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4764A - 의료카드를 이용한 처방정보 전달 및 조제의약 포장봉투자동출력시스템 - Google Patents

의료카드를 이용한 처방정보 전달 및 조제의약 포장봉투자동출력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4764A
KR20000054764A KR1020000034438A KR20000034438A KR20000054764A KR 20000054764 A KR20000054764 A KR 20000054764A KR 1020000034438 A KR1020000034438 A KR 1020000034438A KR 20000034438 A KR20000034438 A KR 20000034438A KR 20000054764 A KR20000054764 A KR 20000054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medical
prescription
information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4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인호
Original Assignee
조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인호 filed Critical 조인호
Priority to KR1020000034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54764A/ko
Publication of KR20000054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476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의사는 환자의 진료만을 수행하여 처방전만을 발행하고 약사는 의사의 처방전에 따라 조제 투약만을 수행하는 의약분업의 시행 시, 병원컴퓨터에 의해 작성된 진료환자의 의사 처방전 정보가 해당 환자의 의료카드를 통하여 간편하고 정확하게 약국컴퓨터에 전달되게 하고, 약국의 약사는 상기 약국컴퓨터를 통하여 출력되는 처방전에 따라 의약을 조제하여 환자에게 투약하도록 하고, 상기 약국컴퓨터에 접속된 프린터를 통하여는 처방전에 따른 조제의약의 복용법 안내, 투약일시, 복용대상자의 개인신상 기초정보, 조제의약품명, 처방의사명, 조제약국명칭 등이 인쇄된 조제의약 포장용 봉투가 직접 출력되도록 한 의료카드를 이용한 처방정보 전달 및 조제의약 포장봉투 자동출력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시스템은 환자 개인단위로 발급되며 처방전 등의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수단이 마련된 의료카드(20)와, 상기 의료카드에 기록된 내용을 출력시켜 당해 진료 환자의 과거 진료기록 및 투약기록을 조회하고 이를 참고로 한 현재의 진료결과에 따른 의사의 처방내용을 상기 의료카드에 기록하기 위한 병원컴퓨터(11) 및 카드데이터 리드/라이트기(12)로 구성되는 병원단말시스템(10)과, 상기 의료카드에 수록된 처방정보를 읽어들여 환자에 대한 의사의 처방정보를 약사에게 제시함으로써 약사가 의약을 조제할 수 있게 하고 이렇게 조제된 의약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봉투에 조제의약의 복용법 등의 중요정보가 자동으로 인쇄되어 출력되게 하기 위한 약국컴퓨터(31), 카드데이터 리드/라이트기(32) 및 상기 약국컴퓨터에 결합된 프린터(33)로 구성되는 약국단말시스템(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병원의 환자진료 및 그에 따른 처방전이 개인별 의료카드에 전자적 또는 자기적으로 수록되어 약사에게 전달되므로 해당 처방전에 따른 조제 및 투약이 신속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또한 그 진료 처방기록 및 그에 따른 투약정보를 상기 의료카드에 전부 저장 관리할 수 있게 되며, 조제의약의 복용법 등이 컴퓨터에 접속된 프린터에 의해서 상기 조제의약 포장용 봉투에 자동으로 인쇄되게 되므로, 병원 처방에 따른 약국에서의 조제-투약 서비스의 개선과 투약 업무의 효율화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의료카드를 이용한 처방정보 전달 및 조제의약 포장봉투 자동출력시스템{A transmitting system of Preparation data using medical card and packing envelope outputting system of a prescription}
본 발명은 의사는 환자의 진료만을 수행하여 처방전만을 발행하고 약사는 의사의 처방전에 따라 조제-투약만을 수행하는 의약분업 시스템 실행 시, 의사에 의한 환자의 진료처방 정보가 의료카드에 기록되어 신속하고 간편하게 약국의 약사에게 전달되게 함으로써 약사에 의한 조제-투약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진료 및 투약에 관련된 모든 의료정보를 데이터 베이스 화하여 개인별로 자동 관리하도록 하며, 약국의 약사에 의한 조제의약의 복용법 정보 등이 그 조제의약을 포장하기 위한 봉투에 직접 인쇄되어 출력되게 함으로써 약국의 투약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게 되는 의료카드를 이용한 처방정보전달 및 조제의약의 포장봉투 자동출력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약분업 시행과 맞물려서 의사는 의약품에 대해 처방전만을 발행하고 약사는 의약품에 대해 처방전에 따른 조제 및 투약을 하게 되었다. 이러한 의약분업 시행은 처방전 서류의 규격화 문제, 자료보관 문제, 처방전 전달에 따른 지리적 제한 및 시간적 제한 문제, 처방 내용의 정확한 전달 및 관리상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시급한 과제이다.
