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4537A - 귓속형 송화부를 가진 핸즈프리 장치 - Google Patents
귓속형 송화부를 가진 핸즈프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44537A KR20000044537A KR1019980061036A KR19980061036A KR20000044537A KR 20000044537 A KR20000044537 A KR 20000044537A KR 1019980061036 A KR1019980061036 A KR 1019980061036A KR 19980061036 A KR19980061036 A KR 19980061036A KR 20000044537 A KR20000044537 A KR 2000004453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icrophone
- housing
- speaker
- hands
- ea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폰에 있어서, 하단이 개구된 마이크 하우징과, 상기 마이크 하우징에 내장된 마이크로폰을 구비하여 핸드폰 사용자의 귀에 삽입하는 송화부와; 하단이 개구된 스피커 하우징과, 상기 스피커 하우징에 내장된 스피커를 구비하여 상기 송화부의 반대편 귀에 삽입하는 수화부와; 상기 마이크 하우징과 스피커 하우징의 개구된 하단 사이를 이어주는 연결관과; 핸드폰에 형성한 잭홀에 끼워지는 잭과; 상기 잭과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를 연결하는 코드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귓속형 송화부를 가진 핸즈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 귓속에 삽입하는 송화부, 수화부 및 상기 송화부와 수화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관으로 이루어진 귓속형 송화부를 가진 핸즈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기기의 하나인 핸드폰은 무선으로 작동되므로, 이동중에도 원하는 사람과 통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으로 인하여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핸드폰은 스피커 및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본체를 한 손에 쥔 채 통화를 해야 하므로, 컴퓨터의 키보드를 조작하는 일이라던지 차량의 스티어링휠을 조작하는 일과 같이 양손을 모두 사용해야 하는 일을 할 때에는 사용하기가 곤란하였다.
이와 같은 핸드폰의 사용상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 핸즈프리 장치이다. 핸즈프리 장치는 핸드폰 본체와 유선으로 연결된 이어폰과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본체를 손에 쥐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통화가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10)는 사용자 귓속에 삽입되는 이어폰(11)과, 상기 이어폰(11)에서 하향으로 연장 형성한 엘보우 로드(12)와, 상기 엘보우 로드(12)의 하단에 설치된 마이크로폰(13)과, 핸드폰의 잭홀에 장착되는 잭(15)과, 상기 이어폰(11) 및 마이크로폰(13)과 잭(15) 사이를 연결하는 코드(14)로 구성된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종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는 사용자 귓속에 삽입되는 이어폰과, 상기 이어폰 하측에 일체로 설치된 마이크로폰과, 핸드폰의 잭홀에 장착되는 잭과, 상기 이어폰 및 마이크로폰과 잭 사이를 연결하는 코드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핸즈프리들의 경우에는 마이크로폰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고 사용자의 입에서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있으므로, 마이크로폰 내부로 통화 음성 이외에 다른 외부 소음이 유입되어 통화감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이물질로 인해 오염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소음을 최대한 줄여 통화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귓속형 송화부를 가진 핸즈프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물질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귓속형 송화부를 가진 핸즈프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핸드폰에 있어서, 하단이 개구된 마이크 하우징과, 상기 마이크 하우징에 내장된 마이크로폰을 구비하여 핸드폰 사용자의 귀에 삽입하는 송화부와; 하단이 개구된 스피커 하우징과, 상기 스피커 하우징에 내장된 스피커를 구비하여 상기 송화부의 반대편 귀에 삽입하는 수화부와; 상기 마이크 하우징과 스피커 하우징의 개구된 하단 사이를 이어주는 연결관과; 핸드폰에 형성한 잭홀에 끼워지는 잭과; 상기 잭과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를 연결하는 코드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귓속형 송화부를 가진 핸즈프리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귓속에 끼워진 송화부의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송화부 21 : 마이크 하우징
23 : 마이크로폰 30 : 수화부
31 : 스피커 하우징 33 : 스피커
40 : 연결관 50 : 코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귓속형 송화부를 가진 핸즈프리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귓속에 끼워진 송화부의 개략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귓속형 송화부(In-the-ear transmitter section)를 가진 핸즈프리 장치(Hands-free device)는 크게 송화부(20), 수화부(30), 연결관(40), 잭(60) 및 코드(50)로 구성되며, 응용예에 따라 온오프 스위치(70)를 부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송화부(20)는 절곡된 관 모양의 마이크 하우징(21)과, 상기 마이크 하우징(21)에 내장된 마이크로폰(23)으로 구성되며, 핸드폰 사용자의 일측 귓속(80)에 삽입한다. 상기 마이크 하우징(21)은 하단이 개구됨으로써, 마이크로폰(23)과 연결되는 코드(50)의 통로 역할 및 연결관(40)과의 연결 부위가 된다. 또한, 상기 마이크 하우징(21)의 상단 외주면은 귓속에 삽입하기 용이하도록 원형을 형성하며, 착용자의 불편함을 줄이고 귓속 안팎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스폰지나 탄성재를 부착할 수 있다.
