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7596A - 객체지향 모형화 도구 및 그의 논리적 정보와그래픽 정보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객체지향 모형화 도구 및 그의 논리적 정보와그래픽 정보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7596A
KR20000037596A KR1019980052223A KR19980052223A KR20000037596A KR 20000037596 A KR20000037596 A KR 20000037596A KR 1019980052223 A KR1019980052223 A KR 1019980052223A KR 19980052223 A KR19980052223 A KR 19980052223A KR 20000037596 A KR20000037596 A KR 20000037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phic
component object
component
logical
graphic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2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3099B1 (ko
Inventor
이선미
이원천
김진삼
전진옥
Original Assignee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정선종
Priority to KR1019980052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3099B1/ko
Publication of KR20000037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7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3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30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20Software design
    • G06F8/24Object-orien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4Graphical or visual programm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8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for implementing user interfaces

Abstract

본 발명은 객체지향 모형화 도구 및 그의 논리적 정보와 그래픽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이어그램 편집기로부터 입력된 그래픽 구성요소와 내부에서 곤리되는 논리적 구성요소를 동기적으로 처리해주면서 객체의 생성, 삭제 및 다이어그램 생성, 삭제에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모형객체 처리기와; 상기 모형객체 처리기와 정보를 상호 교환하여 다이어그램 단위로 표현되어지는 그래픽 구성요소 객체를 관리하기 위한 그래픽 구성요소 관리기와; 상기 모형객체 처리기 및 그래픽 구성요소 관리기 각각에 정보를 상호 교환하여 논리적 구성요소 객체들을 관리하기 위한 논리적 구성요소 관리기와; 상기 모형객체 처리기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아 화면에 여러 그래픽 구성요소 객체들을 표시하면서 동시에 윈도우에 국한된 정보를 보유하고, 사용자에 의한 수정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다이어그램 윈도우 관리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객체와 시스템 내부에서 관리되는 논리적 객체간 동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객체지향 모형화 도구 및 그의 논리적 정보와 그래픽 정보 처리 방법을 제시한다.

Description

객체지향 모형화 도구 및 그의 논리적 정보와 그래픽 정보 처리 방법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객체와 시스템 내부에서 관리되는 논리적 객체간에 동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객체지향 모형화 도구 및 그의 논리적 정보와 그래픽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프트웨어 시스템은 시스템을 보는 관점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로 모형화할 수 있고, 그 모형은 시스템 개발 시에 하나로 통합되어야 하므로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관점별 모형화 및 통합화는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필연적인 기술이다.
