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0131A - 멀티미디어 회의에서 공동작업시 공유된 응용프로그램의 공통작업영역 선정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회의에서 공동작업시 공유된 응용프로그램의 공통작업영역 선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0131A
KR20000040131A KR1019980055683A KR19980055683A KR20000040131A KR 20000040131 A KR20000040131 A KR 20000040131A KR 1019980055683 A KR1019980055683 A KR 1019980055683A KR 19980055683 A KR19980055683 A KR 19980055683A KR 20000040131 A KR20000040131 A KR 20000040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red
document
screen
siz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5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2577B1 (ko
Inventor
김상길
고기원
김영선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80055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2577B1/ko
Publication of KR20000040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0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2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25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7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syntax aspects related to video coding, e.g. related to compre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의 참가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화면 해상도 정보를 수신하여 가장 낮은 화면 크기를 공통 작업 영역으로 설정하고 문서 공유시 문서의 화면 표시 영역을 공통 작업 영역으로 제한시키도록 된 멀티미디어 회의에서 공동작업시 공유된 응용프로그램의 공통작업영역 선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회의 설정 과정에서 데이터 채널을 구성하고 데이터 채널을 사용하여 회의 참가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화면의 해상도 정보를 모든 다른 회의 참가자에게 알려주고, 다른 회의 참가자들의 화면 해상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신된 화면 해상도 정보를 사용하여 공통 작업 영역을 결정하게 된다. 아울러 응용 프로그램 공유시 공통 작업 영역으로 화면 영역을 제한함으로써 모든 회의 참가자들이 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회의에서 공동작업시 공유된 응용프로그램의 공통작업영역 선정방법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회의에서 공동작업시 공유된 응용프로그램의 공통작업영역 선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중 일대일 영상회의 서비스와 다지점 제어장치(MCU)를 사용한 다자간 멀티미디어 회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에서 응용 프로그램을 공유하여 공동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자간 멀티미디어 회의에서 공동 작업 기능은 지역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여러 사람이 참가하고 있는 멀티미디어 회의에서, 회의 참가자가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후 실행된 응용 프로그램을 다른 회의 참가자들과 공유시켜서 원격지에 위치한 다른 참가자들이 응용 프로그램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종래의 회의 프로그램은 이미 실행되어 있는 응용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공유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멀티미디어 회의 참가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단말의 화면 해상도가 다를 경우, 저 해상도의 단말을 사용하는 회의 참가자는 고 해상도의 단말을 사용하는 회의 참가자가 공유시킨 응용 프로그램을 볼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tightly-coupled 회의에 참석 중인 회의 참가자가 공유된 문서의 보이지 않는 부분을 보려면, 공유를 시작한 단말에서 공유된 응용 프로그램의 화면 크기를 변경하거나, 회의 참가자가 공유된 문서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도록 제어권을 주어야 한다. 다자간 멀티미디어 회의에서 공유된 응용 프로그램의 화면 크기를 변경하는 제어권은 한 명의 회의 참가자만 가질 수 있으므로, 크기를 변경하려는 회의 참가자가 차례로 제어권을 획득하여 조정해야 한다.
