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9870A - 이동통신 단말기용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용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9870A
KR20000039870A KR1019980055337A KR19980055337A KR20000039870A KR 20000039870 A KR20000039870 A KR 20000039870A KR 1019980055337 A KR1019980055337 A KR 1019980055337A KR 19980055337 A KR19980055337 A KR 19980055337A KR 20000039870 A KR20000039870 A KR 20000039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liquid crystal
ic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5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7178B1 (ko
Inventor
이용희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80055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7178B1/ko
Publication of KR20000039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9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7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71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용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해당 단말기의 운용상태를 사용자에게 확인시켜주는 경우에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표시정보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용 액정표시장치에서 기능상태 표시영역에는 여러개의 아이콘들이 일렬로 배치되어 있어서 각 아이콘의 표시 크기가 작기 때문에 사용자가 각 기능 아이콘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해당 단말기의 운용상태를 사용자에게 확인시켜주는 경우에 여러개의 표시창을 통해 표시정보를 표시하므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표시정보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해당 단말기의 운용상태를 사용자에게 확인시켜주는 경우에 사용자가 빈번이 확인하는 기능 아이콘을 하나의 표시창을 통해 표시함과 아울러 그외의 여러 가지 기능 아이콘과 문자표시부를 또다른 표시창을 통해 표시하므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표시정보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존에 1개로 구성되었던 표시창을 여러개로 분리함으로써, 분리된 표시창 내부의 아이콘을 다양하게 디자인할 수 있으므로, 제품을 더욱 고급화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용 액정표시장치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용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해당 단말기의 운용상태를 사용자에게 확인시켜주는 경우에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표시정보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해당 단말기의 운용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하여 각종 표시정보를 액정표시장치를 통해 출력하는데, 사용자가 해당 단말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액정표시장치에 출력되는 표시정보를 주의깊게 확인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도1에 도시된 바와같은 액정표시장치를 사용하여 표시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즉, 액정표시장치의 표시부분을 문자표시영역(10)과 기능상태 표시영역(20)으로 구분하여, 문자표시영역(10)에는 문자정보를 표시하고, 기능상태 표시영역(20)에는 다수의 아이콘을 구비하여 해당 아이콘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준다. 기능상태 표시영역(20)에 구비되어 있는 각 아이콘들에 대한 기능은 도2에 설명된 바와 같다.
이상과 같은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용 액정표시장치에서 기능상태 표시영역(20)에는 여러개의 아이콘들이 일렬로 배치되어 있어서 각 아이콘의 표시 크기가 작기 때문에 사용자가 각 기능 아이콘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해당 단말기의 운용상태를 사용자에게 확인시켜주는 경우에 사용자가 빈번이 확인하는 기능 아이콘을 하나의 표시창을 통해 표시함과 아울러 그외의 여러 가지 기능 아이콘과 문자표시부를 또다른 표시창을 통해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표시정보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해당 단말기의 운용상태를 사용자에게 확인시켜주는 경우에 여러개의 표시창을 통해 표시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표시정보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도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액정표시장치에 대한 구성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아이콘(ICON)의 세부 기능을 설명한 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액정표시장치의 구성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액정표시장치의 표시창을 나타낸 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문자표시영역 40 : 기능상태 표시영역
50 : 분리표시영역 W1, W2 : 표시창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이동통신 단말기용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다수개의 표시창을 구비하여, 표시정보를 상기 다수개의 표시창을 통해 표시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이동통신 단말기용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문자정보와 다수의 아이콘을 제1 표시창을 통해 표시하고, 상기 아이콘과 다른 다수의 아이콘을 제2 표시창을 통해 표시하되; 상기 제1 및 제2 표시창은 서로 상이한 색상을 구비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액정표시장치는 도3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문자표시영역(30), 기능상태 표시영역(40) 및 분리표시영역(50)을 구비하여, 문자표시영역(30)에는 문자정보를 표시하고, 기능상태 표시영역(40)에는 다수의 아이콘을 구비하여 해당 아이콘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며, 분리표시영역(50)에는 사용자가 빈번히 확인하는 아이콘을 확대된 형태로 표시한다. 분리표시영역(50)에 구비되는 아이콘은 기존의 기능상태 표시영역에 구비되었던 아이콘인데, 이와같이 기존의 기능상태 표시영역에 구비되었던 빈번히 확인하는 아이콘을 분리표시영역(50)에 구비함으로써 기능상태 표시영역(40)에 구비되는 아이콘들의 표시 크기를 증가시켜 기능상태 표시영역(40)의 아이콘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한다.
