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5730A -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 Google Patents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5730A
KR20000055730A KR1019990004509A KR19990004509A KR20000055730A KR 20000055730 A KR20000055730 A KR 20000055730A KR 1019990004509 A KR1019990004509 A KR 1019990004509A KR 19990004509 A KR19990004509 A KR 19990004509A KR 20000055730 A KR20000055730 A KR 20000055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lectrodes
lens
deflection
quadrupole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4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호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04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55730A/ko
Publication of KR20000055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573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485Construction of the gun or of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488Schematic arrangements of the electrodes for beam forming; Place and form of the elec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58Arrangements for focusing or reflecting ray or beam
    • H01J29/62Electrostatic len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48Electron guns
    • H01J2229/4844Electron guns characterised by beam passing apertures or combinations
    • H01J2229/4848Aperture shape as viewed along beam axis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칼라 음극선관에 관련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극의 구조를 개선함에 따라 편향에 의해 변화하는 로워 다이나믹 렌즈를 추가로 형성하여 편향시 수평, 수직방향 전자빔의 물점이 변화되어 화면 주변부에서의 수평스폿의 확대현상과 수직스폿의 축소현상을 방지토록 한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전자빔을 방사하는 복수개의 음극과, 상기 전자빔의 방사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 및 가속전극으로 구성된 삼극부와,
상기 전자빔을 일정량 집속시키는 역할을 하며, 복수개의 전극으로 구성된 프리 포커스 렌즈부와,
상기 전자빔을 화면에 집속시키는 역할을 하며, 복수개의 전극으로 구성된 주렌즈부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주렌즈부 형성 전극중 음극측에 위치한 적어도 한 전극에는 정전압을 인가하며, 그 나머지 전극들중 적어도 한 전극에는 편향요크의 편향전류량에 동기하는 동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정전압이 인가되는 전극과, 동전압이 인가되는 전극의 상호 대향면에는 편향량의 증대에 따라 수평집속력은 약화되고, 수직집속력은 강화되는 제 1 사극자 렌즈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사극자 렌즈의 음극방향에는 편향의 변화에 따라 가변되며, 상기 제 1 사극자 렌즈와 반대의 렌즈 액션을 가지는 제 2 사극자 렌즈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프리 포커스 렌즈부에 프리 포커스 렌즈 역할과 함께 편향의 변화에 따라 가변되면서 상기 제 2 사극자 렌즈(L2)와 동일한 액션을 가지는 제 3 사극자 렌즈(L3)를 더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electron gun for color cathode ray tube}
본 발명은 칼라 음극선관에 관련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극의 구조를 개선함에 따라 편향에 의해 변화하는 로워 다이나믹 렌즈를 추가로 형성하여 편향시 수평, 수직방향 전자빔의 물점이 변화되어 화면 주변부에서의 수평스폿의 확대현상과 수직스폿의 축소현상을 방지토록 한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관한 것이다.
먼저, 칼라 음극선관을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칼라 음극선관의 전면(前面)을 향하는 패널(1)의 내면에는 적,녹,청색의 형광체가 도포되어 형광막(2)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패널(1)의 후방으로는 네크부(3a)에 전자총(4)이 봉입된 펀넬(3)이 융착되어 내부가 10-7Torr의 고 진공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1)의 내면에 도포된 형광막(2)과 근접된 부위에는 전자총(4)에서 발사된 전자빔(5)의 색선별 역할을 하는 새도우마스크(6)가 지지프레임(7)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펀넬(3)의 외주면에는 전자총(4)에서 방사된 전자빔을 수직 또는 수평으로 편향시키는 편향요크(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자총(4)의 뒷부분, 즉 네크부(3a)의 끝단에는 스템(9)이 외부로 노출되게 고정되어 있어, 상기 스템에 고정된 다수개의 스템핀(10)을 통해 전자총(4)의 각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게 된다.
