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0272A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부가코드채널운용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부가코드채널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0272A
KR20000060272A KR1019990008441A KR19990008441A KR20000060272A KR 20000060272 A KR20000060272 A KR 20000060272A KR 1019990008441 A KR1019990008441 A KR 1019990008441A KR 19990008441 A KR19990008441 A KR 19990008441A KR 20000060272 A KR20000060272 A KR 20000060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
additional code
base station
code channel
n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8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8364B1 (ko
Inventor
강미정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08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8364B1/ko
Priority to US09/524,348 priority patent/US6625137B1/en
Priority to AU22278/00A priority patent/AU732986B2/en
Publication of KR20000060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0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8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83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2Access point controll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 사이에 다수의 트래픽 코드채널을 할당하고, 각각의 코드채널을 제어하며 해제하기 위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부가코드채널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이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s110)와, 이동 단말기가 기지국을 통해 기지국 제어기에게 부가코드채널(SCC)의 개수와 그 유지시간을 전송하여 부가코드채널의 할당을 요구하는 단계(s120), 기지국 제어기가 기지국의 부가코드채널 할당프로세서(SCAP)에게 NUM_SUPMS를 전송하여 부가코드채널의 할당을 요구하는 단계(s130), SCAP가 부가코드채널을 할당하고 그 할당 결과를 기지국 제어기에게 통보하는 단계(s140), 기지국 제어기가 부가코드채널의 할당 결과를 사용하여, 할당할 부가코드채널의 개수와 해당 부가코드채널들의 유지시간을 결정하는 단계(s150)(s152)(s154), 기지국 제어기가 결정된 부가코드채널의 개수와 유지시간을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에게 통보하는 단계(s160) 및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가 통보된 부가코드채널의 개수와 유지시간을 사용하여 부가코드채널을 운용하는 단계(s17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부가코드채널 운용방법{METHOD FOR OPERATING SUPPLEMENTAL CODE CHANNEL FOR HIGH SPEED DATA SERVICE IN RADIO TELE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코드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기술을 사용하는 이동 단말기에게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High Speed Data Service)를 제공하기 위하여,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 사이에 다수의 트래픽 코드채널(Traffic Code Channel)을 할당하고 제어하며 해제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부가코드채널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셀룰러 시스템은 보다 많은 가입자에게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전체 서비스영역을 다수의 셀로 분할하고, 각각의 셀에 기지국을 두어, 다수의 기지국을 하나의 교환국(Private Communication eXchange)으로 관리한다.
보다 발전된 무선통신 시스템은 상기 기지국과 교환국으로 이루어진 무선 네트워크에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InterWorking Function system: IWF)을 연결하고, 상기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공중교환 전화네트워크(Public Swtiched Telephone Network: PSTN)나 인터넷(Internet) 등의 유선 네트워크를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함으로써, 이동 가입자에게 팩스나 인터넷 등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1 및 도 2 는 통상적으로 코드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기술을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이동 가입자에게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가입자는 노트북(Note-book) 등의 단말기(Terminal End: TE)(110)를 사용하여 이동 단말기(Mobile Station: MS)(120)에 접속하며, 이동 단말기(120)는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BSC)(130)와 이동 교환국(Personal Communication eXchange: PCX)(140)으로 구성된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된다.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IWF)(150)은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공중교환 전화네트워크(PSTN)(160)나 인터넷(180) 등의 유선 네트워크로 연결함으로써, 단말기(110)를 팩스(170)나 개인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190)와 연결한다.
상기와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기(110)는 공중교환 전화네트워크에 연결된 팩스(170)나 개인 컴퓨터(19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사용하여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면, 유선 데이터 서비스에 비하여 전송속도는 떨어지지만, 단말기(110)의 이동성이 보장된다.
CDMA 기술을 사용하는 무선 네트워크는 하나의 주파수 채널을, 코드를 사용하여 여러개의 코드채널로 구분할 수 있기 때문에, 주파수분할 다중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등의 다른 기술을 사용하는 무선 네트워크에 비하여 더 많은 무선 가입자를 수용할 수 있다.
도 3 은 통상적인 코드분할 다중접속 기술을 사용하는 역방향 채널(Reverse Code Channel)(이동 단말기에서 기지국의 방향으로 형성)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1.23MHz의 대역폭(Band Width)을 가지는 통상적인 역방향 채널(210)은, 각각 하나의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에 해당하는 다수의 액세스 채널(Access Channel: AC)(211)(212)(213)(224)과, 음성이나 데이터를 전송하는 다수의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 TC)(215)(216)로 이루어진다.
도 4 는 통상적인 코드분할 다중접속 기술을 사용하는 순방향 채널(Forward Code Channel)(기지국에서 이동 단말기의 방향으로 형성)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순방향 채널(220)은, 기지국 고유의 신호를 전송하는 파일럿 채널(Pilot Channel: PC)(221)과, 기지국의 시스템 시간을 전송하는 동기 채널(Synchronous Channel: SC)(222), 각각 하나의 액세스 채널에 해당하는 다수의 페이징 채널(PC)(223)(224), 음성이나 데이터를 전송하는 다수의 트래픽 코드채널(Code Channel: CC)(225 내지 229)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순방향 트래픽 코드채널(225 내지 229)은 음성이나 데이터 등의 트래픽 데이터(230)와 이동 단말기의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제어 데이터(231)를 함께 전송한다.
TIA/EIA/IS-95를 만족하는 CDMA 무선 네트워크는 하나의 코드채널에 대하여 8.6Kbps(Rate Set 1) 또는 13.35Kbps(Rate Set 2)의 전송속도만을 허용한다. 그러나 이동 가입자에게 음성뿐만이 아니라 여러 가지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그 이상의 전송 능력이 필요하다. 게다가 무선링크 특성상의 전파환경을 감안하면 무선링크의 전송속도는 안정적으로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실제 전송속도는 규격에 의해 허용된 전송속도보다 느릴 수 있다.
통상적인 CDMA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는 하나의 코드채널(즉, 트래픽 채널)만을 사용하여 통화 데이터(음성)를 송수신한다. 그러나 8.6Kbps 또는 13.35Kbps의 전송속도를 사용하는 하나의 코드채널만으로는 고용량의 데이터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없다.
즉, 상기된 바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고속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는,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 간에 하나의 코드채널만을 사용하여 통화 데이터를 송수신하였으며 하나의 코드채널은 그 속도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가입자에게 고용량의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간의 무선링크에 다수의 코드채널을 할당하여 사용하여 전송속도를 높이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부가코드채널 운영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간의 무선링크에 코드채널을 다중으로 할당하고 해제하며 그 코드채널을 제어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부가코드채널 운영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장점은 하기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읽고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은 통상적으로 코드분할 다중접속(CDMA) 기술을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이동 가입자에게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
도 2 는 통상적으로 코드분할 다중접속(CDMA) 기술을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이동 가입자에게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의 다른 구성도.
도 3 은 통상적인 코드분할 다중접속 기술을 사용하는 역방향 채널의 구성도.
도 4 는 통상적인 코드분할 다중접속 기술을 사용하는 순방향 채널의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다수의 코드채널을 포함하는 역방향 채널의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다수의 코드채널을 포함하는 순방향 채널의 구성도.
