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5430A - 교환기 입출력계의 동적 시간 할당 방법 - Google Patents

교환기 입출력계의 동적 시간 할당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5430A
KR20000055430A KR1019990004042A KR19990004042A KR20000055430A KR 20000055430 A KR20000055430 A KR 20000055430A KR 1019990004042 A KR1019990004042 A KR 1019990004042A KR 19990004042 A KR19990004042 A KR 19990004042A KR 20000055430 A KR20000055430 A KR 20000055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work
task
works
reser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4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경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90004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55430A/ko
Publication of KR20000055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543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36Statistical metering, e.g. recording occasions when traffic exceeds capacity of trunks
    • H04M3/367Traffic or load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Abstract

본 발명은 교환기 입출력계의 동적 시간 할당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든 작업의 우선 순위가 수행 중의 작업에 의해 결정되고 해당 작업이 동적 할당으로 기억 용량에 의해 결정되도록 하도록 한 교환기 입출력계의 동적 시간 할당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작업에 대한 실행 예약 시간을 결정해 예약 항목에 등록하고 해당 예약 항목에 따라 해당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수행된 작업 자신을 상기 예약 항목에 재등록하거나 파기시키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예약 항목의 등록 순위가 상기 작업의 실행 순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르게는, 본 발명은 각 작업에 대한 시간표식을 작성하고 해당 각 작업이 해당 시간표식을 참조하여 현재 수행 시간 및 수행 예정 시간을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르게는, 본 발명은 각 작업의 점유 시간을 계산해 자신의 동작 환경을 감지하여 자신의 올바른 수행 속도를 측정하여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업이 길어지는 경우에 상기 작업을 스스로 종료 및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환기 입출력계의 동적 시간 할당 방법{Dynamic Time Assigning Method In Input Part And Output Part Of Switching System}
본 발명은 교환기 입출력계의 동적 시간 할당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든 작업의 우선 순위가 수행 중의 작업에 의해 결정되고 해당 작업이 동적 할당으로 기억 용량에 의해 결정되도록 하도록 한 교환기 입출력계의 동적 시간 할당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PU 등 기타 펌웨어(Firmware)로 동작하는 교환기 입출력계의 운영 체계에 대한 구조에 적용된 기술은 적은 공간과 작은 기억 용량으로 최대의 동작을 수행하여야 하고 신뢰성 또한 높아야 한다.
종래의 교환기 입출력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디바이스 제어기(Device Controller; 11-1 ~ 11-N)를 가지는 디바이스 제어부(10)와, 메인(Main) 제어부(20)와, 타이머부(30)로 이루어져 있는데, 해당 타이머부(30)에서 설정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순서의 작업을 수행한다.
이 때, 해당 지정된 순서의 작업이 일정 시간 간격보다 길어지는 경우에 수행되고 있는 작업을 강제로 중단하거나 진행 중의 작업을 종료한 다음에 다른 작업이 남아 있더라도 즉시 우선 순위가 높은 작업으로 인계한다. 그리고, 해당 남아 있는 다른 작업이 반드시 수행해야 하는 작업인 경우에는 다음 작업 순위에서 동급 중 우선 순위가 정해지고 수행되도록 한다.
즉, 종래의 교환기 입출력계는 다음과 같은 법칙에 의해 일정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순서의 작업을 반복하게 되는데, 해당 법칙은 하나의 작업이 최대 일정 시간 간격 이상 점유하지 않아야 되며, 작업 순위 그룹이 존재하게 되고 동급 그룹 간의 우선 순위는 배제할 수 있으며, 작업 순위 그룹이 기본적으로 반드시 수행하여야 하는 그룹과 반드시 수행하지 않아도 되는 그룹으로 나누어질 수 있고 통상적으로 세 단계의 그룹을 형성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해당 작업은 내부 소자의 제어 또는 프로세서 간의 통신, 링크 및 라인 간의 통신을 말한다.
