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7178A - 무선가입자망시스템용 기지국제어기에서 트랜스코더 이중화방법 - Google Patents

무선가입자망시스템용 기지국제어기에서 트랜스코더 이중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7178A
KR20000047178A KR1019980063971A KR19980063971A KR20000047178A KR 20000047178 A KR20000047178 A KR 20000047178A KR 1019980063971 A KR1019980063971 A KR 1019980063971A KR 19980063971 A KR19980063971 A KR 19980063971A KR 20000047178 A KR20000047178 A KR 20000047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coder
board
state information
state
boar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3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규련
Original Assignee
강병호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호,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병호
Priority to KR1019980063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47178A/ko
Publication of KR20000047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717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2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using redundant apparatus to increase reli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2Access point controll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1Transcoding devices; Rate adaptati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지국제어기에서 다수개의 보드로 구성되는 트랜스코더를 이중화처리하여 트랜스코더의 탈/실장에 의해 데이터의 송수신이 단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무선가입자망시스템용 기지국제어기에서 트랜스코더 이중화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압축/신장처리하는 다수개의 트랜스코더보드에 대하여 소정의 확장용 트랜스코더보드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무선가입자망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코더보드의 현재 실/탈장 정보를 저장하는 현재상태정보저장단계와, 상기 현재상태정보저장단계에서 저장된 상태정보를 주기적으로 독출하여 현재상태와 이전상태를 비교하는 상태비교단계, 상기 상태비교단계에서의 비교결과, 상태정보가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불일치되는 위치의 데이터를 독출하여 현재의 상태변화를 확인하는 상태변화확인단계, 상기 상태변화확인단계에서 일반 트랜스코더보드가 탈장된 경우에는 확장용 트랜스코드보드로 동작절환을 수행하는 확장트랜스코더동작절환단계, 상기 상태변화확인단계에서 일반 트랜스코더보드가 실장된 경우에는 확장용 트랜스코드보드의 동작유무를 확인하여 확장용 트랜스코더보드가 동작되고 있으면 확장용 트랜스코더보드의 동작을 일반 트랜스코더보드로 절환하는 일반트랜스코더동작절환단계 및, 상기 상태변화확인단계에서 확인된 현재의 상태정보를 이전 상태정보로서 저장하는 이전상태정보저장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가입자망시스템용 기지국제어기에서 트랜스코더 이중화방법
본 발명은 무선가입자망(WLL: Wireless Local Loop)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지국제어기에서 다수개의 보드로 구성되는 트랜스코더를 이중화처리하여 트랜스코더의 탈/실장에 의해 데이터의 송수신이 단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무선가입자망시스템용 기지국제어기에서 트랜스코더 이중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STN망이나 인터넷망 등의 경우에는 유선망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특정한 가입자에 대해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통신망과 가입자를 유선을 통해 결합시키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만일 통신가입자가 산악지역 등에 분산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해당 가입자를 일일이 유선으로 결합시키는 것은 경제적으로 큰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특정한 통신가입자를 PSTN망 등의 유선망에 대해 무선으로 결합시키는 이른 바,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이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도 1은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일반적인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1에서 참조번호 1은 특정한 가입자를 결합시키기 위한 가입자 접속장치로서, 이는 전화장치(2)와 팩시밀리(3) 및 개인용 컴퓨터(4) 등의 다양한 통신단말기를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또한 일부 가입자접속장치의 경우에는 ISDN 단말기를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 참조번호 5는 상기 가입자접속장치(1)와 무선을 통해 결합되어 해당 가입자접속장치(1)에 대해 무선통신선로를 제공하는 기지국으로서, 이는 가입자접속장치(1)와 CDMA방식으로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각각의 기지국(5)은 예컨대 총 80채널을 수용하여 적어도 64개의 가입자접속장치(1)에 대해 동시에 통신채널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에서 참조번호 6은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을 제어함과 더불어 각 가입자접속장치에 대해 통신채널을 제공하는 등의 제어처리를 수행하는 기지국 제어기로서, 이는 예컨대 16개의 기지국(51∼516)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기지국 제어기(6)는 상기 기지국(5)에 대해 E1링크나 LAPD프로토콜을 통해서 결합됨과 더불어, WLL게이트웨이(7: WLL Gateway)와 데이터통신정합장치(8)를 통해서 PSTN망과 인터넷 등의 패킷망에 결합되게 된다.
