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4590A - 멀티튜너 수신기 - Google Patents

멀티튜너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4590A
KR20000064590A KR1019980707245A KR19980707245A KR20000064590A KR 20000064590 A KR20000064590 A KR 20000064590A KR 1019980707245 A KR1019980707245 A KR 1019980707245A KR 19980707245 A KR19980707245 A KR 19980707245A KR 20000064590 A KR20000064590 A KR 20000064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ers
frequency
radio frequency
receiver
oscil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7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9310B1 (ko
Inventor
요한네스 후베르투스 안토니우스 브레켈만스
Original Assignee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요트.게.아. 롤페즈
Priority claimed from PCT/IB1998/000039 external-priority patent/WO1998032233A2/en
Publication of KR20000064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4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9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93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30Technical effects
    • H01L2924/301Electrical effects
    • H01L2924/3025Electromagnetic shi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perheterodyne Receivers (AREA)

Abstract

수신기에서, 두 튜너(TUN1, TUN2)로 인해 동시에 서로 다른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두 튜너는 하나의 모듈(MOD)에 포함된다. 이는 상호 간섭을 일으킬 수도 있다. 그러나, 다양한 저렴한 방법으로 상기 상호 간섭을 상쇄시킨다. 그러한 한 방법은, 상기 두 튜너 중 하나의 발진 주파수는 무선 주파수 또는 상기 다른 튜너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무선 주파수의 어느 부 고조파와 일치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멀티튜너 수신기
32PW9761 모델의, 필립스 텔레비전(TV)은 상호 상이한 두 TV 프로그램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두 튜너 모듈을 갖는다. TV 프로그램들은, 각각 45MHz 내지 860MHz 범위의 다양한 무선 주파수로 방송된다. 상기 방송 TV 프로그램들은 무선 주파수 입력(inlet)을 통해 상기 TV로 들어가 상기 TV의 스플리터(splitter)를 통해 두 튜너 모듈에 공급된다. 상기 두 튜너 각각은, 무선 주파수를 40MHz의 중간 주파수로 변환시키는 발진기 및 혼합기(mixer)를 갖춘 차폐 케이스를 갖는다. 상기 발진기 각각은 조정할 수 있는 발진 주파수를 갖는다. 발진 주파수는, 어느 무선 주파수, 따라서 어느 방송 TV 프로그램이 다음 처리를 위해 상기 40MHz 중간 주파수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될 것인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발진 주파수가 500MHz이면, 460MHz 무선 주파수로 방송되는 TV 프로그램은 40MHz 중간 주파수로 변환되고, 그 결과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호 다른 신호의 동시 수신을 위해 적어도 2개의 튜너를 갖는 수신기에 관련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신기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장치 및 애드온(add-on) 카드에 관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는 블록도.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이점을 실행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부가적인 특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신기의 일례의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상기 배경 기술에 관련하여, 상기 언급한 유형의 수신기를 보다 저렴하게 제공한다. 청구항 1항 및 8항은 본 발명에 따른 수신기를 정의한다. 청구항 9항 내지 12항은 각각, 수신 방법과, 멀티미디어 장치와, 애드온 카드와, 단일 차폐 케이스를 정의한다. 본 발명을 실행하는데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부가적인 특징들은 종속항에 정의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점들을 고려한다. 현재까지, 상이한 신호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에 대한 요구는 비교적 낮았다. 예를 들어, 총 판매된 TV의 수 중에서, 단지 매우 적은 퍼센티지의 것들만이, PIP(picture-in-picture) 기능 등을 제공하는 두 튜너를 갖는다. 그 이유는, 현재, 종래 기술의 방법으로 PIP TV를 실행하는 것이 비용면에서 효율적이라는 점이다. 즉, 많은 다른 유형의 TV에서 개별적으로 응용할 수 있고, 비교적 대량 생산되어 가격이 저렴한 두 개의 분리된 튜너 모듈이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상황은 미래에는 달라질 수 있다.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나 오락물의 양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위성, 케이블 TV 네트워크, 전화 네트워크 등을 통해 아날로그나 디지털 형태로 전송되는 정보 및 오락물의 수가 증가한다. 또한, 멀티미디어는,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비디오 정보 등의 여러 유형의 정보를 통합하는 경향이 있다. 상기 관점에서 볼 때, 상호 상이한 신호를 동시에 수신 받을 수 있는 수신기에 대한 요구는, 상기 배경 기술의 해법 외의 다른 해법으로 비용면에서 보다 효율적인 수준으로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둘 이상의 튜너가 하나의 모듈에 포함된다. 상기 둘 이상의 튜너가 포함되면, 예를 들어, 액정, 집적 회로, 프린트 배선판, 금속 제품, 커넥터, 핀 블록 등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공용할 수 있다.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공용할 수 있다면 절약되는 비용은, 둘 이상의 튜너를 하나의 모듈에 포함시키는데 따른 비용을 초과하게 되고, 심의중인 상기 수신기의 유형에 대한 요구는 충분히 높아진다.
본 발명의 이점을 실행하는데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본 발명 및 부가적인 특징은, 도면을 참고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다.
