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8065A - 유압셔블의 작업기구 유압배관과 차체낙하토사의배출구조 - Google Patents

유압셔블의 작업기구 유압배관과 차체낙하토사의배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8065A
KR20000048065A KR1019990056460A KR19990056460A KR20000048065A KR 20000048065 A KR20000048065 A KR 20000048065A KR 1019990056460 A KR1019990056460 A KR 1019990056460A KR 19990056460 A KR19990056460 A KR 19990056460A KR 20000048065 A KR20000048065 A KR 20000048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foot pin
boom foot
hydraulic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6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2814B1 (ko
Inventor
요시다세이코우
후루사와순지
Original Assignee
안자키 사토루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자키 사토루,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안자키 사토루
Publication of KR20000048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8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2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28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8Cantilever beams, i.e. boo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s, geometry or materials used for booms; Dipper-ar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s, geometry or materials used for dipper-arms; Bucket-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Shov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작업기붐의 배면측에 유압배관을 배치하여도, 배관휨변형공간내에 토사가 체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좌우 한쌍의 붐 푸트 핀 브래킷(11) 사이에 작업기붐(6)을 붐 푸트 핀(12)으로 연결하고, 그 작업기붐 연결부와 후부 커버체(19)의 앞벽(20)과의 사이에 차체전후방향 치수가 큰 배관휨변형공간(27)을 형성한다. 유압호스(60)를 상기 붐 푸트 핀(12)의 하방위치로부터 배관휨변형공간(27)을 거쳐서 작업기붐(6)의 배면(6a)에 배치하고, 배관휨변형공간(27)에 토사배출덕트(51)를 부착하여, 낙하된 토사를 공간외부로 배출하여 체류되지 않도록 한다.

Description

유압셔블의 작업기구 유압배관과 차체낙하토사의 배출구조{THE HYDRAULIC ARRANGEMENT OF WORKING MECHANISM AND THE STRUCTURE OF SOIL DISCHARGE FOR EXCAVATOR}
본 발명은, 상부차체의 선회중심위치 주위에 기복지점을 보유하는 오프셋 붐식의 작업기구를 보유하고, 작업기구와 작업기구에 장착된 작업기(버킷)를, 상부차체의 선회반경내에 넣어서 선회가능하게 한 유압셔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업기구의 유압배관과 작업기(이하, 버킷이라고 함)로부터 상부차체위로 낙하되는 낙하토사의 배출관계구조를 개량시킨 유압셔블에 관한 것이다.
작업기구의 유압배관과 버킷으로부터 상부차체위로 낙하되는 토사의 배출관계구조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실개평 2-80162호 공보가 있고, 상부차체위로 낙하되는 토사의 배출구조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실개평 4-37646호 공보, 실개평 6-53371호 공보가 있고, 작업기구의 기복지점으로부터 붐 배면을 따라 유압배관을 배치하는 것으로서 실개평 4-61150호 공보가 있다.
실개평 2-80162호 공보는, 유압배관을 붐의 배면(후면)측에 배치하면, 유압배관이 방해를 하여 상부차체위로 낙하되고 있는 토사로부터 상부차체 탑재기기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를 설치하고 있지 않으므로, 유압배관을 붐의 앞면측에 배치하고, 토사커버를 설치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실개평 4-37646호, 실개평 6-53371호는, 기복지점으로 되는 붐 푸트 핀을 부착한 브래킷 주위로 낙하되고 있는 토사의 배출구조에 대해서 개시되어 있지만, 작업기구로의 유압배관의 배치와 관련된 구조에 대해서는 언급하고 있지 않다.
실개평 4-61150호는, 붐의 배면측에 작업기구의 유압배관을 배치한 것을 개시하고 있지만, 기복지점으로 되는 붐 푸트 핀을 부착한 브래킷의 내측으로 낙하되고 있는 토사의 배출구조에 대해서는 언급하고 있지 않다.
