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4491A - 항균기능을 갖는 양말과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항균기능을 갖는 양말과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4491A
KR20000054491A KR1020000031486A KR20000031486A KR20000054491A KR 20000054491 A KR20000054491 A KR 20000054491A KR 1020000031486 A KR1020000031486 A KR 1020000031486A KR 20000031486 A KR20000031486 A KR 20000031486A KR 20000054491 A KR20000054491 A KR 20000054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
weight percent
socks
weight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1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6801B1 (ko
Inventor
김관배
Original Assignee
김관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관배 filed Critical 김관배
Priority to KR1020000031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6801B1/ko
Publication of KR20000054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4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6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68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5Hosiery made essentially of a multi-ply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압효과와 함께 원적외선의 방사와 자력선에 의한 원활한 혈액순환과 발이나 신발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고 생성된 세균의 살균과 세균의 생성을 막는 항균기능을 갖는 양말의 제조방법 및 양말바닥의 성형된 돌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 기본적인 한약재에서 유효성분을 추출여 흡수가 잘될 정도로 농축시킨 용액에 가공할 부분의 양말을 침지시킨 후에 건조시키는 제 1공정과;
상기와 같이 별도로 한약재를 입자상태로 농축시켜 분쇄한 한약재의 농축분말 중량비 5%와 코팅제 중량비15%와 용제 중량비 80%정도로 묽게 혼화한 다음 건조된 상태의 양말에 코팅 처리하여 소결시키는 제 2공정과;
상기 소결된 양말에 미세 분말상의 원적외선 방사체 중량비 25%와 미세 분말상의 자성체 중량비 25% 합성수지 접착제 중량비 50%로 혼화하여 1미리 두께로 조성물을 인쇄한 다음 열에 의하여 접착시키는 제 3공정과;
상기 양말에 미세 분말상의 은 중량비 15%, 미세 분말상 구리 중량비 10%와 미세 분말상의 아연 중량비 10%에 접착제 중량비 30%, 용제 35%로 혼화한 다음, 맥반석과 산화철 그리고 합성수지 접착물에 의하여 형성된 돌기상에, 도포시켜 건조시키는 제 4공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정중, 한약재에서 농축 액기스를 추출하여 양말에 침지시켜 건조하므로 한약추출물이 침투되어 건조된 상태의 섬유(3)에 상기 액기스를 농축시켜 분말화한 한약입상체와 접착제를 묽게 혼화하여 양말에 코팅처리하여 피막층(4)을 형성시킨 양말과:
상기 양말에 피부와 직접 접촉되지 않는 위치에는 원적외선 방사물질과 자성체를 접착제와 혼화하여 자성체 조성물(5)로 지압돌기(2)를 성형시키고, 피부와 직접 접촉이 이루어지는 위치에는 냄새제거와 살균 및 항균기능을 갖는 금속소재를 접착제와 혼화한 항균조성물(6)을 씌우므로 이중으로 조성물이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지압돌기(2)를 형성하도록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돌기형태의 조성물을 발바닥과 접촉되는 양말바닥에 성형시키므로 효과적으로 원적외선 방사와 보자력을 유지하여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살균과 항균 그리고 냄새제거기능을 갖는 소재의 항균 금속이온이 세균과 악취를 발생하는 가스와 직접접촉이 이루어지므로 효율적으로 살균과 냄새제거가 이루어지게 하는 항균기능을 갖는 양말과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한약재가 고르게 분포되어 성형된 돌기의 지압에 의한 피부의 자극과 함께 한약의 성분을 지속적으로 배출시키므로 한약재의 약효로서, 각종 질환의 치유력을 상승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항균기능을 갖는 양말과 그의 제조방법{A antibiotic skilled have a socks}
본 발명은 지압효과와 함께 원적외선의 방사와 자력선에 의한 원활한 혈액순환과 발이나 신발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고 생성된 세균의 살균과 세균의 생성을 막는 항균기능을 갖는 양말의 제조방법 및 양말바닥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말은 발에 착용하여 땀을 흡수하도록 하는데, 발에는 양말을 신은 상태에서 운동화나 구두 등의 신을 신으므로 공기의 유통이 원활하지 않아 다른곳 보다 많이 발생하는 땀에 의한 염분과 젓산 요소 등의 암모니아성 냄새와 함께 무좀균을 비롯한 많은 세균들이 서식하며, 특히 하절기에는 악취와 무좀 등에 의하여 많은 곤란함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 여 양말바닥에 냄새제거를 위한 구리분말을 비롯한 여러종류의 화합물 그리고 혈액순환에 도움을 주도록 산화철을 혼화한 혼합물에 PVC 등의 접착물을 이용하여, 발바닥에 위치하고 있는 수많은 경락과 혈처에 지압을 가하여 원활한 혈액순환과 피로회복에 도움을 주는 지압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다수의 돌기를 형성하여 피부에 자극이 가해지도록 하고 있다.
