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1216A -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비율 조정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비율 조정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1216A
KR20000041216A KR1019980057043A KR19980057043A KR20000041216A KR 20000041216 A KR20000041216 A KR 20000041216A KR 1019980057043 A KR1019980057043 A KR 1019980057043A KR 19980057043 A KR19980057043 A KR 19980057043A KR 20000041216 A KR20000041216 A KR 20000041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video signal
display device
black bar
rat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7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3754B1 (ko
Inventor
이태희
유영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57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3754B1/ko
Publication of KR20000041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1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3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37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2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the input and the output signals having different aspect rati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비율 조정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수신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 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블랙 바가 존재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블랙 바가 존재할 경우, 상기 블랙 바를 제거한 후, 상기 영상신호의 표시 비율을 재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재 설정된 영상신호를 소정의 방식에 따라 확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16:9 화면을 4:3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할 때에 나타나는 상/하 블랙 바(black bar)를 제거한 후,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비율에 대응하는 적정 비율의 화면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비율 조정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비율 조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 화면 비율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화상을 다른 화면 비율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할 때, 화면에 나타나는 화상의 상태에만 의존하여 화상소스의 화면비율을 조정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VD의 화면비율은 원칙적으로 와이드 텔리비젼과 같은 16:9의 화면비율을 기지고 있으며, 월등한 보급률을 가지고 있는 기존의 텔리비젼은 4:3 화면 비율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DVD 플레이어에서는 화면비를 조정할 수 있는데, 16:9 화면비로 기록된 DVD 영상을 4:3 텔리비젼에서 재생하는 방법은 위/아래 공간에 블랙 바(black bar)를 만들어 16:9로 출력시키는 방식(Letter box)과, 양축을 적절히 잘라 4:3 화면을 꽉 채워주는 방식(Pan scan)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는 화상을 코딩하여 디스크에 수록하는 과정에서 16:9의 비율로 화상을 처리해야만 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일부 DVD의 실제 화상 부분은 16:9의 화면 비율을 갖으나, 상/하에 블랙 바(black bar)를 추가하여, 전체 화면비율이 4:3 화면 비율이 되는데, 이는 사용자가 디스크 정보에 의해 화면 비율을 조정하여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의 블랙 바는 상존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또한 화상이 왜곡되어 보이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면에 나타나는 화상의 상태만을 사용하여 화상 소스의 화면 비율을 조정한 후,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화면비율을 조정한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화면비율을 조정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화면비율을 조정한 화면을 나타내는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비율을 조정하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비율을 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6은 라인 반복에 의한 화면 비율을 변경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7은 연관성을 이용한 화면 비율을 변경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8은 블랙 바의 유무를 검출하기 위해 레벨값을 검출하기 위한 위치 설정을 나타내는 위치 설정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어부 200 : 감지부
300 : 변환부 400 : 표시부
500 : 수신부 600 : 블랙 바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비율 조정장치는 외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영상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였을 때, 블랙 바가 생성되었는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블랙 바를 감지하였을 경우, 상기 영상신호의 표시 비율을 재 설정하여 소정의 방식으로 변경하는 변환부와, 상기 변환부에서 변경된 상기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블랙 바가 생성된 것으로 감지하였을 경우, 상기 변환부에서 상기 영상신호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영상신호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신호 표시 비율의 재 설정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블랙 바가 표시되는 부분을 제외한 실제 영상이 나오는 세로 영역을 세로 기준영역으로 설정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로 영역에서 소정의 크기만큼을 제외한 가로 영역을 가로 기준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소정의 방식은 상기 영상신호를 확대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라인 반복에 의한 확대 방법과, 연관성을 이용한 확대 방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비율 조정방법은 외부로부터 수신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 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블랙 바가 존재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블랙 바가 존재할 경우, 상기 블랙 바를 제거한 후, 상기 영상신호의 표시 비율을 재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재 설정된 영상신호를 소정의 방식에 따라 확대하는 단계 및 상기 확대된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신호 표시 비율의 재 설정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블랙 바가 표시되는 부분을 제외한 실제 영상이 나오는 세로 영역을 세로 기준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로 영역에서 소정의 크기만큼을 제외한 가로 영역을 가로 기준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소정의 방식은 상기 영상신호를 확대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라인 반복에 의한 확대 방법과, 연관성을 이용한 확대 방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들, 특징들, 그리고 장점들을 첨부된 도면에 나타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비율을 조정하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먼저, 수신부(500)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전송된 영상 신호를 수신한다.