먼저, 참조 부호에 대해 설명한다. 동일한 부재는 도면을 통해 동일 문자 코드로 표시한다. 한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가 여러 개 도시될 수 있다. 그 경우, 상기 부재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해 숫자를 첨부한다. 또한, 어느 부재가 다른 고차(higher-order)의 부재의 일부분을 구성할 경우, 그 참조 부호 속의 숫자는 참조 부호 속의 숫자와 동일 숫자를 갖는 고차의 부재에 속함을 나타낸다. 설명 및 청구의 범위에서, 적절하다고 생각되면, 참조 부호를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 원리를 설명한다. 도 1에서, 적어도 두 튜너(TUN1, TUN2)가 하나의 모듈(MOD)에 통합된다. 비록 도 1이 두 개의 튜너(TUN1, TUN2)를 도시하지만, 다른 수의 튜너도 동일 모듈(MOD)에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무선 주파수에서 중간 주파수로 신호를 변환시키는 혼합기(MIX)에 연결된 발진기(OSC)를 갖는 각각의 두 튜너(TUN1, TUN2)를 도시한다. 또한, 도 2는 이하의 부가적인 특징을 도시한다. 상기 두 튜너 각각의 발진기는, 상기 무선 주파수(RF2 또는 RF1) 또는 상기 각각의 다른 튜너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무선 주파수의 저조파(sub-harmonic)와 일치하지 않는, 발진 주파수(Fosc1 또는 Fosc2)를 갖는다. 이는 양호하게는 상기 두 튜너(TUN1, TUN2)의 각각의 동조 범위를 통해 실질적으로 인가된다.
도 2의 특징은 이하의 점에 기초한다. 하나의 모듈에 통합된 상기 두 튜너(TUN1, TUN2)는 서로 간섭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두 튜너 중 하나의 발진기는 다른 튜너가 수신한 신호에 간섭할 수 있다. 발진기 신호는 여러 경로로 수신기 내의 다양한 부분으로 전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부분에서의 유도를 통해서나, 스위칭 신호나 가변 용량기(varicap) 전압 등을 수반하는 인쇄 회로 기판 트랙으로의 누화를 통해 전파될 수 있다. 발진기 신호가 나타내는, 전체적인 전파의 감쇠는 종종 매우 예측할 수 없게 되고, 또한, 주파수의 함수로 심하게 변화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발진기 신호가 기초 주파수 성분을 포함할 뿐더러 고조파 주파수 성분을 포함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따라서, 고조파 주파수 성분의 진폭은 상기 수신기의 일정 부분에서 기초 주파수 성분의 것보다 더 높을 수 있다.
상기 상호 간섭을 상쇄시키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그 중 하나는 발진기 신호를 충분히 낮은 레벨로 유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발진기 신호 레벨이 감소하게 되면, 일반적으로 잡음과 주파수 안정성 등의 성능을 저하시킨다.
다른 방법으로는, 발진기를 전자기적으로 차폐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차폐는 비교적 비용이 많이 들고, 일정 경우 효과적이지 못하다. 이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TV 수신기에서, 적어도 60dB의 간섭 정도가 바람직하다. 튜너에 의해 수신되는 TV 신호의 레벨을 1mV라 가정하면(이는 전형적인 값임), 간섭 신호의 레벨은 1㎶를 초과할 수 없다. 다른 튜너의 발진기 신호의 상기 레벨이 1V라면(이는 전형적인 값임), 두 튜너 사이에서 120dB의 감쇠가 필요하다. 상기 두 튜너가 하나의 모듈에 통합된다면, 상기 감쇠를 제공하기 위해 내부 차폐는, 실행할 수 있다고 해도, 비용이 많이 들고 디자인하기 어렵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두 튜너(TUN1, TUN2)가 상호 간섭하는 무선 주파수 조합의 수신을 차단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상기 두 튜너(TUN1, TUN2)를 제어하는 안정적으로 프로그래밍된 컴퓨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발진기 신호의 고조파 주파수 성분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비교적 많은 무선 주파수 조합의 수신 차단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상기 경우, 최종 사용자는 동시에 수신될 수 있는 여러 신호들이 비교적 복잡하게 된다.
도 2의 특징을 응용하면, 상기 두 튜너 중 어느 하나(TUN1 또는 TUN2)의 기본적인 주파수 성분이나 발진기 신호의 고조파 주파수 성분이 각각의 다른 튜너(TUN2 또는 TUN1)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를 직접적으로 간섭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발진기(OSC1, OSC2)는 잡음 및 안정성에서 만족할 만한 성능을 제공하는 신호 레벨에서 작동하게 된다. 또한, 이는 비교적 정확한 차폐를 필요로 하지 않고, 비교적 많은 무선 주파수 조합의 수신 차단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 2의 특징은, 각각으로나 조합으로, 수신과 비용-효율의 품질 및 다양성에 기여한다.
도 2의 특징은, 공통 단자로부터 두 튜너(TUN1, TUN2)에 신호를 인가하기 위해 스플리터가 사용될 경우 부가적인 이점을 제공한다. 상기 경우, 상기 스플리터는 상호 간섭을 금지하기 위해 상기 두 튜너(TUN1, TUN2) 사이의 높은 감쇠(high attenuation)를 제공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기 스플리터는 비교적 적은 능동 성분으로 실현될 수 있고, 또는 능동 성분이 없이도 실현될 수 있다. 능동 성분은 전력을 소비하고 잡음 및 왜곡을 일으킨다. 따라서, 도 2의 특징은 비교적 전력 소비가 효율적이고, 잡음이 없으며, 왜곡이 없는 스플리터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 이점은 두 튜너가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분리될 경우 얻을 수 있다.
