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3772A - 디지털 전화 가입자의 컴퓨터와 사설 교환기간의 정합장치 및 그를 구비한 사설 교환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전화 가입자의 컴퓨터와 사설 교환기간의 정합장치 및 그를 구비한 사설 교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3772A
KR20000053772A KR1020000018403A KR20000018403A KR20000053772A KR 20000053772 A KR20000053772 A KR 20000053772A KR 1020000018403 A KR1020000018403 A KR 1020000018403A KR 20000018403 A KR20000018403 A KR 20000018403A KR 20000053772 A KR20000053772 A KR 20000053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signal
voice signal
lin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8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1738B1 (ko
Inventor
김영일
Original Assignee
현해남
주식회사 이씨에스 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해남, 주식회사 이씨에스 텔레콤 filed Critical 현해남
Priority to KR1020000018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1738B1/ko
Publication of KR20000053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3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1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17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005Interface circuits for subscriber lines
    • H04M3/007Access interface units for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speech and data, e.g. digital subscriber line [DSL] access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58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main exchange and sub-exchange or satelli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사설 교환 시스템은 디지털 음성 신호와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디지털 라인 신호를 기설정된 제1 접속 방식으로 송수신하는 사설 교환기와, 상기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를 기설정된 제2 접속 방식으로 송수신하는 컴퓨터와, 음성을 필터링하여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과, 상기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음성으로 재생하는 수단과, 상기 사설 교환기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 상기 컴퓨터, 상기 생성 수단 및 상기 재생 수단에 접속된 정합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정합 수단은 상기 디지털 가입자 회선으로부터 상기 제1 접속 방식으로 수신한 상기 디지털 라인 신호 중 상기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접속 방식으로 상기 컴퓨터에 송신하며,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를 상기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재생 수단에 송신하고, 상기 생성 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컴퓨터로부터 상기 제2 접속 방식으로 수신한 상기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와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를 상기 디지털 라인 신호로 포맷팅하여 상기 디지털 가입자 회선으로 송신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전화 가입자의 컴퓨터와 사설 교환기간의 정합 장치 및 그를 구비한 사설 교환 시스템{INTERFACING APPARATUS BETWEEN A DIGITAL PHONE SUBSCRIBER PC AND A PRIVATE BRANCH EXCHANGE AND PRIVATE BRANCH EXCHANGE HAVING THE APPARATUS}
본 발명은 사설 교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털 전화 가입자에게 사설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디지털 전화 가입자의 PC를 사설 교환기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에 접속하는 정합장치 및 그를 구비한 사설 교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설 교환 시스템은 회사, 학교와 같은 일정한 구역 내의 전화 가입자간에 전화국을 통하지 않고 사설 교환기만을 통하여 통화할 수 있게 하는 기본적인 기능과 다양한 사설 교환 서비스를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예를 들면, 사설 교환 시스템은 원래의 전화번호보다 짧은 내선번호만을 사용하여 가입자간에 전화 통화를 가능하게 해주는 기능 등을 제공한다.
한편, 아날로그 사설 교환 서비스에 비해 양호한 품질의 통화와 다양한 디지털 사설 교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디지털 가입자 회선을 구비한 사설 교환기를 포함한 사설 교환 시스템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데, 이러한 사설 교환 시스템의 디지털 전화 가입자는 키폰과 같은 디지털 전화기를 디지털 가입자 회선에 접속시켜 디지털 사설 교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전화 가입자가 자신의 PC를 사용하여 업무를 수행하는 경우가 점차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사설 교환 시스템에서 이러한 가입자가 디지털 사설 교환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자신의 PC를 통해서는 불가능하였고 디지털 전화기만을 사용하였었다. 이는 디지털 가입자 회선의 접속 방식이 아날로그 가입자 회선의 접속 방식과 달리 표준화되어 있지 않아서 가입자 PC를 사설 교환기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에 접속을 할 수가 없기 때문이었다.