상부차체의 선회중심위치 주위에 기복지점을 보유하는 오프셋 붐식의 작업기구를 보유하고, 작업기구와 작업기구에 장착된 작업기(버킷)를, 상부차체의 선회반경내에 넣어서 선회가능하게 한 유압셔블에 있어서는, 상부차체의 선회반경이 차체폭내에 들어가도록 하는 것도 요구되어 상부차체의 선회반경이 차체폭내에 들어가도록 상부차체에 배치하는 탑재기기의 스페이스를 좁히는 것에 고심을 하고 있다. 그리고, 스페이스를 좁히는 수단으로서 작업기구로의 유압배관을 붐의 측면측에서 배면측으로 바꿔서 붐측쪽의 배관배치간격을 작게하여, 원하는 목적을 달성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유압배관을 붐의 배면측에 배치하기 위해서는, 실개평 4-61150호 공보에서 볼 수 있듯이, 유압배관을 상부차체바닥 하측에서 작업기구의 기복지점으로 되는 붐 푸트 핀을 부착한 브래킷의 사이를 거쳐 배치할 필요가 있고, 상술한 브래킷 사이의 공간차폐가 유압배관의 배치에 의해서 곤란하게 되어, 그 브래킷 사이에 버킷으로부터의 낙하토사가 들어오는 것을 저지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실개평 6-53371호 공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기구의 기복지점으로 되는 붐 푸트 핀을 부착한 브래킷 사이로 들어간 토사를 그 브래킷 사이의 바닥 아래에 토사방출구를 설치하여 상부차체의 하방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면 좋지만, 상부차체의 선회중심 주위에 위치하는 작업기구의 브래킷의 하측에는, 상부차체의 선회기구가 있어 선회기구를 피한 위치에 토사방출구를 설치하는 것이 요구된다.
한편, 붐의 배면측에 유압배관을 배치하는 경우, 유압배관의 차체측의 고정설치지점과 붐측의 고정설치지점 사이에, 붐의 기복요동에 따른 유압배관의 휨변형공간이 필요하게 되지만, 그 공간을 설치하는 것은 버킷으로부터의 낙하토사의 퇴적장소로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작업기구의 붐 푸트 핀 브래킷 사이의 공간내로부터 유압배관을 작업기붐의 배면측에 배치하여도, 버킷으로부터 낙하된 토사가 유압배관의 배관휨변형공간에 퇴적되지 않고, 또한, 붐 푸트 핀 브래킷 사이로 낙하되는 토사가 붐 푸트 핀 브래킷 사이에 퇴적되지 않도록, 상부차체의 선회기구위치를 피해서 상부차체의 하측으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한 유압셔블의 작업기구 유압배관과 차체낙하토사의 배출구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발명은, 주행체(1)를 구비한 하부차체(2)에 상부차체(3)를 선회기구(4)로 선회가능하게 부착하고, 그 상부차체(3)의 좌우폭방향 중간주위에 간격을 두어서 차체 전후방향으로 좌우 한쌍의 붐 푸트 핀 브래킷(11, 11)을 부착하고, 그 붐 푸트 핀 브래킷(11) 사이에 작업기붐(6)을 붐 푸트 핀(12)으로 요동가능하게 연결하여 작업기구의 기복지점으로 하고, 작업기구 및 작업기를 상부차체(3)의 선회반경내에 넣어서 선회가능하게 한 유압셔블에 있어서,
붐 푸트 핀 브래킷(11, 11)의 좌우 한쪽에 인접하여 기기수납실(15)의 측벽(16a)을 세우고, 다른쪽에 인접하여 운전실(5)의 측벽(5a)을 세워서, 붐 푸트 핀 브래킷(11, 11)사이 간격의 상방측에 붐기복공간(26)을 형성하는 것과 동시에, 붐 푸트 핀 브래킷(11, 11)의 차체 후방측 단부에 인접하여 엔진수납실(18)의 앞벽(20)을 세우고, 붐 푸트 핀(12)과 엔진수납실(18)의 앞벽(20)과의 사이에, 상기 붐기복공간(26)에 연속하는 배관휨변형공간(27)을 형성하고, 붐 푸트 핀(12)과 엔진수납실(18)의 앞벽(20)과의 사이의 붐 푸트 핀 브래킷(11, 11)사이 간격을 상기 배관휨변형공간(27)에 개구시키고, 개구된 붐 푸트 핀 브래킷(11)의 내측에 붐기복공간(26), 배관휨변형공간(27)을 상부차체 하측으로 연통시키는 토사배출덕트(51)와, 유압배관용 공간(28)을 설치하고, 붐 푸트 핀(12)에 근접한 붐 푸트 핀 브래킷 간격 내부에 유압배관의 중간부분을 고정유지시키고, 작업기붐(6)의 붐 푸트 핀(12) 주위위치에 유압배관의 중간부분을 고정유지시켜, 양 고정유지간 사이에서 유압배관이 상기 배관휨변형공간(27)내에 만곡되어 위치되도록, 유압배관을 작업기붐(6)의 배면측에 배치한 유압셔블의 작업기구 유압배관과 차체낙하토사의 배출구조이다.
