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9710A - H형강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 공법 - Google Patents

H형강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9710A
KR20000049710A KR1020000022032A KR20000022032A KR20000049710A KR 20000049710 A KR20000049710 A KR 20000049710A KR 1020000022032 A KR1020000022032 A KR 1020000022032A KR 20000022032 A KR20000022032 A KR 20000022032A KR 20000049710 A KR20000049710 A KR 20000049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ms
point
load
continuous
loa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2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민세
Original Assignee
구민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민세 filed Critical 구민세
Priority to KR1020000022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49710A/ko
Publication of KR20000049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9710A/ko
Priority to AU70390/00A priority patent/AU7039000A/en
Priority to EP00958990A priority patent/EP1179105A4/en
Priority to PCT/KR2000/000986 priority patent/WO2001018319A1/en
Priority to JP2000266052A priority patent/JP3443617B2/ja
Priority to US09/955,283 priority patent/US20030051437A1/en
Priority claimed from US09/955,283 external-priority patent/US20030051437A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10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prestress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0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with reinforcements or tensioning members
    • E04C3/26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with reinforcements or tensioning members prestress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 E01D2101/285Composite prestressed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양끝단에 지점을 갖는 직선형의 H형강에 양단부로부터 약 1/4 L 위치에 2개의 하중을 탄성범위를 초과하여 가함으로써 사하중에 의한 처짐곡선 형태로 소성변형을 발생시켜 거꾸로 위치시키고, 다시 같은 방법으로 지점 처리를 한 후 양단부로부터 약 1/4 L 위치에 2개의 하중을 가하여 수평을 유지시킨 상태에서 하부케이싱 콘크리트를 타설·양생시킨 후 재하한 하중을 제거시킴으로써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트 응력을 도입시키는 단순보형 H형강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 공법
한쪽은 끝단에 지점을 갖고 다른 한쪽은 연속보에서 등분포하중 재하시 휨모멘트의 부호가 바뀌는 지점 즉, 끝단으로부터 약 1/8 L 위치에서 지점 처리를 한 직선형의 H형강에 끝단에 지점을 갖는 단부로부터 약 1/4 L 간격으로 2개의 하중을 탄성범위를 초과하여 가함으로써 사하중에 의한 처짐곡선 형태로 소성변형을 발생시켜 거꾸로 위치시키고, 다시 같은 방법으로 지점 치리를 한 후 끝단에 지점을 갖는 단부로부터 약 1/4 L 간격으로 2개의 하중을 가하여 수평을 유지시킨 상태에서 하부케이싱 콘크리트를 타설·양생시킨 후 재하한 하중을 제거시킴으로써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트 응력을 도입시키는 연속보에서 외측경간용 H형강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 공법
연속보에서 등분포하중 재하시 휨모멘트의 부호가 바뀌는 지점 즉, 양끝단으로부터 약 1/8 L 위치에서 지점 처리를 한 직선형의 H형강에 중앙에서 좌우로 약 1/6 L 되는 위치에 2개의 하중을 탄성범위를 초과하여 가함으로써 사하중에 의한 처짐곡선 형태로 소성변형을 발생시켜 거꾸로 위치시키고, 다시 같은 방법으로 지점 처리를 한 후 중앙에서 좌우로 약 1/6 L 되는 위치에 2개의 하중을 가하여 수평을 유지시킨 상태에서 하부케이싱 콘크리트를 타설·양생시킨 후 재하한 하중을 제거시킴으로써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트 응력을 도입시키는 연속보에서 내측경간용 또는 건축구조물에서 기둥과 기둥을 연결시키는 H형강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 공법

Description

H형강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 공법{.}
본 발명은 H형강 보와 이를 콘크리트로 피복하여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트 응력을 도입함으로 강재와 콘크리트의 재료 역학적 잇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고 따라서 재료를 대폭 절감시키고자 하는 공법으로써 종래기술로는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5752호(이하 "인용발명"이라 한다)인 "연속보구조의 프리캐스트 상판 조립용 I형강 및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이 있다.
