때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통로로유출구가 상기 두 간극(26)사이에 배치됨을 특지응로 하는 흡입기.
  25. 제 19 항 - 제 24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통로(29)가 흡입튜우브(19)의 외면을 따라 축방향으로 연장된 개방채널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26. 제 19 항 - 제 24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통로(29)가 흡입 튜우브의 주연벽내에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27. 전기 청구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유입구로부터 사전에 결정된 거리에서, 흡입튜우브(19)가 이 흡입튜우브(19)의 단부가 블리스터(8)에 너무 깊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블리스터(8)의 주연에 대하여 걸리는 턱(22)으로서 이용되는 방사상 연장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28. 전기 청구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블리스터와 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29. 약제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리스터로 구성되는 블리스터 포장에 있어서, 블리스터가 상기 분말을 수용하기 위한 컵 형 부분(8), 블리스터(8)내에 분말을 밀봉하기 위한 얇은 필름커어버(14')와, 흡입기의 흡입튜우브를 블리스터(8)측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컵형부분(8)으로부터 연장된 기다란 축방향 통로(3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리스터 포장.
  30. 제 29 항에 있어서, 얇은 필름커어버(14')가 컵형부분(8)과 기다란 통로(36)를 분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블리스터 포장.
  31. 제 29 항 또는 제 30 항에 있어서, 기다란 통로(36)가 상기 컵형부분(8)의 폭보다 더 축방향으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리스터 포장.
  32. 제 29 항 - 제 31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다란 통로(36)내에 삽입하기 위한 흡입튜우브(19)를 갖는 흡입기가 조합되고, 기다란 통로(36)가 흡입튜우브(19)를 블리스터(8)측으로 확고하게 안내함을 특징으로 하는 블리스터 포장.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이 회전비대칭이어서 기다란 통로(36)가 사전에 결정된 방향으로 흡입튜우브를 안내함을 특징으로 하는 블리스터 포장.
  34. 제 32 항 또는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이 상기 블리스터내에 수용되는 약제의 형태에 따른 사전에 결정된 크기와 형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블리스터 포장.
  35. 브리스터 포장에 있어서, 이 블리스터 포장이 각 약제를 수용하는 일련의 블리스터(8)로 구성되고, 블리스터 포장(2)이 이 블리스터 포장(2)의 방향이 유일하게 결정되는 형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블리스터 포장.
  36. 제 35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형상화된 블리스터(8), 요구(40)와, 방향을 유일하게 결정하는 돌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리스터 포장.
  37. 일련의 블리스터에 있어서, 각 블리스터가 얇은 필름커어버(14')로 밀봉되고 각각의 약제가 수용되는 요입부(8)로 구성되며, 각 요입부(8)의 각 크기와/또는 형상이 각 요입부내의 약제의 형태를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블리스터.
  38. 흡입기의 유출구로부터 블리스터 포장의 블리스터에 수용된 분망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기를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 방법이 유출구와 연통되게 흡입기를 통하여 흡입채널을 제공하는 단계와, 흡입채널과 연통되고 블리스터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흡입기에 유입구를 제공하는 단계로 구성되고, 흡입기를 통한 흡입으로 유입구와 흡입채널을 통하여 유출구로부터 블리스터의 분말을 흡입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구성방법.
  39. 제 38 항에 있어서, 블리스터 포장(2)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유니트(V, G)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유입구(19, 20)를 각 블리스터로 안내하기 위하여 지지된 블리스터 포장의 각 블리스터를 안내하는 안내부(L)를 지유니트(V, G)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0. 블리스터로부터 장치의 유출구로 분말을 이동시키는 방법으로서, 이 장치가 채널(31)에 의하여 유출구에 연결되는 유입구(19)를 갖는 것에 있어서, 이 방법이, 유입구(19)를 블리스터(8)에 삽입하는 단계와, 장치를 통하여 유입구(19)측으로 기류를 형성토록 유출구로부터 공기를 흡인하는 단계로 구성되며, 상기 기류가 블리스터(8)로부터 분말을 흡인하여 이를 채널(31)을 통하여 유출구측으로 이송할 수 있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블리스터의 분말 이송 방법.