최근, 병원업무의 컴퓨팅 환경이 급속하게 발전하게 됨에 따라 의사는 자신이 진료할 환자의 과거 진료기록 및 투약처방기록에 관련된 의료정보를 어렵지 않게 확보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를 참고로 환자의 현재 질환상태 및 질환의 진행과정을 예측하여 해당환자를 정확하게 진료하고 그에 따른 투약처방을 지시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내방환자에 대한 과거의 진료 및 투약기록은 병원단위 또는 진료과목단위로 분산 관리되기 때문에 환자가 진료병원이나 진료과목을 달리할 경우에는 해당 진료환자의 과거의 질환이나 진료정보 또는 투약정보에 관련된 의료정보를 알 수가 없다.
이러한 의료정보의 분산은 각 병원과 약국에 흩어져있는 모든 개인별 진료정보 및 투약정보를 수집하여 하나의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 통합 데이터베이스는 환자개인별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필요시마다 의사와 약사가 손쉽게 열람해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위에서 설명한 개인별 의료정보의 수집 및 관리에는 많은 비용의 투입이 예상되고 또한 이러한 개인별 의료정보 공통 데이터베이스를 각 병원과 각 약국에서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그에 따른 병원과 약국의 단말 시스템의 구축까지도 필요로 한다. 특히 환자 개인별 공용데이터 베이스의 관리는 환자의 개인정보가 모든 의사나 약사에게 그대로 노출되는 결과를 가져와 환자의 프라이버시 침해문제도 일으킬 수 있다.
이와는 다른 문제로, 전통적인 종이 처방전을 기초로 약국에서 약제를 조제하게 되는 경우 조제된 약을 환자에게 투여할 때 그 복용방법에 대해 설명하게 되는데, 그 복용 법에 대해 구두로 설명하고 그치거나 조제의약을 포장하는 포장봉투의 여백 면에 볼펜 등을 이용하여 복용 법을 지시하게 된다.
그러나 조제약의 복용 법을 그 포장봉투에 기입하는 경우 봉투에 손상이 가거나 미감을 해치게 되므로 약제의 조제를 의뢰한 자는 좋은 느낌을 가지기 어렵다. 특히, 조제 약제의 포장봉투에 기입되는 문자나 숫자표시의 서체는 약사마다 모두 다를 수밖에 없는데, 좋은 글씨체를 가지고 있지 못한 약사가 조제약제의 포장봉투에 그 복용 법을 기재한다고 할 때, 의약 소비자는 약사의 태도를 불성실하다고 볼 수 있다. 즉, 의약 소비자를 기준으로 할 때 약국의 의약제 포장봉투의 상태는 그 약국의 질적 수준을 결정짓는 중요한 잣대가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의사는 환자의 진료만을 수행하여 처방전만을 발행하고 약사는 의사의 처방전에 따라 조제-투약만을 수행하는 의약분업의 시행 시, 병원컴퓨터 측에 의해 작성된 의사의 환자진료 처방전 정보는 의료카드를 이용하여 간편하고 정확하게 약국컴퓨터 측으로 전달되게 구성하고, 약사가 자신의 컴퓨터단말기에 나타난 처방정보에 따라 조제 및 투약을 실시하게 하고, 또한 상기 약국컴퓨터 측에 접속된 프린터를 통하여 조제의약의 복용정보 등이 그의 포장용 봉투에 직접 인쇄되어 출력되도록 한 의료카드를 이용한 처방정보 전달 및 조제의약 포장봉투 자동출력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처방의약의 전달 및 그 조제의약의 포장을 위한 포장봉투 자동출력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카드를 이용한 처방전 전달과정과 복용법 등의 각종 정보가 기록된 조제의약 포장봉투의 출력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a 내지 도3e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카드 적용을 위한 데이터 기록수단의 종류별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병원단말시스템 11 : 병원컴퓨터
12 : 카드데이터 리드/라이트기 20 : 의료카드
21 : 비접촉식카드 22 : 접촉식카드
23 : 콤비카드 24 : 자기카드
