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7939Y1 - 타원형 우산 - Google Patents

타원형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7939Y1
KR200267939Y1 KR2019990001142U KR19990001142U KR200267939Y1 KR 200267939 Y1 KR200267939 Y1 KR 200267939Y1 KR 2019990001142 U KR2019990001142 U KR 2019990001142U KR 19990001142 U KR19990001142 U KR 19990001142U KR 200267939 Y1 KR200267939 Y1 KR 2002679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folding
clasp
meat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11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1905U (ko
Inventor
고구
Original Assignee
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구 filed Critical 고구
Priority to KR20199900011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7939Y1/ko
Publication of KR199900219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1905U/ko
Priority to PCT/KR2000/000065 priority patent/WO200004425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79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79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1/00Umbrella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attach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45B19/1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with collapsible rib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타원형 우산에 관한 것으로서, 우산살을 원주 방향으로 점차 길어지거나 짧아지게 하고, 장축 방향의 긴 우산살의 받침살은 단축 방향의 짧은 우산살에 비하여 길게 하고 장축 방향의 긴 우산살의 윗살은 단축 방향의 짧은 우산살에 비하여 짧게하며, 함께 체결된 각각의 윗살과 받침살의 길이의 합을 같게 하여, 우산대를 수직으로 세우고 우산을 폈을 때 긴 우산살은 우산포의 장력에 의해 원호를 그리며 높이 들려서 멀리 나가고 짧은 우산살은 낮게 향하여 모든 우산살 끝들이 수평을 이루면서 타원형 우산을 형성하게 되므로, 2인이 함께 사용하여도 바깥쪽 어깨가 젖지 않으며 1인이 쓸때에도 국부적으로 신체가 젖지 않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타원형 우산{ELLIPTICAL UMBRELLA}
본 고안은 다수의 살에 의하여 천을 펴거나 접을 수 있는 타원형 우산 또는 양산(이하 "우산"이라함)에 관한 것으로서, 우산대를 수직으로 세우고 우산을 펼 경우에 모든 우산살끝들이 동일한 수평면에 위치하면서 타원형을 형성하게 하여 빗물이나 햇빛을 효과적으로 피할 수 있는 타원형 우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원형우산은 우산대가 중앙에 있고 우산을 펼 경우에 원형을 이루므로 우산대를 잡은 손의 반대쪽은 어깨, 팔, 다리등이 빗물에 노출되는 것을 피할 수가 없었으며, 또 2인이 함께 사용할 시는 각자의 바깥쪽 어깨가 젖는 것을 막을 수가 없었다. 혼자서 사용하더라도 국부적으로 예를들면 등이나 무릎아래가 젖는 것을 피할 수가 없었다. 이를 피하기 위해 크게 원형 우산을 만들 경우에는 우산의 무게가 증가하고 바람의 저항이 커져서 사용하기 어렵게 된다. 또 종래에는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번호 제96-5349호에 개시된 바와같이 우산대와 우산천 사이의 각도가 경사지도록 하여 한쪽으로 기울어진 우산을 만들기 위하여 윗살과 받침살 의 길이의 합이 동일하도록 한 경우가 있었으나 각각의 우산살의 길이가 동일함으로 인하여 우산천의 일부위가 다른 부위보다 밑으로 내려오게 되어 사용이 불편하고 마감도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국 실용신안공개번호 평6-38632호에 개시된 2인용 우산은 우산살과의 사이가 넓은 부분에 위치한 우산포가 펄럭이게 되어 불안정하게 되고 외관도 볼품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국 특허공개번호 평7-8312호에 개시된 우산은 한쪽 우산살은 길게 만들고 