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0017A - 인터넷 상에서의 미술관련 제품 및 서비스의 거래 방법 및그 장치 - Google Patents

인터넷 상에서의 미술관련 제품 및 서비스의 거래 방법 및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0017A
KR20000050017A KR1020000025172A KR20000025172A KR20000050017A KR 20000050017 A KR20000050017 A KR 20000050017A KR 1020000025172 A KR1020000025172 A KR 1020000025172A KR 20000025172 A KR20000025172 A KR 20000025172A KR 20000050017 A KR20000050017 A KR 20000050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art
data
internet
bu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5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홍
Original Assignee
이인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홍 filed Critical 이인홍
Priority to KR1020000025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50017A/ko
Publication of KR20000050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001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인터넷 상에서의 미술관련 제품과 서비스의 거래방법이다.
[발명의 목적]
미술작품·미술재료·미술관련 서비스를 인터넷 사용자에게 통합 솔루션으로 제공하여 기존에 제공하지 못하는 새로운 형태의 거래방법과 편리성을 구현하려고 한다.
[발명의 구성]
본 발명은 미술관련 거래와 인터넷을 상호 연계함으로써, 새로운 형태의 미술관련 거래, 즉 환금성보장방식을 포함하는 미술작품 판매부, 무료대여방식을 포함하는 미술작품 대여부, 후불제 미술재료 판매방식을 포함하는 미술재료 및 미술관련 서비스 판매부, 이들을 통합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상품선택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발명의 효과]
미술작가와 관련회사는 소득증대, 고객사는 기업이미지의 고급화, 이용자는 미술작품 소장기회 확대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

Description

인터넷 상에서의 미술관련 제품 및 서비스의 거래 방법 및 그 장치{the product be connected art and the service business system of Internet}
본 발명은 월드와이드웹(WWW) 규정 및 그 관련 기술을 응용한 인터넷 상에서의 미술작품과 미술재료 및 미술관련 서비스의 판매 및 대여 방법과 이를 구현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미술관련제품이란 미술작품(현대미술과 고미술을 포함)과 미술상품 미술재료를 통칭하는 것이고, 미술작품이란 회화·판화·조각·서예·서각·사진·설치·비디오영상·도자공예·금속공예·목칠공예·섬유공예·디자인·컴퓨터그래픽 등 모든 미술 장르의 창작물을 지칭하고, 미술상품이란 그 창작물을 바탕으로 제작된 상품을 지칭하고, 미술재료란 상기한 각 장르의 작품제작에 소요되는 모든 물품과 미술서적을 지칭한다. 여기서 미술관련 서비스란 미술액자제작·작품슬라이드 촬영ㆍ팜플렛 및 도록 제작·미술작품 운송 등 전시 및 발표에 소요되는 모든 서비스를 말한다.)
본 발명으로 오프라인 상에서의 거래가 단편적이고 한정적이어서 불편하였던 점을 개선하고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는데 중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미술작품과 미술재료 및 미술관련 서비스는 고객이 직접 거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고객은 제한된 품목에서 작품이나 미술재료를 구입하게 되고, 구매방법과 품질문제가 고객입장에서는 대단히 중요한 문제로 자리하고 있다.
전시회는 미술작가의 그간의 성과를 발표하는 중요한 자리이지만, 작품을 팔아서 생계를 유지하는 전업작가들에게는 상업적 효율성이 적은 것이 현실이다. 대부분의 미술작가들이 전시회를 치루는 비용(전시장 대여비, 도록 제작비, 슬라이드 촬영비, 액자 제작비 등)이 작품판매총액을 상회하기 때문이다. 그나마도 화랑에서 중계되는 소수의 작품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작품이 전시회에서 거래되기 때문에 미술작가는 경제적 악순환을 거듭하면서 고통을 겪기 마련이다.
미술작가는 미술작품 판매수익이 빈약하여 미술재료 구입 비용을 마련하는 것도 벅찬 일이 된다. 거기다가 개인전 및 각종 단체전 준비를 위해 작품 운반·슬라이드 촬영·도록 제작 등에 많은 시간을 빼앗겨서 정작 창작활동을 위한 시간이 부족한 형편이다. 이것은 문화시대에 주요자원인 미술작가들의 국제적 경쟁력을 저하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외국의 경우 미술활동이 활발한 것은 기업들이 미술작품을 투자대상으로 하여 지속적으로 소장하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경우가 담배회사인 필립 모리스의 경우이다. 이 회사는 미술작품을 꾸준히 구입하여 투자수익도 얻고 회사이미지도 높이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두었다.