25 : 플래시메모리카드 30 : 약국단말시스템
31 : 약국컴퓨터 32 : 카드데이터 리드/라이트기
33 : 프린터 34 : 결제시스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제의약 포장봉투 자동출력시스템은 환자 개인단위로 발급되며 처방전에 관련된 정보 기록수단이 따로 마련된 의료카드와, 상기 의료카드에 기록된 진료의뢰 환자의 과거 진료기록 및 투약기록을 조회하여 참고하고 현재의 진료결과에 따른 의사의 처방내용을 상기 의료카드에 기록하기 위한 병원컴퓨터 및 카드데이터 리드/라이트기로 구성되는 병원단말시스템과, 상기 의료카드에 수록된 처방정보를 읽어들여 환자에 대한 의사의 처방정보를 약사에게 제시함으로써 약사가 의약을 조제할 수 있게 하고 이렇게 조제된 의약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봉투에 조제의약의 복용정보 등이 자동 인쇄되어 출력되게 하기 위한 약국컴퓨터, 카드데이터 리드/라이트기 및 상기 약국컴퓨터에 결합된 프린터로 구성되는 약국단말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 여기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시스템은 크게 병원 측에 설치되는 병원단말시스템(10)과 약국 측에 설치되는 약국단말시스템(30)과 환자 개인단위로 발급되는 의료카드(20)로 구성되고 있다.
상기 병원단말시스템(10)은 병원컴퓨터(11)와 카드데이터 리드/라이트기(12)로 구성되며, 상기 병원컴퓨터(11)는 병원 내 담당 진료의사의 관할 하에 있는 컴퓨터로서 진료환자에 대한 의사의 진료결과 및 처방전의 입력과 진료환자의 과거 진료기록 등의 출력기능 등을 수행한다.
상기 카드데이터 리드/라이트기(12)는 상기 병원컴퓨터(11)에 입력된 의사의 처방데이터를 받아서 이 카드데이터 리드/라이트기(12)에 장착된 의료카드(20)에 처방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능과 상기 의료카드에 기록된 의료정보를 읽어들여 상기 담당 진료의사용 병원컴퓨터(11)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병원컴퓨터(11)는 환자별 처방전의 내용을 디지털파일로 저장 보유한다.
상기 의료카드(20)는 그 소유자의 개인의 기초 신상정보와 카드발행 고유번호정보를 기본적으로 가지며, 또한 의사에 의한 진료기록 및 처방정보와 약사에 의한 투약정보 등에 관련된 의료데이터를 전자적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수단이 마련된다.
상기 약국단말시스템(30)은 약국컴퓨터(31)와 카드데이터 리드/라이트기(32)와 프린터(33)로 구성되며, 상기 약국컴퓨터(11)는 약국의 약사 전용컴퓨터로서 의료카드 소지자에 대한 의사의 처방전 정보를 읽어들여 출력하는 것으로 약사로 하여금 의료카드 소지자에게 처방의약을 조제 및 투약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카드데이터 리드/라이트기(32)는 상기 약국컴퓨터(31)에 결합되어 의료카드(20)에 수록된 의사의 처방데이터를 읽어들여 약국컴퓨터(31)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카드데이터 리드/라이트기(32)는 약사가 처방전에 따라 또는 대체처방에 따라서 환자(의료카드 소지자)에게 조제-투약한 사실정보를 약국컴퓨터(31)를 통해 전송 받아 상기 의료카드(20)에 기록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약국컴퓨터(31)는 처방전에 대한 사본의 성격으로 의료카드에서 읽어들인 처방정보를 별도의 디지털파일로 저장 보유한다. 또한 약국컴퓨터(31)는 의사의 처방전에 따른 조제 및 투약결과를 의약조제 요청자의 의료카드 내에 입력하고 해당 의료카드에 저장된 의약조제 요청자의 과거 진료기록 등을 출력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을 수 있다. 또한 약사의 처방 및 투약 기록의 열람은 의료카드 소지자의 승인 하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부분적으로 암호화 시켜 놓을 수 있다.