통합 모형화 언어(Unified Modeling Language; 이하 UML이라 함)는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분석 설계 표기법의 표준으로써, 종래 객체지향 개발 방법론인 객체모형화 기법(OMT, Rumbaugh에 의해 정의됨), 사용사례중심 객체지향 설계(Jacobson에 의해 정의됨), 객체지향 설계(Booch에 의해 정의됨) 등 종래의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들은 개발 대상 시스템을 표현하는 모형들간의 통합화 방안이 미흡하였다. 시스템을 표현하는 모형에는 시스템이 사용자에게 서비스하는 관점에서 모형화하는 기능 모형(Functional Model), 시스템이 사용자와 동작하는 관점에서 모형화하는 상호작용 모형(Interaction Model), 개발되어질 시스템의 구조적인 관점에서 모형화하는 구조 모형(Structural Model)으로 대별할 수 있다. UML은 메타모형을 통하여 의미와 표기법 상으로 각 모형들간의 통합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그러므로 UML의 의미와 표기법을 완벽하게 지원하는 도구의 개발에 있어, 모형들 간의 상호 정보공유 및 시각 그래픽 정보의 생성 및 관리는 사용자를 위하여 반드시 요구되는 기능이라 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모형화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작업단위는 다이어그램이다. 그리고, 그 다이어그램 안에 모형요소들이 존재하므로, 그래픽 객체 즉, 모형요소들은 다이어그램과 계층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특정 다이어그램과 계층관계를 형성한 특정 모형요소가 다른 다이어그램에도 함께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는, 어떤 다이어그램에 존재하는 특정 모형요소가 다른 다이어그램에는 변형된 모습으로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에 나와 있는 UML 지원 모델링 도구는 다이어그램과 모형요소간 계층관계를 나타내지 않고 동일 계층으로 표현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의 다이어그램 기반 시스템 모형화 작업과 일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화면상에 표시되는 외형적인 객체와 시스템 내에서 유일하게 존재하게 되는 논리적 객체를 분리하여 관리하되, 사용자에게 계층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객체지향 모형화 도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 객체지향 모형화 도구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객체의 생성 및 삭제 작업시, 그래픽 객체와 논리적 객체 정보사이의 동시성 확보 및 객체의 속성의 갱신에 대한 동시성 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객체지향 모형화 도구의 논리 정보 및 그래픽 정보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객체지향 모형화 도구는 다이어그램 편집기로부터 입력된 그래픽 구성요소와 내부에서 관리되는 논리적 구성요소를 동기적으로 처리해주면서 객체의 생성, 삭제 및 다이어그램 생성, 삭제에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모형객체 처리기와; 상기 모형객체 처리기와 정보를 상호 교환하여 다이어그램 단위로 표현되어지는 그래픽 구성요소 객체를 관리하기 위한 그래픽 구성요소 관리기와; 상기 모형객체 처리기 및 그래픽 구성요소 관리기 각각에 정보를 상호 교환하여 논리적 구성요소 객체들을 관리하기 위한 논리적 구성요소 관리기와; 상기 모형객체 처리기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아 화면에 여러 그래픽 구성요소 객체들을 표시하면서 동시에 윈도우에 국한된 정보를 보유하고, 사용자에 의한 수정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다이어그램 윈도우 관리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객체지향 모형화 도구의 논리적 정보와 그래픽 정보 처리 방법은 사용자가 그래픽 편집기를 통한 그래픽 구성요소 객체의 입력시, 다이어그램의 하부에 새로운 그래픽 구성요소 객체를 생성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로부터 그래픽 구성요소 객체에 부여된 이름과 일치하는 논리적 구성요소 객체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로부터 논리적 구성요소 객체가 존재하지 않으면, 현 그래픽 구성요소 객체를 근간으로 하여 논리적 구성요소 객체를 생성하고 그래픽 구성요소 객체가 생성된 다이어그램을 부모속성에 추가하여 그래픽 구성요소 객체를 기본-그래픽 구성요소 객체로 지정한 후 객체 생성 완료 화면을 출력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로부터 논리적 구성요소 객체가 존재하면, 그래픽 구성요소 객체를 논리적 구성요소 객체의 클론-그래픽 구성요소 객체로 추가한 후, 객체 생성 완료 화면을 출력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객체지향 모형화 도구의 논리적 정보와 그래픽 정보 처리 방법은 그래픽 구성요소 객체의 삭제 요청에 따라, 논리적 구성요소 객체의 근간이 되는 베이스-그래픽 구성요소 객체인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로부터 베이스-그래픽 구성요소 객체일 경우에는 클론-그래픽 구성요소 객체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베이스-그래픽 구성요소 객체가 아닐 경우에는 그래픽 구성요소 객체를 삭제한 후 삭제 완료 화면을 출력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로부터 클론-그래픽 구성요소 객체가 존재할 경우에는 모든 클론-그래픽 구성요소 객체의 삭제 여부를 판단하고, 클론-그래픽 구성요소 