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5804A - 에이티엠 교환기에서 비고정 대역 서브 루트 할당 방법 - Google Patents

에이티엠 교환기에서 비고정 대역 서브 루트 할당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5804A
KR20000045804A KR1019980062398A KR19980062398A KR20000045804A KR 20000045804 A KR20000045804 A KR 20000045804A KR 1019980062398 A KR1019980062398 A KR 1019980062398A KR 19980062398 A KR19980062398 A KR 19980062398A KR 20000045804 A KR20000045804 A KR 20000045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width
sub
call
route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2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항석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80062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45804A/ko
Publication of KR20000045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580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2Miscellaneous aspects
    • H04L47/822Collecting or measuring resource availability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TM 교환기에서 비고정 대역 서브 루트(Sub-route) 할당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계선 호 처리 관련 자원 관리에서 서브 루트 대역 자원의 선점없이 각 링크의 사용량에 따라 사용하도록 한 ATM 교환기에서 비고정 대역 서브 루트 할당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링크 내의 서브 루트에 일정한 대역을 할당해 두지 않고 해당 서브 루트에 대한 임의의 대역폭을 요구하는 호의 설정 가능 여부를 해당 링크의 가용 대역량에 따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호의 설정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은 설정하려는 호의 요구 대역량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호가 설정될 서브 루트가 속하는 링크의 가용 대역량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요구 대역량이 상기 가용 대역량보다 작은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서브 루트에 상기 요구 대역량만큼 대역폭을 할당해 상기 호를 설정하는 단계와; 대역 사용량을 누적시키고 상기 가용 대역량을 상기 요구 대역량만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다르게는 상기 호의 설정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요구 대역량이 상기 가용 대역량보다 큰 경우에 다른 서브 루트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다른 서브 루트에 대한 상기 호의 설정 가능 여부를 재검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이티엠 교환기에서 비고정 대역 서브 루트 할당 방법
본 발명은 ATM 교환기에서 비고정 대역 서브 루트(Sub-route) 할당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계선 호 처리 관련 자원 관리에서 서브 루트 대역 자원의 선점없이 각 링크의 사용량에 따라 사용하도록 한 ATM 교환기에서 비고정 대역 서브 루트 할당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계선 호 처리 관련 자원 관리에서 각 서브 루트 별로 고정된 대역을 할당하여 사용하였다.
다시 말해서, 해당 중계선 호 처리에서 해당 호가 라우팅 알고리즘(Routing Algorithm)에 의해서 할당되어지는 기본은 링크(Link) 내에 설정되어 있는 어떤 서브 루트를 통해서 가상 연결을 설정하는가에 있다.
그리고, 해당 서브 루트는 실제로 각각의 서브 루트마다 고정된 대역폭이 정해져 있어, 해당 서브 루트의 할당은 해당 서브 루트의 최대 대역폭에서 현재 사용중인 대역폭을 제외하고 남는 여유 대역폭 내에 호 설정을 시도하는 대역폭이 수용 가능한가를 비교하여 가능한 서브 루트로 할당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기존의 서브 루트 할당 방식에서는 해당 서브 루트의 최대 대역폭이 미리 정해진 고정 값을 지니고 있어 사용중인 대역폭을 제외하고 남는 여유 대역폭을 이용하게 된다.
예를 들어, 기존의 고정 대역 서브 루트 할당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구성도를 참고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본다.
여기서, 하나의 링크(10)가 '150'이라는 최대 대역을 지니고 있고 해당 링크(10) 내에 구비되어지는 두 개의 서브 루트(11, 12)가 설정되어지며, 해당 각 서브 루트(11, 12)는 각각 '50'의 최대 대역폭으로 정해져 있다고 가정한다.
이에, '30'의 대역폭을 요구하는 두 개의 호(21, 22)가 상기 링크(10) 측으로 인가되어지면, 상기 각각의 서브 루트(11, 12)에 해당 각 호(21, 22)가 하나씩 할당되어진다.