다른 쪽 우산살은 짧게 만들어 타원형으로 우산을 만든다고만 되어 있을 뿐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의 제시가 없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우산대를 수직으로 세우고 우산을 폈을 때 모든 우산살끝들이 동일한 수평면에 위치하면서 타원을 형성하게 함으로서 2인이 함께 사용할 시는 각자의 바깥쪽 어깨가 젖는 것을 방지하며 1인이 사용할 시에는 바람의 부는 방향에 따라 우산을 회전시켜 신체가 국부적으로 예를 들면 등이나 무릎 아래가 젖는 것을 피할 수 있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원형우산에 대한 고정관념을 탈피하여 미려한 타원형 우산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표준형 8살 타원형 우산으로 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가)도는 평면도, (나)도는 측면도, (다)도는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라 표준형 8살 타원형 우산으로 한 다른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가)도는 평면도, (나)도는 측면도, (다)도는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을 2단 수동절첩식 우산에 적용한 우산살의 비교측면도로서 (가)도는 개산시의 비교측면도, (나)도는 반개산시의 비교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을 2단 자동절첩식 우산에 적용한 우산살의 비교측면도로서 (가)도는 개산시의 일반적인 측면도, (나)도는 개산시의 우산살들을 비교한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을 3단 절첩식 우산에 적용한 우산살의 비교측면도로서
(가)도는 반 개산시 우산살의 일반적인 측면도,
(나)도는 반 개산시 우산살들의 비교측면도,
(다)도는 개산시 우산살들을 비교한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을 4단 절첩식 우산에 적용한 것을 비교한 측면도로서
(가)도는 반개산시 우산살의 일반적인 측면도,
(나)도는 반개산시 우산살들을 비교한 측면도,
(다)도는 개산시 우산살들을 비교한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라 절반은 반타원형으로 하고 절반은 반원으로 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가)도는 평면도, (나)도는 측면도, (다)도는 정면도.
도 8은 본 고안을 지팡이형 우산에 적용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서
(가)도는 반개산시 우산살들을 비교한 측면도,(나)도는 개산시 우산살들을 비교한 측면도,(다)도는 개산시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긴우산살 2 : 짧은 우산살5 : 우산대 A : 상걸쇠B :하걸쇠 C : 받침점D : 절첩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우산대와, 우산대의 상측단에 고정된 상걸쇠와, 우산대에 이동가능토록 삽입된 하걸쇠와, 상기 상걸쇠에 상측단이 체결된 윗살을 포함하여 우산의 천을 지지하는 우산살과, 상기 하걸쇠에 하측단에 체결된 받침살로 구성된 우산에 있어서, 우산을 타원형으로 형성하되, 타원의 장축 방향의 우산살은 길게 단축 방향의 우산살은 짧게 형성하고, 상기 상걸쇠로부터 상기 윗살과 상기 받침살이 연결된 받침점까지의 윗살의 길이는 장축 방향의 윗살이 단축 방향의 윗살보다 짧게 형성되고, 하걸쇠로부터 상기 받침점까지의 받침살의 길이는 장축방향의 받침살이 단축 방향의 받침살보다 길게 형성되며, 서로 연결된 상기 받침점까지의 윗살과 받침살의 길이의 합은 각각이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어, 우산을 접을 때 우산이 하단에서 가지런히 접힘과 아울러, 우산을 펼 때 우산천의 장력에 의하여 장축 방향의 긴 우산살은 높이 들려서 멀리 나가고 단축 방향의 짧은 우산살은 보다 낮게 향하게 되어 각각의 우산살 끝들이 동일 수평면에 위치하면서 타원을 형성하게 구성된 우산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우산을 접을 때 우산살이 절첩되지 않으면 각 우산살의 길이가 틀려 우산살 끝들이 한데 모이지 않아서 불편하게 된 소지가 있으므로 2단, 3단, 4단 절첩및 지팡이형 우산등에 대하여 수동 및 자동절첩 등 각종 절첩방식을 결합하여 타원형 우산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표준형 8살 우산을 타원형으로 한 경우이다. 이때 우산살은 긴살(1)과 짧은살(2) 2종류이며 우산포는 모양과 크기가 다른 4종류에 모두 8조각이 필요하게 된다. 우산대(5)를 수직으로 세우고 우산을 펼경우 긴살끝(El) 네 개와 짧은살끝(E2) 네 개는 동일한 하나의 수평을 이루며 타원을 형성한다.