전통 동양의학의 경락(經絡)이론을 토대로 한 이 요법은 손이나 발끝의 경혈에 자석으로 자기장 에너지를 흘려 이들 환자를 치료할 수 있으며, 이 요법은 통증과 부작용이 거의 없이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어 발바닥에 위치한 피부의 반응점(경혈)은 인체 내부 장기와 각각 연관되어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요소를 토대로 한 기술로서, 종래에는 지압용으로 양말바닥면에 다수의 돌기를 형성한 양말로 일본공개실개소49-94895호 및 국내공개특허 제 89-1258호를 비롯하여 지압작용과 함께 살균, 혈류촉진 및 악취중화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돌기에 차아염소산나트륨, 자석화분말, 동분을 함유시킨 보건양말로 특허공고 제 89-5198호가 있다.
그리고 상기의 기술을 바탕으로 최근에는 특허공고 제 89-5198호를 개량시켜 개발한 "건강을 돕는 양말의 제조방법 및 양말바닥 혼착층 구조로 공고된 특허공고 제 92-9406호"와 "피부자극용 한약 및 자석 함유물로 공고된 특허공고 제 94-8968호"가 양말바닥에 돌기를 형성하여 접착된 상태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특허공고 제 92-9406호는 양말바닥면에 침투시키는 혼합물내에 세라믹분말, 수산화칼슘, 탄산칼슘, 린산동 및 극미량의 노닐산바닐아미드, 멘톨, 산화아연을 혼합, 첨가하여 살균작용, 혈류촉진, 악취중화작용과 함께 응결력을 보강하는 고무와 자력을 갖도록 산화철을 함유시켜 양말바닥의 내외면으로 돌출되지 않고 조직사이에 침투시켜 발바닥이 약한 사람에게 중증없이 지압작용과 함께 살균, 혈류촉진, 악취중화 작용을 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발명에서 원적외선에 의한 혈류를 촉진시키기 위한 소량의 세라믹분말과 냄새제거와 살균작용이 이루어지도록 수산화칼슘, 탄산칼슘, 린산동 등과 자성을 갖도록 산화철 그리고 접착을 위한 합성수지와 고무등을 혼화하여 양말바닥에 접착시켜 사용하고 있으나 상기 조성물의 농도가 너무 희박하여 소기의 효과를 거두기가 매우 곤란하도록 되어 있다.
즉, 원적외선이나 자력은 장애물의 투과가 가능하나, 살균과 악취의 중화 내지 소멸에 있어 소재와 세균이 직접 접촉이 되지 않게 되면 살균작용과 악취의 발생을 막을 수 없게 되는데, 조성물에서 살균작용과 악취의 발생을 막는 소재의 효과도 미약할 뿐만 아니라 농도가 희박하여 실질적으로 살균과 악취발생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리고, 피부자극용 한약 및 자석 함유물로 공고된 특허공고 제 94-8968호의 경우에도 일반 직조물이나 지류보다 상기와 같이 주로 양말에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한약에 약한 자극과 자력에 의한 치료를 동시에 할 수 있는 한약과 자석분을 바인더로 고형화한 것이다.