도 7 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 단말기의 다중채널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부가코드채널의 운용방법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해 다중채널을 사용하는 호 절차를 나타낸 메시지 흐름도.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부가코드채널의 운용방법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11 은 본 발명에 의한 부가코드채널의 운용방법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12 는 본 발명에 의한 부가코드채널의 운용방법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단말기 120 : 이동 단말기
130 : 기지국/기지국 제어기 140 : 교환국
150 :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160 : 공중교환 전화네트워크
170 : 팩스 180 : 인터넷
190 : 개인 컴퓨터 210,310 : 역방향 채널
211,212,213,214,311,312,313,314 : 액세스 채널
215,216,315,316 : 역방향 트래픽 채널
220,330 : 순방향 채널
221,331 : 파일럿 채널 222,332 : 동기 채널
223,224,333,334 : 페이징 채널
225,226,227,228,229,335,336,337,338,339 : 순방향 코드채널
230 : 트래픽 채널 231,342,344 : 전력제어 채널
321,341,343 : 기본코드채널 322,323,345 : 부가코드채널
410 : 정규서비스상태 420 : 다중채널 동작 대기상태
430 : 다중채널 운용상태 440 : 다중채널 할당 대기상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부가코드채널 운용방법의 제 1 실시예는,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이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s110)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을 통해 기지국 제어기에게 부가코드채널(Supplemental Code Channel: SCC)의 개수(NUM_SUPMS)와 그 유지시간(REV_DUR)을 전송하여 부가코드채널의 할당을 요구하는 단계(s120);
상기 요구를 받은 기지국 제어기가 기지국의 부가코드채널 할당프로세서(SCC Assignment Processor: SCAP)에게 NUM_SUPMS를 전송하여 부가코드채널의 할당을 요구하는 단계(s130);
상기 SCAP가 부가코드채널을 할당하고 그 할당 결과(ASS_SUP)를 기지국 제어기에게 통보하는 단계(s140);
기지국 제어기가 상기 부가코드채널의 할당 결과(ASS_SUP)를 사용하여, 할당할 부가코드채널의 개수(NUM_SUP)와 해당 부가코드채널들의 유지시간(DUR)을 결정하는 단계(s150)(s152)(s154);
기지국 제어기가 상기 결정된 부가코드채널의 개수와 유지시간을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에게 통보하는 단계(s160); 및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가 상기 통보된 부가코드채널의 개수와 유지시간을 사용하여 부가코드채널을 운용하는 단계(s1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부가코드채널 운용방법의 제 2 실시예는,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이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s210)와;
상기 기지국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가 상기 기지국의 부가코드채널 할당프로세서(SCAP)에게 부가코드채널(SCC)의 개수(NUM_SUPBS)와 그 유지시간(FOR_DUR)을 전송하여 부가코드채널의 할당을 요구하는 단계(s220);
상기 SCAP가 부가코드채널을 할당하고, 그 할당 결과(ASS_SUP)를 기지국 제어기에게 통보하는 단계(s230);
기지국 제어기가 상기 부가코드채널의 할당 결과(ASS_SUP)를 사용하여, 할당할 부가코드채널의 개수(NUM_SUP)와 해당 부가코드채널들의 유지시간(DUR)을 결정하는 단계(s240)(s242)(s244);
기지국 제어기가 상기 결정된 부가코드채널의 개수와 유지시간을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에게 통보하는 단계(s250); 및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가 상기 통보된 부가코드채널의 개수와 유지시간을 사용하여 부가코드채널을 운용하는 단계(s2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부가코드채널 운용방법의 제 3 실시예는,
이동 단말기와 제 1 기지국이 통신을 연결하고 다수의 부가코드채널을 운용하는 단계(s310)와;
제 2 기지국이 상기 이동 단말기와 제 1 기지국 사이의 무선링크에 핸드오프 애드되는 단계(s320);
상기 제 1 및 제 2 기지국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가 제 2 기지국의 부가코드채널 할당프로세서(SCAP2)에게 상기 이동 단말기와 제 1 기지국 사이에 운용되고 있는 부가코드채널의 개수(NUM_SUP1)와 그 유지시간(DUR1)을 전송하여 부가코드채널의 할당을 요구하는 단계(s330);
상기 SCAP2가 부가코드채널을 할당하고, 그 할당 결과(ASS_SUP)를 기지국 제어기에게 통보하는 단계(s340);
기지국 제어기가 상기 부가코드채널의 할당 결과(ASS_SUP)를 사용하여, 할당할 부가코드채널의 개수(NUM_SUP)와 그 유지시간(DUR)을 결정하는 단계(s350)(s352)(s354);
기지국 제어기가 상기 결정된 부가코드채널의 개수와 유지시간을 제 1 및 제 2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에게 통보하는 단계(s360); 및
제 1 및 제 2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가 상기 통보된 부가코드채널의 개수와 유지시간을 사용하여 부가코드채널을 운용하는 단계(s3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부가코드채널 운용방법의 제 4 실시예는,
이동 단말기와 제 1 및 제 2 기지국이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s410)와;
상기 제 1 및 제 2 기지국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부가코드채널(SCC)의 할당을 필요로 하는 단계(s420);
상기 기지국 제어기가 상기 제 1 및 제 2 기지국 각각의 부가코드채널 할당프로세서(SCAP1, SCAP2)에게 부가코드채널의 개수(NUM_SUP0)와 그 유지시간(DUR0)을 전송하여 부가코드채널의 할당을 요구하는 단계(s430);
상기 SCAP1, SCAP2가 부가코드채널을 각각 할당하고 그 할당 결과(ASS_SUP1, ASS_SUP2)를 기지국 제어기에게 통보하는 단계(s440);
기지국 제어기가 상기 부가코드채널의 할당 결과(ASS_SUP1, ASS_SUP2)를 사용하여, 할당할 부가코드채널의 개수와 해당 부가코드채널들의 유지시간을 결정하는 단계(s450)(s452)(s454)(s460)(s462)(s464);
기지국 제어기가 상기 결정된 부가코드채널의 개수와 유지시간을 제 1 및 제 2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에게 통보하는 단계(s470); 및
제 1 및 제 2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가 상기 통보된 부가코드채널의 개수와 유지시간을 사용하여 부가코드채널을 운용하는 단계(s480)를 포함한다.
TIA/EIA/IS-95B를 만족하는 고속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에 다수의 코드채널을 할당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 IS-95B에 제시된 다중채널 개념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에 다수의 코드채널을 할당하고 제어하며 해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기존에 존재하던 코드채널을 기본코드채널(Fundamental Code Channel: FCC)이라 하고, 새로 할당된 코드채널들을 각각 부가코드채널(Supplemental Code Channel: SCC)이라 한다.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은 초기에는 기본코드채널만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며, 전송할 데이터의 양이 많으면 부가코드채널을 사용한다. 그러나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 사이에 다수개의 부가코드채널을 고정적으로 할당하여 놓으면, 전송할 데이터의 양이 많지 않은 경우에 채널자원이 낭비된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러므로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는 필요에 따라 할당과 해제를 유동적으로 수행하여, 기지국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로서,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에 1개의 기본코드채널과 8개의 부가코드채널을 할당하며, 각 채널을 제어하고 해제하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와 유선 네트워크 및 상기 두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IWF)으로 구성된 네트워크(도 1 및 도 2 의 구성)에서, 이동 단말기(120)를 통해 단말기(110)에게 고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이동 단말기(120)와 기지국(130) 간에 다수의 코드채널을 할당한다. 기지국은 하나의 호에 대하여 부가코드채널을 최대 8개까지 할당할 수 있으며, 할당되는 부가코드채널들은 0에서 7까지의 고유한 인덱스(Index)를 가진다.
만일 동시에 8개의 코드채널이 단말기(110)와 연결된 이동 단말기(120)에 할당되었다면, 래이트 셋 1에서 66.4kbps(8.3kbps×8), 래이트 셋 2에서 106.80kbps (13.35kbps×8)의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하다.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다수의 코드채널을 포함하는 역방향 채널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역방향 채널(310)은, 각각 하나의 페이징 채널에 해당하는 다수의 액세스 채널(AC)(311)(312)(313) (314)과, 음성이나 데이터를 전송하며 기본코드채널(FCC)(321)과 부가코드채널들(322)(323)을 포함하는 다수의 트래픽 채널(TC)(315)(316)로 이루어진다.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다수의 코드채널을 포함하는 순방향 채널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순방향 채널(330)은, 기지국 고유의 신호를 전송하는 파일럿 채널(PC)(331)과, 기지국의 시스템 시간을 전송하는 동기 채널(SC)(332), 각각 하나의 액세스 채널에 해당하는 다수의 페이징 채널(PC)(333)(334), 기본코드채널(341)을 위한 데이터와 전력제어를 위한 데이터(342)를 전송하는 다수의 제 1 순방향 트래픽 채널(336) 및 기본코드채널(343)을 위한 데이터와 전력제어를 위한 데이터(344) 또는 부가코드채널(SCC)(345)을 위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다수의 제 2 순방향 트래픽 채널(337 내지 339)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순방향 트래픽 채널(336)은 기본코드채널로만 동작하며, 상기 제 2 순방향 트래픽 채널(337 내지 339)은 기본코드채널 또는 부가코드채널로 동작한다.
