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8604A - 내화성 건축용지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내화성 건축용지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8604A
KR20000058604A KR1020000033595A KR20000033595A KR20000058604A KR 20000058604 A KR20000058604 A KR 20000058604A KR 1020000033595 A KR1020000033595 A KR 1020000033595A KR 20000033595 A KR20000033595 A KR 20000033595A KR 20000058604 A KR20000058604 A KR 20000058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er
bulk material
ceramic bulk
pulp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3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경숙
Original Assignee
한경숙
라이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20000002901U external-priority patent/KR200195709Y1/ko
Application filed by 한경숙, 라이델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경숙
Priority to KR1020000033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58604A/ko
Publication of KR20000058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8604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63Inorganic compounds
    • D21H17/67Water-insoluble compounds, e.g. fillers, pigm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 D21H27/20Flexible structures being applied by the user, e.g. wall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 D21H27/32Multi-ply with materials applied between the sheets
    • D21H27/34Continuous materials, e.g. filaments, sheets, ne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화성 건축용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내화성 건축용지는, 세라믹 벌크재(일명, 돌솜)와, 상기 세라믹 벌크재와 혼합되는 펄프재 및 상기 세라믹 벌크재와 상기 펄프재를 결합시키는 바인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본 발명의 내화성 건축용지의 제조방법은, 세라믹 벌크재와 펄프재 및 바인더를 준비하고, 수중에서 섞어 비팅하며, 소정 시간동안 숙성시키고, 판상으로 압착시키며, 건조시키고, 절단한 다음 포장하는 단계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내열 특히 내화성이 강화되어 발화나 인화로 인한 재산 및 인명의 피해를 사전 예방할 수 있으며, 내화성 건축용지 자체에 미세한 기공이 다수 포함되어 방음, 결로 방지를 통한 방습 및 단열의 효과도 만족시킬 수 있어 건축 내외장용으로 범용화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와 더불어 최종 제품에는 일정한 탄력성이 내재되어 있어 충격 흡수용재로도 사용될 수도 있다.

Description

내화성 건축용지 및 이의 제조방법{Fre-resistive building pap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내화성 건축용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세라믹 벌크재와 펄프재가 바인더에 의해 조직간 결합이 발생하면서 다공성 섬유 결합구조로 제조된 내화성 건축용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내열 또는 내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판되는 대부분의 종이재는 통상 방염처리를 선행하였다. 그러나, 방염처리된 종이라 해도, 이들을 내열 특히 내화용으로 이용하기에는 일정한 효능상의 한계가 있다. 즉, 종래의 방염처리된 종이의 주성분이 펄프나 섬유재가 주재료로 이용됨으로써, 방염처리를 한다해도, 이들 재질이 갖고 있는 인화성에 기인하여 내열 특히 내화의 목적 달성은 용이하지 않았다.
이러한, 건축물의 내외장재로 이용되는 내화용 종이 제품, 예컨대 벽지 등의 필요성은 일반 가정, 각종 업소 및 공장 등에서 인화로 인해 피해 발생을 최소화하거나, 인화를 방지하는 즉 소방용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종래에 알려진 내화성 건축용지 등으로서는 충분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전술한 기술적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내화성이 강화된 건축 내외장재로 범용될 수 있는 종이 제품인 내화성 건축용지를 개발하고자 하는 부단한 노력에 의해 안출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건축 내외장재로 이용되는 인화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에 있으며, 이러한 기술적 과제 달성을 위해 내화성 건축용지 및 이의 제공방법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판상구조의 내화성 건축용지(10) 일부(15)에 대한 상세 확대부(20)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상구조의 내화성 건축용지(10)의 상부면에 판지(25)가 덧대어져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내화성 건축용지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설명〉〉
10 : 내화성 건축용지
20 : 상세 확대부
