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6885A - 단축키를 이용한 인터넷 서핑방법 - Google Patents

단축키를 이용한 인터넷 서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6885A
KR20000036885A KR1020000016836A KR20000016836A KR20000036885A KR 20000036885 A KR20000036885 A KR 20000036885A KR 1020000016836 A KR1020000016836 A KR 1020000016836A KR 20000016836 A KR20000016836 A KR 20000016836A KR 20000036885 A KR20000036885 A KR 20000036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uter
shortcut
user
shortcut key
inter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6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호
Original Assignee
노종선
주식회사 필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종선, 주식회사 필라인 filed Critical 노종선
Priority to KR1020000016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6885A/ko
Publication of KR20000036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688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G06F16/9562Bookmar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8Programmable key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축키를 이용한 인터넷 서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회원(Member), 실행(Run), 설정(Assin), 디폴트(Default), 홈(Home) 및 종료(Exit) 항목 등을 포함하는 단축키 프로그램을 사용자 컴퓨터상에 설치하여 활성화하는 단축키 프로그램 설치단계와; 상기 컴퓨터상에서 단축키의 입력여부를 검출하는 단축키 검출단계와; 상기 컴퓨터상에서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여 인터넷을 통해 단축키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에 접속하는 접속단계와; 상기 컴퓨터상에서 상기 회원(Member) 항목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의 회원등록 및 개인정보를 수정하는 회원정보 수정단계와; 상기 컴퓨터상에서 상기 실행(Run) 항목의 선택에 따라 현재 정의된 단축키를 리스트 방식으로 나열한 후, 지정 또는 그룹 항목을 선택하여 단축키, 그룹 및 인터넷 주소를 편집하거나 또는 단축키에 연결된 인터넷 주소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상기 단축키에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주소 또는 웹 사이트로 직접 이동하는 이동단계와; 상기 컴퓨터상에서 설정(Assign) 항목의 선택에 따라 각각의 단축키에 사용자가 원하는 인터넷 주소 또는 웹 사이트 주소를 입력하여 저장하는 단축키 설정단계와; 상기 컴퓨터상에서 디폴트(Default) 항목의 선택에 따라 상기 단축키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에 저장된 기본 단축키 정보를 사용자 컴퓨터로 다운로드 하는 다운로드 단계와; 상기 컴퓨터상에서 홈(Home) 항목의 선택에 따라 상기 단축키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의 홈 페이지로 직접 이동하는 홈 이동단계와; 상기 컴퓨터상에서 종료(Exit) 항목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단축키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종료시키는 종료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단축키를 이용한 인터넷 서핑방법{internet surfing method using shorten key}
본 발명은 단축키를 이용한 인터넷 서핑(surfing)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컴퓨터상에서 단축키를 설정하여 각종 인터넷 주소 또는 웹 사이트로의 이동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하는 단축키를 이용한 인터넷 서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컴퓨터의 웹 브라우저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한 후, 웹 브라우저의 주소란에 이동하고자 하는 인터넷 주소 또는 웹 사이트 주소를 입력하거나 또는 즐겨찾기 기능 및 북마크 기능을 이용하여 이동하고자 하는 인터넷 주소 또는 웹 사이트로 이동하면서 인터넷상의 웹 사이트를 서핑하고 있다.
