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0051A - 솔레노이드 밸브의 고장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솔레노이드 밸브의 고장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0051A
KR20000040051A KR1019980055596A KR19980055596A KR20000040051A KR 20000040051 A KR20000040051 A KR 20000040051A KR 1019980055596 A KR1019980055596 A KR 1019980055596A KR 19980055596 A KR19980055596 A KR 19980055596A KR 20000040051 A KR20000040051 A KR 20000040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sistor
solenoid valve
failure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5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9016B1 (ko
Inventor
김한일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80055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9016B1/ko
Publication of KR20000040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0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9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90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38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 F16H61/40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hydrostatic
    • F16H61/419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F16H2061/1208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with diagnostic check cycles; Monitoring of fail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F16H2061/1256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characterised by the parts or units where malfunctioning was assumed or detected
    • F16H2061/126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characterised by the parts or units where malfunctioning was assumed or detected the failing part is the controller
    • F16H2061/1268Electric parts of the controller, e.g. a defect solenoid, wiring or microproces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솔레노이드의 출력전압파형을 피드백하여 신호지연이 거의 없는 고장 감지신호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로서 차량 운행 상태를 입력받아 듀티신호, 포싱신호 그리고 쵸핑신호를 출력하는 자동변속기 제어용의 메인 컨트롤 유닛과; 상기 듀티신호, 포싱신호, 쵸핑신호를 조합하여 구동부의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논리회로부와;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의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구동부에서 출력되는 구동신호를 이용하여 솔레노이드 밸브의 고장여부를 감지하는 고장 감지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의 출력신호에 의하여 제너다이오드의 상태가 역방향 도통, 순방향 도통, 차단으로 변화됨에 따라, 제너다이오드에 접속된 저항들과 커패시터의 연결상태 또한 변하게 되어 각 연결상태에 따른 충방전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고장 감지신호의 신호지연시간이 매우 짧아져 메인 컨트롤 유닛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의 동작오류체크를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솔레노이드 밸브의 고장 감지장치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 밸브의 고장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더 상세하게는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회로에서 솔레노이드 밸브의 고장을 신속하게 진단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고장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자동차의 자동변속기는 엔진의 출력을 전달하는 유체식 토크 컨버터와 3단 또는 4단의 변속비를 갖는 유성기어세트로 구성된 변속기 및 차속과 엔진의 출력에 따라 변속비를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유압제어회로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변속기의 유성기어셋트의 변속비는 유성기어셋트에 연결되어 있는 클러치 또는 브레이크의 동작조합에 따라 결정되는데 변속기의 클러치와 브레이크의 동작조합은 유압제어 밸브, 솔레노이드 밸브와 그들을 연결하는 유로로 구성된 유압제어회로에 의하여 구동 제어된다.