도 3a는 다음의 부가적인 특징을 도시한다. 상기 튜너(TUN1)의 발진 주파수(Fosc1)는, 튜너(TUN2)가 수신할 수 있는 가능한 한 최고의 무선 주파수(FRmax2)를 초과한다. 이는 상기 튜너(TUN1)의 동조 범위를 통해 실질적으로 인가된다.
도 3a는 다음의 사항에 기초한다. 상기 튜너(TUN1)가 비교적 넓은 동조 범위에서 동조가능할 필요가 있으면, 상기 무선 주파수(RF2), 또는 튜너(TUN2)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무선 주파수(RF2)의 저조파와, 상기 발진 주파수(Fosc1)의 일치를 피하기 어렵다. 비교적 복잡하고, 따라서 비용이 많이 드는 방법이 상기 일치를 피하기 위해 필요할 수도 있다. 그러나, 도 3a의 특징이 응용되면, 상기 일치는 당연히 제외된다. 따라서, 상기 도 3a의 특징은, 특히, 튜너(TUN1)가 비교적 넓은 동조 범위에 걸쳐 동조될 필요가 있을 때, 비용 효율 면에 기여한다.
도 3b는 다음의 부가적인 특징을 설명한다. 상기 두 튜너 각각의 발진 주파수(Fosc1 또는 Fosc2)는 각각, 다른 튜너가 수신할 수 있는, 가능한 최고의 무선 주파수(RFmax2 또는 RFmax1)를 초과한다. 상기 도 3b의 특징은 도 3a의 특징과 함께 효과적이다. 또한, 튜너(TUN2)의 발진 주파수(Fosc2)도 튜너(TUN1)가 수신할 수 있는 가능한 한 가장 높은 무선 주파수(RFmax1)를 초과한다. 따라서, 도 3b의 특징은 비용 효율면에 기여하고, 특히 상기 두 튜너(TUN1 TUN2)가 모두 비교적 넓은 동조 범위를 통해 동조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하는 도 3a 및 도 3b의 특징에 관한 것이다. 도 3a의 특징을 응용하면, 튜너(TUN1)는 낮은 무선 주파수의 신호를 수신하고, 동시에 튜너(TUN2)는 높은 무선 주파수의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튜너(TUN2)의 발진 주파수(Fosc2)가 상기 튜너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상기 무선 주파수(RF2)보다 높다면, 상기 튜너(TUN1)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무선 주파수(RF1)를 초과한다. 그 결과, 상기 두 튜너 각각의 발진 주파수(Fosc1 또는 Fosc2)는 각각, 다른 튜너에 의해 수신된 무선 주파수(RF2 또는 RF1)를 초과한다. 또한, 상기 발진 신호의 기본 성분이나 고조파 성분은 상기 수신된 신호와 간섭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도 3a의 특징은 상기 도 3b의 특징과 동일한 이점을 제공한다.
상기에도 불구하고, 도 3b의 특징은 이하의 이유로 인해 상기 도 3a의 특징보다 양호할 수 있다. 상기 두 신호(S(X) 및 S(Y))가 동시에 수신된다고 가정하면, 상기 신호(S(Y))는 신호(S(X))보다 높은 무선 주파수를 갖는다. 상기 수신 신호(S(Y))는, S(X)보다 낮은 무선 주파수를 갖는 다른 신호(S(Z))를 위해 불연속일 필요가 있다. 이하의 사실은 도 3a의 경우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발생한다. 상기 튜너(TUN2)는, 상기 튜너(TUN1)로부터의 신호(S(X))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는 유지된다. 상기 인계(take-over)는 상기 고-저 무선 주파수 관계의 관점에서 필요하다. 상기 인계는 신호(S(X))의 수신을 방해할 수 있다. 그러나, 반대로, 도 3b의 특징을 응용할 경우는 아무런 인계도 필요치 않다. 따라서, 상기 도 3b의 특징은 동시에 행하는 수신이 변하더라도, 수신이 중단되지 않는다.
도 4는 이하의 부가적인 특징을 도시한다. 상기 두 튜너(TUN1, TUN2)의 발진 주파수(Fosc1, Fosc2) 사이의 차이(ΔFosc)는 중간 주파수 대역폭(BWIF)을 초과한다. 이는 실질적으로 상기 두 튜너(TUN1, TUN2) 각각의 동조 범위를 통해 응용된다.
도 4의 특징은 이하의 설명에 기초한다. 상기 발진기(OSC1, OSC2)는 상호 전자기적으로 연결된 결과로 서로 위상 변조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발진기 신호가 측파대를 갖게 한다. 도 4는 상기 발진기(OSC1)에 속하는 측파대(Fsb+1, Fsb-1) 및 발진기(OSC2)에 속하는 측파대(Fsb+2, Fsb-2)를 도시한다. 상기 발진 주파수(Fosc1, Fosc2)로부터 +ΔFosc 및 -ΔFosc인 곳에 위치한다. 각 발진기 신호의 측파대는 수신된 각각의 신호와 혼합된다. 그 결과, 각각의 중간 주파수로 변환되는 상기 수신된 신호는, 상기 각각의 중간 주파수로부터 +ΔFosc 및 -ΔFosc에 위치한 측파대를 갖는다.