기본코드채널(341)(343)은 IS-95B에 제시된 바와 같이, 1차 데이터(Primary Data)와 2차 데이터(Secondary Data), 신호처리(Signalling) 및 전력제어(Power Control) 정보를 포함하며, 트래픽 채널에서 항상 존재하는 코드채널의 한 부분으로, 한 호에 대한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부가코드채널은 IS-95B에 제시된 바와 같이,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1차 데이터와 2차 데이터를 전송하며, 전송할 데이터의 양에 따라 새로 할당되기도 하고 해제되기도 한다. 부가코드채널은 최대속도(래이트 셋 2)로만 통신이 가능하며, 부가코드채널의 동작에 대한 지원여부는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의 다중화 옵션 협상(Multiplex Negotiation)을 통해 결정된다.
IS-95B에 제시된 다중화 옵션은 서비스 옵션(Service Option)의 한 종류로서, 통신에 사용할 채널의 전송속도와 채널의 개수 등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다중화 옵션 1은 래이트 셋 1만을 사용하며, 다중화 옵션 2는 다중화 옵션 2만을 사용하고, 다중화 옵션 3는 래이트 셋 1만을 사용하며 1개의 부가코드채널을 할당한다. IS-95B는 16 종류의 다중화 옵션을 제공한다.
역방향 채널에서 기지국은 롱코드(Long Code) 의사잡음(Pseudorandom Noise: PN)을 사용하여 각각의 코드채널(기본코드채널과 부가코드채널)을 구분하며, 순방향 채널에서 이동 단말기는 왈시코드(Walsh Code)를 사용하여 각각의 코드채널(기본코드채널과 부가코드채널)을 구분한다.
각 기지국은 부가코드채널들의 상태를 관리하고 할당하는 부가채널할당 프로세서(SCC Assignment Processor: SCAP)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부가채널의 할당이나 해제는 도 1 및 도 2 에 나타낸 무선링크 프로토콜(Radio Link Protocol : RLP) 계층에서 수행되며, IS-95 계층에서는 실제로 채널을 할당받기까지의 절차를 수행한다.
이동 단말기 또는 기지국이 부가채널의 할당을 필요로 하게 되면, 기지국 제어기는 해당 기지국의 SCAP에게 특정한 개수의 부가코드채널을 할당할 것을 요구한다. SCAP는 요구된 부가코드채널의 개수와 부가코드채널의 자원 상태를 파악하여, 가능한 개수의 부가코드채널을 할당하게 된다.
IS-95B는 이동 단말기가 부가코드채널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상태(State)를 정의한다. 도 7 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 단말기의 다중채널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정규서비스상태(Normal Service State)(410)의 이동 단말기가 기지국으로부터 부가코드채널 할당 메시지(Supplemental Channel Assignment Message)를 수신하면, 이동 단말기는 다중채널 동작 대기상태(Waiting for Multi-Channel Action Time State)(420)가 되며, 일정한 동작시간(Action Time)이 경과되면 다중채널 운용상태(Multi-Channel Operation State)(430)로 진입한다.
다중채널 운영상태(430)의 이동 단말기는 다중채널을 통해 기지국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데,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때는 할당된 다수의 채널로부터 1개의 채널로(기지국:이동 단말기 = n:1) 데이터를 병렬 수신하며,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는 1개의 채널로부터 다수의 채널로(이동 단말기:기지국 = 1:n) 데이터를 직렬 송신한다.
다중채널 운영상태(430)의 이동 단말기는, 기 설정된 채널의 유지시간(Duration)이 만기되거나,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거나, 채널의 해제가 요구되면, 정규서비스상태(410)로 복귀한다.
또한 정규서비스상태(410)의 이동 단말기가 단말기로부터 다중채널의 운영을 요구받게 되면, 즉 전송할 데이터의 양이 많아서 다중채널을 사용해야 하면, 이동 단말기는 기지국으로 부가코드채널 할당요구 메시지(Supplemental Channel Request Message)를 보내고 다중채널 할당 대기상태(440)로 진입한다. 기지국으로부터 부가코드채널 할당 메시지가 수신되면, 다중채널 할당 대기상태(440)의 이동 단말기는 다중채널 동작 대기상태(420)로 진입하여 다중채널의 운영을 준비한다.
본 발명에 의한 부가코드채널의 운용방법에는, 이동 단말기가 발신을 요구하면서 동시에 부가코드채널을 요구하는 제 1 실시예와, 이미 호가 설정된 이후 기지국 제어기가 부가코드채널을 할당하는 제 2 실시예, 부가코드채널이 이미 할당된 이후 핸드오프로 인하여 새로운 기지국이 애드되는 제 3 실시예 및 부가코드채널없이 핸드오프가 수행되는 상태에서 기지국 또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부가코드채널의 할당이 요구되는 제 4 실시예가 있다.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이 패킷 형태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 부가코드채널을 할당한 상태로 데이터의 전송량에 관계없이 계속해서 유지하면 자원의 낭비가 심하다. 그렇기 때문에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은 유지시간(Duration)을 사용하여 부가코드채널의 사용시간을 제한한다.
즉, 부가코드채널이 할당된 이후, 기지국 제어기에 의하여 결정된 유지시간이 만기되면,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는 부가코드채널의 사용을 종결하고, 활성화되어 있는 모든 부가코드채널을 해제한다. 이것은 논리적인 의미로의 채널해제 뿐만 아니라,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에 할당되어 있는 부가코드채널을 물리적으로 해제함을 뜻한다.
부가코드채널의 할당과 해제는 후입선출(Last In First Out: LIFO)의 원칙을 따른다. 즉,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는, 가장 작은 인덱스를 가지는 부가코드채널부터 할당하며, 일부 부가코드채널을 해제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가장 큰 인덱스를 가지는 부가코드채널부터 해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이동 단말기가 발신을 요구하면서 동시에 부가코드채널을 요구하는 경우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부가코드채널의 운용방법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이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s110)와; 이동 단말기가 기지국을 통해 기지국 제어기에게 부가코드채널(SCC)의 할당을 요구하는 단계(s120); 기지국 제어기가 기지국의 부가코드채널 할당프로세서(SCAP)에게 부가코드채널의 할당을 요구하는 단계(s130); SCAP가 부가코드채널의 할당 결과를 기지국 제어기에게 통보하는 단계(s140); 기지국 제어기가 상기 부가코드채널의 할당 결과를 사용하여, 할당할 부가코드채널의 개수(NUM_SUP)와 해당 부가코드채널들의 유지시간(Duration)(DUR)을 결정하는 단계(s150,s152,s154); 기지국 제어기가 상기 결정된 부가코드채널의 개수와 유지시간을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에게 통보하는 단계(s160); 및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가 상기 통보된 부가코드채널의 개수와 유지시간을 사용하여 부가코드채널을 운용하는 단계(s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이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도 9 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계(s110)에서,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은 호 설정(Call Setup)과 서비스 협상(Service Negotiation) 절차를 통해, 통신을 연결한다.
즉,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단말기(110)를 통해 이동 단말기(120)에게 데이터 서비스를 요구하면, 이동 단말기(120)는 기지국(130)에게 발신을 요구하여 호를 설정(Call Setup)(S10)한다.