그러므로, 디지털 전화 가입자가 디지털 전화기 대신, 예를 들면, 수화기(이어폰)와 송화기(마이크)가 장착된 헤드셋을 착용하고 자신의 PC에 설치된 전화 기능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디지털 사설 교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정합 장치의 필요성이 증대되어 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전화 가입자가 디지털 전화기 대신 자신의 PC를 사용하여 사설 교환기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에 접속함으로써 디지털 사설 교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 정합 장치 및 그를 구비한 사설 교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사설 교환 시스템에 있어서,
디지털 음성 신호와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디지털 라인 신호를 기설정된 제1 접속 방식으로 송수신하는 사설 교환기와,
상기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를 기설정된 제2 접속 방식으로 송수신하는 컴퓨터와,
음성을 필터링하여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과,
상기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음성으로 재생하는 수단과,
상기 사설 교환기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 상기 컴퓨터, 상기 생성 수단 및 상기 재생 수단에 접속된 정합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정합 수단은
상기 디지털 가입자 회선으로부터 상기 제1 접속 방식으로 수신한 상기 디지털 라인 신호 중 상기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접속 방식으로 상기 컴퓨터에 송신하며,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를 상기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재생 수단에 송신하고, 상기 생성 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컴퓨터로부터 상기 제2 접속 방식으로 수신한 상기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와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를 상기 디지털 라인 신호로 포맷팅하여 상기 디지털 가입자 회선으로 송신하는 사설 교환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설 교환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정합 장치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사설 교환기
3: PC 정합 장치
4: PC
5: 헤드셋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정합 장치를 사용하여 디지털 전화 가입자가 PC(personal computer)를 사설 교환기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에 접속하여 사설 교환 서비스를 제공받는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설 교환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로서, 디지털 전화기(1), 사설 교환기(2), PC 정합 장치(3), PC(4), 헤드셋(head-set)(5)을 포함한다.
디지털 전화기(1)는 액정 화면과 숫자 및 기능 버튼을 구비한 키폰(key-phone)과 같은 전화기로서, 가입자(도시되지 않음)가 디지털 사설 교환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사용되는 전화기이다.
사설 교환기(2)는 전용 프로토콜 및 신호 규격을 사용하는 접속 방식으로 디지털 전화기(1)가 접속될 수 있는 디지털 가입자 회선을 구비한 사설 교환기로서, 내선 교환 서비스를 포함한 다양한 디지털 전화 서비스를 가입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설 교환기(2)는 노텔 네트웍스(Nortel Netwroks)사의 메리디안 1(Meridian 1) 기종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디지털 가입자 회선에서 전송되는 디지털 음성 신호와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디지털 라인 신호는 BPRZ-AMI(Bipolar Return-to-Zero-Alternate Mark Inversion) 방식으로 코딩되고 전송 속도는 512 Kbps이다.
PC 정합 장치(3)는 사설 교환기(2)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에 접속하여 디지털 라인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PC 정합 장치(3)는 PC(4)에 접속하여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고 헤드셋(5)에 접속하여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송수신한다. 즉, PC 정합 장치(3)는 디지털 라인 신호에서 분리된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는 디지털 전화 PC(4)로 전송하고 분리된 디지털 음성 신호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헤드셋(5)에 전송한다. 그 반대로, 헤드셋(5)으로부터 전송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전화 PC(4)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와 함께 디지털 라인 신호로 포맷팅한다. 예를 들면, PC 정합 장치(3)와 PC(4)는 57.6 Kbps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갖는 RS-232C 방식으로 접속한다.
디지털 전화 가입자의 PC(4)는 디지털 전화 가입자에게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고 디지털 전화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전화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실행시킬 수 있는 PC이다. 예를 들면, 디지털 전화 가입자는 디지털 전화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이를 실행한 후 디지털 전화기 형태가 모니터 상에 디스플레이되면 실제 디지털 전화기의 버튼을 누르는 것처럼 모니터 상의 버튼을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클릭하여 통화를 포함한 모든 디지털 전화기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PC(4)는 클릭된 버튼에 따라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RS-232C 방식으로 이를 PC 정합 장치(3)로 전송한다. 또는 PC 정합 장치(3)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에 따라 모니터 상에 디지털 전화기의 구동 상태를 디스플레이한다.
