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2646A - 원격 송신기용 학습 모드 - Google Patents

원격 송신기용 학습 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2646A
KR20000052646A KR1019990703416A KR19997003416A KR20000052646A KR 20000052646 A KR20000052646 A KR 20000052646A KR 1019990703416 A KR1019990703416 A KR 1019990703416A KR 19997003416 A KR19997003416 A KR 19997003416A KR 20000052646 A KR20000052646 A KR 20000052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d
code data
controller
identification code
data w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703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사다렐이.
Original Assignee
샘 탈팔라츠스키
다이렉티드 일렉트로닉스, 인크
이사 다렐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샘 탈팔라츠스키, 다이렉티드 일렉트로닉스, 인크, 이사 다렐 이. filed Critical 샘 탈팔라츠스키
Publication of KR20000052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264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1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4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e.g. current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18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the general power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ft warning signal, e.g. visual or audible signals with special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 G07C2009/0079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by Hertzian wav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1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 G07C2009/0084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programming by learn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18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보안 영역에 유입되는 위협에 대한 응답 및/또는 사용자 선택 가능 편리 구성의 제어를 발생하기 위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격 제어 가능 차량 시스템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식별 코드 워드를 가지고 있는 데이터 코드 워드로 인코딩된 신호를 발생 및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1)를 가지고 있는 무선 송신기(1)와;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19)와; 상기 신호로부터 상기 코드 데이터 워드를 디코딩하는 디코더(23)와; 상기 데이터 코드 워드에 포함된 식별 코드 워드가 상기 제어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메모리(21)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증된 식별 코드 워드와 동일한 경우에만, 상기 코드 데이터 워드에 포함된 명령 데이터 워드에 응답하는 제어기(23)와; 복수의 그룹의 상기 코드 데이터 워드가 상기 송신기로부터 송신되어 상기 제어기에 의해 수신되는 경우에만, 새로운 송신기의 새로운 식별 코드 워드를 상기 인증된 식별 코드 워드로서 상기 메모리에 프로그래밍하기 위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학습 모드를 구비한 원격 제어 가능 차량 시스템.

Description

원격 송신기용 학습 모드{Learn mode for remote transmitters}
원격적으로 제어 가능한 차량 보안 시스템은 오늘날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소비자들은 이들 시스템을 도난 방지기로서, 범죄에 대한 개인의 방비로서 그리고 자신들의 차량으로 키가 없이 들어가기 위한 편리한 아이템으로서 이들 시스템을 구입한다. 이들 시스템이 발달함에 따라, 제조업자들은 차량 보안 시스템을 장착 및 장착 해제할 수 있고, 차량 도어를 잠그고 열 수 있는 원격 송신기에 대한 시장 요구를 인식하게 되었다. 오늘날, 사실상 이러한 모든 시스템은 이산 신호(discrete signal)를 발생하고 상기 신호에 응답하도록 특정하게 동조되는 시스템을 제어하는 원격 송신기의 제어하에서 동작한다.
보다 복잡한 원격 송신기는 특정 코드 데이터 워드(specific coded data word)를 고주파 무선 신호로 인코드한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원래의 코드 데이터 워드로 디코드한다. 그 다음, 상기 시스템은 수신된 신호에서의 식별 코드 워드를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인증된 식별 코드 워드의 세트와 비교한다. 만약 식별 코드 워드가 인증된 식별 코드 워드와 일치한다면, 상기 시스템은 원격 송신기에 의해 송신된 명령어에 응답하게 된다.
원래, 이들 시스템은 시스템 내에 삽입되거나 또는 시스템에 할당된 특정 인증 식별 코드 워드에 응답하도록 미리 설정되거나 또는 제작된다(hard-wired). 만약 두 명 이상의 사용자가 동일한 시스템을 동작시키려고 하면, 각각의 사용자는 시스템이 식별할 수 있는 특정 인증 식별 코드 워드로 프로그램되거나 또는 배선된(wired)된 송신기를 구비해야만 한다. 그러나 시장 상황은 이러한 요구에 긍정적으로 반응하지는 않는다. 송신기를 분실하면 그것을 대체하기가 어렵다. 또한, 만약 다수의 인증된 사용자가 이들 시스템이 구비된 다수의 차량을 사용하는 경우, 이들 사용자들은 각각의 차량에 대해서 하나씩 다수의 송신기를 휴대해야만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산업계는 시스템이 학습 모드/루틴으로 들어가서 상기 송신기를 동작시키는 인증 코드로서 식별 코드를 갖는 근처의 원격 송신기의 송신을 수용하는 학습 모드를 제공한다. 이 프로세스는 미국 특허 공보 제 5,049,867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는 보안 시스템용 학습 모드/루틴을 개시하는데, 여기서 제어기는 점화 장치를 가동시키고 도어를 개방함으로써 15초와 같은 소정 시간의 주기동안 학습 모드/루틴으로 설정된다. 상기 시스템의 제어기는 점화 가동 상태와 차량 도어의 개방 상태를 감지함으로써 그 학습 모드/루틴으로 들어갔음을 식별한다. 그 다음 상기 시스템은 식별 가능한 식별 코드 워드를 갖는 송신기로부터 연속하는 일련의 송신동안 소정 수의 동일한 코드를 수신해야만 한다. 그 다음, 이 시스템은 전송된 식별 코드 워드를 시스템의 동작을 위한 인증 코드로서 등록하고 이것을 미래의 사용을 위해 저장한다.
상기 언급된 특허에서 상술된 상기 시스템은 결점을 갖는다. 상기 보안 시스템은 학습 모드/루틴을 활성화시키는데 필요한 조건의 상태를 제어기로 제공하는 다수의 센서를 구비해야만 한다. 또한, 이들 시스템은 필수적인 사이렌과 함께 전원과 접지(공통) 입력만을 구비하는 2배선 시스템(two wire systems)보다 일반적으로 더 비싸다. 이들 2배선 시스템은 본 특허에서 상술된 바와 같은 학습 모드를 수행할 수 없다.
2배선 시스템이 갖는 상기 상술된 문제점을 극복하기 이해서, 산업계는 학습 모드/루틴을 나타내고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전원 오프에서 전원 온으로의 전이를 사용한다. 그 다음, 시스템에 의해 수신되는 임의의 신호는 그 동작을 위한 인증된 식별 코드 워드로서 등록된다.
오늘날의 시스템은 EMF 또는 RF 방사 또는 간섭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잘못된 프로그래밍의 영향을 받기 쉽다. 이 문제점은 양방향 라디오, 산업용 모터, 텔레비젼, 라디오 안테나 등에 대해서 공통적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또한 이들 장치가 장착되는 저장 위치에서 명백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다수의 장착기(installer)가 동시에 송신기를 프로그래밍하거나 또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테스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프로그램된 시스템은 의도된 차량으로 할당되지 않은 원격 송신기를 학습하고/하거나 표유 신호(stray signals)를 학습할 것이다.