상기의 솔레노이드 밸브 구동장치는 운행정보의 검출에 따라 메인 컨트롤 유닛에서 입력되는 포싱신호와 쵸핑신호 및 듀티신호를 논리 조합하여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폐량과 개폐시기 및 주기를 조정하여 임의의 변속단 선택 및 동기를 유지하여 준다.
이 때 솔레노이드 밸브의 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하여 발생하는 오차를 보상하기 위한 고장검출수단이 구비되는데, 종래 솔레노이드 밸브 고장 감지장치는 첨부된 도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시프트레버 포지션 스위치, 스로틀 개도신호, 아이들 포지션신호, 퀵 다운 포지션신호, 오버 드라이브 스위치, 엔진점화시기 제어 등의 운행 정보신호를 입력받아 듀티신호, 포싱신호 그리고 쵸핑신호를 출력하는 메인 컨트롤 유닛(300)과;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300)에서 출력하는 듀티신호, 포싱신호 그리고 쵸핑신호를 조합하여 임의의 변속단을 선택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논리회로부(301)와; 상기 논리회로부(301)에서 발생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310)의 구동을 드라이브하는 구동부(302)와; 상기 구동부(302)에서 출력되는 구동신호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310)의 구동으로 발생되는 출력전압파형을 검출하여 솔레노이드 밸브의 고장여부를 검출하는 고장 감지장치(303)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장 감지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구동부(302)의 출력노드(N)에 연결되고 타단은 접지되어 있는 제1 저항(R1)과; 상기 제1 저항(R1)에 연결되고 출력노드(N)에서 검출된 출력전압을 강하하는 제2 저항(R2)과; 베이스단은 제2 저항(R2)에 연결되고 이미터단은 5V 직류전원과 연결된 트랜지스터(Q)와; 애노드단은 상기 제2 저항(R2)과 트랜지스터(Q)의 베이스의 공통노드에 연결되고 캐소드단은 상기 트랜지스터(Q)의 이미터단과 5V전원의 공통 노드에 연결되는 다이오드(D)와; 한쪽 단은 접지되어 있고 타단은 트랜지스터(Q)의 콜렉터 단에 연결되어 있는 제3 저항(R3)과; 한쪽 단이 제3 저항(R3)과 트랜지스터(Q)의 베이스 단의 공통 노드에 연결되어 있는 제4 저항(R4)과; 한쪽 단은 접지되어 있고 타단은 제4 저항의 타단과 연결되어 있는 커패시터(C)와; 한쪽 단은 커패시터(C)와 제4 저항(R4)의 공통노드에 연결되고 타단은 메인 컨트롤 유닛에 연결되어 있는 제5 저항(R5)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솔레노이드 밸브의 고장 감지장치의 동작은 자동차의 운행정보에 따라 메인 컨트롤 유닛(300)에서 듀티신호와 포싱신호 및 쵸핑신호를 출력하면, 논리회로부(301)는 입력되는 상기 신호로부터 구동부(302)의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구동부(302)로 입력된다. 상기 신호를 입력받은 구동부(302)는 구동부 내의 트랜지스터를 스위칭시켜 솔레노이드 밸브(310)의 구동을 위한 출력전압파형을 형성하여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솔레노이드 밸브(310)가 구동되면 출력노드(N)에 걸리는 전압이 고장 감지징치(303) 내로 입력되는데, 일 예를 들어 상기 고장 감지장치(303)로 입력되는 출력전압파형이 도4의 'b'라고 하면, 상기 도4의 'b'의 구간1에서 '로우'부분이 제1 저항(R1)과, 제2 저항(R2)부분을 지나 트랜지스터(Q)와 다이오드(D)에 도달하면 다이오드(D)에는 역바이어스가 걸려 차단되고 pnp형인 트랜지스터(Q)가 도통되어 제3 저항(R3), 제4 저항(R4), 커패시터(C)로 이루어지는 저역통과필터(LPF : Low Pass Filter)에 5V가 인가된다. 이 때 상기 커패시터(C)에는 충전이 일어나게 되며 메인 컨트롤 유닛으로 입력되는 고장 감지신호는 상기 커패시터(C)에 의하여 도4의 'c'에서와 같이 충전에 의한 지연시간(time delay)td3을 거쳐 '하이'로 나타나게 된다.
상기의 출력전압파형(도4의 'b')에서 구간2의 쵸핑된 파형은 고주파이므로 제3 저항(R3), 제4 저항(R4), 커패시터(C)로 이루어지는 저역통과필터(LPF : Low Pass Filter)에 의하여 필터링되어 고장 감지신호는 계속해서 '하이'로 나타나게 된다.
상기의 출력전압파형(도4의 'b')에서 구간3에서는 다이오드(D)와 트랜지스터(Q)에 출력전압파형의 '하이'가 인가된다. 이럴 경우 상기 다이오드(D)에는 순바이어스가 인가되어 도통되고 트랜지스터(Q)는 pnp형이므로 차단상태가 된다.
따라서 출력전압파형의 구간1과 구간2에서 커패시터(C)에 충전되어 있던 전하가 방전을 하게 되는데 이 때 방전은 도4의 'c'처럼 지연시간 td4만큼 지연되어 방전되면서 고장 감지신호는 '하이'에서 '로우'로 떨어지게 된다.
이렇게 됨으로서 도4의 'c'와 같이 듀티신호(도4의 'a')와 위상이 거의 180°차이가 나는 고장 감지신호가 나타나게 된다.
구간3의 초기 영역의 급격한 파형변화(A)는 듀티신호(도4의 'a')가 '로우'에서 '하이'로 거의 불연속적으로 급변함에 따라 솔레노이드(310)를 구성하는 코일에 큰 전압이 유기되는데, 상기 성질을 상술하면 일정 시간동안 전류가 변하면 코일에는 전압이 유기되며 그 관계는 다음의 수학식1과 같다.
(L : 코일의 인덕턴스, di : 미소전류변위량
dt : 미소시간변위량, V : 유기기전력)
상기의 수학식1을 보면 '로우'에서 '하이'로 아주 짧은 시간에 듀티신호가 변하면 솔레노이드(310)의 코일에 흐르는 전류도 급격하게 변하게 되고 따라서 아주 큰 유기기전력이 출력전압파형에 발생하게 된다.