또한, 상기 기지국제어기(6)는 기지국(5)으로부터 수신되는 32Kbps ADPCM신호를 64Kbps PCM신호로 신장처리함과 더불어, WLL게이트웨이(7) 또는 데이터통신정합장치(8)로부터 수신되는 64Kbps PCM신호를 32Kbps ADPCM신호로 압축처리하여 기지국(5)으로 송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신장 및 압축처리는 각 장치의 동작은 각 장치의 데이터전송특성을 근거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그 정확한 데이터의 변환이 요구되게 되는 바, 이를 수행하는 장치에 에러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에는 에러가 발생한 데이터가 가입자에게 수신되어 결과적으로 데이터통신이 단절되게 되는 사태를 유발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다수의 보드로 구성된 기지국제어기의 다수의 트랜스코더보드와 확장용 트랜스코더보드를 추가로구비하여 임의 트랜스코더보드에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확장용 트랜스코더보드로 교체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데이터통신의 단절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무선가입자망시스템용 기지국제어기에서 트랜스코더 이중화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일반적인 무선가입자망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시스템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기지국제어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로구성도.
도3은 도2에 도시된 트랜스코더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트랜스코더장치, 101 : 제 1상태정보저장부,
102 : 트랜스코더제어부, 103 : 제 2상태정보저장부,
104 : 주프로세서.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가입자망시스템용 기지국제어기에서 트랜스코더 이중화방법은, 입력되는 데이터를 압축/신장처리하는 다수개의 트랜스코더보드에 대하여 소정의 확장용 트랜스코더보드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무선가입자망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코더보드의 현재 실/탈장 정보를 저장하는 현재상태정보저장단계와, 상기 현재상태정보저장단계에서 저장된 상태정보를 주기적으로 독출하여 현재상태와 이전상태를 비교하는 상태비교단계, 상기 상태비교단계에서의 비교결과, 상태정보가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불일치되는 위치의 데이터를 독출하여 현재의 상태변화를 확인하는 상태변화확인단계, 상기 상태변화확인단계에서 일반 트랜스코더보드가 탈장된 경우에는 확장용 트랜스코드보드로 동작절환을 수행하는 확장트랜스코더동작절환단계, 상기 상태변화확인단계에서 일반 트랜스코더보드가 실장된 경우에는 확장용 트랜스코드보드의 동작유무를 확인하여 확장용 트랜스코더보드가 동작되고 있으면 확장용 트랜스코더보드의 동작을 일반 트랜스코더보드로 절환하는 일반트랜스코더동작절환단계 및, 상기 상태변화확인단계에서 확인된 현재의 상태정보를 이전 상태정보로서 저장하는 이전상태정보저장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한 바에 의하면 동작중인 임의 트랜스코더보드가 탈장되더라도, 확장용 트랜스코더보드를 이용하여 동작절환시킴으로써, 가입자간의 데이터통신이 두절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기지국제어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면에서, 참조번호 61은 기지국과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기지국 접속부로서, 이는 이후에 설명할 트랜스코더(62)를 통해서 입력되는 각 채널을 2.048MHz의 E1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해당 기지국으로 전송함과 더불어, 소정 제어신호를 근거로 기지국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트랜스코더(62)로 송출하게 된다.
또한, 참조번호 62는 입력되는 데이터를 압축/신장함과 더불어 음성데이터의 반향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트랜스코더이고, 63은 소정의 제어신호를 근거로 상기 트랜스코더(62)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즉 기지국측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이후에 설명할 중계선정합장치(64), 즉 교환기측 또는 신호발생장치(66)로 스위칭함과 더불어, 중계선정합장치(64)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트랜스코더(62), 또는 신호발생장치(66)로 전송하는 타임스위칭부이다.
또한, 참조번호 64는 무선가입자망 시스템과 연결하고자 하는 교환기와의 접속을 위한 중계선 정합장치로서, 이는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망과 같은 일반 교환망, 또는 인터넷망과 같은 데이터교환망과 결합되게 된다.
한편, 참조번호 65는 상기 중계선정합장치(64)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를 근거로 클럭신호를 발생함과 더불어, 이 클럭신호를 기지국 및 기지국제어기에 인가하는 망동기부, 66은 소정의 제어신호를 근거로 R2-MFC 송수신장치를 통해 기존에 설치된 교환망과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신호발생장치(Voice Signalling Unit : 이하 VSU라 칭함)이다.
그리고, 참조번호 67은 기지국운용장치(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를 근거로 기지국제어기(6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주제어부(Main Processor)이고, 68은 IPC채널을 통해 상기 주제어부(67)와 기지국제어부(60)의 각 장치내부의 프로세서(Peripheral Processor)간의 데이터송수신을 위한 프로세서인터페이스 IPCU(Inter Processor Communication Unit)이다.