그런 후, 또다른 '30'의 대역폭을 요구하는 호(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가 상기 링크(10) 측으로 인가될 경우, 상기 각각의 서브 루트(11, 12)에 남은 대역폭은 '20' 밖에 되지 않아 해당 또다른 호는 할당되어질 서브 루트가 없으므로 호 설정에 실패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링크(10)에서 실제로 전체 서브 루트에 할당된 대역폭은 '100'이고 사용중인 대역폭은 '60' 밖에 되지 않으므로 전체적으로 보았을 경우에 '40'의 여유 대역폭이 있어 상기 또다른 '30'의 대역폭을 요구하는 호가 충분히 정상적으로 설정될 수도 있을 것 같으나,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각각의 서브 루트(11, 12)에 최대 대역폭인 '50'으로 각각 고정하여 두고 상기 각 호(21, 22)가 하나씩 할당되어 상기 각각의 서브 루트(11, 12)의 여유 대역폭은 '20' 밖에 되지 않아 해당 또다른 호는 할당되어질 서브 루트가 없으므로 호 설정에 실패하게 된다. 결국, 종래의 고정 대역 서브 루트 할당 방식은 전체적으로 보아 '40'의 여유 대역폭이 있지만 활용할 수가 없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중계선 자원 관리에 있어서, 링크의 대역이 실제로 충분히 남는 경우에도 사용하려는 서브 루트에 할당된 대역만큼의 자원만이 호 설정에 이용될 수 있으므로, 실제의 서브 루트에 SVC(Signaling Virtual Channel)의 호가 존재하지 않을 때에도 링크의 대역량이 할당 불가능한 상태로 변환되어 대역 자원의 활용에 있어서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중계선 호 처리 관련 자원 관리에서 각 서브 루트 별로 고정된 대역을 할당하여 사용했던 것을 대역 자원의 선점없이 각 링크의 사용량에 따라 사용하도록 하여 대역 자원 활용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ATM 교환기에서 고정 대역 서브 루트 할당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TM 교환기에서 비고정 대역 서브 루트 할당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TM 교환기에서 비고정 대역 서브 루트 할당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링크(Link)
31, 32 : 서브 루트(Sub-route)
41 ~ 43 : 호(Call)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링크 내의 서브 루트에 일정한 대역을 할당해 두지 않고 해당 서브 루트에 대한 임의의 대역폭을 요구하는 호의 설정 가능 여부를 해당 링크의 가용 대역량에 따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호의 설정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은 설정하려는 호의 요구 대역량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호가 설정될 서브 루트가 속하는 링크의 가용 대역량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요구 대역량이 상기 가용 대역량보다 작은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서브 루트에 상기 요구 대역량만큼 대역폭을 할당해 상기 호를 설정하는 단계와; 대역 사용량을 누적시키고 상기 가용 대역량을 상기 요구 대역량만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다르게는 상기 호의 설정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요구 대역량이 상기 가용 대역량보다 큰 경우에 다른 서브 루트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다른 서브 루트에 대한 상기 호의 설정 가능 여부를 재검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 ATM 교환기의 중계선 자원 관리에 있어 서브 루트 별로 고정된 대역을 할당하여 해당 각각의 서브 루트들이 서로 다른 서브 루트들의 할당 대역에 의해 실제로는 해당 링크에서 사용 가능한 경우에도 호 설정에 실패하는 비효율성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해당 서브 루트들에 일정한 대역을 할당해 두지 않고 각 링크의 사용 가능한 대역량에 따라 호 설정 가능 여부가 결정되도록 한다.
즉, 종래에는 링크에 실제로 사용 가능한 대역량이 존재하여도 호 설정이 불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은 각각의 서브 루트에 고정된 대역폭을 정해두지 않고 해당 서브 루트가 속한 링크의 여유 대역폭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어 중계선 링크 대역 자원의 활용을 극대화하여 링크의 가용 대역량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체 링크의 여유 대역폭이 서브 루트의 여유 대역폭이 되도록 해 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TM 교환기에서 비고정 대역 서브 루트 할당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TM 교환기에서 비고정 대역 서브 루트 할당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TM 교환기에서 비고정 대역 서브 루트 할당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구성도를 참고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본다.