이제 상기 도4의 'c'와 같은 고장 감지신호가 메인 컨트롤 유닛으로 입력되면 메인 콘트롤 유닛은 도4의 'a'인 듀티신호와 고장 감지신호를 비교하여 솔레노이드 밸브의 고장유무를 판단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고장 감지장치에서 도4의 'b'에서 고주파수를 가지는 쵸핑된 파형의 영향을 없애기 위하여 커패시터(C)의 용량을 크게 하면 저역통과필터에 의하여 쵸핑된 파형의 영향을 크게 줄일 수 있지만 상기 저역통과필터의 시정수 또한 커지게 되어 고장 감지신호(도4의 'c')의 지연시간(td3,td4)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메인 컨트롤 유닛이 신호지연구간(td3,td4)에서 고장의 유무를 체크할 경우 정상적인 동작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메인 컨트롤 유닛은 고장판단을 하게 된다.
이러한 오류를 막기 위하여 메인 컨트롤 유닛은 0∼100%로 변화되는 듀티비에 있어서 0%에 가까운 신호를 출력하고 있을 때는 고장 감지신호의 '하이'에 해당하는 구간만을 체크하고, 100%에 가까운 신호를 출력하고 있을 때는 고장 감지신호의 '로우'에 해당하는 구간만을 체크(여러 번 체크하여 항상 같은 값일 경우만 적용)하여 고장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솔레노이드 고장 감지장치는 저역통과필터의 커패시터 용량을 크게 하여 고주파에 대한 필터링을 향상시키는 대신 지연시간이 증가하게 되어 듀티비가 50%주위로 출력할 경우에는 고장신호입력을 받을 수 없다.
그러므로, 실제 고장발생시 듀티비가 그에 해당하는 값이 될 때까지 (0% 부근 혹은 100% 부근) 정상으로 판단하게 되고 따라서 고장직후부터 고장 판단시까지 변속시마다 변속기어에 심한 충격이 생길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시정수의 증가로 인한 오차를 메인 컨트롤 유닛이 계산을 하여 변속기의 작동을 최적화해야 하므로 소프트웨어가 증가하게 되고 ROM(or flash memory)의 용량 또한 증가하게 되어, 메인 컨트롤 유닛의 부담도 늘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기존의 고장 감지장치의 저역통과필터 대신에 제너다이오드와 저항 그리고 커패시터의 결합을 이용하여 솔레노이드 밸브 구동장치의 구성요소인 구동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제너다이오드에 인가함으로써 상기 제너다이오드의 상태를 역방향 도통, 순방향 도통, 차단으로 변화시킨다.
그에 따라 제너다이오드에 접속된 저항들 사이의 연결상태와 전류의 방향이 변화되어 각각의 상태에 따라 커패시터의 충방전 또한 세 가지 형태로 형성되어, 그에 따른 충방전시간이 조절됨으로써 고장 감지신호의 신호지연시간을 아주 짧게 형성하여 상기 고장 감지신호와 듀티신호가 거의 비슷한 고장 감지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의 고장 감지장치에 대한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의 고장 감지장치에서 고장 감지신호가 형성되기까지의 파형도.
도3은 종래 기술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의 고장 감지장치의 구성도.
도4는 종래의 솔레노이드 밸브의 고장 감지장치에서 고장 감지신호가 형성되기까지의 파형도.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의 고장 감지장치를 도1과 도2를 통하여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겠다.