또한, 단축키에 관해서는 사용자 컴퓨터의 바탕화면상에서 Ctrl 키와 Alt 기를 동시에 누르는 것에 의해 단축키를 정의하여, 사용자 컴퓨터의 바탕화면상에 등록되어 있는 각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방법이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인터넷상의 웹 사이트를 서핑하기 위해서는, 우선 웹 브라우저를 마우스로 클릭하여 실행한 후, 웹 브라우저의 주소란에 이동하고자 하는 인터넷 주소 또는 웹 사이트의 주소를 키보드를 통해 입력하고, 또 키보드의 엔터 키를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인터넷 서핑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단축키를 이용하여 각종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자 컴퓨터의 바탕화면상에서 실행하는 방법이 있지만, 사용자 컴퓨터에서만 실행 가능하고 다른 장소에 있는 컴퓨터에서는 다시 단축키를 설정해야 하기 때문에, 단축키의 설정이 번거롭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컴퓨터상에서 단축키를 설정하여 각종 인터넷 주소 또는 웹 사이트로의 이동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하는 단축키를 이용한 인터넷 서핑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소에 관계없이 인터넷에 접속된 컴퓨터상에서 동일한 단축키 프로그램 사용환경을 제공하는 단축키를 이용한 인터넷 서핑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컴퓨터상에 설치된 단축키 프로그램의 메뉴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메뉴 화면상에서 회원(Member) 항목이 실행되어 회원등록 및 개인정보를 수정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3a는 도 1의 메뉴 화면상에서 실행(Run) 항목이 실행되어 지정항목이 선택된 경우 현재 정의된 단축키와 인터넷 주소를 리스트 방식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b는 도 1의 메뉴 화면상에서 실행(Run) 항목이 실행되어 그룹항목이 선택된 경우 현재 정의된 그룹, 단축키 및 인터넷 주소를 리스트 방식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의 메뉴 화면상에서 설정(Assign) 항목이 실행되어 단축키를 설정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단축키의 설정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단축키의 실행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단축키의 자료를 웹 서버상에 저장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단축키의 자료를 웹 서버상에서 다운로드 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회원(Member), 실행(Run), 설정(Assin), 디폴트(Default), 홈(Home) 및 종료(Exit) 항목 등을 포함하는 단축키 프로그램을 사용자 컴퓨터상에 설치하여 활성화하는 단축키 프로그램 설치단계와; 상기 컴퓨터상에서 단축키의 입력여부를 검출하는 단축키 검출단계와; 상기 컴퓨터상에서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여 인터넷을 통해 단축키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에 접속하는 접속단계와; 상기 컴퓨터상에서 상기 회원(Member) 항목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의 회원등록 및 개인정보를 수정하는 회원정보 수정단계와; 상기 컴퓨터상에서 상기 실행(Run) 항목의 선택에 따라 현재 정의된 단축키를 리스트 방식으로 나열한 후, 지정 또는 그룹 항목을 선택하여 단축키, 그룹 및 인터넷 주소를 편집하거나 또는 단축키에 연결된 인터넷 주소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상기 단축키에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주소 또는 웹 사이트로 직접 이동하는 이동단계와; 상기 컴퓨터상에서 설정(Assign) 항목의 선택에 따라 각각의 단축키에 사용자가 원하는 인터넷 주소 또는 웹 사이트 주소를 입력하여 저장하는 단축키 설정단계와; 상기 컴퓨터상에서 디폴트(Default) 항목의 선택에 따라 상기 단축키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에 저장된 기본 단축키 정보를 사용자 컴퓨터로 다운로드 하는 다운로드 단계와; 상기 컴퓨터상에서 홈(Home) 항목의 선택에 따라 상기 단축키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의 홈 페이지로 직접 이동하는 홈 이동단계와; 상기 컴퓨터상에서 종료(Exit) 항목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단축키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종료시키는 종료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컴퓨터상에 설치된 단축키 프로그램의 메뉴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내 바와 같이, 단축키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설치하면, 컴퓨터 시스템의 트레이상에 설치되어 컴퓨터가 종료되기까지 항상 활성화 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메뉴 화면상에서 회원(Member) 항목이 실행되어 회원등록 및 개인정보를 수정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사용자의 컴퓨터가 인터넷을 통해 단축키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와 접속되면, 도 2에 나타낸 화면이 표시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ID, 패스워드, 나이 및 국적 등의 정보를 입력한 후, OK 버튼을 선택하면 이들 정보가 웹 서버로 전송된다. 이때, 웹 서버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전송된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신규회원으로서 등록하여 저장한다. 또한, 존재하는 경우에는, 일부 정보가 변경되었는가를 판정하여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서 변경된 정보만 갱신하여 저장한다.
