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3343A - 홀로그램기록장치 - Google Patents

홀로그램기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3343A
KR20000043343A KR1019980059696A KR19980059696A KR20000043343A KR 20000043343 A KR20000043343 A KR 20000043343A KR 1019980059696 A KR1019980059696 A KR 1019980059696A KR 19980059696 A KR19980059696 A KR 19980059696A KR 20000043343 A KR20000043343 A KR 20000043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ation
signal
light modulator
spatial light
signal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9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1437B1 (ko
Inventor
김근율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80059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1437B1/ko
Publication of KR20000043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3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1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14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65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by using optical interference patterns, e.g. hologra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8Modulat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62Mirr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65Separate or integrated refractive elements, e.g. wave plates
    • G11B7/1369Active plates, e.g. liquid crystal panels or electrostrictive el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95Beam splitters or combin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olo 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홀로그램기록장치에 관한 것으로, 레이저광을 빔스플리터에 의하여 기준빔 및 신호빔으로 분리시키고, 신호빔은 빔확장기에 의하여 신호빔의 단면을 확장시켜 출사시킨다. 공간광변조기는 빔확장기로부터 확장되어 입사된 신호빔을, PC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에 의하여 P-S편광의 픽셀로 표현된 영상신호 데이터를 가지도록 변조시킨다. 공간광변조기를 통과하여 영상신호 데이터를 갖는 신호빔은 제1 렌즈에 의하여 집광된다. 반사미러는 상기 기준빔의 광경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기준빔을 상기 신호빔에 수직한 방향에서 상기 저장물질을 향하여 진행하도록 반사시킨다. 저장물질은 P-S편광의 영상신호 데이터를 갖는 신호빔이 포커싱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수직으로 교차되면서 입사하는 기준빔과 교차하는 위치에 신호빔 및 기준빔의 편광간섭에 의하여 형성되는 밝고 어두운 영상신호데이터를 기록한다. 이리하여 공간광변조기에서 P-S편광으로 표현된 데이터를 출사시킴으로써 데이터의 기록시간이 일정하고 신속하게 기록될 수 있다.

Description

홀로그램기록장치
본 발명은 홀로그램기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간광변조기에서 P-S편광으로 표현된 데이터를 출사시킴으로써 데이터의 기록시간이 일정하고 신속하게 기로될 수 있는 홀로그램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진에 보이는 이미지(image)는 물체로부터 반사된 빛의 세기에서의 변화를 기록하는 것이다. 즉, 일반적인 사진에서는 빛이 덜 반사된 부분은 검은 영역을 형성하고 빛이 많이 반사된 부분은 밝은 영역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반면에 홀로그래피(holography)는 빛의 세기 뿐만 아니라 그것의 위상까지도 기록이 가능한 방법이다. 다시 말하면, 밝고 어두운 정보(빛의 세기)와 함께 물체로부터 반사된 빛이 만드는 파동면이 물체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보이는 정도(빛의 위상)까지도 기록이 된다는 점이 보통의 사진과 홀로그래피의 다른 특징이다. 그리고, 사진과는 다른 점으로서, 기록에 사용하는 광원이 일반 빛이 아니라 레이저광이라는 것이다.
원하는 영상을 기록할 때 홀로그래피는 물체의 완전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일종의 사진술이라고 정의내릴 수 있다. 그리고, 이 기술을 이용한 이미지의 기록물을 홀로그램(hologram)이라고 한다.
이러한 홀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장치에 관하여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로 하여 이하에 설명하겠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광원(11)으로부터 조사된 빔이 제1 미러(11)에 의하여 반사되어 빔스플리터(12)에 의하여 반사 또는 투과됨으로써 기준빔(Reference Beam) 및 신호빔(Signal Beam)의 두 빔으로 분리된다.
이 때, 상기 빔스플리터(12)에 의하여 투과된 신호빔(S)은 제2 미러(13)에 의해 반사되어 빔확장기(14)(Beam Expander)에 입사된다. 이 빔확장기(14)를 통과한 빔은 공간광변조기(15)(Spatial Light Modulator)에 입사된다. 공간광변조기(15)에는 PC(30)(Personal Computer)가 연결되어 PC(30)로부터 상이 입력되게 된다. 여기서, 빔확장기(14)를 통하여 확장되어 공간광변조기(15)로 입사된 빔은, PC(30)로부터 입력된 상의 크기와 동일하도록 설정된다.