상기 발명에서 자력과 약물의 약효 발휘하도록 고형조성물을 제조하여 이 조성물로 인체의 피부 및 근육을 자극하여 질병의 치료와 건강을 증진하는 고형 조성물로 자석분과 인체의 질병치료용 또는 건강증진용 한약재와 세라믹, 동분 및 몰딩바인더로 구성하여 이에 외부로부터 자력을 주입하여 제조된다.
이 기술 역시 상기와 같이 원적외선에 의한 혈류를 촉진시키기 위한 세라믹분5-15%,과 질병치료를 위하여 당귀, 천궁, 청향, 환각향, 용의, 고맥반, 박하, 유근피, 해엽, 백지, 계피, 규석, 세신, 인삼, 등으로 이루어진 혼합율10-20%인 한약재와 살균과 냄새제거를 위한 미세동분5-15%, 그리고 자석분20-60%, 접착제로 몰딩바인더50-60%의 용량비로 이루어진 조성물로 혼화하여 양말바닥에 접착시켜 사용하고 있으나 이 역시 상기 조성물의 농도가 너무 희박하여 소기의 효과를 거두기가 매우 곤란하도록 되어 있다.
즉, 세라믹의 경우 소량으로 원적외선의 방출률이 그다지 높지 않으며, 혼화된 한약재도 접착제에 몰딩된 상태에서 원 재료를 그대로 사용하므로 미소한 양이 인체에 접촉으로 질병을 치유한다는 것은 효과를 기대하기는 곤란할 수밖에 없으며, 동분 역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살균과 악취의 중화 내지 소멸에 있어 상기와 같이 미소한 항균 소재와 세균이 직접 접촉이 되지 않게 되면 항균소재의 살균작용과 악취의 발생을 막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조성물에서 살균작용과 악취의 발생을 막는 소재의 농도가 희박하여 실질적으로 살균과 악취발생을 방지할 수 없으며, 한약에 의한 질환치료 역시 미흡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원적외선 방사와 보자력을 유지하여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살균과 항균 그리고 냄새제거기능을 갖는 항균금속이 이온화하여 세균과 악취를 발생하는 가스와 접촉이 이루어지므로 효율적으로 살균과 냄새제거가 이루어지게 하는 항균기능을 갖는 양말과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농축된 한약재가 고르게 분포되어 피부의 자극과 함께 한약의 성분을 지속적으로 배출시키므로 한약재의 약효로서, 각종 질환의 치유력을 상승시키도록 하는데 있다.
도 1는 본 발명에 의한 지압돌기와 섬유부분의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양말 2 : 지압돌기 3 : 섬유
4 : 피막층 5 : 자성체 조성물 6 : 항균조성물
세라믹과 구리와 아연 그리고 산화철과 한약재를 접착재와 혼화하여 이루어진 조성물을 양말의 바닥에 지압기능을 하도록 다수개의 자력을 갖는 돌기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도록 한 양말과 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일반 기본적인 한약재에서 유효성분을 추출여 흡수가 잘될 정도로 농축시킨 용액에 가공할 부분의 양말을 침지시킨 후에 건조시키는 제 1공정과;
상기와 같이 별도로 한약재를 입자상태로 농축시켜 분쇄한 한약재의 농축분말 중량비 5%와 코팅제 중량비15%와 용제 중량비 80%정도로 묽게 혼화한 다음 건조된 상태의 양말에 코팅처리하여 소결 시키는 제 2공정과;
상기 소결된 양말에 미세 분말상의 원적외선 방사체 중량비 25%와 미세 분말상의 자성체 중량비 25% 합성수지 접착제 중량비 50%로 혼화하여 1미리 두께로 조성물을 인쇄한 다음 열에 의하여 접착시키는 제 3공정과;
상기 양말에 미세 분말상의 은 중량비 15%, 미세 분말상 구리 중량비 10%와 미세 분말상의 아연 중량비 10%에 접착제 중량비 30%, 용제 35%로 혼화한 다음, 맥반석과 산화철 그리고 합성수지 접착물에 의하여 형성된 돌기상에, 도포시켜 건조시키는 제 4공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정중, 한약재에서 농축 액기스를 추출하여 양말에 침지시켜 건조하므로 한약추출물이 침투되어 건조된 상태의 섬유(3)에 상기 액기스를 농축시켜 분말화한 한약입상체와 접착제를 묽게 혼화하여 양말에 코팅처리여 피막층(4)을 형성시킨 양말과:
