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1988A - 마우스의 진동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마우스의 진동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1988A
KR20000041988A KR1019980058027A KR19980058027A KR20000041988A KR 20000041988 A KR20000041988 A KR 20000041988A KR 1019980058027 A KR1019980058027 A KR 1019980058027A KR 19980058027 A KR19980058027 A KR 19980058027A KR 20000041988 A KR20000041988 A KR 20000041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se
movement
dimensional vector
program
gene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8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문일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80058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41988A/ko
Publication of KR20000041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198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8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responding to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the game device for affecting ambient conditions, e.g. for vibrating players' seats, activating scent dispensers or affecting temperature or light
    • A63F13/285Generating tactile feedback signals via the game input device, e.g. force feed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게임의 진행중 게임 프로그램의 조작대상의 움직임에 따른 신호를 컴퓨터에서 발생시키면 이에 따라 마우스에 구비되어 있는 진동자가 그에 대응하여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게임 프로그램의 조작대상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마우스의 움직임에 따라 사용자가 게임 프로그램의 생동감을 느낄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마우스의 진동 제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컴퓨터 내부에서 게임 프로그램의 운영동작중 해당 프로그램의 조작 대상의 움직임에 따른 3차원 벡터 데이터를 검출하여 발생시키는 제 1 단계와, 제 1 단계에서 발생되는 조작 대상의 움직임에 따른 3차원 벡터 데이터를 특정 패킷의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마우스 측으로 전달하는 제 2 단계와, 제 2 단계를 통해 전달받은 특정 패킷의 직렬 데이터에서 상기 제 1 단계를 통해 발생되어진 조작 대상의 움직임에 따른 3차원 벡터 데이터를 검출하는 제 3 단계, 및 제 3 단계를 통해 검출되어진 3차원 벡터 데이터를 기준으로 마우스가 해당 벡터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마우스 하부면에 위치하는 연직 진동수단을 구동시키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의 진동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를 제공하여 조이스틱에서 느끼는 조작 대상의 움직임을 마우스에서도 느낄수 있어 조이스틱을 대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마우스의 진동 제어 방법 및 그 장치(vibration control method of mouse and device for the same)
본 발명은 컴퓨터 게임을 위한 마우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게임의 진행중 게임 프로그램의 조작대상의 움직임에 따른 신호를 컴퓨터에서 발생시키면 이에 따라 마우스에 구비되어 있는 진동자가 그에 대응하여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게임 프로그램의 조작대상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마우스의 움직임에 따라 사용자가 게임 프로그램의 생동감을 느낄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마우스의 진동 제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첨부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컴퓨터의 운영을 위해 키보그와 마우스라는 조작기기를 필요로 하는데, 컴퓨터의 사용이 빈번해지면서 근래 개발되고 있는 소프트웨어(software)들의 대부분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최대한 키보드 조작을 억제하고 마우스만으로도 운영가능하도록 설계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 생산되고 있는 컴퓨터 시스템들은 멀티미디어 기능이 강조되고 있으므로 음향과 영상등의 다양한 자료를 취급하고 있다.
이때, 통상적으로 마우스는 첨부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마우스 하우징(1)의 상부에 클릭은 위한 왼쪽 버튼(2)과, 정보선택을 위한 오른쪽 버튼(3)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첨부한 도 2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마우스 하우징(1)의 상부에는 마우스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볼(트랙볼) 또는 광센서등이 구비되어 있어 마우스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따라서, 마우스를 평면상에서 상하좌우의 임의의 위치로 움직이게되면 이때의 움직임 벡터가 좌표 데이터로 생성되어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측에 전송되는 것이다. 이때, 마우스 내부의 구성을 간략히 첨부한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마우스 하우징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동작하는 트랙볼의 X축 움직임을 감지하는 X축 감지부(10a)와, 상기 트랙볼의 Y축 움직임을 감지하는 Y축 감지부(10b)와, 상기 X축 감지부(10a)와 Y축 감지부(10b)에서 발생되는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마우스 움직임에 따른 좌표데이터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좌표 데이터 발생부(11), 및 첨부한 도 1의 참조번호 2와 3으로 표현되는 선택키(12)의 키입력과 상기 좌표 데이터 발생부(11)에서 발생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RS-232C 통신을 위한 직렬 데이터를 생성하여 컴퓨터 측으로 전달하는 직렬 변환기(13)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직렬 변환기(13)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는 아래의 표 1에서와 같이 구현되는데, 표 1에 나타내고 있는 데이터 포맷은 마이크로 소프트사의 마우스의 데이터 형식으로 버튼이 2개이며 3바이트로 표현되는 경우의 양식이다.