공간광변조기(15)는 일종의 LCD(Liquid Crystal Display)로서, PC(30)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를 빛의 세기(Intensity)의 변화, 즉 밝고 어두운 픽셀(pixel)로 데이터를 표현한다. 즉, 예를 들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광변조기(15)의 상투명전극(151) 및 하투명전극(153)에 전기장이 가해지는 경우 해당 픽셀 내부의 액정이 액정표면에 평행하게 배열되고, 전기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 해당 픽셀 내부의 액정이 액정표면에 수직하게 배열된다. 따라서, 전기장이 가해지는 픽셀을 통과한 신호빔은 편광이 변환되고 전기장이 가해지지 않은 픽셀을 통과한 신호빔은 편광이 변환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각각 서로 다른 편광 데이터를 가진 빔은 편광필터(155)를 통과하게 되고, 이 빔은, 도 2(b)의 이미지(I)로 나타난 바와 같이, 편광이 변환된 픽셀은 어두운 무늬로, 편광이 변환되지 않은 픽셀은 밝은 무늬로 되어 공간광변조기(15)로부터 출사된다.
이렇게 공간광변조기(15)에 의하여 밝고 어두운 픽셀로 표현된 영상신호 데이터를 가진 빔은 평행광으로 진행하여, 제1 렌즈(16)를 통과하면서, 포커싱된다.
이 빔은 제1 렌즈(16)의 초점거리에 설치된 1㎤ 정도 크기의 크리스탈로 구성된 저장물질(20) 내에 포커싱된다.
한편, 상기 빔스플리터(12)로부터 반사된 기준빔(R)은 직진하여 상기 저장물질(20) 상부위치까지 진행한다. 이 기준빔(R)은 상기 저장물질(20)의 상부위치에 설치된 제3 반사미러(18), 예를 들면 갈바노미터(Galvano-Mirror)에 의하여 수직반사되어 상기 신호빔(S)과 직교하면서 상기 저장물질(20)에 입사된다.
이리하여,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물질(20) 내의 신호빔(S) 및 기준빔(R)이 교차하는 부분에서는 상기 신호빔이 가지고 있는 밝고 어두운 픽셀로 표현된 영상신호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이 저장물질(24)의 각 위치에 저장된 빔은 CCD(24)(Camcoder)에 의하여 재생될 수 있다.
한편, PC(30)로부터 또 다른 영상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저장물질(30) 내에 저장하기 위하여, 상기 갈바노미러(18)을 0.001°∼10°범위 내에서 회전시킴으로써 기준빔의 방향을 조금 바꾸어 준다. 이리하면 저장물질(30)의 또 다른 위치에서 신호빔(S) 및 기준빔(R)이 교차하게 되고, 이 새로운 교차위치에 상기 신호빔이 가지고 있는 밝고 어두운 픽셀로 표현된 또 다른 영상신호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추가로, 제3 렌즈(19)는 상기 갈바노미러(18)에 의하여 변하된 빔의 각 방향이 너무 크지 않도록 적절히 조절하기 위하여 적용된다.
상기 저장물질(20)의 내의 신호빔(S) 및 기준비(R)이 교차하는 부분이 보통 약 1㎟이고, 1㎜당 1,000개의 픽셀이 형성된다고 할 경우 이 교차부분 내에는 1M (1*106) 비트(bit)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크리스탈로 된 저장물질(20)의 상기 1㎠의 영역에는 108비트의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으며, 갈바노미러(18)의 회전각을 0.001°로 조정할 수 있는 경우, 약 1㎤ 크기의 크리스탈로 된 저장물질(20) 내에는 1T(1*1012) 비트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게 되며 이는 놀라운 정보 저장량이 아닐 수 없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홀로그램기록장치에 따르면, LCD로 구성되는 공간광변조기(15)의 상투명전극(151) 및 하투명전극(153)에 전기장이 가해지는지 아닌지의 여부에 따라 편광 변환 여부가 결정되게 되고, 이러한 편광 데이터를 가진 빔은 편광필터(155)를 통과하면서 밝고 어두운 무늬의 픽셀들로 표현된 데이터를 가지게 된다. 그 후 상기 저장물질(20) 내의 신호빔(S) 및 기준빔(R)이 교차하는 부분에서 상기 신호빔(S)이 가지고 있는 밝고 어두운 픽셀로 표현된 영상신호 데이터를 기록하게 되는데, 이 때 어두운 픽셀이 많은 데이터의 빔이 입력된 경우 밝은 픽셀이 많은 데이터의 빔의 경우에 비하여 저장물질 내에 기록하는 시간이 훨씬 오래 걸릴 뿐 아니라, 데이터 기록시간이 균등하지 못하여 밝은 픽셀들이라 하더라도 기록시간이 오래 걸린 픽셀의 경우 밝은 정도가 더욱 크게 되는 등 밝은 픽셀의 각 밝기가 균등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간광변조기에서 P-S편광으로 표현된 데이터를 출사시킴으로써 데이터의 기록시간이 일정하고 신속하게 기록될 수 있는 홀로그램기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레이저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레이저광을 반사 또는 투과시킴으로써 기준빔 및 신호빔의 두 빔으로 분리시키는 빔스플리터;