상기 양말에 피부와 직접 접촉되지 않는 위치에는 원적외선 방사물질과 자성체를 접착제와 혼화하여 자성체 조성물(5)로 지압돌기(2)를 성형시키고, 피부와 직접 접촉이 이루어지는 위치에는 냄새제거와 살균 및 항균기능을 갖는 금속소재를 접착제와 혼화한 항균조성물(6)을 씌우므로 이중으로 조성물이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지압돌기(2)를 형성하도록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조 공정별로 설명하면 제 1공정으로 일반 기본적인 한약재로 당귀, 천궁, 박하, 백지, 계피, 세신, 인삼 등의 약재를 사용하며 처방에 따라 가감하거나 추가하여 에타놀에 침지시키거나, 또는 물에 넣고 끓여 유효성분을 추출한 다음 흡수가 잘될 정도로 농축시킨 용액에 가공할 부분의 양말을 침지시킨 후에 건조시키므로 섬유3에는 한약이 농축된 상태로 내재된다.
양말의 섬유(3)에 침투될 정도로 한약의 농축된 용액에 가공할 부위를 침지시키므로 양말의 섬유(3)사이에 한약의 성분이 고르게 침투된 상태에서 건조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농축된 용액에 가열하여 양말이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온도로 섭씨 40도 - 100도 정도로 가온하면서 침지시키게 되면 농축도를 높인 상태로 직조된 양말의 섬유(3)에 용액의 침투가 가능하게 된다.
제 2공정으로 상기와 같이 별도로 한약재를 추출하여 입자상태로 농축시켜 500매쉬 이상으로 분쇄한 한약재의 농축분말을 중량비 5%와 코팅제 중량비15%와 용제 중량비 80%정도로 묽게 혼화한 다음 건조된 상태의 양말에 코팅 처리하여 소결시켜 피막층(4)을 형성하게 된다.
피막층(4)은 한약을 포함한 상태로 보관과 세탁 착용 등에 의하여도 오랜시간 약효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양말의 한약 처리된 부위에 접착제와 농축분말을 묽게 혼화하여 처리하므로 용제가 증발되고 나면 이때 한약재의 농축분말을 중량비 5%와 코팅제 중량비15%는 용제가 휘발하게 되면 한약재는 중량비 25%와 코팅제는 중량비75%가 되어 아주 얇은 상태로 코팅처리가 이루어지는데, 물에 녹지 않는 코팅제는 합성수지나 페인트계를 비롯하여 이외에도 다양한 여러종류가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섬유의 유연성과 통기성 흡수성 등을 손상시키지 않고 피막층(4)에 농축 한약의 분말을 통하여 통로가 형성되어 흡수와 배수가 이루어지며, 사용으로 인하여 서서히 농축 분말이 방출되면서 섬유에 침투되어 있던 약이 농축분말이 위치하던 구멍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양말의 수명이 다할때 까지 방출되는 것이다.
제 3공정에서 소결된 양말에 원적외선 방사체로 맥반석 분말을 1,200℃에서 소성처리하여 미세입자로 분쇄하여 입자의 크기는 500메쉬(mesh)이상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맥반석 중량비 25%와 미세 분말상의 산화철 중량비 25% 합성수지 접착제 중량비 50%정도로 혼화하여 프린트형태나 실크인쇄 등의 방법으로 약 0.3-3mm 정도의 두께, 폭3-10mm 정도로 자성체 조성물(5)을 인쇄한 다음 열에 의하여 접착시키게 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원적외선 방사체는 천연옥을 비롯하여 제올라이트 등을 비롯하여 수 없이 많은 종류의 것들이 있으나 그 중에서 맥반석은 원석보다 미세분말 입자에서 인체에 가장 유익한 원적외선 파장을 방출하고 있으며, 이것을 인체에 흡수시키면 탁월한 온열작용(체내온도 1.2~1.5℃ 상승)과 조직활성 에너지로 작용하여 미세혈관을 확장하고 혈액순환촉진 및 신진대사의 조정 등 매우 유익한 효능을 얻게 된다.
