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6826A - 주방용기의 손잡이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주방용기의 손잡이 결합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56826A KR20000056826A KR1019990006522A KR19990006522A KR20000056826A KR 20000056826 A KR20000056826 A KR 20000056826A KR 1019990006522 A KR1019990006522 A KR 1019990006522A KR 19990006522 A KR19990006522 A KR 19990006522A KR 20000056826 A KR20000056826 A KR 2000005682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dle
- hole
- rivet
- outer diameter
- cylind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2—Bowl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벳과 고정볼트의 결합으로 인하여 손잡이가 통체에 밀착고정되게 구성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음은 물론 손잡이와 통체가 결합되는 부분이 일정기간이 경과되거나 무리한 힘이 가해져도 균열에 의하여 손잡이가 통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주방용기의 손잡이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내측에 소정의 수용공간(50)이 형성되고, 외주면 일측에 관통공(54)이 형성되며, 상단이 외측으로 다단으로 절곡된 통체(52)와, 상기 몸체(62)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54)의 내경보다는 큰 외경을 갖는 헤드부(60) 및 통체(52)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54)의 내경과 같은 외경을 갖는 몸체(62)로 이루어지며, 이 몸체(62)의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나사공(66)이 형성된 리벳(64)과, 일측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상기 리벳(64)의 몸체(62) 외경보다는 크게 형성된 제 1가이드공(70) 및 리벳(64)의 몸체(62) 외경보다는 작게 형성된 제 2가이드공(72)이 형성된 손잡이(74)와, 상기 손잡이(74)의 일측 외경과 같은 내경을 가지며, 가압에 의하여 손잡이의 일측 외경에 밀착고정되는 핸들링(80)과, 상기 손잡이(74)의 제 2가이드공(72)을 통하여 리벳(64)의 나사공(66)에 결합되는 고정볼트(8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주방용기의 손잡이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리벳과 고정볼트의 결합으로 인하여 손잡이가 통체에 밀착고정되게 구성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음은 물론 손잡이와 통체가 결합되는 부분이 일정기간이 경과되거나 무리한 힘이 가해져도 균열에 의하여 손잡이가 통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주방용기의 손잡이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조리용기(예를 들면 냄비, 밥솥, 전열식프라이팬, 휴대용 조리용기등)의 통체 바닥면은 가스렌지등의 열원형태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지며, 통체의 바닥면이 열원형태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은 열원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용히하게 흡수하기 위한 것이다. 조리용기에는 통체의 수용공간을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하는 뚜껑이 구비되어지고, 이 뚜껑은 음식물의 익힘정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 뚜껑에는 음식물을 조리할 때 발생되는 증발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증발수증기배출공이 형성되어진다. 조리용기의 통체 외주면에 조리용기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장착되어지고, 이러한 손잡이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되어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주방용기의 손잡이가 통체에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주방용기의 손잡이가 통체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설명하면, 내측에 소정의 수용공간(10)을 갖는 통체(12)가 구비되어지고, 이 통체(12)의 상단은 외측으로 다단으로 절곡되어진다. 일측에 통체(12)의 외주면에 스폿용접되는 날개편(14)을 갖는 고정브라켓(16)이 구비되어지고, 이 고정브라켓(16)의 타측에는 나사공(18)이 형성되어진다. 일측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제 1가이드공(20) 및 제 2가이드공(22)이 형성되어진 손잡이(24)가 구비되어지고, 이 손잡이(24)는 열기가 잘 전도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제 1가이드공(20)의 내경은 고정브라켓(16)의 외경보다는 크게 형성되어지고, 제 2가이드공(22)의 내경은 고정브라켓(16)의 외경보다는 작게 형성되어진다. 