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4586A - 로터리식 권종별 동전 자동지급장치 - Google Patents
로터리식 권종별 동전 자동지급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54586A KR20000054586A KR1020000032325A KR20000032325A KR20000054586A KR 20000054586 A KR20000054586 A KR 20000054586A KR 1020000032325 A KR1020000032325 A KR 1020000032325A KR 20000032325 A KR20000032325 A KR 20000032325A KR 20000054586 A KR20000054586 A KR 2000005458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in
- coins
- discharge
- automatic
- base plat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7D9/008—Feeding coins from bulk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00—Coin dispensers
- G07D1/02—Coin dispensers giving change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01/00—Coin dispen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전을 자동으로 지급할 수 있는 동전 자동지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나의 구동부에 권종별로 동전을 자동 배출시킬 수 있는 로터리식 권종별 동전 자동지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로터리식 권종별 동전 자동지급장치는 원주면을 따라 기준 위치점과 대롱 위치점이 구비된 권종별 동전 적재부와, 권종별 동전 적재부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와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 및 동전을 배출시키는 배출핀이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부와, 제어와 전원 공급을 위한 회로부로 구성한다.
베이스 플레이트부 상에 원형으로 권종별 동전 적재부를 위치시킨 후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설치된 회전 구동부를 구동시키면 구동부에 의하여 권종별 동전 적재부가 회전하고, 동전 적재부의 회전시 배출핀을 돌출시켜 원하는 권종별로 동전을 자동으로 배출한다.
로터리식 권종별 동전 자동지급장치는 여러 종류의 동전을 하나의 작동부에 의하여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동전 자동지급장치의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생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동전을 자동으로 지급할 수 있는 동전 자동지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전이 권종별(10원, 50원, 100원, 500원)로 적재되는 긴 원통(이하 대롱이라 칭한다)을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원형으로 배치하여 원하는 액수만큼의 동전을 자동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로터리식 권종별 자동 동전지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백화점이나 대형 할인매장 또는 대형 슈퍼마켓에는 좋은 물건을 싼 값에 구입하기 위한 많은 고객으로 인하여 항상 복잡하다. 특히, 계산대 주변에는 물건값을 계산하는 사람들로 인하여 더욱 복잡하다.
이러한 복잡한 대형 매장에서의 정산시 합산된 금액이 만원 또는 천원 단위로 정산되는 경우는 드물며 대부분 백원 또는 십원 단위로 정산되어 거스름돈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거스름돈을 동전으로 내줘야 할 경우 10원, 50원, 100원 및 500원짜리 동전을 잔액에 맞게 일일이 손으로 세어 내줘야 하므로 계산대에서의 지체시간이 증가하고, 계산원의 실수로 거스름돈을 정확히 내주지 않아 사소한 언쟁이 벌어 지는 경우도 종종 있다.
또한, 자가용의 보급이 늘어남에 따라 도로 교통이 악화되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대중교통 이용의 활성화 방안의 하나인 버스 전용차로제 등으로 인하여 대도시에서는 출퇴근시간대에 버스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버스의 이용시 거스름 동전이 발생하는데 이 때도 거스름 동전의 문제로 인한 승객과 운전자간의 사소한 언쟁이 종종 벌어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0-0008006호(거스름 동전 자동지급기)에는 자동으로 동전을 지급할 수 있는 기술이 소개되어 있는데그 내용은, 거스름 동전의 발생시 POS 단말기로부터 거스름돈 지급신호가 입력되고, 그에 따라 솔레노이드의 마그네틱이 자화되며, 플런저는 링크를 당기게 된다. 상기 링크는 가동자를 전진시키게 되며, 가동자는 회동되면서 동전을 타격하여 배출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거스름 동전 자동지급기는 동전저장구의 갯수와 동일한 수량의 솔레노이드 및 구동부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과부하로 인한 솔레노이드의 손상률이 높아 지고, 또한 기구적인 구조가 복잡해지며, 동전저장구가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동전저장구의 공간으로 인한 기기 자체의 부피가 커진다는 문제점이 남아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97-0005402호(경화송출장치)에는 동전을 호퍼로부터 자동으로 배출시키는 기술이 소개되었다. 물론, 상기 경화송출장치는 호퍼내에 동전을 투입하여 필요한 수 만큼의 동전을 배출시키므로 기기의 크기는 소형이지만 호퍼내에 단일 권종의 동전만을 투입한 후 배출시키므로 거스름 금액에 맞는 동전을 지급하고자 할 때에는 권종별 수 만큼의 경화송출장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즉, 상기 경화송출장치는 단일 권종을 지급할 때에는 문제가 없지만 다른 종류의 동전을 지급할 때에는 그 만큼의 수량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버스의 승차시 버스 이용요금이 550원이라고 가정하면 승객 한 사람이 1000원을 냈을 때 거스름 금액은 450원이 되므로 상기 호퍼식 경화송출장치는 100원짜리 동전을 지급할 수 있는 장치 1대와 50원짜리를 지급할 수 있는 장치가 1대 필요하므로 최소한 경화송출장치는 2대가 있어야 한다.