또한, 문자표시영역(30)과 기능상태 표시영역(40)은 함께 하나의 표시창을 통해 표시되고, 분리표시영역(50)의 아이콘은 또다른 하나의 표시창을 통해 표시되는데, 도4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 표시창(W1)과 제2 표시창(W2)을 통해 표시한다. 즉, 문자표시영역(30)과 기능상태 표시영역(40)은 통합되어 제1 표시창(W1)을 통해 표시되고, 분리표시영역(50)의 아이콘은 제2 표시창(W2)을 통해 표시된다. 한편, 제1 표시창(W1)과 제2 표시창(W2)의 색상을 상호 다르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표시정보를 용이하게 식별하여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액정표시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액정표시 구동회로에 의해 동작하여 표시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문자정보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해당 문자(영문자 또는 한글문자)를 문자표시영역(30)에 표시하고, 단말기의 기능 상태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기능상태 표시영역(40)에 구비된 해당 아이콘으로써 기능상태를 표시하고, 단말기의 수신 신호 세기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분리표시영역(50)에 구비된 안테나-바아 아이콘으로써 수신 신호 세기를 표시하고, 단말기가 서비스 불가능 지역에 있음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분리표시영역(50)에 구비된 NO SVC 아이콘으로써 서비스 불가능 지역에 위치함을 표시한다.
이와같이 표시정보를 표시하는 경우 문자표시영역(30)과 기능상태 표시영역(40)에 표시되는 정보는 제1 색상을 구비하는 제1 표시창(W1)을 통해 표시되고, 분리표시영역(50)에 표시되는 정보는 제2 색상을 구비하는 제2 표시창(W2)을 통해 표시되므로, 사용자가 해당 제1 및 제2 색상에 의해 제1 표시창(W1)의 정보와 제2 표시창(W2)의 정보를 용이하게 구분하여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빈번히 확인하는 기능상태를 분리표시영역(50)의 확대된 아이콘을 통해 표시하므로 해당 빈번히 확인하는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기존의 기능상태 표시영역에 구비되었던 빈번히 확인하는 아이콘을 분리표시영역(50)에 표시함으로써 기능상태 표시영역(40)에 구비되는 아이콘들의 표시 크기를 증가시켜 표시하므로 기능상태 표시영역(40)의 아이콘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이상의 설명에서는 제1 및 제2 표시창(W1, W2)을 구비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2개 이상의 표시창을 구비하여 해당 표시창을 통해 여러 가지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실시할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해당 단말기의 운용상태를 사용자에게 확인시켜주는 경우에 여러개의 표시창을 통해 표시정보를 표시하므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표시정보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해당 단말기의 운용상태를 사용자에게 확인시켜주는 경우에 사용자가 빈번이 확인하는 기능 아이콘을 하나의 표시창을 통해 표시함과 아울러 그외의 여러 가지 기능 아이콘과 문자표시부를 또다른 표시창을 통해 표시하므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표시정보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존에 1개로 구성되었던 표시창을 여러개로 분리함으로써, 분리된 표시창 내부의 아이콘을 다양하게 디자인할 수 있으므로, 제품을 더욱 고급화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이동통신 단말기용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다수개의 표시창을 구비하여, 표시정보를 상기 다수개의 표시창을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액정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표시창은 서로 다른 색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액정표시장치.
  3. 이동통신 단말기용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문자정보와 다수의 아이콘을 제1 표시창을 통해 표시하고, 상기 아이콘과 다른 다수의 아이콘을 제2 표시창을 통해 표시하되; 상기 제1 및 제2 표시창은 서로 상이한 색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액정표시장치.