감지부(200)는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였을 때, 블랙 바가 생성되었는가를 감지한다.
변환부(300)는 감지부(200)에서 블랙 바를 감지하였을 경우, 영상신호의 표시 비율을 재 설정하여 소정의 방식으로 변경한다.
표시부(400)는 변환부(300)에서 재 설정된 영상신호를 표시한다.
제어부(100)는 감지부(200)에서 블랙 바가 생성된 것으로 감지하였을 경우, 변환부(300)에서 상기 영상신호를 변경하고, 변경된 영상신호를 표시부(400)에 표시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비율 조정장치의 동작 및 화면비율 조정방법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외부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한 후(단계:S100),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다(단계:S200).
여기에서, 상기 영상신호의 수신 동작은 도 4에 도시된 수신부(500)에서 수행되어, 표시부(400)에 도 2의 ⓐ와 같이 표시된다.
상기 표시 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블랙 바가 존재하는가를 판단한다(단계:S300).
여기에서, 상기 블랙 바의 존재는 도 4의 감지부(200)에서 해당 영역에 상기 블랙 바가 존재하는가를 판단하므로써 가능한데, 상기 해당 영역은 720 대 480 크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에는 상위 60 라인과 하위 60 라인을 일컫는다.
상기 블랙 바가 존재할 경우, 상기 블랙 바를 제거한 후, 상기 영상신호의 표시 비율을 재 설정한다(단계:S400).
한편, 상기 블랙 바의 존재 여부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판단한다.
먼저, 외부로부터 입력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1 위치에서 검출된 휘도 신호 데이터 값 및 색 신호 데이터 값이 기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는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상기 기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는가의 판단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단에 생성되는 블랙 바(black bar)를 검출하기 위한 제 1 위치인가를 판단한다. 상기 제 1 위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상단에 발생하는 블랙 바를 수평 2등분한 위치를 말하는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①로 표시된 부분을 일컫는다.
상기 판단 후,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제 1 위치에서의 휘도 신호 값 및 색 신호 값을 검출하여, 기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는가를 비교한다.
여기에서, 상기 기 설정된 범위는 상기 휘도 신호 데이터의 블랙을 나타내는 레벨값에서 소정의 값을 가감산한 범위와, 상기 색 신호 데이터의 블랙을 나타내는 레벨값에서 상기 소정의 값을 가감산한 범위를 말한다.
즉, 상기 휘도 신호 데이터의 블랙을 나타내는 값은 16인데, 여기에 소정의 오차값(예:4)을 설정한 후, 가감산을 수행한 범위의 값(예:12~20)을 범위로 설정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색 신호 데이터의 블랙을 나타내는 값은 128인데, 여기에 소정의 오차값(예:5)을 설정한 후, 가감산을 수행한 범위의 값(예:123~133)을 범위로 설정한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기 설정된 범위에 존재할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준 위치에서 검출된 휘도 신호 데이터 값 및 색 신호 데이터 값이 상기 기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상기 기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가의 판단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하단에 생성되는 블랙 바(black bar)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위치인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상기 기준 위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평 주사선 수를 2등분한 위치를 말하는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②로 표시된 부분을 일컫는다.
상기 판단 후,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기준 위치에서의 휘도 신호 값 및 색 신호 값을 검출하여, 상기 기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가를 비교한다.
즉, 상기에서 예를 들어 설정한 기 설정된 범위(휘도 신호일 경우의 값 12~20, 색 신호일 경우의 값 123~133)에 해당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기준 위치에 표시되는 상기 휘도 신호 값 및 색 신호 값을 블랙이 아닌 값으로 인식하는 것이다.