도 4의 특징을 응용하면, 상기 측파대는 상기 각각의 수신된 신호와 직접 간섭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도 4의 특징은, 그 발진기의 상호 전자기적인 연결로 인해 발생하는 상기 두 튜너(TUN1, TUN2) 사이의 상호 간섭을 상쇄시킨다. 따라서, 내부 차폐를 제공하거나, 발진기 탱크 회로의 품질(Q)을 개선하는 등의, 방법과의 상기 상호 전자기적 연결을 상쇄할 필요가 비교적 적다. 상기 방법은 비교적 비용이 많이 들고, 특히 비교적 높은 주파수에서 행해진다. 그러므로, 도 4의 특징은 비용 효율 면에서 기여한다.
이하의 부가적인 설명은 상기 도 4의 특징에 관해 이루어진다. 상기 측파대(Fsb+, Fsb-)는 상호 변조물의 수신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각각의 측파대는 일반적으로 작은 진폭을 가져, 많은 경우에서, 상기 상호 간섭의 유형이 무시되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측파대(Fsb+, Fsb-)의 진폭은, 상기 발진기 주파수(Fosc1, Fosc2) 사이의 차이(ΔFosc)가 증가할 수록 감소한다.
상기 두 튜너(TUN1, TUN2) 중 하나가 자동 탐색(autosearch) 모드에서 작동할 때, 소프트웨어 수단 등에 의해, 상호 위상 변조가 발생할 수 있는 주파수 범위를 스킵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와 관련하여 상기 발진 주파수(Fosc1, Fosc2)의 모든 고조파가 상기 발진기(OSC1, OSC2)의 모든 상호 위상 변조에 실질적으로 기여하지 않는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발진기 주파수(Fosc1, Fosc2) 중 하나가 다른 발진기 주파수(Fosc2, Fosc1)의 고조파에 비교적 가까우면, 상호 위상 변조는 거의 일어나지 않거나 완전히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발진기(OSC1, OSC2)의 주파수 범위가 중첩되지 않는다면, 자동 탐색 동안의 모든 스킵은 필요하지 않다.
도 5a는 이하의 부가적인 특징을 도시한다. 주파수 분주기(DIV1)는 상기 튜너(TUN1) 내의 상기 발진기(OSC1)와 혼합기(MIX1) 사이에 연결된다. 본 특징의 이점을 설명하기 전에, 다음을 이해해야 한다. 상기 주파수 분주기(DIV1)는 상기 발진기 신호의 저조파를 생성한다. 원칙적으로, 상기 저조파는 상기 튜너(TUN2)(도 5a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수신된 신호와 간섭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주기(DIV1) 및 그를 혼합기(MIX1)에 연결시키는 회로는 전송기를 전위적으로(potentially) 간섭하는 것으로 인식된다. 그러나, 적절한 디자인으로, 상기 전위적으로 간섭하는 전송기는, 본 발명이 사용되지 않을 때 상기 발진기(OSC1)가 존재하는 상기 전위적으로 간섭하는 전송기보다 상당히 약하다. 따라서, 상기 도 5a의 특징은 종래 기술에서는 불가능했던 방식으로 두 튜너를 통합하는 방법을 나타내지 않는다.
상기 도 5a의 특징의 이점은 도 5b를 참고로 설명한다. 도 5b는 무선 주파수(RF1), 발진 주파수(Fosc1), 혼합 주파수(Fmix1)을 도시하는 주파수도이다. 상기 혼합 주파수(Fmix1)는 N1(N1은 주파수 분주기(DIV1)의 제수(division factor))로 나누어진 발진 주파수(Fosc1)이다. 또한, 도 5b는 상기 혼합 주파수(Fmix1)와 무선 주파수(RF1) 사이의 차이인 중간 주파수(IF1)를 도시한다.
상기 중간 주파수(IF1)가 예를 들어, TV 수신의 경우 40MHz 등의, 일정한 소망의 값을 갖는다면, 상기 도 5a의 특징의 이점은 다음과 같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진 주파수(Fosc1)가, 상기 두 튜너(TUN1, TUN2) 사이의 상호 간섭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주파수 분주기(DIV1)의 제수(N1)의 적절한 선택으로 반대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 분주기가 상기 튜너(TUN2) 내의 발진기(OSC2) 및 혼합기(MIX2) 사이에 연결되면, 상호 간섭에 반대하는 많은 수의 가능성을 제공한다. 상기 후자 분주기의 제수는, 그 자체로, 그를 달성할 수 있는 폭 넓은 자유도를 유도한다.
이하의 부가적인 설명은 상기 도 5a의 특징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도 5a의 특징은 본 발명에 필수적이지 않고, 상기 기술한 다른 특징들에도 필수적이지는 않다. 도 5b에 도시된 발진 주파수(Fosc1)는 주파수 분주 없이 상기 혼합기(MIX1)에 직접 응용할 수 있다. 그러나, 그 경우, 상기 중간 주파수는 상기 발진 주파수(Fosc1)와 상기 무선 주파수(RF1) 사이의 차이이다. 따라서, 상기 중간 주파수는 보다 높다. 비교적 높은 중간 주파수 신호를 처리하는 회로는 비교적 비용이 많이 들고, 전력이 소비되고, 또는 약하다. 따라서, 도 5a의 특징으로 인해 비교적 낮은 중간 주파수가 가능하기 때문에, 비용 면에서 효율적이고, 에너지 면에서 효율적이며, 강하다.