25 : 내화성 건축용지(10)의 상부면에 덧댄 판지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내화성 건축용지는, 세라믹 벌크재(일명, 돌솜)와; 상기 세라믹 벌크재와 혼합되는 펄프재; 및 상기 세라믹 벌크재와 상기 펄프재를 결합시키는 바인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미세한 기공이 형성되도록 세라믹 벌크재(일명, 돌솜)의 섬유성 추출물과 펄프의 섬유성 추출물이 서로 얼키 설키 얽혀지고, 형상이 유지되도록 바인더에 의해 서로 고정되며, 판상으로 압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건축용지는 일면 또는 양면에 지류를 덧대어 복층형으로 합지되어 벽지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내화성 건축용지의 제조방법은, 세라믹 벌크재와 펄프재 및 바인더를 준비하는 단계와; 준비된 상기 세라믹 벌크재와 펄프재 및 바인더를 수중에서 섞고, 비팅(beating)하는 단계와; 비팅된 상기 세라믹 벌크재와 펄프재 및 바인더를 소정 시간동안 숙성시키는 단계와; 숙성된 상기 세라믹 벌크재와 펄프재 및 바인더를 판상으로 압착시키는 단계; 및 압착된 상기 세라믹 벌크재와 펄프재 및 바인더를 건조시키고, 절단한 다음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세라믹 벌크재와 펄프재 및 바인더를 준비하는 단계에서, 상기 펄프재는 전체의 3 중량% 이하이고, 상기 바인더는 전체의 5 중량% 미만인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고,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않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판상구조의 내화성 건축용지(10) 일부(15)에 대한 상세 확대부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상기 상세 확대부(20)에서 세라믹 벌크재(통상 "돌솜"이라고도 하므로, 이들에 대해서는 이하 섬유성 추출물이라고도 한다)로부터 추출된 추출물 조직(17)과 펄프 조직(18)이 얼키 설키 얽혀져 있으며, 바인더에 의해 이들 간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펄프 조직(18)은 상기 추출물 조직(17)은 그 결합성이 약하기 때문에 이를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투입된 것으로서, 소량이라 할지라도 반드시 상기 펄프 조직(18)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 본발명에 따른 내화성 건축용지를 제조에는 필요불가결한 성분이다. 그러나, 만일 상기 펄프 조직(18)이 기능하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내화성 건축 용재의 인장력 강화를 위한 다른 당업자가 이용할 수 있는 소재로 대체할 수 있는 것 또한 본 발명의 균등영역에 속함은 당연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내화성 건축용지는 섬유성분의 결합이 치밀하지 아니하고 다수의 미세 기공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 기공은 표면에까지 연결되어 있어 매끈한 표면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중의 수분가 이슬이 맺히는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된 주재료인 세라믹 벌크재로부터 추출된 섬유성 추출물은 인화 내지 발화성 물질이 아니므로, 내화용으로 적극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전달에 친하지 않으므로, 단열재로 활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부 조직이 치밀하게 결합되지 않는 것이 오히려 미세기공의 존재를 발현시키면서, 이로 인해 소정의 탄력성이 내재되므로, 방음 작용은 물론 충격 흡수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전술한 내화성 건축용지, 특히 판상 구조를 갖는 내화성 건축용지를 제조하는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세라믹 벌크재, 펄프재 및 바인더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준비하는데(S1), 상기 펄프재는 전체 조성물의 3중량% 이하로 포함시키며, 바람직하게는 2중량%가 포함되도록 하고, 상기 바인더는 유기 또는 무기 바인더를 단독 또는 양바인더를 혼합한 형태로 5중량% 미만이 포함되도록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중량%의 유기 및 무기 바인더, 예를들어 알루미나졸과 라텍스를 사용한다.
상기 준비된 조성물을 물속에서 섞은 후에 절단 작업과 연마작업을 병행하는데(S2), 이 작업을 비팅(beating)이라 한다. 상기 비팅 작업을 물속에서 진행한 이유는 공기 중에서 진행하게 되면 먼지 등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 우선적인 목적이지만, 부차적으로는 상기 세라믹 벌크재와 펄프재로부터 추출된 섬유 조직의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도 있다.
이어서, 체스터라 불리는 장치 내에서 상기 비팅작업이 완료된 조성물을 서서히 교반시키면서(agitating) 조성물 내의 섬유 조직을 숙성(aging)시키는 단계(S3)를 진행한다. 이때, 상기 교반 및 숙성은 조성물 내의 비중이 큰 성분들, 예를 들어 세라믹 가루이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4 내지 5시간 장시간 진행시킨다. 필요에 따라서는 체스터를 병렬로 배치시켜 반복되는 작업을 진행시킬 수도 있다. 한편, 이때, 상기 교반 및 숙성 작업을 진행하면서 필요한 경우에는 유기바인더를 더 투입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충분히 숙성된 조성물 내의 섬유재는, 펄프로부터 기인한 인장력과 바인더에 기인한 접착력으로 인해 섬유재 자체 조직 간의 불규칙하지만, 결합력이 강화된 섬유재로 변형된다. 이러한 섬유재를 소정 각도로 경사를 갖는 판상 구조를 구비한 뮬러(muler)에 투입하여 판상형의 섬유재를 얻을 수 있다. 아직, 상기 판상형의 섬유재에는 상당량의 수분을 비롯한 각종 조성물의 유체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상기 판상형 섬유재를 배트(VAT)라는 장치에서 스크린 메쉬(screen mesh)의 상부를 통과시키면서 롤러로 압착하여 줌으로써 탈수 또는 탈액 공정을 진행한다(S4). 이때, 롤러 구동 속도나 롤러의 압착도를 조절함으로써 판상형 섬유재의 두께를 조절할 수도 있다.
