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2810A - 셋탑박스를 이용한 휴대용 무선단말기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셋탑박스를 이용한 휴대용 무선단말기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2810A
KR20000042810A KR1019980059092A KR19980059092A KR20000042810A KR 20000042810 A KR20000042810 A KR 20000042810A KR 1019980059092 A KR1019980059092 A KR 1019980059092A KR 19980059092 A KR19980059092 A KR 19980059092A KR 20000042810 A KR20000042810 A KR 20000042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box
wireless terminal
portable wireless
call
set 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9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59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42810A/ko
Publication of KR20000042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281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04M1/6066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including a wireless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셋탑박스 리모콘에 통화를 위한 키 및 무선마이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셋탑박스에 무선마이크 수신부가 내장되어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서 상기 셋탑박스와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접속하고 있는 상태에서, 셋탑박스를 이용한 휴대용 무선단말기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셋탑박스 고유기능을 수행중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통해 호가 수신되면 상기 셋탑박스에 연결된 외부출력장치의 스피커로 링을 송출하는 제1과정과, 사용자가 상기 리모콘을 이용해 통화수신 요구를 하게 되면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통해 상대방과 통화를 형성시키는 제2과정과, 상기 셋탑박스 고유기능을 수행중 리모콘에 구비된 키를 이용한 사용자의 통화요구 및 상대방 전화번호 입력에 의거하여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통해 상대방과 통화를 형성시키는 제3과정과, 상기 제2과정 및 제3과정의 통화형성 상태에서 상기 리모콘 무선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로 전달하고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대방의 음성을 상기 외부출력장치의 스피커로 송출되게 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셋탑박스를 이용한 휴대용 무선단말기 제어방법
본 발명은 주문형 비디오(Video On Demand: 이하 "VOD"라 칭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셋탑박스(STB: Set Top Box, 셋탑유닛(STU: Set Top Unit)이라고도 함)를 이용한 핸드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2의 표준화작업이 절정을 넘긴 뒤 세계의 관심은 MPEG 2의 응용 서비스를 실현하는 쪽으로 일제히 움직이기 시작하였다. 특히 MPEG 2와 컴퓨터 네트워크를 조합해서 사용자가 요구하는 프로그램을 원하는 시간에 네트워크를 통해 볼 수 있는 VOD 서비스의 실용화 실험이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MPEG 2의 응용 서비스를 실현을 위한 움직임은 기술적인 면뿐만 아니라 VOD시스템을 토대로 주문형 영화, 원격 쇼핑, 네트워크 게임, 주문형 뉴스, 원격 교육 등의 응용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고 필드에서의 실험도 본격화되고 있다. 1993년경부터 급속히 일고 있는 이와 같은 움직임을 배경으로 1994년 3월 DAVIC(Digital Audio Visual Council)이 설립되어 현재 VOD 등 쌍방향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표준화 활동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VOD서비스는 가입자가 정해진 프로그램표에 의해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언제라도 보고 싶을 때 원하는 프로그램을 볼 수 있도록 한 서비스이다. 가입자가 VOD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대표적인 대상으로는 영화를 들수 있지만 그 밖에 최근 방영된 TV프로그램, 교육 프로그램, 스포츠 등도 있다. VOD서비스에는 영상 정보의 생산자인 컨텐츠(contents) 제공자, 정보 제공자, 그 정보의 소비자(가입자)인 최종 사용자, 그리고 그 사이의 정보 배급을 담당하는 네트워크 제공자가 존재한다.