도 2는 표준형 8살 우산을 타원형으로한 다른 실시예로서 이때의 우산살은 긴살(1), 짧은살(2), 더 짧은살(3) 3종류이며 우산포는 각각 모양과 크기가 다른 4종류에 모두 8조각이 필요하게된다. 우산대를(5) 수직으로 세우고 우산을 펼 경우에 각각의 우산살끝은 동일한 하나의 수평면을 이루며 타원을 형성한다.
도 3은 수동2단 절첩식 우산에 긴 우산살과 짧은 우산살이 동일 수직면상에 표현되도록 가상하여 도시된 도면으로서, (가)는 우산이 펴진 경우에 우산살의 모양을 나타내는 데, 5는 우산대, A는 우산대의 상측에 고정된 상걸쇠, B는 우산대에 이동가능토록 삽입된 하걸쇠, 1,2,3은 상기 상걸쇠(A)에 상측단이 체결된 윗살과 단일체로 형성되어 우산포를 지지하는 우산살, 11,12,13은 하측단이 상기 하걸쇠에 체결되고 상측부가 상기 윗살과 힌지 연결되어 받침점(C1,C2,C3)을 형성하는 받침살, D1,D2,D3는 우산살이 서로 절첩가능토록 연결된 절첩부를 나타낸다. 상기에서 긴 우산살(1)은 가장 높이 들려서 멀리 나가고 차례로 아래를 향하여 더 짧은 우산살(3)은 가장 낮게 향하게 된다. 이때 각살의 끝(E1),(E2),(E3)은 우산대(5)를 수직으로 세우고 폈을 때 수평을 이루면서 타원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아래와 같은 관계식이 성립되게 한다.
(31)식은 상걸쇠(A)로부터 받침점(C)까지의 윗살의 길이와 하걸쇠(B)로부터 받침점(C)까지의 받침살의 길이의 합을 서로 동일하게 함으로서 하걸쇠(B)가 우산대(5)의 상하로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게 하고 하걸쇠(B)를 아래로 내려서 우산을 절첩하였을 때 각각의 우산살들이 우산대(5)와 평행하게 가지런히 접히게 된다. (32)식과 (33)식은 상기 윗살과 받침살과 끝살(이 경우 절첩부 D에서 우산살 끝 E까지의 우산살)등의 대소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나)는 우산을 절반 정도 폈을 때의 각 우산살을 비교한 측면도로서 우산을 절첩할 때 각각의 절첩부 (D1),(D2),(D3)가 하걸쇠(B) 옆에 가지런히 모이고 긴 우산살끝(E1)은 상걸쇠(A) 옆에 오지만 다른 우산살끝(E2),(E3)은 그 아래쪽에 차례로 오게 된다.
도 4는 자동 2단 절첩식 우산에 본 고안을 적용한 경우로 (가)는 우산을 폈을 때 하나의 우산살의 측면도의 일반적 형태이고, (나)는 길고 짧은 우산살들의 가상적인 비교측면도로서 이 때도 상기 (31)식과 상기 (32)식은 성립하며 동시에 아래의 관계식들이 추가된다. 상기에서 4는 윗살, 15는 보조받침살, 6은 끝살, 14는 받침살, R는 보조받침살과 끝살이 연결되어 절첩되는 절첩점, F는 받침살(14)과 끝살이 연결된 연결점(F)를 나타낸다.
(31)과 (32)식은 도 3의 경우와 동일하게 적용되며, (41), (42)식에 의하여 우산을 절첩하면 각각의 절첩점(R1),(R2),(R3)들이 상걸쇠 (A) 근처로 가지런히 모이면서 접히게 되며 이때 긴 우산살끝(E1)은 하걸쇠(B) 근처로 오게 된다. 그러나 짧은 우산살끝(E2),(E3)은 하걸쇠(B)의 윗쪽으로 차례로 모이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3단 절첩식 우산으로서, (가)는 우산을 절반 정도 폈을 때 하나의 우산살의 측면도의 일반적인 형태이고 (나)는 길고 짧은 우산살들을 비교한 가상적인 측면도이다. 도 5에서 7은 윗살, 8은 중간살, 9는 끝살, 17은 받침살, 18은 보조받침살, C는 윗살(7)과 받침살(17)이 연결된 받침점, P는 중간살(8)과 보조받침살(18)이 연결된 제1절첩점, G는 윗살(7)과 중간살(8)이 연결된 연결점, H는 중간살(8)과 끝살(9)이 연결된 제2절첩점을 나타낸다. 도 5의 실시예도 (31), (32)식은 동일하게 적용되며 동시에 아래의 관계식이 성립된다.