상기 기준 위치에서 검출된 상기 휘도 신호 데이터 값 및 색 신호 데이터 값이 상기 기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지 않을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2 위치에서 검출된 휘도 신호 데이터 값 및 색 신호 데이터 값이 상기 기 설정된 범위에 존재하는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상기 기 설정된 범위에 존재하는가의 판단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단에 생성되는 블랙 바(black bar)를 검출하기 위한 제 2 위치인가를 판단한다.
상기 제 2 위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하단에 발생하는 블랙 바를 수평 2등분한 위치를 말하는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③으로 표시된 부분을 일컫는다.
상기 판단 후,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제 2 위치에서의 휘도 신호 값 및 색 신호 값을 검출하여, 기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는가를 비교한다.
상기 제 2 위치에서 검출된 상기 휘도 신호 데이터 값 및 색 신호 데이터 값이 상기 기 설정된 범위에 존재할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하단에 상기 블랙 바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순서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상기 휘도 신호 데이터 값 및 색 신호 데이터 값을 상기 기 설정된 조건에 일치되게 일정시간(예:1분) 동안 연속적으로 검출될 경우, 상기 블랙 바(black bar)가 생성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에서, 블랙 바(600)를 제거하기 위한 상기 영상신호 표시 비율의 재 설정은 도 2의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랙 바를 제외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에서 좌/우로 80 라인씩을 제외한 영역을 기준 영역으로 가정하여 재 설정한다.
즉, 560 대 360의 비율로 설정되었을 경우의 실제 화상을 도 2의 ⓒ에 도시된 바와 같이, 720 대 480의 비율로 확대되었을 때의 화상으로 비율적으로 확대한다는 것이다.
상기 재 설정된 영상신호를 소정의 방식에 따라 확대한다(단계:S500).
여기에서, 도 4에 도시된 변환부(300)에서 상기 영상신호의 확대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 영상신호를 확대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라인 반복에 의한 확대 방법과, 연관성을 이용한 확대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수행한다.
여기에서,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상기 라인 반복에 의한 확대 방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인데, 여기에 대표적인 것은 ZOI(Zero Order Interpolation) 이라는 것으로 생략된 라인의 위 라인을 그대로 반복하는 방식이다. line repetition method 라고도 하며, 구현은 간단하나 제한된 적용성을 갖는다. 이 방식은 정지화에 적당한 특성을 보이며 실제 3차원 처리에서 정지영역에 부분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상기 연관성을 이용한 확대방법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인데, 여기에 대표적인 것은 FOI(First Order Interpolation) 이라는 것으로 이 방식은 line averaging method라고도 하며, 비월 주사된 각 필드에서 빠져있는 주사선을 인접한 위, 아래의 주사선의 화소값을 평균하여 보간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동화에 적합하며, 3차원 처리에서 국부적으로 동화처리 모드에서 적용되는 방식이다. 또한 극히 간단한 구성으로도 비교적 만족할만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가격대 성능비를 고려할때 고려되는 방식이다.
상기 확대된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부(400)에 표시한다(단계:S600).
즉, 도 3과 같은 결과를 나타낸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 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16:9 화면을 4:3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할 때에 나타나는 상/하 블랙 바(black bar)를 제거한 후,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비율에 대응하는 적정 비율의 화면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영상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였을 때, 블랙 바가 생성되었는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블랙 바를 감지하였을 경우, 상기 영상신호의 표시 비율을 재 설정하여 소정의 방식으로 변경하는 변환부;
    상기 변환부에서 변경된 상기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블랙 바가 생성된 것으로 감지하였을 경우, 상기 변환부에서 상기 영상신호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영상신호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비율 조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 표시 비율의 재 설정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블랙 바가 표시되는 부분을 제외한 실제 영상이 나오는 세로 영역을 세로 기준영역으로 설정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로 영역에서 소정의 크기만큼을 제외한 가로 영역을 가로 기준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비율 조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방식은
    상기 영상신호를 확대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라인 반복에 의한 확대 방법과, 연관성을 이용한 확대 방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비율 조정장치.