도 6은 다음의 부가적인 특징을 도시한다. 도 5a에 도시된 주파수 분주기(DIV1)의 제수(N1)는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상기 발진기(OSC1)가 1000MHz와 2000MHz 사이에서 동조시킬 수 있을 경우, 제수 N1 = 2, 3, 4, 6, 8, 12, 16에 의해 각각 얻어지는 R2, R3, R4, R6, R8, R12, R16의 다양한 혼합 주파수 범위를 도시한다. 따라서, 상기 주파수 분주기(DIV1)가 상기 제수 중 하나를 갖도록 조절될 수 있으면, 62.5MHz 내지 1000MHz의 범위에 걸쳐 주파수의 혼합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제수(N1)가 고정되면, 상기 발진기(OSC1)는 넓은 범위에 걸쳐 동조가능하게되어, 혼합 주파수의 동일한 선택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상기 발진기(OSC1)를 실현하는 것을 더 어렵게 하거나 거의 불가능하게 한다. 해법으로, 각각의 동조 가능한 발진기가 혼합 주파수의 범위의 일정 부분을 담당하는 여러 동조 가능한 발진기를 사용할 수가 있다. 상기 해법은, 발진기가 VHF-저, VHF-고, UHF 대역 각각에 사용되는 TV에 공통적으로 해당된다. 그러나, 상기 도 6의 특징은 비교적 좁은 주파수 범위에서 동조되어야만 할 필요가 있는 단일 발진기로 비교적 넓은 주파수 범위에서 동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 6의 특징은 비용 효율 면에서 기여한다.
또한, 도 6은 이하의 이로운 부가적인 특징을 도시한다. 혼합 주파수 범위의 실질적인 부분, 즉, 83.33MHz와 666.67MHz 사이에서, 일정한 혼합 주파수가 얻어지는, 하나 이상의 발진기 주파수가 존재한다. 다시 말해, 일정 혼합 주파수에 대해 발진기 주파수를 선택한다. 상기 선택으로 인해 상기 튜너(TUN1)의 발진기 주파수(Fosc1)는 상기 튜너(TUN2)의 발진기 주파수(Fosc2)로부터 비교적 많이 제거되고, 따라서 상호 간섭을 상쇄시킨다. 이는, 상기 발진기(OSC1, OSC2)가 중복되는 각각의 주파수 범위에서 동작한다면, 중요하지 않다. 적절히 선택된 제수(N1)는 상기 발진기(OSC1, OSC2)가 주파수에서 서로 너무 근접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조정 가능한 주파수 분주기가 상기 튜너(TUN2)의 발진기(OSC2)와 혼합기(MIX2) 사이에 연결되면, 상기 발진기 주파수(Fosc1, Fosc2)가 떨어지게 한다. 적절한 소프트웨어는 소정의 경우에서, 최적의 제수를 선택하도록 한다.
도 6에서, 발진 주파수의 선택이 존재하지 않는 두 주파수 범위, 즉, 83.33MHz 미만과, 666.67MHz 이상의 주파수 범위가 존재한다. 비록, 상기 주파수 범위 내에서 선택이 존재하는 것이 유리하더라도, 선택의 부재가 대부분의 경우에서 현저한 상호 간섭을 유도하지 않는다. 무엇보다, 두 튜너는 일반적으로 동일 무선 주파수나 거의 동일한 무선 주파수를 동시에 수신할 필요가 없고, 그 경우, 각각의 발진 주파수(Fosc1, Fosc2)는 일치하거나 거의 일치한다. 또한, 두 인접한 무선 주파수 채널은 이용 가능한 신호에 의해 점유되기는 어렵고, 따라서, 두 인접한 무선 주파수 채널에의 동시 수신이 필요한 변화는 매우 적다. 상기 수신이 필요한 다른 경우, 상기 발진 주파수(Fosc1, Fosc2)는, 상기 두 인접한 무선 주파수 채널 사이의 거리에 N배한 거리만큼 간격을 두고, 여기서 N은 상기 분주기(DIV1, DIV2)의 제수와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발진 주파수(Fosc1, Fosc2)가 분주되듯이, 비교적 넓게 간격을 두게되고, 동일 제수가 사용되더라도, 모든 측파대는 상호 위상 변조의 결과로 중간 주파수 대역의 외측에 있게된다.
도 7은 이하의 부가적 특징을 도시한다. 상기 혼합기(MIX1) 및 주파수 분주기(DIV1)는 집적 회로(MOIC1)의 일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발진 신호의 저조파(Fosc1÷N1)를 수반하는 회로는 크기가 작다. 그 결과, 상기 튜너(TUN2)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와 전위적으로 간섭하게 되는, 상기 저조파(Fosc1÷N1)의 모든 방사는 비교적 적당하다. 따라서, 도 7의 특징은 상기 두 튜너(TUN1, TUN2)가 통합되는 정도를 향상시킨다.
이하의 부가적인 설명은 도 7의 특징에 관한 것이다. 먼저, 상기 혼합기(MIX1)는 안정된 회로의 형태를 실행한다. 이는 상기 혼합기 회로(MIX1)의 입력 및 출력 포트에 존재하는 모든 발진기 저조파를 억제한다. 양호하게는, 상기 분주기(DIV1)는 안정된 회로 형태로 실행되기도 한다. 다음, 상기 집적 회로(MOIC1)가 다른 회로를 포함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7의 점선은 상기 발진기(OSC1)가 상기 집적 회로(MOIC1)에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포함될 수 있음을 도시한다. 상기 튜너(TUN2)가 상기 혼합기(MIX2) 및 상기 발진기(OSC2) 사이에 연결된 주파수 분주기를 포함한다면, 상기 회로는 상기 집적 회로(MOIC1)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와 같이, 상기 집적 회로(MOIC1)는 위상 동기 회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8은 도 2 내지 도 7의 부가적인 특징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신기의 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8의 수신기는 서로 다른 두 TV 방송, 또는 서로 다른 두 FM 라디오 방송, 또는 TV 방송과 FM 라디오 방송을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로 다른 두 라디오 주파수 신호((Si1)(RF) 및 Si2(RF))를 각각 중간 주파수 신호(So1(IF1) 및 So2(IF2))로 동시에 변환시키기 위한 두 튜너(TUN1, TUN2)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Si1(RF) 및 Si2(RF)) 모두는, 무선 주파수 입력(I(TV) 및 I(FM))에서 각각 수신한 TV 방송 또는 FM 무선 방송일 수 있다.