비트바이트 7 6 5 4 3 2 1 0
1 N/U 1 L R Y7 Y6 X7 X6
2 N/U 0 X5 X4 X3 X2 X1 X0
3 N/U 0 Y5 Y4 Y3 Y2 Y1 Y0
상기 표 1에서 N/U로 표시되는 7비트는 사용되지 않는 비트이며, L과 R로 표현되어 있는 제 1 바이트의 5비트와 4비트는 상기 마우스의 왼쪽 버튼(2)과 오른쪽 버튼(3)의 선택상태를 나타낸다. 즉, 하이이면 선택상태이고 로우이면 비선택상태로 표현된다.
또한, Y7과 X7로 표현되는 비트는 마우스의 이동방향을 표현하는 비트이며, X0에서 X6까지로 표현되는 비트는 X축으로 이동한 마우스의 이동거리를 나타내고, Y0에서 Y6까지로 표현되는 비트는 Y축으로 이동한 마우스의 이동거리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원리에 의하여 마우스를 사용하여 컴퓨터 화면에 오버랩되어 있는 마우스 커서를 이동시켜 클릭하게되면 컴퓨터측은 디스플레이되어 화면상에서 마우스의 좌표를 인식하고 선택키의 운영을 인식하여 프로그램을 운영하게 되는것이다.
이러한 마우스는 근래 게임 전용 제어기인 조이스틱의 대체용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즉, 종래 조이스틱의 기능을 마우스가 대체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진 프로그램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으므로, 사용자들은 통상 마우스를 사용하여 오락을 즐기고 있다.
따라서, 게임 프로그램을 즐기는 동안 보다 생동감있는 마우스 조작을 위해 제안되어진 기술들이 있으나, 조이스틱과 같은 생동감을 줄수 있는 대체 기술이 아직까지 제안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술한 바와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게임의 진행중 게임 프로그램의 조작대상의 움직임에 따른 신호를 컴퓨터에서 발생시키면 이에 따라 마우스에 구비되어 있는 진동자가 그에 대응하여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게임 프로그램의 조작대상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마우스의 움직임에 따라 사용자가 게임 프로그램의 생동감을 느낄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마우스의 진동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컴퓨터 시스템의 외관 및 입력장치의 연결 예시도
도 2는 통상적인 마운스 외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마우스 구성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의 진동 제어 장치의 구성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선택키 100 : 스피커
10a, 10b : 감지부 11 : 좌표 데이터 발생부
13A : 직렬 변환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컴퓨터 내부에서 게임 프로그램의 운영동작중 해당 프로그램의 조작 대상의 움직임에 따른 3차원 벡터 데이터를 검출하여 발생시키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발생되는 조작 대상의 움직임에 따른 3차원 벡터 데이터를 특정 패킷의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마우스 측으로 전달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를 통해 전달받은 특정 패킷의 직렬 데이터에서 상기 제 1 단계를 통해 발생되어진 조작 대상의 움직임에 따른 3차원 벡터 데이터를 검출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를 통해 검출되어진 3차원 벡터 데이터를 기준으로 마우스가 해당 벡터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마우스 하부면에 위치하는 연직 진동수단을 구동시키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게임 프로그램의 구동과 해당 프로그램의 구동중 조작 대상의 움직임을 3차원 벡터 형태로 발생시키는 게임 어플리케이션과, 마우스와 양방향 통신을 하여 마우스에서 발생되는 좌표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게임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된 조작 대상의 움직임 정보를 마우스 측으로 송출하는 PS/2포트, 및 상기 게임 어플리케이션과 PS/2포트간의 데이터 정합을 위한 마우스 구동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는 컴퓨터와: 배면의 네 귀퉁이에 각각 구비되는 제 1∼4 진동자와, 상기 PS/2포트을 통해 전달받은 조작 대상의 움직임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제 1∼4 진동자의 진동정도를 조작하는 진동자 제어부로 구성되는 마우스를 포함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우선, 본 발명에서 적용하고자 하는 기술적 사상을 간략히 살펴보면, PS/2포트를 통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므로 컴퓨터 내부의 게임 어플리케이션측에서 게임 프로그램의 조작대상의 음직임 백터에 관한 정보를 마우스측에 제공하고, 마우스에는 하부면에 진동자를 각 네방향의 종단 부분에 위치시키고 위치되어 있는 진동자의 