여기서, 하나의 링크(30)가 '150'이라는 최대 대역을 지니고 있으며, '30'의 대역폭을 요구하는 두 개의 호(41, 42)가 상기 링크(30) 측으로 인가되어져 각각 '30'의 대역폭을 가지는 서브 루트(31, 32)에 해당 각 호(41, 42)가 하나씩 할당되어진다. 즉, 해당 제1호(41)는 제1서브 루트(31)에 '30'의 대역폭으로 할당되어지고 해당 제2호(42)는 제2서브 루트(32)에 '30'의 대역폭으로 할당되어진다.
이런 경우에는 현재 사용중인 대역폭이 '60'이 되므로, 나머지 '90'의 대역폭은 여유 대역폭으로 언제든지 특별한 운용 정보의 변경 없이 호 설정이 가능하며, 언제든지 PVC(Permanent Virtual Connection)로도 활용 가능하도록 해 준다.
그런 후, 또다른 '30'의 대역폭을 요구하는 제3호(43)가 상기 링크(30) 측의 제1서브 루트(31)로 인가될 경우, 상기 제1서브 루트(31)에 '30'의 대역폭을 가지게 하여 해당 제3호(43)가 상기 제1서브 루트(31)에 '30'의 대역폭으로 할당되어지도록 해 준다.
이렇게 하여, 상기 제1서브 루트(31)는 '60'의 대역폭을 가지게 되어 현재 사용중인 대역폭이 '90'으로 변경되며, 여유 대역폭은 '60'으로 변경되어 해당 여유 대역폭 내에 언제든지 특별한 운용 정보의 변경 없이 호 설정이 가능하게 해 준다.
그러면, 종래의 방식과 비교하여 설명해 보면, 종래 '150'의 최대 대역폭 중에서 '100'은 서브 루트로 이미 할당되어져 있어 '50'의 여유 대역폭에 대해서만 PVC가 가능하며, 또한 '100'의 대역폭에 대해서 그리고 각각 '50'으로 나누어져 있어 추가적으로 요구하는 호가 '20'보다 작은 대역폭을 가지는 경우에만 설정이 가능하였다. 한가지 더, 종래의 방식은 호 통계를 충실하게 수행하여 서브 루트의 대역과 여유 대역들을 결정해야 하는데, 해당 통계 자료가 충분하지 않아 결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정확한 통계 치에 의해서 결정된 대역을 할당하여 사용한다 하더라도 각 서브 루트의 여유 대역폭으로 낭비가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TM 교환기에서 비고정 대역 서브 루트 할당 방법은 통계가 부족한 상황에서도 자유로이 대역폭을 가질 수 있는 서브 루트(31, 32)를 설정하여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TM 교환기에서 비고정 대역 서브 루트 할당 방법을 도 3의 플로우챠트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임의의 대역폭을 요구하는 호, 예로 제3호(43)가 링크(30) 측의 임의의 서브 루트, 예로 제1서브 루트(31)로 인가될 경우에 해당 제1서브 루트(31)에 대한 제3호(43)의 설정 가능 여부를 검사하는데, 즉 해당 설정하려는 제3호(43)가 있는지를 확인한 후에(단계 S1) 해당 설정하려는 제3호(43)의 요구 대역량을 확인하며(단계 S2), 해당 제3호(43)가 설정되는 제1서브 루트(31)가 속하는 링크를 찾은 후에(단계 S3) 해당 찾은 링크의 가용 대역량을 확인하며(단계 S4), 이에 해당 설정하려는 제3호(43)의 요구 대역량이 해당 제1서브 루트(31)가 속하는 링크의 가용 대역량보다 큰지 아니면 작은지를 확인한다(단계 S5).