객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그래픽 구성요소 객체를 삭제한 후 삭제 완료 화면을 출력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로부터 모든 클론-그래픽 구성요소 객체의 삭제 명령일 경우에는 모든 클론-그래픽 구성요소 객체를 삭제한 후 삭제 완료 화면을 출력하고, 모든 클론-그래픽 구성요소 객체의 삭제 명령이 아닐 경우에는 선택된 클론-그래픽 구성요소 객체만을 삭제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그래픽 편집기를 통한 그래픽 구성요소 객체의 입력시, 다이어그램의 하부에 새로운 그래픽 구성요소 객체를 생성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로부터 그래픽 구성요소 객체에 부여된 이름과 일치하는 논리적 구성요소 객체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로부터 논리적 구성요소 객체가 존재하지 않으면, 현 그래픽 구성요소 객체를 근간으로 하여 논리적 구성요소 객체를 생성하고 그래픽 구성요소 객체가 생성된 다이어그램을 부모속성에 추가하여 그래픽 구성요소 객체를 기본-그래픽 구성요소로 지정한 후 객체 생성 완료 화면을 출력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로부터 논리적 구성요소 객체가 존재하면, 그래픽 구성요소 객체를 논리적 구성요소 객체의 클론-그래픽 구성요소 객체로 추가한 후, 객체 생성 완료 화면을 출력하는 제 4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그래픽 구성요소 객체의 삭제 요청에 따라, 논리적 구성요소 객체의 근간이 되는 베이스-그래픽 구성요소 객체인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로부터 베이스-그래픽 구성요소 객체일 경우에는 클론-그래픽 구성요소 객체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베이스-그래픽 구성요소 객체가 아닐 경우에는 그래픽 구성요소 객체를 삭제한 후 삭제 완료 화면을 출력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로부터 클론-그래픽 구성요소 객체가 존재할 경우에는 모든 클론-그래픽 구성요소 객체의 삭제 여부를 판단하고, 클론-그래픽 구성요소 객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그래픽 구성요소 객체를 삭제한 후 삭제 완료 화면을 출력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로부터 모든 클론-그래픽 구성요소 객체의 삭제 명령일 경우에는 모든 클론-그래픽 구성요소 객체를 삭제한 후 삭제 완료 화면을 출력하고, 모든 클론-그래픽 구성요소 객체의 삭제 명령이 아닐 경우에는 선택된 클론-그래픽 구성요소 객체만을 삭제하는 제 4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논리적 구성요소 파생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그래픽 구성요소 파생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논리적 구성요소 관리기와 그래픽 구성요소 관리기간의 상호 연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객체지향 모형화 도구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 정보 입력 처리 과정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 정보 삭제 처리 과정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다이어그램 편집기 2 : 모형객체 처리기
3 : 다이어그램 윈도우 관리기 4 : 논리적 구성요소 관리기
5 : 그래픽 구성요소 관리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논리적 구성요소 파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그래픽 구성요소 파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논리적 구성요소 관리기와 그래픽 구성요소 관리기간의 상호 연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객체지향 모형화 도구의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 정보 입력 처리 과정의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 정보 삭제 처리 과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1. 논리적 구성요소
논리적 구성요소(Logical Component; 이하 LC라고 함)는 UML 객체를 표현하는 기본적인 객체이다. 이것은 화면상에 표출되는 그래픽 구성요소(GC)와는 다르게 의미론적인 부분만을 가지기 때문에 매우 간소한 인터페이스만을 가진다. 별도의 특성(Property)을 가진다.
LC는 각각이 하나의 클래스(class)로 정의되어 진다. LC의 특성을 크게 구분하였을 때, UML의 클래스(Class)나 액터(Actor)와 같이 독립적인 LC와, 클래스도나 패키지(Package)와 같이 하부에 다시 다른 객체를 포함할 수 있는 LC가 있다. 이에 따라, 전체 LC는 기본 베이스 클래스인 TLC Base 타입에서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LC 객체의 베이스가 되는 TLC Element 클래스와, 다이어그램과 같이 또다른 객체를 포함할 수 있는 TLC Container 클래스로 파생된다.