미술작품은 그 특성상 환금을 요구하는 경우가 적으며, 다만 장부상의 가격으로 유지되다가 대형 컬렉션은 미술관에 기증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영리를 추구하는 회사에서 미술작품에 투자하려면 장부상에 구입가격과 예상수익을 기재해야 한다.
한국의 경우는 경매시스템 등 현대적 유통시장이 부재하여 미술작품의 유통량 즉 환금성이 외국에 비해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에 장부가격을 기재하기 어렵고, 이는 국내 기업들이 미술작품을 구입하는 것을 주저하게 만들고 있다.
미술작품·미술재료·미술관련 서비스를 온라인 사용자에게 통합 솔루션으로 제공하여 24시간 거래를 가능하도록 하려고 한다.
본 발명은 인터넷상에서의 월드와이드웹(World Wide Web : WWW)을 이용한 미술품 및 관련상품과 서비스의 거래방법을 구현하고, 미술작품DB 및 미술재료DB 기능을 내장하여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극복하고, 사용자들의 편리성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전체 흐름을 나타내는 대표도면이다.
도 2는 환금성보장방식을 포함하는 미술작품 판매부를 나타냈다.
도 3은 무료대여방식을 포함하는 미술작품 대여부를 나타냈다.
도 4는 미술재료 및 미술관련 서비스 판매부를 나타냈다.
최근, 인터넷이 생활화되면서 종래의 실시장 거래(market place transaction) 이외에 인터넷을 통한 전자상거래가 새로운 거래 방식으로 자리잡고 있다. 인터넷 상거래의 장점은 고객들이나 판매인들이 시간적 제약없이 물품과 서비스를 구매, 판매할 수 있다는 데 있다. 공간적 제약 역시 무의미하며, 중간 유통 과정이 거의 사라지고, 넓은 매장과 관리인력 같은 물리적 공간비용 역시 절감된다. 따라서 기업으로서는 인터넷 쇼핑몰을 통해 보다 많은 판매기회와 높은 직접적인 이윤을 창출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고, 최종 소비자들은 구매를 위한 직접적인 수고 없이도 원하는 상품을 쉽게 찾을 수 있고 또한 싼 가격으로 물건을 구입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전자상거래 방식은 인터넷이라는 전세계 통신망에 쇼핑몰(shopping mall) 홈페이지를 개설한 판매자와, 이 쇼핑몰에 들어가 상품을 구입하고자 하는 구매자 사이의 거래가 컴퓨터를 이용한 통신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인터넷은 더 싸고 빠르게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한 전자시장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해주는 매체이자 분배채널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환금성보장 방식을 포함한 미술품 판매부, 무료대여방식을 포함한 미술품 대여부, 신용판매방식을 포함한 미술재료 및 미술관련 서비스 판매부, 이들을 통합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상품선택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환금성보장 방식을 포함한 미술품 판매부는 미술작가로부터 미술작품 정보 데이터를 제공받아서 미술작품정보DB를 구성한다. 구매고객은 미술작품정보DB를 검색한 후에 마음에 드는 작품을 골라서 구매신청을 한다. 상품의 주문은 인터넷 온라인상에서 행함을 원칙으로 하지만, 컴퓨터 사용에 미숙한 구매고객를 위하여 전화를 통한 상품 구매가 가능하도록 콜센터를 운영하여 도우미들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구매고객은 작품을 운송 받은 후 지불시스템을 통해 대금을 지불하고 운영회사는 배송을 확인 한 후에 미술작가에게 공급가액에 해당하는 작품대금을 지급하고 환금 준비금을 적립한 후 고객정보DB에 거래내용을 수록한다. 1년이후에 환매나 교환을 요청하는 경우 적립하여 둔 환금준비금에서 지급한다. 환금대금은 현금·주식·채권 등 시장에서 유통하여 현금화가 가능한 유가증권으로 지급한다.
무료대여방식을 포함한 미술품 대여부는 회원사로부터 무상대여 고객명단을 통보받은 후에 대여권리를 고객사로부터 통보받은 고객이 작품검색 및 대여신청을 하면 배송시스템을 통하여 작품을 배송하고 고객이 배송을 확인하면 회원사에 대여결과를 통보하고 지불시스템을 통하여 대여대금을 지급받는다. 고객은 대여기간이 지난 후에 작품구매를 결정하던지 작품을 반환함으로써 대여를 종료한다.