회의 참가자가 증가할수록 이러한 화면 크기 조정 시간은 증가하게 된다. 대규모 다자간 멀티미디어 회의의 경우, 화면 조정은 불가능하다. 제어권을 가진 회의 참가자는 공유를 시작한 회의 참가자가 할 수 있는 모든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보안 유지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회의 참가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화면 해상도 정보를 수신하여 가장 낮은 화면 크기를 공통 작업 영역으로 설정하고 문서 공유시 문서의 화면 표시 영역을 공통 작업 영역으로 제한시키도록 된 멀티미디어 회의에서 공동작업시 공유된 응용프로그램의 공통작업영역 선정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회의에서 공동작업시 공유된 응용프로그램의 공통작업영역 선정방법은, 회의를 구성함에 따라 회의 참가자간의 화면 해상도 정보를 상호간에 교류하여 공통 작업영역을 설정한 후 문서 공유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문서를 공유하고 있으면 공유된 문서의 화면 크기를 상기 설정된 작업영역 크기로 변경하고 이 변경된 작업영역 크기의 화면을 모든 회의 참가자가 볼 수 있게 하고, 문서를 공유하지 않으면 회의 단말 사용자로부터의 문서 공유 요청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문서 공유 요청이 있으면 공유할 문서를 개방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응용 프로그램의 화면크기를 작업 영역 크기로 만들고 문서 공유를 시작하는 과정을 구비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환경,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멀티미디어 회의 시스템의 구성예,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회의에서 공동작업시 공유된 응용프로그램의 공통작업영역 선정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운영체제 12 : 비디오 입출력 장치
14 : 오디오 입출력 장치 16 : 비디오 코덱
18 : 오디오 코덱 20 : 비디오 및 오디오 동기화 모듈
22 : 비디오/오디오/제어신호 통합/추출 모듈
24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 26 : 시스팀 제어 모듈
28 : 시스팀 제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30 : 데이터 응용프로그램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환경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윈도우즈 95나 NT를 운영 체제(10)로 사용하는 개인용 컴퓨터 환경에서 동작하며, 하드웨어로는 비디오 입출력 장치(12), 오디오 입출력 장치(14), 비디오 및 오디오 코덱 모듈(16, 18), 비디오 및 오디오 동기화 모듈(20), 비디오/오디오/제어신호 통합/추출 모듈(22)과 NIC(Network Interface Card)로 된 모듈(24, 이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라 함)이 있고, 소프트웨어는 시스팀 제어 모듈(26), 시스팀 제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28), 데이터 응용 프로그램 모듈(30)로 구성된다.
상기 비디오 입출력 장치(12)는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며, 오디오 입출력 장치(14)는 사용자의 음성을 받아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거나 수신된 오디오를 재생한다. 상기 비디오 코덱 모듈(16)은 비디오 입출력 장치(12)로부터의 신호를 압축하거나 수신된 신호를 복원한다. 오디오 코덱 모듈(18)은 오디오 입출력 장치(14)로부터의 신호를 압축하거나 수신된 신호를 복원한다. 비디오 및 오디오 동기화 모듈(20)은 비디오 신호의 복원 시간과 오디오 신호의 복원 시간이 다른 것을 보상해 준다. 비디오/오디오/제어신호 통합/ 추출 모듈(22)은 상기 비디오 및 오디오 동기화 모듈(20)로부터의 비디오/오디오/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신호로 만들어 주는 기능과 전송된 신호에서 비디오/오디오/제어신호를 추출하는 기능을 가진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4)은 신호를 망으로 전송하거나 망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가진다. 시스팀 제어 모듈(26)은 회의 제어 모듈(26a)과 호 제어 모듈(26b)로 구성되는데, 상기 회의 제어 모듈(26a)은 회의를 구성하여 상대방 단말이 지원하는 비디오/오디오 코덱, 사용 대역폭 교환 등의 기능을 가지고, 호 제어 모듈(26b)은 회의를 시작하기 위해 호 설정을 하거나 호를 종료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시스팀 제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28)은 사용자로부터 회의 구성 요구, 회의 종료, 응용 프로그램 공유, 파일 전송 등 사용자로부터의 요구를 수신하고 결과를 보여주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데이터 응용 프로그램 모듈(30)은 응용 프로그램 공유, 파일 전송 등의 데이터 전송 및 수신 기능을 가진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멀티미디어 회의 시스템의 구성예로서, 단말 1과 단말 2가 일대일 멀티미디어 회의를 하는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단말1이 단말2의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호 설정 요청을 한다. 단말 2는 호 설정 요구를 받아들이고, 단말 1에 자신의 단말이 사용하고 있는 화면 해상도 정보를 송신한다. 단말1은 단말2로부터 호 설정 요청을 승인했을 때, 단말 2에 화면 해상도를 전송한다. 단말 2로부터 화면 해상도 정보를 수신했을 때,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화면 해상도와 비교하여 단말2의 화면 해상도가 작으면 단말2의 화면해상도를 공통 작업영역으로 설정한다. 단말2의 화면 해상도가 크면 자신의 화면 해상도를 공통 작업영역으로 설정한다.