만약, 해당 지정된 순서의 작업이 일정 시간을 넘어가는 경우, 반드시 수행하지 않아도 되는 작업인 경우에는 제거되어 다음에 수행되게 하며, 반드시 수행되어야 하는 작업인 경우에는 동급 그룹 안에서 수행 순서를 변경시킨 다음에 동급 그룹이 수행될 때에 우선 순위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최우선 순위 그룹의 작업은 항상 일정 시간 간격으로 수행되며, 이로 인해 수행되지 못하고 삭제되는 작업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만약 해당 수행되지 못하고 삭제되는 작업이 빈번히 발생하는 경우에 전체 동작이 원하는 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데, 이 때문에 어느 한순간 갑작스런 작업량의 증가로 인해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지정된 작업이 수행되지 않으며, 또한 해당 작업이 영원히 수행되지 않거나 또는 해당 작업이 계속해서 수행되어 다른 작업이 진행되지 않게 하여 전체 작업을 중지시키며, 다시 시작해야 하므로 장시간 운용이 되지 않게 되어 신뢰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어떤 작업이든 일정 시간을 넘기지 못하며 작업 보정을 위한 작업 시간 역시 필요하여 일정 시간보다 최대한 빠르게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며, 만약 작업 보정 시에 일정 시간을 넘기게 되었을 경우에 심각한 문제점을 초래하게 되는데, 즉 보정 없이 다음 작업에 들어감으로 영원히 수행되지 않는 작업이 생기거나 또는 영원히 수행되는 작업이 생기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교환기 입출력계에서 일정 시간을 정하는 것은 무의해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데, 연속된 입출력 정보량이 많아질수록 점유 시간은 길어지게 되거나 단발적인 입출력으로 인해 점유 시간이 극히 짧아지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입출력 부하가 커질수록 입력 또는 출력이 막히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모든 작업의 우선 순위가 수행 중의 작업에 의해 결정되고 해당 작업이 동적 할당으로 기억 용량에 의해 결정되도록 펌웨어의 제어로 입출력계를 처리하는 구조에 적당하도록 한 동적 시간 할당 운영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교환기 입출력계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환기 입출력계의 동적 시간 할당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디바이스 제어부 20 : 메인 제어부
30 : 타이머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작업에 대한 실행 예약 시간을 결정해 예약 항목에 등록하고 해당 예약 항목에 따라 해당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수행된 작업 자신을 상기 예약 항목에 재등록하거나 파기시키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예약 항목의 등록 순위가 상기 작업의 실행 순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르게는, 본 발명은 각 작업에 대한 시간표식을 작성하고 해당 각 작업이 해당 시간표식을 참조하여 현재 수행 시간 및 수행 예정 시간을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르게는, 본 발명은 각 작업의 점유 시간을 계산해 자신의 동작 환경을 감지하여 자신의 올바른 수행 속도를 측정하여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업이 길어지는 경우에 상기 작업을 스스로 종료 및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모든 작업의 우선 순위가 수행되는 작업이 결정하도록 하는데, 일정 시간 관리 작업은 다른 작업의 수행 여부에 관여하지 않고 시간표식만을 작성하고 각 수행되는 작업은 해당 시간표식을 참조하여 현재 수행 시간 및 수행 예정 시간을 결정한다. 여기서, 해당 시간표식은 실시간 타이머에 의해 원하는 시간 해상도를 얻을 수 있는데, 1(msec)의 해상도를 가지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1(msec)의 해상도에 대해서만 언급하였지만 이에 국한되어 있지 않고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는 점을 잘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이 고정된 양만큼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동적 할당으로 기억 용량에 의해 결정되어 순간적인 작업량 증가에도 대응 가능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환기 입출력계의 동적 시간 할당을 위한 구성은 종래의 도면인 도 1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환기 입출력계의 동적 시간 할당 방법을 도 2의 플로우챠트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교환기의 입출력계에서 임의의 작업이 얼마 후에 수행될 것인가를 결정하는데, 즉 해당 작업에 대한 실행 예약 시간을 결정하여 예약 항목에 등록하는 실행 예약 과정을 수행한 다음에(단계 S1) 해당 등록된 예약 항목의 순서에 따라 해당 작업의 실제 동작을 수행하고(단계 S2) 다시 해당 실행 예약 과정을 반복 수행하게 한다. 여기서, 해당 예약 항목의 등록 순위가 해당 작업의 실행 순위가 된다.