여기서 접착제는 일반공지기술로 다양한 접착제와 접착시키는 기술들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맥반석은 원적외선 방사율과 투과성이 높고 반영구적이며, 혈액순환을 촉진과 겨울에는 보온성과 여름에는 청량감을 가지게 되고 항균, 항곰팡이, 유해 전자파로부터 보호, 탈취 작용이 이루어지는데, 원적외선은 중간 매체 없이 직접적이고 순간적인 복사에너지를 전달한다.
원적외선 파장의 진동수가 인체분자의 진동수와 거의 같은 범위에 있기 때문에 인체에 투과되면 분자내에서 공명현상이 일어나 그 진동이 활발해지고 그러한 진동의 대부분이 열로 변하며, 일부에너지는 "활성화 에너지"로 작용한다.
또한 심달력이 있어 피하에 깊이 충분한 영향을 미쳐서 체내 작용을 활성화시켜서 피하심층의 온도 상승, 미세혈관의 확장, 혈액 순환의 촉진, 몸 속의 노폐물 배출, 신진대사 촉진, 체액장애 일소 조직재생능력증가, 지각신경의 이상흥분억제, 자율신경 기능 조정효과 등의 의료적 효과도 발휘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리고 자력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전통 동양의학의 경락(經絡)에 대한 이론을 토대로 한 이 요법은 발바닥에 많은 경혈이 위치하고 있어 이 경혈에 자기력을 가하여 경락과 연결된 장기조직의 자극과 원활한 혈액순환으로 인체의 활성화시키므로 부작용이 없이 건강한 상태를 유지시켜 줄수 있게 되는 것으로 자기는 효소를 활성화하며, 1300OG의 자장을 가하면 소화효소인 트립신의 활동이 촉진되고, 400OG의 자장을 가하면 뇌신경세포의 정보전달에 밀접하게 관계되는 아세틸크린 에스에라제라는 효소가 활성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자기가 너무 세면 신진대사의 질서를 흐트려 인체에 유해한 측면과 무해·유용한 측면 등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 너무 센 자기는 인체에 신진대사의 질서를 흐트러놓지만 적당한 자기는 오히려 원활한 신진대사로 질환을 치유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그리고 자기는 음과 양, 두 종류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음자기는 진정효과를 나타내며 육체의 기능을 편안하게 유도하여 신진대사를 정상화시키는 반면, 양자기는 스트레스를 유발시키는 작용을 하고, 양자기에 오래 노출되면 신진대사가 방해를 받아 주위 조직이 산성화되고, 휴면중이던 세균들이 활성화되면서 여러가지 질환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성체가 이방성이 형성되도록 자화 입력함에 있어, 착자기에 강한 DC전극을 가한 상태에서 자화처리를 하게 되면 전극의 위치에 따라 상, 하로 일정한 방향의 자극을 띠게 되는데, 음자기측이 신체에 접촉하는 면에 위치하도록 자력을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자기로 부터 자성체를 자화시키는데, 자성체를 산화철을 사용할 경우 산화철 함량과 용적에 다소 차이가 있으나 산화철 함량 25%, 직경 5mm, 높이 1.5mm의 상태에서 약 5.000가우스의 자력을 입력하였을 때 조성물이 띠고 있는 자력은 약 300가우스의 자력을 띠게 되었다.