헤드셋(5)은 PC 정합 장치(3)로부터의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음성으로 재생하여 가입자에게 들려주고 가입자의 음성을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필터링하여 PC 정합 장치(3)로 전송한다. 헤드셋(5) 대신에 분리된 스피커와 마이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에서, 디지털 전화기(1)와, PC(2) 및 헤드셋(5)은 예시적으로 각각 하나씩만 도시되었지만, 사설 교환기(2)는 다수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을 구비하여 다수의 디지털 전화기가 접속될 수 있고, 다수의 전화기 PC 및 헤드셋을 사설 교환기(2)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에 접속시키기 위해 다수의 정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PC 정합 장치(3)를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PC 정합 장치(3)에는 사설 교환기(2)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 PC(4) 및 헤드셋(5)이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면, 사설 교환기(2)가 메리디안 1 기종인 경우, 사설 교환기(2)와 PC 정합 장치(3)는 BPRZ-AMI 방식으로 디지털 라인 신호를 코딩하여 512 Kbps 전송 속도로 송수신한다. 또한, PC(4)와 PC 정합 장치(3)는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를 57.2 Kbps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갖는 RS-232C 방식으로 송수신하고. 헤드셋(5)과 PC 정합 장치(3)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송수신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 정합 장치(3)는 디지털 가입자 회선 접속 단자(10), 디지털 가입자 회선 정합부(20), 라인 신호 분리/형성부(30), PC 정합부(40), PC 접속 단자(50), 음성 신호 변환부(60), 헤드셋 접속 단자(70), 중앙 처리부(80), 디스플레이부(90), 클록 발생부(100), 직류 전원 공급부(110), 전원 변환부(120)를 포함한다.
디지털 가입자 회선 접속 단자(10)에는 사설 교환기(2)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이 접속된다.
디지털 가입자 회선 정합부(20)는 디지털 가입자 회선 접속 단자(10)에 접속된 사설 교환기(2)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과의 임피던스를 정합한다.
PC 접속 단자(50)에는 디지털 전화 가입자의 PC(4)가 접속된다.
PC 정합부(40)는 PC 접속 단자(50)에 접속된 디지털 전화 PC(4)와의 RS-232C 정합을 처리한다.
헤드셋 접속 단자(70)에는 헤드셋(5)이 접속된다.
라인 신호 분리/형성부(30)는 디지털 가입자 회선 정합부(20)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라인 신호에서 디지털 음성 신호는 음성 신호 변환부(60)로 전송하고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는 57.2 Kbps 전송 속도로 PC 정합부(40)로 전송한다. 또한, 라인 신호 분리/형성부(30)는 PC 정합부(40)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와 음성 신호 변환부(60)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디지털 라인 신호로 형성하고 512 Kbps 전송 속도를 재생하여 디지털 가입자 회선 정합부(20)로 전송한다.
음성 신호 변환부(60)는 헤드셋 접속 단자(70)에 접속된 헤드셋(5)으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PCM(Pulse Coded Modulation) 방식으로 디지털화하여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한 후 라인 신호 분리/형성부(30)로 전송한다. 또한, 음성 신호 변환부(60)는 라인 신호 분리/형성부(30)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한 후 헤드셋 접속 단자(70)에 접속된 헤드셋(5)으로 전송한다. 또한, 음성 신호 변환부(60)는 음성 신호의 레벨을 조정한다.
중앙 처리부(80)는 라인 신호 분리/형성부(30), 음성 신호 변환부(60), 디스플레이부(90)와 연결되어 있다. 중앙 처리부(80)는 사설 교환기(2)에 송신하는 디지털 라인 신호의 비동기 전송 속도가 512 Kbps가 되고 디지털 전화 PC(4)와 송신하는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의 전송 속도가 57.2 Kbps가 되도록 라인 신호 분리/형성부(30)를 제어하며, 전원 인가 상태, 단자 접속 상태 및 송수신 상태 등을 감시한다. 또한, 중앙 처리부(80)는 디스플레이부(90)의 표시를 제어한다.
디스플레이부(90)는 중앙 처리부(80)의 제어에 따라 전원 입력 상태, 단자 접속 상태, 송수신 상태 등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90)는 전원 입력 상태를 표시하는 PWR 램프, 중앙 처리부(80)의 정상 작동을 표시하는 SYS 램프를 구비하고, 사설 교환기(2)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과의 신호 송수신 정상 여부를 표시하는 TEL 램프, PC(4)와의 데이터 송신 상태를 표시하는 TxC 램프 및 데이터 수신 상태를 표시하는 RxC 램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클록 발생부(100)는 클록 신호를 발생시켜 라인 신호 분리/형성부(30), 음성 신호 변환부(60), 중앙 처리부(80), 디스플레이부(90)에 공급한다.