제1도에서 제2도까지는 인용발명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제작하는 공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인용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a도에서 우측단은 연속보 구조물에서 제2의 보와의 연결시 그리고 단부에서의 소성화를 방지하기 위한 강성보강을 위하여 보 길이(ℓ)의 약 10% 정도를 상하부 플랜지에 커버플레이트로 보강한 I형강 또는 H형강과 지점 상태를 보이고 있다.
제1b도는 강재보의 우측단으로부터 약 1/4ℓ 간격으로 2개의 하중(P)을 탄성범위를 초과하여 가함으로 사하중 재하시 최대 휨모멘트가 발생되는 위치 즉, 우측단으로부터 약 3/8ℓ 지점에 꼭지점을 갖는 3차 포물선형태의 소성변형을 발생시키는 공정을 보이고 있다. 이때 포물선의 형태는 사하중 및 활하중의 크기와 구조물의 용도에 따라 3차 포물선식으로 쉽게 유도되어질 수 있다. 제1c도는 위의 과정으로부터 3차 포물선 형태로 소성변형된 강재보의 사시도이다.
제1e도는 위의 과정을 통해 제작된 하부로 소성변형된 강재보를 뒤집어 놓은 상태(제1d도 참조)에서 강재에 콘크리트를 피복시켜 프리스트레스트 응력을 도입시키기 위하여 강재보의 좌측단으로부터 약 1/4ℓ 간격으로 2개의 하중(P)을 보가 수평이 되도록 가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1f도는 보가 2개의 하중에 의해 수평을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 보 전체를 둘러싸고 있는 프리캐스트 상판과의 연결을 위한 돌출부와 전단키홈을 갖는 형태로 콘크리트를 타설시킨 형상을 보이고 있다. 이 공정에서 정모멘트구간의 하부플랜지에만 그리고 부모멘트구간에서는 상부에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압축응력을 도입할 수도 있다.
제1g도는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가해졌던 하중을 제거시키므로 사하중 및 활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응력에 상반되는 프리스트레스트 응력이 전체 보를 통하여 도입된 합성보로 변환된 상태이다. 즉, 보의 좌측단으로부터 약 2/3ℓ까지는 보의 하부에 압축응력이 도입되었고 그 외의 구간에서는 상부에 압축응력이 도입된 상태이다. 이때 정모멘트구간의 하부플랜지와 부모멘트구간의 상부플랜지에만 콘크리트를 타설한 경우 나머지 부분의 콘크리트의 타설이 이루어져야 한다.
제2a도는 연속보 구조물의 내측경간용 또는 기둥과 기둥을 연결하는 보용으로 양단을 제2의 보 또는 기둥과의 연결시 강성보강을 위하여 그리고 단부에서의 소성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양단에 보의 길이의 약 10%에 정도의 상하부플랜지에 커버플레이트로 보강한 I형강 또는 H형강과 지점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2b도는 보의 중앙에서 좌우로 약 1/8ℓ되는 지점에 2개의 하중을 탄성한계 이상으로 가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는 3차 포물선 처짐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포물선의 형태는 사하중과 활하중의 크기 또는 구조물의 사용용도에 따라 3차 포물선식으로 유도되어진다. 제2c도는 위의 과정에서 연속보의 내측경간에서 등분포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곡선형태로 소성변형된 I형강 또는 H형강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제2d도는 제2c도에서 보인 하향으로 소성변형시킨 강재보를 뒤집어 놓은 형태이고 제2e도는 연속보에서 내측경간용 또는 건축구조물에서 기둥과 기둥을 연결시키는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용으로 콘크리트 타설에 의한 프리스트레스트 응력의 도입을 위해 보의 중앙으로부터 좌우로 약 1/8ℓ 되는 두 지점으로부터 보가 수평을 이루도록 2개의 하중을 가한 상태를 보이고 있다.
제2f도는 2개의 하중에 의해 수평을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 프리캐스트 슬래브와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강재보에 전단키홈이 있는 돌출부를 갖는 I형보 형태의 콘크리트를 타설한 상태이다. 이때 콘크리트 타설은 보 전체를 타설하는 경우와 정모멘트 구간의 하부플랜지에만, 그리고 부모멘트구간의 상부에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압축응력을 도입시키는 방법이 있다.