따라서, 특정 원격 송신기(들)와 함께 동작하기 위해 프로그램될 수 있는 원격적으로 제어 가능한 차량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남게 되는데, 각각의 송신기는 고유의 식별 코드 워드를 구비하고 그 학습 모드/루틴 동안 표유 신호의 입려과 다른 희망하지 않는 원격 송신기에 의해 송신된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동작 및 제어를 위해 원격, 무선 송신기를 활용하는, 보안 및/또는 열쇠가 필요 없는 진입 시스템(entry systems)과 같은 원격적으로 제어 가능한 차량 시스템(vehicle systems)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EMF 및 RF 노이즈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특정 원격 송신기를 인증된(authorized) 송신기로서 승인하기 위해 보안 시스템의 제어기를 프로그램하는 새로운 방식을 개시한다.
도 1은 원격 제어 송신기의 블록도.
도 2는 자동 보안 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시스템 학습 루틴의 순서도.
본 발명은 보안 또는 편의(convenience) 시스템과 같은 원격적으로 제어 가능한 차량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상기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무선 원격 제어 송신기에 의해 제어된다. 이 시스템은 학습 모드/루틴으로 들어가고 다수의 원격 송신기의 하나 이상의 식별 코드 워드를 학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학습 모드/루틴은 이것이 임의의 희망하지 않는 신호를 식별하기 때문에 새로운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유 원격 송신기가 시스템으로 프로그래밍되는 것을 방지하는 학습 모드/루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원격 무선 송신기를 활용한다. 각각의 송신기는 이산 또는 고유의 식별 코드 워드로 코드화된다. 송신기의 활성화 시, 상기 식별 코드 워드는 고주파 캐리어 신호(high frequency carrier signal)로 인코드되고 수신 시스템으로 송신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수신기에 결합된 안테나를 활용한다. 상기 수신기는 인코드된 데이터 워드를 구비하는 고주파 캐리어 신호를 검출하여 수신하고, 이 신호를 상기 송신기에 의해 인코드되고 송신되는 코드 데이터 워드로 변환한다. 이 코드 데이터 워드는 송신기의 식별 정보와 시스템 제어기에 의한 실행을 위한 명령어를 전송한다. 임의의 송신기에 응답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명령어는 코드 데이터 워드 내에 삽입된 식별 코드 워드가 인증된(authorized) 식별 코드 워드일 때만 실행된다. 식별 코드 워드가 상기 시스템의 인증된 식별 코드 워드 중 하나인지를 판정하기 위해서, 상기 식별 코드 워드는 시스템 제어기에 접근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시스템의 인증된 식별 코드 워드와 비교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미리 프로그램된 인증된 식별 코드 워드로 제조되지는 않는다. 제 1 및 후속하는 인증된 코드를 프로그램하기 위해서, 시스템 제어기는 학습 모드/루틴에 위치된다. 상기 학습 모드/루틴은 이러한 기능 전용의 스위치에 의해 활성화되거나 또는 제어기의 전력을 상승시키거나 또는 제어기가 인식 가능한 이벤트의 시퀀스에 의해 활성화된다. 제어기가 학습 모드/루틴에 위치되는 경우, 무선 송신기로부터 다수의 동일한 코드 데이터 워드의 개별적이지만 연속적인 송신을 탐색한다. 따라서 임의의 표유 또는 외부 송신기 신호는 무시된다. 그러므로, 상기 시스템은 식별 코드 워드가 소정 수의 회수동안 소정의 형태로 연속적으로 전송되지 않는 한 상기 식별 코드 워드를 인증된 식별 코드 워드로서 등록하거나 저장하지 않는다. 또한, 양호한 실시예에서, 원격 송신기로부터의 송신은 시스템이 학습 모드/루틴에 위치된 순간부터 소정의 시간 내에 시작해야만 한다. 또한 영역 내의 다른 차량을 활성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동작하는 다른 원격 송신기는 이들이, 본 발명의 학습 모드/루틴에 의해 요구되는 바와 같이, 여러 번 활성화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인증된 원격 송신기로서 뜻하지 않게 프로그램되지는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인증된 식별 코드 워드를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하고 프로그램 가능한 판독 전용 메모리(EEPROM)에 저장한다. 따라서, 후속하는 계산 상태 또는 우연한 전원 다운 및 전원 상승의 상태는 이전에 인증된 송신기가 보안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것에 영향을 주거나 그 동작을 중지시키지는 못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식별 코드를 갖는 새로운 인증된 송신기를 학습시킬 수 있는 차량에서 또는 차량에 대해서 사용하기 위한 원격적으로 제어 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표유 또는 원하지 않는 신호 또는 송신기를 구별하고 이들이 시스템 내에서 프로그램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다. 학습 모드의 각 단계에서 사용자에게 청각 및/또는 시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인증된 송신기가 분실되거나 도난당한 경우에 현재의 인증된 송신기 코드의 전부 또는 일부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드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경제적이고 향상된 보안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의 양호한 실시예의 설명을 통해 명백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이 보호받고자 하는 권리 범위는 본원 발명을 결론짓는 청구의 범위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송신기(1)를 활용한다. 송신기(1)는 스위치(3)를 누름으로써 활성화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의 스위치(3)는 누를 때 접촉이 이루어지고 누르지 않았을 때 접촉이 해제되는 적어도 하나의 일반적인 개방 스프링 바이어스 스위치(open, spring biased switch)이다. 그러나, 스위치(3)는 접촉이 이루어지고 접촉이 해제될 수 있는 종래 기술에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스위치(들)를 포함할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스위치(3)는 송신기(1)의 요소에 전원을 인가하고/인가하거나 접촉을 이루기 위해 눌러졌을 때 송신기(1)의 인코더 출력을 활성화하는 적어도 하나의 일반적인 개방 스위치이다. 일단 활성화되면, 인코더(7)는 특정 송신기(1)에 고유하고/고유하거나 할당된 식별 코드 워드를 가져온다. 상기 식별 코드 워드는 송신기의 사용자, 장착기 또는 제조업자에 의해 선택될 것이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상기 식별 코드 워드는 각각의 송신기(1)에 고유한 것이며 자국을 새기거나(도시되지 않음), 인코더의 퓨즈 로직으로 코드를 굽거나 또는 코드를 EEPROM(도시되지 않음)과 같은 메모리에 설정함으로써 송신기(1)의 제조업체에 의해 미리 설정된다.
발진기(5)는 인코더(7)용 클록 주파수를 제공하는데 회로에 일체화된 인코더(7)의 필수 부분이다. 인코더(7)는 코드 데이터 워드를 수신하고 안테나(11)를 통해 하기에 상술될 원격 시스템(25)으로 코드 데이터 워드를 전송하기 위한 RF 발진기(9)에 의해 생성되는 고주파 캐리어 신호로 이것을 인코드한다. 또한, 양호한 실시예가 보안 시스템을 활용할지라도, 임의의 원격적으로 제어 가능한 시스템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코드 데이터 워드는 식별 코드 워드, 시작 및/또는 정지 비트와 같은 프리앰블 비트, 명령어 워드 및/또는 시스템(25)으로 전송하는데 필요하고/필요하거나 바람직한 임의의 다른 워드 또는 비트를 포함한다. 보안 시스템(25)을 동작시키기 위한 인증된 식별 코드 중 하나인 식별 코드 워드를 코드 데이터 워드가 포함한다고 보안 시스템이 인증하는 경우에만 상기 보안 시스템(25)은 명령어 코드에 의존하여 기능(들)을 수행한다.