상기 수화부(30)는 스피커 하우징(31)과, 상기 스피커 하우징(31)에 내장된 스피커(33)로 구성되며, 핸드폰 사용자의 타측 귓속에 삽입한다. 상기 스피커 하우징(31)은 상술한 마이크 하우징(21)과 마찬가지로 하단이 개구됨으로써 스피커(33)와 연결되는 코드(50)의 통로 역할 및 연결관(40)과의 연결 부위가 되며, 상기 스피커 하우징(31)의 상단 외주면 역시 귓속에 삽입하기 용이하도록 원형을 형성하여 스폰지나 탄성재를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송화부(20) 및 수화부(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핸드폰 사용자의 귓속에 각각 삽입되어 마이크 하우징(21) 및 스피커 하우징(31)의 외주면에 의해 외부와 차단되므로, 외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관(40)은 마이크 하우징(21)의 하단과 스피커 하우징(31)의 하단 사이를 연결하는 관으로서, 수화부(30)가 삽입된 귓속의 고막을 통해 스피커 하우징(31) 내에 들어온 사용자의 음성을 마이크 하우징(21) 내의 마이크로폰(23)까지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연결관(40)은 속이 빈 파이프 형태로서, 사용자가 착용했을 때 얼굴이나 턱 등에 걸리지 않도록 유(U)자형을 이루도록 형성한다. 물론, 상기 연결관(40)의 외형은 제품의 디자인이나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40)은 착용시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플라스틱과 같이 가능한한 가벼운 재질이 바람직하며, 내부를 통과하는 음성이 연결관(40)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내외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잭(60)은 핸드폰에 형성한 잭홀에 장착되며, 상기 코드(50)는 잭(60)과 송화부(20) 내의 마이크로폰(23) 및 잭(60)과 수화부(30) 내의 스피커(33)간을 연결한다.
상기 온오프 스위치(70)는 유선 리모트 콘트롤러와 같은 역할을 하기 위해 코드(50) 사이에 설치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미리 설정된 모드신호, 예를 들면 통화시작신호 혹은 통화중지신호를 출력하는 온오프 버튼(72)을 구비한다.
이어,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귓속형 송화부를 가진 핸즈프리 장치의 작동 과정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핸드폰 사용자는 핸드폰의 잭홀에 잭(60)을 꽂고 난 후, 본 발명의 핸즈프리에 형성한 송화부(20) 및 수화부(30)를 각각 양쪽 귓속에 착용한다. 이어, 본체의 통화 버튼을 누르거나 온오프 스위치(70)의 온오프 버튼(72)을 눌러 상대방과 통화를 시작한다.
이때, 핸드폰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상대방의 음성은 수화부(30)의 스피커(33)를 통해 핸드폰 사용자에게 전달되고, 핸드폰 사용자의 음성은 송화부(20)의 마이크로폰(23)을 통해 핸드폰에 출력된 후, 핸드폰의 안테나를 통해 상대방에게 송신된다.
상기 송화부(20)의 마이크로폰(23)에 입력되는 핸드폰 사용자의 음성은 대부분 송화부(20)가 삽입된 쪽 귓속에 위치한 사용자 자신의 고막 진동에 의해 입력되며, 일부는 반대편 귓속의 수화부(30) 및 연결관(40)을 통해 입력된다.