직류 전원 공급부(120)는 상용 전원에 연결되어, 예를 들면, 24V의 직류 전원을 생성하여 전원 변환부(110)에 인가한다.
전원 변환부(110)는 직류 전원 공급부(120)로부터 인가된 직류 전원을 PC 정합 장치(3)에 포함된 다른 모든 각 블록에 DC +5V, -5V, -12V 등의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해당 블록에 공급한다.
대안적으로, PC 정합 장치(3)는 디지털 가입자 회선 접속 단자(10)에 직접 연결된 디지털 전화기 접속 단자(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안예에서 가입자는 PC 정합 장치(3)에 디지털 전화기(도시되지 않음)를 더 접속시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을 점유하여 디지털 전화기 또는 전화기 PC를 선택하여 사설 교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음성 메일 서비스(VMS: Voice Mail Service), 예를 들어 디지털 전화 가입자가 디지털 전화 PC 및 헤드셋을 사용하여 사설 교환 서비스를 제공받는 예를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VMS는 일반 전화기의 자동 응답 기능에 대응되는 서비스로서, 가입자가 부재중이거나 전화 통화를 할 수 없을 때 가입자에게 전화를 거는 호출자가 사설 교환기에 음성 메시지를 남겨놓으면 나중에 가입자가 이 음성 메시지를 들을 수 있는 서비스이다.
먼저, 가입자는 디지털 전화 PC(4)의 통신 단자와 PC 정합 장치(3)의 PC 접속 단자를 연결한다. 그리고, 가입자가 자신의 PC(4)에서 디지털 전화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PC(4)의 모니터 화면에 액정 화면, 숫자 및 기능 버튼이 구비된 디지털 전화기 형태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입자는 모든 수신 전화에 대해 VMS를 신청하는데 필요한 버튼을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화면의 디지털 전화기의 버튼을 클릭한다. 디지털 전화 PC는 클릭된 버튼에 따라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57.2 Kbps 전송 속도를 갖는 RS-232C 방식으로 PC 정합 장치(3)에 전송한다. PC 정합 장치(3)의 PC 접속 단자(50) 및 PC 정합부(40)를 통해 전송된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는 라인 신호 분리/형성부(30)에서 BPRZ-AMI 방식으로 코딩된 디지털 라인 신호로 포맷팅되어 디지털 가입자 회선 정합부(20) 및 디지털 가입자 회선 접속 단자(10)를 거쳐 512 Kbps 전송속도로 사설 교환기(2)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으로 전송된다.
그리고 나서, 사설 교환기(2)에서 수신된 디지털 제어 신호에 따라 가입자에 대해 VMS가 설정되면, 가입자에게 전화를 건 호출자에게 VMS가 신청되어 있음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호출자의 음성 메시지를 사설 교환기(2)에 저장한다.
사설 교환기(2)에 메시지가 저장된 경우 메시지가 있음을 알리기 위한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를 포함한 디지털 라인 신호가 발생되어 PC 정합 장치(3)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 접속 단자(10) 및 디지털 가입자 회선 정합부(20)를 거쳐 라인 신호 분리/형성부(30)에 전송된다. 라인 신호 분리/형성부(30)는 디지털 라인 신호의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를 PC 정합부(40) 및 PC 접속 단자(50)를 거쳐 가입자 PC(4)에 전송한다. 가입자 PC(4)에서는 수신된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에 따라 화면상의 디지털 전화기에서, 예를 들면, VMS 버튼이 깜빡이도록 표시한다.