한편 다자간 멀티미디어 회의의 경우, 단말1, 단말2와 단말3은 다지점 제어장치(MCU)에 전화를 걸어 호 설정을 한다. 상기 다지점 제어장치(MCU)는 각 단말로부터의 비디오/오디오/데이터 신호를 통합 또는 분배하는 역할을 한다. 단말1과 다지점 제어장치간에 호가 설정되면 회의 참가자들에게 다지점 제어장치에 단말1이 연결되었음을 알린다. 단말2이 연결되면 단말1과 단말3이 연결되었음을 알리고, 단말3이 연결되면 단말1과 단말2가 연결되었음을 알린다. 알리는 순서는 각 단말로부터 호설정 요청을 받고 호가 설정된 후 알리게 된다. 단말1은 단말2와 단말3이 회의에 참가했음을 알리는 신호를 받았을 때, 각각의 단말에 자신의 해상도 정보를 송신한다. 단말 2와 단말 3도 비슷한 과정을 수행한다. 단말2와 단말3으로부터 해상도 정보를 수신한 경우, 자신의 해상도와 비교하여 공통 작업영역을 결정한다.
이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회의에서 공동작업시 공유된 응용프로그램의 공통작업영역 선정방법에 대해 도 3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결 설정(단계 100)시 공통 작업영역을 자신의 화면 해상도로 설정한다(단계 110). 연결 설정이 된 후 회의 참가자가 변경(회의 참가자 증가 또는 감소)된 경우(단계 120에서 예)에는 자신의 해상도 정보를 회의 참가자에게 전송한다(단계 130). 이 때, 일대일 회의에서는 자신을 제외한 회의 참가자는 1명이고, 호 설정시 회의 참가자가 증가하고 호 해제시 회의 참가자가 감소된다. 다자간 회의에서는 다지점 제어장치(MCU)에 새로운 참가자가 연결될 경우마다 회의 참가자가 증가하고, 회의 중에 회의 참가자가 회의에서 떠나면 회의 참가자가 감소하게 된다. 회의 참가자가 증가하였을 경우 자신의 해상도 정보를 새로운 회의 참가자에게 전송한다. 새로운 회의 참가자가 자신의 해상도 정보를 전송해 오면(단계 140에서 예) 회의 참가자에 대한 해상도 정보를 저장하고, 새로운 해상도 정보가 현재의 작업영역보다 작으면 작업영역을 새로운 해상도로 설정하고, 현재 작업영역보다 클 경우에는 현재 작업영역을 보존한다(단계 150). 현재 문서 공유 상태가 아닐 경우(단계 160에서 아니오)에는 멀티미디어 회의 단말 사용자가 문서 공유 요청을 했는지 확인한다. 공유 요청을 했을 경우(단계 170에서 예)에는 공유할 문서를 개방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검색하여 실행시킨다. 이 경우 응용 프로그램의 화면크기를 작업 영역 크기로 만들고 공유를 시작한다(단계 180). 상기 단계 160에서 문서 공유 상태이거나 단계 180에서 문서 공유가 시작되면 원격지의 회의 참여자가 문서를 볼 수 있게 되는데, 이 때에는 문서의 화면영역이 공통화면 크기로 제한된다(단계 200). 그리고, 회의 중에 새로운 회의 참여자로부터 새로운 화면 해상도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공통 작업영역이 변경된 경우(단계 190에서 예)에는 상기 단계 200으로 진행하여 공유된 프로그램의 화면 크기를 실시간으로 변경하여 모든 회의 참가자가 공유된 문서를 볼 수 있게 한다.