코드 데이터 워드는 고주파 무선 캐리어 신호를 통해 전송된다. 신호 캐리어의 실제 주파수는 종종 (미국에서의) FCC와 같은 규제 기관에 의해 관리된다. 여러 변형 기술이 종래 기술에서 공지되어 공지되어 잇고 캐리어 신호 상으로 정보를 변조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코드 데이터 워드는 펄스폭 코드 비트(pulse width coded bits)(펄스폭 변조)의 스트링이지만, 그러나, 본 발명은 진폭 및 주파수 변조를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의 변조를 포함한다. 그 다음 인코드된 시호는 인코드된 RF 신호를 무선 주파수로 전송하도록 송신기(1)의 RF 발진기를 온 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시스템(25)은 차례로 신호를 수신하고 이것을 디코드하여 코드 데이터 워드를 재발생시킨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송신기 안테나(11)는 FR 발진기(9)에서 인덕터인 인쇄 회로 기판 루프이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이것은 접을 수 잇는 안테나, 막대 또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종래 기술에 공지된 임의의 안테나 수단일 수 있다. RF 발진기의 주파수는 회로의 커패시턴스와 인덕턴스(인쇄 회로 기판 트레이스 및 안테나 루프)에 의해 제어되고 SAW(표면 음향파) 공진기 또는 다른 주파수 안정화 소자(RF 발진기(9)의 소자)에 의해 더 안정화될 것이다.
도 2는 시스템(25)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는 자동 보안 시스템(25)이다. 차량 전력은 역보호 다이오드를 통해 시스템(25)으로 제공되고 시스템(25) 용도에 맞게 필터 및 레귤레이터(27)에 의해 조정된다. 송신기(1)에 의해 전송된 신호는 송신기(1)의 안테나(11)를 통해 전송되고 시스템(25)의 안테나(17)에 의해 수신된다. 이 신호는 수신기(19)에 의해 검출되고 송신기(1)의 인코더(7)에 의해 수집된 동일한 코드 데이터 워드인 코드 데이터 워드로 다시 변환된다. 이 코드 데이터 워드는 제어기(23)로 전송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코드 데이터 워드로부터 식별 코드 워드를 추출하고 이 식별 코드 워드를, 제어기(23)에 접근 가능하거나 또는 필수 구성요소인 EEPROM(21)과 같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인증된 식별 코드 워드와 비교한다. 만약 식별 코드 워드가 EEPROM(21)에 저장되어 있는 인증된 식별 코드 워드의 하나와 동일하다면, 상기 코드 데이터 워드 내에서 수신된 명령어 또는 상기 코드 데이터 워드에 부가된 명령어는 제어기(23)에 의해 처리되고 실행된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메모리 EEPROM(21)은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하면서 프로그램 가능한 판독 전용 메모리이다. 이는 시스템(25)이 판독 인증된 코드를 갖는 다중 송신기에 대응시키고, 전력 부족 하에서도 인증 식별 코드 워드를 유지시키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정전 또는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는 활성의 지속, 백업 캐패시터 또는 배터리(도시하지 않음)가 채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기(23)는 다수의 기능을 수행하며, 인증 원격 송신기(1)로부터의 코멘트에 응답한다. 한가지 기능은, 실행된 명령어에 응답하는 오디오를 제공하기 위하여 자동차 혼 또는 사이렌(29)과 같은 오디오 장치의 울림이다. 하나의 명령어는 조작자에 의해 원격으로 초기화된 풀 알람 상태인 패닉 모드에서 위치하거나, 또는 시스템(25)을 장착 또는 해제시킬 수 있다. 또 다른 명령어는 잠금, 자동차 도어 잠금 및 해제, 시크 위치 조정, 윈도우 올림, 라이트 제어, 원격 엔트리 동작 및 그 외의 사용자 제어 가능 기능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23)는 인증 식별 코드 워드를 갖지 않은 신호가 포함된 명령어에는 응답하지 않게 된다. 이것은, 그 영역 내에서 비인증된 송신기들로부터의 식별을 제공하며, 시스템(25)에 대해 공전하고 안테나(17)에 의해 수신된 RF 또는 EMF 신호와 같은 임의적인 고주파 신호를 폐기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증된 사용자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의미하지 않은 명령어의 잘못된 실행 또는 경보 및 간섭을 쉽게 허용하지 않는다.
무선 송신기(1)를 통해서 시스템(25)의 온-명령어 원격 제어를 제공하기 위하여, 송신기(1)는 시스템(25)내에 프로그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시스템(25)은 학습 모드/루틴을 채용한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시스템(25)은 전력이 전력-하강에서 전력-상승으로의 변화인 경우에는 학습 모드(이후, 모드 및 루틴은 서로 교환 가능하게 이용된다)에 위치된다. 이것은, 시스템(25)을 그 전원에 초기에 접속하거나, 또는 그 전원으로부터 분리하고, 자동차 배터리(도시하지 않음)와 같은 전원에 재접속함으로써 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학습 모드는 전원-상승 후에 인스턴트(33)를 붙이는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열고 닫거나, 또는 인스턴트(33)를 즉시 활성화시킴으로써 초기화되면서 시스템(25)에 전원이 인가된다. 분리 및 독립 프로그램 제어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는 시스템(25)을 프로그램 모드로 위치시킴에 있어서도 이용될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기(23)는 소정 시퀀스에서 라이트 신호 및/또는 LED 신호와 같은 시각적 통지 및/또는 사이렌 시퀀스에 의한 학습 모드의 오디오 통지를 제공한다. 그 후, 사용자 또는 프로그래머는 무선 송신기(1)가 시스템(25)에 단일 식별 코드 워드를 갖는 그 코드화된 데이터 워드를 보내는 위치에 있다. 이 식별 코드 워드를 시스템(25)내의 인증된 식별 코드 워드로 프로그램 하기 위해, 사용자는 활성 및 비활성 스위치(3)에 의해 소정 횟수의 코드화된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여야 하며, 식별 코드 워드가 시스템(25)에 의한 동일한 소정 횟수를 성공적으로 수신 및 비교되어야 한다. 만일, 제어기(23)가 송신된 코드 데이터 워드 중 하나의 인식에 실패하거나, 또는 다른 재인식 가능 코드 데이터 워드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송신기의 새로운 설정이 실행되어야 하며, 시스템(25)에 의해 앞서 수신된 식별 코드 워드가 인증된 식별 코드 워드로서 저장되지 않는다.