VOD시스템의 특징적인 3요소로는 도 1에 도시된 VOD시스템 구성의 일예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응용서버(6), 네트워크(8), 및 셋탑박스(10)로 이루어진다. 컨텐츠 제공자(contents provider)에 의해 제공된 컨텐츠(예컨대, 비디오 테이프) (2)에 있는 각종 영상정보는 입력서버(4)에 의해 응용서버(6)로 제공된다. 응용서버(6)는 영상 정보와 상기 영상 정보를 제어하는 응용 소프트웨어를 일괄적으로 저장하여 최종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선택적으로 최종 사용자 기기(셋탑박스, 옥내수신장치)로 전송한다. 상기 응용서버(6)는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가상의 영화관이나 백화점 어뮤즈먼트 센터 정도로 상상하면 이해에 도움이 될 것이다. 네트워크(8)는 본격적인 영상 정보배급에의 응용을 위해 수 Mbps단위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광대역 네트워크로 구성되어야 한다. 특히 액세스네트워크에서는 광섬유, 동축, 나선형 페어케이블(전화선), 위성 등 다양한 전달매체가 적용될 수 있다. 셋탑박스(10)는 최종 사용자 가정에 설치되어 광대역 전송로의 종착역 역할을 하면서 응용서버 6의 디지털 정보를 해독하여 TV(TeleVision) 등에 표시하거나 여러 가지 응용을 실행한다. 또한 리모콘 등을 이용한 최종 사용자의 요구를 응용서버(6)에 전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 사용자 가정에 설치된 셋탑박스(10)가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네트워크를 채용한 셋탑박스라면, 상기 셋탑박스(10)는 ATM셀 데이터를 변복조하는 초고속 모뎀기능의 네트워크인터페이스부(Network Interface Unit)와, 상기 네트워크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들어오는 데이터를 메인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최종 가입자가 시청하는 TV(television) 등과 같은 외부기기로 영상 및 오디오를 제공하기 위해 MPEG디코더 및 영상 및 오디오 출력부 등을 포함하고 있다.
셋탑박스를 이용해 사용자가 영화나 최근 방영된 TV프로그램, 교육 프로그램, 스포츠 등을 시청할 경우에는 시청 선택을 위해 통상 셋탑박스에 구비된 전면부 제어판이나 리모콘을 사용한다.
최근에 디지털방송이 세계적인 추세이며 특히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하는 가정내 단말기로서 상기와 같은 셋탑박스가 부상하고 있다. 셋탑박스의 기능은 디지털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받아 TV를 통해 서비스하거나 셋탑박스와 연결되어 있는 PC(Personal Computer)로 하여금 인터넷 서비스를 가능토록 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대표적인 예가 디지털 케이블TV, VOD등이다. 또한 셋탑박스의 기능은 PC의 기능들을 거의 모두 가지고 있는데, 일예를 들면 TV화면 출력, 리모콘이나 무선 키보드를 이용한 입력, 인터넷 서비스 등 당야한 외부 입출력장치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최근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대표적인 일예인 휴대폰에 대해서는 가격력 및 성능면에서 우수하여 많은 가입자들을 확보하고 있으며, 그 종류도 CDMA, GSM, 셀룰라, PCS 등 다양하다. 또한 기본적인 통화기능외에도 문자서비스 및 정보서비스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수행한다.
이렇게 셋탑박스 및 휴대용 무선단말기가 많이 보편화되고 있는데, 만일 가정에서 휴대용 무선단말기와 셋탑박스와의 상호 데이터 전송을 하도록 구현한다면 그 사용자에게 유익을 줄 뿐만 아니라 편리함도 제공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셋탑박스를 이용한 휴대용 무선단말기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셋탑박스를 이용해 기존 셋탑박스 고유의 서비스를 받으면서 동시에 셋탑박스에 연결되어 있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와 통신하며, TV스피커와 무선마이크가 내장된 리모콘을 이용해 전화통화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셋탑박스를 이용해 기존 셋탑박스 고유의 서비스를 받으면서 동시에 셋탑박스에 연결되어 있는 휴대용 무선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문자서비스정보도 TV화면을 통해 볼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셋탑박스 리모콘에 통화를 위한 키 및 무선마이크가 설치되며, 상기 셋탑박스에 무선마이크 수신부가 내장된 셋탑박스를 이용한 휴대용 무선단말기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셋탑박스와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접속하고 인터페이스되게 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 접속상태에서 셋탑박스 고유기능을 수행중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통해 호가 수신되면 상기 셋탑박스에 연결된 외부출력장치의 스피커로 링을 송출하는 과정과, 사용자가 상기 리모콘을 이용해 통화수신 요구를 하게 되면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통해 