실제 사용하게 되는 LC 클래스들은 모두 이 두가지 클래스(TLC Element, TLC Container)에서 파생되어지며, 기초 베이스 클래스인 TLC Base는 모든 LC 객체를 참조하기 위한 기본형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구체적인 LC 클래스 파생도는 도 1에 도시되었다.
2. 그래픽 구성요소
그래픽 구성요소(Graphical Component, 이하 GC라고 표기한다)는 화면 상에 실제로 표현되는 UML 객체의 부분으로, LC가 가진 내용을 표현하는 기능을 한다. 하나의 LC에는 여러 개의 GC가 연결될 수 있으며, 각각의 GC들은 별도의 표현 기교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특성(Property)을 가진다.
LC와 마찬가지로, GC 역시 각각이 하나의 클래스(class)로 정의된다. GC는 그 동작방법 및 기본 형태에 따라 사각형 GC와 선형 GC의 두 가지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각형 객체(Rectangle Object)들은 다른 GC와의 연관없이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선형 객체(Line Object)는 반드시 연결된 GC가 있어야만 존재할 수 있다.
GC의 기본 유형은 TGC Base로 정의된다. 이 유형은 모든 GC에 대한 참조에 사용되어진다. 사각형 객체들의 베이스 클래스는 TGC Base에서 파생된 TGC Rect 클래스 유형이다. 선형 객체들의 베이스 클래스는 TGC Base에서 파생된 TGC Line 클래스 유형이다. 이 TGC Rect와 TGC Line 클래스 유형으로부터 실제로 사용되어지는 모든 GC 객체들이 정의 된다. 이러한 GC 클래스 파생도는 도 2에 도시하였다.
3. 그래픽 구성요소 관리기
그래픽 구성요소 관리기(5: Graphical Component Manager; 이하 GC Manager라 함)는 다이어그램 단위로 표현되어지는 GC들을 관리하는 모듈로써 다이어그램에 1:1로 대응하여 생성된다. 내부적으로 GC 객체를 관리하는 방법은 리스트(List) 구조와 리스트(List)로 구성된 트리(Tree) 형식을 사용한다. GC 객체들 중에는 위치에 따라 내부에 포함되어 같이 동작하는 GC들이 있다. 이러한 것을 표현하기 위해 트리(Tree) 구조를 사용하고, 마우스 동작에 관련하여 빠르게 GC 객체를 검색하기 위해 트리(Tree) 구조와는 별도로 모든 객체를 관리하는 리스트(List) 구조도 병행하여 사용된다. 전체 리스트(List) 구조에 GC가 나열되는 순서도 객체의 종류나 그 상태에 따라 순위가 달라지는데, 선형 객체가 다른 모든 객체들에 대해 우선하여 리스트(List) 상의 선두에 위치한다. 이것은 마우스에 의해 선택하려 하는 경우, 선형 객체가 우선하여 선택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포함관계에 있는 부모-자식간의 관계에 있는 GC 객체들도 나름의 순서를 가지는데, 자식 GC 객체들은 부모 GC 객체들보다 리스트(List) 상의 상위에 배치된다.
4. 논리적 구성요소 관리기
논리적 구성요소 관리기(4: Logical Component Manager; 이하 LC Manager라 함)는 프로젝트 내부에서 사용되는 모든 LC 객체들을 관리하는 모듈이다. 객체를 관리하는 자료구조는 트리(Tree)를 사용한다. 이것은 LC 간의 계층적인 관계를 적절하게 표현하기 위한 것이다. 트리(Tree) 상에서 어떤 노드의 하위에 위치한다는 것은 그 객체의 자식 객체임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LC Tree에는 LC 객체만 존재한다. 그러나, 클래스도나 사용사례도와 같은 TLC Container의 경우, 그 내부에 GC Manager를 하나씩 포괄하게 되며, 그에 따라 다이어그램에 존재하는 GC 역시 포함된다. 그런 이유로 LC Tree 전체에는 GC 및 GC Manager가 부분 Tree로 존재하는 형태가 된다. 이러한 LC Manager와 GC Manager간의 관계를 도 3에 도시하였다.