만약, 상기 제5단계(S5)에서 설정하려는 제3호(43)의 요구 대역량이 해당 제1서브 루트(31)가 속하는 링크의 가용 대역량보다 크면, 다른 서브 루트, 예로 제2서브 루트(32)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6).
여기서, 상기 제2서브 루트(32)가 존재하면 상기 제2서브 루트(32)에 대한 제3호(43)의 설정 가능 여부를 다시 검사하며, 상기 제2서브 루트(32)가 존재하지 않으면 호 설정 실패를 통보해 준다(단계 S7).
반면에, 상기 제5단계(S5)에서 설정하려는 제3호(43)의 요구 대역량이 해당 제1서브 루트(31)가 속하는 링크의 가용 대역량보다 작으면, 상기 설정하려는 제3호(43)의 요구 대역량만큼 상기 제1서브 루트(31)에 대역폭을 할당하여 제3호(43)를 설정해 줌과 동시에(단계 S8) 현재의 대역 사용량을 누적시켜 주어 상기 제1서브 루트(31)가 속하는 링크의 가용 대역량을 할당해 준 대역폭만큼 감소시켜 준다(단계 S9).
한편,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중계선은 설치, 유지 및 관리에 드는 비용이 상당히 많이 들어 중계선 자원 활용에 있어서 효율의 극대화는 경제적인 측면에서 절실하게 요구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본 발명은 전체 링크의 여유 대역폭이 서브 루트의 여유 대역폭으로 사용할 수 있어 이를 만족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중계선 호 처리 관련 자원 관리에서 서브 루트 별로 대역 자원의 선점없이 각 링크의 사용량에 따라 서브 루트 대역폭을 설정해 사용하여 해당 서브 루트가 속한 링크의 여유 대역폭을 최대한 활용함으로써, 중계선 링크 대역 자원의 활용을 극대화하여 해당 링크의 가용 대역량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Claims (3)

  1. 링크 내의 서브 루트에 일정한 대역을 할당해 두지 않고 해당 서브 루트에 대한 임의의 대역폭을 요구하는 호의 설정 가능 여부를 해당 링크의 가용 대역량에 따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티엠 교환기에서 비고정 대역 서브 루트 할당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의 설정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은 설정하려는 호의 요구 대역량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호가 설정될 서브 루트가 속하는 링크의 가용 대역량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요구 대역량이 상기 가용 대역량보다 작은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서브 루트에 상기 요구 대역량만큼 대역폭을 할당해 상기 호를 설정하는 단계와;
    대역 사용량을 누적시키고 상기 가용 대역량을 상기 요구 대역량만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티엠 교환기에서 비고정 대역 서브 루트 할당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의 설정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요구 대역량이 상기 가용 대역량보다 큰 경우에 다른 서브 루트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다른 서브 루트에 대한 상기 호의 설정 가능 여부를 재검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티엠 교환기에서 비고정 대역 서브 루트 할당 방법.