따라서, 버스에는 상기 송화경출장치를 위치시킬 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장치의 증가로 인한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하나의 구동부로서 권종별로 동전을 자동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로터리식 권종별 동전 자동지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형으로 구성된 소형의 동전 자동지급장치를 제공하여 그 설치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로터리식 권종별 동전 자동지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전 배출시 적은 구동력으로 배출시킬 수 있어 과전류로 인한 기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로터리식 권종별 동전 자동지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호에 의하여 지급하여야 할 동전이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대롱내에 적은 수의 동전이 남아 원심력에 의하여 자체적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로터리식 권종별 동전 자동지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해당되는 동전의 배출 유무를 철저히 감시하여 지급하여야 할 정확한 금액의 동전을 배출할 수 있는 로터리식 권종별 동전 자동지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해당되는 동전의 실제 배출 유무를 확인하여 재사용을 위해 대롱에 각 권종의 동전을 충전할 때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는 로터리식 권종별 동전지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로터리식 권종별 동전 자동지급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로터리식 권종별 동전 자동지급장치의 권종별 동전 적재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로터리식 권종별 동전 자동지급장치의 베이스 플레이트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로터리식 권종별 동전 자동지급장치의 베이스 플레이트부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로터리식 권종별 동전 자동지급장치의 베이스 플레이트부의 솔레노이드와 배출핀을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로터리식 권종별 동전 자동지급장치의 회로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동전 13 : 대롱
15 : 회전체 17 : 기준 위치점
19 : 대롱 위치점 21 : 배출핀 가이드
23 : 돌출링 25 : 구동편
27 : 동전 배출 구멍 31 : 베이스 플레이트
33 : 위치 검출 수단 35 : 배출구
37 : 배출핀 39 : 홈
41 : 솔레노이드 43 : 동전 자동 배출 방지 부재
45 : 동전 배출 유무 감지 수단 47 : 힌지
49 : 스프링 51 : 구동 모터
53 : 회전축 71 : 스위치 박스
73 : 제어부 75 : 제1통신부
77 : 키입력 제어부 79 : 버튼
81 : 제2통신부 83 : 메모리
85 : CPU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로터리식 권종별 동전 자동지급장치는, 필요한 권종의 수 만큼 환상으로 설치되는 대롱과 상기 대롱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기준 위치점 및 대롱 위치점이 각각 설치된 원형의 회전체로 구성된 권종별 동전 적재부와, 상기 동전 적재부를 구성하는 원형의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와, 대롱의 최하단에 위치한 동전을 배출시키는 배출수단과 상기 기준 위치점과 대롱 위치점들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으로 구성된 베이스 플레이트부 및, 필요한 동전의 배출을 위한 전체적인 제어와 전원 공급을 위한 회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동전을 배출시키는 배출 수단은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자화에 따라 작동하는 플런저 및 상기 플런저에 연결된 배출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부의 측면에 설치되어 동전의 배출 유무를 판단하고, 적은 수의 동전이 남아서 회전할 때, 원심력에 의해 동전이 배출 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전 자동 배출 방지 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로터리식 권종별 동전 자동지급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로터리식 권종별 동전 자동지급장치는 권종별로 동전을 적재하는 동전 적재부와 베이스 플레이트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부의 중앙에 위치한 회전 구동부와 전체 과정을 제어하고 전원을 공급하는 회로부로 구성된다.
상기 동전 적재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롱(13), 회전체(15), 기준 위치점(17), 대롱 위치점(19), 배출핀 가이드(21), 돌출링(23) 및 구동편(25)을 구비한다.