특히, 인증된 식별 코드 워드를 프로그램하기 위해서는, 제어기(23)는 동일한 송신기(1)로부터 송신된 코드 데이터 워드 그룹의 설정을 수신하여야 한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시간 스위치(3)가 눌려지고, 송신기(1)는 FCC 조절에 충분히 맞는 프로토콜에서 일련의 식별 코드 데이터 워드를 하나씩 보낸다. 새로운 인증된 식별 코드 워드를 프로그램하기 위해, 시스템(256)은 EEPROM(21)에서 새로운 인증 식별 코드 워드를 방출 및 저장하는 식별 코드 데이터의 3가지 그룹(특정 수로 될 수 있는) 설정의 수신을 기대한다. 코드 데이터 워드의 각각의 그룹은 눌려진 각각의 시간 스위치(3)로 보내는 2가지 코드 데이터 워드(특정 수가 될 수 있는)를 구비한다. 완성된 그룹의 성공적 수신은 오디오 및/또는 시각적 피드백에 의해 사용자로 승인된 시스템(25)에 의한 2가지 식별 코드를 구비한다. 더욱이, 설정되는 3가지 연속적 그룹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제어기(23)가 세트에 수신한 코드 데이터 워드로부터 실별 코드 워드를 추출하기 전에 수신되고, EEPROM(21)내의 식별 코드 워드를 저장하고, 별개의 오디오 및/또는 시각적 신호를 승인한다.
도 3의 순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스템(25)내에 새로운 인증 식별 코드를 프로그램하기 위해, 시스템(25)이 그 학습 모드로 들어간다. 이 학습 모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초기화된다. 일단 초기화되면, 타이머는 51 내지 N 초로 설정되는데,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5초이다. 제어기(23)는 53에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즉시 점검한다. 다음, 55에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루프에서의 정체하는 것으로 이어지고; 57에서 완성된 코드 데이터 워드가 수신되었는지를 결정하게 하고; 코드 데이터 워드를 수신하는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점검하기 위해 53으로 다시 돌아간다. 완성된 코드 데이터 워드가 N 초 내에 수신되지 않으면, 학습 루틴이 종료된다. 완성된 코드 데이터 워드가 57에서 수신되면, 제어기(23)는 수신된 제 1 코드 데이터 워드인지를 계속 점검한다. 만일 그렇다면, 일시적으로 레지스터(61)에 저장하고, 51로 되돌아가는데, 여기서는 타이머가 N 초로 다시 재설정되고, 제어기(23)가 대기를 지속하며, 상기한 바와 같은 부가적 코드 데이터 워드를 수신한다.
만일, 59에서 수신된 제 1 코드 데이터 워드가 아니면, 제어기(23)는 63에서 앞서 수신된 코드 데이터 워드와 비교한다. 만일, 상기 2개의 코드 데이터 워드가 동일하면, 가장 최근의 코드 데이터 워드가 일시적으로 레지스터(61)에 저장되고; 제어기(23)는 51로 되돌아가는데, 여기서 타이머는 다시 재설정되고; 제어기(23)는 상기한 바와 같은 다음 코드 데이터 워드의 대기를 계속하고; 식별 코드 데이터 워드의 모든 설정을 기다리는 것으로 효과적으로 전체 루틴이 재설정된다. 그러나, 2가지 코드 데이터 워드가 63에서와 같으면, 65에서 제어기(23)는 수신된 M번째 식별 코드 데이터 워드인지를 점검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M은 두 개(2)의 값을 가지며, 코드 데이터 워드의 그룹을 나타낸다. M은 특정 값일 수 있다. 만일, M번째 코드 데이터 워드가 아니면, 제어기(23)는 코드 데이터 워드를 일시적으로 레지스터에 저장하고, 타이머를 다시 N초로 재설정한다.
만일, 65에서 M번째 코드 데이터 워드이면, 식별 코드 데이터 워드의 그룹이 재수신된다. 다음, 제어기(23)는 X번째 그룹인지를 점검함으로써 그 세트의 최종 그룹인지의 결정이 이루어지게 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X는 특정 수일이기는 하지만, 3개의 값을 갖는다. X번째 그룹이 아니면, 설정하지 않고, 시스템이 71, 73으로 돌아하고, 타이머를 재설정하기 위해 51로 되돌아간다. 71에서 사이렌 도는 혼 울림과 같은 오디오 및/또는 시각적 신호를 통해서, 코드 데이터 워드의 그룹이 수신됨을 사용자에게 통보한다. 그 후, 사용자는 코드 데이터 워드의 송신을 정지하도록 스위치(3)를 해제한다. 스위치(3)의 해제를 감지하기 위해, 73에서 제어기(23)는 51로 진행하기 전에 코드 데이터 워드의 송신을 중지시킴을 모니터한다. 51에서 제어기(23)는 사용자가 스위치(3)를 누름으로써 초기화하는 코드 데이터의 새로운 송신을 다시 검색하기 시작한다.
제어기(23)는 코드 데이터 워드의 순차적 그룹을 다시 모으는 루틴을 통과하게 된다. 67에서 X번째 그룹을 수신하지 않으면, 71에서 오퍼레이터에 통지한 후에 상기한 바와 같은 차후의 그룹을 검색하기 위해 리턴하고; 73에서 송신을 대기하며; 51을 다시 시작하기 위한 송신을 대기한다. 만일, 67에서 코드 데이터 워드의 세트를 구비하는 X번째 그룹이면, 제어기(23)는 EEPROM(21, 69)에서 코드 데이터 워드의 식별 코드 워드를 새로운 인증 식별 코드 워드로서 저장한다. 다음, 71로 돌아가서 오디오 및/또는 시각적 신호를 통해서 풀-세트가 수신되고 송신기(1)가 인증된 송신기로서 바로 프로그램됨을 오퍼레이터에게 통지한다. 71에서의 이러한 신호는 그룹의 수신을 나타내는 신호들과는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제어기(23)는 73에서 코드 데이터 워드의 송신을 중지하기 위해 대기하며, 51로 돌아간다.