신용판매방식을 포함한 미술재료 및 미술관련 서비스 판매부는 공급회사(미술재료사, 사진관, 운송회사, 액자제작사 등)로부터 물품정보데이타를 통보받아서 물품정보DB를 구축한 후에 미술작가가 검색 및 구매신청을 하면 운영회사가 회원구매관리DB를 통하여 신용판매 또는 현금판매를 결정하고 공급회사에 배송요청을 하고, 배송시스템을 통하여 배송을 완료하면 배송확인을 거쳐서 대금입금을 확인하거나 신용판매방식에 의하여 지불시스템을 통하여 공급회사에 대금을 지급받는다.
미술품이 가지는 특성상 투기의 목적이 아니라면 장기적으로 보관하면서 감상하기 때문에 환금성을 보장하더라도 환금을 요청하는 비율이 판매금액의 5%이하(현실시장에서는 1%이하)로 매우 낮을 것이지만, 장부상 환금이 가능한 금액을 기재할 수 있다면 회사에서 구매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미술품 유통에 획기적인 계기가 되리라고 여긴다.
본 실시 예에서는 거래물품으로서 미술품을 예로 들고 있지만, 물론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미술품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거래될 수 있는 조건-감가상각이 되지 않고 내구성이 있으며 골동적 가치가 가능한 품목-을 갖춘 품목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관계없다.
본 발명은 기존의 오프라인 상에서의 거래가 단편적이고 한정적이어서 불편하였던 점을 개선하고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는데 중점이 있다.
이 발명으로 미술작가는 소득이 증대되고, 공급사는 안정된 수요기반을 확보할 수 있고, 고객사는 문화이미지로 기업이미지의 고급화가 가능하고, 이용자는 무료대여를 포함한 미술작품 소장기회의 확대로 문화 향수 욕구를 충족하는 등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Claims (4)

  1. (장치발명에 대한 청구항 중 독립항)
    사용자가 원하는 미술작품 데이터를 검색하여 그 데이터를 볼 수 있도록 하는 메타데이터 작성기법
  2. (방법발명에 대한 청구항 중 독립항)
    구매자의 구매신청 데이타를 처리하는 단계;
    공급자의 물품정보 데이타를 처리하는 단계;
    구매자의 신용구입을 포함한 대금정산데이타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상에서의 미술재료 및 미술관련 서비스의 판매 방법
  3. (방법발명에 대한 청구항 중 독립항)
    구매자의 구매신청 데이타를 처리하는 단계;
    공급자의 물품정보 데이타를 처리하는 단계;
    구매자의 구매확인 데이타를 처리하는 단계;
    구매자의 환매요청 데이타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상에서의 미술품 판매 방법
  4. (방법발명에 대한 청구항 중 독립항)
    대여자의 대여신청 데이타를 처리하는 단계;
    공급자의 물품정보 데이타를 처리하는 단계;
    대여자의 대여확인 데이타를 처리하는 단계;
    고객사의 무료대여 회원명단 데이타를 처리하는 단계;
    고객사 회원의 무료대여 결과통보 데이타를 처리하는 단계;
    고객사의 대여료 지급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상에서의 미술품 대여 방법
KR1020000025172A 2000-05-10 2000-05-10 인터넷 상에서의 미술관련 제품 및 서비스의 거래 방법 및그 장치 KR200000500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5172A KR20000050017A (ko) 2000-05-10 2000-05-10 인터넷 상에서의 미술관련 제품 및 서비스의 거래 방법 및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5172A KR20000050017A (ko) 2000-05-10 2000-05-10 인터넷 상에서의 미술관련 제품 및 서비스의 거래 방법 및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0017A true KR20000050017A (ko) 2000-08-05

Family

ID=19668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5172A KR20000050017A (ko) 2000-05-10 2000-05-10 인터넷 상에서의 미술관련 제품 및 서비스의 거래 방법 및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50017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018A (ko) * 2000-07-10 2000-10-05 유정희 미술 관련 종합 인터넷 사이트와 연관된 미술품 전자상거래 시스템
KR20010000499A (ko) * 2000-10-04 2001-01-05 이재학 인터넷 기반을 이용한 회화 전시 시스템
KR20020003486A (ko) * 2000-07-04 2002-01-12 정수 아트뱅크
KR20020063752A (ko) * 2001-01-30 2002-08-05 김성일 공예 관련 서비스 관리 및 지원 시스템
WO2006137682A1 (en) * 2005-06-22 2006-12-28 In-Gu Kang Online buyback system
US9002735B2 (en) 2005-06-22 2015-04-07 In-gu Kang Online buyback system
KR20190098357A (ko) 2018-02-14 2019-08-22 여미옥 아트마켓 서비스 방법
KR20200064281A (ko) 2018-11-28 2020-06-08 김소정 디지털 플랫폼을 이용한 미술 교육시스템
KR20200124381A (ko) 2019-04-24 2020-11-03 주식회사 아트스토어 오픈마켓을 이용한 미술작품 판매시스템