제1발명에 의하면, 붐기복공간(26)으로부터 배관휨변형공간(27)으로 연속하는 공간이 토사배출덕트(51)를 통해서 상부차체 하방측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유압배관을 작업기붐의 배면측에 배치하여도 배관휨변형공간(27)내에 토사가 체류되지 않는다.
제2발명은, 제1발명에 있어서, 토사배출덕트(51)를, 상기 배관휨변형공간(27)을 향하는 수납구(32a), 경사된 저벽(33), 경사된 저벽(33) 하부의 배출구(32b)를 보유하는 낙하토사받이상자(32)와,
편측의 붐 푸트 핀 브래킷(11)으로 개구된, 상기 낙하토사받이상자(32)의 배출구(32b)에 연통되는 배출연통구(50)와, 이 배출연통구(50)를 개구된 편측 붐 푸트 핀 브래킷(11)의 외측에 위치시켜 배출연통구(50)로부터 선회기구(4)의 외주보다 떨어진 장소에 토사를 방출하는 토사배출상자(45)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셔블의 작업기구 유압배관과 차체낙하토사의 배출구조이다.
제2발명에 의하면, 선회기구(4)를 회피한 위치에 토사를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3발명은, 제2발명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쌍의 붐 푸트 핀 브래킷(11) 사이에 있어서의 작업기붐(6)의 부착부 하방으로부터 전방에 걸쳐서 토사배출 가이드(30)를 부착한 유압셔블이다.
제3발명에 의하면, 좌우 한쌍의 붐 푸트 핀 브래킷(11) 사이에 있어서의 작업기붐(6)의 부착부보다 전방측으로 낙하된 토사는 토사배출가이드(30)로 배출되어, 좌우 한쌍의 붐 푸트 핀 브래킷(11) 사이에 쌓이지 않게 된다.
도 1은 유압셔블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상부차체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상부차체의 작업기붐 부착부를 파단한 정면도이다.
도 4는 토사배출덕트 부분의 좌측면도이다.