71에서 제어기(23)에 한 통지 이후에 송신기(1)가 프로그램되면, 사용자는 다시 바로 인증된 송신기(1)의 스위치(3)를 계속 누르고, 제어기(23)는 다시 전체 공정을 반복하지만, 한가지 상당한 차이를 가진다. 67에서, 그룹 카운트는 X를 초과한다. 따라서, 제어기(23)는 69로 진행한다. 따라서, 제어기(23)가 53에 있을 때까지는 이 송신기로부터의 코드 데이터 워드의 각각의 차후 송신은 완성 세트로서 인식되게 된다. 제어기(23)는 69에서 EEPROM(21)에서 코드 데이터 워드의 식별 코드를 저장하게 되고, 53에서 종료되기까지 학습 루틴을 반복한다. 이것은 기존 인증 식별 코드를 겹쳐 쓰기가 용이하고 편리한 성능을 갖는 시스템(25)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오퍼레이터는 X번째 스위치(3)를 누름 및 해제하는 것을 요구하는 코드 데이터워드의 풀-셋을 송신하지 않는다. 대신, 일단 송신기(1)는 이 루틴을 통해서 한번 프로그램되어, 학습 루틴이 종료되지 않고, 하나의 그룹, 즉 스위치(3)의 누름 및 해제만을 요구하는 동일한 송신기(1)로부터 코드 데이터 워드의 그룹을 이어서 수신하여 다른 EEPROM(21) 위치에서 프로그램하는 것이다. 이것은 기존 인증 식별 코드를 용이하게 겹쳐 쓸 수 있기 때문에, 송신기가 분실되거나 절취되는 경우에 매우 유용한 도구인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만일 63에서 학습 모드 동안에 어떠한 인지 가능한 코드 데이터 워드가 앞서 수신된 코드 데이터 워드와 동일하지 않으면, 제어기(23)는 최종 수신한 인지 가능한 코드 데이터 워드를 갖는 송신기에 대해 학습 루틴을 재시작시키고, 식별 코드 데이터 워드의 세트를 만들기 위해 상기한 바와 같은 소정 수의 코드 데이터 워드의 대기를 계속한다. 따라서, 수신된 송신이 시스템에 프로그램되어 있는 다른 송신기(1)로부터의 송신이면, 앞서 수신한 송신기(1) 코드 데이터 워드는 무시되고, 그 절차는 새로이 시작된다. 전체적으로, 시스템(25)은 그 식별 코드 워드가 EEPROM(21)내에 프로그램되기 전에 동일한 코드 데이터 워드의 X 그룹의 세트를 수신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택일적 실시예(도시하지 않음)에 있어서, 학습 윈도우 동안 어떠한 수신된 식별 코드 워드가 수신된 식별 코드 워드의 나머지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제어기(23)는 학습 모드에 존재한다. 그 후, 시스템(25)은 새로운 송신 식별 코드 워드를 학습하기 위해 다시 학습 모드에 위치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학습 모드는 결국 일정한 시퀀스 및/또는 결과의 조합으로 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시스템(25)이 안정된 영역에 대한 외부 센서와, 입력 신호를 제어기(23)에 제공하는 어떤 다른 형태의 활성, 또는 입력(포지티브 또는 네가티브) 및/또는 도어 감지를 입력하는 인스턴트(33)와 같은 그 구성 요소를 채용하는 것을 요구한다. 쇼크 센서(31) 및 전류 센서(35)는 그들 입력이 어떠한 제어된 주기 동안 유지될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응용에는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기(23)는 결국 일정한 시퀀스가 발생하는 경우, 그 학습 모드에 들어간다. 예컨대, 학습 모드는 시스템(25)이 전원 인가되는 경우, 학습 모드에 들어가고, 도어가 오픈되어, 시동이 온이 된다(도어 및/또는 시동과 같은 부가적 입력은 시스템(25)의 이러한 능력이 요구되는 것이다). 일단, 학습 모드에 있어서는 식별 코드 워드가 다음에 기술한 바와 같이 학습된다.
출력, 광 플레쉬(37), 사이렌(29) 및/또는 LED(41)는 제어기(23)가 학습 모드에 들어가고 나오는 것과, 송신기(1)가 시스템(25)내에 프로그래밍을 받아들이는 것을 시스템(25)의 오퍼레이터에게 통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가동시 접지 (ground when armed)(39) 출력은 외부 센서들을 제어하고, 자동차 또는 자동차의 시동을 무력하게 하면서 시스템이 가동되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71에서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울림 및/또는 라이트 시퀀스는 제어기(23)에 의해 수신된 코드 데이터 워드의 모든 그룹에 대해서 수행되며, 71에서 분리 오디오 및/또는 시각적 표시는 그룹의 세트가 수신되어 인증 식별 코드 워드가 메모리(21)내에 프로그램되는 경우에 수행된다.
다른 시스템들에 있어서, 코드 데이터 워드 및/또는 명령어 코드 워드 및/또는 식별 코드 워드가 송신 착각을 일으키는 시도에 있어서 워드에서 워드로 및/또는 송신에서 송신으로 변경하여 더 안전하게 된다. 이러한 기술은 때로는 "롤링 코드(rolling code)" 또는 "호핑 코드(hopping code)"로 언급된다. 이것은 본 발명에서 용어 "코드 데이터 워드", "식별 데이터 워드", "인증 식별 데이터 워드" 및/또는 "명령어 데이터 워드"의 의미 및 요지 내에 이들 워드가 송신에서 송신으로 변경하는 데이터 워드의 변경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요지 내에서는 그 용어 내에 변경을 명령하는 포맷 또는 알고리즘에 관계없이 코드 데이터 워드를 순차적으로 변경하는 식별 코드 데이터 워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그 목적을 달성하는 방법으로서도 기술될 수 있다. 도 3의 순서도를 보면, 시스템(25)내에 새로운 인증 식별 코드를 프로그램하는 제 1 단계는 제어기가 그 학습 모드로 들어가는 단계이다. 학습 모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초기화된다. 일단 초기화되면, 51에서 타이머가 N초로 설정하고 있는데,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5초이다. 다음 단계는 53에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점검한다. 다음 단계는 55에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루프에서 시스템이 계속 체류하고; 57에서 완성 코드 데이터 워드가 수신되었는지를 결정하고; 53으로 되돌아가서 코드 데이터 워드를 수신하는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점검하는 단계이다. 완성 코드 데이터 워드가 N초내에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기(23)는 학습 루틴에 존재한다. 57에서 완성된 코드 데이터 워드가 수신되면, 다음 단계는 제어기(23)가 이 루프에 존재하고, 59에서 제 1 코드 데이터 워드가 수신되었는지를 점검한다. 수신되었으면, 다음 단계는 일시적으로 레지스터(61)에 저장하고, 51로 되돌아가는데, 여기서 타이머는 다시 N초로 재설정되고, 제어기(23)는 상기한 바와 같은 부가적 코드 데이터 워드를 계속 대기 및 수신한다.
59에서 제 1 코드 데이터 워드가 수신되지 않으면, 다음 단계는 63에서제어기(23)가 앞서 수신한 코드 데이터 워드와 비교한다. 두 가지 워드가 동일하지 않으면, 다음 단계는 가장 최근 코드 데이터 워드를 일시적으로 레지스터(61)에 저장하고; 51로 되돌아가서 타이머를 재설정하고; 제어기(23)가 상기한 바와 같은 다음 코드 데이터 워드를 대기하고; 전체 루틴을 효과적으로 재설정하고, 식별 코드 데이터 워드들의 전체 설정을 대기한다. 그러나, 63에서 두 가지 코드 데이터 워드가 동일하면, 다음 단계는 65에서 제어기(23)가 M번째 식별 코드 데이터 워드가 수신되었는지를 점검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M은 특정 값이 될 수 있지만 2의 값을 가지며, 코드 데이터 워드의 그룹을 나타낸다. M번째 식별 코드 데이터 워드가 아니면, 다음 단계는 제어기(23)가 61 및 51로 돌아가서 코드 데이터 워드를 일시적으로 레지스터에 저장하고, 타이머를 N초로 재설정한다.
65에서 M번째 코드 데이터 워드이면, 식별 코드 데이터 워드의 그룹이 수신됨을 의미하는 것이다. 다음 단계는 67에서 제어기(23)는 X번째 그룹인지를 점검함으로써 그 세트의 최종 그룹인지의 결정을 실행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X는 특정 수가 될 수 있지만, 3의 값을 갖는다. X번째 그룹이 아니고, 그에 따라 설정되지 않으면, 다음 단계는 71, 73으로 돌아가고 또한 51로 되돌아가서 시스템이 타이머를 재설정한다. 71에서 제어기(23)는 사이렌 또는 혼 울림 및/또는 라이트 신호와 같은 오디오 및/또는 시각적 신호를 통해서 사용자에서 코드 데이터 워드가 수신됨을 통지한다.