도 8에서, 두 튜너(TUN1, TUN2) 각각은, 스위치(SW)와, 세 무선 주파수 입력 회로(RFIL, RFIM, RFIH)와, 집적 회로(MOIC)를 포함한다. 무선 주파수 입력 회로(RFIL, RFIM, RFIH) 각각은, VHF-저 대역, VHF-고 대역, UHF 대역 내의 신호 처리를 위해 배치된다. 집적 회로(MOIC) 각각은, 혼합기(MIX)와, 분주기(DIV)와, 발진기(OSC)의 증폭기 부분(AMP)을 포함한다. 상기 발진기(OSC)의 공진기 부분(RES)은 상기 집적 회로(MOIC)의 외부에 있게된다. 상기 집적 회로(MOIC) 각각은 또한, 위상 동기 루프 회로(PLL)와,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회로(DAC)를 포함한다. 상기 두 튜너(TUN1, TUN2)는 메모리 회로(MEM)와, 기준 주파수(Fref)에서 공진하는 수정 발진기(XTL)를 공유한다.
상기 두 튜너(TUN1, TUN2) 각각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스위치(SW)는 TV 방송을 수신한 것인지, FM 라디오 방송을 수신할 것인지에 따라, TV 위치나 FM 위치에 맞춘다. TV 방송의 경우, 무선 주파수 신호(Si(RF))는 세 무선 주파수 입력 회로 중 하나(RFIL, RFIM 또는 RFIH)로 처리될 수 있다. FM 라디오 방송의 경우,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Si(RF))는 VHF-저 대역에 대한 무선 주파수 입력 회로(RFIL)에 의해 처리된다. 관련 무선 주파수 입력 회로는, 모든 경우, 적절히 처리된 무선 주파수 신호(Sp(RF))를 집적 회로(MOIC)의 혼합기(MIX)에 공급한다.
무선 주파수 입력 회로(RFIL, RFIM, RFIH)는 동조가능 대역 통과 필터(간략히 하기 위해 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상기 동조가능 대역통과 필터를 제어하는 동조 전압(VT)은 다음과 같이 얻어진다. 소망의 무선 주파수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데이터(CON)는, 어떤 동조 데이터(TD)가 상기 메모리(MEM)로부터 판독되어 상기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 회로(DAC)에 공급되는지를 효과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동조 데이터(TD)는, 상기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회로(DAC)가 동조 전압(VT)을 제공하게 하여, 상기 관련 무선 주파수 입력 회로가 적절한 방법으로 소망의 무선 주파수 신호(Si(RF))를 처리한다. 따라서, 상기 메모리(MEM)에 기억된 적절한 동조 데이터로, 상기 대역 통과 필터는 상기 VHF-저, VHF-고, UHF 대역을 통해 충분히 동조될 수 있다. 서로에 관한 대역 통과 필터 동조의 편차(aberration)는 수작업의 조정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집적 회로(MOIC)의 혼합기(MIX)는, 적절히 처리된 무선 주파수 신호(Sp(RF))를 혼합 주파수(Fmix)를 갖는 혼합 신호(Smix))에 곱한다. 원칙적으로, 상기 혼합 주파수는, 상기 소망의 방송의 무선 주파수와 상기 소망의 중간 주파수의 합이거나 차이다. 도 8의 수신기에 대해, 상기 혼합 주파수는 합이다. 상기 소망의 중간 주파수는, FM 무선 수신의 경우는 40MHz이고, TV 수신의 경우에는 10.7MHz이다. 예를 들어, 210MHz 무선 주파수를 갖는 TV 방송의 수신을 원한다면, 상기 혼합 주파수는 250MHz가 된다. 다른 예로, 89.3MHz의 무선 주파수를 갖는 FM 무선 방송을 수신하기 원한다면, 상기 혼합 주파수는 100MHz가 된다.
상기 혼합 주파수(Fmix)를 갖는 상기 혼합 신호(Smix)는 다음과 같이 얻어진다. 상기 발진기(OSC)는 1000MHz 및 2000MHz 사이의 범위에서 변화하는 발진 주파수(Fosc)의 발진 신호(Sosc)를 제공한다. 상기 발진 주파수(Fosc)는, 제어 데이터(CON)에 따르고, 예를 들어 4MHz인, 기준 주파수(Fref)에 기초하여, 상기 위상 동기 루프 회로(PLL)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주파수 분주기(DIV)는 조정할 수 있는 주파수 제수(N)으로 상기 발진 신호(Sosc)를 분주하여 혼합 신호(Smix)를 얻는다. 상기 조절 가능한 제수(N)는 2, 3, 4, 6, 8, 12, 또는 16일 수 있다. 따라서, 도 6의 주파수도는 도 8의 수신기의 두 튜너(TUN1, TUN2)에 모두 응용된다. 예를 들어, 상기 혼합 주파수를 250MHz로 설정하는데는 세 가지 선택이 있다. 첫째는 Fosc=1000MHz 및 N=4이고, 둘째는 Fosc=1500MHz 및 N=6이며, 세째는 Fosc=2000MHz 및 N=8이다.