상기 프린터(33)는 처방전에 따른 약사의 조제 약제를 포장하기 위한 포장용 봉투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조제약제 포장용 봉투에는 의료카드에 등록된 카드소유자의 기초 신상정보를 토대로 하여 의사처방에 의한 조제의약의 복용법 안내, 투약일시, 복용대상자의 개인신상 기초정보, 보험증서번호, 피보험자명, 조제의약품명, 처방번호 및 일자, 병원명칭 및 처방의사명, 조제일자, 조제약국명칭 및 약사명, 등 중요정보가 인쇄되어 출력되게 한다. 조제의약의 복용시 주의해야하는 점들에 대한 약사의 부가적인 지시는 약국컴퓨터(31)를 통해 투약 대상자에게 별도로 제공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약국컴퓨터(31)에는 결제시스템(34)이 접속될 수 있다. 이 결제시스템은 선불, 직불, 후불 결제기능을 모두 커버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하여 의사의 처방전에 따른 약사의 조제비용을 자동 결제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 구조하에서의 구체적인 처방정보의 전달 및 포장봉투의 자동출력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환자가 진료를 받기 위해 병원을 방문하여 의료카드(20)를 제시하고 진료를 요청함에 따라 의사가 진료를 수행하게 될 때, 병원 측 단말시스템 내의 의사용 병원컴퓨터(11)에 접속된 카드데이터 리드/라이트기(12)에 해당 진료환자의 의료카드(20)를 삽입시키면 이 의료카드에 기록되어 있는 진료환자의 과거 진료기록이 병원컴퓨터(11)의 모니터를 통해 일괄 출력되게 된다.
이러한 환자의 과거 진료기록은 담당의사에 의한 진료 및 처방전 발행에 참고적으로 활용되어 약물의 남용 및 오용에 따른 부작용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여기에서 카드데이터 리드/라이트기(12)는 진료 접수/출납 창구에 설치하여 접수/출납 담당자가 진료신청자의 의료카드에 기록된 과거 의료정보를 다운 받아 의사용 병원컴퓨터(11)로 전달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그 시스템을 변경 설계할 수 있다.
담당의사가 환자를 진료하고 그에 따른 처방을 병원컴퓨터(11)에 입력하면 그 처방데이터는 카드데이터 리드/라이트기(12)로 전송되어 이 카드데이터 리드/라이트기(12)에 장착된 의료카드(20)에 기록된다. 즉, 디지털 처방전이 의료카드 내의 데이터 저장수단을 통해 전자적으로 발행되게 되는 것이다.
만일, 앞의 경우와 같이 카드데이터 리드/라이트기(12)가 진료 접수/출납 창구에 설치되어 의사용 병원컴퓨터(11)에 접속되게 설계된 경우에는, 의사의 처방데이터가 접수/출납 창구의 카드데이터 리드/라이트기(12)에 다운로드 되게 하고 여기에서 처방데이터를 환자의 의료카드(20)에 다운 받아 가져갈 수 있게 설계할 수 있다.
이렇게 의료카드(20)에 의사의 처방데이터가 기록되면 해당 의료카드 소지자가 약국을 방문하여 약사에게 의사의 처방에 따른 약제의 조제 및 투약을 요구한다.
의료카드를 소지한 환자로부터의 조제 및 투약 요청이 있으면 약사는 약국단말기 시스템(30)의 약국컴퓨터(31)에 결합된 카드데이터 리드/라이트기(32)를 이용하여 조제약제 요청자의 의료카드(20)에 기록된 처방데이터를 읽어 들인 후 이를 약국컴퓨터(31)의 모니터를 통해 확인하고, 이어서 디지털 처방전을 디지털 파일로 다운로드 하여 수령한 다음, 해당 처방내용에 따라 약제를 조제하거나 대체처방을 실시한다.
약국의 약사에게도 내방한 환자의 의료카드를 통하여 해당 환자의 과거 진료정보 및 투약정보를 열람해 볼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의료카드 소지자의 동의(암호키 통보 등)를 얻어 해당 환자의 과거병력 및 투약기록을 열람할 수 있게 되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약국컴퓨터(31)에 접속된 카드데이터 리드/라이트기(32)를 통하여 약국에서도 의료카드(20)내의 데이터 기록수단에 의사의 처방에 따른 약사의 조제 및 투약실행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이것은 의료카드를 통한 개인별 의료정보를 정확하게 관리하여 줌으로써, 다음의 진료나 투약 시에 중요한 참고데이터로 유효하게 활용될 것이다.