위의 상태에서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2개의 하중을 제거시키면 연속보 구조시스템의 내측경간 또는 기둥과 기둥 사이를 연결하는 보에서 시공이 완료된 후 작용되는 사하중과 활하중에 상반되는 프리스트레스트 응력이 보 전체를 통해 도입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가 된다.(제2g도 참조) 즉,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부모멘트구간 즉, 양단으로부터 약 1/4ℓ 되는 구간까지는 보의 상부에는 압축응력이 도입되었고, 그 나머지 구간에서는 보의 하부에 압축응력이 도입되었다. 이때 정모멘트구간의 하부플랜지와 부모멘트구간의 상부플랜지에만 콘크리트를 타설한 경우 나머지 부분의 콘크리트 타설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인 인용발명은 제2의 보와 연결시 강성보강을 위하여 그리고 단부에서의 소성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하부 플랜지에 커버플레이트를 설치하는 구간 즉, 외측경간용 보의 경우는 전체 보 길이의 약 10%에 해당하는 좌측 또는 우측 단부, 그리고 내측경간용의 경우에는 전체 보 길이의 약 10%에 해당하는 양 단부의 단면이 과대하다는 점과 또한 실제 제작상에서 고정단 지점의 기능을 발휘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실용화가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안출되었으며, 이러한 목적달성을 위하여 종래의 고정단 지점을 일반적이고 설치가 간단한 단순지점 형태로 전환하여 현실적이고 실용가능한 새로운 공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도 1] 기존 발명에 의한 연속보에서 외측경간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을 위한 공정도
[도 2] 기존 발명에 의한 연속보에서 내측경간용 또는 건축구조물에서 기둥과 기둥을 연결시키는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을 위한 공정도
[도 3] 인장을 받는 전형적인 구조용강의 응력-변형률 선도
[도 4] 본 발명에 의한 단순보용 H형강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을 위한 H형강에 소성변형을 발생시키는 공정도
[도 5] 본 발명에 의한 단순보용 H형강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 공정도
[도 6] 본 발명에 의한 연속보에서 외측경간용 H형강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을 위한 H형강에 소성변형을 발생시키는 공정도
[도 7] 본 발명에 의한 연속보에서 외측경간용 H형강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 공정도
[도 8] 본 발명에 의한 연속보에서 내측경간용 또는 건축구조물에서 기둥과 기둥을 연결시키는 H형강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 합성보의 제작을 위한 H형강에 소성변형을 발생시키는 공정도
[도 9] 본 발명에 의한 연속보에서 내측경간용 또는 건축구조물에서 기둥과 기둥을 연결시키는 H형강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 합성보의 제작 공정도
본 발명의 H형강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시 강재의 재료적인 특징인 소성변형에 대한 이론을 제3도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a도의 그래프는 인장을 받는 전형적인 구조용강의 응력-변형률 선도이다. 변형률을 수평축에, 응력은 수직축에 나타내었다. 그래프에서 보는바와 같이 O점에서 A점까지는 직선인데, 이 영역에서는 응력과 변형률은 비례하며 재료의 거동은 선형이라 불린다. 또한 A점을 지나서는 응력과 변형률 사이의 선형관계가 더 이상 유지되지 않는데 이때 A점을 비례한도(proportional limit)라 부른다. 비례한도를 넘어 하중을 점차로 증가해가면 응력에 비해 변형률이 훨씬 급속도로 증가하며, 응력-변형률 곡선은 경사가 점차로 작아지다가 수평이 되는 점 B에 도달하게 된다. 이 점으로부터 즉, B점에서 C점까지는 인장력은 거의 증가하지 않더라도 상당한 변형이 일어난다. 이런 현상을 재료의 항복(yielding)이라 하며 B점의 응력을 항복응력(yielding stress) 또는 항복점(yielding point)이라고 한다. 그리고 B점에서 C점까지의 영역에서는 재료가 완전소성(perfectly plastic) 상태로 되어 작용하중의 증가없이도 변형이 일어난다. BC영역의 항복과정에서 큰 변형률이 생긴 후, 강은 변형경화(strain harden)가 시작되는데 이 때 재료는 원자 및 결정 구조의 변화를 일으키며 더 이상의 변형에 대한 재료의 저항력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인장력이 증가해야 추가적인 신장이 일어나며 응력-변형률 선도는 C점에서 D점까지 양의 경사를 가지게 된다. 즉 하중은 결국 최대치까지 도달하게 되며 이 때의 응력을 극한응력(ultimate stress)이라 한다. 또한 이 점을 넘어서면 하중이 감소하는데도 재료는 계속 늘어나서 E점에서 파괴(fracture)가 일어난다.