도 3a는 도 1의 메뉴 화면상에서 실행(Run) 항목이 실행되어 지정항목이 선택된 경우 현재 정의된 단축키와 인터넷 주소를 리스트 방식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b는 도 1의 메뉴 화면상에서 실행(Run) 항목이 실행되어 그룹항목이 선택된 경우 현재 정의된 그룹, 단축키 및 인터넷 주소를 리스트 방식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1의 메뉴 화면상에서 설정(Assign) 항목이 실행되어 단축키를 설정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에서 지정 항목 또는 도 3b에서 그룹 항목을 선택하면, 도 4에 나타낸 화면이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단축키를 설정하고, 또 상기 단축키에 연결되는 인터넷 주소 또는 웹 사이트의 주소를 입력하여 단축키를 설정한다. 이때, 단축키는 추가, 삭제, 변경, 조회 및 그룹 등록 버튼을 이용해서 편집할 수 있고, 종료 버튼을 통해 편집 기능을 종료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단축키의 설정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단축키의 설정과정은 사용자의 컴퓨터상에서 단축키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단축키의 제목과 단축키를 입력함으로써, 단축키의 자료를 구성한다. 이어서, 단축키의 자료를 단축키 파일로 변환한 후, 사용자 컴퓨터의 임시 사용자 파일자료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임시 사용자 파일자료를 검색하여 상기 단축키가 존재하는가를 판정한다. 단축키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단축키 중복 메시지를 사용자의 컴퓨터로 전송하여 표시하고,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새로운 단축키로서 사용자 컴퓨터의 사용자 파일자료에 저장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단축키의 실행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축키의 실행과정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의 컴퓨터상에서 단축키를 체크한다. 이어서, 키의 입력여부를 판정하여 키의 입력이 없으면 다시 단축키를 체크하고, 키의 입력이 있으면 단축키 정보자료를 참조하여 단축키를 조회한다.
다음에, 상기 단축키 정보자료에 단축키가 존재하지 않으면 다시 단축키를 체크하고, 존재하면 단축키 연동 주소자료를 참조하여 상기 단축키에 연결되는 인터넷 주소 또는 웹 사이트 주소를 조회한다.
다음에, 사용자의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여 상기 단축키에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주소 또는 웹 사이트 주소로 직접 이동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단축키의 자료를 웹 서버상에 저장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축키의 자료를 웹 서버상에 저장하는 과정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축키의 제목과 단축키를 입력하여 단축키 프로그램의 변수자료를 참조하여 단축키 자료를 구성한다. 이어서, 단축키 자료를 단축키 파일로 변환한다.
다음에, 사용자 컴퓨터상에서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여 인터넷을 통해 웹 서버와 접속한다. 이어서, 상기 웹 서버와의 접속상태를 체크하여 양호한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결과, 양호하지 않으면 에러메시지를 사용자의 컴퓨터상에 표시하고, 양호하면 사용자 컴퓨터상에서 단축키 자료를 웹 서버로 전송하여 웹 서버 단축키 자료에 저장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단축키를 웹 서버상에서 다운로드 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축키의 자료를 웹 서버상에서 사용자의 컴퓨터로 다운로드 하는 과정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 컴퓨터상에서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여 인터넷을 통해 웹 서버와 접속한다. 이어서, 상기 사용자 컴퓨터상에서 상기 웹 서버와의 접속상태를 체크하여 성공 또는 실패를 판정한다. 이 판정결과, 실패로 판정되는 경우 접속 에러메시지를 사용자 컴퓨터상에 표시하고, 성공으로 판정되는 경우 사용자의 ID 및 패스워드 등의 정보를 상기 웹 서버로 전송하여 사용자 정보를 조회한다.
다음에, 웹 서버에서는 웹 서버 사용자 자료를 검색하여 전송된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결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 오류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 전송하여 표시하고,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상기 웹 서버로 단축키 자료를 전송하여 단축키 자료를 조회한다.
다음에, 웹 서버에서는 웹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단축키 자료와 상기 사용자 컴퓨터에서 전송된 단축키 자료를 비교하여 변경된 정보가 있는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결과, 변경된 정보가 없으면 단축키 조회를 완료하고, 변경된 정보가 있으면 상기 웹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단축키 자료를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 전송하여 사용자 단축키 자료에 추가한 후, 단축키 조회를 완료한다.