다음은 도 8의 수신기에 관한 설명이다. 상기 무선 주파수 입력 회로(RFIL, RFIM, RFIH)의 발진 주파수(Fosc)와 대역 통과 필터 중앙 주파수 사이의 관계가 정해져 있지는 않다. 예를 들어, 210MHz의 무선 주파수를 갖는 TV 방송의 수신의 경우, 관련 무선 주파수 입력 회로의 대역 통과 필터는 상기 무선 주파수로 동조되는 반면, 상기 발진 주파수는 1000MHz, 또는 1500MHz, 또는 2000MHz이다. 상기 동조 전압(VT)이 상기 발진기(OSC)에 인가되는 상기 동조 전압으로부터 유도된다면, 상기 제수(N)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보다 복잡해지고, 따라서 비용이 많이 든다. 따라서, 동조 전압(VT)이 도 8의 수신기에서 생성되는 상기 방법은 비용 면에서 비교적 효율적이다.
싱가포르 특허 출원 9600125.5, 9600125.5, 9600124.3(대리인의 분류 번호는 각각 PHN15647, PHN15648, PHN15649)은 도 8의 수신기의 이점을 실행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특징을 기술한다. 앞서 언급한 출원들은 참고로 본원 및 대응 출원에 참고로 포함되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의 예를 도시한다. 도 9의 멀티미디어 장치는 박스(BOX)와 화상 디스플레이 장치(PDD)를 포함한다. 상기 박스(BOX)는 다양한 데이터 처리 회로(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단일의 차폐 케이스(SSE)에 위치한 두 튜너(TUN1, TUN2)와 애드온 카드(AOC)를 구비한다. 상기 두 튜너(TUN1, TUN2)는 TV 방송 및 FM 라디오 방송 각각을 수신하기 위한 무선 주파수 입력(I(TV) 및 I(FM))을 포함한다. 상기 두 튜너(TUN1, TUN2)는, 예를 들어 상호 상이한 두 TV 방송(P1 및 P2)의 동시 디스플레이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두 튜너(TUN1, TUN2)를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는,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임의의 유형의 메모리에 로드된다. 상기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두 튜너(TUN1, TUN2) 중 임의의 것에 포함된 주파수 분주기(DIV)에 대한 적절한 제수를 선택하는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도면 및 그 설명은 본 발명을 보다 한정하여 설명한다. 실제로, 첨부된 청구의 범위의 관점 내에 적합한 여러 실시예가 있다. 이하의 맺음글은 상기 관점에서 쓰여졌다.
다양한 유닛에 기능이나 기능적 요소를 물리적으로 확산하는 여러 방법이 있다. 상기 도면들은 본 발명의 단지 한 실시예를 매우 개략적으로 설명하고 표시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별개의 요소를 구비하는 하드웨어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적절히 프로그래밍된 컴퓨터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장치에서 큰 이점을 가져올 수 있지만, 다른 유형의 장치에서의 응용도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TV 장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VCR), TV/VCR 조합물 등에서 큰 이점을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은, PIP, 분리 스크린(Split Screen), 분리 텔레텍스트(separate Teletext) 등의 특징을 갖는 장치를 가능하게 한다.
TV 및 FM 라디오 수신을 예로 들었지만, 다른 유형의 수신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광대역 데이터캐스트(datacast) 등의 수신에도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모듈에 두 튜너가 통합된 예를 들었지만, 두 튜너 이상이 통합된 예도 가능하다. 둘 이상일 경우, 도 6에 도시된 경우보다 발진 주파수에서 더욱 고도의 선택이 필요하다. 보다 상호간에 상이한 제수를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발진 주파수 범위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둘 모두를 이용한 예도 가능하다.
소정의 2진수나 2진수가 아닌, 2, 4, 8, 16 및 3, 6, 12 등을 예로 들었지만, 1.5 등의 소수의 제수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 필터는 상기 분주기와 혼합기 사이에 연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수 분주기는 일반적으로 비교적 비대칭적인 듀티 사이클을 갖는 신호를 제공한다. 그 결과, 잡음 및 신호 취급의 관점에서 혼합기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듀티 사이클에서 비대칭을 제거하고, 동시에 상기 저하를 감쇄시킨다.