도 5는 토사배출덕트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붐 푸트 핀 브래킷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3의 붐 푸트 핀 브래킷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은 토사배출덕트의 제2실시형태를 표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는 토사배출덕트의 제2실시형태를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토사배출덕트의 제2실시형태를 표시하는 좌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주행체 2‥‥‥‥‥하부차체
3‥‥‥‥‥상부차체 4‥‥‥‥‥선회기구
5‥‥‥‥‥운전실 5a‥‥‥‥‥측벽
6‥‥‥‥‥작업기붐 6a‥‥‥‥‥배면
10‥‥‥‥‥바닥판 11‥‥‥‥‥붐 푸트 핀 브래킷
12‥‥‥‥‥붐 푸트 핀 15‥‥‥‥‥기기수납실
16a‥‥‥‥‥측벽 18‥‥‥‥‥엔진수납실
20‥‥‥‥‥앞벽 26‥‥‥‥‥붐기복공간
27‥‥‥‥‥배관휨변형공간 28‥‥‥‥‥배관용 공간
30‥‥‥‥‥토사배출가이드 32‥‥‥‥‥낙하토사받이상자
32a‥‥‥‥‥수납구 32b‥‥‥‥‥배출구
33‥‥‥‥‥저벽 44‥‥‥‥‥토사배출구
45‥‥‥‥‥토사배출상자 50‥‥‥‥‥배출연통구
51‥‥‥‥‥토사배출덕트 52‥‥‥‥‥토사입구
53‥‥‥‥‥토사출구 60‥‥‥‥‥유압호스(유압배관)
62‥‥‥‥‥호스클램프 63‥‥‥‥‥호스클램프
64‥‥‥‥‥유압배관
도 1에 표시하듯이, 주행체(1)를 구비한 하부차체(2)에 상부차체(3)가 선회기구(4)로 선회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상부차체(3)에는 운전실(5)이 부착되어 있는 것과 동시에, 작업기붐(6)이 전방을 향해서 상하요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작업기붐(6)은 오프셋 붐 구성이고, 그 선단부에 암(7)이 상하요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부차체의 선회중심위치 주위에 기복지점을 보유하는 오프셋 붐식의 작업기구를 형성하고, 이 암(7)에 작업기, 예를 들면 버킷(8)이 상하요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작업기구 및 작업기를 상부차체의 선회반경내에 넣어서 선회가능하게 한 유압셔블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작업기붐(6)과 상부차체(3)에 걸쳐서 붐실린더(9)가 연결되고, 이 붐실린더(9)를 신축하여 작업기붐(6)이 상하로 요동되어 가상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수직자세(A)보다 차체 후방측으로 경도(傾倒)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상부차체(3)는, 도 2, 도 3, 도 4에 표시하듯이, 바닥판(10)을 구비하고, 그 바닥판(10)의 좌우 중간에서 전방주위 위치에 차체 전후방향을 향하는 세로판형상의 좌우 한쌍의 붐 푸트 핀 브래킷(11, 11)이 간격을 두고 고착되어 있다.
이 좌우 한쌍의 붐 푸트 핀 브래킷(11, 11) 사이의 상부주위에 작업기붐(6)이 붐 푸트 핀(12)으로 상하요동가능하게 부착되어 기복지점으로 되어 있고, 그 좌우 한쌍의 붐 푸트 핀 브래킷(11)의 전단부 주위에 붐실린더(9)가 핀(13)으로 상하요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붐 푸트 핀(12)과 바닥판(10)은 격리되어 있다.
상기 운전실(5)은 상부차체(3)의 좌우 한쪽에 부착되고, 그 운전실(5)의 측벽(5a)은 한쪽의 붐 푸트 핀 브래킷(11)과 근접(접하여도 좋다)하여 측벽(5a)이 한쪽의 붐 푸트 핀 브래킷(11)과 인접하여 세워져 있다.
이 운전실(5)의 저벽과 바닥판(10)은 상하방향으로 격리되어 있고, 그 부분에 밸브(14) 등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상부차체(3)의 좌우 다른쪽에는 기기수납실(15)이 형성되고, 이 기기수납실(15)을 형성하는 측부 커버체(16)의 측벽(16a)이 상기 좌우 다른쪽의 붐 푸트 핀 브래킷(11)에 접하고 있다. 이 측부 커버체(16)의 상면에는 뚜껑(17)으로 개폐되는 개구부를 보유한다. 상기 측벽(16a)은 다른쪽의 붐 푸트 핀 브래킷(11)과 인접하여 세워져 있다.
상기 상부차체(3)의 후부주위에 엔진수납실(18)이 형성되어 있다. 이 엔진수납실(18)을 형성하는 후부 커버체(19)의 앞면(19a)에 있어서의 운전실 측벽(5a)과 측부 커버체 측벽(16a) 사이의 부분(이하 앞벽(20)이라고 함)은, 도 3에 표시하듯이 수직에 대하여 상부가 하부보다 후방주위로 되는 경사된 위세로판(21)과 수직한 아래세로판(22)에서 <자형상으로, 아래세로판(22)에 고착된 부착가로판(23)이 부착가로재(24)에 볼트(25)로 고착되어 있다. 이 부착가로재(24)는 좌우 한쌍의 붐 푸트 핀 브래킷(11)의 상면 사이에 걸쳐서 고착되어 있다.