상기 신호빔의 광경로 상에 배치되어 입사된 신호빔의 단면을 확장시켜 출사시키기 위한 빔확장기(Beam Expander);
빔확장기로부터 확장되어 입사된 신호빔을, PC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에 의하여 P-S편광의 픽셀로 표현된 영상신호 데이터를 가지도록 변조시키는 공간광변조기(Spatial Light Modulator);
공간광변조기를 통과하여 P-S편광의 영상신호 데이터를 갖는 신호빔을 집광하는 제1 렌즈부;
상기 기준빔의 광경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기준빔을 상기 신호빔에 수직한 방향에서 상기 저장물질을 향하여 진행하도록 반사시키는 반사미러; 및
P-S편광의 영상신호 데이터를 갖는 신호빔이 포커싱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수직으로 교차되면서 입사하는 기준빔과 교차하는 위치에 신호빔 및 기준빔의 편광간섭에 의하여 형성되는 밝고 어두운 영상신호데이터를 기록하는 저장물질;
를 포함하는 홀로그램기록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의 공간광변조기(Spatial Light Modulator)는 상투명전극 및 하투명전극에 전기장이 가해지는 경우 해당 픽셀 내부의 액정이 액정표면에 평행하게 배열되고, 전기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 해당 픽셀 내부의 액정이 액정표면에 수직하게 배열됨으로써, 전기장이 가해지는 픽셀을 통과한 신호빔은 편광이 변환되고 전기장이 가해지지 않은 픽셀을 통과한 신호빔은 편광이 변환되지 않게 되어, 입사된 빔을 신호빔을 P-S편광의 픽셀로 표현된 영상신호 데이터를 포함하도록하여 출사시킨다.
이러한 본 발명의 홀로그램기록장치에 의하면, 편광필터를 제거한 공간광변조기(Spatial Light Modulator)에 의하여 신호빔을 P-S편광으로 표현된 데이터의 빔으로 출사시킴으로써 데이터의 기록시간이 일정하고 신속하게 기록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홀로그램 기록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2(a)는 종래의 홀로그램 기록장치의 공간광변조기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공간광변조기를 통과한 신호빔의 밝고 어두운 픽셀데이터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
도 3(a)는 종래의 홀로그램 기록장치의 공간광변조기를 통과한 빔이 저장물질에서 교차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이고, 도 3(b)는 저장물질에 기록된 상을 CCD화면에 재생한 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홀로그램 기록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5(a)는 본 발명의 홀로그램 기록장치의 공간광변조기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공간광변조기를 통과한 신호빔의 P-S편광의 픽셀데이터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이고, 도 5(c)는 저장물질에 기록된 상을 CCD화면에 재생한 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레이저광원 12: 빔스플리터
14: 빔확장기 15: 공간광변조기
20: 저장물질 24: CCD
30: PC 151: 상투명전극
152: 하투명전극 155: 편광필터
I, I': 출사광
150 : 편광필터를 제거한 공간광변조기
이하, 본 발명의 홀로그램 기록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및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광원(11)으로부터 조사된 빔이 제1 미러(11)에 의하여 반사되어 빔스플리터(12)에 의하여 반사 또는 투과됨으로써 기준빔(Reference Beam) 및 신호빔(Signal Beam)의 두 빔으로 분리된다.
이 때, 상기 빔스플리터(12)에 의하여 투과된 신호빔(S)은 제2 미러(13)에 의해 반사되어 빔확장기(14)(Beam Expander)에 입사된다. 이 빔확장기(14)를 통과한 빔은 공간광변조기(15)(Spatial Light Modulator)에 입사된다. 공간광변조기(15)에는 PC(30)(Personal Computer)가 연결되어 PC(30)로부터 상이 입력되게 된다. 여기서, 빔확장기(14)를 통하여 확장되어 공간광변조기(15)로 입사된 빔은, PC(30)로부터 입력된 상의 크기와 동일하도록 설정된다.