상대방과 통화를 형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통화형성 상태에서 상기 리모콘 무선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로 전달하고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대방의 음성을 상기 외부출력장치의 스피커로 송출되게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셋탑박스 리모콘에 통화를 위한 키 및 무선마이크가 설치되며, 상기 셋탑박스에 무선마이크 수신부가 내장된 셋탑박스를 이용한 휴대용 무선단말기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셋탑박스와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접속하고 인터페이스되게 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 접속상태에서 셋탑박스 고유기능을 수행중 리모콘에 구비된 키를 이용한 사용자의 통화요구 및 상대방 전화번호 입력에 의거하여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통해 상대방과 통화를 형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통화형성 상태에서 상기 리모콘 무선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로 전달하고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대방의 음성을 상기 외부출력장치의 스피커로 송출되게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VOD시스템 구성의 일예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2의 셋탑박스(20)에서의 수신동작 제어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2의 셋탑박스(20)에서의 송신동작 제어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로서, 셋탑박스(20)와 휴대용 무선단말기(22)가 연결되어 있는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셋탑박스(20)에서는 셋탑박스의 고유기능 및 셋탑박스의 리모콘 및 TV스피커를 통해 상대방 휴대용 무선단말기 사용자와 통화할 수 있도록 서비스한다. 도 2와 같이 셋탑박스(20)와 휴대용 무선단말기(22)가 연결되었을 때, 상기 셋탑박스(20)는 마스터(master)로 동작하고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22)는 슬레이브(slave)로 동작한다.
도 2의 셋탑박스(20)에서, CPU(24), 메모리(26), MPEG디코더(30), 비디오 오버레이(video overlay: 32), 비디오출력부(34), 오디오출력부(36), 리모콘 수신부(38)는 일반적인 셋탑박스의 구성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새롭게 추가된 구성은 무선마이크수신부(42)와 연결부2(40)이다.
CPU(24)는 셋탑박스(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무선단말기 통화서비스 기능을 수행한다. 메모리(26)는 프로그램 롬(ROM: Read Only Memory)과 램(RAM: Random Access Memory)으로 구성된다. 롬(ROM)에는 CPU(24)의 각종 제어 프로그램이 맵핑되어 있다. 램(RAM)에는 CPU(24)의 제어 하에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8)는 전화라인 혹은 광케이블과 같은 전달매체를 통해 네트워크와 접속되며, 네트워크와 MPEG디코더(30) 사이에서 송수신 인터페이싱을 수행한다. MPEG디코더(30)는 시스템버스를 통해 CPU(24)에 의해 제어되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8)를 통해 인가되는 MPEG데이터스트림을 디코딩하여 오디오데이터 및 비디오데이터로 출력한다. 비디오 오버레이부(32)는 아날로그영상데이터와 디지털 그래픽 데이터 등을 오버레이시켜서 동영상 서비스중에도 문자나 그래픽을 TV화면에 함께 디스플레이되도록 해준다. 비디오 출력부(34)는 MPEG디코더(30)에서 처리된 디지털 형태의 비디오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하여 외부장치인 TV(46)의 모니터에 출력한다. 그리고 오디오출력부(36)는 MPEG디코더(30)에서 처리된 디지털 오디오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하고 이를 증폭하여 외부장치인 TV(42)의 스피커로 출력한다. 리모콘 수신부(38)는 사용자의 리모콘 키 선택에 의거해 리모콘(REMOCON: REMOte CONtroller)(44)에서 송출된 적외선신호를 수신하여 CPU(24)로 출력한다. 키입력부(39)는 셋탑박스(20)의 전면부 제어판으로서 상기 전면부 제어판에 구비된 키의 눌림에 따른 키데이터를 CPU(24)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셋탑박스(20)의 리모콘(44)는 통화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무선마이크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전화수신을 위한 전화수신키 및 발신을 위한 발신키, 통화종료를 위한 통화종료키 등을 구비하고 있다. 셋탑박스(20)와 통화패스 형성되었을 경우 리모콘 사용자의 음성은 리모콘(44)에 내장된 무선마이크를 통하여 셋탑박스(20)에 내장된 무선마이크수신부(42)로 전송된다. 상기 무선마이크는 리모콘 사용자의 음성을 소정 RF주파수 대역으로 변조하여 무선마이크수신부(42)로 전송한다.
