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5909B1 - 안전띠 권취력 자동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안전띠 권취력 자동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5909B1
KR950005909B1 KR1019920023367A KR920023367A KR950005909B1 KR 950005909 B1 KR950005909 B1 KR 950005909B1 KR 1019920023367 A KR1019920023367 A KR 1019920023367A KR 920023367 A KR920023367 A KR 920023367A KR 950005909 B1 KR950005909 B1 KR 950005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haft
arm
fixed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3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8968A (ko
Inventor
김록곤
Original Assignee
김록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록곤 filed Critical 김록곤
Priority to KR1019920023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5909B1/ko
Publication of KR940008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5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9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4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안전띠 권취력 자동 제어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띠 권취력 자동 제어 장치를 도시한 일부 절단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일측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에서 제어부를 도시한 확대도.
제4도는 제3도에서 캡의 동작에 따른 전원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a)도는 시동 전의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b)도는 시동 후의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l : 프레임 2 : 모터
3 : 위엄 4, 10 : 고정축
5 : 구동 기어 6 : 아암
7, 13, 22 : 축 8 : 전단 기어
9 : 캠 11 : 캠 기어,
12 : 스위치 13 : 가이드 축
14 : 장공 15 : 간지축
16 : 감지 아암 17 : 이완 스위치
18 : 긴장 스위치 19 : 축
20 : 토션 스프링 21 : 돌기
23 : 스프링 24 : 마찰 기어
25 : 마찰재 26 : 압축스프링
본 발명은 권취력 자동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안전띠에 사용되는 권취력자동 제어 장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차체와 새시로 구분되는 바, 상기한 새시는 엔진, 동력 전달 장치, 스티어링 장치, 서스펜션등 실질적으로 자동차의 운행을 담당하는 부분이고, 싱기한 차체는 프레임과 계기판, 시이트등을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한 시이트에는 차량의 충돌등에 대비하여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띠가 설치되어 있고, 이는 차량의 충돌 및 급 제동시 잠기게 됨으로써 탑승자가 차량의 외부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탑승자를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안전띠는 리트랙터에 의해 항상 탄성 지지되는 바, 이는 안전띠가 권취되는 리일과, 상기한 리일을 탄성 지지하는 태엽 스프링과, 상기한 리일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긴급 제동 수단으로 구성되어 안전띠가 규정 이상의 속도로 인출될 경우 긴급 제동 수단이 안전띠를 제동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한 긴급 제동 수단은 안전띠의 인출 속도를 가미함으로써 급제동시 탑승자를 보호하게 되는 바, 평상시에는 리트랙터에 포함된 태엽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탑승자가 항상 압박을 받고 있는 상태가 된다.
그래서, 종래에는 탑승자가 상기한 태엽 스프링의 탄성에 블쾌감을 느껴 착용을 기피하게 되어 탑승자의 안전 보장이 어렵게 되기 때문에 이를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 출원 번호 제92-18164호에 개시된 안전띠 권취력 자동 제어 장치가 개발되었다.