공간광변조기(15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종의 LCD(Liquid Crystal Display)로서 배면의 편광필터를 제거한 데 특징이 있다. 이러한 공간광변조기(15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30)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를 P-S 편광의 픽셀(pixel)들로 데이터를 표현한다. 상기의 공간광변조기(150)(Spatial Light Modulator)는 상투명전극(151) 및 하투명전극(153)에 전기장이 가해지는 경우 해당 픽셀 내부의 액정이 액정표면에 평행하게 배열되고, 전기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 해당 픽셀 내부의 액정이 액정표면에 수직하게 배열됨으로써, 전기장이 가해지는 픽셀을 통과한 신호빔은 편광이 변환되고 전기장이 가해지지 않은 픽셀을 통과한 신호빔은 편광이 변환되지 않게 된다. 이리하여, 공간광변조기(150)(Spatial Light Modulator)는 도 4(a)의 이미지(I')로 나타난 바와 같이 입사된 신호빔을 P-S편광의 픽셀로 표현된 영상신호 데이터를 포함하도록하여 출사시킨다.
이렇게 공간광변조기(150)에 의하여 P-S편광의 픽셀로 표현된 영상신호 데이터를 가진 빔은 평행광으로 진행하여, 제1 렌즈(16)를 통과하면서, 포커싱된다.
이 빔은 제1 렌즈(16)의 초점거리에 설치된 1㎤ 정도 크기의 크리스탈로 구성된 저장물질(20) 내에 포커싱된다.
한편, 상기 빔스플리터(12)로부터 반사된 기준빔(R)은 편광의 변환없이, 예를들면 그대로 P편광을 유지하면서 직진하여 상기 저장물질(20) 상부위치까지 진행한다. 이 기준빔(R)은 상기 저장물질(20)의 상부위치에 설치된 반사미러(42)에 의하여 수직반사된다. 이 수직 반사된 기준빔(R)은 상기 저장물질(20) 내의 신호빔(S) 및 기준빔(R)이 교차하는 부분에서는 상기 신호빔이 가지고 있는 밝고 어두운 픽셀로 표현된 영상신호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즉, 편광필터와 마찬가지로, 신호빔의 편광과 기준빔의 편광이 같은 경우에는 밝게 되고, 신호빔의 편광과 기준빔의 편광이 다른 경우에는 어둡게 된다.
이 저장물질(24)의 각 위치에 저장된 빔은 CCD(24)(Camcoder)에 의하여 재생될 수 있다.
한편, PC(30)로부터 또 다른 영상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저장물질(30) 내에 저장하기 위하여, 상기 갈바노미러(18)을 0.001°∼10°범위 내에서 회전시킴으로써 기준빔의 방향을 조금 바꾸어 준다. 이리하면 저장물질(30)의 또 다른 위치에서 신호빔(S) 및 기준빔(R)이 교차하게 되고, 이 새로운 교차위치에 상기 신호빔이 가지고 있는 밝고 어두운 픽셀로 표현된 또 다른 영상신호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추가로, 제3 렌즈(19)는 상기 갈바노미러(18)에 의하여 변하된 빔의 각 방향이 너무 크지 않도록 적절히 조절하기 위하여 적용된다.