5. 다이어그램 윈도우 관리기
다이어그램은 논리적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하나의 LC 객체로 표현된다. 그러나, 이것이 화면에 여러 GC 객체들을 표시하면서 동시에 윈도우에 국한한 정보, 예를 들어 다이어그램 색상 또는 다이어그램에 사용되는 텍스트 폰트, 다이어그램의 축소 확대 비율 등과 같은 정보를 보유하면서 사용자에 의한 수정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내부적으로 다이어그램 윈도우 관리기(3: Diagram Window Manager; 이하 DW Manager라고 함)라고 명명된 특수한 컴포넌트로 나타나게 되며, 실제로 사용자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사용자의 대부분의 입력을 처리하는 윈도우이므로, 대부분 마우스,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에 대한 처리가 기능의 주를 이루고 있다.
프로젝트가 파일로부터 로드(Load)된 처음 상태에서는 이 DW Manager는 생성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특정 다이어그램을 선택하여 화면에 '열기'를 명령하였을 때, LC Diagram에 있는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DW Manager가 생성되며 화면에 나타나게 된다. [표 1]은 다이어그램의 종류를 나타낸다.
다이어그램 종류 해당 다이어그램 윈도우 클래스
Usecase Diagram UML Diagram Window
Class Diagram UML Class Diagram Window
Sequence Diagram UML Sequence Diagram Window
Collaboration Diagram UML Collaboration Diagram Window
State Diagram UML State Diagram Window
Component Diagram UML Diagram Window
Deployment Diagram UML Diagram Window
각 다이어그램 종류 별로 해당하는 다이어그램 윈도우 클래스가 중복되는 것은 그 다이어그램이 별다른 특수 동작을 하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클래스로 구분할 필요가 없었음을 의미한다.
각각의 다이어그램 윈도우 관리기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하기의 [표 2]와 같은 이벤트에 적절하게 반응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벤트 처리기 의미
Add GC Object 새로운 GC 객체가 다이어그램에 추가되었다.
Delete GC Object GC 객체가 삭제되려 하고 있다.
Set Place Object GC 객체의 위치가 변경되었다.
Drag Object GC 객체가 마우스에 의해 Dragging되고 있다.
Link Object GC 객체가 다른 두 GC 객체에 연결되려 하고 있다.
Update Object GC 객체의 내용이 변경되었다.
Set Parent GC GC 객체의 부모 GC 객체가 변경되었다 (포함관계).
이러한 이벤트의 유형에 따라 DW Manager가 각기 다른 동작을 하도록 하여 각 다이어그램 마다 특수하게 동작하는 것을 지원하도록 한다.
6. 모형객체 처리기
상기한 GC Manager와 LC Manager는 개별적으로 GC와 LC를 관리한다. 여기에 덧붙여 LC와 GC간의 연계성을 반드시 확보하여 LC와 연결되지 않은 GC가 발생하는 것을 배제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 바로 모형객체 처리기(2: Diagram-Component Interface; DC Interface라고 함)이다. 사용자 입력에 의한 여러 가지 동작에서 관련된 LC와 GC를 동기적으로 처리해 주는 부분이 이 DC Interface이다. DC Interface는 객체의 생성, 삭제 및 다이어그램의 생성, 삭제와 관련하여 매우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상술한 모형객체 처리기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 4에 도시하였다.