이동 단말기가, 서비스 옵션 N 또는 다중화 옵션 M을 설정하기 위해 서비스 요구 메시지(Service Request Message)(S20)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면, 기지국은 서비스 옵션 N을 위한 채널자원을 배치하고,(10) 이동 단말기에게 서비스 접속 메시지(Service Connect Message)(S30)를 전송한다.
이동 단말기는 서비스 옵션 N에 따라 1차 트래픽(primary traffic)의 처리를 시작하며,(20) 기지국으로 서비스 접속완료 메시지(Service Connect Completion Message)(S40)를 전송하여 서비스 협상(Service Negotiation) 절차를 완료한다.
서비스 협상 절차가 완료되면 무선링크 프로토콜(RLP) 계층이 활성화되어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가 되는데, 호 설정과 서비스 협상을 위해 사용되는 트래픽 채널은 순방향 및 역방향 기본코드채널(FCC)이다.
이동 단말기는 기지국으로 전송할 데이터의 양이 기본코드채널만으로 전송할 수 없을 정도로 많으면, 단계(s120)에서 기지국에게 부가코드채널의 할당을 요구한다.
부가코드채널의 할당을 요구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는 기지국으로 할당할 부가코드채널의 개수(NUM_SUPMS)와 해당 부가코드채널의 유지시간(REV_DUR)을 포함하는 부가채널 요구 메시지(Supplemental Channel Request Message)(S50)를, 기본코드채널을 통해 전송한다.
이동 단말기는 전송할 데이터의 양을 기준으로 하여 부가코드채널의 개수(NUM_SUPMS)와 유지시간(REV_DUR)을 결정하는데, 이때 전송할 데이터의 양 외에도, TIA/EIA/IS-95B에 정의된 무선 인터페이스 상의 프레임 에러율(Frame Error Rate)이나 무선링크 프로토콜 상의 재전송율, 점대점 프로토콜(Point-to-Point Protocol: PPP) 및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상의 에러율을 근거로 하여 유지시간을 결정한다.
단계(s130)에서, 기지국을 통해 부가코드채널의 할당을 요구받은 기지국 제어기는, 기지국을 통해 전송받은 부가채널 요구 메시지에 포함된 NUM_SUPMS와 REV_DUR를 해당 기지국의 SCAP에게 알림으로써, 부가코드채널의 할당을 요구한다.
단계(s140)에서 SCAP는, NUM_SUPMS와 REV_DUR과 기지국 채널자원의 가용상태 등을 기초로 하여 다수의 부가코드채널을 상기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에 할당하고, 할당된 부가코드채널의 개수(ASS_SUP)를 기지국 제어기에게 통보한다.
단계(s150) 내지 단계(s154)에서, 기지국 제어기는 이동 단말기가 요구한 NUM_SUPMS와 REV_DUR 및 SCAP가 통보한 ASS_SUP를 기초로 하여, 실제 사용될 부가코드채널의 개수(NUM_SUP)와 그 유지시간(DUR)을 결정한다.
단계(s150)에서, 기지국 제어기는 NUM_SUPMS를 ASS_SUP와 비교한다.
SCAP는 이동 단말기가 요구한 부가코드채널의 개수(NUM_SUPMS)를 참조하여, NUM_SUPMS가 ASS_SUP보다 작아지지 않도록 ASS_SUP를 설정한다. 그러므로 NUM_SUPMS가 ASS_SUP보다 크지 않다면, 두 값은 같은 것이다.
만일 NUM_SUPMS가 ASS_SUP보다 크지 않으면, 단계(s152)에서 기지국 제어기는 NUM_SUP는 이동 단말기가 요구한 NUM_SUPMS와 같도록 설정하고, DUR는 이동 단말기와 요구한 REV_DUR과 같도록 설정한다.
만일 NUM_SUPMS가 ASS_SUP보다 크면, 단계(s154)에서 기지국 제어기는 NUM_SUP는 ASS_SUP와 같도록 설정하고, DUR은 수학식 1과 같이 설정한다.
즉, 이동 단말기가 요구한 개수(NUM_SUPMS) 만큼의 부가코드채널을 SCAP가 할당할 수 없을 경우, 기지국 제어기는 모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기에 충분할 만큼 부가코드채널의 유지시간(DUR)을 더 길게 설정한다.
기지국 제어기는 상기 단계(s150) 내지 단계(s154)를 통해 다중채널을 할당하기 위해 필요한 부가코드채널의 개수(NUM_SUP)와 유지시간(DUR)을 결정한 다음,(도 9 의 30) 단계(s160)에서, 상기 결정된 NUM_SUP와 DUR을 포함하는 부가채널 할당 메시지(Supplemental Channel Assignment Message)(S60)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한다.
단계(s170)에서, 부가채널 할당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은 결정된 개수(NUM_SUP) 만큼의 부가코드채널을 운용한다. 즉, 이동 단말기는 부가채널 할당 메시지(S60)를 수신하면 다중채널 동작 대기상태(420)를 통해 다중채널 운용상태(430)로 진입하여, 다수의 부가코드채널을 통해 기지국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40)
기지국은 채널에 장애가 발생하였거나 기타 다른 이유로 인하여, 부가코드채널의 운용을 강제로 중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지국은 다중채널의 운용을 중지하기 위한 부가채널 할당 메시지(S70)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며, 이동 단말기는 다중채널의 운용을 중지한다.(50) 채널이 복구되면, 기지국은 다중채널의 운용을 재개하기 위한 부가채널 할당 메시지(S80)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며, 이동 단말기는 다중채널의 운용을 재개한다.(60)
부가코드채널의 할당을 위해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간에 송수신되는 부가채널 요구 메시지 및 부가채널 할당 메시지는 기본코드채널(FCC)을 통하여 전송된다.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이 패킷 형태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 부가코드채널을 계속해서 할당하여 놓으면 자원의 낭비가 심하기 때문에,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은 같은 값을 가지는 유지시간(DUR)을 사용하여 부가코드채널의 사용시간을 제한한다.
부가코드채널이 할당된 이후 기지국 제어기에 의하여 결정된 유지시간(DUR)이 만기되면,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는 부가코드채널의 사용을 종결하고,(70) 할당되어 있던 모든 부가코드채널을 해제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호가 설정된 이후 기지국 제어기가 부가코드채널을 할당을 요구하는 경우이다.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부가코드채널의 운용방법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이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s210)와; 기지국 제어기가 기지국의 부가코드채널 할당프로세서(SCAP)에게 부가코드채널의 할당을 요구하는 단계(s220); SCAP가 부가코드채널의 할당 결과를 기지국 제어기에게 통보하는 단계(s230); 기지국 제어기가 상기 부가코드채널의 할당 결과를 사용하여, 할당할 부가코드채널의 개수(NUM_SUP)와 해당 부가코드채널들의 유지시간(DUR)을 결정하는 단계(s240,s242,s244); 기지국 제어기가 상기 결정된 부가코드채널의 개수와 유지시간을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에게 통보하는 단계(s250); 및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가 상기 통보된 부가코드채널의 개수와 유지시간을 사용하여 부가코드채널을 운용하는 단계(s2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이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계(s210)에서,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은 호 설정(Call Setup)과 서비스 협상(Service Negotiation) 절차를 통해, 통신을 연결한다. 기지국 제어기는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로 전송할 데이터의 양이 기본코드채널만으로 전송할 수 없을 정도로 많으면, 단계(s220)에서 기지국에게 부가코드채널의 할당을 요구한다. 부가코드채널의 할당을 요구하기 위해, 기지국 제어기는 할당할 부가코드채널의 개수(NUM_SUPBS)와 해당 부가코드채널의 유지시간(FOR_DUR)을 SCAP로 전달한다.
이때 기지국 제어기는, 전송할 데이터의 양과, TIA/EIA/IS-95B에 정의된 무선 인터페이스 상의 프레임 에러율이나 무선링크 프로토콜 상의 재전송율, 점대점 프로토콜 및 TCP/IP 상의 에러율을 근거로 하여, 부가코드채널의 개수(NUM_SUPBS)와 유지시간(FOR_DUR)을 결정한다.
