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2012A - 3단 파라솔 살대 - Google Patents

3단 파라솔 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2012A
KR20000052012A KR1019990002782A KR19990002782A KR20000052012A KR 20000052012 A KR20000052012 A KR 20000052012A KR 1019990002782 A KR1019990002782 A KR 1019990002782A KR 19990002782 A KR19990002782 A KR 19990002782A KR 20000052012 A KR20000052012 A KR 20000052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arasol
fixed
ribs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2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범
Original Assignee
김승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범 filed Critical 김승범
Priority to KR1019990002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52012A/ko
Publication of KR20000052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201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3/00Other umbrellas
    • A45B2023/0012Ground supported umbrellas or sunshades on a single post, e.g. resting in or on a surface there below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025/003Accessories not covered by groups A45B25/24 - A45B25/30

Landscapes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라솔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라솔의 살대를 3단으로 형성을 하는 3단 파라솔 살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나 태양의 햇빛을 차단하도록 하는 간이용 차단창치로는 우산과 파라솔이 있었고, 이와 같은 우산과 파라솔중에 일측장소에 고정을 시킨 상태에서 사용을 하는 것으로서는 파라솔이 있으며 파라솔은 장식용으로도 사용을 하고 있는 실정이었으며, 이러한 장식용으로도 사용을 하는 파라솔은 단순히 빗물이나 태양의 햇빚을 차단하도록 하는 용도 이외에는 사용을 하지 않으므로 파라솔이 1단으로만 형성이 되어 있어 장식용으로는 미비하게 이루어져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장식의 효과를 나타내주기 위하여 파라솔의 파라솔천을 다양한 색상으로 형성을 함으로서 장식의 효과를 느끼도록 함이 있음으로서 이는 단순한 장식의 효과만을 느낄 수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고자 파라솔을 3단으로 펼쳐질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형성할수 있도록 함으로 장식의 효과를 높일수 있도록 하고, 파라솔의 중앙 상부부분이 통기성이 있도록 함으로서 파라솔의 하부에서 연기나 냄새가 나는 음식을 조리하여 먹을때에 연기나 냄새가 파라솔의 중앙 상부로 용이하게 배출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3단 파라솔 살대{THE SHAFT 3-STAGE PARASOL}
본 발명은 파라솔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라솔의 살대를 3단으로 형성을 하는 3단 파라솔 살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나 태앙의 햇빛을 차단하도록 하는 간이용 차단창치로는 우산과 파라솔이 있었다.
이와 같은 우산은 휴대를 하고 다니면서 비가 올때에 빗물을 차단하여 몸이 젖게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우산이 있고, 태양의 햇빚이 너무강하여 비피의 손상을 입게 될시에 햇빛을 차단하기 위한 양산으로 나누어진다.
그리고 파라솔은 일정한 장소에 고정을 시킨 상태에서 사용을 하는 것으로서 파라솔은 장식용으로 사용을 하거나 비가 올때에 단순히 빗물을 차단하도록 하고, 일정한 장소에서 태양의 햇빛에 장시간 노출을 요할때에 피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태양의 햇빚을 차단하도록 하는 용도로 사용을 할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와 같이 빗물을 차단하거나 햇빛을 차단하는데 사용을 함에 있어 파라솔이 1단으로만 형성이 되어 있어 장식용으로는 미비하게 이루어져 있었다.