그러면, 모형객체 처리기를 이용하여 그래픽 컴포넌트와 논리적 컴포넌트의 통합 처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GC 및 LC 객체의 생성 처리 절차에 대해 설명하면, 사용자가 그래픽 편집기를 통한 그래픽객체의 입력시(11), 현재 다이어그램의 하부에 새로운 GC객체를 생성한다(12). GC에 부여된 이름과 일치하는 LC 객체를 찾는다(13). 조건에 만족되는 LC 객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현 GC 객체를 근간으로 하여 LC 객체를 생성한다(14). LC 객체는 GC 객체가 생성된 다이어그램을 부모속성에 추가하고 GC 객체를 base-GC로 지정한다(15 및 16). 조건에 만족되는 LC 객체가 존재하고 이 LC 객체가 방금 생성된 GC 객체를 복제품으로 다루기 원하면, GC 객체를 LC 객체의 clone-GC로 추가한다(13 및 16). 이 경우에는 LC 객체와 clone-GC 객체의 부모다이어그램은 상이하다. 이러한 과정을 수행하여 객체 생성 완료 화면을 출력한다(17).
도 6을 참조하여 GC 및 LC 객체의 삭제 처리 절차를 설명하면, GC 객체의 삭제 요청이 들어오면(21), 이것이 LC 객체의 근간이 되는 base-GC 객체인지를 검사한다(22). 만일 LC 객체의 근간이 되는 GC 객체일 경우에는 모든 다른 복제품 clone-GC도 같이 삭제할 것인지를 사용자에게 묻는다(23). 사용자의 판단 여부에 의하여 LC 객체와 모든 GC 객체를 삭제하던지, 삭제하지 않던지 한다(24, 25 및 26). 한편, LC 객체의 근간이 되는 base-GC객체가 아닐 경우에는 선택된 clone-GC 객체만을 삭제한다(27). 이러한 과정을 수행하여 삭제 완료 화면을 출력한다(28).
모형객체 처리기에 의한 객체의 검색 유형으로는 객체 이름에 의한 LC 객체 검색, 객체의 타입(Class, Actor, Usecase etc.)에 의한 LC 객체 검색, 이름과 종류 통합 LC객체 검색, 모든 자손 객체들에 대한 LC 검색(1차 자식에 한함), 모든 자손 객체들에 대한 LC 검색(하위에 연결된 모든 객체 포함), 특정 LC와 연관된 clone-GC들의 검색, 특정 GC가 속해있는 다이어그램에 대한 LC 검색, 특정 LC에 의한 base-GC 검색, clone-GC에 의한 base-GC 검색, 특정 LC와 선형객체에 의한 연결을 가지고 있는 모든 LC 객체 검색, 특정 LC에 시작방향으로 연결된 모든 선형 LC 객체 검색, 특정 LC에 끝방향으로 연결된 모든 선형 LC 객체 검색 등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케이스(CASE) 도구에 적용되어 케이스(CASE) 도구 사용자에게 자신이 작업하고 있는 다이어그램과, 구성요소 간의 관계의 즉시확인을 통하여 모형화 작업 시의 논리적 오류를 줄일 수 있으며, 보다 친절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객체지향 모형화 방법 중 통합 모형화 언어 UML의 의미(Semantics)와 표기법(Notation)에 근거한 도면정보들에 대해 UML 상의 의미를 유일하게 포용하는 논리적 객체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으면서도 논리적 객체의 특성을 표시하는 외형적인 객체를 동시에 관리할 수 있다.

Claims (5)

  1. 다이어그램 편집기로부터 입력된 그래픽 구성요소와 내부에서 관리되는 논리적 구성요소를 동기적으로 처리해주면서 객체의 생성, 삭제 및 다이어그램 생성, 삭제에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모형객체 처리기와;
    상기 모형객체 처리기와 정보를 상호 교환하여 다이어그램 단위로 표현되어지는 그래픽 구성요소 객체를 관리하기 위한 그래픽 구성요소 관리기와;
    상기 모형객체 처리기 및 그래픽 구성요소 관리기 각각에 정보를 상호 교환하여 논리적 구성요소 객체들을 관리하기 위한 논리적 구성요소 관리기와;
    상기 모형객체 처리기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아 화면에 여러 그래픽 구성요소 객체들을 표시하면서 동시에 윈도우에 국한된 정보를 보유하고, 사용자에 의한 수정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다이어그램 윈도우 관리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지향 모형화 도구.