가입자가 깜빡임을 보고 나서 음성 메시지를 확인하고자 화면상의 MSG 버튼을 클릭하면 이에 대한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가 생성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사설 교환기(2)로 전송된다. 사설 교환기(2)는 메시지 순서 번호 및 착신 시각 등을 포함하는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와 저장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포함하는 디지털 라인 신호를 PC 정합 장치(3)의 라인 신호 분리/형성부(30)로 전송한다. 라인 신호 분리/형성부(30)는 디지털 라인 신호에서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는 가입자 PC(4)로 전송하고 디지털 음성 신호는 음성 신호 변환부(60)에 전송한다. 음성 신호 변환부(60)에서 디지털 음성 신호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되어 헤드셋(5)에 전송된다. 헤드셋은 수신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음성으로 재생하고, 가입자 PC(4)는 수신된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에 따라 화면의 디지털 전화기에 현재 재생 중인 음성 메시지의 순서 번호 및 착신 시각 등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가입자는 디지털 전화기(1)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본 발명에 따른 PC 정합 장치(3)를 통해 전용 프로토콜 및 신호 규격을 사용하는 사설 교환기(2)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에 접속된 PC(4)와 헤드셋(5)을 이용하여 다양한 디지털 전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전화 가입자는 PC 정합 장치(3)를 통해 사설 교환기(2)에 접속하고 디지털 전화 가입자 자신의 PC(4)에 설치된 디지털 전화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디지털 사설 교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특별히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된 발명의 본질과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서도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다양한 다른 변형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Claims (9)

  1. 사설 교환 시스템에 있어서,
    디지털 음성 신호와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디지털 라인 신호를 기설정된 제1 접속 방식으로 송수신하는 사설 교환기와,
    상기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를 기설정된 제2 접속 방식으로 송수신하는 컴퓨터와,
    음성을 필터링하여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과,
    상기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음성으로 재생하는 수단과,
    상기 사설 교환기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 상기 컴퓨터, 상기 생성 수단 및 상기 재생 수단에 접속된 정합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정합 수단은
    상기 디지털 가입자 회선으로부터 상기 제1 접속 방식으로 수신한 상기 디지털 라인 신호 중 상기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접속 방식으로 상기 컴퓨터에 송신하며,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를 상기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재생 수단에 송신하고, 상기 생성 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컴퓨터로부터 상기 제2 접속 방식으로 수신한 상기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와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를 상기 디지털 라인 신호로 포맷팅하여 상기 디지털 가입자 회선으로 송신하는
    사설 교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 수단은
    상기 디지털 가입자 회선에 접속되어 상기 디지털 라인 신호를 상기 제1 접속 방식으로 송수신하는 제1 접속 수단과,
    상기 컴퓨터에 접속되어 상기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접속 방식으로 송수신하는 제2 접속 수단과,
    상기 생성 수단으로부터 상기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제3 접속 수단과,
    상기 재생 수단으로 상기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송신하는 제4 접속 수단과,
    상기 제1 접속 수단으로부터 상기 디지털 라인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를 분리하여 상기 제2 접속 수단에 전송하는 라인 신호 분리 수단과,
    상기 라인 신호 분리 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를 상기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4 접속 수단에 송신하고, 상기 제3 접속 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과,
    상기 제2 접속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와 상기 변환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를 상기 디지털 라인 신호로 재생하여 상기 제1 접속 수단에 전송하는 라인 신호 형성 수단
    을 포함하는 사설 교환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방식은 사설 교환기에 의존하는 디지털 가입자 회선 전용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상기 디지털 라인 신호를 BPRZ-AMI(Bipolar Return-To-Zero-Alternate Mark Inversion) 방식으로 코딩하여 512 Kbps 전송 속도로 전송하는 방식인 사설 교환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 방식은 57.2 Kbps의 데이터 전송 속도 RS-232C 방식인 송수신하는 사설 교환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라인 신호 및 상기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의 전송 속도를 제어하고, 전원 인가 상태, 상기 제1 내지 제4 접속 수단의 접속 상태, 송수신 상태를 감시하는 중앙 처리 수단과,
    상기 중앙 처리 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상태 감시 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더 포함하는 사설 교환 시스템.