이로 인하여 장식의 효과를 나타내주기 위하서는 1단으로 형성이 되어 있는 파라솔은 파라솔의 파라솔천을 다양한 색상으로 형성을 함으로서 장식의 효과를 느낄수 있도록 하는 단순한 장식 이외에는 다양한 장식의 효과를 창출할수 없는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고자 파라솔을 3단으로 펼쳐질수 있도록하여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형성할수 있도록 함으로 장식의 효과를 높일수 있도록하고, 파라솔의 중앙 상부부분이 통기성이 있도록 함으로서 파라솔의 하부에서 연기나 냄새가 나는 음식을 조리하여 먹을때에 연기나 냄새가 파라솔의 중앙 상부로 용이하게 배출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도 1 은 본 발명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인 펼친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인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사용상태 종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사용상태 종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 제 3 실시예의 사용상태 정면도.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지주대 2) 상부고정살통 3) 중앙고정살통 4) 하부고정살통
5) 지지하부살통 6) 상부살대 7) 중앙살대 8) 하부살대
12)13)14)15)33)34)115) 고정편 16)17) 링크살대 18) 지지살대
30) 고정부 35) 연장편 36) 단부 61) 고정링 117) 결합링
본 발명은 파라솔의 상,중,하부고정살통을 지주대에 고정을 시키고, 상,중,하부고정살통의 외주연으로 상부측에 상,중,하부파라솔천을 고정설치할수 있는 방사선 형태로 다수개의 상,중,하부살대를 힌지고정설치하여 구성한다.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주대(1)의 상부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상부고정살통(2)과 중앙고정살통(3) 및 하부고정살통(4)을 고정핀(19)으로 지주대(1)에 고정설치를 하고, 지주대(1)상에서 상,하로 슬라이드이동 및 고정되도록 하는 지지하부살통(5)을 삽입설치하며, 중앙 또는 끝단부에 각각 한쌍씩 이루어진 고정편(12,13,14,15,115)을 고정핀(21)으로 고정설치하고 상부측으로 각각의 원판형상의 상부파라솔천(9)과 중앙부분이 개방되어 링형태로 이루어진 통공(101,111)을 갖는 중앙파라솔천(10)과 하부파라솔천(11)을 안착고징할수 있도록 한 다수개의 상부살대(6)와 중앙살대(7) 및 하부살대(8)를 상기 상,중,하부고정살통(2,3,4)의 외주연에 각각 힌지철사(20)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고정설치를 함과 동시에, 고정편(12)과 고정편(14), 고정편(13)과 고정편(15)간을 각각 링크살대(16,17)로 연결설치하여 양측으로 힌지핀(22)으로 고정설치하고, 지지하부살통(5)에 힌지철사(20)로 일측이 고정설치하고 타측이 고정편(115)에 힌지핀(22)으로 고정설치한 지지살대(18)로 구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서 도 4 내지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다각형의 관체로 이루어지거나 봉형태로 이루어진 상,중,하부살대(6,7,8)의 외주연에 감싸여지도록 "ㄷ"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고정부(30)를 형성하고, 중앙 상부측으로 상기 상,중,하부살대(6,7,8)에 고정핀(21)으로 고징설치할수 있는 통공(31)을 형성하며, 각각의 링크살대(16,17)와 지지살대(18)를 힌지핀(22)으로 힌지 결합할수 있는 통공(32)을 갖는 한쌍의 고정편(33,34)으로 이루어져 구성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서 도 6 내지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다각형의 관체로 이루어지거나 봉형태로 이루어진 상,중,하부살대(6,7,8)의 외주연에 감싸여지도록 "ㄷ"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고정부(301)를 형성하고, 각각의 링크살대(16,17)와 지지살대(18)를 힌지핀(22)으로 힌지결합할수 있는 통공(32)을 갖는 한쌍의 고정편(33,34)을 형성하며, 전,후의 양측으로 상기 상,중,하부살대(6,7,8)를 감싸여져 고정할수 있도록 하는 단부(36)와 절곡선(37)을 갖는 한쌍의 연장편(35)으로 이루어져 구성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서 도 8 내지 도 9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형태로 이루어진 상,중,하부살대(6,7,8)에 상기 봉형태로 이루어진 링크살대(6,7,8)와 지지살대(18)가 접하는 부분을 링형태로 말아서 고정링(61)을 형성하고, 봉형태의 링크살대(16,17)와 지지살대(18)의 양측 또는 일측에 상기 고정링(61)과 결합할수 있는 결합링(62)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본 발명의 작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지주대(1)의 상부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상부고정살통(2)과 중앙고정살통(3)및 하부고정살통(4)을 고정핀(19)을 사용하여 지주대(1)에 고정을 시키고, 상,중,하부고정살통(2,3,4)에 힌지철사(20)를 사용하여 상,중,하부살대(6,7,8)를 힌지설치를 하며, 각각의 살대(6,7,8)간을 링크살대(16,17)로 힌지설치를 함과 동시에 하부살대(8)의 하부측으로 지주대(1)상에서 상,하로 유동하는 지지하부살통(5)에 힌지철사(20)로 고정설치한 지지살대(18)를 설치하면 된다.