약국단말시스템(30)내의 프린터는 약국컴퓨터(31)의 해당 의료카드의 처방정보 출력화면에서 의사에 의해 특정된 조제의약의 복용 법을 입력한 후 그의 출력을 실행시키게 되면, 의료카드 소유자의 기초 인적사항에 조제의약의 복용법 등이 부가되어 조제의약 포장용 봉투에 직접 인쇄되어 출력된다.
약국의 컴퓨터단말기에 연결된 프린터를 통하여 상세하게 인쇄된 약제 포장용 봉투에는 조제약제의 복용법 등이 상세하게 인쇄되게 된다. 이 약제 포장용 봉투에는 환자성명, 나이, 조제 연월일, 병원명, 접수번호, 처방의사명, 조제약사명, 피보험자, 보험증번호, 처방전 교부번호 및 일자, 조제비용 청구액, 기타 투약정보 등이 중요한 항목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의료카드(20)에는 신용카드, 직불카드, 선불카드의 기능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진료, 투약, 지불 기능을 하나의 카드로 통합시켜 의료카드 이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이 경우, 병원 측의 처방전에 따른 약국에서의 조제-투약이 실행되는 경우 그 조제약제 비용을 상기 통합카드로 결제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약국컴퓨터(31)에 결제시스템(34)을 부가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결제시스템(34)은 직불, 선불, 후불제 모두를 커버할 수 있도록 조치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처방전 전달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로서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환자가 병원을 방문하여 의료카드를 제시하면 이 의료카드에 수록된 과거의 질환 진료정보를 의사가 자신의 컴퓨터를 통해 읽어들인 후 진료에 참고하게 된다.
진료결과 투약이 필요한 상황이면 의사는 처방전을 컴퓨터로 작성하여 처방전 데이터를 해당 환자의 의료카드에 기록한다. 진료결과 투약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예를 들면, 안정만으로 충분하다는 결론이 서거나 입원 가료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그에 따른 조치를 지시하고 진찰과정을 종료한다.
진료결과 투약 처방이 있고 그 처방데이터가 환자 자신의 의료카드에 기록된 경우 해당 환자는 약국을 방문하여 의료카드를 제시한다.
약국 내방 환자로부터 처방에 따른 의약 조제요구와 함께 의료카드의 제시가 있으면 약사는 이를 약국컴퓨터를 통해 처방내용을 읽어들인 후 처방정보를 다운로드하고 그 처방에 맞는 의약을 조제하여 해당 환자에게 투약하고 그 약제에 대한 의사의 복용처방 정보를 고지한다.
이때, 약사는 조제의약의 복용법 등, 조제 투약에 관련된 주요정보를 약국컴퓨터에 입력하여 이를 약제 포장용 봉투에 그대로 인쇄 출력시킨 다음, 그 출력된 약제 포장봉투에 조제의약을 넣어 그 조제의약 의뢰자에게 전달하는 것으로 투약을 완료한다.
프린터에 의해 출력되는 조제의약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봉투는 약사가 컴퓨터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해 넣어야 할 변수부분(블랭크 부분)을 제외한 공통부분에 대해 사전 인쇄를 실행한 후, 이를 약국컴퓨터에 접속된 프린터의 용지 카트리지에 장착시켜 놓아, 포장봉투별로 상기 변수부분에 기재된 내용만 달리하고 나머지 부분은 전체적으로 동일성이 유지되어 출력되게 할 수 있다.
이것은 조제의약 포장용 봉투에 인쇄되는 모든 내용을 백지상태의 포장봉투에 처음부터 끝가지 전면에 걸쳐 인쇄하는 것보다 소요시간과 소요비용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방식은 조제의약 포장용 봉투의 통일성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의료카드의 적용을 위한 데이터 저장매체의 종류별 예시를 보이고 있다.
도 3a는 스마트카드의 한 유형인 비접촉식카드(21)를 기반으로 한 의료카드의 구성 예를 보이고 있다. 이것은 RF-IC칩을 플라스틱 카드베이스 내에 장착한 타입으로서 이 비접촉식 의료카드는 RF(무선)리드/라이트기와 매치 설계되어 운용된다. 즉, 병원컴퓨터(11)나 약국컴퓨터(31)에 각각 결합되는 카드데이터 리드/라이트기(12,32)를 RF 타입 리더기로 설계해야 한다.