  41. 얇은 필름커어버(14')로 밀봉되는 블리스터(8)에 개별적으로 분말이 수용되는 블리스터 포장으로 부터 흡입기의 채널(21)을 통하여 분말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기를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 방법이 블리스터(8)에 삽입하기 위한 흡입튜우브(19)를 제공하는 단계, 흡입튜우브(19)의 단부에 채널유입구를 제공하는 단계와, 흡입튜우브(19)를 블리스터(8)에 삽입시 절단필름플랩(14')을 형성토록 채널유입구의 일부둘레에서만 필름커어버(14')를 절취하도록 채널유입구의 일부둘레에만 컷터(20)를 제공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의 구성방법.
  42. 흡입튜우브(19), 이 흡입튜우브(19)의 단부에 제공된 채널유입구와, 채널유입구의 일부둘레에만 제공된 컷터(20)를 갖는 장치의 채널을 통하여 얇은 필름커어버(14')로 밀봉된 블리스터(8)로부터 분말을 이동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이 방법이 컷터(20)가 절단필름플랩(14')을 형성토록 채널유입구의 일부둘레에서만 필름커어버(14')를 절단하도록 흡입튜우브(19)를 블리스터(8)에 삽입하는 단계와, 블리스터(8)로부터 분말을 끌어올리는 기류를 형성토록 채널을 통하여 공기를 흡인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리스터의 분말 이송 방법.
  43. 흡입기의 채널을 통하여 블리스터 포장의 블리스터로부터 분말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기를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 방법이 블리스터(8)에 삽입하기 위한 흡입튜우브(19)를 제공하는 단계, 흡입튜우브(19)의 단부에 채널유입구를 제공하는 단계와, 흡입튜우브(19)의 길이를 따른 한 위치의 통로유입구(29')와 상기 채널유입구에 인접한 통로유출구사이에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통로(29)를 제공하여 블리스터(8)에 단부가 삽입되었을 때 유입구통로(29)가 블리스터(8)와 이 블리스터(8)의 상부공간사이에 유체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의 구성방법.
  44. 흡입튜우브(19)와 채널유입구가 구비된 흡입튜우브(19)의 단부를 가지고 흡입튜우브(19)에는 흡입튜우브(19)의 길이를 따른 한 위치의 통로 유입구(29')와 상기 채널 유입구에 인접한 통로유출구사이에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통로(29)가 구비된 장치의 채널을 통하여 블리스터로부터 분말을 이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 방법이 블리스터(8)내에 단부가 삽입되었을 때 유입구통로(29)가 블리스터(8)내에 흡입튜우브(19)를 삽입하는 단계와, 유입구통로(29)를 통하여 통로유출구로부터 블리스터(8)측으로 통로유입구(29')에서 공기를 흡인하여 블리스터(8)로부터 분말을 끌어올리는 기류를 형성토록 채널을 통하여 공기를 흡인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리스터의 분말이송 방법.