이와 같이 설치한 상태에서 하부살대(8)의 상부측인 고정편(15)이 고정설치된 외측으로 통공(111)을 갖는 하부파라솔천(11)을 통상의 우산이나 파라솔의 천을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고정설치를 하고, 중앙살대(7)에 고정설치한 고정편(14)의 외측상부측으로 통공(101)을 갖는 중앙파라솔천(10)을 상기의 하부파라솔천(11)의 고정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정을 시키며, 상부살대(6)의 살부측에 원판형상으로 형성한 상부파라솔천(9)을 중앙의 상부고정살통(2)에 고정을 시킴과 동시에 상부살대(6)에 상기 하부파라솔천(11)과 중앙파라솔천(10)의 고정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고정을 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고정을 시킨 상태에서 지지하부살통(5)을 지주대(1)상에서 상부측으로 밀어올리면 지지살대(18)가 하부살대(8)를 상부측으로 밀어올리면서 일측이 하부고정살통(4)에 고정설치한 힌지철사(20)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선 형태로 펼쳐지면서 하부살대(8)의 개수와 동일한 각의 형상으로 펼쳐지게 되고, 하부살대(8)가 방사선 형태로 펼쳐지면서 하부살대(8)의 상부측에 형성한 고정편(15)에 힌지핀(22)에 의해 일측이 힌지고정된 링크살대(17)를 밀어올리게 됨으로서 링크살대(17)가 타측에 힌지핀(22)에 의해 힌지고정하고 고정핀(21)에 의해 고정된 고정편(13)을 갖는 중앙살대(7)를 상부측으로 밀어올려서 중앙고정살대(3)에 힌지철사(20)에 의해 힌지고정된 부분을 중심으로 방사선 형태로 중앙살대(7)가 펼쳐지게 되며, 중앙살대(7)가 방사선 형태로 펼쳐지면서 중앙살대(7)의 상부측에 형성한 고정편(14)에 힌지핀(22)에 의해 일측이 힌지고정된 링크살대(16)를 밀어올리게 됨으로서 링크살대(16)가 타측에 힌지핀(22)에 의해 힌지고정하고 고정핀(21)에 의해 고정된 고정편(12)을 갖는 상부살대(6)를 상부측으로 밀어올려서 상부고정살대(2)에 힌지철사(20)에 의해 힌지고정된 부분을 중심으로 방사선 형태로 상부살대(6)가 펼쳐지게 된다.
이와 같이 파라솔을 펼치면은 상,중,하부측으로 파라솔이 펼쳐지게 됨으로서 다단의 파라솔을 펼친 상태가 됨으로서 외견상 미려한 감을 증대시키게 됨으로서 파라솔을 이용하여 장식의 효과를 높일수 있고, 비나 눈이올 때 또는 파라솔의 하부에서 음식을 조리할때에 발생하게 되는 연기가 파라솔의 하부에서 제대로 빠져나가지 못하여 파라솔의 밀에서는 음식을 조리하지 못하였던 단점이 있었던 것을 음식을 조리할때에 발생하는 연기가 하부파라송천(11)의 중앙부분에 형성한 통공(111)을 통하여 상부측으로 이동을 하게 되며, 하부파라솔천(11)의 상부측으로 이동한 연기는 중앙파라솔천(10)의 중앙에 형성한 통공(101)을 통하여 중앙파라솔천(10)의 상부측으로 이동을 하여 중앙파라솔천(10)과 상부파라솔천(9)의 사이로 배출이 됨으로서 파라솔천(10,11)의 통공(101,111)이 연통의 역할을 하게 됨으로서 파라솔의 하부에서 음식을 조리하더라도 음식을 조리할때에 발생하게 되는 연기나 냄새가 원활하게 배출이 된다.