도 3b는 스마트카드의 다른 유형인 접촉식카드(22)를 기반으로 한 의료카드의 구성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카드 내부의 IC 칩을 카드 외부의 접속 터미널부와 연결하여, 이 외부 접속터미널부가 접촉식 리드/라이트기에 접속되게 함으로써 카드와 리드/라이트기간의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지게 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카드데이터 리드/라이트기(12,32)는 당연히 접촉식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도 3c는 상기 접촉식카드와 비접촉식카드를 하나의 카드베이스에 구현한 콤비카드(23)의 구성 예를 보이고 있다. 상기 콤비카드는 비접촉식 리드/라이트기 및 비접촉식 리드/라이트기의 공통 엑세스를 허용한다. 따라서, 병원측 및 약국 측의 컴퓨터에 접속되는 리드/라이트기는 비접촉식이나 접촉식 중 어느 하나로 구현하면 충분하다.
도 3d는 전통적인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타입 자기카드(24)를 나타내고 있다. 이를 의료카드에 적용할 경우 널리 보급된 자기카드 리더기를 통하여 의료카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자기카드를 의료카드에 적용하는 경우 처방정보의 입력 및 출력을 위해 어느 정도의 자기카드 리더기의 운용 프로그램의 수정이 필요하게 된다.
도 3e는 멀티미디어카드 등에 적용되는 플래시메모리카드(25)를 보이고 있다. 이 플래시메모리카드에 처방정보와 기타 개인별 진료기록 정보 등을 플래시메모리카드 리드/라이트기를 통하여 입출력할 수 있다.
기타, 플로피 디스켓 등과 같은 메모리 수단을 이용하여 의사의 처방정보를 약사에게 전달하기 위한 상기 여러 유형의 의료카드에 대체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의료분업 시행 시 의사에 의한 환자진료 처방전을 간편하고 정확하게 약국의 약사에게 전달할 수 있어 신속하고 정확한 조제-투약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의사의 진료에 따른 처방기록을 조제-투약을 실행하는 약사에게 전달하는 기능 외에 약사에 의한 투약정보를 포함한 환자 개인별 과거의 의료정보를 저장 보유하여 주치의나 조제-투약 약사에게만 필요시에 선택적으로 공개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하게 환자정보가 노출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료카드에 각종 대금지불 기능 카드를 접목시켜 의료카드 이용자의 편의를 증진시켜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약국컴퓨터에 접속된 프린터를 통하여 조제 의약의 복용정보가 조제의약 포장용 봉투에 직접 출력되어 외관이 미려하게 되므로 의약소비자에 대한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4)

  1. 의약분업에 따른 진료 처방과 의약 조제의 분업화 시스템에 있어서, 환자 개인단위로 발급되며 카드소유자의 기초적인 개인신상정보와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진료 및 투약정보 등을 전자적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하기 위한 정보 기록수단이 마련된 의료카드(20); 상기 의료카드에 기록된 내용을 출력하여 진료의뢰 환자의 과거 진료기록 및 투약기록을 조회하고 해당 회차 진료결과에 따른 의사의 처방내용을 상기 의료카드에 기록하기 위한 병원컴퓨터(11) 및 카드데이터 리드/라이트기(12)로 구성되는 병원단말시스템(10); 상기 의료카드에 수록된 처방정보를 읽어들여 환자에 대한 의사의 처방정보를 약사에게 제시함으로써 약사가 의약을 조제할 수 있게 하고 이렇게 조제된 의약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봉투에 조제 의약의 복용정보가 자동 기입되어 출력되게 하기 위한 약국컴퓨터(31), 카드데이터 리드/라이트기(32) 및 상기 약국컴퓨터에 결합된 포장봉투지 인쇄용 프린터(33)로 구성되는 약국단말시스템(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카드를 이용한 처방정보 전달 및 조제의약 포장봉투 자동출력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33)의 용지공급 카트리지를 통해 공급되는 포장봉투지에는 약사가 약국컴퓨터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해 넣어야 할 변수부분(블랭크 부분)을 제외한 공통부분에 사전 인쇄를 실행함으로써, 포장봉투별로 상기 변수부분에 기재된 내용만 달리하고 나머지 부분은 전체적인 동일성이 유지되는 채로 출력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카드를 이용한 처방정보 전달 및 조제의약 포장봉투 자동출력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카드(20)는 접촉식 IC카드, 비접촉식 IC카드, 콤비카드, 플래시메모리카드, 자기카드, 플로피디스켓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카드를 이용한 처방의약의 조제 및 복용정보 출력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카드(20)에는 신용카드, 직불카드, 선불카드의 기능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기능을 부여하여 진료, 투약, 지불의 통합기능을 가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약국단말시스템(30)의 약국컴퓨터(31)에는 상기 지불기능카드 겸용 의료카드를 이용하여 대금결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결제시스템(34)을 결합시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카드를 이용한 처방의약의 조제 및 복용정보 출력시스템.