다음에, 사용자는 코드 데이터 워드의 전송을 정지시키기 위해 스위치(3)를 해제시켜야 한다. 스위치(3)의 해제를 감지하기 위해, 제어기(23)는 73에서, 코드 데이터 워드의 전송이 51로의 진행 전에 정지되는 것을 감시한다. 51에서, 제어기(23)는 사용자가 스위치(3)를 누름으로써 개시시키는 코드 데이터 워드의 새로운 전송을 다시 탐색한다.
다음 단계는 제어기(23)가 루틴을 다시 통과하여 제 2 그룹의 코드 데이터 워드를 수집하는 것이다. 67에서, 제어기가 제 X 그룹을 수신하지 않으면, 다음의 단계는 복귀를 수행하고, 71에서 오퍼레이터에 통보한 후에 위에서 설명한 후속되는 그룹을 탐색하고; 73에서 전송이 정지되기를 기다리고; 51에서 전송이 다시 시작되기를 기다리는 것이다. 67에서 하나의 세트의 코드 데이터 워드를 구비한 제 X 그룹이 수신되면, 다음의 단계는 제어기(23)가 69에서 상기 코드 데이터 워드의 식별 코드 워드를 새로운 인증된 식별 코드 워드로서 EEPROM(21)에 저장하는 것이다. 다음의 단계는 제어기(23)가 71로 루핑하여, 전체 세트가 수신되어 이제 송신기(1)가 인증된 송신기로서 프로그래밍됨을 오디오 신호 및/또는 비쥬얼 신호를 통해 오퍼레이터 측에 통보하는 것이다. 71에서의 이 신호는 그룹의 수신을 지시하는 신호와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의 단계는 제어기(23)가 73에서 코드 데이터 워드의 전송이 정지되기를 기다려 51로 루핑하는 것이다.
71에서 송신기(1)가 프로그래밍됨을 71에서 오퍼레이터 측에 통보한 후에, 사용자가 이제 인증된 송신기(1)의 스위치(3)를 다시 누르면, 다음의 단계는 제어기(23)가 전체적인 프로세스를 다시 반복하며, 하지만 한가지 실질적인 차이가 있다. 67에서는, 그룹 카운트가 X를 초과하며, 이에 따라 제어기(23)는 69로 진행한다. 따라서, 제어기(23)가 53을 종료하지 않는 한, 상기 송신기로부터의 하나의 그룹의 코드 데이터 워드의 각각의 후속되는 전송이 완전한 세트로 인식되게 된다. 다음에, 다음의 단계는 제어기(23)가 69에서 코드 데이터 워드의 식별 코드 워드를 EEPROM(21)에 저장하고, 53에서 시간이 종료될 때까지 학습 루틴의 단계들을 반복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이전의 인증된 식별 코드를 용이하고 편리하게 중복 기록하는 능력이 제어기(23) 측에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오퍼레이터는 스위치(3)를 X 회 눌러 해제할 것을 요구하는 전체 세트를 전송할 필요가 없다. 대신에, 일단 송신기(1)가 이 루틴을 통해 1 회 프로그래밍되고 학습 루틴이 시간 종료되지 않는 한, 동일한 송신기(1)로부터의 하나의 그룹의 코드 데이터 워드의 후속되는 수신은 다른 EEPROM(21)의 위치에 프로그래밍하기 위해 하나의 그룹, 즉 스위치(3)의 1 회 누름 및 해제만을 요구한다. 이것은 오퍼레이터/사용자가 이전의 인증된 식별 코드를 용이하게 중복 기록할 수 있기 때문에, 송신기가 손실될 때 유용한 도구가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63에서 학습 모드 동안에 수신된 인식 가능 코딩 데이터 워드가 이전에 수신된 코딩 데이터 워드와 동일하지 않으면, 다음의 단계는 제어기(23)가 마지막으로 수신된 인식 가능 코딩 데이터 워드를 가지고 상기 송신기에 대한 학습 루틴을 다시 시작하고, 하나의 세트의 동일한 코딩 데이터 워드의 그룹을 만들기 위해 위에서 설명한 소정의 개수의 코드 데이터 워드를 지속적으로 기다리는 것이다. 따라서, 수신된 전송이 인증된 송신기로서 프로그래밍되도록 의도되지 않은 불량 송신기로부터 발생되면, 다음의 단계에서 제어기(23)는 의도되지 않은 송신기로부터의 코드 데이터 워드의 수신시에 학습 루틴을 효율적으로 다시 시작하게 되며, 의도된 송신기(1)의 코드 데이터 워드를 수신한 후에 상기 루틴을 다시 시작한다. 따라서, 수신된 전송이 시스템에 프로그래밍된 다른 송신기(1)로부터 발생되면, 이전에 수신된 송신기(1)의 코드 데이터 워드가 무시되고 절차가 다시 시작된다. 전체적으로 시스템(25)은 식별 코드 워드가 EEPROM(21)에 프로그래밍되기 전에 하나의 세트의 X 그룹의 동일한 코딩 데이터 워드를 수신해야 한다.
기타 다른 시스템에서, 코드 데이터 워드 및/또는 명령 코드 워드 및/또는 식별 코드 워드는 전송을 은폐하여 보다 안전해지도록 하고자 할 때 워드마다 및/또는 전송마다 변한다. 이 기술은 때때로 "롤링 코드(rolling codes)" 또는 "홉핑 코드(hopping codes)"라고 한다. 본 발명의 범위에서는, 용어 "코드 데이터 워드", "식별 데이터 워드", "인증된 식별 데이터 워드" 및/또는 "명령 데이터 워드"의 의미 및 범위내에 데이터 워드의 변화가 포함되며, 여기서 이들 워드는 전송 마다 변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변화를 명령하는 포맷이나 알고리즘에 관계 없이 코드 데이터 워드를 순차적으로 변환시키는 것이 용어 동일한 코딩 데이터 워드에 포함된다.
위에서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이탈하지 않고 본 발명의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대해 각종 수정을 행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동일한 결과를 얻기 위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 및 단계의 모든 조합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되었다.