단계(s230)에서 SCAP는, 전달받은 부가코드채널의 개수(NUM_SUPBS)와 유지시간(FOR_DUR)과 기지국 채널자원의 가용상태 등을 기초로 하여, 다수의 부가코드채널을 상기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에 할당하고, 할당된 부가코드채널의 개수(ASS_SUP)를 기지국 제어기에게 통보한다.
단계(s240) 내지 단계(s244)에서, 기지국 제어기는 NUM_SUPBS와 FOR_DUR 및 SCAP가 통보한 ASS_SUP를 기초로 하여, 실제 사용될 부가코드채널의 개수(NUM_SUP)와 그 유지시간(DUR)을 결정한다.
단계(s240)에서, 기지국 제어기는 NUM_SUPBS를 ASS_SUP와 비교한다.
만일 NUM_SUPBS가 ASS_SUP보다 크지 않으면, 즉 NUM_SUPMS가 ASS_SUP과 같으면, 단계(s242)에서 기지국 제어기는 NUM_SUP는 NUM_SUPBS와 같도록 설정하고, DUR는 FOR_DUR과 같도록 설정한다.
만일 NUM_SUPBS가 ASS_SUP보다 크면, 단계(s244)에서 기지국 제어기는 NUM_SUP는 ASS_SUP와 같도록 설정하고, DUR은 수학식 2와 같이 설정한다.
기지국 제어기는 상기 단계(s240) 내지 단계(s244)를 통해 다중채널을 할당하기 위해 필요한 부가코드채널의 개수(NUM_SUP)와 유지시간(DUR)을 결정한 다음, 단계(s250)에서 상기 결정된 NUM_SUP와 DRU를 이동 단말기에게 통보한다.
단계(s260)에서,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은 결정된 개수(NUM_SUP) 만큼의 부가코드채널을 할당하고, 할당된 부가코드채널들을 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후 기지국 제어기에 의하여 결정된 유지시간(DUR)이 만기되면,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는 부가코드채널의 사용을 종결하고, 할당되어 있던 모든 부가코드채널을 해제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부가코드채널이 이미 할당된 이후 핸드오프로 인하여 새로운 기지국이 애드되는 경우이다.
도 11 은 본 발명에 의한 부가코드채널의 운용방법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와 제 1 기지국이 통신을 연결하고 다중채널을 운용하는 단계(s310)와; 제 2 의 기지국이 상기 이동 단말기와 핸드오프 애드되는 단계(s320); 기지국 제어기가 제 2 기지국의 부가코드채널 할당프로세서(SCAP2)에게 부가코드채널의 할당을 요구하는 단계(s330); SCAP2가 부가코드채널의 할당 결과를 기지국 제어기에게 통보하는 단계(s340); 기지국 제어기가 상기 부가코드채널의 할당 결과를 사용하여, 할당할 부가코드채널의 개수(NUM_SUP)와 해당 부가코드채널들의 유지시간(DUR)을 결정하는 단계(s350,s352,s354); 기지국 제어기가 상기 결정된 부가코드채널의 개수와 유지시간을 제 1 및 제 2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에게 통보하는 단계(s360); 및 제 1 및 제 2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가 상기 통보된 부가코드채널의 개수와 유지시간을 사용하여 부가코드채널을 운용하는 단계(s3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이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와 제 1 기지국 사이에 NUM_SUP1개의 부가코드채널들이 할당되어 있고 이 부가코드채널들의 유지시간이 DUR1이라고 할 때, 이동 단말기가 제 1 기지국과 제 2 기지국의 경계지역으로 진입하거나, 전파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이동 단말기가 제 1 기지국과 제 2 기지국의 신호를 모두 수신하게 된 경우, 이동 단말기는 핸드오프를 통하여 제 2 기지국과 채널을 연결한다.
특히 소프트 핸드오프가 발생되어, 이동 단말기가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과 모두 채널을 연결하게 되는 경우, 기지국 제어기는 별도의 조정을 통해 이동 단말기가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과, 다수개의 부가코드채널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단계(s310)에서, 이동 단말기와 제 1 기지국이 다수개의 부가코드채널을 운용한다. 즉, 이동 단말기와 제 1 기지국 사이에는 NUM_SUP1개의 부가코드채널들이 할당되어 있고 이 부가코드채널들의 유지시간은 DUR1로 설정되어 있다.
단계(s320)에서 핸드오프가 발생되어 제 2 기지국이 애드되면, 단계(s330)에서 기지국 제어기는 제 2 기지국의 SCAP2에게 부가코드채널의 할당을 요구한다. 부가코드채널의 할당을 요구하기 위해, 기지국 제어기는 기 사용되고 있던 부가코드채널의 개수(NUM_SUP1)와 해당 부가코드채널의 유지시간(DUR1)을 SCAP2로 전달한다.
단계(s340)에서 SCAP2는, 전달받은 부가코드채널의 개수(NUM_SUP1)와 유지시간(DUR1)과 기지국 채널자원의 가용상태 등을 기초로 하여, ASS_SUP 개의 부가코드채널을 상기 이동 단말기와 제 2 기지국 사이에 할당하고, 할당된 부가코드채널의 개수(ASS_SUP)를 기지국 제어기에게 통보한다.
단계(s350) 내지 단계(s354)에서, 기지국 제어기는 NUM_SUP1과 DUR1및 SCAP2가 통보한 ASS_SUP를 기초로 하여, 실제 사용할 부가코드채널의 개수(NUM_SUP)와 그 유지시간(DUR)을 결정한다.
이때, 결정될 유지시간은, 상기 단계(s320)에서 핸드오프가 발생되어 그에 따라 부가코드채널의 개수와 유지시간을 계산하는 데 걸린 시간, 즉 핸드오프 처리시간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유지시간 DUR은 DUR1에 핸드오프 처리시간을 더한 값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단계(s350)에서, 기지국 제어기는 NUM_SUP1를 ASS_SUP와 비교한다.
만일 NUM_SUP1이 ASS_SUP보다 크지 않으면, 즉 NUM_SUP1이 ASS_SUP과 같으면, 단계(s352)에서 기지국 제어기는 NUM_SUP는 NUM_SUP1과 같도록 설정하고, DUR는 "DUR1+ 핸드오프처리시간"과 같도록 설정한다.
만일 NUM_SUP1이 ASS_SUP보다 크면, 단계(s354)에서 기지국 제어기는 NUM_SUP는 ASS_SUP와 같도록 설정하고, DUR은 수학식 3과 같이 설정한다.
기지국 제어기는 상기 단계(s350) 내지 단계(s354)를 통해 다중채널을 할당하기 위해 필요한 부가코드채널의 개수(NUM_SUP)와 유지시간(DUR)을 결정한 다음, 단계(s360)에서, 제 1 및 제 2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에게 상기 결정된 NUM_SUP와 DRU를 통보한다.
그러면 단계(s260)에서, 이동 단말기와 제 1 및 제 2 기지국은 결정된 개수(NUM_SUP) 만큼의 부가코드채널을 할당하고, 할당된 부가코드채널들을 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후 기지국 제어기에 의하여 결정된 유지시간(DUR)이 만기되면, 제 1 및 제 2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는 부가코드채널의 사용을 종결하고, 할당되어 있던 모든 부가코드채널을 해제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는, 부가코드채널없이 핸드오프가 수행되는 상태에서 기지국 또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부가코드채널의 할당이 요구되는 경우이다.