본 고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 구동장치는 시프트레버 포지션 스위치, 스로틀 개도신호, 아이들 포지션신호, 퀵 다운 포지션신호, 오버 드라이브 스위치, 엔진점화시기 제어 등의 운행 정보신호를 입력받아 듀티신호, 포싱신호 그리고 쵸핑신호를 출력하는 메인 컨트롤 유닛(100)과;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100)에서 출력하는 듀티신호, 포싱신호 그리고 쵸핑신호를 조합하여 임의의 변속단을 선택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논리회로부(101)와; 상기 논리회로부(101)에서 발생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110)의 구동을 드라이브하는 구동부(102)와; 상기 구동부(102)에서 출력되는 구동신호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110)의 구동으로 발생되는 출력전압파형을 검출하여 솔레노이드 밸브의 고장여부를 검출하는 본 발명에 따른 고장 감지장치(103)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고장 감지장치(103)의 구성은 출력노드(N)와 접속되고 타단은 접지되어 구동부(102)의 구동신호와 솔레노이드(110)의 구동으로 발생되는 출력전압파형으로 인한 전류를 분할하는 제1 저항(R1)과; 한 쪽단은 상기 제1 저항(R1) 연결되는 제2 저항(R2)과; 캐소드단은 상기 제2 저항(R2)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너다이오드(ZD)와; 한쪽 단은 제1 저항(R1)과 제2 저항(R2)의 공통 단자에 연결되며, 타단은 제너다이오드(ZD)의 애노드 단에 연결된 제3 저항(R3)과; 한쪽 단은 접지되며 타단은 제너다이오드(ZD)와 제3 저항(R3)의 공통단자에 연결된 커패시터(C)와; 한쪽 단은 커패시터(C), 제어다이오드(ZD), 제3 저항(R3)의 공통 단자에 연결된 제4 저항(R4)과; 베이스단은 상기 제4 저항(R4)의 타단에 연결되고 이미터단은 5V 직류전원과 메인 컨트롤 유닛(100)으로 입력되는 고장 감지회로(103)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콜렉터 단은 접지되는 트랜지스터(Q)로 되어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솔레노이드 밸브의 고장 감지장치의 동작은 자동차의 운행정보에 따라 메인 컨트롤 유닛(100)에서 듀티신호와 포싱신호 및 쵸핑신호를 출력하면, 논리회로부(101)는 입력되는 상기 신호로부터 구동부(102)의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구동부(102)로 입력된다. 상기 신호를 입력받은 구동부(102)는 구동부 내의 트랜지스터를 스위칭시켜 솔레노이드 밸브(110)의 구동을 위한 출력전압파형을 형성하여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솔레노이드 밸브(110)가 구동되면 출력노드(N)에 걸리는 전압이 고장 감지징치(103) 내로 입력되는데, 일 예를 들어 상기 고장 감지장치(103)로 입력되는 출력전압파형이 도2의 'b'라고 하면, 상기 도2의 'b'와 같은 출력전압파형의 구간 0의 '하이'부분에서 커패시터(C)는 충전이 된 상태이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구간 4에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구간1에서 '로우'신호가 인가되면 커패시터(C)의 전압은 구간 0D서 충전이 된 상태이므로 출력전압보다 고전위가 되고 따라서 제너다이오드(ZD)가 순방향으로 도통되면서 제2 저항(R2)과 제3 저항(R3)이 병렬관계가 된다.
상기 두 저항의 병렬관계는 커패시터(C), 제2 저항(R2), 제3 저항(R3)으로 이루어지는 회로의 시상수를 작게 하여 방전시간을 짧게 함으로써 빠르게 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커패시터(C)의 전하가 급속히 방전되어 커패시터(C)에 걸리는 전압이 '로우'로 변하게 되고 이 전압이 제4 저항(R4)을 거쳐 트랜지스터(Q)에 인가되면 npn형인 트랜지스터는 차단상태가 되고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5V의 전원은 직접 메인 컨트롤 유닛(100)에 '하이'의 동작감지신호를 보내게 된다.
이 때 도2의 '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아주 짧은 지연시간 td1이 생기는데 이것은 커패시터(C)의 급격한 방전에 인한 것으로 거의 무시할 수 있는 정도이다.
도2의 'b'의 구간2의 쵸핑구간을 고찰해 보면, 상기 쵸핑파형의 '하이'부분에서는 제너다이오드(ZD)가 차단되어 전류는 제3 저항(R3)만을 통하여 커패시터(C)에 충전이 일어난다. 이 때 충전은 제3 저항(R3)만이 관계하므로 시상수가 커져 충전이 서서히 일어나게 된다.
이어서 상기 파형의 '로우'부분에서는 직전의 '하이'부분에서 일어난 커패시터(C)의 충전 때문에 제너다이오드(ZD)가 순방향으로 도통되고 따라서 제2 저항(R2)과 제3 저항(R3)이 병렬관계가 되는데 상기 병렬관계는 방전으로 인한 지연시간을 줄어들게 하여 급속한 방전이 일어나게 된다.