청구의 범위에서 도면 부호는 한계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Claims (12)

  1. 상호 상이한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두 개의 튜너(TUN1, TUN2)를 포함하는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튜너는 하나의 모듈(MOD)에 통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튜너(TUN1, TUN2) 각각은, 혼합기(MIX)에 연결된 발진기(OSC)를 포함하여 무선 주파수의 신호를 중간 주파수로 변환시키고,
    상기 두 튜너 각각의 발진기는, 각각의 다른 튜너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상기 무선 주파수(RF2 또는 RF1), 또는 무선 주파수의 임의의 저조파(sub-harmonic)와 일치하지 않는 발진 주파수(Fosc1 또는 Fosc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두 튜너 중 적어도 하나의 발진 주파수(Fosc1 또는 Fosc2)는, 상기 각각의 다른 튜너가 수신할 수 있는 가능한 한 최고의 무선 주파수(RFmax2 또는 RFmax1)를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두 튜너의 발진 주파수(Fosc1, Fosc2) 사이의 차이(ΔFosc)는 상기 중간 주파수 대역폭(intermediate frequency bandwidth:BWIF)을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두 튜너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발진기(OSC) 및 상기 혼합기(MIX) 사이에 연결된 주파수 분주기(frequency divider:DIV)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분주기(DIV)는 조절가능한 제수(division factor:N)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기(MIX) 및 상기 주파수 분주기(DIV)는 집적 회로(MOIC)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8. 각각이 혼합기(MIX)에 연결된 발진기(OSC)를 포함하여 무선 주파수의 신호를 중간 주파수로 변환시키는 두 튜너(TUN1, TUN2)를 포함하는, 상호 상이한 신호의 동시 수신을 위한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두 튜너 각각의 발진기는, 각각 다른 튜너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상기 무선 주파수(RF2 또는 RF1)와 일치하지 않는 발진 주파수(Fosc1 또는 Fosc2), 또는 상기 무선 주파수의 임의의 저조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9. 각각이 혼합기(MIX)에 연결된 발진기(OSC)를 포함하여 무선 주파수의 신호를 중간 주파수로 변환시키는 적어도 두 개의 튜너(TUN1, TUN2)를 통해 상호 상이한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튜너 각각의 발진기를,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튜너 중 다른 하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상기 무선 주파수(RF2 또는 RF1)와 일치하지 않는 발진 주파수(Fosc1 또는 Fosc2), 또는 상기 무선 주파수의 저조파에서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 1 항의 수신기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장치.
  11. 멀티미디어 장치의 일부를 형성하기에 적합한 애드온 카드(add-on card:AOC)로서, 제 1 항의 수신기를 포함하는 애드온 카드.
  12. 상호 상이한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적어도 두 개의 튜너를 포함하는 단일 차폐 케이스(single shielded encasing:SSE).
KR1019980707245A 1997-01-15 1998-01-12 멀티튜너수신기 KR1006993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G9700083-0 1997-01-15
SG199700083 1997-01-15
PCT/IB1998/000039 WO1998032233A2 (en) 1997-01-15 1998-01-12 Multi-tuner receiv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4590A true KR20000064590A (ko) 2000-11-06
KR100699310B1 KR100699310B1 (ko) 2007-06-04

Family

ID=60080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7245A KR100699310B1 (ko) 1997-01-15 1998-01-12 멀티튜너수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931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085B1 (ko) * 2005-08-03 2007-04-06 삼성전기주식회사 Tv 튜너 모듈
KR100703086B1 (ko) * 2005-08-04 2007-04-06 삼성전기주식회사 Rf-agc 회로 및 이를 갖는 tv 수신모듈
KR100756909B1 (ko) * 2006-07-03 2007-09-07 인티그런트 테크놀로지즈(주) 다이버시티 기법을 이용한 휴대용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칩
KR101067774B1 (ko) * 2004-09-03 2011-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기 및 그의 튜너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7927A (ja) * 1983-11-30 1985-06-25 Clarion Co Ltd シンセサイザ受信機
DE4236621A1 (de) * 1992-10-29 1994-05-05 Becker Autoradio Verfahren zur Abstimmung eines Rundfunkempfänger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774B1 (ko) * 2004-09-03 2011-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기 및 그의 튜너 제어 방법
KR100703085B1 (ko) * 2005-08-03 2007-04-06 삼성전기주식회사 Tv 튜너 모듈
KR100703086B1 (ko) * 2005-08-04 2007-04-06 삼성전기주식회사 Rf-agc 회로 및 이를 갖는 tv 수신모듈
KR100756909B1 (ko) * 2006-07-03 2007-09-07 인티그런트 테크놀로지즈(주) 다이버시티 기법을 이용한 휴대용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9310B1 (ko) 2007-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1488A (en) Multi-tuner receiver for concurrent reception of mutually different signals
US6094236A (en) Tuner circuit
JPH0964770A (ja) 地上放送及び衛星放送一体チューナ
US5475876A (en) Tuner unit having electromagnetically isolated UHF and VHF section with no noise
US20070010229A1 (en) Frequency conversion circuit tuner adopting same and set-top box for receiving CATV
US6370368B1 (en) Global tuner
US5457817A (en) Tuner of a double superheterodyne receiver
KR100240306B1 (ko) Rf 변조기 및 tv 튜너를 구비하는 고주파기기
US20040207476A1 (en) PLL circuit and television receiver having same and beat reducing method for television receiver
KR100699310B1 (ko) 멀티튜너수신기
JP3573591B2 (ja) 高周波電子機器
US6842610B2 (en) Tuner
KR100471152B1 (ko) 소형화 복합 튜너
KR100262777B1 (ko) Rf변조기 내장형 tv튜너
JPH11341373A (ja) デジタル放送受信用チューナ
KR970010384B1 (ko) 다 방송방식 수신시스템
KR960004726Y1 (ko) 텔레비젼수상기의 튜너장치
JPH05175874A (ja) 複合チューナ
JPH0352320A (ja) 電子チューナ
MXPA98003320A (en) High frequency electronic device
JPS6062732A (ja) テレビチュ−ナの混合回路
JPH0775410B2 (ja) インテグレィテッド電子同調チューナ
JPH1174813A (ja) チューナ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914

Effective date: 200611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