제3b도는 위 제3a도의 응력-변형률 선도를 간략화해서 나타낸 그래프이다. 만일 주어진 하중의 작용에 의하여 재료에 생긴 변형이 하중이 제거될 때 없어지면 그 재료는 탄성적이고 선형적으로 거동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만일 항복점에 도달하면 위에서 기술한 바와같이 항복이 일어나고 하중이 제거될 때 응력과 변형률은 하중곡선의 직선부 AB에 평행한 선 CD를 따라 선형적으로 감소한다. 하중이 제거된 후에 변형률이 영으로 돌아가지 않는 것은 재료에 영구변형 또는 소성변형이 일어난 것을 나타낸다. 제3b도에서 AD 구간은 소성변형에 의한 잔류변형치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공법이 재료의 탄성역만을 고려해서 강형에 미리 사하중에 의한 처짐에 대응하는 솟음을 붙여 제작상의 어려움과 번거로움을 감수해야 하는 것과는 달리 직선형으로 제작된 H형강에 소정의 공정을 거쳐 소성변형에 의한 설계상의 솟음을 조절하고, 인용발명이 강재보의 제작상에서 실제 기능 발휘가 거의 불가능한 고정단 지점을 이용하여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과는 달리 고정단 지점을 일반적이고 설치가 간단한 단순지점 형태로 전환하여 현실적이고 실용가능한 새로운 공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H형강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 공정을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는 단순보형 H형강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제작하기 위한 1단계 공정으로써 직선형의 H형강에 사하중에 의한 처짐에 대응하는 솟음을 주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제4b도는 단순보형 구조물과 같은 지점 조건을 가지는 지점 위에 놓인 직선형의 H형강보(제4a도 참조)의 양단으로부터 약 1/4 L 위치에 2개의 하중(P)을 탄성범위를 초과하여 가함으로 사하중 재하시 최대 휨모멘트가 발생하는 위치 즉, 보의 중앙에 꼭지점을 갖는 3차 포물선 형태의 소성변형을 발생시키는 공정을 보이고 있다. 이때 포물선의 형태는 사하중 및 활하중의 크기와 구조물의 용도에 따라 3차 포물선식으로 쉽게 유도되어질 수 있다. 제4c도는 위의 과정으로부터 3차 포물선 형태로 소성변형된 H형강보의 사시도이다.
제5도는 제4도의 과정에서 제작된 하부로 소성변형된 H형강보를 뒤집어 놓은 상태(제5a도 참조)에서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트 응력을 도입시키는 과정을 보이고 있다.
제5b도는 H형강의 하부플랜지에 콘크리트를 피복시켜 프리스트레스트 응력을 도입시키기 위하여 만곡된 H형강보의 양단으로부터 약 1/4 L 위치에 2개의 하중(P)을 보가 수평이 되도록 가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5c도는 보가 2개의 하중에 의해 수평을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 H형강보의 하부플랜지에 콘크리트를 피복시킨 상태도이다.
제5d도는 하부케이싱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가해졌던 하중을 제거시킴으로써 사하중 및 활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응력에 상반되는 프리스트레스트 응력이 도입된 합성보로 변환된 상태이다.