  6. 컴퓨터, 스피커, 마이크를 이용하여 사설 교환기로부터 디지털 사설 교환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정합 장치에 있어서,
    사설 교환기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에 접속되어 디지털 라인 신호를 제1 접속 방식으로 송수신하는 제1 접속 수단과,
    상기 컴퓨터에 접속되어 상기 디지털 라인 신호의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를 제2 접속 방식으로 송수신하는 제2 접속 수단과,
    상기 마이크로부터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제3 접속 수단과,
    상기 스피커로 상기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송신하는 제4 접속 수단과,
    상기 제1 접속 수단으로부터 상기 디지털 라인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와 디지털 음성 신호를 분리한 후 상기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접속 수단에 전송하는 라인 신호 분리 수단과,
    상기 라인 신호 분리 수단으로부터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4 접속 수단에 송신하고, 상기 제3 접속 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과,
    상기 제2 접속 수단으로부터 상기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변환 수단으로부터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 및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디지털 라인 신호로 재생하여 상기 제1 접속 수단에 전송하는 라인 신호 형성 수단
    을 포함하는 정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방식은 사설 교환기에 의존하는 디지털 가입자 회선 전용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상기 디지털 라인 신호를 BPRZ-AMI(Bipolar Return-To-Zero-Alternate Mark Inversion) 방식으로 코딩하고, 512 Kbps 전송 속도로 전송하는 방식인 정합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 방식은 57.2 Kbps의 데이터 전송 속도 RS-232C 방식인 송수신하는 정합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라인 신호 및 상기 디지털 전화 제어 신호의 전송 속도를 제어하고, 전원 인가 상태, 상기 제1 내지 제4 접속 수단의 접속 상태, 송수신 상태를 감시하는 중앙 처리 수단과,
    상기 중앙 처리 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상태 감시 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정합 장치.
KR1020000018403A 2000-04-08 2000-04-08 디지털 전화 가입자의 컴퓨터와 사설 교환기간의 정합 장치 및 그를 구비한 사설 교환 장치 KR100351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8403A KR100351738B1 (ko) 2000-04-08 2000-04-08 디지털 전화 가입자의 컴퓨터와 사설 교환기간의 정합 장치 및 그를 구비한 사설 교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8403A KR100351738B1 (ko) 2000-04-08 2000-04-08 디지털 전화 가입자의 컴퓨터와 사설 교환기간의 정합 장치 및 그를 구비한 사설 교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3772A true KR20000053772A (ko) 2000-09-05
KR100351738B1 KR100351738B1 (ko) 2002-09-11

Family

ID=19662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8403A KR100351738B1 (ko) 2000-04-08 2000-04-08 디지털 전화 가입자의 컴퓨터와 사설 교환기간의 정합 장치 및 그를 구비한 사설 교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17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5272B1 (ko) * 2002-09-30 2005-12-09 주식회사 이씨에스 텔레콤 사설 교환기의 톤 및 디지트 제공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5272B1 (ko) * 2002-09-30 2005-12-09 주식회사 이씨에스 텔레콤 사설 교환기의 톤 및 디지트 제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1738B1 (ko) 2002-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36513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integrated voice (audio) communication simultaneously with &#34;under voice&#34; user-transparent digital data between telephone instruments
US666537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ccessibility to call connection status
US20160309011A1 (en) Two Way Automatic Universal Transcription Telephone
AU2008250885B2 (en) Intergrated communication device
EP1850569A1 (en) Module for transferring a warning signal to headphones of an audio player
CN104767856B (zh) 一种桌面电话系统
US20080118054A1 (en) Telephone system and method
KR100351738B1 (ko) 디지털 전화 가입자의 컴퓨터와 사설 교환기간의 정합 장치 및 그를 구비한 사설 교환 장치
CN100411403C (zh) 网络电话终端及网络电话的呼叫、接听方法
CN111447332B (zh) 一种调度终端主板和调度终端
KR100327158B1 (ko) 사설 교환 시스템에 원격 디지털 전화 가입자를접속시키기 위한 정합 장치
JP4098779B2 (ja) 音声による問い合わせの受付システム
KR100351737B1 (ko) 2 와이어 실선을 이용하여 디지털 가입자 회선을 연장시키는 사설 교환 장치 및 그를 위한 정합 장치
JP3297114B2 (ja) 構内自動交換システム
JP3321830B2 (ja) ディジタル電話機
JPH08214085A (ja) 通話装置
JP2001024739A (ja) 電話機回路
KR100227505B1 (ko) 일반전화기 접속포트를 구비한 다용도 디지탈 전화기
CN2814822Y (zh) 一种网络电话机
JPH06245242A (ja) 構内自動交換機
JP2011205168A (ja) 地域電話網
KR20010044591A (ko) 국선전화로 인터넷 폰이 가능한 사운드 카드
JP2000307684A (ja) 電話機アダプタ装置
KR20000030448A (ko) 호출음 및 화중음 전환용 소리 녹음 가능형 통신 교환기
JPH06133015A (ja) ディジタル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