한편, 도 2는 상기 펀넬(3)의 네크부(3a)에 봉입된 전자총, 특히 다이나믹 전자총을 도시한 것으로서, 각 전극들은 음극에서 발생된 전자빔이 일정한 세기로 제어되어 스크린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자빔이 통과하는 경로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자총(4)은 상호 독립된 3개의 음극(11)이 나란히 배열되어 있고, 상기 음극(11)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제 1, 2, 3, 4, 5, 6 전극(12)(13)(14)(15)(16)(17)이 인라인(in-line)형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컷오프(cut-off)전압을 같게 하기 위해 상기 음극(11)에는 각각 다른 전압을 인가하며, 음극(11)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는 제 1 전극(12)에 의해 전자빔이 제어되고, 가속전극인 제 2 전극(13)에 의해 전자빔이 가속되며, 가속된 전자빔은 주렌즈 형성전극인 제 5 전극(16)과 제 6 전극(17)과 새도우마스크(6)를 통과하여 형광막(2)과 충돌함에 따라 형광체를 발광시켜 화상이 재현된다.
이 때, 상기 제 5 전극(16)은 다이나믹 렌즈(dynamic lens)를 형성하기 위해 제 5-1 전극(16a)과 제 5-2 전극(16b)으로 2분할하고, 제 5-2 전극(16b)의 음극(11)을 향하는 면에는 도 3a에서와 같이 빔 통과공(16c)의 상하부에 위치하도록 수평전극(18)을 설치하며, 제 5-1 전극(16a)의 제 6 전극(17)를 향하는 면에는 빔 통과공(16c)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수직전극(19)을 설치하거나, 도 3b에서와 같이 제 5-1 전극(16a)과 제 5-2 전극(16b)의 상/하부와 좌/우측에 빔 통과공(16c)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가진 림(20)을 각각 형성하였다.
이 상태에서 제 5-2 전극(16b)의 수평전극(18) 또는 림(20)을 제 5-1 전극(16a)의 수직전극(19) 또는 림(20)에 삽입되도록 하고, 제 5-1 전극(16a)에는 일정한 포커스 전압(정전압)을 인가하며, 제 5-2 전극(16b)에는 편향력의 증가에 따라 포커스 전압이 증가하는 다이나믹 전압(동전압)을 인가하여 다이나믹 렌즈가 형성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상기의 다이나믹 전자총은 제 5-1 전극(16a)과 제 5-2 전극(16b)사이에 비대칭의 렌즈가 형성되며, 이 렌즈는 편향전류에 동기되는 다이나믹 전압에 의해 그 강도가 변하게 된다.
즉, 제 5-1 전극(16a)과 제 5-2 전극(16b) 사이에 형성되는 다이나믹 렌즈는 편향요크(8)의 편향력이 가장 크게 작용하는 화면의 코너부 편향시 가장 작은 비대칭 작용을 하게 된다.
한편, 다이나믹 렌즈를 구비하지 않은 이전의 인라인형 전자총은 셀프 컨버젼스(self-convergence) 편향요크의 비균일자계로 인해 화면 주변부에서의 수평스폿경과 수직스폿경의 과집속으로 할로(halo) 현상을 유발하므로써 화면 주변부에서 포커스 열화를 가져오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편향 비균일자계에 의한 수평방향(인라인 방향) 전자빔의 집속력 약화현상과, 수직방향(인라인 방향에 수직한 방향) 전자빔의 집속력 강화현상을 일컫는다.
이에 따라 다이나믹 렌즈를 구비한 전자총은 화면 주변부에서의 수직 집속력을 약화시켜 전(全)화면에서 우수한 포커싱이 구현되도록 하였다.
이와 아울러 다이나믹 전압이 제 5-2 전극(16b)에 인가되므로써 전자빔의 집속에 가장 큰 역할을 하는 주렌즈의 강도를 편향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어 화면 주변부로 편향됨에 따라 더 길어지는 초점거리를 주렌즈의 강도를 약화시키므로써 보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다이나믹 전자총은 전자빔이 화면 주변부로 편향될 때 발생하는 거리차이와 편향요크의 비대칭 자계로 인한 영향은 보상할 수는 있으나, 화면 주변부로 편향될 때 초점거리의 증가로 인해 발생하는 렌즈배율의 증가는 보상하지 못하여 화면 주변부에서 수평수폿이 정촛점을 이루지 못하고 횡장화 현상을 이루게 된다.