제6도는 연속보 구조물에서 좌우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보로써 우측단은 연속보에서 등분포하중 재하시 휨모멘트의 부호가 바뀌는 지점 즉, 우측 끝단으로부터 약 1/8 L 위치에서 지점 처리를 한 H형강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제작하기 위한 1단계 공정으로써 직선형의 H형강에 연속보 구조물의 외측경간용 보의 사하중에 의한 처짐에 대응하는 솟음을 주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제6a도에서 우측단은 연속보에서 등분포하중 재하시 휨모멘트의 부호가 바뀌는 지점 즉, 우측 끝단으로부터 약 1/8 L 위치에서 지점 처리를 한 H형강보와 지점 상태를 보이고 있다.
제6b도는 H형강보의 좌측단으로부터 약 1/4 L 간격으로 2개의 하중(P)을 탄성범위를 초과하여 가함으로 사하중 재하시 최대 휨모멘트가 발생되는 위치 즉, 좌측단으로부터 약 3/8 L 위치에 꼭지점을 갖는 3차 포물선형태의 소성변형을 발생시키는 공정을 보이고 있다. 이때 포물선의 형태는 사하중 및 활하중의 크기와 구조물의 용도에 따라 3차 포물선식으로 쉽게 유도되어질 수 있다. 제6c도는 위의 과정으로부터 3차 포물선 형태로 소성변형된 H형강보의 사시도이다.
제7도는 제6도의 과정에서 제작된 하부로 만곡된 H형강보를 뒤집어 놓은 상태(제7a도 참조)에서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트 응력을 도입시키는 과정을 보이고 있다.
제7b도는 H형강의 하부플랜지에 콘크리트를 피복시켜 프리스트레스트 응력을 도입시키기 위하여 만곡된 H형강보의 좌측단으로부터 약 1/4 L 간격으로 2개의 하중(P)을 보가 수평이 되도록 가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7c도는 보가 2개의 하중에 의해 수평을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 H형강보의 하부플랜지에 콘크리트를 피복시킨 상태도이다.
제7d도는 하부케이싱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가해졌던 하중을 제거시킴으로써 사하중 및 활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응력에 상반되는 프리스트레스트 응력이 도입된 합성보로 변환된 상태이다. 이때 우측 지점의 바깥쪽 하부케이싱 콘크리트는 무응력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제8도는 연속보 구조물에서 내측 또는 건축구조물에서 기둥과 기둥을 연결하는 보로써 연속보에서 등분포하중 재하시 휨모멘트의 부호가 바뀌는 지점 즉, 양 끝단으로부터 약 1/8 L 위치에서 지점 처리를 한 H형강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제작하기 위한 1단계 공정으로써 직선형의 H형강에 연속보 구조물의 내측경간용 보의 사하중에 의한 처짐에 대응하는 솟음을 주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제8a도는 연속보 구조물에서 내측경간용 또는 건축구조물에서 기둥과 기둥을 연결하는 보용으로 연속보에서 등분포하중 재하시 휨모멘트의 부호가 바뀌는 지점 즉, 양 끝단으로부터 약 1/8 L 위치에서 지점 처리를 한 H형강보와 지점 상태를 보이고 있다. 이때 연속보 구조물의 경우 내측경간용 보의 길이는 외측경간용 보의 길이보다 약 25% 정도 길게 하여 경제성을 제고시킬 수 있다.
제8b도는 H형강보의 중앙에서 좌우로 약 1/6 L 되는 지점에 2개의 하중(P)을 틴성한계 이상으로 가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는 3차 포물선 형태의 소성변형을 발생시키는 공정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포물선의 형태는 사하중 및 활하중의 크기와 구조물의 용도에 따라 3차 포물선식으로 쉽게 유도되어질 수 있다. 제8c도는 위의 과정으로부터 3차 포물선 형태로 소성변형된 H형강보의 사시도이다.
제9도는 연속보에서의 내측경간용 또는 건축구조물에서 기둥과 기둥을 연결시키는 H형강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 공정을 보이고 있다.
제9a도는 제8b도에서 보인 하향으로 소성변형시킨 H형강보를 뒤집어 놓은 형태이고 제9b도는 하부플랜지에 피복된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트 응력의 도입을 위해 보의 중앙으로부터 좌우로 약 1/6 L 되는 두 지점에 보가 수평을 이루도록 하중(P)을 가한 상태를 보이고 있다.