이 때, 상기 제2단계(S2)에서 상기 작업을 상기 실행 순위에 따라 수행한 후에 상기 제1단계(S1)를 수행할 때에 해당 수행된 작업은 자신의 실행 예약 시간을 상기 예약 항목에 다시 등록하거나 또는 파기시켜 수행을 금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술한 과정은 표준화된 시간표식을 지정하여 사용하므로 간단하게 계산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작업의 등록 시점에 대한 시간표식과 상기 작업의 예상되는 수행 시점에 대한 시간표식을 함께 저장하므로써 가능해진다.
즉, 상기 등록 시점의 시간표식과 예상 수행 시점의 시간표식을 함께 저장해 두며, 표준화된 시간표식을 지정하여 사용하는데, 상기 예상 수행 시점의 시간 표식과 등록 시점의 시간표식 간의 차와, 수행 예상 시간표식과 등록시 시간표식 간의 차를 비교함으로써 자신이 얼마나 지연되었는가 및 얼마의 정확도로 동작하는가를 알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각 작업들은 각자의 점유 시간을 계산하여 자신의 동작 환경, 예를 들어 평균 얼마 정도의 수행 시간을 가지며 얼마 정도의 정확도로써 동작하는가를 감지하여 자신의 올바른 수행 속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만약 자신의 작업이 길어지는 경우, 기존의 경우에는 외부에서 강제로 종료를 시켰는데 반해, 본 발명에서는 스스로 작업을 종료 및 제어함으로써 각 작업 간의 정보 손실을 없애고 보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어떠한 경우에서든 등록된 작업은 반드시 수행되고 얼마나 작업 시간이 지났는지를 알 수 있으므로 시간 지연에 대한 대처 및 수정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갑작스런 작업량 증가에도 대응할 수 있으므로 장시간 운용 시에 신뢰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동적 시간 할당에 의해 작업 시간이 길어지는 작업에 대해서도 대응 및 운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실제 운용 시간이 예상보다 짧아지는 경우에도 지정된 운용 시간을 모두 사용한 후 종료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사용 시간만큼만 동작하고 종료하므로 다른 작업에 여유 시간을 공급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해 동작이 간단하고 각 작업 간 시간 간격이 줄어들어 실제 동작 시간의 점유가 많아져 성능이 향상되며, 시간이 실제 수행되는 시간으로 할당되므로 비주기적인 일이 수행되더라도 실제 성능에 크게 관여되지 않으며, 이로 인해 동일한 하드웨어를 사용하더라도 성능 증강 효과를 얻을 수 있는데 종래 8(msec)의 일정 시간 할당 구조의 종래 성능과 비교하면 최대 250(%)의 성능이 개선됨을 알 수 있으며, 지정된 작업은 시간이 경과되더라도 반드시 수행되므로 손실되는 작업이 없어 전체 작업을 다시 시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어져 신뢰성을 향상시키는데, 즉 호가 폭주되는 경우라 할지라도 작업을 올바르게 수행할 수 있다.

Claims (5)

  1. 작업에 대한 실행 예약 시간을 결정해 예약 항목에 등록하고 해당 예약 항목에 따라 해당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수행된 작업 자신을 상기 예약 항목에 재등록하거나 파기시키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 입출력계의 동적 시간 할당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항목의 등록 순위가 상기 작업의 실행 순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 입출력계의 동적 시간 할당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각 작업에 대한 시간표식을 작성하고 해당 각 작업이 해당 시간표식을 참조하여 현재 수행 시간 및 수행 예정 시간을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 입출력계의 동적 시간 할당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각 작업의 점유 시간을 계산해 자신의 동작 환경을 감지하여 자신의 올바른 수행 속도를 측정하여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 입출력계의 동적 시간 할당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이 길어지는 경우에 상기 작업을 스스로 종료 및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 입출력계의 동적 시간 할당 방법.