또한, 수직방향으로는 주렌즈 입사전 발산각이 증대됨에 따라 물점 사이즈가 감소되어 화면상에서 스폿이 감소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로인해 화면 주변부에서의 수평스폿 증가로 포커스 열화와 수직스폿이 감소되어 모아레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이나믹 전자총에서 해결하지 못한 화면 주변부에서의 수평스폿의 증대와 수직스폿의 축소현상을 보상하기 위한 기술로 도 4와 도 5에서와 같은 멀티 다이나믹 전자총이 개발되었다.
이 전자총은 사극자 렌즈중 로워(lower) 다이나믹 렌즈부에서 편향량의 증대에 따라 전자빔의 발산각중 수평은 크게 수직은 작게 하므로써 물점의 크기가 수평은 작게 수직은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이는 화면 주변부에서 수평 스폿경은 작게, 수직 스폿경은 크게 형성하므로써 수평 포커스의 개선 및 모아레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로워 다이나믹 렌즈를 형성하는 부위는 전자빔의 발산각을 크게 변화시켜 주어야 하므로 렌즈작용이 매우 큰 구조의 형성이 필수적이며, 전극을 돌출구조로 형성하여 렌즈의 강도를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전극의 설계시 구조 형성이 난이하고, 부품의 치수정도를 높이는데 문제가 있어 특성 산포(散布)의 증대를 초래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 3 전극(14)을 제 3-1 전극(14a)과 제 3-2 전극(14b)으로 2분할하고, 상호 대향하는 면에 종장형의 빔통과공과 횡장형의 빔통과공을 각각 형성한 구조도 적용하고 있으나, 이 역시 렌즈의 강도를 높이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스크린 주변부에서의 스폿 열화와 모아레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자빔을 방사하는 복수개의 음극과, 상기 전자빔의 방사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 및 가속전극으로 구성된 삼극부와,
상기 전자빔을 일정량 집속시키는 역할을 하며, 복수개의 전극으로 구성된 프리 포커스 렌즈부와,
상기 전자빔을 화면에 집속시키는 역할을 하며, 복수개의 전극으로 구성된 주렌즈부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주렌즈부 형성 전극중 음극측에 위치한 적어도 한 전극에는 정전압을 인가하며, 그 나머지 전극들중 적어도 한 전극에는 편향요크의 편향전류량에 동기하는 동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정전압이 인가되는 전극과, 동전압이 인가되는 전극의 상호 대향면에는 편향량의 증대에 따라 수평집속력은 약화되고, 수직집속력은 강화되는 제 1 사극자 렌즈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사극자 렌즈의 음극방향에는 편향의 변화에 따라 가변되며, 상기 제 1 사극자 렌즈와 반대의 렌즈 액션을 가지는 제 2 사극자 렌즈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프리 포커스 렌즈부에 프리 포커스 렌즈 역할과 함께 편향의 변화에 따라 가변되면서 상기 제 2 사극자 렌즈와 동일한 액션을 가지는 제 3 사극자 렌즈를 더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칼라 음극선관의 종단면도
도 2는 종래 다이나믹 전자총의 종단면도
도 3a 내지 3b는 다이나믹 렌즈를 형성하기 위한 종래 전극의 여러 실시예
도 4는 종래 멀티-다이나믹 전자총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5는 종래 멀티-다이나믹 전자총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전자총의 일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전자총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6 : 제 5 전극 16a : 제 5-1 전극
16b : 제 5-2 전극 16c : 제 5-3 전극
L1 : 제 1 사극자 렌즈 L2 : 제 2 사극자 렌즈
L3 : 제 3 사극자 렌즈
도 6은 본 발명 전자총의 일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전자총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음극(11)과 양극 사이에 통전 방지를 위해 적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전극이 인라인 형으로 배열된 전자총에 있어서;
프리 포커스 렌즈부(pre-focus lens)에 프리 포커스 렌즈 역할과 함께 편향의 변화에 따라 가변되면서 상기 제 2 사극자 렌즈(L2)와 동일한 액션을 가지는 제 3 사극자 렌즈(L3)를 형성하기 위하여, 프리 포커스 렌즈 형성전극을 소정 개수로 분할하고, 분할된 전극에 정전압(일정한 전압) 및 동전압(다이나믹 전압)이 적절하게 인가되도록 한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전자총의 구성은 크게 두가지로 나뉘어진다.