한편, 도3은 도2에 도시된 장치의 트랜스코더 이중화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참조번호 100은 입력되는 데이터를 압축/신장처리하는 트랜스코더로서, 이는 다수의 트랜스코더보드로 구성되며, 하나의 트랜스코더보드는 10개의 DSP로 구성되는 바, 한 트랜스코더보드는 60채널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트랜스코더보드는 4개당 하나의 확장용 트랜스코더보드를 구비하여 구성되게 된다.
또한, 참조번호 101은 상기 각 트랜스코더보드의 상태정보 즉, 보드의 실탈장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 1상태정보저장부로서, 이는 각 트랜스코더보드에 대해 직렬로 접속되게 된다.
그리고, 참조번호 102는 상기 각 트랜스코더보드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트랜스코더제어부로서, 이는 소정 개수의 트랜스코더보드를 관할하게 되는 바, 예컨대 한 트랜스코더제어부는 8개의 트랜스코더보드만을 제어하게 된다. 즉, 기지국제어기내에는 다수의 트랜스코더제어부가 구비되게 된다.
또한, 트랜스코더제어부(102)는 상기 제 1상태정보저장부(101)에 저장된 상태정보를 이전의 상태정보와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확인된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제어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참조번호 103은 이전의 트랜스코더 상태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 2상태정보저장부이고, 104는 시스템전반의 동작을 제어하는 주프로세서로서, 이는 특히 상기 트랜스코더제어부(102)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를 근거로 트랜스코더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트랜스코더제어부(102)로 인가하게 된다.
즉, 각 트랜스코더보드(100)는 자신의 상태정보를 제 1상태정보저장부(101)로 각각 송출하게 되는 바, 이때 제 1상태정보저장부(101)로 송출하는 데이터는 실/탈장유무에 관한 정보로서, 실장의 경우에는 "0"데이터를 송출하고, 탈장의 경우에는 "1"데이터를 송출하게 된다.
그리고, 트랜스코더제어부(102)는 상기 제 1상태정보저장부(101)에 저장된 트랜스코더상태정보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독출하여 제 2상태정보저장부(103)에 저장된 이전의 상태와 비교하게 되는 바, 제 1상태정보저장부(101)에서 독출한 상태정보와 제 2상태정보저장부(103)에 저장된 상태정보가 다르다고 판단되면, 트랜스코더제어부(102)는 상태정보가 불일치하는 위치의 정보데이터를 확인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불일치하는 위치의 정보데이터가 제 1상태정보저장부(101)에서는 "0"데이터 이고, 제 2상태정보저장부(103)에서는 "1"데이터일 경우, 해당 트랜스폰더보드는 이전 상태에서는 탈장상태이고, 현재 실장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트랜스코더제어부(102)는 해당 트랜스코더보드가 일반 트랜스코더보드일 경우에는 확장용 트랜스코더보드가 동작중인지를 확인하여 확장용 트랜스코더보드가 동작중일 경우에는 확장용 트랜스코더의 정보를 실장된 일반 트랜스코더보드로 동작절환시키게 된다. 즉, 확장용 트랜스코더보드를 비사용 트랜스코더보드로 설정하게 된다.
또한, 트랜스코더제어부(102)는 상태정보 확인결과, 현재의 상태정보가 "1"이고, 이전의 상태정보가 "0"인 트랜스코더보드의 경우, 해당 트랜스코더보드는 이전에는 실장상태이고, 현재는 탈장상태라고 판단하게 되는 바, 해당 트랜스코더보드가 일반트랜스코더보드일 경우, 확장용 트랜스코더보드의 사용유무를 확인하여 확장용 트랜스코더보드가 비사용중이면, 현재 탈장된 트랜스코더보드의 동작을 확장용 트랜스코더보드로 동작절환시키게 된다.
즉, 상기한 바에 의하면, 소정의 트랜스코더보드당 확장용 트랜스코더보드를 구비하도록 하고, 주기적으로 현재 트랜스코더보드의 실/탈장여부와 이전 트랜스코더의 실/탈장여부를 확인하여 임의 트랜스코더보드가 탈장되는 경우, 확장용 트랜스코더보드로 동작절환하게 된다.