KR1019990004042A 1999-02-05 1999-02-05 교환기 입출력계의 동적 시간 할당 방법 KR200000554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4042A KR20000055430A (ko) 1999-02-05 1999-02-05 교환기 입출력계의 동적 시간 할당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4042A KR20000055430A (ko) 1999-02-05 1999-02-05 교환기 입출력계의 동적 시간 할당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5430A true KR20000055430A (ko) 2000-09-05

Family

ID=19573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4042A KR20000055430A (ko) 1999-02-05 1999-02-05 교환기 입출력계의 동적 시간 할당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55430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702531A (ko) * 1994-03-25 1997-05-13 티모시 가이 에드윈 리드베터 복수의 작업에 대한 복수의 자원 할당방법 및 장치(resource allocation)
KR19980086596A (ko) * 1997-05-22 1998-12-05 제프리 엘. 포맨 컴퓨터 자원에 대한 비례적인 사용 및 응답 시간의 스케쥴링
KR0162765B1 (ko) * 1995-12-15 1999-01-15 양승택 고속 중형 컴퓨터의 입출력 스케쥴러 구동방법 및 그 장치
KR100272092B1 (ko) * 1995-06-29 2000-12-01 윤종용 시간정보에 의한 우선순위 스케줄링 방법 및 그에 적합한 태스크 생성방법
KR100287136B1 (ko) * 1996-04-15 2001-04-16 윤종용 동적 재구성이 가능한 단일 프로세서 시스템의 스케쥴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702531A (ko) * 1994-03-25 1997-05-13 티모시 가이 에드윈 리드베터 복수의 작업에 대한 복수의 자원 할당방법 및 장치(resource allocation)
KR100272092B1 (ko) * 1995-06-29 2000-12-01 윤종용 시간정보에 의한 우선순위 스케줄링 방법 및 그에 적합한 태스크 생성방법
KR0162765B1 (ko) * 1995-12-15 1999-01-15 양승택 고속 중형 컴퓨터의 입출력 스케쥴러 구동방법 및 그 장치
KR100287136B1 (ko) * 1996-04-15 2001-04-16 윤종용 동적 재구성이 가능한 단일 프로세서 시스템의 스케쥴러
KR19980086596A (ko) * 1997-05-22 1998-12-05 제프리 엘. 포맨 컴퓨터 자원에 대한 비례적인 사용 및 응답 시간의 스케쥴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9876B2 (en) Distributed real-time operating system
US6687257B1 (en) Distributed real-time operating system providing dynamic guaranteed mixed priority scheduling for communications and processing
Spuri et al. Scheduling aperiodic tasks in dynamic priority systems
US6633942B1 (en) Distributed real-time operating system providing integrated interrupt management
JP5050601B2 (ja) ジョブへの資源割当方式、ジョブへの資源割当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50120104A1 (en) CPU usage regulation
US6473780B1 (en) Scheduling of direct memory access
JPH03209944A (ja) 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08234285A (ja) ジョブスケジューラ、ジョブスケジュール方法、及び、ジョブ制御プログラム
KR101553650B1 (ko) 멀티코어 시스템에서의 로드 밸런싱 장치 및 방법
Bilge et al. Multi-attribute responsive dispatching strategies for automated guided vehicles
US8555285B2 (en) Executing a general-purpose operating system as a task under the control of a real-time operating system
KR20000055430A (ko) 교환기 입출력계의 동적 시간 할당 방법
US20050160425A1 (en) Limitation of the response time of a software process
JP2002073354A (ja) タスク制御装置とタスク制御方法
JP2007503642A (ja) マイクロコントローラを支持し監視する回路装置及び方法
JP7355456B2 (ja) Cpuリソース管理装置
JPH0855091A (ja) 分散処理システムおよび分散処理システムにおける負荷分散方法
CN116151137B (zh) 一种仿真系统、方法及装置
Zhao et al. Overload management by imprecise computation
JP2021060923A (ja) 車両の制御装置
JP7455239B2 (ja) 数値制御システム、タスク割り当て変更装置及び数値制御方法
JPS638833A (ja) 資源割当て制御方式
JPH0319036A (ja) タイムスライスインターバルを使用したダイナミックディスパッチング方式
CN117591291A (zh) 一种任务处理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