이상과 같은 산화철에서의 경우 자력이 미약하여 일반적으로 사용하는데는 무방하나 치료용으로 보다 강한 자력을 띠게 할 경우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강한 자력을 띠는 희토류 원소인 세륨 Ce·사마륨 Sm과 코발트 Co 화합물(Ce Co6·Sm Co6 ·Sm2Co12)이나, 이트륨·코발트 화합물 YCo6 또는 네오디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수십배의 자기력을 띠게 할수 있어 치료용으로 강력한 자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 4공정으로, 항균 및 살균 금속인 미세 분말상의 은 중량비 15%, 악취제거용으로 미세 분말상 구리 중량비 10%와 미세 분말상의 아연 중량비 10%에 접착제 중량비 30% 용제 35%로 혼화한 다음 맥반석과 산화철 그리고 합성수지 접착물에 의하여 형성된 돌기(2)상에 도포시켜 건조시켜 항균조성물(6)층을 형성한다.
발에서 주로 발생되는 땀에는 지질(脂質)이나 단백질 등의 유기물이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분비된 신선한 땀에는 냄새가 없으나 피부 표면으로 이동하는 도중에 이들 유기물이 피부의 정상세균층(正常細菌叢)에 의해 분해되어 불쾌한 냄새로 변한다.
즉, 발에서 발생되는 악취는 주로 이 냄새에 기인하는데, 땀의 분비생성물로는 카프르산·카프로산·이소발레르산·부티르산 등의 저급지방산 및 메르캅탄·아민·암모니아 등으로 통기가 잘 되지 않는 상태에서 피부의 정상세균층에 의해서 분해되어 상당한 악취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은의 경우는 강력한 살균작용으로 세균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구리와 아연은 항균기능과 함께 악취와 화학반응을 일으켜 악취를 제거하여 주는 작용을 하게 되는데, 세균을 양말의 돌기에서 미량 해이된 항균금속이온(Ag+, Zn2+, Cu2+)의 확산에 의해 세포막에 도달하고, 세포막 등의 단백질에 흡착됨과 동시에 세포의 구조를 파괴하게 된다.
이때 발생된 악취와 세균은 세포막 및 효소 등의 단백질에 흡착된 항균금속이온이 아미노산인 Cystein의 -SH기에 결합하여, 세포의 에너지 대사를 저해하고 무해한 황화물로 전환된다.
즉, 항균조성물(6)은 항균 금속인 은 중량비 15%과 항균과 악취제거용으로 구리 중량비 10%와 아연 중량비 10%에 접착제 중량비 30% 용제 35%로 혼화한 상태에서 35%의 용제가 휘발하고 나면 각각 은이 중량비 약 23%, 구리 중량비 15%와 아연 중량비 15%에 접착제 중량비 46%로 증가되어 항균금속의 밀도가 높아져 강력한 항균력을 발휘하게 된다.
제 5공정에서는 통상과 같이 건조된 양말을 착자기에 통과시켜 산화철을 자화시키는데, 이는 제 3공정에 설명한 바와 같다.
따라서 각기 조성물의 사용범위는 다음과 같이 체질과 조건에 의하여 하기의 비율에 따라 가감하여 조합하게 된다.
실시예로서 제 2공정에서 (중량비)
한약재 농축된 미세분말 5 - 40%
접착제 10 - 80%
용제 30 - 85%
실시예로서 제 3공정에서 (중량비)
원적외선 방사체 분말 20 - 40%
자성체 20 - 40%
접착제 40 - 60%
실시예로서 제 4공정에서 (중량비)
은 분말 10 - 40%
구리 분말 5 - 25%
아연 분말 5 - 25%
접착제 30 - 80%
용제 20 - 50%