  4. 외부로부터 수신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 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블랙 바가 존재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블랙 바가 존재할 경우, 상기 블랙 바를 제거한 후, 상기 영상신호의 표시 비율을 재 설정하는 단계;
    상기 재 설정된 영상신호를 소정의 방식에 따라 확대하는 단계 및
    상기 확대된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비율 조정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 표시 비율의 재 설정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블랙 바가 표시되는 부분을 제외한 실제 영상이 나오는 세로 영역을 세로 기준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로 영역에서 소정의 크기만큼을 제외한 가로 영역을 가로 기준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비율 조정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방식은
    상기 영상신호를 확대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라인 반복에 의한 확대 방법과, 연관성을 이용한 확대 방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비율 조정방법.
KR1019980057043A 1998-12-22 1998-12-22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비율 조정장치 및 방법 KR100283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7043A KR100283754B1 (ko) 1998-12-22 1998-12-22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비율 조정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7043A KR100283754B1 (ko) 1998-12-22 1998-12-22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비율 조정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1216A true KR20000041216A (ko) 2000-07-15
KR100283754B1 KR100283754B1 (ko) 2001-03-02

Family

ID=19564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7043A KR100283754B1 (ko) 1998-12-22 1998-12-22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비율 조정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375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3881A (ko) * 2002-06-05 2003-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 화면비율 조정이 가능한 디지털 방송신호 수신장치
KR100611241B1 (ko) * 2002-04-11 2006-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디오데이터를 화면의 비율에 적응적으로 디스플레이할수 있는 영상 디스플레이장치
KR100781264B1 (ko) * 2005-08-05 2007-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및 그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KR101069081B1 (ko) * 2004-03-11 2011-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토 줌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8174559A1 (ko) * 2017-03-24 2018-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비율 변경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241B1 (ko) * 2002-04-11 2006-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디오데이터를 화면의 비율에 적응적으로 디스플레이할수 있는 영상 디스플레이장치
KR20030093881A (ko) * 2002-06-05 2003-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 화면비율 조정이 가능한 디지털 방송신호 수신장치
KR101069081B1 (ko) * 2004-03-11 2011-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토 줌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81264B1 (ko) * 2005-08-05 2007-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및 그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WO2018174559A1 (ko) * 2017-03-24 2018-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비율 변경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3754B1 (ko) 200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217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a computer-generated projected image
EP1455528A1 (en) Image processing syste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EP1508876A2 (en) Image projection method and device
US20050243073A1 (en) Presentation device and display method
JP2006259287A (ja) 画面焼き付き防止装置および画面焼き付き防止方法
CN101072373A (zh) 图像检测设备、方法及程序减少显示设备的老化的方法
KR100283754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비율 조정장치 및 방법
CN1139338A (zh) 在宽宽高比屏幕上控制字幕显示的装置
JP4530058B2 (ja) プロジェクタ、強調表示方法
JP4483255B2 (ja) 液晶表示装置
JPH09200575A (ja) 画像データ補間装置
US20040263683A1 (en)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KR100469265B1 (ko) Lcd 프로젝터의 키스톤 보정장치 및 방법
JP3269389B2 (ja) 表示装置
JP2002077644A (ja) 画像読取装置
JP2005184442A (ja) 画像処理装置
JP2950163B2 (ja) ワイド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3144226B2 (ja) 画面サイズ調整装置及びアスペクト検出方法
JP3258794B2 (ja) コンバーゼンス調整装置
JP3855313B2 (ja) ビデオプリンタ装置
JP3156247B2 (ja) 画像変換装置
JPS59195134A (ja) サ−モグラフイ装置
JP3321184B2 (ja) ビデオフォトプリント装置
KR10066417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색 정보 표시 방법
JP4045539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係数算出装置および係数算出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