회전체(15)의 상부에 권종별로 동전을 적재하는 대롱(13)이 환상으로 다수 설치되고, 대롱(13)의 하부와 회전체(15)가 만나는 부분에 동전 배출 구멍(27)이 형성되어 대롱(13)에 적재된 동전(11)이 동전 배출 구멍(27)을 통과하여 배출된다. 상기 대롱(13)은 권종의 수 만큼만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주로 많이 사용되는 권종의 동전에 대해서는 수요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사용한다. 즉, 100원짜리 동전의 배출이 많다면 100원짜리 동전이 적재된 대롱을 하나이상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회전체(15)의 원주면을 따라 하나의 기준 위치점(17) 및 대롱과 같은 수의 대롱 위치점(19)이 설치되며, 상기 기준 위치점(17)과 대롱 위치점(19)은 베이스 플레이트(31)상의 위치 검출 수단(33, 도3 참조)과 조합하여 필요한 동전이 적재된 대롱(13)의 위치를 파악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기준 위치점과 대롱 위치점 및 위치 검출 수단(33)으로는 마그네트-홀 센서나 포토센서 또는 다양한 센서들이 사용될 수있다.
여기에서는 다양한 기준 위치점(17)과 대롱 위치점(19) 및 위치 검출 수단(33) 중에서 마그네트-홀 센서(33)를 사용한 예로서 설명한다. 그러나, 마그네트-홀 센서로서 기준 위치점과 대롱 위치점 및 위치 검출 수단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네트로 구성된 기준 위치점(17)은 회전체(15)의 특정 위치에 설치되어 대롱(13)의 기준 위치을 찾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기준 위치점과 동일한 마그네트로 구성된 대롱 위치점(19)은 대롱(13)과 같은 수로 설치되는데, 대롱(13)이 회전체(15)에 배열된 각도와 같은 각도로 설치된다. 대롱 위치점(19)은 배출구(35)를 통과하는 동전이 적재된 대롱(13)의 인식에 사용되는데, 각 대롱(13)의 바로 밑에 설치된 대롱 위치점(19)이 그 대롱의 위치점이 되는 것이 아니라 각 대롱이 설치된 곳에서 위치 검출 수단인 홀 센서(33)와 상기 대롱에 대응하는 대롱 위치점이 설치되어 대롱의 위치를 인식한다. 따라서 대롱 위치점(19)이 상기 홀 센서(33, 도3 참조)를 통과할 때, 이에 대응하는 대롱도 배출구(35)를 통과하므로, 이때 솔레노이드(41)를 작동시켜 동전을 배출한다.
회전체(15)의 하부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핀 가이드(21), 돌출링(23), 구동편(25)이 형성되어 있다.
원호 모양 또는 날개 모양을 하고 동전 하나 정도의 높이를 가진 배출핀 가이드(21)에는 솔레노이드(41, 도3 참조)의 플런저(도면부호 미부여)의 동작에 의해 배출핀(37)이 올려진 상태에서 배출핀(37)이 통과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대롱의 수와 같은 수로 형성된 배출핀 가이드(21)는 각 대롱과 대롱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솔레노이드(41)의 동작에 의해 배출핀 가이드(21)의 홈으로 배출핀(37)이 올려져서 동전 배출 구멍(23)의 최하부에 위치한 동전이 걸리게 되고, 회전하고 있는 다음 배출핀 가이드(21)에 의해 동전이 배출된다.
배출핀(37)이 올려져서 동전이 걸리면 바로 다음 배출핀 가이드(21)의 전면부에 의해서 동전이 배출된다.
배출핀 가이드(21)의 중앙부를 연결하고, 회전체(15)에 형성된 동전 배출 구멍(27)의 중심들을 통과하는 형태로 돌출링(23)이 설치된다. 돌출링(23)은 회전체(15)와 일체인 배출핀 가이드(21)의 중심부에 연이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결국 돌출링(23) 역시 회전체(15)와 일체이다. 회전체(15) 하부의 돌출링(23)은 대롱(13)에 적재된 동전이 밑으로 쏟아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과 동전 적재부의 하중이 직접 구동 모터(51)의 회전축(53)에 전달되지 않게 하여 동전 적재부가 원할히 회전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회전체(15) 하부의 구동편(25)은 구동 모터(51)의 회전축(53)과 결합하여 회전하는 모터(51)의 회전력을 동전 적재부로 전달하여 상부의 동전 적재부가 회전하도록 한다.