탈수된 판상형 섬유재를 배트(VAT) 상부의 스테인레스 메쉬(sus-mesh) 또는 나이론 메쉬 상부에 안착시킨 후 고온 건조시키는데, 바람직하게는 180 내지 400℃ 정도의 온도로 건조시키는 것이 좋으며, 이러한 건조 온도는 최종 제품에 따라 다양하게 조정될 수 있다. 이어서, 고온 건조된 판상형 섬유재는 그 크기가 천차만별일 수 있으므로, 제품 및 포장을 위해 일정 규격을 갖는 크기로 자른 후에 이를 두루마리 형태로 말아 포장하면 단일층 구조의 내화성 건축용지로 이용될 본 발명에 따른 완제품이 제조된다(S5).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판상구조의 내화성 건축용지(10)의 상부면에 덧판지(25)가 덧대어져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과 같은 단일층으로 이루어진 내화성 건축용지(10)는 직접 건축용지, 예컨대 내화용, 방음용, 방습용, 단열용 등의 다양한 목적의 건축 내외장용 벽지 등으로 활용될 수도 있으나, 상기 내화성 건축용지(10)의 일면에 종래에 알려져 있는 다양한 종류의 종이, 벽지, 포장지 등의 덧판지(25) 가 덧대어지면, 덧판지(25)의 다양한 용도로의 가공을 통하여 건축 내외장재로의 수요를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단일층 구조는 물론, 상기 도 2에서와 같이 단면이 합지된 이중층 구조로 이용될 수도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서는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판상형 내화성 건축용지(10)의 양면을 모두 판지가 덧대어져 있는 양면이 합지된 이중층 구조로도 이용될 수도 있다.
상기 단일층 내화성 건축용지를 제조하는 일련의 과정을 동등하게 채용하여 두루마리 형태로 제조한 후, 이를 통상의 벽지 제조 공정에서 이겹지 이상의 벽지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사용되는 벽지의 합지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제조된 두루마리 내화성 건축용지와 일반 판지, 특히 두리마리형 판지를 상호 풀어가면서 대응면에 접착수단을 발라 롤러 압착을 통해 합지하는 방법에 의해 이층형 내화성 건축용지 및 복수층의 내화성 건축용지를 제조할 수도 있다. 특히, 양부재를 합지한 후, 150 내지 250℃의 온도범위에서, 바람직하게는 180℃의 온도에서 콘베이어 상부에 장착한 후, 이동시키면서 건조시킨 후, 실제 수요를 고려하여 적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합지된 상태의 내화성 건축용지, 특히 벽지를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복층 구조를 갖는 합지된 내화성 건축용지는 상기 도 1과 관련된 설명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장점을 모두 보유할 수 있으므로 그 활용성은 특히 주목할만 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열 특히 내화성이 강화되어 발화나 인화로 인한 재산 및 인명의 피해를 사전 예방할 수 있으며, 내화성 건축용지 자체에 미세한 기공이 다수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방음, 결로 방지를 통한 방습 및 단열의 효과도 만족시킬 수 있어 건축 내외장용으로 범용화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와 더불어 최종 제품에는 일정한 탄력성이 내재되어 있어 소음 방지 및 충격 흡수용재로도 사용될 수도 있다.

Claims (5)

  1. 세라믹 벌크재(일명, 돌솜);
    상기 세라믹 벌크재와 혼합되는 펄프재; 및
    상기 세라믹 벌크재와 상기 펄프재를 결합시키는 바인더;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성 건축용지.
  2. 제 1항에 있어서,
    미세한 기공이 형성되도록 세라믹 벌크재의 섬유성 추출물과 펄프의 섬유성 추출물이 서로 얼키 설키 얽혀지고, 형상이 유지되도록 바인더에 의해 서로 고정되며, 판상으로 압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성 건축용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의 건축용지의 일면 또는 양면에 지류를 덧대어 복층형으로 합지되어 벽지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성 건축용지.