즉, 송화부(20)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은 종래의 핸즈프리와 같이 사용자의 입을 통해 공기 중에 발성되는 외부 음성이 아니라, 사용자의 목과 머리 내부에서 공명되어 송화부(20) 쪽 귓속(80)의 고막을 진동시키는 내부 음성(실선 화살표)에 의한 것이며, 상기 수화부(30) 및 연결관(40)을 통해 전달되는 반대편 귓속 고막 진동에 의한 내부 음성(점선 화살표)은 상기 송화부(20) 쪽 내부 음성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실험에 의하면, 본인 음성의 70% 정도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체 내의 공명을 통한 내부 음성에 의해 듣게 되는 것이며, 나머지 30% 정도만이 공기를 통해 전달되는 외부 음성에 의해 듣게 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녹음기에 녹음된 본인의 음성이 평소 자신의 음성과 다르게 느껴지는 것이며, 본 발명의 귓속형 송화부는 이를 이용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귓속형 송화부를 가진 핸즈프리 장치는 송화부가 핸드폰 사용자의 귓속에 위치하므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소음을 크게 줄일 수 있어 통화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귓속형 송화부를 가진 핸즈프리 장치는 낮은 목소리로도 통화를 할 수 있어 핸드폰 사용으로 인한 타인의 불쾌감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귓속형 송화부를 가진 핸즈프리 장치는 송화 및 수화시 외부 영향을 적게 받으므로, 자전거, 오토바이, 차량 등 교통수단을 이용한 이동시 사용해도 양질의 통화감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 핸드폰에 있어서,하단이 개구된 마이크 하우징과, 상기 마이크 하우징에 내장된 마이크로폰을 구비하여 핸드폰 사용자의 귀에 삽입하는 송화부와;하단이 개구된 스피커 하우징과, 상기 스피커 하우징에 내장된 스피커를 구비하여 상기 송화부의 반대편 귀에 삽입하는 수화부와;상기 마이크 하우징과 스피커 하우징의 개구된 하단 사이를 이어주는 연결관과;핸드폰에 형성한 잭홀에 끼워지는 잭과;상기 잭과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를 연결하는 코드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귓속형 송화부를 가진 핸즈프리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61036A KR20000044537A (ko) | 1998-12-30 | 1998-12-30 | 귓속형 송화부를 가진 핸즈프리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61036A KR20000044537A (ko) | 1998-12-30 | 1998-12-30 | 귓속형 송화부를 가진 핸즈프리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44537A true KR20000044537A (ko) | 2000-07-15 |
Family
ID=19567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061036A KR20000044537A (ko) | 1998-12-30 | 1998-12-30 | 귓속형 송화부를 가진 핸즈프리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00044537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35065A (ko) * | 2002-04-10 | 2002-05-09 | 배명진 | 귀를 통해서 소리를 녹음하는 방식 |
KR100853860B1 (ko) | 2006-12-22 | 2008-08-22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분리형 음향 입/출력 장치 |
-
1998
- 1998-12-30 KR KR1019980061036A patent/KR2000004453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35065A (ko) * | 2002-04-10 | 2002-05-09 | 배명진 | 귀를 통해서 소리를 녹음하는 방식 |
KR100853860B1 (ko) | 2006-12-22 | 2008-08-22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분리형 음향 입/출력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574345B1 (en) | Structure of a wearable and hands free earphone | |
US7123737B2 (en) | Ear clasp headset | |
US6914996B2 (en) | Portable telephone attachment for person hard of hearing | |
AU782543B2 (en) | Mobile communication unit with bone conduction speaker | |
US20020173346A1 (en) | Neck Phone | |
JPH09172479A (ja) | 送受話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通話装置 | |
JP2003348208A (ja) | 骨伝導スピーカを備えた携帯電話機 | |
JP2001320790A (ja) | 骨伝導スピーカを用いた受話装置 | |
JP2006526295A (ja) | オーディオ用ヘッドセット | |
EP1665872B1 (en) | Noise damping headset with a throat microphone | |
US5970155A (en) | Headset for hearing protectors | |
JPH11215581A (ja) | 骨導ヘッドセット | |
KR20000044537A (ko) | 귓속형 송화부를 가진 핸즈프리 장치 | |
CN210405383U (zh) | 一种电子设备 | |
KR20190142029A (ko) | 이어팁 | |
KR20040003096A (ko) | 스피커와 마이크를 합체시킨 이어마이크로폰 | |
KR100506806B1 (ko) | 골전도 무선통신장치 | |
KR20100119470A (ko) | 감시기능과 이어폰 겸용 귓속형 마이크를 가지는 무선 헤드셋 장치 | |
KR200233027Y1 (ko) | 핸즈프리 용 이어폰 셋 | |
KR200242618Y1 (ko) | 목걸이형 휴대폰 핸즈프리 | |
KR20080083482A (ko) | 방음송화부 | |
JP2002204489A (ja) | イヤホーンマイクロフォン | |
KR200233067Y1 (ko) | 이중 목적의 휴대 전화기용 이어폰 | |
KR200302706Y1 (ko) | 이어폰 내장형 선그라스 | |
KR20150096599A (ko) | 개방구가 설치된 이어폰 스피커통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