도3을 참고하여 하부의 베이스 플레이트부를 설명하면, 베이스 플레이트부는 위치 검출 수단인 홀 센서(Hall sensor)(33), 배출핀(37), 솔레노이드(41)를 구비하고, 베이스 플레이트(31)의 중앙부에 후술되는 회전 구동부가 형성된다.
베이스 플레이트(31) 상의 한 쪽에는 대롱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의 한 종류인 홀 센서(33)가 설치된다. 상기 홀 센서(33)는 회전체(15)에 설치된 마그네트로 구성된 기준 위치점(17) 및 대롱 위치점(19)이 통과할 때마다 변화하는 자장에 의해서 발생하는 펄스와 같은 전기적인 신호를 회로부의 CPU(85)로 보내고, CPU(85)는 이를 이용하여 대롱의 위치 및 동전의 종류를 판별한다. 동전 적재부가 1회전 할 때마다 기준 위치점(17)에 의한 하나의 펄스와 대롱 위치점(19)의 수 만큼의 펄스가 발생한다.
베이스 플레이트(31) 상에 회전체의 돌출링(23)과 합치되어 회전체(15)가 원할하게 회전하게 하는 홈(39)과 배출핀이 상하 왕복 운동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다. 홈(39)의 깊이는 돌출링(23, 도2 참조)의 높이와 같아서 베이스 플레이트(31), 돌출링(23), 배출구(35)가 하나의 평면을 형성하여 이 평면위에서 적재된 동전이 지지되고, 동전과 배출핀 가이드(21)가 회전한다.
베이스 플레이트부 전면부에는 동전이 배출되는 배출구(35)가 형성되고, 배출구(35)의 하부에 솔레노이드(41)가 구비된다. 솔레노이드(41)의 플런저와 연결되는 형태로 배출핀(37)이 형성되어 솔레노이드(41)의 자화 여부에 따라 배출핀(37)이 작동된다. 솔레노이드에 전원이 인가되면 플런저가 상승하여 배출핀(37)이 돌출되고, 솔레노이드에 전원이 차단되면 배출핀(37)사이의 스프링(50)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한다. 솔레노이드(41)의 플런저는 하나이지만 플런저에 'U'자 모양으로 배출핀(37)을 설치하여 베이스 플레이트(31) 상에 두 개의 배출핀(37)이 돌출된다(도5 참조). 구멍에 삽입되어 있는 배출핀(37)은 동전을 배출하지 않을 때에는 베이스 플레이트(31)에 노출되지 않지만, 솔레노이드(41)에 전원이 인가되어 동전을 배출할 때는 동전 하나의 두께 만큼 돌출된다. 돌출되는 높이는 여러 권종의 동전이 있으므로 이중 두께가 가장 얇은 동전이 기준이 된다.
베이스 플레이트부의 우측에 동전 자동 배출 방지 부재(43)가 설치되어 있다.(도3, 도4 참조) 일단이 배출구(35)에 얹혀있는 형상을 가지며, 타단은 힌지(47)로 베이스 플레이트부에 고정되고 있으며 연이어 동전 배출 유무 감지 수단(45)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부와 동전 자동 배출 방지 부재(43)의 중앙 부분에 스프링(49)과 같은 탄성부재에 의해서 연결되어있다.
동전 자동 배출 방지 부재(43)는 동전 배출 구멍(23)에 하나 또는 소수의 동전이 남아서 회전할 때 동전 적재부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서 의도되지 않는 동전의 배출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또한 동전의 배출 유무를 감지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배출구(35)를 통해 동전이 배출되면 배출구(35)에 얹혀있는 동전 자동 배출 방지 부재(43)의 일단이 동전에 의해 밀려서 힌지(47)를 중심으로 열리게 되고, 동전 배출 유무 감지 수단(45)에 의해 배출 유무가 체크되며, 탄성부재(49)에 의해서 동전 자동 배출 방지 부재(43)는 원위치로 복귀한다.