  4. 세라믹 벌크재와 펄프재 및 바인더를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상기 세라믹 벌크재와 펄프재 및 바인더를 수중에서 섞고, 비팅(beating)하는 단계;
    비팅된 상기 세라믹 벌크재와 펄프재 및 바인더를 소정 시간동안 숙성시키는 단계;
    숙성된 상기 세라믹 벌크재와 펄프재 및 바인더를 판상으로 압착시키는 단계; 및
    압착된 상기 세라믹 벌크재와 펄프재 및 바인더를 건조시키고, 절단한 다음 포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성 건축용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벌크재와 펄프재 및 바인더를 준비하는 단계에서, 상기 펄프재는 전체의 3 중량% 이하이고, 상기 바인더는 전체의 5 중량%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성 건축용지.
KR1020000033595A 2000-02-02 2000-06-19 내화성 건축용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000586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3595A KR20000058604A (ko) 2000-02-02 2000-06-19 내화성 건축용지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901U KR200195709Y1 (ko) 2000-02-02 2000-02-02 내화성 건축용지
KR2020000002901 2000-02-22
KR1020000033595A KR20000058604A (ko) 2000-02-02 2000-06-19 내화성 건축용지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8604A true KR20000058604A (ko) 2000-10-05

Family

ID=26636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3595A KR20000058604A (ko) 2000-02-02 2000-06-19 내화성 건축용지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58604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7870A (ko) * 1986-12-16 1988-08-29 주재근 세라믹 섬유에 유기 및 무기화합물의 접착제를 첨가하여 수초지한 세라닉 종이의 제조 방법
KR890013257A (ko) * 1988-02-17 1989-09-22 원본미기재 단열재를 구성하는 비직조성직물, 그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900003481A (ko) * 1988-08-31 1990-03-26 오요환 종이 표면에 세라믹 피막층 형성 방법
KR910006187A (ko) * 1989-09-30 1991-04-27 박가경 무기질 섬유를 이용한 세라믹 페이퍼의 제조방법
KR950033363U (ko) * 1994-05-25 1995-12-16 유철근 세라믹층을 갖는 천 벽지
JPH11209185A (ja) * 1998-01-20 1999-08-03 Noritake Co Ltd 多孔質繊維を用いたセラミック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7870A (ko) * 1986-12-16 1988-08-29 주재근 세라믹 섬유에 유기 및 무기화합물의 접착제를 첨가하여 수초지한 세라닉 종이의 제조 방법
KR890013257A (ko) * 1988-02-17 1989-09-22 원본미기재 단열재를 구성하는 비직조성직물, 그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900003481A (ko) * 1988-08-31 1990-03-26 오요환 종이 표면에 세라믹 피막층 형성 방법
KR910006187A (ko) * 1989-09-30 1991-04-27 박가경 무기질 섬유를 이용한 세라믹 페이퍼의 제조방법
KR950033363U (ko) * 1994-05-25 1995-12-16 유철근 세라믹층을 갖는 천 벽지
JPH11209185A (ja) * 1998-01-20 1999-08-03 Noritake Co Ltd 多孔質繊維を用いたセラミック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868003B (zh) 石膏面板、方法和系统
US5277955A (en) Insulation assembly
US7829488B2 (en) Non-woven glass fiber mat faced gypsum board and process of manufacture
DK2614184T3 (en) Method of forming a fireproof cellulose product and associated device
EP3353132B1 (en) Acoustical ceiling tile
JPH0139986B2 (ko)
JPH04244840A (ja) 軽量建築材厚板
US7399510B2 (en) Mineral fibre-based sandwich structur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TR201809297T4 (tr) Cam elyaf ile geliştirilmiş mineral yün esaslı akustik levha.
AU2018316196A1 (en) High noise reduction coefficient, low density acoustical tiles
KR200195709Y1 (ko) 내화성 건축용지
KR20000058604A (ko) 내화성 건축용지 및 이의 제조방법
USRE34020E (en) Fibrous composite materials and the production and use thereof
JP4105784B2 (ja) 吸音板及びその製造方法
EP1893404B1 (en) Fire protection element,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reof and use thereof
JP4468760B2 (ja) 無機質抄造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573335B1 (ko) 흡음단열 패널
JP3979700B2 (ja) 吸遮音吸放湿性板材
JP3485730B2 (ja) 吸放湿ボー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048630A5 (ko)
JP2670003B2 (ja) 無機質板状体
JP3955665B2 (ja) 無機質板の製造方法
JP3213947B2 (ja) 遮蔽板
KR20040100120A (ko) 단열, 내화 샌드위치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61707A (ko) 레이온 단섬유를 이용한 난연 레이온 단섬유 적층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