KR10-1998-0708529A 1996-04-25 1997-04-25 흡입기 KR1004918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16418 1996-04-25
DE19616418.4 1996-04-25
DE19617555 1996-05-02
DE19617555.0 1996-05-02
DE19619536A DE19619536A1 (de) 1996-04-25 1996-05-15 Inhalier-Vorrichtung
DE19619536.5 1996-05-15
PCT/EP1997/002144 WO1997040876A2 (en) 1996-04-25 1997-04-25 Inha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5001A true KR20000065001A (ko) 2000-11-06
KR100491814B1 KR100491814B1 (ko) 2005-11-23

Family

ID=26025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8529A KR100491814B1 (ko) 1996-04-25 1997-04-25 흡입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KR (1) KR100491814B1 (ko)
AR (2) AR006851A1 (ko)
DE (2) DE19619536A1 (ko)
MY (1) MY120117A (ko)
TW (1) TW355684B (ko)
UA (1) UA46837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57208A1 (de) * 1997-12-22 1999-06-24 Alfred Von Schuckmann Vorrichtung zum Inhalieren pulverförmiger Substanzen
AU739587B2 (en) 1997-12-22 2001-10-18 Astrazeneca Ab Inhalation device
DE19757207A1 (de) 1997-12-22 1999-06-24 Alfred Von Schuckmann Vorrichtung zum Leersaugen pulverenthaltender Kavitäten
DE19805336A1 (de) * 1998-02-11 1999-08-12 Alfred Von Schuckmann Verfahren zum Tiefziehen von Kavitäten in dünne Metallfolien
DE19855851A1 (de) * 1998-06-22 1999-12-23 Alfred Von Schuckmann Vorrichtung zum Leersaugen pulverenthaltender Kavitäten
ES2228070T3 (es) * 1998-06-22 2005-04-01 Astrazeneca Ab Dispositivo para aspirar y vaciar cavidades que contienen polvo.
DE19831525A1 (de) * 1998-07-14 2000-01-20 Pfeiffer Erich Gmbh & Co Kg Spender für Medien
US20010029947A1 (en) * 1999-12-17 2001-10-18 Steve Paboojian Receptacles to facilitate the extraction of powders
SE9904705D0 (sv) * 1999-12-21 1999-12-21 Astra Ab An inhalation device
EP1945529A2 (en) * 2005-11-07 2008-07-23 Alkermes, Inc. Receptacle packaging with inhaler-accommodating geometry
US8528569B1 (en) 2011-06-28 2013-09-10 Kyle D. Newton Electronic cigarette with liquid reservoir
US10980273B2 (en) 2013-11-12 2021-04-20 VMR Products, LLC Vaporizer, charger and methods of use
US10076139B2 (en) 2013-12-23 2018-09-18 Juul Labs, Inc. Vaporizer apparatus
US10058129B2 (en) 2013-12-23 2018-08-28 Juul Labs, Inc. Vaporization device systems and methods
CN115281387A (zh) 2013-12-23 2022-11-04 尤尔实验室有限公司 蒸发装置系统和方法
US10709173B2 (en) 2014-02-06 2020-07-14 Juul Labs, Inc. Vaporizer apparatus
TWI761216B (zh) 2014-02-06 2022-04-11 美商尤爾實驗室有限公司 產生可吸入氣膠之裝置及用於該裝置之可分離匣
UA125687C2 (uk) 2016-02-11 2022-05-18 Джуул Лебз, Інк. Заповнювальний картридж випарного пристрою та способи його заповнення
BR112018016402B1 (pt) 2016-02-11 2023-12-19 Juul Labs, Inc Cartuchos de fixação segura para dispositivos vaporizadores
SG11201807028YA (en) 2016-02-25 2018-09-27 Juul Labs Inc Vaporization devic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USD886638S1 (en) 2018-08-08 2020-06-09 Juul Labs, Inc. Packaging
USD902054S1 (en) 2019-01-18 2020-11-17 Juul Labs, Inc. Packag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619536A1 (de) 1997-10-30
DE69715219D1 (de) 2002-10-10
UA46837C2 (uk) 2002-06-17
AR009696A2 (es) 2000-04-26
DE69715219T2 (de) 2003-11-13
AR006851A1 (es) 1999-09-29
KR100491814B1 (ko) 2005-11-23
TW355684B (en) 1999-04-11
MY120117A (en) 2005-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1712B1 (en) Inhaler
KR20000065001A (ko) 흡입기
AU736711B2 (en) Inhalation device
EP1628698B1 (en) Medicament container
US6907880B1 (en) Inhalation device
US20040236282A1 (en) Unit dosage powder container
CZ20002346A3 (cs) Inhalační zařízení
MXPA00006131A (en) Inhal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