도 12 는 본 발명에 의한 부가코드채널의 운용방법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와 제 1 및 제 2 기지국이 통신을 연결하고 있는 단계(s410)와; 이동 단말기 또는 기지국 제어기가 부가코드채널(SCC)의 할당을 필요로 하는 단계(s420); 기지국 제어기가 제 1 및 제 2 기지국의 부가코드채널 할당프로세서(SCAP1, SCAP2)에게 부가코드채널의 할당을 요구하는 단계(s430); SCAP1, SCAP2가 부가코드채널의 할당 결과를 기지국 제어기에게 통보하는 단계(s440); 기지국 제어기가 상기 부가코드채널의 할당 결과를 사용하여, 할당할 부가코드채널의 개수와 해당 부가코드채널들의 유지시간을 결정하는 단계(s450,s452,s454,s460,s462,s464); 기지국 제어기가 상기 결정된 부가코드채널의 개수와 유지시간을 제 1 및 제 2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에게 통보하는 단계(s470); 및 제 1 및 제 2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가 상기 통보된 부가코드채널의 개수와 유지시간을 사용하여 부가코드채널을 운용하는 단계(s4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이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동 단말기가 하나의 기지국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제 1 기지국과 제 2 기지국의 신호를 모두 수신할 수 있는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는 소프트 핸드오프를 통하여 제 1 및 제 2 기지국과 동시에 채널을 연결하고, 두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이동 단말기가 두 기지국으로 전송할 데이터의 양이 매우 많거나, 또는 기지국 제어기가 두 기지국을 통해 이동 단말기로 전송할 데이터의 양이 매우 많아지면, 단계(s420)에서 이동 단말기 또는 기지국 제어기는 다중채널의 운용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동 단말기 또는 기지국 제어기는 전송할 데이터의 양과 TIA/EIA/IS-95B에 정의된 무선 인터페이스 상의 프레임 에러율이나 무선링크 프로토콜 상의 재전송율, 점대점 프로토콜 및 TCP/IP 상의 에러율을 근거로 하여, 부가코드채널의 개수(NUM_SUP0)와 유지시간(DUR0)을 결정한다.
단계(s430)에서 기지국 제어기는 제 1 기지국의 제 1 SCAP(SCAP1)과 제 2 기지국의 제 2 SCAP(SCAP2)에게 부가코드채널의 할당을 요구한다. 부가코드채널의 할당을 요구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 또는 기지국 제어기는 기 결정된 부가코드채널의 개수(NUM_SUP0)와 유지시간(DUR0)을 제 1 및 제 2 SCAP로 전달한다.
단계(s440)에서 제 1 및 제 2 SCAP는, 전달받은 부가코드채널의 개수(NUM_SUP0)와 유지시간(DUR0)과 기지국 채널자원의 가용상태 등을 기초로 하여, 각각 ASS_SUP1개와 ASS_SUP2개의 부가코드채널을 할당하고, 할당된 부가코드채널의 개수(ASS_SUP1, ASS_SUP2)를 기지국 제어기에게 통보한다.
단계(s450) 내지 단계(s454)에서, 기지국 제어기는 NUM_SUP0와 DUR0및 SCAP들이 통보한 ASS_SUP1, ASS_SUP2를 기초로 하여, 실제 사용할 부가코드채널의 개수(NUM_SUP)와 그 유지시간(DUR)을 결정한다.
단계(s450)에서, 기지국 제어기는 ASS_SUP1과 ASS_SUP2가 같은지를 확인한다.
만일 ASS_SUP1과 ASS_SUP2가 같지 않으면, 단계(s452)에서 기지국 제어기는 ASS_SUP1과 ASS_SUP2의 차이만큼의 부가코드채널을 해제하도록, 더 큰 ASS_SUP를 통보한 SCAP에게 요구한다.
예를 들어 제 2 SCAP가 제 1 SCAP의 것보다 더 큰 ASS_SUP를 통보하였다면, 기지국 제어기는 "ASS_SUP2-ASS_SUP1"만큼의 부가코드채널을 해제할 것을 제 2 SCAP에게 요구한다. 제 2 SCAP가 "ASS_SUP2-ASS_SUP1"만큼의 부가코드채널을 해제하고 나면, 제 1 SCAP와 제 2 SCAP가 할당한 부가코드채널의 개수는 같아지게 될 것이다.
제 1 SCAP와 제 2 SCAP가 할당한 부가코드채널의 개수를 일치시키고 나면, 단계(s454)에서 기지국 제어기는 두 개의 ASS_SUP 중 작은 값을 ASS_SUP로 설정한다.
그리고 나면 단계(s460)에서, 기지국 제어기는 NUM_SUP0와 ASS_SUP를 비교한다.
만일 NUM_SUP0가 ASS_SUP보다 크지 않으면, 즉 NUM_SUP0가 ASS_SUP과 같으면, 단계(s462)에서 기지국 제어기는 NUM_SUP는 NUM_SUP0와 같도록 설정하고, DUR는 DUR0와 같도록 설정한다.
만일 NUM_SUP0가 ASS_SUP보다 크면, 단계(s464)에서 기지국 제어기는 NUM_SUP는 ASS_SUP와 같도록 설정하고, DUR은 수학식 4와 같이 설정한다.
기지국 제어기는 상기 단계(s450) 내지 단계(s464)를 통해 다중채널을 할당하기 위해 필요한 부가코드채널의 개수(NUM_SUP)와 유지시간(DUR)을 결정한 다음, 단계(s470)에서, 제 1 및 제 2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에게 상기 결정된 NUM_SUP와 DUR을 통보한다.
그러면 단계(s480)에서, 이동 단말기와 제 1 및 제 2 기지국은 결정된 개수(NUM_SUP) 만큼의 부가코드채널을 할당하고, 할당된 부가코드채널들을 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후 기지국 제어기에 의하여 결정된 유지시간(DUR)이 만기되면, 제 1 및 제 2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는 부가코드채널의 사용을 종결하고, 할당되어 있던 모든 부가코드채널을 해제한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된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간의 무선링크에 다수의 코드채널을 할당하며, 해당 코드채널을 다중으로 할당하고 해제하며 제어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에게 고용량의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7)

  1.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이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을 통해 기지국 제어기에게 부가코드채널(Supplemental Code Channel: SCC)의 개수(NUM_SUPMS)와 그 유지시간(REV_DUR)을 전송하여, 부가코드채널의 할당을 요구하는 단계;
    상기 요구를 받은 기지국 제어기가 기지국의 부가코드채널 할당프로세서(SCC Assignment Processor: SCAP)에게 NUM_SUPMS를 전송하여 부가코드채널의 할당을 요구하는 단계;
    상기 요구에 의하여 상기 SCAP가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한 부가코드채널을 할당하고 그 할당 결과(ASS_SUP)를 기지국 제어기에게 통보하는 단계;
    기지국 제어기가 상기 부가코드채널의 할당 결과(ASS_SUP)를 사용하여, 할당할 부가코드채널의 개수(NUM_SUP)와 해당 부가코드채널들의 유지시간(DUR)을 결정하는 단계;
    기지국 제어기가 상기 결정된 부가코드채널의 개수와 유지시간을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에게 통보하는 단계; 및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가 상기 통보된 부가코드채널의 개수와 유지시간을 사용하여 부가코드채널을 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부가코드채널 운용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이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는,
    이동 단말기가 기본코드채널을 통해 기지국에게 발신을 요구하여 호를 설정하는 단계와;
    이동 단말기가 기본코드채널을 통해 기지국과 서비스 협상 절차를 수행하여 부가채널의 사용을 협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부가코드채널 운용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부가코드채널의 할당을 요구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할 데이터의 양이 기본코드채널만으로 전송할 수 없을 정도로 많으면, 상기 기지국을 통해 상기 기지국 제어기에게 부가코드채널의 할당을 요구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부가코드채널 운용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코드채널의 개수(NUM_SUPMS)와 해당 부가코드채널의 유지시간(REV_DUR)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전송할 데이터의 양과, TIA/EIA/IS-95B에 정의된 무선 인터페이스 상의 프레임 에러율(Frame Error Rate: FER), 무선링크 프로토콜 상의 재전송율, 점대점 프로토콜(Point-to-Point Protocol) 및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상의 에러율을 근거로 하여 결정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부가코드채널 운용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SCAP가 부가코드채널을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NUM_SUPMS와 REV_DUR 및 기지국 채널자원의 가용상태 등을 기초로 하여 할당할 부가코드채널의 개수(ASS_SUP)를 결정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부가코드채널 운용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SCAP가 부가코드채널을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NUM_SUPMS를 참조하여, NUM_SUPMS가 ASS_SUP보다 작아지지 않도록 ASS_SUP를 결정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부가코드채널 운용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제어기가 부가코드채널의 개수(NUM_SUP)와 해당 부가코드채널들의 유지시간(DUR)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NUM_SUPMS와 상기 ASS_SUP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NUM_SUPMS가 상기 ASS_SUP보다 크지 않으면, NUM_SUP는 이동 단말기가 요구한 NUM_SUPMS와 같도록 설정하고, DUR는 이동 단말기와 요구한 REV_DUR과 같도록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NUM_SUPMS가 상기 ASS_SUP보다 크면, NUM_SUP는 ASS_SUP와 같도록 설정하고, DUR은 (REV_DUR×NUM_SUPMS) / ASS_SUP 과 같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부가코드채널 운용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코드채널을 운용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과 상기 이동 단말기가 NUM_SUP개 만큼의 부가코드채널을 할당하고 할당된 부가코드채널 및 기본코드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부가코드채널을 할당한 이후 DUR 만큼의 시간이 경과되면,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가 상기 할당된 부가코드채널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부가코드채널 운용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코드채널을 운용하는 단계는,
    기지국이 이동 단말기에게 부가코드채널의 운용을 중지할 것을 명령하는 단계와;
    부가코드채널의 운용 중지를 명령받은 이동 단말기가 부가코드채널의 운용을 일시적으로 중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부가코드채널 운용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코드채널을 운용하는 단계는,
    기지국이 이동 단말기에게 부가코드채널의 운용을 중지할 것을 명령하는 단계와;
    부가코드채널의 운용 중지를 명령받은 이동 단말기가 부가코드채널의 운용을 일시적으로 중지하는 단계;
    부가코드채널의 운용을 중지하고 있는 기지국이 이동 단말기에게 부가코드채널의 운용을 재개할 것을 명령하는 단계; 및
    부가코드채널의 운용 재개를 명령받은 이동 단말기가 부가코드채널의 운용을 재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부가코드채널 운용방법.