셋탑박스(20)에 내장된 무선마이크 수신부(42)는 리모콘(44)에 내장된 무선마이크(44)로부터 전송된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복조하고, CPU(24)의 제어 하에 휴대용 무선단말기(22)로 전송한다.
휴대용 무선단말기(22)와 셋탑박스(20)는 내장된 연결부1,2(50,40)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상기 연결부1,2(50,40)간은 데이터케이블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1,2(50,40)간의 접속은 예컨대,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버스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2의 셋탑박스(20)에서의 수신동작 제어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2의 셋탑박스(20)에서의 송신동작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셋탑박스(20)를 이용해 기존 셋탑박스 고유의 서비스를 받으면서 동시에 셋탑박스(20)에 연결되어 있는 휴대용 무선단말기(22)와 통신하며, TV(46)의 스피커와 무선마이크가 내장된 리모콘(44)을 이용해 전화통화를 하고, 또한 휴대용 무선단말기(22)로부터 수신되는 문자서비스정보도 TV(46)의 모니터를 통해 볼 수 있는 동작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휴대용 무선단말기(22)를 셋탑박스(40)에 연결을 하게 되면, 셋탑박스(20)의 CPU(24)는 도 3의 수신기능 또는 도 4의 송신기능을 수행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셋탑박스(20)에서의 수신기능에 관한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셋탑박스(20)에서는 통상 셋탑박스 고유기능인 D-CATV기능을 받는다. 네트워크인터페이스부(28)를 통해 데이터가 수신되면 CPU(24)는 이를 도 3의 100단계에서 인식하고, 102단계로 진행하여 셋탑박스 고유기능을 수행한다. 네트워크인터페이스부(28)를 통해 MPEG2 동영상디지털데이터가 수신되면 MPEG디코더(30)로 전달되고, MPEG디코더(30)에서는 MPEG디코딩을 수행하여 비디오신호는 비디오 오버레이부(32)로, 오디오신호는 오디오출력부(36)로 전달한다. 오디오출력부(36)에서는 오디오신호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하고 이를 증폭하여 외부장치인 TV(42)의 스피커로 출력한다. 비디오 오버레이부(32)로 입력된 비디오신호는 CPU(24)로부터 요구되는 다양한 문자정보나 그래픽데이터를 합하여 비디오출력부(34)로 전달되고, 비디오 출력부(34)에서는 비디오신호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하여 외부장치인 TV(46)의 모니터에 출력한다. 사용자가 키입력부(39) 또는 리모콘(44)을 이용해 채널을 변경하면 CPU(24)의 제어하에 채녈정보가 네트워크인터페이스부(28)를 통해 서비스 네트워크(도 1의 8)로 전달되고, 서비스 네트워크로부터는 해당채널에 맞는 동영상이 상기 네트워크인터페이스부(28)를 통해 다시 내려오게 된다.
한편 휴대용 무선단말기(22)로 호가 수신되면, 휴대용 무선단말기(22)는 연결부1,2(50,40)를 통해 셋탑박스(20)의 CPU(24)로 링정보를 전달한다. CPU(24)는 도 3의 104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106단계로 진행하여 오디오출력부(36)를 통해 TV(46)로 링 명령을 전달해서 TV(46)의 스피커로 링음이 출력되게 한다.
