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4336A - 교환시스템의 분산 교환 회로 - Google Patents

교환시스템의 분산 교환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4336A
KR20000044336A KR1019980060833A KR19980060833A KR20000044336A KR 20000044336 A KR20000044336 A KR 20000044336A KR 1019980060833 A KR1019980060833 A KR 1019980060833A KR 19980060833 A KR19980060833 A KR 19980060833A KR 20000044336 A KR20000044336 A KR 20000044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ubscriber
time slot
circuit
switch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0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준
Original Assignee
박태진
삼성톰슨시에스에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진, 삼성톰슨시에스에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태진
Priority to KR1019980060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44336A/ko
Publication of KR20000044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433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4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with provision for checking the normal operation
    • H04M3/241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with provision for checking the normal operation for stored program controlled exch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4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 H04M3/546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in private branch exch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06Integrated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 Of Switch Circuits For Exchanges And Methods Of Control Of Multiplex Exch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데이터의 교환을 가입자부 교환 회로 및 전송부 교환 회로에 분산하여 교환하는 교환 시스템의 분산 교환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교환 시스템의 분산 교환 회로에 있어서, 내선 가입자간의 통화시 가입자 하이웨이를 통해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며, 타 교환시스템에 가입되어 있는 가입자와의 통화시 상기 타 교환시스템과 송신 하이웨이를 통해 데이터를 할당하여 송신하고, 수신 하이웨이를 통해 상기 타 교환시스템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검출하여 데이터 교환을 수행하는 가입자부 교환 회로와, 타 교환 시스템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수신 하이웨이로 할당하여 상기 가입자부 교환 회로로 전송하여 내선 가입자와 타 교환 시스템의 가입자의 데이터 교환을 수행하며, 상기 타 교환시스템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수신 하이웨이로 할당한 후 그 수신 하이웨이로 수신된 데이터를 송신 하이웨이를 통해 제 2의 타 교환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전송부 교환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Description

교환 시스템의 분산 교환 회로
본 발명은 교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데이터의 교환을 가입자부 교환 회로 및 전송부 교환 회로에 분산하여 교환하는 교환 시스템의 분산 교환 회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교환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교환 시스템의 제어부(111)는 가입자부(113) 및 가입자부(115)의 가입자 터미널을 통해 신호가 감지되면, 그 입력되는 신호를 교환부(117)에 전달한다. 상기 교환부(117)는 상기 가입자부(113) 및 가입자부(115)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스위칭하여 해당 가입자부 및 전송부(119)로 데이터 교환을 한다. 따라서, 전송부(119) 및 가입자부(113) 및 가입자부(115)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의 교환이 교환부(117)에서 집중 교환된다.
그래서 교환부(117)는 데이터의 교환을 위한 모듈의 수가 증가되어 그 실장성의 확대를 증가시켰고, 또한 상기 교환부(117)에 에러 요인이 발생하면 전체 교환 시스템의 교환 동작 수행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되는 데이터의 교환을 가입자 교환 회로 및 전송부 교환 회로에 분산하여 교환하는 교환시스템의 분산 교환 회로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교환 시스템의 분산 교환 회로에 있어서, 내선 가입자간의 통화시 가입자 하이웨이를 통해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며, 타 교환시스템에 가입되어 있는 가입자와의 통화시 상기 타 교환시스템과 송신 하이웨이를 통해 데이터를 할당하여 송신하고, 수신 하이웨이를 통해 상기 타 교환시스템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검출하여 데이터 교환을 수행하는 가입자부 교환 회로와, 타 교환 시스템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수신 하이웨이로 할당하여 상기 가입자부 교환 회로로 전송하여 내선 가입자와 타 교환 시스템의 가입자의 데이터 교환을 수행하며, 상기 타 교환시스템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수신 하이웨이로 할당한 후 그 수신 하이웨이로 수신된 데이터를 송신 하이웨이를 통해 제 2의 타 교환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전송부 교환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교환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환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도 2의 가입자부 내부의 교환 회로도
도 4는 도 2의 전송부 내부의 교환 회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교환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가입자부(211)는 다수의 가입자부1~가입자부N으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가입자부(211)는 가입자 하이웨이인 HWO를 통해 가입자 터미널로부터 다른 가입자부 혹은 자신이 속해있는 가입자부의 가입자와의 통화를 위한 신호가 가입자 하이웨이인 HWO를 통해 인입되면 , 즉 내선 가입자간 사이의 통화 신호가 인입되면 상기 가입자부(211)는 가입자데이터 교환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가입자부(211)는 데이터의 교환을 수행한 후 그 결과 데이터를 다시 상기 가입자 하이웨이 HWO를 통해 해당 가입자 터미널로 송신하여 통화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가입자 하이웨이 HWO는 내선 가입자간 송신과 수신을 모두 수행할 수 있게 설계되어 있다.