제9c도는 2개의 하중에 의해 수평을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 H형강보의 하부플랜지에 콘크리트를 피복시킨 상태도이다.
제9d도는 하부케이싱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가해졌던 하중을 제거시킴으로 사하중 및 활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응력에 상반되는 프리스트레스트 응력이 도입된 합성보로 변환된 상태이다. 이때 양단 지점의 바깥쪽 하부케이싱 콘크리트는 무응력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공법이 재료의 탄성역만을 고려해서 강형에 미리 사하중에 의한 처짐에 대응하는 솟음을 붙여 제작상의 어려움과 번거로움을 감수해야 하는 것과는 달리 직선형으로 제작된 H형강에 소정의 공정을 거쳐 소성변형에 의한 설계상의 솟음을 조절하고, 인용발명이 강재보의 제작상에서 실제 기능 발휘가 거의 불가능한 고정단 지점을 이용하여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과는 달리 고정단 지점을 일반적이고 설치가 간단한 단순지점 형태로 전환시킴으로써 현실적이고 실용가능한 새로운 공법을 제시할 수 있다.

Claims (6)

  1. 단순보형 H형강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을 위해 양 끝단을 단순지점으로 처리한 직선형의 H형강보의 양단부로부터 약 1/4 L 위치에 2개의 하중을 재하하여 사하중에 의한 처짐곡선 형태로 소성변형시킨 강재보로써 거꾸로 위치하면 보의 중앙에 꼭지점이 오는 3차 포물선 형태로 되는 특징을 갖는 단순보용 H형강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H형강 제작 공법
  2. 연속보에서의 좌우 바깥쪽에 놓이는 H형강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을 위해 한쪽은 끝단에 단순지점을 갖고 다른 한쪽은 연속보에서 등분포하중 재하시 휨모멘트의 부호가 바뀌는 지점 즉, 끝단으로부터 약 1/8 L 위치에서 지점 처리를 한 직선형의 H형강에 끝단에 지점을 갖는 단부로부터 약 1/4 L 간격으로 2개의 하중을 사하중에 의한 처짐곡선 형태로 소성변형시킨 강재보로써 거꾸로 위치하면 연속보에서 가장 외측지점에 해당되는 단부로부터 약 3/8 L 위치에 꼭지점이 오는 3차 포물선 형태로 되는 특징을 갖는 연속보에서 외측경간용 H형강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H형강 제작 공법
  3. 연속보에서의 내측 또는 건축구조물에서의 기둥과 기둥을 연결하는 H형강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을 위해 연속보에서 등분포하중 재하시 휨모멘트의 부호가 바뀌는 지점 즉, 양끝단으로부터 약 1/8 L 위치에 지점 처리를 한 직선형의 H형강을 사하중에 의한 처짐곡선 형태로 소성변형시킨 강재보로써 거꾸로 위치하면 보의 중앙에 꼭지점이 오는 3차 포물선 형태로 되는 특징을 갖는 연속보에서의 내측경간용 또는 건축구조물에서의 기둥과 기둥을 연결하는 H형강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H형강 제작 공법
  4. 청구항1에서 제작된 H형강을 거꾸로 위치시켜 같은 방법으로 지점 처리를 하고 보의 양단부로부터 약 1/4 L 위치에 2개의 하중을 재하하여 수평을 유지시킨 후 하부 케이싱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하중을 제거함으로써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트 응력을 도입시키는 단순보형 H형강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 공법
  5. 청구항2에서 제작된 H형강을 거꾸로 위치시켜 같은 방법으로 지점 처리를 하고 보의 외측 지점에 해당되는 단부로부터 약 1/4 L 간격으로 2개의 하중을 재하하여 수평을 유지시킨 후 하부 케이싱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하중을 제거함으로써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트 응력을 도입시키는 연속보에서 외측경간용 H형강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 공법
  6. 청구항3에서 제작된 H형강을 거꾸로 위치시켜 같은 방법으로 지점 처리를 하고 보의 중앙으로부터 좌우로 약 1/6 L 되는 두 지점에 하중을 재하하여 수평을 유지시킨 후 하부 케이싱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하중을 제거함으로써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트 응력을 도입시키는 연속보에서 내측경간용 또는 건축구조물에서 기둥과 기둥을 연결하는 H형강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 공법
KR1020000022032A 1999-09-03 2000-04-25 H형강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 공법 KR20000049710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2032A KR20000049710A (ko) 2000-04-25 2000-04-25 H형강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 공법
AU70390/00A AU7039000A (en) 1999-09-03 2000-08-31 Method of manufacturing preflex beams