이후, 사용자로부터의 문서 공유를 해제하는 명령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 사용자가 공유 해제를 요청하면(단계 210에서 예) 문서 공유를 해제한다(단계 220). 이어 연결 해제 요구가 있는지를 판단하여 연결 해제 요구가 없으면 즉, 문서 공유를 시작한 후 회의 진행 중에는(단계 230에서 아니오) 상기 단계 120으로 복귀하여 상술한 회의 참가자 인원 변경 여부, 회의 참가자 화면 해상도 수신 여부, 문서 공유 여부, 공통 작업영역 변경 여부, 문서 공유 해제 요구 여부, 연결 해제 요구 여부를 반복적으로 검사한다. 상기 단계 230에서 연결 해제 요구가 있을 경우(단계 230에서 예)에는 공통 작업영역을 자신의 화면해상도로 설정하고(단계 240), 연결을 해제한다(단계 250).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회의 설정 과정에서 데이터 채널을 구성하고 데이터 채널을 사용하여 회의 참가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화면의 해상도 정보를 모든 다른 회의 참가자에게 알려주고, 다른 회의 참가자들의 화면 해상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신된 화면 해상도 정보를 사용하여 공통 작업 영역을 결정하게 된다. 아울러 응용 프로그램 공유시 공통 작업 영역으로 화면 영역을 제한함으로써 모든 회의 참가자들이 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Claims (2)

  1. 회의를 구성함에 따라 회의 참가자간의 화면 해상도 정보를 상호간에 교류하여 공통 작업영역을 설정한 후 문서 공유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문서를 공유하고 있으면 공유된 문서의 화면 크기를 상기 설정된 작업영역 크기로 변경하고 이 변경된 작업영역 크기의 화면을 모든 회의 참가자가 볼 수 있게 하고, 문서를 공유하지 않으면 회의 단말 사용자로부터의 문서 공유 요청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문서 공유 요청이 있으면 공유할 문서를 개방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응용 프로그램의 화면크기를 작업 영역 크기로 만들고 문서 공유를 시작하는 과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회의에서 공동작업시 공유된 응용프로그램의 공통작업영역 선정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회의중에 신규 회의 참가자로부터의 신규 화면 해상도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공통 작업영역을 변경하고 공유된 응용 프로그램의 화면 크기를 실시간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회의에서 공동작업시 공유된 응용프로그램의 공통작업영역 선정방법.
KR1019980055683A 1998-12-17 1998-12-17 멀티미디어 회의에서 공동작업시 공유된 응용프로그램의 공통작업영역 선정 방법 KR100282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5683A KR100282577B1 (ko) 1998-12-17 1998-12-17 멀티미디어 회의에서 공동작업시 공유된 응용프로그램의 공통작업영역 선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5683A KR100282577B1 (ko) 1998-12-17 1998-12-17 멀티미디어 회의에서 공동작업시 공유된 응용프로그램의 공통작업영역 선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0131A true KR20000040131A (ko) 2000-07-05
KR100282577B1 KR100282577B1 (ko) 2001-02-15

Family

ID=19563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5683A KR100282577B1 (ko) 1998-12-17 1998-12-17 멀티미디어 회의에서 공동작업시 공유된 응용프로그램의 공통작업영역 선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25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85326A (zh) * 2023-04-27 2023-05-30 深圳市微克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设备分屏交互的控制方法及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85326A (zh) * 2023-04-27 2023-05-30 深圳市微克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设备分屏交互的控制方法及系统
CN116185326B (zh) * 2023-04-27 2023-07-07 深圳市微克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设备分屏交互的控制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2577B1 (ko) 200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09932B1 (en) System,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sharing information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7362349B2 (en) Multi-participant conference system with controllable content delivery using a client monitor back-channel
EP1696629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ne class of users of an application a view of what another class of users of the same application is visually experiencing
US81841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e recognition enhanced video mixing
US7929011B2 (en) 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video signals of conference
US200400082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able conference content via back-channel video interface
US98136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video mixing
US8208004B2 (en) Device, methods, and media for providing multi-point video conferencing unit functions
US9756096B1 (en) Methods for dynamically transmitting screen images to a remote device
AU2001215578B2 (en) Teleconferencing system
KR20140098573A (ko) 영상 회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090011436A (ko) 디스플레이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CN104363409A (zh) 实现视频会议与数据会议同步的方法及系统
CN111246150A (zh) 视频会议的控制方法、系统、服务器和可读存储介质
CN104427295A (zh) 一种视频会议中处理视频的方法及终端
US20200329083A1 (en) Video conference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mcu
KR100282577B1 (ko) 멀티미디어 회의에서 공동작업시 공유된 응용프로그램의 공통작업영역 선정 방법
KR20030059782A (ko) 멀티미디어 영상회의 기반 실시간 공동작업을 위한 cad문서회의 기능구현 및 그 방법
US11102451B2 (en) Videoconferencing server for providing multi-screen videoconferencing by using a plurality of videoconferencing terminals and method therefor
KR20170071251A (ko) 회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중 접속 제어 장치
KR100345310B1 (ko) 멀티미디어 채팅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191323B1 (ko) 서로 다른 규격의 화상회의 단말기들간의 상호 연결이 가능한 화상회의시스템의 mcu장치
JP3258409B2 (ja) 通信会議装置
JP3107893B2 (ja) 遠隔会議システム
KR20070039669A (ko) 화상회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0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