상기한 안전띠 권취력 제어 장치는 캠의 회동을 제어하기 위해서 캠기어와 구동 기어를 치합시켜야 하고, 구동 기어에 컴 기어를 치합시키기 위하여 캠을 미동시키는 수단이 필요하게 되며, 그 수단으로 캠에는 마찰재가 전달 기어의 측면부에 밀착되게 설치되어 전달 기어가 회동될 때 마찰력으로 캠이 미동하여 캠기어와 구동 기어가 치합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한 안전띠 권취력 자동 제어 장치는 마찰재가 전달 기어의 측면부에서 항상 일정한 마찰력을 발생시켜야 정확한 작동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마찰재의 마찰력으로 전달 기어를 구동함은 마찰재와 전달 기어의 사이 캠이 항상 일정하게 되어야 하기 때문에 조립상의 오차 또는 가공 상의 오차등으로 인하여 오동작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각 부품을 정밀하게 가공함은 이에 따른 가공비의 증가로 원가 상승의 부담이 증가되고, 권취력 감지부와 권취력 제어부가 분리 설치됨으로써 부품수가 증가되어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조를 단순화하여 원가 부담을 감소시키고, 오동작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띠 권취력 자동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레임에 설치된 모터와, 상기한 모터에 설치된 워엄과, 상기한 워엄에 치합되어 있고 고정축에 힌지 고정되어 있는 구동 기어와, 상기한 구동 기어에 치합되고 리트랙터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피동 기어에 간헐 치합되며 고정축을 힌지로 하는 아암에 축으로 고정된 전달기어와, 상기한 축이 내재되도록 캠이 형성된 캠 기어의, 상기한 캠 기어 저면에 삽입된 마찰재와, 상기한 마찰재 하부에 위치되어 구동 기어와 치합된 마찰 기어와, 상기한 마찰 기어를 저면에서 지지하는 압축 스프링과, 상기한 아암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설치된 스위치와, 상기한 전달 기어의 일측에 설치된 가이드 축을 힌지로 하여 장공에 삽입된 감지축이 설치되고 일측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던 감지 아암과, 상기한 감지 아암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대향 설치된 긴장. 이완 스위치와, 상기한 가이드 축의 일측 프레임에 설치된 다수의 축과, 상기한 축에 일측이 걸리고 타측이 감지 아암에 걸쳐 항상 감지 아암에 탄성을 인가하는 토션스프링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와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띠 권취력 제어 장치를 도시한 일부 절단 정면도와 일측면도로서, 프레임(1)에 설치된 모터(2)와, 상기한 모터(2)에 설치된 워엄(3)과, 상기한 워엄(3)에 치합되어 있고 고정축(4)에 힌지 고정되어 있는 구동 기어(5)와, 상기한 구동 기어(5)에 치합되고 리트랙터(R)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피동 기어(G)에 간헐 치합되며 고정축(4)을 힌지로 하는 아암(6)에 축(7)으로 고정된 전달 기어(8)와, 상기한 축(7)이 내재되도록 캠(9)이 형성되고 고정축(10)으로 고정된 캠 기어(l1)와, 상기한 아암(6)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설치된 스위치(12)와, 상기한 전달 기어(8)의 일측에 설치된 가이드 축(13)을 힌지로 하여 장공(14)에 감지축(15)이 설치된 감지 아암(16)과, 상기한 감지 아암(16)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설치된 긴장, 이완 스위치(17, 18)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가이드 축(13)의 일측 프레임(1)에 설치된 다수의 축(19)과, 상기한 축(l9)에 일측이 걸리고 타측이 감지 아암(16)에 걸려 항상 감지 아암(l6)에 탄성을 인가하는 토션 스프링(20)과, 상기한 감지 아암{16)에 형성되어 회동시 이완 스위치(18)를 압박하는 돌기(21)와, 상기한 프레임(1)에 형성된 축(22)과 아암(6)의 일측을 연결한 스프링(23)으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한 프레임(1)의 일측에는 긴급 제동 수단(B)이 설치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스프링 개재통(S)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스프링 개재통(S)에서 인출된 안전띠(BE)는 가이드 축(13)과 감지축(15)을 엇갈리도록 지나게 되어 있다.
특히, 상기한 캠 기어(11)의 캠(9)은 예를 들어 모터(2)가 시계 방향 회전시 피동 기어(G)와 전달 기어(8)를 접촉시키고, 반시계 방향 회전시 분리시켜 안전띠(BE)의 인출을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캠 기어(11)는 구동 기어(5)의 회전시 슬립해야 하기 때문에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과, 상기한 프레임(1)에 설치된 고정축(4)과, 상기한 고정축(4)에 설치된 마찰 기어(24)와, 상기한 마찰 기어(24) 상부에 안착된 마찰재(25)와, 상기한 마찰재(25) 상부에 설치된 캠 기어(11)와, 상기한 프레임(1)과 마찰 기어(사)의 사이에 위치되어 마찰 기어(24)를 상부로 밀어 올리는 압축 스프링(26)으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한 캠 기어 (11)의 캠(9)에는 아암(6)에 고정됨과 아울러 전달 기어(8)가 고정된 축(7)이 개재되는 상태가 되고, 상기한 전달 기어(8)에는 구동 기어(5)가 치합되어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탑승자가 차에 탑승한 후 시동키를 키홀에 삽입하게 되면 도시되지 않은 센서와 스위치에 의하여 모터(2)에 전원이 인가된다.