  11.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이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가 상기 기지국의 부가코드채널 할당프로세서(SCAP)에게 부가코드채널(SCC)의 개수(NUM_SUPBS)와 그 유지시간(FOR_DUR)을 전송하여, 부가코드채널의 할당을 요구하는 단계;
    상기 요구에 의하여 상기 SCAP가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한 부가코드채널을 할당하고, 그 할당 결과(ASS_SUP)를 상기 기지국 제어기에게 통보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 제어기가 상기 부가코드채널의 할당 결과(ASS_SUP)를 사용하여, 할당할 부가코드채널의 개수(NUM_SUP)와 해당 부가코드채널들의 유지시간(DUR)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 제어기가 상기 결정된 부가코드채널의 개수와 유지시간을 상기 기지국과 상기 이동 단말기에게 통보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과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통보된 부가코드채널의 개수와 유지시간을 사용하여 부가코드채널을 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부가코드채널 운용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코드채널의 개수(NUM_SUPBS)와 그 유지시간(FOR_DUR)은,
    상기 기지국 제어기가 전송할 데이터의 양과, TIA/EIA/IS-95B에 정의된 무선 인터페이스 상의 프레임 에러율이나 무선링크 프로토콜 상의 재전송율, 점대점 프로토콜 및 TCP/IP 상의 에러율을 근거로 하여 결정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부가코드채널 운용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SCAP가 부가코드채널을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NUM_SUPMS와 상기 FOR_DUR 및 기지국 채널자원의 가용상태 등을 기초로 하여, 상기 할당할 부가코드채널의 개수(ASS_SUP)를 결정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부가코드채널 운용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SCAP가 부가코드채널을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NUM_SUPMS를 참조하여, 상기 NUM_SUPMS가 ASS_SUP보다 작아지지 않도록 ASS_SUP를 결정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부가코드채널 운용방법.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제어기가 부가코드채널의 개수(NUM_SUP)와 그 유지시간(DUR)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NUM_SUPBS와 상기 ASS_SUP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NUM_SUPBS가 상기 ASS_SUP보다 크지 않으면, NUM_SUP는 NUM_SUPBS와 같도록 설정하고, DUR는 FOR_DUR과 같도록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NUM_SUPBS가 ASS_SUP보다 크면, NUM_SUP는 ASS_SUP와 같도록 설정하고, DUR은 (FOR_DUR×NUM_SUPBS) / ASS_SUP 와 같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부가코드채널 운용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코드채널을 운용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과 상기 이동 단말기가 NUM_SUP 개 만큼의 부가코드채널을 할당하고 할당된 부가코드채널 및 기본코드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부가코드채널을 할당한 이후 DUR 만큼의 시간이 경과되면,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가 상기 할당된 부가코드채널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부가코드채널 운용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코드채널을 운용하는 단계는,
    기지국이 이동 단말기에게 부가코드채널의 운용을 중지할 것을 명령하는 단계와;
    부가코드채널의 운용 중지를 명령받은 이동 단말기가 부가코드채널의 운용을 일시적으로 중지하는 단계;
    부가코드채널의 운용을 중지하고 있는 기지국이 이동 단말기에게 부가코드채널의 운용을 재개할 것을 명령하는 단계; 및
    부가코드채널의 운용 재개를 명령받은 이동 단말기가 부가코드채널의 운용을 재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부가코드채널 운용방법.
  18. 이동 단말기와 제 1 기지국이 통신을 연결하고 다수의 부가코드채널을 운용하는 단계와;
    제 2 기지국이 상기 이동 단말기와 제 1 기지국 사이의 무선링크에 핸드오프 애드되는 단계;
    상기 제 1 및 제 2 기지국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가 상기 제 2 기지국의 부가코드채널 할당프로세서(SCAP2)에게, 상기 이동 단말기와 제 1 기지국 사이에 운용되고 있는 부가코드채널의 개수(NUM_SUP1)와 그 유지시간(DUR1)을 전송하여 부가코드채널의 할당을 요구하는 단계;
    상기 SCAP2가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한 부가코드채널을 할당하고, 그 할당 결과(ASS_SUP)를 상기 기지국 제어기에게 통보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 제어기가 상기 부가코드채널의 할당 결과(ASS_SUP)를 사용하여, 할당할 부가코드채널의 개수(NUM_SUP)와 그 유지시간(DUR)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 제어기가 상기 결정된 부가코드채널의 개수와 유지시간을 상기 제 1 및 제 2 기지국과 상기 이동 단말기에게 통보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및 제 2 기지국과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통보된 부가코드채널의 개수와 유지시간을 사용하여 부가코드채널을 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부가코드채널 운용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SCAP2가 부가코드채널을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NUM_SUP1과 상기 DUR1및 제 2 기지국 채널자원의 가용상태 등을 기초로 하여, 할당할 부가코드채널의 개수(ASS_SUP)를 결정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부가코드채널 운용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SCAP2가 부가코드채널을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NUM_SUP1을 참조하여, 상기 NUM_SUP1이 상기 ASS_SUP보다 작아지지 않도록 ASS_SUP를 결정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부가코드채널 운용방법.
  21.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제어기가 부가코드채널의 개수(NUM_SUP)와 그 유지시간(DUR)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NUM_SUP1과 상기 ASS_SUP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핸드오프 애드가 발생한 이후 핸드오프의 처리와 핸드오프에 따라 부가코드채널을 할당하는데 소비된 시간을 핸드오프처리시간이라고 할 때,
    상기 NUM_SUP1이 상기 ASS_SUP보다 크지 않으면, NUM_SUP는 NUM_SUP1과 같도록 설정하고, DUR는 "DUR1+ 핸드오프처리시간"과 같도록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NUM_SUP1이 상기 ASS_SUP보다 크면, NUM_SUP는 ASS_SUP와 같도록 설정하고, DUR은 (DUR1+핸드오프처리시간)×NUM_SUP1/ ASS_SUP 과 같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부가코드채널 운용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코드채널을 운용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및 제 2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가 NUM_SUP개 만큼의 부가코드채널을 할당하고 할당된 부가코드채널 및 기본코드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와;
    부가코드채널을 할당한 이후 DUR 만큼의 시간이 경과되면, 제 1 및 제 2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가 상기 할당된 부가코드채널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부가코드채널 운용방법.