상기 운전실 측벽(5a)(한쪽의 붐 푸트 핀 브래킷(11))과 측부 커버체 측벽(16a)(다른쪽의 붐 푸트 핀 브래킷(11))과 후부 커버체(19)의 앞벽(20)으로, 차체 전방으로 개구된 평면형상의 ⊃자형상의 붐기복공간(26)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앞벽(20)과 붐 푸트 핀(12) 사이의 차체 전후방향 치수는 크고, 그 앞벽(20)과 작업기붐(6)의 부착부(붐 푸트 핀(12))와의 사이에 차체 전후방향 치수가 큰 배관휨변형공간(27)을 형성하고 있다.
이 배관휨변형공간(27), 붐 푸트 핀(12)은 도 2에 표시하듯이, 선회기구(4)를 형성하는 링기어(4a)의 상방에 위치되어 있다.
상기 배관휨변형공간(27)은 좌우 한쌍의 붐 푸트 핀 브래킷(11) 사이에 있어서의 작업기붐(6)의 부착부와 바닥판(10) 사이의 배관용 공간(28)에 연통되어 있다.
상기 좌우 한쌍의 붐 푸트 핀 브래킷(11) 사이의 차체 전방측 부분에 토사배출가이드(30)가 부착되어 있다. 이 토사배출가이드(30)는 판형상이고, 전단부(30a)가 바닥판(10)의 전단부에 접촉하고, 후단부(30b)는 붐 푸트 핀(12)과 접근되어, 수평에 대하여 차체 앞부분측이 낮게 경사되어 있다.
즉, 토사배출가이드(30)는 붐 푸트 핀(12)의 하방위치로부터 전단부에 걸쳐서 경사되어 부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좌우 한쌍의 붐 푸트 핀 브래킷(11) 사이에 있어서의 붐 푸트 핀(12)으로부터 전방 부분으로 낙하된 토사 등은 토사배출가이드(30)위에 낙하되어 차체 앞부분으로 배출된다.
이 토사배출가이드(30)에는 붐실린더(9)의 유압배관이 끼워지는 구멍(31)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토사배출가이드(30)에 큰 개구부(31a)를 형성하고, 그 개구부(31a)의 대부분을 덮는 커버(31b)를 착탈가능하게 부착하여 커버(31b)와 개구부(31a)로 구멍(31)을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커버(31b)를 벗겨내어 큰 개구부(31a)로부터 유압배관을 붐실린더(9)에 착탈시킬 수 있다. 상기 후부 커버체(19)에는 뚜껑(29)으로 개폐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우 한쌍의 붐 푸트 핀 브래킷(11) 사이의 붐 푸트 핀(12)보다 차체 후방측 부분(즉, 상기 배관휨변형공간(27)의 하방위치)에는 낙하토사받이상자(덕트)(32)가 부착되어 있다. 이 낙하토사받이상자(32)는 도 5에 표시하듯이 저벽(33)과 한쪽 세로벽(34)과 다른쪽 세로벽(35)으로 단면이 대략 윗방향 ⊃자형상이고, 저벽(33)은 좌우방향으로 경사되고, 수납구(32a)와 배출구(32b)를 보유한다. 상기 한쪽 세로벽(34)의 상부주위는 윗방향으로 비스듬히 경사되고, 또한, 선단면에는 평면 ⊃자형상의 절결부(36)가 형성되고, 또한, 구멍(3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른쪽 세로벽(35)의 상단부는 수평이고, 반원형의 절결부(38)와 구멍(3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낙하토사받이상자(32)의 좌우 단면에는 도 4, 도 6, 도 7에 표시하듯이 밀봉재(40)가 장착되고, 이 각 밀봉재(40)가 좌우 한쌍의 붐 푸트 핀 브래킷(11)의 마주보는 내면에 압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낙하토사받이상자(32)의 한쪽 세로벽(34)의 구멍(37)에서 볼트(41)를 붐 푸트 핀 브래킷(11)의 내면에 고착시킨 너트부재(42)에 나사결합하고, 다른쪽 세로벽(35)의 구멍(39)에서 볼트(43)를 상기 부착가로판(24)에 나사결합하여 부착하고 있다. 이 때, 상기 볼트(25)가 절결부(38)를 향해서 간섭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바닥판(10)에 있어서의 낙하토사받이상자(32)와 마주보고, 또한, 상기 링기어(4a)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토사배출구(44)가 형성되어 있고, 그 토사배출구(44)의 개구둘레에 토사배출상자(슈터(shooter))(45)이 부착되어 있다. 이 토사배출상자(45)은 도 5에 표시하듯이 통부분(46)의 하단둘레에 부착편(47)을 일체적으로 설치하는 것과 동시에, 통부분(46)의 한쪽 상부가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토사입구부(48)를 형성하고 있다.