먼저, 첫 번째 구성은 도 6에서와 같이 프리 포커스 렌즈를 형성하고 있는 제 3, 4, 5 전극(14)(15)(16)과, 주렌즈(main lens)를 형성하고 있는 제 5, 6 전극(16)(17)중 상기 제 3 전극(14)을 음극(11)측에 가까이 위치한 제 3-1 전극(14a)과, 양극측에 가까이 위치한 3-2 전극(14b)으로 2분할하고, 상기 제 3-2 전극(14b)의 양극(17) 방향면에 형성된 빔 통과공(14c)은 상하 방향으로 긴 종장형으로 형성하며, 제 4 전극(15)에 형성된 빔 통과공(15a)은 좌우방향으로 긴 횡장형으로 형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제 3-2 전극(14b)에는 편향전류량에 동조하는 동전압을 인가하며, 제 3-1 전극(14a)에는 일정한 정전압이 인가되도록 하였다.
이와 아울러 제 5 전극(16)은 음극(11)측에 가까이 위치한 제 5-1 전극(16a)과, 양극(17)측에 가까이 위치한 제 5-2 전극(16b)으로 2분할하고, 상기 제 5-2 전극(16b)에는 동전압을, 제 5-1 전극(16a)에는 정전압이 각각 인가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제 5-1 전극(16a)의 음극(11)과 대향하는 면에는 횡장형의 빔 통과공(16c)를 형성하였다.
이에 따라 제 5-1 전극(16a)과 제 5-2 전극(16b) 사이에는 편향력의 증대에 따라 수평집속력은 약화시키고, 수직집속력은 강화시키는 제 1 사극자 렌즈(L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3-1 전극(14a)와 제 3-2 전극(14b)사이에는 상기 제 1 사극자 렌즈(L2)와 반대의 액션(수평집속력은 강화하고, 수직집속력은 약화시키는)을 가지는 제 2 사극자 렌즈(L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3-2 전극(14b), 제 4 전극(15), 제 5-1 전극(16a)사이에는 상기 제 2 사극자 렌즈(L2)와 동일한 액션을 가지는 제 3 사극자 렌즈(L3)가 형성된다.
한편, 제 3 사극자 렌즈를 형성시키기 위한 다른 실시예는 도 7에서와 같이 제 5 전극(16)을 음극(11)으로부터 양극(17)을 향해 제 5-1 전극(16a)과 제 5-2 전극(16b)과 제 5-3 전극(16c)으로 3분할 하였다.
그리고, 상기 단일형으로 된 제 3 전극(14)의 양극(17)측에는 횡장형의 빔 통과공을 형성하고, 역시 단일형의 제 4 전극(15)에는 횡장형의 빔 통과공을 형성하며, 제 5-1 전극(16a)의 음극측에는 종장형의 빔 통과공을 형성하였다.
이와 아울러 상기 제 5-1 전극(16a)과 제 5-3 전극(16c)에는 편향 전류량에 동조하는 동전압을 인가하며, 제 3 전극(14)과 제 5-2 전극(16b)에는 일정한 정전압을 인가하였다.