상기 가입자부(211)에 가입되어 있는 가입자 터미널로부터 상기 가입자부(211)에 가입되어 있는 가입자가 아닌, 즉 타 교환 시스템에 가입되어 있는 가입자로 통화를 위한 신호가 상기 가입자부(211)로 인입되면, 상기 가입자부(211)는 전송부(213)로 데이터를 교환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전송부(213)는 송신 하이웨이(HW1TX, HW2TX)로 상기 가입자부(211)를 통해 입력한 데이터를 타 교환 시스템으로 송신한다. 한편, 타 교환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전송부(213)의 수신 하이웨이(HW1RX, HW2RX)로 신호가 인입되면 상기 전송부(213)는 데이터 교환을 수행하여 해당 가입자로 통화를 수행한다.
가입자 터미널이 후크 온 될 경우 상기 후크 온된 가입자 터미널로 공급하기 위해 신호음 하이웨이 HW3를 신호음(TONE)을 공급한다.
따라서, 상기 교환 시스템은 상기 6개의 하이웨이를 통해 상기 교환 시스템에 가입되어 있는 내선 가입자 및 타 교환 시스템에 가입되어 있는 가입자와 통화를 위한 데이터 교환을 수행한다.
도 3은 도 2의 가입자부의 내부 교환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가입자부(211)에 가입되어 있는 가입자 터미널이 후크 온될 경우 가입자 하이웨이를 통해 신호가 인입되면, 그 인입된 신호를 감지하면 가입자간 통화를 위한 통화 채널을 형성하여야 하는 데, 상기 교환 시스템의 제어부에서 통화 채널 형성을 위한 타임 슬럿(TIME SLOT) 할당을 위한 클럭(CLOCK)을 발생하여 타임 슬럿 발생부(311)로 공급한다. 상기 클럭은 타임 슬럿 할당을 위한 채널 동기화의 목적으로 발생되는 클럭으로, 7개의 클럭(6:0)은 소정 속도, 예를 들어 32Kbps, 64Kbps, 128Kbps, 256Kbps, 512Kbps로 상기 타임 슬럿 발생부(311)로 제공되고(클럭(5:1)), 또 다른 클럭(0)은 랫치 클럭 발생부(313)로 공급된다.
D[7:0]은 8BIT로 D[0:4]는 통화 채널 형성을 위한 타임 슬럿 데이터이며, D[7:5]는 상기 교환 시스템의 하이웨이를 선택하기 위한 하이웨이 지정 데이터로서, 상기 타임 슬럿 발생부(311) 및 랫치 클럭 발생부(313)로 입력된다.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타임 슬럿 발생부(311)에서 발생한 타임 슬럿에 인입된 데이터를 라이트하기 위한 타임 슬럿 라이트 인에이블(TIME SLOT WRITE ENABLE) 신호가 상기 타임 슬럿 발생부(311)로 제공되고, 그에 상응하여 상기 타임 슬럿 발생부(311)는 상기 발생한 타임 슬럿에 상기 인입된 데이터를 라이트한다. 그리고 난 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라이트한 데이터를 리드하기 위해 타임 슬럿 리드 인에이블(TIME SLOT READ ENABLE) 신호가 상기 타임 슬럿 발생부(311)로 제공되면, 상기 타임 슬럿 발생부(311)는 상기 타임 슬럿에 라이트된 데이터를 리드한다.