진동을 약,중,강의 형태로 조정함으로써 마우스 전체가 게임 프로그램의 조작대상의 음직임에 대응하여 움직이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의 진동 제어 장치의 구성 예시도로서, 크게 컴퓨터 측과 마우스 측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컴퓨터 측의 구성은 게임 프로그램의 구동과 해당 프로그램의 구동중 조작 대상의 움직임을 3차원 벡터 형태로 발생시키는 게임 어플리케이션(300c)과, 마우스와 양방향 통신을 하여 마우스에서 발생되는 좌표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게임 어플리케이션(300c)에서 발생된 조작 대상의 움직임 정보를 마우스 측으로 송출하는 PS/2포트(300a), 및 상기 게임 어플리케이션(300c)과 PS/2포트(300a)간의 데이터 정합을 위한 마우스 구동 프로그램(300b)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마우스 구동 프로그램(300b)은 상기 PS/2포트(300a)를 통해 수신되는 마우스 움직임 벡터에 따른 2차원 좌표 데이터를 입력받아 컴퓨터 내부의 CPU인 마이컴에 전달하며, 상기 게임 어플리케이션(300c)에서 발생된 조작 대상의 움직임 정보를 상기 PS/2포트(300a)를 통해 마우스 측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마우스 측은 마우스 하우징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동작하는 트랙볼의 X축 움직임을 감지하는 X축 감지부(10a)와, 상기 트랙볼의 Y축 움직임을 감지하는 Y축 감지부(10b)와, 상기 X축 감지부(10a)와 Y축 감지부(10b)에서 발생되는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마우스 움직임에 따른 좌표데이터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좌표 데이터 발생부(11)와, 상기 좌표 데이터 발생부(11)에서 발생되는 데이터와 선택키(12)의 선택신호를 묶어 직렬통신으로 변환하여 상기 PS/2포트(300a)측으로 전달하는 직렬 변환기(13A)와, 상기 마우스 하우징 배면의 네 귀퉁이에 각각 구비되는 제 1∼4 진동자(100a∼100d), 및 상기 PS/2포트(300a)을 통해 전달받은 조작 대상의 움직임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제 1∼4 진동자(100a∼100d)의 진동정도를 조작하는 진동자 제어부(200)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의 진동 제어 장치의 바람직한 동작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특정 게임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게임을 즐기는 경우 컴퓨터 측에 구비되어 있는 게임 어플리케이션(300c)은 현재 구동시키고 있는 게임 프로그램의 동작 제어 및 해당 프로그램의 구동중 조작 대상의 움직임을 3차원 벡터 형태로 발생시키게 된다. 즉, X, Y, Z 좌표에 따른 3차원 좌표 데이터를 송출하게 된다.
상기 게임 어플리케이션(300c)에서 발생된 조작 대상의 움직임 정보는 마우스 구동 프로그램(300b)에서 입력받아 PS/2포트(300a)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마우스 측으로 전달한다.
이에, 마우스 내부의 진동자 제어부(200)는 상기 PS/2포트(300a)를 통해 입력받은 직렬 데이터에서 상기 게임 어플리케이션(300c)에서 발생된 조작 대상의 움직임 정보를 검출하게 된다.
상기 진동자 제어부(200)는 검출된 조작 대상의 움직임 정보에 따라 연결되어 있는 진동자1(100a)에서 진동자4(100d)까지를 제어하게 된다. 이때, 게임 프로그램중 사용자가 조작하는 대상의 움직임이 갑자기 진행방향에서 아래로 하강하면 움직임 벡터는 -X축으로의 벡터만 존재할 것이므로 진동자1(100a)와 진동자3(100c)는 진동시키지 않고 진동자2(100b)와 진동자4(100d)만을 강하게 한번 진동시킨다. 즉, 마우스가 앞으로 숙이는듯한 느낌을 사용자가 느끼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의 진동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여 조이스틱에서 느끼는 조작 대상의 움직임을 마우스에서도 느낄수 있어 조이스틱을 대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컴퓨터 내부에서 게임 프로그램의 운영동작중 해당 프로그램의 조작 대상의 움직임에 따른 3차원 벡터 데이터를 검출하여 발생시키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발생되는 조작 대상의 움직임에 따른 3차원 벡터 데이터를 특정 패킷의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마우스 측으로 전달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를 통해 전달받은 특정 패킷의 직렬 데이터에서 상기 제 1 단계를 통해 발생되어진 조작 대상의 움직임에 따른 3차원 벡터 데이터를 검출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를 통해 검출되어진 3차원 벡터 데이터를 기준으로 마우스가 해당 벡터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마우스 하부면에 위치하는 연직 진동수단을 구동시키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의 진동 제어 방법.