이때 우산을 절첩하면 각 연결점(G1),(G2),(G3)이 하걸쇠(B) 근처로 가지런히 모이며 제2절첨점(H1),(H2),(H3)은 상걸쇠(A) 근처로 모이게 된다. 긴 우산살끝(E1)은 하걸쇠(B) 옆에 오지만 짧은 우산살끝(E2),(E3)은 그 윗쪽에 차례로 모이게 된다. (다)는 (나)를 우산을 펼 경우의 비교측면도로서 우산대(5)를 수직으로 세우고 우산을 펴면 우산살끝들이 하나의 수평을 이룰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4단 절첩식 우산으로서 (가)는 우산을 폈을 경우 하나의 우산살의 측면도의 일반적 형태이고 (나)는 길고 짧은 우산살들을 비교한 측면도이다. 도 6에서 21은 윗살, 22는 제1중간살, 23은 제2중간살, 24는 끝살, 31은 받침살, 32는 제1 보조받침살, 33은 제2보조받침살, C는 윗살(21)과 받침살(31)이 연결된 받침점, S는 제2보조받침살(32)과 제1중간살(22)이 연결된 제1절첩점, I는 받침살(31)과 제1중간살(22)이 연결된 제1연결점, T는 제2중간살(23)과 제2보조받침살(33)이 연결된 제2절첩점, J는 제1중간살(22)과 제2중간살(23)이 연결된 제2연결점, K는 제2중간살(23)과 끝살(24)이 연결된 제3절첩점이다. 도 6의 실시예도 (31),(32)식은 동일하게 적용되며 이경우에는 아래의 관계식이 함께 성립한다.
이 경우에 우산을 절첩하면 제1절첩점(S1),(S2)과 제3절첩점(K1),(K2)이 상걸쇠(A) 근처에 오고 바로 그 아래에 제1연결점(I1),(I2)가 오게 되고, 제2절첩점(T1),(T2)과 긴 우산살끝(E1)이 하걸쇠(B)근처에 모이고 제2연결점(J1),(J2)과 짧은 우산살끝(E2)는 그 위쪽에 오게 된다. (다)는 (나)를 폈을 경우의 비교측면도이며 우산대(5)를 수직으로 세우고 폈을때 우산살끝들이 하나의 수평을 이루는 것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고안을 우산의 절반만 반타원형으로 적용하고 나머지 절반은 종래의 방법대로 반원형으로 하여 우산대(5)를 수직으로 세우고 우산을 폈을때 모든 우산살 끝들이 하나의 수평면을 이루면서 타원을 형성하도록 한 것으로 여러 가지의 조합이 있을 수 있으나 이 경우는 우산살이 4종류에 모두 10개이며, 우산포는 7종류에 10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의 점선은 우산포의 접히는 선을 예시한 것이다. 이 경우 우산을 크게 만들지 않고도 우산대(5)를 잡은 손의 반대쪽 어깨, 팔, 다리 등이 비에 젖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는 살끝(E1),(E2)을 갖는 긴 우산살은 제1,2절첩점(G),(H)를 구비하고 살끝(E3),(E4)를 갖는 짧은 우산살은 제1절첩점(D)를 구비하여 긴 우산살과 짧은 우산살의 절첩의 수를 달리하여 우산을 타원형으로 형성하고 있다.도 8은 본 고안을 지팡이형 우산에 적용한 예로서 살끝(E1)을 갖는 타원의 장축 방향의 긴 우산살은 절첩점(D1)을 갖는 절첩형으로 하고 살끝(E2)를 갖는 단축 방향의 짧은 우산살은 비절첩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도 상기(31), (32)식이 성립해야 함은 물론이고, 아래의 식도 충족시켜야 한다.