상기 저장물질(20)의 내의 신호빔(S) 및 기준비(R)이 교차하는 부분이 보통 약 1㎟이고, 1㎜당 1,000개의 픽셀이 형성된다고 할 경우 이 교차부분 내에는 1M (1*106) 비트(bit)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크리스탈로 된 저장물질(20)의 상기 1㎠의 영역에는 108비트의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으며, 갈바노미러(18)의 회전각을 0.001°로 조정할 수 있는 경우, 약 1㎤ 크기의 크리스탈로 된 저장물질(20) 내에는 1T(1*1012) 비트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게 되며 이는 놀라운 정보 저장량이 아닐 수 없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본 발명의 홀로그램기록장치에 의하면, 편광필터를 제거한 공간광변조기(Spatial Light Modulator)에 의하여 신호빔을 P-S편광으로 표현된 데이터의 빔으로 출사시킴으로써 데이터의 기록시간이 일정하고 신속하게 기록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레이저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레이저광을 반사 또는 투과시킴으로써 기준빔 및 신호빔의 두 빔으로 분리시키는 빔스플리터;
    상기 신호빔의 광경로 상에 배치되어 입사된 신호빔의 단면을 확장시켜 출사시키기 위한 빔확장기(Beam Expander);
    빔확장기로부터 확장되어 입사된 신호빔을, PC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에 의하여 P-S편광의 픽셀로 표현된 영상신호 데이터를 가지도록 변조시키는 공간광변조기(Spatial Light Modulator);
    공간광변조기를 통과하여 P-S편광의 영상신호 데이터를 갖는 신호빔을 집광하는 제1 렌즈부;
    상기 기준빔의 광경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기준빔을 상기 신호빔에 수직한 방향에서 상기 저장물질을 향하여 진행하도록 반사시키는 반사미러; 및
    P-S편광의 영상신호 데이터를 갖는 신호빔이 포커싱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수직으로 교차되면서 입사하는 기준빔과 교차하는 위치에 신호빔 및 기준빔의 편광간섭에 의하여 형성되는 밝고 어두운 영상신호데이터를 기록하는 저장물질;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기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공간광변조기(Spatial Light Modulator)는 상투명전극 및 하투명전극에 전기장이 가해지는 경우 해당 픽셀 내부의 액정이 액정표면에 평행하게 배열되고, 전기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 해당 픽셀 내부의 액정이 액정표면에 수직하게 배열됨으로써, 전기장이 가해지는 픽셀을 통과한 신호빔은 편광이 변환되고 전기장이 가해지지 않은 픽셀을 통과한 신호빔은 편광이 변환되지 않게 되어, 입사된 빔을 신호빔을 P-S편광의 픽셀로 표현된 영상신호 데이터를 포함하도록하여 출사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기록장치.
KR1019980059696A 1998-12-28 1998-12-28 홀로그램기록장치 KR100301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9696A KR100301437B1 (ko) 1998-12-28 1998-12-28 홀로그램기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9696A KR100301437B1 (ko) 1998-12-28 1998-12-28 홀로그램기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3343A true KR20000043343A (ko) 2000-07-15
KR100301437B1 KR100301437B1 (ko) 2001-10-29

Family

ID=19566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9696A KR100301437B1 (ko) 1998-12-28 1998-12-28 홀로그램기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14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1840B1 (ko) * 2004-04-21 2006-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홀로그래픽 정보의 기록/재생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1840B1 (ko) * 2004-04-21 2006-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홀로그래픽 정보의 기록/재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1437B1 (ko) 2001-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9116B2 (en) Holographic digital data storage system compatible with holographic and reflective medium
US5296958A (en) Multiple wavelength laser beam scanning system
KR101605219B1 (ko) 광 제어 장치 및 광 제어 방법
KR101577096B1 (ko) 광 제어 장치 및 광 제어 방법
JP2000285457A (ja) 体積ホログラフィックメモリ光情報記録再生装置
JPH03109591A (ja) レーザ表示装置
KR920700511A (ko) 광학투영 시스템
JPH0436742A (ja) オーバヘッドプロジェクタ
JP4464751B2 (ja) 立体画像表示装置及び立体画像表示システム
JPH06202575A (ja) ホログラフィックディスプレイ
KR20000043343A (ko) 홀로그램기록장치
KR100281766B1 (ko) 홀로그램기록장치
JP6614635B2 (ja) ホログラム記録制御装置
US6900914B1 (e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volume holographic memory
KR100421870B1 (ko) 투사형 표시 장치
JPS6227784A (ja) ホログラフイ−における光学的四波混合方法
JP2000284676A (ja) 体積ホログラフィックメモリ光情報記録再生装置
KR100275277B1 (ko) 전반사를 이용한 볼륨 홀로그래픽 디지탈 저장 시스템
JP2000259068A (ja) 空間光変調装置及びホログラフィー装置
JP5391480B2 (ja) 複数波長光による画像記録再生装置
KR100275275B1 (ko) 전반사를 이용한 볼륨 홀로그래픽 디지탈 저장 시스템
US5381188A (en) Light to light modulator with reading light of specified wavelength
KR100310775B1 (ko) 전반사를이용한볼륨홀로그래픽디지탈저장시스템
KR100275278B1 (ko) 볼륨 홀로그래픽 디지탈 저장 시스템
KR100278067B1 (ko) 볼륨홀로그래픽디지탈저장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