도 4에 표시하듯이, 부착편(47)을 바닥판(10)에 볼트(49)로 부착하고, 토사입구부(48)가 붐 푸트 핀 브래킷(11)에 형성된 배출연통구(50)에서 내부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낙하토사받이상자(32)의 하부가 토사입구부(48)에 끼워 넣어져 낙하토사받이상자(32)의 내부(배출구(32b))와 토사배출상자(45)의 내부(토사입구부(48))가 연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토사배출덕트(51)를 형성하고 있다. 이 토사배출덕트(51)는 작업기붐(6)과 마주보는 토사입구(52)와 토사배출구(44)와 연속된 토사출구(53)를 보유하고, 이 토사출구(53)는 토사입구(52)보다 좌우 한쪽으로 어긋나 있다.
이와 같이 되어 있으므로, 작업기붐(6)을 수직자세보다 차체 후방측으로 후경사시킨 때에 붐기복공간(26)에 있어서의 붐 푸트 핀(12)보다 차체 후방측으로 낙하된 토사 등은 낙하토사받이상자(32), 토사배출상자(45)를 통해서 토사배출구(44)로부터 낙하배출된다.
또한, 낙하배출되는 토사 등은 선회기구(4)보다 외측으로 배출되어, 그 선회기구(4)내에 토사 등이 들어오지 않는다.
도 2에 표시하는 밸브(14)에 직접 또는 파이프를 거쳐서 접속시킨 유압배관, 예를 들면 유압호스(60)는 도 3에 표시하듯이 한쪽의 붐 푸트 핀 브래킷(11)의 개구창(61)을 통해서 상기 배관용 공간(28)내로 돌출되고 토사배출가이드(30)의 후단부(30b)(붐 푸트 핀(12)의 하방위치)에 호스클램프(62)로 유지되고, 낙하토사받이상자(32)의 한쪽 세로벽(34)의 절결부(36)를 통해서 배관휨변형공간(27)을 거쳐서 작업기붐(6)의 배면(6a)의 하부 주위에 호스클램프(63)로 유지된다. 이 유압호스(60)의 단부는 작업기붐(6)의 배면(6a)을 따라 배치된 유압배관(64)에 접속된다. 그리고, 파이프를 개구창(61)으로부터 배관용 공간(28)내에 돌출시켜도 좋다. 즉, 유압호스(60)는 밸브(14)측에 접속되어 있으면 된다. 상기 유압배관(64)은 파이프로 하여도 좋고, 호스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되어 있으므로, 작업기붐(6)을 수직자세보다 차체 후방측으로 후경사시킨 상태에서 유압호스(60)를 배관휨변형공간(27)내에서 차체 전후방향으로 크게 만곡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휨에 의해서 유압호스(60)가 손상되지 않는다. 작업기붐(6)을 앞경사시킨 상태에서는 휘어져 있던 유압호스(60)가 직선형상으로 되고, 더 앞경사하면 붐 푸트 핀(12)(작업기붐 요동중심)의 둘레를 따라 원호형상으로 만곡되므로 유압호스(60)가 손상되지 않는다.