그리고 파라솔을 접을때에는 지지하부살통(5)을 지주대(1)상에서 하부측으로 이동을 시키면 하부살대(8)를 지지하던 지지살대(18)가 하부측으로 이동을 하게 됨으로서 하부살대(8)가 지주대(1)를 중심으로 접히게 되고, 하부살대(8)가 접히게 됨으로서 중앙살대(7)를 지지하고 있던 링크살대(17) 또한 하부측으로 이동을 하게 됨으로서 중앙살대(7) 또한 지주대(1)를 중심으로 접히게 되며, 중앙살대(7)가 접히게 됨으로 상부상대(6)를 지탱하고 있던 링크살대(16)가 하부측으로 이동을 하게 됨으로 상부살대(6) 또한 지주대(1)를 중심으로 접히게 됨으로서 파라솔을 접을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서 도 4 내지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30)를 "ㄷ"자형태로 형성을 함으로서 원통형,다각형의 관체로 이루어지거나 봉형태로 이루어진 상,중,하부살대(6,7,8)의 외주연에 감싸여지도록 감싼후 상,중,하부살대(6,7,8)와 통공(31)을 통하여 고정핀(21)을 사용하여 견고하게 고정을 시킴으로 상,중,하부살대(6,7,8)와 고징부(30)가 견고하게 고정이 되고, 견고히 고정을 시킨 고정부(30)의 양측으로 형성한 고정편(33,34)의 사이에 링크살대(16,17)나 지지살대(18)를 결합후 통공(32)을 통하여 힌지핀(22)으로서 힌지고정을 시킴으로 고정부(30)가 상,중,하부살대(6,7,8)에서 유동이 되지 않는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을 할수 있음과 동시에 설치고정을 편리하게 할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서 도 6 내지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301)를 "ㄷ"자형태로 형성을 함으로서 원통형,다각형의 관체로 이루어지거나 봉형태로 이루어진 상,중,하부살대(6,7,8)의 외주연에 감싸여지도록 감싼후 전,후의 양측으로 형성한 연장편(35)의 절곡선(37)측을 내측으로 절곡을시킴과 동시에 단부(36)측을 압압시킴으로 상,중,하부살대(6,7,8)의 하부측인 단부(36)가 접하는 부분이 눌리어지게 되어 손쉽고 간편하게 고정부(301)를 상,중,하부살대(6,7,8)에 견고하게 고정을 시킬수 있게 되고, 견고히 고정을 시킨 고정부(301)의 양측으로 형성한 고정편(33,34)의 사이에 렁크살대(16,17)나 지지살대(18)를 결합후 통공(32)을 통하여 힌지핀(22)으로서 힌지고정을 시킴으로 고정부(301)가 상,중,하부살대(6,7,8)에서 유동이 되지 않는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을 할수 있음과 동시에 설치고정을 편리하게 할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서 도 8 내지 도 9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형태로 이루어진 상,중,하부살대(6,7,8)의 링크살대(16,17)와 지지살대(18)가 접하는 부분을 발아서 고정링(61)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링(61)과 상호 결합이 되는 링크살대(16,17)와 지지살대(18)의 끝부분을 말아서 결합링(62)을 형성함으로서 링크살대(16,17)와 지지살대(18)를 상호 결합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편이나 고정부를 만들어 고정설치를 하지 아니하여도 됨으로서 자재를 절감할수 있고, 제작을 편리하게 할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제작단가를 줄일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 작용하는 본 발명은 파라솔을 3단인 다단으로 형성을 함으로서 외견상 미려하게 할수 있어 각종 장식의 수단으로 사용을 할수 있고, 파라솔의 중앙부분에 통공을 형성하여 파라솔밑에서 음식을 조리할때에 발생하게 되는 연기나 냄새가 통공을 통하여 용이하게 배출을 시킬수 있음으로 파라솔밑에서도 음식을 조리할수 있는등의 매우 우수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5)

  1. 파라솔에 있어서, 파라솔의 상,중,하부고정살통을 지주대에 고정을 시키고, 상,중,하부고정살통의 외주연으로 상부측에 상,중,하부파라솔천을 고정설치할수 있는 방사선 형태로 다수개의 상,중,하부살대를 힌지고정설치하되 상부살대의 길이보다 중앙살대의 길이가 크고, 중앙살대의 길이보다 하부살대의 길이가 길게 형성하며, 상부살대와 중앙살대에 링크살대로 연결설치하고, 하부살대와 지지하부살통간을 지지살대로 연결설치하여 다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3단 파라솔살대.