이때 사용자는 전화를 받기 위해, 셋탑박스(20)의 리모콘(44)에 구비된 전화수신키를 누르게 되는데, 상기 전화수신키가 리모콘수신부(38)를 통해 인가되면 CPU(24)는 이를 108단계에서 인식하고, 110단계로 진행하여 전화 받으라는 의미의 전화수신요구정보를 휴대용 무선단말기(22)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휴대용 무선단말기(22)에서는 통화를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전화수신요구정보를 휴대용 무선단말기(22)로 전달한 CPU(24)는 그후 112단계로 진행하여 통화패스를 형성시킨다. 통화패스가 형성되면, 사용자는 리모콘(44)에 내장된 무선마이크를 통해 상대방측으로 말을 하게 되고, 그에 따른 음성데이터는 무선마이크수신부(42), 연결부2,1(40,50)를 통해 휴대용 무선단말기(22)로 전달된다. 휴대용 무선단말기(22)는 전달된 음성데이터를 변조하여 무선송출하게 된다. 휴대용 무선단말기(22)로 수신된 상대방 음성데이터는 연결부1,2(50,40)를 통해 오디오출력부(36)를 통해 TV(46)의 스피커로 전달되므로, 사용자는 상대방의 음성을 들을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통화가 이루어지고 사용자나 상대방이 전화를 끊게 되면, CPU(24)는 통화종료를 도 3의 114단계에서 인식을 하고 116단계로 진행한다. 사용자가 전화를 끊는 방법은 리모콘(44)에 구비된 통화종료키를 누르는 것이다. 상기 116단계에서 CPU(24)는 셋탑박스의 고유의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와 상대방이 통화중일 경우에도 셋탑박스의 고유의 기능을 그대로 수행되는데, 이때에는 MPEG디코더(30)에서 오디오출력부(36)로 전달되는 오디오신호는 차단된다. 그러므로 사용자와 상대방이 통화중일 경우에는 TV(46)의 모니터에는 동영상이 그대로 디스플레이되고 있지만 동영상과 함께 제공되는 음성은 TV(46)의 스피커로 전달되지 않는다.
또다른 한편 휴대용 무선단말기(22)로 문자서비스정보가 수신되면, 휴대용 무선단말기(22)는 연결부1,2(50,40)를 통해 셋탑박스(20)의 CPU(24)로 문자서비스정보 수신을 알리고, CPU(24)는 이를 118단계에서 인식하고, 120단계로 진행한다. 120단계에서 CPU(24)는 비디오 오버레이부(32)를 제어하여 현재 출력되는 있는 영상의 하단에 휴대용 무선단말기(22)로 수신된 문자서비스정보를 오버레이시키게 하고, TV(46)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게 한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TV(46)의 모니터를 통해서 문자서비스정보를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셋탑박스(20)에서 사용자가 전화를 거는 경우의 동작을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사용자가 리모콘(44)에 구비된 전화발신키와 전화번호에 대응된 숫자키를 누르면, 전화발신키 및 숫자키의 데이터는 리모콘수신부(38)를 통해 CPU(24)로 전달되고, CPU(24)는 이를 도 4의 200단계에서 인식을 하고 202단계로 진행한다. 202단계에서 CPU(24)는 현 TV(46)에 발신용 전화번호를 디스플레이하게 제어를 하고, 또한 휴대용 무선단말기(22)로 수신된 숫자키 및 발신명령을 하게 된다.
휴대용 무선단말기(22)는 이에 응답하여 상대방측으로 전화번호에 대응된 호를 무선 송출한다. 상대방측이 전화를 받게 되면 통화가 형성된다.