상기 쵸핑된 파형이 '하이'에서 '로우'로 변함에 있어서 쵸핑된 파형의 주기는 커패시터(C)의 완전한 충, 방전에 필요한 시간보다 훨씬 짧기 때문에 도2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Q)의 도통전압보다 훨씬 작은 전압이 나타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커패시터(C)가 충전이 되기 시작하자마자 쵸핑된 파형이 '로우'로 변하여 완전히 충전이 되기도 전에 급격한 방전이 일어나게 된다. 이렇게 됨으로써 구간2에서 커패시터(C)에 충전되는 전압은 트랜지스터(Q)의 도통전압보다는 훨씬 작아 여전히 고장 감지신호는 도2의 'd'와 같이 '로우'로 나타나게 된다.
도2의 'a'인 듀티신호가 '로우'에서 '하이'로 변함에 따라 도2의 'b'인 출력전압파형도 '로우'에서 '하이'로 변하게 되는데 이 때 솔레노이드 밸브의 코일에는 큰 유기기전력이 발생하게 된다.
그 원인은 종래기술 도4의 'b'의 구간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코일에서는 수학식1에서와 같이 짧은 시간에 급격한 솔레노이드를 흐르는 전류의 변화 때문에 아주 큰 유기기전력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구간3에서 고압의 전압펄스가 발생하면 이 전압으로 인해 제너다이오드(ZD)에는 큰 역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고 따라서 제너다이오드(ZD)는 제너항복현상을 일으켜 역방향으로 도통하게 된다.
따라서 제2 저항(R2)과 제3 저항(R3)이 병렬연결이 되면서 커패시터(C)에는 급격히 충전이 일어나게 된다. 이렇게 커패시터(C)에 충전이 되면 트랜지스터(Q)에는 '하이'의 전압이 인가되고 이것은 상기 트랜지스터(Q)를 도통시키고 이렇게 되면 상기 트랜지스터에 연결되어 있는 5V의 전원이 그대로 접지되어 고장 감지신호는 '로우'로 변하게 된다.
이 때 상기의 커패시터(C)의 충전이 급격히 일어나기 때문에 도2의'd'에서 보는 것처럼 고장 감지신호가 '하이'에서 '로우'로 변하는 지연시간 td2는 그만큼 줄어들게 되며 본 발명에서는 거의 무시할 정도가 된다.
구간4에서 유기기전력이 사라지고 '하이'의 정전압이 걸리게 되므로 제너다이오드(ZD)는 차단되고 제3 저항(R3)을 통하여 충전의 상태가 유지되므로 트랜지스터(Q)는 도통되어 고장 감지신호는 도2의 'd'처럼 '로우'로 나타나게 된다.
이처럼 듀티신호와 출력전압파형에 따라서 커패시터(C)에 충, 방전되는 전압의 기울기가 달라짐으로써 충, 방전시간 즉 신호의 지연시간이 도2의'd'에서의 td1과 td2처럼 거의 무시할 정도로 감소하여 완벽한 동작감지신호를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 기술의 출력전압파형중 쵸핑신호가 직접적으로 트랜지스터(Q)에 연결되어 있는 메인 컨트롤 유닛(100)을 구동시키는 5V전원과 연결되어 전기적 간섭이 발생하는 반면 본 발명에 의한 고장 감지장치에서는 출력전압파형의 쵸핑신호가 제너다이오드와 저항을 거치게 되므로 상기 쵸핑신호에 대한 간섭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고장 감지장치는 종래의 기술에 비해 신호지연이 거의 없는 고장 감지장치를 구현함으로써 기존 회로에 비해 비용은 같으면서 메인 컨트롤 유닛으로 하여금 오진단을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거하였고, 이로 인해 소프트웨어 및 메인 컨트롤 유닛의 부담율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 밸브에 공급되는 배터리전압과 메인 컨트롤 유닛에서 사용하는 5V전원과의 전기적인 간섭을 줄임으로써 메인 컨트롤 유닛전원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솔레노이드 밸브의 고장을 진단할 수 있는 시간을 대폭 확장함으로써 고장시 빠른 대응을 할 수 있다.