손잡이(24)의 일측 외경과 같은 내경을 갖는 핸들링(26)이 구비되어지고, 이 핸들링(26)은 일정한 시간이 경과되어도 녹이 발생되지 않는 스테인레스등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손잡이(24)의 제 2가이드공(22)을 통하여 고정브라켓(16)의 나사공(18)에 결합되는 고정볼트(28)가 구비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손잡이가 통체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고정브라켓(16)의 일측에 형성된 날개편(14)을 통체(12)의 외주면에 대응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스폿용접을 이용하여 고정브라켓(16)의 날개편(14)을 통체(12)의 외주면에 고정시킨다. 스폿용접에 의하여 고정브라켓(16)의 날개편(14)이 통체(12)의 외주면에 고정되어지면, 핸들링(26)의 일측을 손잡이(24)의 일측에 대응되게 위치시킨다. 핸들링(26)의 일측이 손잡이(24)의 일측에 대응되게 위치되어지면, 핸들링(26)이 손잡이(24)의 일측 외주면에 결합되도록 핸들링(26)을 손잡이(24)의 일측으로 가압한다. 핸들링(26)의 내경과 손잡이(24)의 일측 외경이 같게 형성되어 있음으로 핸들링(26)을 손잡이(24)의 일측으로 가압하면, 핸들링(26)이 손잡이(24)의 일측 외경에 밀착고정된다. 이 핸들링(26)은 사용자에게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는 역활을 수행한다. 핸들링(26)이 손잡이(24)의 일측 외경에 밀착고정되면, 스폿용접에 의하여 통체(12)의 외주면 일측에 고정된 고정브라켓(16)이 손잡이(24)의 제 1가이드공(20)으로 삽입되도록 손잡이(24)를 통체(12)의 외주면에 밀착시킨다. 이때, 고정브라켓(16)의 나사공(18)과 손잡이(24)의 제 2가이드공(22)이 동일선상에 위치된 상태를 갖는다. 고정브라켓(16)의 나사공(18)과 제 2가이드공(22)이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손잡이(24)의 일측이 통체(12)의 외주면에 밀착되면, 고정볼트(28)의 자유단을 손잡이(24)의 제 2가이드공(22)에 삽입시킨다. 고정볼트(28)의 자유단이 손잡이(24)의 제 2가이드공(22)에 삽입되어지면,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고정볼트(28)를 소정의 토오크로 회전시킨다. 고정브라켓(16)의 타측에 나사공(18)이 형성되어 있음으로 고정볼트(28)를 소정의 토오크로 회전시키면, 나사공(18)과 고정볼트(28)의 결합으로 인하여 손잡이(24)가 통체(12)에 밀착고정된 상태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손잡이를 통체에 고정할 경우에는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먼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손잡이를 통체에 고정할 경우 손잡이가 통체에 고정되는 위치가 일정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즉, 통체의 외주면에 손잡이가 고정되는 부분이 표시되어 있지 않음으로 작업자의 눈대준으로 고정브라켓을 통체에 고정함으로 손잡이가 통체에 고정되는 위치가 일정치 않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손잡이를 통체에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브라켓을 통체에 고정한 상태에서 체결볼트를 이용하여 손잡이를 통체에 고정하여야 함으로 작업자가 손잡이를 통체에 고정하기가 매우 불편함은 물론 이에 따라 작업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요인이 되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손잡이를 통체에 고정할 경우 일정기간이 경과되거나 무리한 충격이 손잡이에 전달되면, 손잡이가 통체에서 이탈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일정기간이 경과되거나 외부에서 무리한 충격이 전달되면, 날개편과 통체가 스폿용접된 부분에 균열이 발생하여 날개편과 통체가 이격됨은 물론 심한 경우에는 손잡이가 통체에서 이탈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일정기간이 경과되거나 외부에서 심한 충격이 전달되면, 손잡이가 통체에서 이탈됨으로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요인이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의 따른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리벳과 고정볼트의 결합으로 인하여 손잡이가 통체에 밀착고정되게 구성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음은 물론 손잡이와 통체가 결합되는 부분이 일정기간이 경과되거나 무리한 힘이 가해져도 균열에 의하여 손잡이가 통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주방용기의 손잡이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주방용기의 손잡이가 통체에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 단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주방용기의 손잡이가 통체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기의 손잡이가 통체에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기의 손잡이가 통체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 수용공간 52 : 통체
54 : 관통공 60 : 헤드부
62 : 몸체 64 : 리벳
66 : 나사공 70 : 제 1가이드공
72 : 제 2가이드공 74 : 손잡이
80 : 핸들링 85 : 고정볼트