이에 따라 제 5-2 전극(16b)과 제 5-3 전극(16c) 사이에는 제 1 사극자 렌즈(L1)이 형성되고, 제 5-1 전극(16a)과 제 5-2 전극(16b) 사이에는 제 2 사극자 렌즈(L2)가 형성되며, 제 3 전극(14), 제 4 전극(15), 제 5-1 전극(16a)사이에는 제 3 사극자 렌즈(L3)가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다이나믹 전자총에 있어서 화면 주변부에서 수평스폿이 확대되는 현상과, 수직스폿이 축소되는 현상으로 인한 수평방향 포커스 특성의 열화와 저전류역에서의 수직방향의 모아레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편향에 의해 변화하는 다이나믹 렌즈를 추가로 형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편향시 수평, 수직방향 전자빔의 물점이 변화되어 기존 다이나믹 전자총에서의 수평방향 스폿의 확대현상과 수직방향 스폿의 축소현상을 보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제 3-2 전극(14b)과, 제 4 전극(15)과, 제 5-1 전극(16a) 사이에 편향력의 증대에 따라 수평방향으로는 집속력이 약하고, 수직방향으로는 집속력이 강한 제 3 사극자 렌즈(L3)를 추가로 형성함에 따라 이와 동일한 액션을 가지는 제 3-1 전극(14a)과 제 3-2 전극(14b) 사이에 형성된 제 2 사극자 렌즈(L2)와 더해져 렌즈의 강도를 강화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일정한 전압이 인가되는 제 5-1 전극(16a)의 음극측 빔 통과공을 횡장화하고, 상기 제 2 전극(12)의 전압이 인가되는 제 4 전극(15)에도 횡장형의 빔 통과공을 형성하므로써 수평과 수직의 렌즈강도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된다.
한편, 도 7에서와 같이 제 3, 4 전극(14)(15)과 제 5-1 전극(16a) 사이에 편향력의 증대에 따라 수평방향으로는 집속력이 약하고, 수직방향으로는 집속력이 강한 제 3 사극자 렌즈(L3)를 추가로 형성하므로써 동일한 액션을 가지는 제 2 사극자 렌즈(L2)와 더해져 강력한 렌즈를 형성하게 된다.
특히, 일정한 전압이 인가되는 제 3 전극(14)의 양극측 빔 통과공을 횡장화하고, 제 2 전극 전압(12)이 인가되는 제 4 전극(15)에도 횡장형의 빔 통과공을 형성하므로써 수평과 수직으로의 렌즈강도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며, 다이나믹 전압이 인가되는 제 5-3 전극(16c)의 음극(11)측에 종장형의 빔 통과공을 형성하여, 제 4 전극(15)과 수평전극의 수평 집속력이 수직 집속력보다 강한 렌즈를 형성하게 되어 다이나믹 전압의 인가로 인해 편향량에 따라서 가변되는 렌즈가 형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장점 및 효과가 있다.
첫째, 편향에 의해 변화되는 로워 다이나믹 렌즈에 의해 수평방향 스폿확대 현상을 편향시 수평/수직방향 전자빔의 물점이 변화되어 수평방향 스폿의 확대현상과 수직방향 스폿의 축소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포커스 특성의 열화와 저전류역에서의 수직방향의 모아레를 방지할 수 있다.