이때, 상기 타임 슬럿에 라이트한 데이터를 리드하기 위해선 상기 랫치 클럭 발생부(313)에서 랫치 클럭을 발생시키는데, 랫치 클럭 라이트 인에이블(LATCH CLOCK WRITE ENABLE) 신호에 상응하여 랫치 클럭을 발생시작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생 시작된 랫치 클럭을 정확히 읽어 제공하기 위해 랫치 클럭 인에이블(LATCH CLOCK READ ENABLE)을 발생하여 상기 랫치 클럭을 상기 타임 슬럿 할당된 채널로 제공하여 그 쓰여진 데이터를 리드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타임 슬럿 발생부(311)로 제공되는 SCO0, SCO1은 상기 가입자부(211) 및 전송부(213)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전송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제공되는 신호이다.
따라서, 도 3과 같은 가입자부 전송 회로는 가입자부 내부에 실장되어 가입자 터미널로부터 인입되는 데이터 교환을 수행한다.
도 4는 도 2의 전송부의 내부 교환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교환시스템은 내선 가입자간의 통화 및 내선 가입자와 타 교환 시스템에 가입되어 있는 가입자와의 통화를 수행하며, 또한 타 교환 시스템간의 경로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교환 시스템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채널을 항상 체크하여야 한다.
상기 교환 시스템의 제어부는 구비하고 있는 모든 채널의 데이터를 랫치하기 위해 랫치 클럭을 발생시키는데, 상기 제어부로부터 어드레스 신호가(A[4:1])가 디코더부 400의 각각의 제 1디코더 405와 제 2디코더 410으로 입력되고, 그 어드레스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각각의 제 1디코더 405와 제 2디코더 410은 출력으로서 각각 타임슬럿 인에이블(TSEN[31:9])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타임 슬럿 인에이블 신호는 디플립플랍부(413)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드레스 A[4:1]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상기 디 플립플랍부(413)로 제공한다.
상기 디플립플랍부(413)는 상기 타임 슬럿 인에이블 신호와 상기 데이터 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할당된 타임 슬럿에 상기 데이터가 쓰여진 타임 슬럿 데이터의 채널을 지정하는 신호(TSD)를 출력한다.
상기 디플립플랍부(413)에서 발생한 타임 슬럿 데이터의 채널 지정 신호(TSD)는 먹스부(415)로 입력되고,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를 모든 채널, 즉 0에서 31채널까지 32개의 채널에 데이터를 라이트하기 위한 클럭(CLK[5:1])을 발생하고, 그 발생된 클럭은 상기 먹스부(415)로 입력된다. 상기 먹스부(415)는 상기 타임 슬럿 데이터의 채널을 지정하는 신호 및 클럭을 먹싱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채널의 타임 슬럿을 할당하는 신호(TSA[4:0])를 발생하여 먹스(417)로 공급한다.
상기 먹스(417)는 상기 제어부에서 제공하는 랫치 데이터(LD[31:0])와 상기 먹스부(415)로부터 제공되는 타임 슬럿 할당 신호(TSA[4:0])를 입력하여 먹싱한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먹스(417)에서 출력된 신호는 송신하이웨이 선택신호(HWTX)와 먹스(419)로 입력된다. 또한 전송하고자 하는 채널의 타임 슬럿을 할당하는 신호가 타임 슬럿을 지정하고 있지 않을 경우, 즉 상기 타임 슬럿을 할당하는 신호(TSA[4:0])가 타임 슬럿 데이터 미정의 신호일 경우 그 슬럿 데이터 미정 신호의 지속적인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노아(NOR) 게이트에서 게이팅하여 상기 먹스(419)로 입력한다. 상기 먹스(419)는 상기 세 신호를 먹싱하여 출력한다.