도 4의 202단계를 수행한 셋탑박스(20)의 CPU(24)는 204단계에서 통화패스를 형성시킨다. 통화패스가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는 리모콘(44)에 내장된 무선마이크를 통해 상대방측으로 말을 하게 되고, 그에 따른 음성데이터는 무선마이크수신부(42), 연결부2,1(40,50)을 통해 휴대용 무선단말기(22)로 전달된다. 휴대용 무선단말기(22)는 전달된 음성데이터를 변조하여 무선송출하게 된다. 휴대용 무선단말기(22)로 수신된 상대방 음성데이터는 연결부1,2(50,40)를 통해 오디오출력부(36)를 통해 TV(46)의 스피커로 전달되므로, 사용자는 상대방의 음성을 들을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통화가 이루어지고 사용자나 상대방이 전화를 끊게 되면, CPU(24)는 통화종료를 도 4의 206단계에서 인식을 하고 208단계로 진행한다. 사용자가 전화를 끊는 방법은 리모콘(44)에 구비된 통화종료키를 누르는 것이다. 상기 208단계에서 CPU(24)는 셋탑박스의 고유의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와 상대방이 통화중일 경우에도 셋탑박스의 고유의 기능을 그대로 수행되는데, 이때에는 MPEG디코더(30)에서 오디오출력부(36)로 전달되는 오디오신호는 차단된다. 그러므로 사용자와 상대방이 통화중일 경우에는 TV(46)의 모니터에는 동영상이 그대로 디스플레이되고 있지만 동영상과 함께 제공되는 음성은 TV(46)의 스피커로 전달되지 않는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셋탑박스를 이용해 기존 셋탑박스 고유의 서비스를 받으면서 동시에 셋탑박스에 연결되어 있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와 통신하며, TV스피커와 무선마이크가 내장된 리모콘을 이용해 전화통화를 할 수 있다. 또한 셋탑박스를 이용해 기존 셋탑박스 고유의 서비스를 받으면서 동시에 셋탑박스에 연결되어 있는 휴대용 무선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문자서비스정보도 TV화면을 통해 볼 수 있다.

Claims (8)

  1. 셋탑박스 리모콘에 통화를 위한 키 및 무선마이크가 설치되며, 상기 셋탑박스에 무선마이크 수신부가 내장된 셋탑박스를 이용한 휴대용 무선단말기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셋탑박스와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접속하고 인터페이스되게 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 접속상태에서 셋탑박스 고유기능을 수행중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통해 호가 수신되면 상기 셋탑박스에 연결된 외부출력장치의 스피커로 링을 송출하는 과정과,
    사용자가 상기 리모콘을 이용해 통화수신 요구를 하게 되면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통해 상대방과 통화를 형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통화형성 상태에서 상기 리모콘 무선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로 전달하고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대방의 음성을 상기 외부출력장치의 스피커로 송출되게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 접속상태에서 셋탑박스 고유기능을 수행중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통해 문자서비스정보가 수신되면 현재 출력되고 셋탑박스 서비스 동영상에 상기 문자서비스정보를 오버레이시키는 과정과,
    오버레이된 동영상 및 문자서비스정보를 상기 외부출력장치의 모니터로 디스플레이시키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방과의 통화형성 상태에서는 셋탑박스 고유기능에 따른 음성출력이 상기 외부출력장치의 스피커로 송출되지 않게 제어함을 특징으로 휴대용 무선단말기 제어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출력장치는 텔레비젼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 제어방법.
  5. 셋탑박스 리모콘에 통화를 위한 키 및 무선마이크가 설치되며, 상기 셋탑박스에 무선마이크 수신부가 내장된 셋탑박스를 이용한 휴대용 무선단말기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셋탑박스와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접속하고 인터페이스되게 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 접속상태에서 셋탑박스 고유기능을 수행중 리모콘에 구비된 키를 이용한 사용자의 통화요구 및 상대방 전화번호 입력에 의거하여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통해 상대방과 통화를 형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통화형성 상태에서 상기 리모콘 무선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로 전달하고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대방의 음성을 상기 외부출력장치의 스피커로 송출되게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를 현재 출력되고 셋탑박스 서비스 동영상에 오버레이시켜서 상기 외부출력장치의 모니터로 디스플레이시키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 제어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방과의 통화형성 상태에서는 셋탑박스 고유기능에 따른 음성출력이 상기 외부출력장치의 스피커로 송출되지 않게 제어함을 특징으로 휴대용 무선단말기 제어방법.
  8. 셋탑박스 리모콘에 통화를 위한 키 및 무선마이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셋탑박스에 무선마이크 수신부가 내장되어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서 상기 셋탑박스와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접속하고 있는 상태에서, 셋탑박스를 이용한 휴대용 무선단말기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셋탑박스 고유기능을 수행중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통해 호가 수신되면 상기 셋탑박스에 연결된 외부출력장치의 스피커로 링을 송출하는 제1과정과,
    사용자가 상기 리모콘을 이용해 통화수신 요구를 하게 되면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통해 상대방과 통화를 형성시키는 제2과정과,
    상기 셋탑박스 고유기능을 수행중 리모콘에 구비된 키를 이용한 사용자의 통화요구 및 상대방 전화번호 입력에 의거하여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통해 상대방과 통화를 형성시키는 제3과정과,
    상기 제2과정 및 제3과정의 통화형성 상태에서 상기 리모콘 무선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로 전달하고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대방의 음성을 상기 외부출력장치의 스피커로 송출되게 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 제어방법.