즉, 차체 전후방향 치수가 큰 배관휨변형공간(27)을 형성함으로써, 호스클램프(62)와 호스클램프(63) 사이의 유압호스(60)의 길이를 작업기붐(6)이 가장 앞경사된 상태에서 유압호스(60)가 손상되지 않을 정도의 길이로 하고, 작업기붐(6)이 수직자세보다 차체 후방측으로 후경사된 때에 그 유압호스(60)가 배관휨변형공간(27)내에서 손상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만곡변형시켜 휘게 할 수 있다.
다음에 토사배출덕트의 제2실시형태를 도 8, 도 9, 도 10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낙하토사받이상자(32)에 부착세로편(34a)을 설치하고, 그 부착세로편(34a)을 볼트(41)로 붐 푸트 핀 브래킷(11)에 고착한다. 다른쪽 세로벽(35)은 붐 푸트 핀 브래킷(11)에 고착된 너트부재(35a)에 볼트(43)를 나사결합하여 부착한다.
토사배출상자(45)의 통부분(46)의 위둘레에 부착편(47)을 설치하고, 그 부착편(47)을 볼트(49)로 붐 푸트 핀 브래킷(11)에 부착한다. 그 통부분(46)은 좌우방향으로 경사되어, 토사입구부(48)에 낙하토사받이상자(32)의 토사출구부분(배출구(32b)부분)이 끼워맞춰져 저벽(33)이 통부분(46)의 저면(46a)과 일직선형상으로 연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토사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기구의 붐 푸트 핀 브래킷 사이의 공간내로부터 유압배관을 작업기붐의 배면측에 배치하여도, 버킷으로부터 낙하된 토사가 유압배관의 배관휨변형공간에 퇴적하지 않고, 또한, 붐 푸트 핀 브래킷 사이로 낙하되는 토사가 붐 푸트 핀 브래킷 사이에 퇴적되지 않도록, 상부차체의 선회기구위치를 피해서 상부차체의 하측에 방출할 수 있는 유압셔블의 작업기구 유압배관과 차체낙하토사의 배출구조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주행체(1)를 구비한 하부차체(2)에 상부차체(3)를 선회기구(4)로 선회가능하게 부착하고, 그 상부차체(3)의 좌우폭방향 중간주위에 간격을 두어서 차체 전후방향으로 좌우 한쌍의 붐 푸트 핀 브래킷(11, 11)을 부착하고, 그 붐 푸트 핀 브래킷(11) 사이에 작업기붐(6)을 붐 푸트 핀(12)으로 요동가능하게 연결하여 작업기구의 기복지점으로 하고, 작업기구 및 작업기를 상부차체(3)의 선회반경내에 넣어서 선회가능하게 한 유압셔블에 있어서,
    붐 푸트 핀 브래킷(11, 11)의 좌우 한쪽에 인접하여 기기수납실(15)의 측벽(16a)을 세우고, 다른쪽에 인접하여 운전실(5)의 측벽(5a)를 세워서, 붐 푸트 핀 브래킷(11, 11)사이 간격의 상방측에 붐기복공간(26)을 형성하는 것과 동시에, 붐 푸트 핀 브래킷(11, 11)의 차체 후방측 단부에 인접하여 엔진수납실(18)의 앞벽(20)을 세우고, 붐 푸트 핀(12)과 엔진수납실(18)의 앞벽(20)과의 사이에, 상기 붐기복공간(26)에 연속하는 배관휨변형공간(27)을 형성하고, 붐 푸트 핀(12)과 엔진수납실(18)의 앞벽(20)과의 사이의 붐 푸트 핀 브래킷(11, 11)사이 간격을 상기 배관휨변형공간(27)에 개구시키고, 개구된 붐 푸트 핀 브래킷(11)의 내측에 붐기복공간(26), 배관휨변형공간(27)을 상부차체 하측으로 연통시키는 토사배출덕트(51)와, 유압배관용 공간(28)을 설치하고, 붐 푸트 핀(12)에 근접한 붐 푸트 핀 브래킷 간격 내부에 유압배관의 중간부분을 고정유지시키고, 작업기붐(6)의 붐 푸트 핀(12) 주위위치에 유압배관의 중간부분을 고정유지시켜, 양 고정유지간 사이에서 유압배관이 상기 배관휨변형공간(27)내에 만곡되어 위치되도록, 유압배관을 작업기붐(6)의 배면측에 배치한 유압셔블의 작업기구 유압배관과 차체낙하토사의 배출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토사배출덕트(51)를, 상기 배관휨변형공간(27)을 향하는 수납구(32a), 경사된 저벽(33), 경사된 저벽(33) 하부의 배출구(32b)를 보유하는 낙하토사받이상자(32)와,
    편측의 붐 푸트 핀 브래킷(11)으로 개구된, 상기 낙하토사받이상자(32)의 배출구(32b)에 연통되는 배출연통구(50)와, 그 배출연통구(50)를 개구된 편측 붐 푸트 핀 브래킷(11)의 외측에 위치시켜 배출연통구(50)로부터 선회기구(4)의 외주보다 떨어진 장소에 토사를 방출하는 토사배출상자(45)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셔블의 작업기구 유압배관과 차체낙하토사의 배출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쌍의 붐 푸트 핀 브래킷(11) 사이에 있어서의 작업기붐(6)의 부착부 하방으로부터 전방에 걸쳐서 토사배출가이드(30)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셔블의 작업기구 유압배관과 차체낙하토사의 배출구조.