상기 먹스(419)에서 출력된 신호는 디플립플랍(421)의 입력이 되고, 상기 입력된 신호는 송신 데이터로 출력되어, 타 교환시스템으로 전송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에 인입되는 데이터의 교환을 가입자부 교환 회로 및 전송부 교환 회로에 각각 분산하여 교환을 수행함으로써, 교환시스템의 실장 크기의 감소를 가져오고, 각각의 분산 교환으로 인해 하나의 교환 회로에서 에러 요인이 발생될 경우 다른 교환 회로에서 교환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전체 교환 시스템은 정상적인 데이터 교환을 가능하게 하여 신뢰성을 향상한다는 이점을 갖는다.

Claims (4)

  1. 교환 시스템의 분산 교환 회로에 있어서,
    내선 가입자간의 통화시 가입자 하이웨이를 통해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며, 타 교환시스템에 가입되어 있는 가입자와의 통화시 상기 타 교환시스템과 송신 하이웨이를 통해 데이터를 할당하여 송신하고, 수신 하이웨이를 통해 상기 타 교환시스템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검출하여 데이터 교환을 수행하는 가입자부 교환 회로와,
    타 교환 시스템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수신 하이웨이로 할당하여 상기 가입자부 교환 회로로 전송하여 내선 가입자와 타 교환 시스템의 가입자의 데이터 교환을 수행하며, 상기 타 교환시스템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수신 하이웨이로 할당한 후 그 수신 하이웨이로 수신된 데이터를 송신 하이웨이를 통해 제 2의 타 교환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전송부 교환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 시스템의 분산 교환 회로.
  2. 가입자 터미널 및 타 교환 시스템을 통해 인입되는 데이터의 교환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교환 시스템의 분산 교환 회로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터미널을 통한 신호 감지에 상응하여 상기 제어부로부터 발생하는 가입자 터미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타임 슬럿으로 할당하기 위한 타임 슬럿 데이터 및 하이웨이 지정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 교환을 위한 타임 슬럿 할당을 위한 동기화를 수행하기 위한 클럭을 입력하여 해당 채널의 타임 슬럿을 할당하는 타임 슬럿 발생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타임 슬럿 발생부에서 발생된 타임 슬럿에 라이트되어 있는 상기 가입자 터미널을 통해 인입된 데이터를 리드하기 위한 랫치 클럭을 발생하는 랫치 클럭 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가입자부 교환 회로와,
    데이터의 교환이 이루어지는 소정 개수의 전송 채널의 데이터를 랫치하기 위해 상기 전송 채널의 수와 동일한 클럭을 발생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디코더와,
    상기 디코더로부터 발생한 클럭과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한 상기 가입자 터미널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입력하여 해당 데이터의 전송 채널을 지정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디플립플랍과,
    상기 디플립플랍에서 발생된 전송 채널 지정 신호를 반복 입력하여 데이터가 라이트되는 타임 슬럿을 할당하는 타임 슬럿 할당 신호를 발생하는 제 1먹스와,
    상기 먹스를 통해 발생된 타임 슬럿 할당 신호에 상응한 타임 슬럿에 고, 상기 발생된 타임 슬럿 할당 신호에 상응한 해당 타임 슬럿에 입력된 데이터를 라이트하여 전송하는 제 2먹스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전송부 교환회로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 시스템의 분산 교환 회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부 교환 회로 및 상기 전송부 교환 회로는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제어하는 전송 속도 제어 신호의 발생에 의해 소정수의 속도 중 택일하여 상기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 시스템의 분산 교환 회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 교환 회로에 있어서,
    타임 슬럿이 할당되어 있지 않을 경우 타임 슬럿 미할당 신호를 지속적으로 송신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노아 게이트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 시스템의 분산 교환 회로.