이상과 같이 이루어지는 조성물은 양말에 접착제를 비롯한 조성물로 지압돌기(2)를 형성하여 지압돌기(2)에 자력과 원적외선 방사 그리고 지압에 의한 발과 경락으로 연결된 신체각관을 활성화시켜서 혈액순환의 촉진 등의 효과와 항균금속을 이용한 세균발생과 악취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특징적인 요소로 양말(1)로 부터 한약의 성분이 지속적으로 방출되어 치료효과를 높이도록 하는 농축된 한약재가 포함된 섬유(3)에 농축된 한약분말이 혼화하여 이루어진 피막층(4)을 형성하고, 투과력이 좋은 원적외선과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성체 조성물(5)은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형성된 지압돌기(2)의 내부에 그리고 항균금속이 포함된 항균조성물(6)은 지압돌기(2)의 외측에 위치하도록하여 밀도를 높이므로 각기의 조성물에 포함된 소재들이 효율적으로 작용하게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돌기형태의 조성물을 발바닥과 접촉되는 양말바닥에 성형시키므로 효과적으로 원적외선 방사와 보자력을 유지하여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살균과 항균 그리고 냄새제거기능을 갖는 소재의 항균 금속이온이 세균과 악취를 발생하는 가스와 직접접촉이 이루어지므로 효율적으로 살균과 냄새제거가 이루어지게 하는 항균기능을 갖는 양말과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한약재가 고르게 분포되어 성형된 지압돌기의 지압에 의한 피부의 자극과 함께 한약의 성분을 지속적으로 배출시키므로 한약재의 약효로서, 각종 질환의 치유력을 상승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세라믹과 구리와 아연 그리고 산화철과 한약재를 접착제와 혼화하여 이루어진 조성물을 양말의 바닥에 지압기능을 하도록 다수개의 자력을 갖는 돌기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도록 한 양말과 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일반 기본적인 한약재에서 유효성분을 추출여 흡수가 잘될 정도로 농축시킨 용액에 가공할 부분의 양말을 침지시킨 후에 건조시키는 제 1공정과;
    상기와 같이 별도로 한약재를 입자상태로 농축시켜 분쇄한 한약재의 농축분말 중량비 5%와 코팅제 중량비15%와 용제 중량비 80%정도로 묽게 혼화한 다음 건조된 상태의 양말에 코팅 처리하여 소결 시키는 제 2공정과;
    상기 소결된 양말에 미세 분말상의 원적외선 방사체 중량비 25%와 미세 분말상의 자성체 중량비 25% 합성수지 접착제 중량비 50%로 혼화하여 1미리 두께로 조성물을 인쇄한 다음 열에 의하여 접착시키는 제 3공정과;
    상기 양말에 미세 분말상의 은 중량비 15%, 미세 분말상 구리 중량비 10%와 미세 분말상의 아연 중량비 10%에 접착제 중량비 30%, 용제 35%로 혼화한 다음, 맥반석과 산화철 그리고 합성수지 접착물에 의하여 형성된 지압돌기상에, 도포시켜 건조시키는 제 4공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기능을 갖는 양말과 그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중, 한약재에서 농축 액기스를 추출하여 양말에 침지시켜 건조하므로 한약추출물이 침투되어 건조된 상태의 섬유(3)에 상기 액기스를 농축시켜 분말화한 한약입상체와 접착제를 묽게 혼화하여 양말에 코팅처리하여 피막층(4)을 형성시킨 양말과:
    상기 양말에 피부와 직접 접촉되지 않는 위치에는 원적외선 방사물질과 자성체를 접착제와 혼화하여 자성체 조성물(5)로 지압돌기(2)를 성형시키고, 피부와 직접 접촉이 이루어지는 위치에는 냄새제거와 살균 및 항균기능을 갖는 금속소재를 접착제와 혼화한 항균조성물(6)을 씌우므로 이중으로 조성물이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지압돌기(2)를 형성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기능을 갖는 양말과 그의 제조방법.