EP00958990A EP1179105A4 (en) 1999-09-03 2000-08-31 METHOD FOR PRODUCING PRE-BENDED BEAMS
PCT/KR2000/000986 WO2001018319A1 (en) 1999-09-03 2000-08-31 Method of manufacturing preflex beams
JP2000266052A JP3443617B2 (ja) 1999-09-03 2000-09-01 プレフレックスビームの製作方法
US09/955,283 US20030051437A1 (en) 1999-09-03 2001-09-18 Polymer powder blend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2032A KR20000049710A (ko) 2000-04-25 2000-04-25 H형강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 공법
US09/955,283 US20030051437A1 (en) 1999-09-03 2001-09-18 Polymer powder blend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9710A true KR20000049710A (ko) 2000-08-05

Family

ID=26637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2032A KR20000049710A (ko) 1999-09-03 2000-04-25 H형강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4971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5849B1 (ko) 2021-12-23 2023-01-09 구민세 강재보의 소성변형에 의한 솟음을 발생시키는 프리플렉스 합성보의 제작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5849B1 (ko) 2021-12-23 2023-01-09 구민세 강재보의 소성변형에 의한 솟음을 발생시키는 프리플렉스 합성보의 제작방법
WO2023120801A1 (ko) * 2021-12-23 2023-06-29 구민세 강재보의 소성변형에 의한 솟음을 발생시키는 프리플렉스 합성보의 제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6906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improved prestressed concrete joist
US7047704B1 (en) Method for designing and fabricating multi-step tension prestressed girder
KR101182084B1 (ko) 가받침에 의해 도입된 압축응력 증대 구조계를 갖는 라멘구조의 프리스트레스트 프리캐스트 거더의 제작방법과 압축응력 증대 구조계의 가받침이 우각부의 힌지구조 및 강결구조가 되게 시공하는 라멘교 시공방법
KR100982974B1 (ko) 다경간 연속 리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합성형교 시공방법
JP2948909B2 (ja) プレストレスト合成梁構造物の施工方法及びその連続梁のためのプレストレスト合成梁
CN1147589A (zh) 一种新的预应力钢筋混凝土结构及其施工方法
KR20000049710A (ko) H형강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 공법
KR100791991B1 (ko) 슬래브일체형 합성거더를 이용한 가교설치방법
KR100402235B1 (ko) 프리플렉스 합성보를 이용한 토류벽용 말뚝 제작 공법
JP5439016B2 (ja) 埋設型枠
KR20060032968A (ko) 횡방향 강선을 이용해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한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가설교량의 시공법
KR100416217B1 (ko) 합성구조재
KR100561034B1 (ko) 분절된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의 일체화방법
KR200291793Y1 (ko) 피에스에스씨 합성거더
KR101140632B1 (ko) 피에스씨 거더교 시공방법
KR200357002Y1 (ko) 상하부고정 프리스트레스 강재보와 그를 이용하여 만든단순교 및 연속교
KR960009274B1 (ko) 연속보 구조의 프리캐스트 상판 조립용 ⅰ형강 및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419013Y1 (ko) 합성거더를 이용한 가교설치시스템
KR100465350B1 (ko) 편심거리가 연장된 피에스씨 합성빔을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20120030206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데크와 이를 이용한 슬래브를 가지는 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0297321Y1 (ko)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강재보
KR100449688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용 패널
KR100529519B1 (ko) 정착구와 고정구가 구비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 및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200228309Y1 (ko) 조립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
KR100394744B1 (ko) 조립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