동전 배출 유무 감지 수단(45)은 발광부와 수광부로 이루어진 적외선 센서를 사용하여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서 동전 자동 배출 감지 부재(43)의 작동에 따른 위치 변화에 의해 신호를 발생하게 하거나, 전기적인 스위치를 사용하여 동전 자동 배출 감지 부재(43)의 작동 유무를 판단하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회전 구동부는 베이스 플레이트(31)의 중앙부에 설치되는데, 회전축(53)과 구동모터(51)를 구비한다. 회전축(53)은 회전체의 구동편(25)과 결합하여 구동 모터(51)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동전 적재부에 전달한다.
회로부는 스위치 박스(71), 제어부(73)로 구성되며, 이의 개략도는 도 6에 나타내었다.
스위치 박스(71)는 배출을 원하는 동전의 금액을 입력하는 버튼(79)과 각 버튼에 해당하는 코드를 발생하는 키입력 제어부(77)와, 스위치 박스(71)와 제어부(73)와 통신을 위한 제1통신부(75)로 구성된다.
각 버튼(79)마다 고유한 기능이나 금액이 설정되어 있다. 버튼(79)에 설정된 고유한 기능이나 금액은 제어부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통해 본 발명의 로터리식 권종별 동전 자동지급기가 사용될 곳에 알맞게 적용한다. 예를 들어 버스와 같이 거스름돈이 몇 가지로 일정한 경우에는 각 버튼에 각각의 경우에 대한 금액을 설정할 수 있고, 대형 할인점과 같이 거스름돈이 여러가지의 경우인 곳에서는 계산원이 직접 금액을 입력하도록 제어 프로그램을 작성한다.
제어부(73)는 CPU(85), 메모리(83), 제2통신부(81)로 이루어진다. CPU(85)는 홀 센서(33)와 동전 배출 유무 감지 수단(45)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받아들여서 이를 비교 판단한 후 제어량을 결정하고, 구동 모터(51)와 솔레노이드(41)에 구동 신호를 보내는 등의 전체 과정을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제2통신부(81)는 스위치 박스(71)와 통신을 담당하고, 외부 컴퓨터와 연결시 로터리식 권종별 동전 자동지급장치가 배출한 동전의 지급 내역을 전송하며, 각 메모리 버튼 및 대롱의 금액별 순서의 설정에 사용된다. 메모리(83)는 CPU(85)에서 계산된 값과 미리 저장된 자료 즉, 대롱에 적재된 동전의 종류나 각 버튼의 기능 등을 저장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하고 있는 본 발명의 로터리식 권종별 동전 자동지급장치가 작동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동전 적재부의 회전 방향은 시계방향으로 하고, 홀 센서(33)와 기준 위치점(17)이 맞닿아 있을 때, 배출구에서 회전체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오른쪽)으로 가장 가까운 대롱을 1번 대롱이라 하고 순차적으로 2번 대롱, 3번 대롱 등으로 가정한다. 마찬가지로 대롱 위치점도 홀 센서(33)와 기준 위치점(17)이 맞닿아 있을 때 기준 위치점(17)으로부터 회전체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가장 가까운 대롱 위치점(19)부터 대롱과 대응되도록 1번, 2번, 3번 등으로 가정한다.
배출구(35)와 홀 센서(33)가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구성되기 때문에 각 대롱 위치점이 홀 센서(33)를 통과할 때 대응하는 대롱이 배출구(33)를 통과한다.
버튼(79)을 누르면 키입력 제어부(77)는 버튼의 누름 상태를 감지한 후 이에 해당하는 코드를 생성하여 제1통신부(75)와 제2통신부(81)를 통해 CPU(85)로 전달한다. CPU(85)는 입력된 코드값을 읽어들이고, 메모리(83)로부터 미리 저장된 각 버튼에 해당하는 금액을 읽어들인다. 이후 CPU(85)는 입력된 금액의 배출시 각 권종별로 몇 개의 동전을 배출해야 할 것인가를 판단하여 메모리(83)에 저장한다.
배출되어야할 동전의 종류와 갯수가 정해지면, 이후 CPU(85)는 모터 구동부를 통해 구동 모터(51)에 전원을 인가하여 모터(51)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동전 적재부가 회전하며, 상기 동전 적재부에 적재된 동전도 동전 적재부와 함께 회전한다.
동전 적재부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체에 형성된 기준 위치점(17) 및 대롱 위치점(19)이 홀 센서(33)를 통과한다.