모터(2)에 전원이 인가되면 피동 기어(G)와 전달 기어(8)가 분리되는 방향 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모터(2)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워엄(3)과 구동 기어(5)가 회전하여 마찰 기어(24)와 전달 기어(8)를 동시에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모터(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4도의 (a) 상태에서 (b) 상태로 전환되는 바, 이는 구동 기어(5)와 치합된 전달 기어(8)는 피동 기어(G)에 의해 회전되지 못하는 상태에서 구동 기어(5)가 마찰 기어(24)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한 마찰 기어(24)는 마찰재(25)를 통해 캠 기어(11)를 회전시키게 된다.
캠 기어(11)가 회전되면 전달 기어(8)의 회전축인 축(7)이 캠(9)의 팔로워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전달 기어(8)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피동 기어(G)와 분리되고, 전달 기어(8)가 회전되면 상기한 전달 기어(8)가 고정된 아암(6)이 회전되면서 일정 회전각시에는 아암(6)이 스위치(12)를 압박하게 된다.
스위치(12)가 압박되면 모터(2)에 전원이 차단되고 모터(2)와 연결된 구동 기어(5)가 고정된 상태가 됨으로써 캠 기어(11)와 전달 기어(8)는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시이트(미 도시)에 착석한 탑승자는 안전띠(BE)를 잡아 당겨 몸에 걸친 후 안전띠 버클(미 도시)을 버클 스톡(미 도시)에 삽입하게 되는 바, 상기한 버클 스톡에는 도시되지 않은 스위치가 설치되어 안전띠(BE)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스위치가 안전띠(BE)의 착용을 감지하게 되면 다시 모터(2)에 전원이 연결됨과 아울러 모터(2)가 역전되어 구동 기어(5)를 역 회전시킴으로써 캠 기어(11)가 역 회전하여 다시 전달 기어(8)와 피동 기어(G)를 치합시키게 된다.
이 상태에서 안전띠(BE)가 탑승자를 필요 이상 즉, 설정 압력 이상으로 압박하게 되면 안전띠(BE)가 팽팽하게 당겨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감지 축(15)이 압박됨과 아울러 토션 스프링(20)으로 지지되는 감지 아암(16)이 가이드 축(13)을 힌지축으로 하여 도면에서 우측으로 회전 이동하게 된다.
물론, 상기한 안전띠(BE)의 압박력은 스프링 개재통(S)에 설치된 태엽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감지 아암(16)이 우측으로 이동하면 압박된 상태인 이완 스위치(18)는 해제되고, 전압 스위치(17)가 감지 아암(16)에 의해 압박되면서 접촉되어 모터(2)를 안전띠(BE)가 이완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즉, 구동 기어(5)와 전달 기어(8)가 회전되면서 피동 기어(G)를 안전띠(BE)가 이완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태엽 스프링의 탄성을 극복하고 안전띠(BE)를 풀게 되는 것이다.
안전띠(BE)가 풀러면 감지 아암(16)이 다시 토션 스프링(20)의 탄성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긴장 스위치(17)의 접촉이 해제되어 모터(2)를 그 상태에서 정지시킴으로써 탑승자가 안전띠(BE)에 의해 압박력을 반는 것을 최소화시킨 상태에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안전띠(BE)의 이완 시에는 이완 스위치(18)가 접촉됨으로써 모터(2)를 역 방향으로 회전시켜 안전띠(BE)를 감게 됨으로써 안전띠(BE)를 적절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안전띠(BE)의 압박력은 토션 스프링(20) 일측을 지지하는 다수의 축(l9)에 선택 지지하게 함으로서 조절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절된 상태의 안전띠(BE)는 차량의 급 제동시에는 긴급 제동 수단(B)이 작용함으로써 안전띠(BE)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안전띠의 역활을 하면서 탑승자에 가해지는 압박력을 자동으로 조절 가능하게 함으로써 탑승자의 불쾌감을 감소시키고, 제어부와 감지부를 통합하여 부품수를 절감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프레임(1)에 설치된 모터(2)와, 상기한 모터(2)에 설치된 워엄(3)과, 상기한 워엄(3)에 치합되어 있고 고정축(4)에 힌지 고정되어 있는 구동 기어(5)와, 상기한 구동기어(5)에 치합되고 스프링 개재통(S)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피동 기어(G)에 간헐 치합되며 고정축(4)을 힌지로 하고 일측단에 프레임(1)에 고정된 축(22)과 연결된 스프링(23)으로 지지되는 아암(6)에 축(7)으로 고정된 전달 기어(8)와, 상기한 축(71)이 내재되도록 캠(9)이 형성된 감 기어(11)와, 상기한 캠 기어(11) 저면에 삽입된 마찰재(25)와, 상기한 마찰재(25) 하부에 