  2. 사용자가 그래픽 편집기를 통한 그래픽 구성요소 객체의 입력시, 다이어그램의 하부에 새로운 그래픽 구성요소 객체를 생성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로부터 그래픽 구성요소 객체에 부여된 이름과 일치하는 논리적 구성요소 객체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로부터 논리적 구성요소 객체가 존재하지 않으면, 현 그래픽 구성요소 객체를 근간으로 하여 논리적 구성요소 객체를 생성하고 그래픽 구성요소 객체가 생성된 다이어그램을 부모속성에 추가하여 그래픽 구성요소 객체를 기본-그래픽 구성요소로 지정한 후 객체 생성 완료 화면을 출력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로부터 논리적 구성요소 객체가 존재하면, 그래픽 구성요소 객체를 논리적 구성요소 객체의 클론-그래픽 구성요소 객체로 추가한 후, 객체 생성 완료 화면을 출력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지향 모형화 도구의 논리적 정보와 그래픽 정보 처리 방법.
  3. 그래픽 구성요소 객체의 삭제 요청에 따라, 논리적 구성요소 객체의 근간이 되는 베이스-그래픽 구성요소 객체인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로부터 베이스-그래픽 구성요소 객체일 경우에는 클론-그래픽 구성요소 객체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베이스-그래픽 구성요소 객체가 아닐 경우에는 그래픽 구성요소 객체를 삭제한 후 삭제 완료 화면을 출력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로부터 클론-그래픽 구성요소 객체가 존재할 경우에는 모든 클론-그래픽 구성요소 객체의 삭제 여부를 판단하고, 클론-그래픽 구성요소 객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그래픽 구성요소 객체를 삭제한 후 삭제 완료 화면을 출력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로부터 모든 클론-그래픽 구성요소 객체의 삭제 명령일 경우에는 모든 클론-그래픽 구성요소 객체를 삭제한 후 삭제 완료 화면을 출력하고, 모든 클론-그래픽 구성요소 객체의 삭제 명령이 아닐 경우에는 선택된 클론-그래픽 구성요소 객체만을 삭제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지향 모형화 도구의 논리적 정보와 그래픽 정보 처리 방법.
  4. 사용자가 그래픽 편집기를 통한 그래픽 구성요소 객체의 입력시, 다이어그램의 하부에 새로운 그래픽 구성요소 객체를 생성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로부터 그래픽 구성요소 객체에 부여된 이름과 일치하는 논리적 구성요소 객체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로부터 논리적 구성요소 객체가 존재하지 않으면, 현 그래픽 구성요소 객체를 근간으로 하여 논리적 구성요소 객체를 생성하고 그래픽 구성요소 객체가 생성된 다이어그램을 부모속성에 추가하여 그래픽 구성요소 객체를 기본-그래픽 구성요소로 지정한 후 객체 생성 완료 화면을 출력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로부터 논리적 구성요소 객체가 존재하면, 그래픽 구성요소 객체를 논리적 구성요소 객체의 클론-그래픽 구성요소 객체로 추가한 후, 객체 생성 완료 화면을 출력하는 제 4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5. 그래픽 구성요소 객체의 삭제 요청에 따라, 논리적 구성요소 객체의 근간이 되는 베이스-그래픽 구성요소 객체인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로부터 베이스-그래픽 구성요소 객체일 경우에는 클론-그래픽 구성요소 객체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베이스-그래픽 구성요소 객체가 아닐 경우에는 그래픽 구성요소 객체를 삭제한 후 삭제 완료 화면을 출력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로부터 클론-그래픽 구성요소 객체가 존재할 경우에는 모든 클론-그래픽 구성요소 객체의 삭제 여부를 판단하고, 클론-그래픽 구성요소 객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그래픽 구성요소 객체를 삭제한 후 삭제 완료 화면을 출력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로부터 모든 클론-그래픽 구성요소 객체의 삭제 명령일 경우에는 모든 클론-그래픽 구성요소 객체를 삭제한 후 삭제 완료 화면을 출력하고, 모든 클론-그래픽 구성요소 객체의 삭제 명령이 아닐 경우에는 선택된 클론-그래픽 구성요소 객체만을 삭제하는 제 4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9980052223A 1998-12-01 1998-12-01 객체지향 모형화 도구 및 그의 논리적 정보와 그래픽 정보 처리 방법 KR100283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2223A KR100283099B1 (ko) 1998-12-01 1998-12-01 객체지향 모형화 도구 및 그의 논리적 정보와 그래픽 정보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2223A KR100283099B1 (ko) 1998-12-01 1998-12-01 객체지향 모형화 도구 및 그의 논리적 정보와 그래픽 정보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7596A true KR20000037596A (ko) 2000-07-05
KR100283099B1 KR100283099B1 (ko) 2001-04-02

Family