KR1020000034438A 2000-06-22 2000-06-22 의료카드를 이용한 처방정보 전달 및 조제의약 포장봉투자동출력시스템 KR200000547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4438A KR20000054764A (ko) 2000-06-22 2000-06-22 의료카드를 이용한 처방정보 전달 및 조제의약 포장봉투자동출력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4438A KR20000054764A (ko) 2000-06-22 2000-06-22 의료카드를 이용한 처방정보 전달 및 조제의약 포장봉투자동출력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4764A true KR20000054764A (ko) 2000-09-05

Family

ID=19673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4438A KR20000054764A (ko) 2000-06-22 2000-06-22 의료카드를 이용한 처방정보 전달 및 조제의약 포장봉투자동출력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5476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0771A (ko) * 2002-02-21 2002-03-15 유용길 태아 및 어린이 전용 서비스를 실시하는 신용카드 시스템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20020037453A (ko) * 2000-11-14 2002-05-22 전영삼 전자의료보험카드 및 전자의료보험카드 운영시스템과 그운영방법
KR20020081913A (ko) * 2001-04-20 2002-10-30 (주)메드 밴 의료보험청구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96170A (ko) * 2001-06-18 2002-12-31 (주)인컴스 국민 건강 카드와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15003A (ko) * 2001-08-14 2003-02-20 주식회사 에스원 멀티 스마트 카드 단말기 및 제어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7453A (ko) * 2000-11-14 2002-05-22 전영삼 전자의료보험카드 및 전자의료보험카드 운영시스템과 그운영방법
KR20020081913A (ko) * 2001-04-20 2002-10-30 (주)메드 밴 의료보험청구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96170A (ko) * 2001-06-18 2002-12-31 (주)인컴스 국민 건강 카드와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15003A (ko) * 2001-08-14 2003-02-20 주식회사 에스원 멀티 스마트 카드 단말기 및 제어 방법
KR20020020771A (ko) * 2002-02-21 2002-03-15 유용길 태아 및 어린이 전용 서비스를 실시하는 신용카드 시스템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65774C (en) Prescription fulfillment system and method
US20020055856A1 (en) Adjudicating pharmaceutical drug sample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US7426475B1 (en) Secure electronic healthcare information management process and system
ES2233673T3 (es) Mejoras relacionadas con sistemas de gestion de la informacion.
US66871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inical trials
US7483766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cribing and conveying pharmaceuticals within the premises of a healthcare provider
US20060085231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on and payment for pharmaceuticals
AU2002331659A1 (en) Prescription fulfillment system and method
JP2003505172A (ja) 集積回路チップが埋め込まれたパッケージおよびこのパッケージを使用するシステム
US11195605B2 (en) Providing global accessibility to prescribed medications
US7912578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veying pharmaceuticals from an automated machine
US20040081669A1 (en) Pharmaceutical supply system
KR100303713B1 (ko)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전자처방전달 시스템
KR20000054764A (ko) 의료카드를 이용한 처방정보 전달 및 조제의약 포장봉투자동출력시스템
KR20020037453A (ko) 전자의료보험카드 및 전자의료보험카드 운영시스템과 그운영방법
CN210378503U (zh) 一种电子处方流转系统
KR20000054731A (ko) 처방전 전달방법 및 처방전 전달시스템과 그에 적용되는의료카드
JP2000090333A (ja) 自動販売機
KR100768139B1 (ko)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 처방전 중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10025689A (ko) 의료 처방 정보 전송에 의한 자동 조제 방법
KR20000063537A (ko) 웹기반 무인처방시스템 및 무인처방방법
JP7481053B1 (ja) 薬剤支援システム、薬剤支援方法、及び薬剤支援プログラム
KR100433720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종합 의약 관리방법
KR20010015968A (ko) 병원 처방 내역을 아이씨 카드에 수록
KR20010110014A (ko) 디지털 카드에 의한 진료 및 처방전 관리 시스템과 그운용 방법 및 의료용 디지털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