최초로 기준 위치점(17)이 홀 센서(33)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펄스와 같은 전류의 변화로 CPU(85)는 이 순간을 기준 위치로 인식한다. 기준 위치가 파악되면 그 때부터 해당 위치에 솔레노이드(41)를 구동하여 동전 배출 동작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1번 대롱에 적재된 동전을 배출하려면 기준 위치를 인식한 후 1번 대롱 위치점(19)이 홀 센서(33)를 통과할 때 즉, 1번 대롱이 배출구(35)를 통과하는 순간에 CPU(85)는 솔레노이드 구동부를 통해 솔레노이드(41)에 전원을 인가한다. 솔레노이드(41)에 전원이 인가되면, 솔레노이드(41)가 자화되어 플런저가 상방향으로 이동하고,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플런저가 베이스 플레이트(31) 상에 배출핀(37)을 돌출시킨다.
배출핀(37)이 돌출되면 1번 대롱에 적재되어 회전축(53)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동전 중에서 동전 배출 구멍(27)에 위치한 최하부의 동전 하나가 배출핀(37)에 걸리게 된다. 최하부의 동전 하나를 제외한 나머지 동전들은 회전하지만, 최하부의 동전은 배출핀(37)에 걸려서 회전이 불가능해진다. 이때 동전 적재부가 계속 회전함에 따라 연이어 진입하는 다음 배출핀 가이드(21)의 전면부가 배출핀에 걸린 동전을 쳐내듯이 밀어내어 배출된다.
동전이 배출되면서 동전 자동 배출 방지 부재(43)를 열고 나가기 때문에 동전 자동 배출 방지 부재(43)의 타단에 위치한 동전 배출 유무 감지 수단(45)에 의해 동전의 배출 유무가 감지된다. 동전이 배출될 순간에 동전이 배출되지 않으면 동전 자동 배출 방지 부재(43)가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동전 배출 유무 감지 수단(45)에서 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CPU(85)는 다시 같은 종류의 동전이 적재된 대롱이 배출구를 통과할 때 배출 명령을 수행한다.
동전 자동 배출 방지 부재(43)에 의해 동전의 배출 유무를 판정할 수 있기 때문에 최초에 각각의 대롱에 적재된 동전이 몇 개인지 알면, 동전이 모두 소진 되기 전에 신호를 보내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동전이 배출되는 과정을 거쳐 1번 대롱에 적재된 동전의 배출이 완료되면, 솔레노이드(41)의 전원을 차단하여 압축되어 있는 스프링(50)의 인장력에 의해서 플런저가 원위치로 복귀하고, 또한 배출핀(37)이 원위치로 들어간다.
만약에 다른 권종의 동전을 배출하거나 여러 권종에 대하여 둘이상의 동전을 배출하려면 상기한 과정을 반복하여 CPU(85)가 메모리(83)에 저장된 권종별로 수량에 맞추어 되풀이하여 배출 명령을 함으로써 원하는 금액이 되도록 동전의 종류와 수에 맞게 동전을 배출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정을 통해서 원하는 금액만큼의 동전이 자동으로 배출된다. 동전의 배출이 완료되면 구동 모터(51)에 인가된 전원을 차단하여 동작을 멈추고 로터리식 권종별 동전 자동지급장치는 다음 동작을 위한 신호가 있을 때까지 대기 상태로 들어간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다양하게 변화 및 변경되어 적용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회전체에 환상으로 동전을 적재할 수 있는 다수의 대롱이 형성된 동전 적재부와, 동전 적재부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를 구비된 회전 구동부와, 솔레노이드 및 배출핀으로 구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부와, 제어와 전원 공급을 위한 제어부로 구성된 로터리식 권종별 동전 자동 지급장치는 권종별로 대롱에 적재한 후 이를 회전하면서 배출하는 형식으로 여러 종류의 동전을 하나의 작동부를 이용하여 배출하므로 동전 지급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이 종래의 동전 지급장치에 비하여 적어지고, 동전 지급장치의 구조도 간단해 진다.
동전을 배출하는 작용력이 솔레노이드에 작동하는 배출핀에 의한 것이 아니라, 대롱속에서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서 회전하는 동전을 플런저로 가로 막아서 배출하여 작동순간에 급격한 전류의 변화가 없으므로, 과전류로 인한 솔레노이드 및 회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작동시 발생하는 소음도 감소한다.