이 때 하걸쇠를 아래로 내려 우산을 절첩하면 긴 우산살의 절첩점(D1)과 짧은 우산살의 우산살끝(E2)은 함께 하걸쇠(B)근처 손잡이에 모이게 된다. 이 때도 우산대(5)를 수직으로 세우고 펴면 우산살끝들이 하나의 수평면을 이루면서 타원을 형성한다. 도면의 점선은 우산포의 접히는 선을 예시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타원형 우산은 2인이 함께 사용할 시에도 각자의 바깥쪽 어깨,등이 젖지 않으며 1인이 혼자 사용 할 경우에 타원의 장축을 전후로 향하게 하면 등어리와 무릎아래가 보행시에도 젖지 않아서 종래보다 훨씬 효과적인 우산이 된다. 또 휴대하기 편하게 2단, 3단, 4단 등으로 절첩할 수도 있으며 지팡이형으로 만들어 골프우산 등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수동식으로 하여 저렴한 제품을 만들 수도 있고 자동식으로 하여 고급품을 만들 수도 있다.
또 원형우산에 대한 고정관념을 탈피하여 미려한 타원형 우산으로 심미감과 다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8)

  1. 우산대와, 우산대의 상측단에 고정된 상걸쇠와, 우산대에 이동가능토록 삽입된 하걸쇠와, 상기 상걸쇠에 상측단이 체결된 윗살을 포함하여 우산의 천을 지지하는 우산살과, 상기 하걸쇠에 하측단이 체결된 받침살로 구성된 우산에 있어서, 우산을 타원형으로 형성하되, 타원의 장축 방향의 우산살은 길게 단축 방향의 우산살은 짧게 형성하고, 상기 상걸쇠로 부터 상기 윗살과 상기 받침살이 연결된 받침점까지의 윗살의 길이는 장축 방향의 윗살이 단축 방향의 윗살보다 짧게 형성되고, 하걸쇠로부터 상기 받침점까지의 받침살의 길이는 장축 방향의 받침살이 단축 방향의 받침살보다 길게 형성되며, 서로 연결된 상기 받침점까지의 윗살과 받침살의 길이의 합은 각각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어, 우산을 접을 때 우산이 하단에서 가지런히 접힘과 아울러, 우산을 펼 때 우산천의 장력에 의하여 장축 방향의 긴 우산살은 높이 들려서 멀리 나가고 단축 방향의 짧은 우산살은 보다 낮게 향하게 되어 각각의 우산살 끝들이 동일 수평면에 위치하면서 타원을 형성하게 구성된 타원형 우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은 수동 2단 절첩식으로 형성되고, 상걸쇠로부터 우산살의 절첩점까지의 각각의 길이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어, 우산의 절첩시 상기 절첩점은 각각 하걸쇠 주위에 가지런히 모이고 우산살 끝은 각각 상걸쇠 주위에 높이의 차를 두고 모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형 우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은 자동 2단 절첩식으로 형성되고, 상걸쇠로부터 제2보조받침대와 연결된 부위까지의 윗살의 길이와 끝살과 절첩점에서 연결된 제2보조받침대의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우산의 절첩시 상기 절첩점은 각각 상걸쇠 주위에 가지런히 모이고 우산살 끝은 각각 하걸쇠 주위에 높이의 차를 두고 모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형 우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은 3단 절첩식으로 형성되고, 윗살의 길이는 중간살과 윗살의 연결점으로부터 중간살과 끝살이 연결된 제2절첩점까지의 중간살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우산의 절첩시 우산살의 제1절첩점은 각각 하걸쇠 주위에 가지런히 모이고 상기 제2절첩점은 각각 상걸쇠 주위에 가지런히 모이며 우산살 끝은 각각 하걸쇠 주위에 높이의 차를 두고 모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형 우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우산은 4단 절첩식으로 형성되고, 상걸쇠로부터 윗살과 제1보조받침대와 연결된 부위까지의 윗살의 길이와 끝단이 제1중간살과 제1절첩점에서 연결된 제1보조받침대의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중간살의 길이와 제2중간살이 제1중간살과 연결된 부위로 부터 끝살과 연결된 제3절첩점까지의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우산의 절첩시 우산살의 제1절첩점 및 제3절첩점은 상걸쇠 주위에 우산살의 제2절첩점은 하걸쇠 주위에 각각 가지런히 모이고 우산살 끝은 하걸쇠 주위에 높이의 차를 두고 각각 모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형 우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의 절반은 종래의 원형 우산의 절반인 반원형을 형성하게 하고 우산의 절반은 반타원형을 형성하게 하며, 반타원형 부위의 우산살은 반원형의 우산살에 비하여 더 많이 절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형 우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이 장축 방향의 우산살은 적어도 2단으로 절첩되고 단축 방향의 우산살은 비절첩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형 우산.