Claims (32)

  1. 보안 영역에 유입되는 위협에 대한 응답 및/또는 사용자 선택 가능 편리 구성의 제어를 발생하는 원격 제어 가능 차량 시스템에 있어서,
    a) 적어도 하나의 식별 코드 워드를 가지고 있는 데이터 코드 워드로 인코딩된 신호를 발생 및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가지고 있는 무선 송신기와;
    b)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와;
    c) 상기 신호로부터 상기 코드 데이터 워드를 디코딩하는 디코더와;
    d) 상기 데이터 코드 워드에 포함된 식별 코드 워드가 상기 제어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증된 식별 코드 워드와 동일한 경우에만, 상기 코드 데이터 워드에 포함된 명령 데이터 워드에 응답하는 제어기와;
    e) 복수의 그룹의 상기 코드 데이터 워드가 상기 송신기로부터 송신되어 상기 제어기에 의해 수신되는 경우에만, 새로운 송신기의 새로운 식별 코드 워드를 상기 인증된 식별 코드 워드로서 상기 메모리에 프로그래밍하는 학습 모드를 구비한 원격 제어 가능 차량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가 상기 송신기로부터 상기 코드 데이터 워드를 수신해야 하는 소정량의 시간이 설정된 타이머를 더 구비한 원격 제어 가능 차량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코드 워드는 상기 송신기로부터 송신되어 상기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하나의 세트의 상기 복수의 그룹의 상기 복수의 상기 코드 데이터 워드의 수신 후에만, 상기 인증된 식별 코드 워드로서 상기 메모리에 프로그래밍되는 원격 제어 가능 차량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코드 데이터 워드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세트는 적어도 2 개의 상기 그룹을 포함하고 있는 원격 제어 가능 차량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세트의 상기 그룹의 상기 코드 데이터 워드는 동일한 코드 데이터 워드를 포함하고 있는 원격 제어 가능 차량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가 상기 학습 모드에 있는 동안에, 상기 코드 데이터 워드를 저장하기 위한 임시 레지스터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세트의 상기 그룹의 상기 동일한 코드 데이터 워드가 수신되는 경우에만, 상기 임시 레지스터의 상기 코드 데이터 워드의 상기 식별 코드 워드가 상기 메모리에 상기 인증된 식별 코드 워드로서 저장되는 원격 제어 가능 차량 시스템.
  7. 제 3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그룹의 상기 코드 데이터 워드의 수신에 응답하는 오디오 및/또는 비쥬얼 신호를 더 포함하고 있는 원격 제어 가능 차량 시스템.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세트의 상기 코드 데이터 워드의 수신에 응답하는 오디오 및/또는 비쥬얼 신호를 더 포함하고 있는 원격 제어 가능 차량 시스템.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코드 데이터 워드가 상기 소정량의 시간 내에 수신되면 상기 학습 모드를 종료하는 원격 제어 가능 차량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모드는 2 개의 동일하지 않은 코드 데이터 워드의 수신시에 종료되는 원격 제어 가능 차량 시스템.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는 상기 코드 데이터 워드의 각각의 수신 후에 리세트되는 원격 제어 가능 차량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 및 상기 수신기는 각각 상기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위한 안테나를 더 구비하고 있는 원격 제어 가능 차량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와이어인 원격 제어 가능 차량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접을 수 있는 원격 제어 가능 차량 시스템.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회로 기판 내의 트레이스(trace)인 원격 제어 가능 차량 시스템.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데이터 워드는 펄스 변조된 원격 제어 가능 차량 시스템.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데이터 워드는 진폭 변조된 원격 제어 가능 차량 시스템.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모드는 스위치에 의해 인에이블되는 원격 제어 가능 차량 시스템.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모드는 상기 제어기의 전력을 제거 및 재공급함으로써 활성화되는 원격 제어 가능 차량 시스템.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모드는 상기 차량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입력으로부터 소정의 시퀀스의 트리거를 감지함으로써 활성화되는 원격 제어 가능 차량 시스템.
  2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코드 워드는 상기 그룹의 코드 데이터 워드가 상기 세트의 코드 데이터 워드의 수신 후에 수신될 때마다 상기 메모리에 상기 인증된 코드 워드로서 프로그래밍되는 원격 제어 가능 차량 시스템.
  22. 차량의 시스템 제어 보안 기능 및 편리 기능에서의 인증된 식별 코드 워드를 프로그래밍하는 프로그래밍 방법에 있어서,
    a) 제어기를 학습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와;
    b) 사용자가 상기 제어기의 인증된 송신기로서 프로그래밍하고자 하는 원격 송신기의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식별 코드 워드를 가지고 있는 하나의 그룹의 코드 데이터 워드를 상기 제어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c) 상기 제어기가 적어도 하나의 상기 그룹의 상기 코드 데이터 워드를 수신할 때까지 상기 스위치를 지속적으로 누르는 단계와;
    d) 상기 스위치를 해제하고, 상기 제어기가 하나의 세트의 상기 그룹의 상기 코드 데이터 워드를 수신할 때까지 상기 스위치를 누르는 단계 및 상기 그룹의 상기 코드 데이터 워드를 전송하는 단계를 적어도 1 회 더 반복하는 단계와;
    e) 상기 코드 데이터 워드로부터 상기 식별 코드 워드를 디코딩하고, 상기 식별 코드 워드를 상기 제어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메모리에, 인증된 식별 코드 워드로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프로그래밍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의 상기 코드 데이터 워드의 수신 후에 오디오 신호 및/또는 비쥬얼 신호로 사용자에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는 프로그래밍 방법.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세트의 상기 그룹의 상기 코드 데이터 워드의 수신 후에 오디오 신호 및/또는 비쥬얼 신호로 사용자에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는 프로그래밍 방법.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모드에 진입한 후 소정량의 시간 동안 타이머를 개시시키는 단계와, 상기 코드 데이터 워드가 상기 소정량의 시간 내에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학습 모드를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는 프로그래밍 방법.
  26. 제 22 항에 있어서,
    a) 상기 학습 모드에 진입한 후에 제 1 소정량의 시간 동안 타이머를 개시시키는 단계와;
    b) 상기 코드 데이터 워드가 상기 제 1 소정량의 시간 내에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학습 모드를 종료하는 단계와;
    c) 상기 코드 데이터 워드의 각각의 수신 후에 제 2 소정량의 시간 동안 상기 타이머를 리세트시키는 단계와;
    d) 코드 데이터 워드가 상기 제 2 소정량의 시간 내에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학습 모드를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는 프로그래밍 방법.
  27. 제 22 항에 있어서,
    a) 수신된 코드 데이터 워드를 임시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와;
    b) 후속적으로 수신된 코드 데이터 워드와 상기 임시 레지스터의 상기 저장된 코드 데이터 워드를 비교하고, 상기 코드 데이터 워드들이 동일하면 상기 후속적으로 수신된 코드 데이터 워드를 상기 임시 레지스터에 저장하는 단계와;
    c) 상기 임시 레지스터에 저장된 상기 코드 데이터 워드와 동일한 상기 세트의 상기 그룹의 상기 코드 데이터 워드를 수신하는 단계와;
    d) 상기 코드 데이터 워드로부터 상기 식별 코드 워드를 디코딩하고, 상기 식별 코드 워드를 상기 제어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상기 메모리에 상기 인증된 식별 코드 워드로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는 프로그래밍 방법.
  28.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의 제어를 위해 복수의 인증된 코드를 프로그래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는 프로그래밍 방법.
  29.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모드는 신호를 상기 제어기에 인가함으로써 개시되는 프로그래밍 방법.
  30.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모드는 상기 제어기와 그 전력 소스를 분리 및 재결합함으로써 개시되는 프로그래밍 방법.
  31.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복수의 인증된 식별 코드 워드를 프로그래밍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어기가 복수의 인증된 송신기에 응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는 프로그래밍 방법.