KR1019980055337A 1998-12-16 1998-12-16 이동통신단말기용액정표시장치 KR100337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5337A KR100337178B1 (ko) 1998-12-16 1998-12-16 이동통신단말기용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5337A KR100337178B1 (ko) 1998-12-16 1998-12-16 이동통신단말기용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9870A true KR20000039870A (ko) 2000-07-05
KR100337178B1 KR100337178B1 (ko) 2002-09-27

Family

ID=19563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5337A KR100337178B1 (ko) 1998-12-16 1998-12-16 이동통신단말기용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717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432B1 (ko) * 2005-02-07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인디케이터 표시창 구조
KR100706057B1 (ko) * 2001-04-26 2007-04-13 노키아 코포레이션 모바일 단말기에서 우선 순위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방법 및 장치
KR100871524B1 (ko) * 2004-08-30 2008-12-05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표시 제어 디바이스, 표시 장치, 표시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표시 제어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US7817106B2 (en) 2004-09-15 2010-10-19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viewing angle contro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7834834B2 (en) 2004-09-07 2010-11-16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viewing angle contro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8031273B2 (en) 2004-09-17 2011-10-04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viewing angle contro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8094103B2 (en) 2004-08-31 2012-01-10 Sharp Kabushiki Kaisha Viewing-angle control device,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viewing-angle control device, viewing-angle control program, and storage medium storing the program
US8184145B2 (en) 2004-10-04 2012-05-22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522B1 (ko) * 2005-04-20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아이콘 표시 및 바로가기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4298B1 (ko) * 1998-02-11 2000-12-15 이상철 플립형 휴대전화 단말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057B1 (ko) * 2001-04-26 2007-04-13 노키아 코포레이션 모바일 단말기에서 우선 순위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방법 및 장치
KR100871524B1 (ko) * 2004-08-30 2008-12-05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표시 제어 디바이스, 표시 장치, 표시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표시 제어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US8094103B2 (en) 2004-08-31 2012-01-10 Sharp Kabushiki Kaisha Viewing-angle control device,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viewing-angle control device, viewing-angle control program, and storage medium storing the program
US7834834B2 (en) 2004-09-07 2010-11-16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viewing angle contro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7817106B2 (en) 2004-09-15 2010-10-19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viewing angle contro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8031273B2 (en) 2004-09-17 2011-10-04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viewing angle contro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8184145B2 (en) 2004-10-04 2012-05-22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0677432B1 (ko) * 2005-02-07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인디케이터 표시창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7178B1 (ko) 200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4676A (en) Multi-language display keypad
EP1513324A2 (en) Switch unit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using the switch unit
EP1796074A1 (en) Electronic terminal having screen division display function and screen display driving method thereof
KR100337178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액정표시장치
KR100242752B1 (ko) 디스플레이 기능을 가진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및 화상 정보 표시 방법
US6198061B1 (en) Switch device
KR20010085417A (ko)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하는 장치 및 정보를디스플레이하는 방법
KR100511145B1 (ko) 무선 장치
KR20090098886A (ko) Pdlc를 이용하는 2차 디스플레이
KR19990009326A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전화기의 키패드
KR100774477B1 (ko) 다중 디스플레이 수단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US6218957B1 (en) Radio selective calling receiver
KR20000012541U (ko) 투명버튼이 구비되는 휴대폰
JPS6086955A (ja) 多機能型電話機
KR100747969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다중 키패드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
ATE267494T1 (de) Eingabevorrichtung für funkbetriebene kommunikationsendgeräte
KR10102490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메뉴 선택 방법
KR100306486B1 (ko) 문자입력이용이한이동전화기의제어방법
JP3231889B2 (ja) データ処理装置
TW200816034A (en) Character input device
KR20050026112A (ko) 문자 입력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100504827B1 (ko) 휴대폰에서의 매뉴얼 표시방법
KR20050021820A (ko) 다목적기능을 갖는 착탈식 양면 키패드모듈
KR100409278B1 (ko) 문자 입력 방법
JP2003177861A (ja) キー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