KR1019980059092A 1998-12-26 1998-12-26 셋탑박스를 이용한 휴대용 무선단말기 제어방법 KR200000428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9092A KR20000042810A (ko) 1998-12-26 1998-12-26 셋탑박스를 이용한 휴대용 무선단말기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9092A KR20000042810A (ko) 1998-12-26 1998-12-26 셋탑박스를 이용한 휴대용 무선단말기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2810A true KR20000042810A (ko) 2000-07-15

Family

ID=19566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9092A KR20000042810A (ko) 1998-12-26 1998-12-26 셋탑박스를 이용한 휴대용 무선단말기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4281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9355A (ko) * 1999-12-16 2000-08-05 김영민 마이크와 스피커가 내장된 인터넷 장치의 무선 리모콘 및그 제어방법
KR101051382B1 (ko) * 2004-08-16 2011-07-2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티브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11563A1 (en) * 1993-10-22 1995-04-27 Sasktel Apparatus for television display of telephone audio and data dialogue
JPH09191337A (ja) * 1995-09-29 1997-07-22 Philips Electron Nv 電話システム及び電話システムの特定周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11563A1 (en) * 1993-10-22 1995-04-27 Sasktel Apparatus for television display of telephone audio and data dialogue
JPH09191337A (ja) * 1995-09-29 1997-07-22 Philips Electron Nv 電話システム及び電話システムの特定周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9355A (ko) * 1999-12-16 2000-08-05 김영민 마이크와 스피커가 내장된 인터넷 장치의 무선 리모콘 및그 제어방법
KR101051382B1 (ko) * 2004-08-16 2011-07-2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티브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96594B2 (ja) 複数の顧客にディジタル・サービスを提供する装置および方法
US7302224B2 (en) Communication system for rebroadcasting electronic content within local area network
KR20050059268A (ko) 근접하게 위치한 디바이스의 그래픽 표시
KR10070337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10034229A (ko) 채널 조정 방법 및 장치
KR100273755B1 (ko) 셋탑박스에서 예약시청을 위한 제어방법
KR100886143B1 (ko) 방송 콘텐츠 제어방법 및 시스템
KR100228487B1 (ko) 페이저기능 내장 셋탑박스 및 그 제어방법
KR20000042810A (ko) 셋탑박스를 이용한 휴대용 무선단말기 제어방법
US7831726B2 (en) MPEG-4 remote communication device
KR20060068142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양방향 텔레비젼 포털 서비스시스템
KR20020072895A (ko) 셋톱 박스를 이용한 텔레비젼 화상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246760B1 (ko) 전자오락게임기능내장셋탑박스
KR100251965B1 (ko) 셋탑박스에서 텔레비젼의 화면비 검출 및 셋팅방법
KR19990048431A (ko) 모뎀이 내장된 셋탑박스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장치
JP2002344926A (ja) 放送データ配信装置、放送データ配信・受信装置、ビデオサーバーの放送データ配信方法、及び放送データ配信・受信方法
KR100228488B1 (ko) 주문형비디오시스템
KR20030073332A (ko) 다중 원격 제어기
KR100334681B1 (ko) 휴대형 단말기의 주문형 비디오 디스플레이 버퍼
KR100690931B1 (ko) 유무선 디지털 방송 서비스 시스템
KR20030089772A (ko) 에어 보드의 제어 선택 장치
KR20060068350A (ko)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60057084A (ko) 텔레비젼용 영상신호의 수신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JP2007124229A (ja) 携帯端末及びデジタル放送信号処理方法
KR19990018356A (ko) 인트로우 비디오 기능 구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