KR102217543B1 (ko) 2020-08-06 2021-02-18 박현정 비대면 갤러리 플랫폼을 구현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3486A (ko) * 2000-07-04 2002-01-12 정수 아트뱅크
KR20000059018A (ko) * 2000-07-10 2000-10-05 유정희 미술 관련 종합 인터넷 사이트와 연관된 미술품 전자상거래 시스템
KR20010000499A (ko) * 2000-10-04 2001-01-05 이재학 인터넷 기반을 이용한 회화 전시 시스템
KR20020063752A (ko) * 2001-01-30 2002-08-05 김성일 공예 관련 서비스 관리 및 지원 시스템
WO2006137682A1 (en) * 2005-06-22 2006-12-28 In-Gu Kang Online buyback system
US9002735B2 (en) 2005-06-22 2015-04-07 In-gu Kang Online buyback system
KR20190098357A (ko) 2018-02-14 2019-08-22 여미옥 아트마켓 서비스 방법
KR20200064281A (ko) 2018-11-28 2020-06-08 김소정 디지털 플랫폼을 이용한 미술 교육시스템
KR20200124381A (ko) 2019-04-24 2020-11-03 주식회사 아트스토어 오픈마켓을 이용한 미술작품 판매시스템
KR102217543B1 (ko) 2020-08-06 2021-02-18 박현정 비대면 갤러리 플랫폼을 구현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20018398A (ko) 2020-08-06 2022-02-15 박현정 가상현실(vr) 기술 기반의 갤러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4391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ating products
KR100329388B1 (ko) 맞춤형 쇼핑몰 구축 시스템 및 방법
US20130046566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inancing and marketing a creative work
US200800159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argeted donations and giving
KR102172319B1 (ko) 인터넷 쇼핑몰 연계상품 판매시스템 및 방법
Bergendahl Models for investment in electronic commerce—financial perspectives with empirical evidence
Taranenko et al. Management of the Process of E-Commerce Development in Business on the Example of the European Union
KR20000050017A (ko) 인터넷 상에서의 미술관련 제품 및 서비스의 거래 방법 및그 장치
KR102013526B1 (ko) 예술품 대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01344510A (ja)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方法並びに情報提供用ソフトウェア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110055472A (ko) 상품 정보 공유를 이용한 진보된 전자상거래 시스템
KR20000049870A (ko) 전자상거래에서 최종소비자가격 지불보상 방식에 의한판매 및 유통, 구매방법
WO2019212437A2 (en) An electronic sales system that allows consumers to be integrated into the marketing chain to get the product they need along with gaining profit from such trade
KR20010109899A (ko) 유명인사의 유,무형 상품에 관한 서비스제공방법 및판매방법
TW200825971A (en) Method of processing merchandise information distribution business support of bookstore, merchandise information distribution business support processing system, and corporate PR support processing system of bookstore
Fingar et al. 21st Century Markets: From places to spaces
Nistor et al. E-Commerce-Winners' Choice
KR20190098357A (ko) 아트마켓 서비스 방법
US20110264505A1 (en) Method and system to allow individual sellers to automatically clearance one-of-a-kind listings
Meck Shopbots, powershopping, powersales: New forms of intermediation in E-Commerce: an overview
Hanson Discovering a role online: Brick-and-mortar retailers and the Internet
Bergendahl Investment in Electronic Commerce: Financial Perspectives and Profit Conditions
Carter et al. From competition to cooperation: E-tailing's integration with retailing
Bello E-commerce and Islamic financial intermediation
KR20000054768A (ko)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 있어서의 상품 구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