  2. 제 1항에 있어서,
    3단 파라솔을 형성함에 있어 지주대(1)의 상부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상부고정살통(2)과 중앙고정살통(3) 및 하부고정살통(4)을 고정핀(19)으로 지주대(1)에 고정설치를 하고, 지주대(1)상에서 상,하로 슬라이드이동 및 고정되도록 하는 지지하부살통(5)을 삽입설치하며, 중앙 또는 끝단부에 각각 한쌍씩 이루어진 고정편(12,13,14,15,115)을 고징핀(21)으로 고정설치하고 상부측으로 각각의 원판형상의 상부파라솔천(9)과 중앙부분에 개방되어 링형태로 이루어진 통공(101,111)을 갖는 중앙파라솔천(10)과 하부파라솔천(11)을 안착고정할수 있도록 한 상부살대(6)와 중앙살대(7) 및 하부살대(8)를 상기 상,중,하부고정살통(2,3,4)의 외주연에 각각 힌지철사(20)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고정설치하고, 고정편(12)과 고정편(14), 고정편(13)과 고정편(15)간을 각각 링크살대(16,17)로 연결설치하여 양측으로 힌지핀(22)으로 고정설치하고, 지지하부살통(5)에 힌지철사(20)로 일측이 고정설치하고 타측이 고정편(115)에 힌지핀(22)으로 고정설치한 지지살대(18)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3단 파라솔 살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살대(16,17)와 지지살대(18)를 상,중,하부살대(6,7,8)에 힌지고정하는 고정편을 형성함에 있어 원통형,다각형의 관체로 이루어지거나 봉형태로 이루어진 상,중,하부살대(6,7,8)의 외주연에 감싸여지도록 "ㄷ"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고정부(30)를 형성하고, 중앙 상부측으로 상기 상,중,하부살대(6,7,8)에 고정핀(21)으로 고정설치할수 있는 통공(31)을 형성하며, 각각의 링크살대(16,17)와 지지살대(18)를 힌지핀(22)으로 힌지결합할수 있는 통공(32)을 갖는 한쌍의 고정편(33,34)으로 이루어져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3단 파라솔 살대.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살대(16,17)와 지지살대(18)를 상,중,하부살대(6,7,8)에 힌지고정하는 고정편을 형성함에 있어 원통형,다각형의 관체로 이루어지거나 봉형태로 이루어진 상,중,하부살대(6,7,8)의 외주연에 감싸여지도록 "ㄷ"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고정부(301)를 형성하고, 각각의 링크살대(16,17)와 지지살대(18)를 힌지핀(22)으로 힌지결합할수 있는 통공(32)을 갖는 한쌍의 고정편(33,34)을 형성하며, 전,후의 양측으로 상기 상,증,하부실대(6,7,8)를 감싸여져 고정할수 있도록 하는 단부(36)와 절곡선(37)을 갖는 한쌍의 연장편(35)으로 이루어져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3단 파라솔 살대.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살대(16,17)와 지지살대(18)를 상,중,하부살대(6,7,8)에 힌지고정하는 고정편을 형성함에 있어 봉형태로 이루어진 상,중,하부살대(6,7,8)에 상기 봉형태로 이루어진 링크살대(6,7,8)와 지지살대(18)가 접하는 부분을 링형태로 말아서 고정링(61)을 형성하고, 봉형태의 링크살대(16,17)와 지지살대(18)의 양측 또는 일측에 상기 고정링(61)과 결합할수 있는 결합링(62)을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3단 파라솔 살대.
KR1019990002782A 1999-01-28 1999-01-28 3단 파라솔 살대 KR200000520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2782A KR20000052012A (ko) 1999-01-28 1999-01-28 3단 파라솔 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2782A KR20000052012A (ko) 1999-01-28 1999-01-28 3단 파라솔 살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2012A true KR20000052012A (ko) 2000-08-16

Family

ID=19572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2782A KR20000052012A (ko) 1999-01-28 1999-01-28 3단 파라솔 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5201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1744B1 (ko) 파라솔
US20030084931A1 (en) Beach umbrella with lamps
JPS6134803B2 (ko)
KR101866699B1 (ko) 속지 확개용 우산
KR20000052012A (ko) 3단 파라솔 살대
GB2308808A (en) A clothes line and canopy arrangement
US4658843A (en) Flexed fan umbrella apparatus
KR200267939Y1 (ko) 타원형 우산
KR100742157B1 (ko) 우산
KR100706639B1 (ko) 내피를 갖는 파라솔
KR200254306Y1 (ko) 차양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파라솔
KR200302359Y1 (ko) 이중 파라솔의 프레임 구조
KR20120099565A (ko) 손잡이 케이스, 버팀대 및 회전이 가능하고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킬 수 있는 중심 막대가 있는 접이식 우산
KR200247353Y1 (ko) 접이식 폴대가 구비된 야외용 그물 침대
KR930001663Y1 (ko) 파라솔
JPH11125034A (ja) 自立式簡易構築体
KR200210598Y1 (ko) 파라솔을 이용한 그늘막 겸용 텐트
KR960005349Y1 (ko) 우산
JP3076715U (ja) パラソル
WO2006031208A1 (en) Umbrella undercanopy fastening system
KR200310398Y1 (ko) 방수기능이 구비된 야외용 모기장
KR200389733Y1 (ko) 절첩식 쌍봉 파라솔
KR200255857Y1 (ko) 절첩식 파라솔
KR101011804B1 (ko) 크기 조절이 가능한 우산 장치
KR910001094Y1 (ko) 휴대용 절첩식 파라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