90 : 주방용기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측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외주면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단이 외측으로 다단으로 절곡된 통체와, 상기 몸체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의 내경보다는 큰 외경을 갖는 헤드부 및 통체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의 내경과 같은 외경을 갖는 몸체로 이루어지며, 이 몸체의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나사공이 형성된 리벳과, 일측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상기 리벳의 몸체 외경보다는 크게 형성된 제 1가이드공 및 리벳의 몸체 외경보다는 작게 형성된 제 2가이드공이 형성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일측 외경과 같은 내경을 가지며, 가압에 의하여 손잡이의 일측 외경에 밀착고정되는 핸들링과, 상기 손잡이의 제 2가이드공을 통하여 리벳의 나사공에 결합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의 손잡이 결합구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기의 손잡이 결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기의 손잡이가 통체에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기의 손잡이가 통체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설명하면, 내측에 소정의 수용공간(50)을 갖는 통체(52)가 구비되고, 이 통체(52)의 외주면 일측에는 관통공(54)이 형성된다. 통체(52)의 상단은 외측으로 다단으로 절곡된다. 헤드부(60)와 몸체(62)로 이루어진 리벳(Rivet)(64)이 구비되고, 이 리벳(64)의 몸체(62)에는 수평방향으로 나사공(66)이 형성된다. 리벳(64)의 헤드부(60)는 몸체(62)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54)의 내경보다는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리벳(64)의 몸체(62) 외경은 통체(52)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54)의 내경과 같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일측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제 1가이드공(70) 및 제 2가이드공(72)이 형성된 손잡이(74)가 구비되고, 이 손잡이(74)는 열기가 잘 전도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제 1가이드공(70)의 내경은 리벳(64)의 몸체(62) 외경보다는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제 2가이드공(72)의 내경은 리벳(64)의 몸체(62) 외경보다는 작게 형성되어짐이 바람직하다. 손잡이(74)의 일측 외경과 같은 내경을 갖는 핸들링(80)이 구비되고, 이 핸들링(80)은 일정한 시간이 경과되어도 녹이 발생되지 않는 스테인레스등의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손잡이(74)의 제 2가이드공(72)을 통하여 리벳(64)의 나사공(66)에 결합되는 고정볼트(85)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손잡이가 통체에 고정되는 상태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핸들링(80)의 일측을 손잡이(74)의 일측에 대응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핸들링(80)이 손잡이(74)의 일측 외주면에 결합되도록 핸들링(80)을 손잡이(74)의 일측으로 가압한다. 핸들링(80)의 내경과 손잡이(74)의 일측 외경이 같게 형성되어 있음으로 핸들링(80)을 손잡이(74)의 일측으로 가압하면, 핸들링(80)이 손잡이(74)의 일측 외경에 밀착고정된다. 이 핸들링(80)은 사용자에게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는 역활을 수행한다. 핸들링(80)이 손잡이(74)의 일측 외경에 밀착고정되면, 통체(52)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54)에 리벳(64)의 몸체(62)를 삽입한다. 이때, 리벳(64)의 몸체(62) 자유단은 관통공(54)을 통하여 통체(52)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갖는다. 몸체(62)의 자유단이 통체(52)의 관통공(54)을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면, 손잡이(74)의 제 1가이드공(70)이 리벳(64)의 나사공(66)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손잡이(74)를 통체(52)의 외주면에 밀착시킨다. 이때, 통체(52)의 관통공(54)을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된 리벳(64)의 몸체(62) 자유단이 손잡이(74)의 제 1가이드공(70)으로 삽입된 상태를 갖는다. 손잡이(74)의 제 1가이드공(70)이 리벳(64)의 나사공(66)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손잡이(74)가 통체(52)의 외주면에 밀착되면, 고정볼트(85)의 자유단을 손잡이(74)의 제 2가이드공(72)에 삽입시킨다. 고정볼트(85)의 자유단이 손잡이(74)의 제 2가이드공(72)에 삽입되면,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고정볼트(85)를 소정의 토오크로 회전시킨다. 고정볼트(85)가 소정의 토오크로 회전하게되면, 리벳(64)의 나사공(66)에 고정볼트(85)가 치합됨으로 손잡이(74)가 통체(52)의 외주면에 밀착고정되는 것이다.