  2. 게임 프로그램의 구동과 해당 프로그램의 구동중 조작 대상의 움직임을 3차원 벡터 형태로 발생시키는 게임 어플리케이션(300c)과, 마우스와 양방향 통신을 하여 마우스에서 발생되는 좌표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게임 어플리케이션(300c)에서 발생된 조작 대상의 움직임 정보를 마우스 측으로 송출하는 PS/2포트(300a), 및 상기 PS/2포트(300a)를 통해 수신되는 마우스 움직임 벡터에 따른 2차원 좌표 데이터를 입력받아 컴퓨터 내부의 CPU인 마이컴에 전달하며, 상기 게임 어플리케이션(300c)에서 발생된 조작 대상의 움직임 정보를 상기 PS/2포트(300a)를 통해 마우스 측으로 전달하는 마우스 구동 프로그램(300b)으로 구성되는 컴퓨터와:
    배면의 네 귀퉁이에 각각 구비되는 제 1∼4 진동자(100a∼100d)와, 상기 PS/2포트(300a)을 통해 전달받은 조작 대상의 움직임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제 1∼4 진동자(100a∼100d)의 진동정도를 조작하는 진동자 제어부(200)로 구성되는 마우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의 진동 제어 장치.
KR1019980058027A 1998-12-24 1998-12-24 마우스의 진동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0000419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8027A KR20000041988A (ko) 1998-12-24 1998-12-24 마우스의 진동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8027A KR20000041988A (ko) 1998-12-24 1998-12-24 마우스의 진동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1988A true KR20000041988A (ko) 2000-07-15

Family

ID=19565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8027A KR20000041988A (ko) 1998-12-24 1998-12-24 마우스의 진동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4198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8537A (ko) * 2000-06-12 2000-10-05 안재현 컴퓨터게임의 체감을 지원하는 진동 마우스장치 및 이를구동하는 컴퓨터시스템
KR100339048B1 (ko) * 2000-01-19 2002-05-31 이성규 정보에 의한 물리적 부하 발생 방법 및 그 장치
WO2002065269A1 (en) * 2001-02-13 2002-08-22 Neo Tek Research Co., Ltd. Input method and device for the control of three dimensional movements
KR100791379B1 (ko) * 2006-01-02 2008-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9048B1 (ko) * 2000-01-19 2002-05-31 이성규 정보에 의한 물리적 부하 발생 방법 및 그 장치
KR20000058537A (ko) * 2000-06-12 2000-10-05 안재현 컴퓨터게임의 체감을 지원하는 진동 마우스장치 및 이를구동하는 컴퓨터시스템
WO2002065269A1 (en) * 2001-02-13 2002-08-22 Neo Tek Research Co., Ltd. Input method and device for the control of three dimensional movements
KR100791379B1 (ko) * 2006-01-02 2008-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6388B2 (en) Controlling vibrotactile sensations for haptic feedback devices
US6906697B2 (en) Haptic sensations for tactile feedback interface devices
US8259072B2 (en) Input control apparatus and an interactive system using the same
US8184100B2 (en) Inertia sensing input controller and receiver and interactive system using thereof
US5598187A (en) Spatial motion pattern input system and input method
JP5522902B2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US5488362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video game
US844144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irectional tactile sensations
US7091948B2 (en) Design of force sensations for haptic feedback computer interfaces
KR101606834B1 (ko) 움직임과 사용자의 조작을 이용하는 입력장치 및 이에적용되는 입력방법
USRE48054E1 (en) Virtual interface and control device
US20170087455A1 (en) Filtering controller input mode
JP2008047047A (ja) 入力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20080012828A1 (en) Multi-dimensional input device
KR20000041988A (ko) 마우스의 진동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WO1996014633A1 (en) Multi-dimensional electrical control device
EP1785817A2 (en) External operation signal recognition syste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O2023157556A1 (ja) ペン及びペン位置検出装置を含むシステム、ペン位置検出装置、並びに、ペンに内蔵されるハプティクス素子を動作させる方法
KR100462353B1 (ko) 다기능 무선 마우스
KR20000041987A (ko) 진동 제어 장치를 갖는 무선 마우스
WO2001003105A9 (en) Controlling vibrotactile sensations for haptic feedback devices
WO2001003105A1 (en) Controlling vibrotactile sensations for haptic feedback devices
JPH08129449A (ja) 信号入力装置
KR20000013226U (ko) 음향에 따라 진동하는 진동자를 구비한 스피커내장형 마우스
KR20080017194A (ko) 무선 마우스 및 그의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