KR1019980062398A 1998-12-30 1998-12-30 에이티엠 교환기에서 비고정 대역 서브 루트 할당 방법 KR200000458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2398A KR20000045804A (ko) 1998-12-30 1998-12-30 에이티엠 교환기에서 비고정 대역 서브 루트 할당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2398A KR20000045804A (ko) 1998-12-30 1998-12-30 에이티엠 교환기에서 비고정 대역 서브 루트 할당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5804A true KR20000045804A (ko) 2000-07-25

Family

ID=19569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2398A KR20000045804A (ko) 1998-12-30 1998-12-30 에이티엠 교환기에서 비고정 대역 서브 루트 할당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4580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564B1 (ko) * 2004-12-10 2007-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에서의 자원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0753849B1 (ko) * 2005-12-08 2007-08-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서비스 품질 보장형 망에서 망 자원의 예약 또는 해지를통한 호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31384B1 (ko) * 2007-12-06 2009-12-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패킷 기반의 회선 대역 제어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1574A (ko) * 1995-11-08 1997-06-26 양승택 엘비에프(LBF : Low Bandwidth First)를 이용한 호 제어 방법
KR970056401A (ko) * 1995-12-22 1997-07-31 양승택 완전 분산형 에이티엠(atm) 교환 시스템에서 재시도 알고리즘을 이용한 발신 및 착신측 경로 제어 방법
KR980007424A (ko) * 1996-06-24 1998-03-30 김광호 비동기 전송 모드 교환기에서 라우팅 제어방법
KR19980083553A (ko) * 1997-05-16 1998-12-05 윤종용 비동기모드망의 망서비스에서 동적 대역폭 활용방법
KR19990061245A (ko) * 1997-12-31 1999-07-26 윤종용 비동기 전송 모드 스위치에서 링크 대역폭 할당 및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1574A (ko) * 1995-11-08 1997-06-26 양승택 엘비에프(LBF : Low Bandwidth First)를 이용한 호 제어 방법
KR970056401A (ko) * 1995-12-22 1997-07-31 양승택 완전 분산형 에이티엠(atm) 교환 시스템에서 재시도 알고리즘을 이용한 발신 및 착신측 경로 제어 방법
KR980007424A (ko) * 1996-06-24 1998-03-30 김광호 비동기 전송 모드 교환기에서 라우팅 제어방법
KR19980083553A (ko) * 1997-05-16 1998-12-05 윤종용 비동기모드망의 망서비스에서 동적 대역폭 활용방법
KR19990061245A (ko) * 1997-12-31 1999-07-26 윤종용 비동기 전송 모드 스위치에서 링크 대역폭 할당 및 관리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564B1 (ko) * 2004-12-10 2007-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에서의 자원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0753849B1 (ko) * 2005-12-08 2007-08-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서비스 품질 보장형 망에서 망 자원의 예약 또는 해지를통한 호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31384B1 (ko) * 2007-12-06 2009-12-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패킷 기반의 회선 대역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13363C (en) Communication network recoverable from link failure using prioritized recovery classes
US7496112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llocating time slots to circuit switched channels
KR100563656B1 (ko) 인터넷 차별 서비스 망에서 입력 호 상태를 반영한 적응적연결 수락 제어방법
JP3026820B2 (ja) 2地点間の直列両方向通信経路における帯域幅配分方法および装置
KR20010014121A (ko) 합성 다중 슬롯 서비스를 위한 채널 할당
KR20000028582A (ko)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CN101212289B (zh) 一种时隙分配方法及网络通信设备
US5537469A (en) Bandwidth allocation of DPNSS networks
US6842780B1 (en) Method of management in a circuit-switched communication network and device which can be used as a node in a circuit-switched communication network
KR20000045804A (ko) 에이티엠 교환기에서 비고정 대역 서브 루트 할당 방법
US7043003B1 (en) Device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load distribution in a signaling network
US7215664B2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protection switching
CN102064881A (zh) 一种串联连接监视级别处理方法及装置
Gersht et al. Real-time bandwidth allocation and path restorations in SONET-based self-healing mesh networks
EP1008274B1 (en) Method of management in a circuit-switched communication network and device which can be used as a node in a circuit-switched communication network
KR970002715B1 (ko) 에이. 티. 엠(atm) 교환 시스템에서 실시간 연결수락제어를 위한 망자원 관리 방법
JPH03101440A (ja) 帯域割当て方式
US6952398B1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mal allocation of link bandwidth in a communications network for truck routing
JPH0348553A (ja) パケット交換網の通信資源割り当て方式
KR970002749B1 (ko) 적응제어 대역관리 방법
KR100447059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제어국의 트래픽 핸들링 처리 블럭할당 방법
KR0175574B1 (ko) 비동기 전송모드(atm) 망에서 유효비트율 대역할당을 위한 동적 이동식 경계방법
KR100204476B1 (ko) 에이티엠 망에서의 최적 경로 설정 방법
US7079767B2 (en) Wavelength and/or subband assignment algorithm in all optical networks for minimal blocking
JPH04150438A (ja) 帯域割当て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