ID=19560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2223A KR100283099B1 (ko) 1998-12-01 1998-12-01 객체지향 모형화 도구 및 그의 논리적 정보와 그래픽 정보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309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001A (ko) * 2002-01-29 2003-08-06 주식회사 리코시스 Mpeg-4 데이터 편집장치 및 편집방법
KR100424677B1 (ko) * 2001-04-16 2004-03-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객체 기반의 대화형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 장치 및 그방법
KR20040041979A (ko) * 2002-11-12 2004-05-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677B1 (ko) * 2001-04-16 2004-03-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객체 기반의 대화형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 장치 및 그방법
KR20030065001A (ko) * 2002-01-29 2003-08-06 주식회사 리코시스 Mpeg-4 데이터 편집장치 및 편집방법
KR20040041979A (ko) * 2002-11-12 2004-05-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3099B1 (ko) 2001-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19961A (en) Computer apparatus and method for logical modelling
US5799193A (en) Scenario based iterative method for development of an object oriented system model
US8631388B2 (en) Graphical editor with incremental development
Wasserman et al. A graphical, extensible integrated environment for software development
Mehra et al. A generic approach to supporting diagram differencing and merging for collaborative design
US7458062B2 (en) Framework to access a remote system from an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US6366874B1 (en) System and method for browsing graphically an electronic design based on a hardware description language specification
US200402057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puter-aided graph-based dependency analysis
US20040003091A1 (en) Accessing a remote iSeries or AS/400 computer system from an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da Silva et al. XIS-UML profile for extreme modeling interactive systems
US20120060141A1 (en) Integrated environment for software design and implementation
US20110126171A1 (en) Dynamic native editor code view facade
Bennett et al. Transformations on a dialog tree: rule-based maping of content to style
KR100283099B1 (ko) 객체지향 모형화 도구 및 그의 논리적 정보와 그래픽 정보 처리 방법
CN112181483B (zh) 等离子体控制系统软件开发平台及方法
Molina et al. Specifying conceptual interface patterns in an object-oriented method with automatic code generation
CN102841918A (zh) 二进制长对象流化数据处理装置和方法
WO2001008007A1 (en) Method and system of automated generation of program code from an object oriented model
KR100327904B1 (ko) 컴포넌트 재정의 방법 및 도구 시스템
JPH11282882A (ja) 文書管理方法
Börstler et al. Bridging the gap between Requirements Engineering and Design
van der Wolf et al. An enhanced flow model for constraint handling in hierarchical multi-view design environments
KR20050062005A (ko) Mof 메타 모델과 사용자 요구 사항에 기반한다이어그램 모델링 도구의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
Ayesh Essential UMLTM Fast: Using SELECT Use Case Tool for Rapid Applications Development
JPH0475136A (ja) プログラム開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1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