  32.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된 식별 코드를 부가적인 인증된 식별 코드 워드로서 복수 회 프로그래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고, 이 단계는,
    a) 상기 스위치를 누르고, 상기 세트의 상기 그룹의 상기 코드 데이터 워드가 수신된 것에 대한 상기 제어기로부터의 상기 통보 후에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그룹의 상기 코드 데이터 워드를 전송하는 단계와;
    b) 상기 코드 데이터 워드의 상기 부가적인 그룹의 상기 코드 데이터 워드로부터 상기 식별 코드 워드를 추출하는 단계와;
    c) 상기 식별 코드 워드를 상기 메모리에 프로그래밍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프로그래밍 방법.
KR1019990703416A 1996-10-18 1996-12-09 원격 송신기용 학습 모드 KR200000526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734,040 1996-10-18
US08/734,040 US5945936A (en) 1996-10-18 1996-10-18 Learn mode for remote transmitt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2646A true KR20000052646A (ko) 2000-08-25

Family

ID=24950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703416A KR20000052646A (ko) 1996-10-18 1996-12-09 원격 송신기용 학습 모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945936A (ko)
EP (1) EP0948437A1 (ko)
JP (1) JP2002511811A (ko)
KR (1) KR20000052646A (ko)
AU (1) AU1412197A (ko)
CA (1) CA2238037C (ko)
WO (1) WO199801749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05944A2 (en) * 2006-09-29 2008-09-04 Linx Technologies, Inc. Encoder and decoder apparatus and method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14092A (en) * 1987-10-14 2000-01-11 Universal Electronics Inc. Key mover
US20020145535A1 (en) * 2001-01-09 2002-10-10 Flick Kenneth E. Vehicle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data communications bus and having verification features
US20020107916A1 (en) * 2001-02-05 2002-08-08 Yukako Nii Inside-vehicle information communication method, inside-vehicle inform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inside-vehicle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inside-vehicle information communication program, recording medium storing the inside-vehicle information communication program, vehicle-provided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ssuing apparatus
TW561725B (en) * 2001-02-14 2003-1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ommunications setting method and communications setting system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system
JP3672244B2 (ja) * 2001-05-01 2005-07-20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制御方法、受信システム、制御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6956495B2 (en) * 2001-05-22 2005-10-18 oneLINK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opening of handicap access doors
FR2827414B1 (fr) * 2001-07-13 2003-12-05 Somfy Procede d'appariement d'emetteur et de recepteur
US6903650B2 (en) * 2002-05-20 2005-06-07 Wayne-Dalton Corp. Operator with transmitter storage overwrite protection and method of use
DE10306260B4 (de) * 2003-02-13 2009-10-22 Ernst Selve Gmbh & Co. Kg Elektronisches Steuersystem für Motoren zum Betätigen von Aufwickelvorrichtungen
US7145495B2 (en) * 2003-06-09 2006-12-05 Jeffrey Cooper Process for duplicating remote control command codes
US7598846B2 (en) * 2004-02-23 2009-10-06 Delphi Technologies, Inc. Vehicle disable system
US7334067B2 (en) * 2004-06-03 2008-02-19 Sp Controls, Inc. Programmable controller having reduced control key set
US7280031B1 (en) 2004-06-14 2007-10-09 Wayne-Dalton Corp. Barrier operator system with enhanced transmitter storage capacity and related methods of storage and retrieval
EP2124136B1 (fr) * 2008-05-23 2012-08-22 Charles Martin Dispositif mains libres pour télécommande
TW201507767A (zh) * 2013-08-23 2015-03-01 Asianlink Technology Inc 動作感應式遙控裝置
US10068464B2 (en) * 2015-11-20 2018-09-04 Formalighting Llc Method for adding a security code to multiple receivers during power-up
US10360748B2 (en) * 2017-08-14 2019-07-23 Q & K International Group Limited Method of achieving free-pairing wireless door lock based on DIP switch, a wireless door lock and a communication method for the wireless door lock
CN110239483B (zh) * 2019-05-07 2021-10-08 山东工商学院 车辆控制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5333A (en) * 1982-09-23 1985-08-13 Chamberlain Manufacturing Corporation Transmitter and receiver for controlling remote elements
US4771399A (en) * 1985-12-31 1988-09-13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gramming memory through battery terminals
JPS63290098A (ja) * 1987-05-22 1988-11-28 Pioneer Electronic Corp 学習リモ−トコントロ−ル装置
US5146215A (en) * 1987-09-08 1992-09-08 Clifford Electronics, Inc. Electronically programmable remote control for vehicle security system
US5049867A (en) * 1988-11-30 1991-09-17 Code-Alarm, Inc. Vehicle security apparatus
US5113182B1 (en) * 1990-01-19 1995-11-07 Prince Corp Vehicle door locking system detecting that all doors are closed
US5627529A (en) * 1994-03-11 1997-05-06 Prince Corporation Vehicle control system with trainable transceiver
US5686903A (en) * 1995-05-19 1997-11-11 Prince Corporation Trainable RF transceiv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05944A2 (en) * 2006-09-29 2008-09-04 Linx Technologies, Inc. Encoder and decoder apparatus and methods
WO2008105944A3 (en) * 2006-09-29 2009-04-23 Linx Technologies Inc Encoder and decoder apparatu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8017499A1 (en) 1998-04-30
US5945936A (en) 1999-08-31
CA2238037A1 (en) 1998-04-30
CA2238037C (en) 2002-07-09
JP2002511811A (ja) 2002-04-16
EP0948437A1 (en) 1999-10-13
AU1412197A (en) 199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52646A (ko) 원격 송신기용 학습 모드
CA2177410C (en) Trainable transceiver capable of learning variable codes
US5049867A (en) Vehicle security apparatus
KR100248458B1 (ko) 위상지연을갖는원격자동차도어개폐시스템용의휴대용송수신기
US5790015A (en) Security apparatus
US5952933A (en) System having advanced embedded code hopping encryption and learn mode therefor
US5563600A (en) Data transmission for remote-controlled security system
US5673017A (en) Remote vehicle starting system
US5146215A (en) Electronically programmable remote control for vehicle security system
US5854593A (en) Fast scan trainable transmitter
US5798711A (en) High throughput embedded code hopping system with bypass mode
KR100575505B1 (ko) 차량의 가장 최근 사용자에게 제어 액세스의 우선 순위가부여되는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시스템
US5686903A (en) Trainable RF transceiver
US5699054A (en) Trainable transceiver including a dynamically tunable antenna
US5838257A (en) Keyless vehicle entry system employing portable transceiver having low power consumption
US5699055A (en) Trainable transceiver and method for learning an activation signal that remotely actuates a device
WO1995011146A1 (en) Vehicle security system
WO1996028628A1 (en) Keyless vehicle entry and engine starting system
US5955981A (en) Security for remote operation devices
US20080309457A1 (en) Power-save for passive and two-way transmitters
JPH0777847B2 (ja) 乗物の機能の遠隔プログラム
JPH11107592A (ja) 移動体用機器遠隔制御装置
GB2315892A (en) Multiple frequency transmitter
US6104309A (en) Anti-theft system for automotive electronic accessory with coded interlock
JP3425302B2 (ja) セキュリテ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