Claims (3)

  1. 솔레노이드 밸브의 구동장치에 있어서, 차량 운행 상태를 입력받아 듀티신호, 포싱신호 그리고 쵸핑신호를 출력하는 메인 컨트롤 유닛과;
    상기 듀티신호, 포싱신호, 쵸핑신호를 조합하여 구동부의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논리회로부와;
    상기의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 작용을 하여 솔레노이드의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구동부에서 출력되는 구동신호를 이용하여 솔레노이드 밸브의 고장여부를 감지하는 고장 감지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고장 감지 장치는,
    출력노드와 접속되고 타단은 접지되어 구동부의 구동신호와 솔레노이드의 구동으로 발생되는 출력전압파형으로 인한 전류를 분할하는 제1 저항과;
    한 쪽단은 상기 제1 저항 연결되는 제2 저항과;
    캐소드단은 상기 제2 저항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너다이오드와;
    한쪽 단은 제1 저항과 제2 저항의 공통 단자에 연결되며, 타단은 제너다이오드의 애노드단에 연결되는 제3 저항과;
    한쪽 단은 접지되며 타단은 제너다이오드와 제3 저항의 공통단자에 연결된 커패시터와;
    한쪽 단은 커패시터, 제어다이오드, 제3 저항의 공통 단자에 연결된 제4 저항과;
    베이스단은 상기 제4 저항의 타단에 연결되고 이미터단은 5V 직류전원과 메인 컨트롤 유닛으로 입력되는 고장 감지회로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콜렉터 단은 접지되는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고장 감지장치.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제너다이오드는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순방향 도통, 역방향 도통, 차단으로 변하여 제2 저항과 제3 저항의 연결관계를 각각의 상태에 따라 변화시켜 커패시터의 충방전을 3단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고장 감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솔레노이드 밸브에 공급되는 배터리전압과 고장 감지회로에서 사용되는 5V 직류전원이 직결되지 않게 하여 출력전압의 쵸핑파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노이즈의 간섭을 배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고장 감지장치.
KR1019980055596A 1998-12-17 1998-12-17 솔레노이드밸브의고장감지장치 KR100309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5596A KR100309016B1 (ko) 1998-12-17 1998-12-17 솔레노이드밸브의고장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5596A KR100309016B1 (ko) 1998-12-17 1998-12-17 솔레노이드밸브의고장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0051A true KR20000040051A (ko) 2000-07-05
KR100309016B1 KR100309016B1 (ko) 2002-02-28

Family

ID=19563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5596A KR100309016B1 (ko) 1998-12-17 1998-12-17 솔레노이드밸브의고장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90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683B1 (ko) * 2001-10-29 2003-08-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솔레노이드 밸브 구동장치
KR100496837B1 (ko) * 2001-01-30 2005-06-22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자동 변속기를 위한 솔레노이드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303218B1 (ko) * 2011-10-24 2013-09-04 에스엘 주식회사 변속 레버의 솔레노이드 전류지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13537U (ko) * 1988-01-26 1989-07-31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837B1 (ko) * 2001-01-30 2005-06-22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자동 변속기를 위한 솔레노이드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394683B1 (ko) * 2001-10-29 2003-08-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솔레노이드 밸브 구동장치
KR101303218B1 (ko) * 2011-10-24 2013-09-04 에스엘 주식회사 변속 레버의 솔레노이드 전류지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9016B1 (ko) 200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30438A (en) Method and device for functional monitoring of an electrical load
US5785020A (en) Combustion state detecting apparatus for an internal-combustion engine
US5079667A (en) Relay driving circuit for a latch-in relay
JPH109101A (ja) 自動車のスタータの遮断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9587616B2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gnition device
JPH05196677A (ja) 駆動回路の故障検出装置
EP0343536B1 (en) Circuit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of an electrical load, having a device for detecting a short-circuit of the load
EP0526219A2 (en) Ignition system
US6920783B2 (en) Automotive ignition monitoring system with misfire and fouled plug detection
US4041809A (en) Multiple-transmission-ratio transmission arrangement with gear-shift overlap action of automatically varied duration
US4355607A (en) Safety disengagement device for automotive speed control system
EP0740073B1 (en) Circuit for detecting an overvoltage on an electric load
KR100309016B1 (ko) 솔레노이드밸브의고장감지장치
EP0508314B1 (en) Circuit for detecting short-circuiting of inductive load drive devices
GB2311559A (en) Recognising switching instants in the control of an electromagnetic switching device, eg in fuel injection systems
WO2019220716A1 (ja) 負荷駆動装置
US5218339A (en) Arrangement for monitoring a consumer in combination with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or a motor vehicle
US4322642A (en) Frequency discriminating circuit
JPH0980107A (ja) 電子制御式自動変速機のリニアソレノイド端子間ショートの検出方法
JPS6253365B2 (ko)
JP2001216878A (ja) スイッチ状態監視回路及びスイッチ
US6006150A (en) Communications device for control device
US7639055B2 (en) PWM signal generator
EP0748449A1 (en) Speed sensor and conditioning circuit
US6218739B1 (en) Procedure for the functional testing of a vehicle occupant protection system as well as a test circuit for implementing the proced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