리벳(64)의 나사공(66)과 고정볼트(85)의 치합으로 인하여 손잡이(74)가 통체(52)에 고정됨으로 작업자가 용이하게 손잡이(74)를 통체(52)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이며, 손잡이(74)가 스폿용접 작업을 거치지 않고 통체(52)에 고정됨으로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에 비하여 고정볼트(85)가 치합되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증가됨으로 일정기간이 경과되거나 외부에서 무리한 힘이 전달되어도 손잡이(74)가 통체(52)에서 이탈되지 않음은 물론 이에 따라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기의 손잡이 결합구조는 리벳과 고정볼트의 결합으로 인하여 손잡이가 통체에 밀착고정됨으로 작업자가 용이하게 손잡이를 통체에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이에 따라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으며 동시에 손잡이가 통체에서 이탈되는 것을 제한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 내측에 소정의 수용공간(50)이 형성되고, 외주면 일측에 관통공(54)이 형성되며, 상단이 외측으로 다단으로 절곡된 통체(52)와,상기 몸체(62)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54)의 내경보다는 큰 외경을 갖는 헤드부(60) 및 통체(52)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54)의 내경과 같은 외경을 갖는 몸체(62)로 이루어지며, 이 몸체(62)의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나사공(66)이 형성된 리벳(64)과,일측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상기 리벳(64)의 몸체(62) 외경보다는 크게 형성된 제 1가이드공(70) 및 리벳(64)의 몸체(62) 외경보다는 작게 형성된 제 2가이드공(72)이 형성된 손잡이(74)와,상기 손잡이(74)의 일측 외경과 같은 내경을 가지며, 가압에 의하여 손잡이의 일측 외경에 밀착고정되는 핸들링(80)과,상기 손잡이(74)의 제 2가이드공(72)을 통하여 리벳(64)의 나사공(66)에 결합되는 고정볼트(8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의 손잡이 결합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06522A KR20000056826A (ko) | 1999-02-26 | 1999-02-26 | 주방용기의 손잡이 결합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06522A KR20000056826A (ko) | 1999-02-26 | 1999-02-26 | 주방용기의 손잡이 결합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56826A true KR20000056826A (ko) | 2000-09-15 |
Family
ID=19575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06522A KR20000056826A (ko) | 1999-02-26 | 1999-02-26 | 주방용기의 손잡이 결합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00056826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07409A (ko) | 2020-07-10 | 2022-01-18 | 김정욱 | 조리용기 손잡이 및 그 결합방법 |
-
1999
- 1999-02-26 KR KR1019990006522A patent/KR2000005682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07409A (ko) | 2020-07-10 | 2022-01-18 | 김정욱 | 조리용기 손잡이 및 그 결합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031519A (en) | Heat insulating cooking vessel | |
US8167163B2 (en) | Cooking pot having a lid supported on the pot in an upright position | |
PT1146808E (pt) | Tensilio de cozinha com punho de pressao amovivel | |
US20040069154A1 (en) | Universal pan lid absorbing and filtering steam and smell | |
KR20000056826A (ko) | 주방용기의 손잡이 결합구조 | |
CN205286005U (zh) | 一种大容积压盖式压力锅 | |
US6552306B1 (en) | Wok | |
JP2012080995A (ja) | 調理容器用片手ハンドル | |
CN210408185U (zh) | 一种种焊连接手柄的炊具 | |
CN210300615U (zh) | 一种新型锅具 | |
US20110030670A1 (en) | Portable anti-scorching roasting can | |
KR101110038B1 (ko) | 조리용기용 뚜껑 | |
US2337120A (en) | Vessel | |
CN218186525U (zh) | 一种烹饪器具 | |
KR102592728B1 (ko) | 조리용기 손잡이 및 그 결합방법 | |
CN201767829U (zh) | 一种多功能锅铲 | |
CN211533873U (zh) | 一种炒锅 | |
RU2355282C2 (ru) | Устройство крепления рукоятки к элементу кухонной посуды | |
RU2278777C1 (ru) | Кухонно-столовый прибор с чехлом держателя | |
KR101518690B1 (ko) | 프라이팬 | |
KR200235616Y1 (ko) | 주방용 키친툴의 손잡이 취부구조 | |
KR101507285B1 (ko) | 프라이팬 | |
JP3107712U (ja) | 調理器具用柄 | |
CN220184835U (zh) | 一种便捷型侧开门拉手固定结构 | |
CN212879041U (zh) | 一种锅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