따라서, 동작중인 임의 트랜스코더보드가 탈장되더라도, 확장용 트랜스코더보드를 이용하여 동작절환시킴으로써, 가입자간의 데이터통신이 두절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트랜스코더보드의 상태정보를 한비트단위로 비교하도록 실시하였으나, 한 워드단위(16비트)로 비교하여 동작하도록 실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동작중인 임의 트랜스코더보드가 탈장되더라도, 확장용 트랜스코더보드를 이용하여 동작절환시킴으로써, 가입자간의 데이터통신이 두절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입력되는 데이터를 압축/신장처리하는 다수개의 트랜스코더보드에 대하여 소정의 확장용 트랜스코더보드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무선가입자망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코더보드의 현재 실/탈장 정보를 저장하는 현재상태정보저장단계와,
    상기 현재상태정보저장단계에서 저장된 상태정보를 주기적으로 독출하여 현재상태와 이전상태를 비교하는 상태비교단계,
    상기 상태비교단계에서의 비교결과, 상태정보가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불일치되는 위치의 데이터를 독출하여 현재의 상태변화를 확인하는 상태변화확인단계,
    상기 상태변화확인단계에서 일반 트랜스코더보드가 탈장된 경우에는 확장용 트랜스코드보드로 동작절환을 수행하는 확장트랜스코더동작절환단계,
    상기 상태변화확인단계에서 일반 트랜스코더보드가 실장된 경우에는 확장용 트랜스코드보드의 동작유무를 확인하여 확장용 트랜스코더보드가 동작되고 있으면 확장용 트랜스코더보드의 동작을 일반 트랜스코더보드로 절환하는 일반트랜스코더동작절환단계 및,
    상기 상태변화확인단계에서 확인된 현재의 상태정보를 이전 상태정보로서 저장하는 이전상태정보저장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가입자망시스템용 기지국제어기에서 트랜스코더 이중화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저장단계에서 각 트랜스코더보드의 상태정보는 1비트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가입자망시스템용 기지국제어기에서 트랜스코더 이중화방법.
KR1019980063971A 1998-12-31 1998-12-31 무선가입자망시스템용 기지국제어기에서 트랜스코더 이중화방법 KR200000471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971A KR20000047178A (ko) 1998-12-31 1998-12-31 무선가입자망시스템용 기지국제어기에서 트랜스코더 이중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971A KR20000047178A (ko) 1998-12-31 1998-12-31 무선가입자망시스템용 기지국제어기에서 트랜스코더 이중화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7178A true KR20000047178A (ko) 2000-07-25

Family

ID=19570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3971A KR20000047178A (ko) 1998-12-31 1998-12-31 무선가입자망시스템용 기지국제어기에서 트랜스코더 이중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4717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113B1 (ko) * 2003-07-14 2008-03-12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분산형 트랜스코더들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113B1 (ko) * 2003-07-14 2008-03-12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분산형 트랜스코더들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7586868B2 (en) 2003-07-14 2009-09-08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tributed transcode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08560A (e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EP0655873B1 (en) Adapter for data transmission to and from a radio telephone
EP0616746B1 (en) Arrangement for enhancing data transmission in a digital cellular radio network
US7221662B2 (en) Tone detection elimination
CN100370796C (zh) 数据传输方法
EP1025729B1 (e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and trascoding unit for saving transmission capacity on a packet connection
JPH10500829A (ja) 伝送システム、信号処理装置およびそれらの動作方法
CN1238892A (zh) 无线本地环路环境中确保紧急通信的方法和系统
USH1882H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data to redundant components
EP1219131A1 (en) Handover performed within a base station controller
KR20000047178A (ko) 무선가입자망시스템용 기지국제어기에서 트랜스코더 이중화방법
JP2849225B2 (ja) 伝送装置
CA2235560C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sdn connection service to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JPH10508738A (ja) セルラー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エンコーディングを行う方法
US6118981A (en) Wireless local loop system for radio communication between central telephone exchange and fixed subscriber
KR100353800B1 (ko) 무선 가입자망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기간 이1 인터페이스보드 이중화장치 및 그를 이용한 이중화 절체 방법
JPH0870335A (ja) データ通信制御装置
US5991288A (en) Voice coding apparatus at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base station
JPS61196653A (ja) 回線切換交換機にデータサービスを提供するシステム
KR100265069B1 (ko) 종합정보통신망 가입자 접속 모듈
JP2886714B2 (ja) 無線回線制御装置
KR100314569B1 (ko) 무선가입자망시스템에서 자동 채널할당기능을 갖는 가입자정합장치 및 자동채널할당방법
KR100236231B1 (ko)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의 기지국 제어기
KR0143005B1 (ko) 무선사설 교환 시스템에서의 시스템 본체와 접속장치간 연결장치
KR100258690B1 (ko) 안내메시지 송출기능을 갖는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용 기지국제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