또한 동전 자동 배출 방지 부재 및 동전 배출 유무 감지 수단에 의하여 동전의 배출 유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지급하여야 할 정확한 금액의 동전이 배출된다.
Claims (3)
- 필요한 권종의 수 만큼 환상으로 설치되는 대롱(13)과 상기 대롱(13)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기준 위치점(17) 및 대롱 위치점(19)이 각각 설치된 원형의 회전체(15)로 구성된 권종별 동전 적재부와;상기 동전 적재부를 구성하는 원형의 회전체(15)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와, 대롱(13)의 최하단에 위치한 동전을 배출시키는 배출수단 및 상기 위치점(17, 19)들을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33)으로 구성된 베이스 플레이트부 및;필요한 동전을 배출하기위한 전체적인 제어와 전원 공급을 위한 회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식 권종별 동전 자동지급장치.
- 제1항에 있어서, 동전을 배출시키는 배출수단은 솔레노이드(41)와, 상기 솔레노이드(41)의 자화에 따라 작동하는 플런저 및, 상기 플런저에 연결된 배출핀(37)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식 권종별 동전 자동지급장치.
- 제1항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부에는 상기 회전체(15)의 회전시 동전이 원심력에 의해 자동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동전 자동 배출 방지 부재(43) 및 동전의 배출 유무를 감지하는 동전 배출 유무 감지 수단(45)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식 권종별 동전 자동지급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32325A KR100390924B1 (ko) | 2000-06-13 | 2000-06-13 | 로터리식 권종별 동전 자동지급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32325A KR100390924B1 (ko) | 2000-06-13 | 2000-06-13 | 로터리식 권종별 동전 자동지급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54586A true KR20000054586A (ko) | 2000-09-05 |
KR100390924B1 KR100390924B1 (ko) | 2003-07-10 |
Family
ID=19671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32325A KR100390924B1 (ko) | 2000-06-13 | 2000-06-13 | 로터리식 권종별 동전 자동지급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390924B1 (ko)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267188A (ja) * | 1985-05-22 | 1986-11-26 | 株式会社 ユニバ−サル | コイン払い出し装置 |
US6019247A (en) * | 1997-11-12 | 2000-02-01 | Hamilton Safe Company, Inc. | Rotary rolled coin dispenser |
-
2000
- 2000-06-13 KR KR10-2000-0032325A patent/KR100390924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390924B1 (ko) | 2003-07-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045351B2 (en) | Money handling mechanism with peripheral port | |
US6202006B1 (en) | Cassette for a rotary rolled coin dispenser | |
US7244175B2 (en) | Coin recycling machine and method | |
WO1997022919A9 (en) | Apparatus for encoding and dispensing integrated circuit chip cards | |
WO1997022919A1 (en) | Apparatus for encoding and dispensing integrated circuit chip cards | |
GB1566201A (en) | Control system for a vending machine | |
WO2006003212A2 (en) | Money item dispensing apparatus | |
US6685551B2 (en) | Electronically-controlled rotary coin change dispenser | |
CA2435768C (en) | Electronically-controlled rotary coin change dispenser | |
WO1999042958A1 (fr) | Procede et appareil de tri de pieces de monnaie | |
KR100390924B1 (ko) | 로터리식 권종별 동전 자동지급장치 | |
KR20000054585A (ko) | 로터리식 권종별 동전 자동지급장치 | |
US7441695B1 (en) | Validator with improved recycling cassette | |
JP5037053B2 (ja) | 硬貨払出し装置 | |
CA2528621C (en) | Enhanced bill acceptor/dispenser for vending machines | |
JP2501526B2 (ja) | コイン払出機 | |
JP2001043421A (ja) | 硬貨入出金装置 | |
US3269504A (en) | Totalizing counter system | |
JP2585149Y2 (ja) | 硬貨投出装置 | |
JPS5813397Y2 (ja) | 紙幣及び硬貨の使用できる自動販売機 | |
KR100220714B1 (ko) | 자동판매기의 구동제어방법 | |
JPS5933100Y2 (ja) | 釣銭貯蔵量検出装置 | |
JPH0954851A (ja) | 現金自動支払装置及びこれに使用する景品カード | |
JPH0677628B2 (ja) | 台間玉貸機の貸幣挿入装置 | |
KR980009351U (ko) | 자동판매기의 상품 투출 장치 및 상품 투출 검지 센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1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1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