  8. 삭제
KR2019990001142U 1999-01-27 1999-01-27 타원형 우산 KR2002679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1142U KR200267939Y1 (ko) 1999-01-27 1999-01-27 타원형 우산
PCT/KR2000/000065 WO2000044255A1 (en) 1999-01-27 2000-01-27 Umbrella with oval canop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1142U KR200267939Y1 (ko) 1999-01-27 1999-01-27 타원형 우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905U KR19990021905U (ko) 1999-06-25
KR200267939Y1 true KR200267939Y1 (ko) 2002-03-13

Family

ID=54755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1142U KR200267939Y1 (ko) 1999-01-27 1999-01-27 타원형 우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267939Y1 (ko)
WO (1) WO20000442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082Y1 (ko) * 2002-09-18 2002-12-02 권영억 다용도 우산
US7350530B2 (en) * 2004-10-29 2008-04-01 Dry Rain, Llc Asymmetric umbrella
UA105044U (uk) * 2015-12-10 2016-02-25 Олег Олександрович Гурович Сонцезахисна парасоля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засобу
JP6872204B2 (ja) * 2019-05-28 2021-05-19 株式会社ワールドパーティー 折畳式異形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9952U (ko) * 1974-07-31 1976-02-13
JPS5352961U (ko) * 1976-09-28 1978-05-06
JPS6197908U (ko) * 1984-11-30 1986-06-23
JPS61116515U (ko) * 1985-01-08 1986-07-23
JPS6325018U (ko) * 1986-07-30 1988-02-1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0044255A1 (en) 2000-08-03
KR19990021905U (ko) 199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290786A (en) Folding bed rest for beaches, camps, etc.
KR200267939Y1 (ko) 타원형 우산
JPS6134803B2 (ko)
CN208192407U (zh) 不用手持的伞
CN202800407U (zh) 一种偏心防雨伞
US4621653A (en) Windshell
CN202664494U (zh) 改良的偏心防雨伞
CN2398882Y (zh) 双杆肩背伞
CN205649210U (zh) 一种可折叠凳
CN205866389U (zh) 一种移动式野外就餐装置
CN220675343U (zh) 一种折叠背包伞
KR960005349Y1 (ko) 우산
CN210870947U (zh) 一种折叠衣架
KR20060033303A (ko) 편심축 우산
KR200203263Y1 (ko) 접고펴기가 용이한 마스게임용 파라솔
CN213550138U (zh) 便携式雨伞凳
CN211473990U (zh) 一种电力工程野外防滑作业梯
CN2279826Y (zh) 一种异形伞
CN201509743U (zh) 一种带直立支架的直骨伞
CN2361135Y (zh) 双人自动伞
CN210540012U (zh) 一种手提式躺椅
CN210539346U (zh) 一种带折叠把手的拐杖
CN2405462Y (zh) 一种支撑杆不在伞中心的雨伞
KR200255857Y1 (ko) 절첩식 파라솔
CN2356579Y (zh) 便携折叠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