KR1019990056460A 1998-12-10 1999-12-10 유압셔블의 작업기구 유압배관과 차체낙하토사의배출구조 KR1005928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351038 1998-12-10
JP35103898A JP3902879B2 (ja) 1998-12-10 1998-12-10 油圧ショベルの作業機構油圧配管と車体落下土砂の排出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8065A true KR20000048065A (ko) 2000-07-25
KR100592814B1 KR100592814B1 (ko) 2006-06-23

Family

ID=18414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6460A KR100592814B1 (ko) 1998-12-10 1999-12-10 유압셔블의 작업기구 유압배관과 차체낙하토사의배출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902879B2 (ko)
KR (1) KR1005928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84537B2 (en) * 2001-05-28 2004-02-03 Kubota Corporation Excavator with a piping structure for absorbing variations in hose length
JP4698443B2 (ja) * 2006-03-02 2011-06-08 株式会社クボタ 旋回作業機
US20090084454A1 (en) * 2007-10-01 2009-04-02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Holding Sweden Ab. Apparatus for fixing hydraulic pipes for zero tail swing excavator
JP5984773B2 (ja) * 2013-09-27 2016-09-06 日立建機株式会社 ミニショベ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170205A (ja) 2000-06-20
KR100592814B1 (ko) 2006-06-23
JP3902879B2 (ja) 2007-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70223B1 (en) Construction machine
JPH0410290Y2 (ko)
US6872043B2 (en) Swivel type working vehicle
US7523804B2 (en) Small swing type shovel
US5975833A (en) Swing type hydraulic excavator
US7419186B2 (en) Working machine
JP4515232B2 (ja) 旋回作業機
US6450278B1 (en) Construction machine with a duct for hydraulic hoses
US20020174573A1 (en) Excavator
KR100592814B1 (ko) 유압셔블의 작업기구 유압배관과 차체낙하토사의배출구조
JP6907736B2 (ja) 建設機械の冷却装置
JPH09296481A (ja) 油圧ショベルにおける上部旋回体の機器取付構造
EP2876217B1 (en) Construction machine with an air cleaner
JP4019026B2 (ja) 作業機械
JP2000309944A (ja) 建設機械の工具収容部
US7243967B2 (en) Tool storage compartment of a work machine
JP3989091B2 (ja) 小旋回型建設車両
JP7437208B2 (ja) 建設機械
JP4036169B2 (ja) 建設機械の燃料タンクドレン構造
JP3323991B2 (ja) 建設機械の燃料装置
JP4484573B2 (ja) 旋回作業機
JP2000352071A (ja) 旋回式建設機械
WO2020153398A1 (ja) 建設機械
JP3610840B2 (ja) 小型建設機械
JP2002285574A (ja) 旋回作業機の油圧取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