위치되어 구동 기어(5)와 치합된 마찰 기어(24)와, 상기한 마찰 기어(24)를 저면에서 지지하는 압축 수프링(26)과, 상기한 아암(6)의 회선을 감지하도록 설치된 스위치(12)와, 상기한 전달 기어(8)의 일측에 설치된 가이드 축(13)을 힌지로 하여 장공(14)에 삽입된 감지축(15)이 설치되고 일측에 돌기(2l)가 형성되어 있는 감지 아암(16)과, 상기한 감지 아암(16)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대향 설치된 긴장, 이완 스위치(17, 18)와, 상기한 가이드 축(13)의 일측 프레임(1)에 설치된 다수의 축(20)과, 상기한 축(20)에 일측이 걸리고 타측이 감지 아암(16)에 걸려 항상 감지 아암(16)에 탄성을 인가하는 토션 스프링(20)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띠 권취력 제어 장치.
KR1019920023367A 1992-10-05 1992-12-05 안전띠 권취력 자동 제어 장치 KR950005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3367A KR950005909B1 (ko) 1992-10-05 1992-12-05 안전띠 권취력 자동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18164 1992-10-05
KR92-18164 1992-10-05
KR1019920023367A KR950005909B1 (ko) 1992-10-05 1992-12-05 안전띠 권취력 자동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8968A KR940008968A (ko) 1994-05-16
KR950005909B1 true KR950005909B1 (ko) 1995-06-07

Family

ID=67225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3367A KR950005909B1 (ko) 1992-10-05 1992-12-05 안전띠 권취력 자동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59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6801B1 (ko) * 2000-06-05 2002-07-27 김관배 항균기능을 갖는 양말과 그의 제조방법
KR100438109B1 (ko) * 2001-06-25 2004-07-02 장외태 건강을 돕도록 양말의 바닥에 부착한 돌기부의 조성물
KR101349322B1 (ko) * 2008-04-16 2014-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벨트의 텐션 리듀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8968A (ko) 1994-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4332205C2 (de) Dreipunkt-Sicherheitsgurt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JPH0245097Y2 (ko)
JP3951251B2 (ja) 制御可能な力制限装置を有する自動車のための安全装置
US2004008975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reversible belt tensioner
KR20070073892A (ko) 시트 벨트 리트랙터
US20050173580A1 (en) Safety belt retractor having a pretensioning device
GB2314535A (en) Belt roller with damped force limiter
KR19990082070A (ko) 종합 차량 탑승자 에너지 조정 시스템 및 방법
US20010017330A1 (en) Seat belt retractor
JP2008515692A (ja) 車両内の乗員保護に利用されるシートベルトを引き締め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20010030093A1 (en) Device for operating a parking brake
US4840325A (en) Seat belt tightening device
US20050284976A1 (en) Method for operating a belt retractor and a belt retractor for a safety belt
KR950005909B1 (ko) 안전띠 권취력 자동 제어 장치
JP3886088B2 (ja) 乗員拘束保護装置
JP2004518570A (ja) ベルト緊張装置を持つ安全ベルト巻取り機
US4858953A (en) Apparatus for driving an intermediate portion of webbing
US4772046A (en) Seat belt tensioning arrangement for automotive vehicles
JPH04314651A (ja) シートベルトの緊締力制御装置
US4363501A (en) Passive type vehicle occupant restraint belt system
US20130256445A1 (en) Safety belt retractor having a pretensioning device
JPH0215000Y2 (ko)
JPH0246420B2 (ko)
KR0181193B1 (ko) 시트 벨트 텐셔너
KR970001748B1 (ko) 안전 벨트 리트랙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