둘째, 각 전극의 형상을 단순화 할 수 있으므로 전자총의 제작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전자빔을 방사하는 복수개의 음극과, 상기 전자빔의 방사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 및 가속전극으로 구성된 삼극부와,
    상기 전자빔을 일정량 집속시키는 역할을 하며, 복수개의 전극으로 구성된 프리 포커스 렌즈부와,
    상기 전자빔을 화면에 집속시키는 역할을 하며, 복수개의 전극으로 구성된 주렌즈부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주렌즈부 형성 전극중 음극측에 위치한 적어도 한 전극에는 정전압을 인가하며, 그 나머지 전극들중 적어도 한 전극에는 편향요크의 편향전류량에 동기하는 동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정전압이 인가되는 전극과, 동전압이 인가되는 전극의 상호 대향면에는 편향량의 증대에 따라 수평집속력은 약화되고, 수직집속력은 강화되는 제 1 사극자 렌즈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사극자 렌즈의 음극방향에는 편향의 변화에 따라 가변되며, 상기 제 1 사극자 렌즈와 반대의 렌즈 액션을 가지는 제 2 사극자 렌즈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프리 포커스 렌즈부에 프리 포커스 렌즈 역할과 함께 편향의 변화에 따라 가변되면서 상기 제 2 사극자 렌즈와 동일한 액션을 가지는 제 3 사극자 렌즈를 더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2. 제 1 항에 있어서,
    프리 포커스 렌즈부는 다수개의 전극중 제 3, 4, 5 전극에 형성하며,
    주렌즈부는 다수개의 전극중 제 5, 6 전극에 형성하고,
    상기 제 5 전극은 복수개의 전극으로 분할 구성하되, 그 중 적어도 한 전극에는 정전압을 인가하고, 나머지 전극들중 어느 한 전극에는 편향요크의 편향 전류량에 동기하는 동전압(다이나믹 전압)을 인가하며,
    상기 정전압과 동전압을 인가하는 전극의 상호 대향면에는 편향량의 증대에 따라 수평집속력은 약화되고, 수직집속력은 강화되는 제 1 사극자 렌즈를 형성하고,
    상기 프리 포커스 렌즈부가 형성되는 제 3 전극은 복수개의 전극으로 분할 구성하되, 제 3 전극의 분할된 전극사이에는 상기 제 1 사극자 렌즈와 반대의 액션을 가지는 제 2 사극자 렌즈를 형성하며,
    상기 프리 포커스 렌즈부가 형성되는 제 3 전극의 양극측 전극과, 제 4 전극과, 제 5 전극의 음극측 전극사이에 상기 제 2 사극자 렌즈와 동일한 렌즈 액션을 가지는 제 3 사극자 렌즈를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3. 제 2 항에 있어서,
    제 3 전극중 양극측에 위치한 전극의 양극을 향하는 면에 형성된 빔 통과공의 형상은 종장형이고,
    제 4 전극과 제 5 전극의 음극측에 위치한 전극의 음극을 향하는 면에 형성된 빔 통과공의 형상은 횡장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 5 전극을 3분할하여 그 중 어느 한 전극에는 정전압을 인가하고, 그 나머지 전극중 적어도 어느 한 전극에는 편향요크의 편향전류량에 동기하는 동전압을 인가하여, 프리 포커스 렌즈부가 형성되는 제 3 전극의 양극측 전극과, 제 4 전극과, 제 5 전극의 음극측 전극사이에 상기 제 2 사극자 렌즈와 동일한 액션을 가지는 제 3 사극자 렌즈가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5. 제 4 항에 있어서,
    제 3 전극중 양극측과 제 4 전극의 빔 통과공 형상은 횡장형이고, 제 5 전극중 음극측 전극의 빔 통과공 형상은 종장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19990004509A 1999-02-09 1999-02-09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000557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4509A KR20000055730A (ko) 1999-02-09 1999-02-09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4509A KR20000055730A (ko) 1999-02-09 1999-02-09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5730A true KR20000055730A (ko) 2000-09-15

Family

ID=19573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4509A KR20000055730A (ko) 1999-02-09 1999-02-09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5573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10986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40008156Y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334073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334072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223842B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00055730A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232156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337858B1 (ko) 칼라음극선관용전자총
KR100198589B1 (ko)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프리 포커스 렌즈부
US6744190B2 (en) Cathode ray tube with modified in-line electron gun
KR0179246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360828Y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451769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269395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751306B1 (ko)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396706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297697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0166906B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459220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869100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160128Y1 (ko) 4극자 주렌즈를 지닌 음극선관
KR100192343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319087B1 (ko) 칼라음극선관용전자총
KR100391372B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KR910007656Y1 (ko) 다단 집속형 전자총의 전극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