  23. 이동 단말기와 제 1 및 제 2 기지국이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기 또는 상기 제 1 및 제 2 기지국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에서 부가코드채널(SCC)을 할당할 필요성이 발생되는 단계;
    상기 기지국 제어기가 상기 제 1 및 제 2 기지국 각각의 부가코드채널 할당프로세서(SCAP1, SCAP2)에게 부가코드채널의 개수(NUM_SUP0)와 그 유지시간(DUR0)을 전송하여 부가코드채널의 할당을 요구하는 단계;
    상기 SCAP1, SCAP2가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한 부가코드채널을 각각 할당하고, 그 할당 결과(ASS_SUP1, ASS_SUP2)를 상기 기지국 제어기에게 통보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 제어기가 상기 부가코드채널의 할당 결과(ASS_SUP1, ASS_SUP2)를 사용하여, 할당할 부가코드채널의 개수와 해당 부가코드채널들의 유지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 제어기가 상기 결정된 부가코드채널의 개수와 유지시간을 상기 제 1 및 제 2 기지국과 상기 이동 단말기에게 통보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및 제 2 기지국과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통보된 부가코드채널의 개수와 유지시간을 사용하여 부가코드채널을 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부가코드채널 운용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SCAP1과 SCAP2가 부가코드채널을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NUM_SUP0과 상기 DUR0및 제 1 및 2 기지국 채널자원의 가용상태 등을 기초로 하여, 할당할 부가코드채널의 개수(ASS_SUP1, ASS_SUP2)를 결정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부가코드채널 운용방법.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SCAP1과 SCAP2가 부가코드채널을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NUM_SUP0을 참조하여, 상기 NUM_SUP0이 ASS_SUP1또는 ASS_SUP2보다 작아지지 않도록 ASS_SUP1및 ASS_SUP2를 결정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부가코드채널 운용방법.
  26. 제 24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제어기가 부가코드채널의 개수(NUM_SUP)와 그 유지시간(DUR)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SCAP2가 통보한 ASS_SUP2이 상기 SCAP1이 통보한 ASS_SUP1보다 크면, ASS_SUP2-ASS_SUP1만큼의 부가코드채널을 해제하도록, 상기 SCAP2에게 요구하는 단계와;
    상기 ASS_SUP1을 ASS_SUP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NUM_SUP0와 상기 ASS_SUP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NUM_SUP0가 상기 ASS_SUP보다 크지 않으면, NUM_SUP는 NUM_SUP0와 같도록 설정하고, DUR는 DUR0와 같도록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NUM_SUP0가 상기 ASS_SUP보다 크면, NUM_SUP는 ASS_SUP와 같도록 설정하고, DUR은 (DUR0×NUM_SUP0) / ASS_SUP 와 같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부가코드채널 운용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코드채널을 운용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및 제 2 기지국과 상기 이동 단말기가 NUM_SUP개 만큼의 부가코드채널을 할당하고 할당된 부가코드채널 및 기본코드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와;
    부가코드채널을 할당한 이후 DUR 만큼의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 1 및 제 2 기지국과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할당된 부가코드채널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부가코드채널 운용방법.
KR1019990008441A 1999-03-13 1999-03-13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부가코드채널운용방법 KR100288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8441A KR100288364B1 (ko) 1999-03-13 1999-03-13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부가코드채널운용방법
US09/524,348 US6625137B1 (en) 1999-03-13 2000-03-13 Method for operating supplemental code channel for high speed data service in radio telecommunication system
AU22278/00A AU732986B2 (en) 1999-03-13 2000-03-14 Method for operating supplemental code channel for high-speed data service in radio tele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8441A KR100288364B1 (ko) 1999-03-13 1999-03-13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부가코드채널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0272A true KR20000060272A (ko) 2000-10-16
KR100288364B1 KR100288364B1 (ko) 2001-04-16

Family

ID=19576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8441A KR100288364B1 (ko) 1999-03-13 1999-03-13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부가코드채널운용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625137B1 (ko)
KR (1) KR100288364B1 (ko)
AU (1) AU732986B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8972A (ko) * 1999-10-28 2001-05-15 박종섭 이동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트래픽 패킷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81196B2 (ja) * 2001-06-27 2007-02-14 富士通株式会社 無線基地局装置
KR100464356B1 (ko) * 2002-09-16 2005-01-03 로얄정보기술 주식회사 도로의 결빙방지용 융빙액 분사장치
US20050020273A1 (en) * 2003-07-24 2005-01-27 Nortel Networks Limited Adaptive dual-mode reverse link scheduling method for wireless telecommunications networks
US7486953B2 (en) * 2003-11-26 2009-02-03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oft handover
US7643449B2 (en) * 2005-01-18 2010-01-05 Airwalk Communications, Inc. Combined base transceiver station and base station controller data call and quality of service
US20070047489A1 (en) * 2005-08-26 2007-03-01 Bachl Rainer W Handoffs in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incorporating voice over IP using shared supplemental spreading codes
US8005059B2 (en) * 2005-08-26 2011-08-23 Alcatel Lucent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incorporating voice over IP using shared supplemental spreading cod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3007B1 (en) * 1997-01-15 2001-01-09 Qualcomm Inc. High-data-rate supplemental channel for CDMA telecommunications system
US5987326A (en) * 1997-02-11 1999-11-16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t power reduction for a high speed CDMA link in soft handoff
US6144651A (en) * 1998-07-17 2000-11-07 Motorola, Inc. Data transmission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8972A (ko) * 1999-10-28 2001-05-15 박종섭 이동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트래픽 패킷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8364B1 (ko) 2001-04-16
AU732986B2 (en) 2001-05-03
US6625137B1 (en) 2003-09-23
AU2227800A (en) 2000-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43887B2 (ja) 移動無線システムにおいて接続を設置する方法
KR100424912B1 (ko) 시분할다중억세스(tdma)이동통신시스템내에서의데이터전송방법
JP4376515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
RU2286649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ффективн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коммуникационных ресурсов в системе обмена данными в условиях перегрузки
JP4040975B2 (ja) セッション開始プロトコルによる、マルチメディア呼を可能に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0425108B1 (ko) Cdma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자원 할당 방법
KR100387040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100547793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역방향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KR101053804B1 (ko) 무선 전화 네트워크에서 방송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위하여 공유채널과 개별채널 사이를 스위칭하는 방법 및장치
RU2212109C2 (ru) Освобождение в физических каналах в общем пакетном радиообслуживании
JP3532216B2 (ja) 高速データ送信におけるインターmscハンドオーバ
KR100606016B1 (ko)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양방향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JPH114236A (ja) パケットデータ送信をスケジューリングする方法
KR10043777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JP2009510831A (ja) チャネル確立遅延を低減するための半活性状態
EP0992121A1 (en) Asymmetric channel allocation for a mobile station in a cdma communication network
KR20010047880A (ko)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부가채널 해제 방법
KR100288364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부가코드채널운용방법
JP5055599B2 (ja) 第1周波数でサービスを確立する方法およびデバイス
KR100370041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동시 서비스 방법
KR100256693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국 사용자의 전용 신호 채널 공용 방법
KR100364788B1 (ko) Cdma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동시 서비스 방법
KR20040017864A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자원 할당 방법
KR20040028294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웃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호 셋업방법
KR20020028690A (ko) Atm 기반으로 하는 cdma 이동 통신의 핸드오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