KR1019980060833A 1998-12-30 1998-12-30 교환시스템의 분산 교환 회로 KR200000443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0833A KR20000044336A (ko) 1998-12-30 1998-12-30 교환시스템의 분산 교환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0833A KR20000044336A (ko) 1998-12-30 1998-12-30 교환시스템의 분산 교환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4336A true KR20000044336A (ko) 2000-07-15

Family

ID=19567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0833A KR20000044336A (ko) 1998-12-30 1998-12-30 교환시스템의 분산 교환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44336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0240A (ja) * 1988-08-25 1990-02-28 Fujitsu Ltd 無線中継システムにおけるローカルスイッチング方式
KR950023069A (ko) * 1993-12-30 1995-07-28 김광호 분산 다중 프로세서 교환기의 프로세서간 통신장치
KR960003264A (ko) * 1994-06-27 1996-01-26 윌리암 티. 엘리스 호출 처리 방법, 호출 식별 방법, 호출 회의 방법 및 호출 전송 방법
KR960008564U (ko) * 1994-08-22 1996-03-15 스프링 너트
KR19980014074A (ko) * 1996-08-07 1998-05-15 유기범 시외/시내겸용 toll 전전자 교환기(full electronic toll switching system compatible with local switching function)
KR19980017913U (ko) * 1996-09-25 1998-07-06 구자홍 디지탈 키폰시스템의 내선 인터페이스회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0240A (ja) * 1988-08-25 1990-02-28 Fujitsu Ltd 無線中継システムにおけるローカルスイッチング方式
KR950023069A (ko) * 1993-12-30 1995-07-28 김광호 분산 다중 프로세서 교환기의 프로세서간 통신장치
KR960003264A (ko) * 1994-06-27 1996-01-26 윌리암 티. 엘리스 호출 처리 방법, 호출 식별 방법, 호출 회의 방법 및 호출 전송 방법
KR960008564U (ko) * 1994-08-22 1996-03-15 스프링 너트
KR19980014074A (ko) * 1996-08-07 1998-05-15 유기범 시외/시내겸용 toll 전전자 교환기(full electronic toll switching system compatible with local switching function)
KR19980017913U (ko) * 1996-09-25 1998-07-06 구자홍 디지탈 키폰시스템의 내선 인터페이스회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26106B1 (en) Integrated wireless telecommunication and local area network system
US4621357A (en) Time division switching system control arrangement and method
CA2179571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messages
US4635253A (en) Exchange system including plural terminals for voice and data transmission
US20050111484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aster base station and slave base station
JP2847138B2 (ja) プログラム可能タイムスロット割当器マルチプレクサおよびその同期方法
CA2162015C (en) Multiplexed synchronous/asynchronous data bus and method therefor
US4633460A (en) Time division switching system
RU2105422C1 (ru) Веду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анных, ведомое устройство данных,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доступом к шине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доступа к шине данных
US4510596A (en) Time slot assignment facilities
KR20000044336A (ko) 교환시스템의 분산 교환 회로
JPH0591081A (ja) 交換機における転送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5982765A (en)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radio data communication method
KR910005471B1 (ko) 디지탈버튼전화장치
CN100393078C (zh) U型接口匹配电路与方法
KR0118874B1 (ko) 복수의 중계기를 구비하기 위한 trs 시스템
KR100251632B1 (ko) 교환기에서 하이웨이 분배장치 및 방법
JP2654027B2 (ja) ディジタルボタン電話装置
KR0128170B1 (ko) 디지탈 키폰시스템에서 디지털 키폰전화기 접속장치 및 방법
KR100250987B1 (ko) 이중 버스를 갖는 데이타 버퍼를 이용한 이동통신 기지국/이동국 장치 및 이의 채널 할당 방법
JPH0834452B2 (ja) 統計多重無線アクセス方式
KR100354269B1 (ko) 이동통신 기지국에서의 블럭간 데이터 통신 장치 및 그 방법
KR100247026B1 (ko) 음성우편장치
CA1339157C (en) Connection of subscriber communication network base station to external information network
JP2654024B2 (ja) ディジタルボタン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