KR1020000031486A 2000-06-05 2000-06-05 항균기능을 갖는 양말과 그의 제조방법 KR100346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1486A KR100346801B1 (ko) 2000-06-05 2000-06-05 항균기능을 갖는 양말과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1486A KR100346801B1 (ko) 2000-06-05 2000-06-05 항균기능을 갖는 양말과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4491A true KR20000054491A (ko) 2000-09-05
KR100346801B1 KR100346801B1 (ko) 2002-07-27

Family

ID=19671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1486A KR100346801B1 (ko) 2000-06-05 2000-06-05 항균기능을 갖는 양말과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680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4918A (ko) * 2001-04-11 2001-09-07 권영길 냄새제거용 양말의 제조방법
KR20020072376A (ko) * 2001-03-09 2002-09-14 최병인 희토화합물을 이용한 악취제거용 양말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52226A (ko) * 2001-12-20 2003-06-26 박서현 기능성 양말 제조
KR100419478B1 (ko) * 2001-01-12 2004-02-21 김관배 항균양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48094B1 (ko) * 2001-12-20 2004-09-13 주식회사 이이엠 유해 전자파 흡수 중화기능을 갖는 매트용 지압부재
CN104172477A (zh) * 2014-07-30 2014-12-03 浙江久渔针纺织有限公司 一种袜子
CN107173855A (zh) * 2017-07-05 2017-09-19 邸鹏飞 一种抗菌按摩保健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677B1 (ko) * 2005-03-25 2007-07-30 (주) 이노삭스 항균,탈취제조성물이 도포된 항균,탈취양말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7296U (ko) * 1987-07-03 1989-01-17
US5112860A (en) * 1989-11-16 1992-05-12 Basf Aktiengesellschaft Thiocarboxylic esters and fungicides containing them
KR920009406A (ko) * 1990-11-14 1992-06-25 윤을병 화상 치료제
KR950005909B1 (ko) * 1992-10-05 1995-06-07 김록곤 안전띠 권취력 자동 제어 장치
KR200167034Y1 (ko) * 1999-07-16 2000-02-15 최병락 숯이첨가된건강보조용인체자극물을형성한의류
KR200176636Y1 (ko) * 1999-10-07 2000-04-15 이동재 건강보조용 인체자극물체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478B1 (ko) * 2001-01-12 2004-02-21 김관배 항균양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20072376A (ko) * 2001-03-09 2002-09-14 최병인 희토화합물을 이용한 악취제거용 양말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84918A (ko) * 2001-04-11 2001-09-07 권영길 냄새제거용 양말의 제조방법
KR20030052226A (ko) * 2001-12-20 2003-06-26 박서현 기능성 양말 제조
KR100448094B1 (ko) * 2001-12-20 2004-09-13 주식회사 이이엠 유해 전자파 흡수 중화기능을 갖는 매트용 지압부재
CN104172477A (zh) * 2014-07-30 2014-12-03 浙江久渔针纺织有限公司 一种袜子
CN107173855A (zh) * 2017-07-05 2017-09-19 邸鹏飞 一种抗菌按摩保健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6801B1 (ko) 2002-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6706A (en) Sheet material of germanium and ceramic for skin contact medical treatment
KR100346801B1 (ko) 항균기능을 갖는 양말과 그의 제조방법
CN107596574A (zh) 一种用于祛寒暖宫和调理痛经用的护理片
CN105708254B (zh) 功效性磁疗睡袋
KR100419478B1 (ko) 항균양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53341B1 (ko) 황토를 주재로 하는 건강 파스
KR20090010342A (ko) 신체 기능 활성화용 볼 조성물
KR200213939Y1 (ko) 원적외선 방사용 볼이 내장된 파스
KR200414803Y1 (ko) 자석과 세라믹을 포함하는 건강밴드
KR100825126B1 (ko) 자력, 음이온 및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의료용 이온 단자제조방법
CN105568424A (zh) 功能性养生保健磁疗被褥
JP2001187155A (ja) トルマリンを含む磁気治療シート
JP4878827B2 (ja) 四肢改善具
CN110627477A (zh) 一种无机宽波远红外复合环保材料
KR102469919B1 (ko) 영구자석을 이용한 고효율의 건강증진용 복합기능 자석조립체 제조방법
KR200421303Y1 (ko) 신발깔창
CN1116835C (zh) 远红外线磁性保健领带
JP2001218790A (ja) 人体貼付用治療具
KR200413695Y1 (ko) 신발깔창
KR200408253Y1 (ko) 마스크
KR101937297B1 (ko) 손목시계용 건강 밴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손목시계용 건강 밴드
KR200420641Y1 (ko) 신발깔창
KR200182013Y1 (ko) 건강 내의
KR100348158B1 (ko) 음이온과 원적외선 방사물질의 제조방법
JP2004180864A (ja) 健康増進貼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