또한, 도 1의 메뉴 화면상에서 기본(Default) 항목이 실행되면 인터넷을 통해 접속되어 있는 웹 서버상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기본 단축키 자료가 사용자 컴퓨터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또, 도 1의 메뉴 화면상에서 홈(Home) 항목이 실행되면, 사용자 컴퓨터는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여 단축키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와 직접 접속된다.
그리고, 도 1의 메뉴 화면상에서 종료(Exit) 항목이 실행되면, 사용자 컴퓨터상에서 단축키 프로그램의 실행이 종료된다.
한편, 상기 웹 서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크게 단축키 입력기능, 단축키 편집기능, 회원정보 관리기능의 세가지로 구성된다. 즉, 단축키 입력기능은 사용자컴퓨터상에서 단축키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면서 단축키가 입력된 경우 에는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고, 또 상기 단축키에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주소 또는 웹 사이트 주소로 직접 이동한다.
또한, 단축키 편집기능은 단축키 프로그램을 통해 정의된 단축키와 단축키에 연결된 인터넷 주소 또는 웹 사이트 주소를 편집할 수 있는 기능으로서, 사용자가 임의로 수정 가능하며, 디폴트(Default)로 설정할 경우 기존에 가지고 있는 단축키로 변환해준다.
또, 회원정보 관리기능은 회원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으로 웹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자료를 편집하여 저장한다.
한편, Ctrl키 및 Alt키를 눌러서 "A" - "Z" 및 "0" - "9"까지 총 72개의 단축키를 설정함과 동시에, 각각의 단축키에 인터넷 주소 또는 웹 사이트 주소를 부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사용자 컴퓨터를 통해 임의로 설정하여 단축키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에 접속하기 때문에, 신속하고, 간단하게 각종 웹 사이트를 서핑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각각의 단축키를 재지정할 수 있고, 인터넷을 통해 단축키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에 회원으로 등록하는 경우 웹 서버상에 저장되어 있는 단축키 자료를 이용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장소에 관계없이 어느 컴퓨터를 사용하더라도 동일한 단축키 사용환경하에서 작업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회원(Member), 실행(Run), 설정(Assin), 디폴트(Default), 홈(Home) 및 종료(Exit) 항목 등을 포함하는 단축키 프로그램을 사용자 컴퓨터상에 설치하여 활성화하는 단축키 프로그램 설치단계와;
    상기 컴퓨터상에서 단축키의 입력여부를 검출하는 단축키 검출단계와;
    상기 컴퓨터상에서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여 인터넷을 통해 단축키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에 접속하는 접속단계와;
    상기 컴퓨터상에서 상기 회원(Member) 항목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의 회원등록 및 개인정보를 수정하는 회원정보 수정단계와;
    상기 컴퓨터상에서 상기 실행(Run) 항목의 선택에 따라 현재 정의된 단축키를 리스트 방식으로 나열한 후, 지정 또는 그룹 항목을 선택하여 단축키, 그룹 및 인터넷 주소를 편집하거나 또는 단축키에 연결된 인터넷 주소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상기 단축키에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주소 또는 웹 사이트로 직접 이동하는 이동단계와;
    상기 컴퓨터상에서 설정(Assign) 항목의 선택에 따라 각각의 단축키에 사용자가 원하는 인터넷 주소 또는 웹 사이트 주소를 입력하여 저장하는 단축키 설정단계와;
    상기 컴퓨터상에서 디폴트(Default) 항목의 선택에 따라 상기 단축키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에 저장된 기본 단축키 정보를 사용자 컴퓨터로 다운로드 하는 다운로드 단계와;
    상기 컴퓨터상에서 홈(Home) 항목의 선택에 따라 상기 단축키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의 홈 페이지로 직접 이동하는 홈 이동단계와;
    상기 컴퓨터상에서 종료(Exit) 항목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단축키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종료시키는 종료단계를 포함하는 단축키를 이용한 인터넷 서핑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키 프로그램 설치단계는 상기 웹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 상기 단축키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키를 이용한 인터넷 서핑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계는 상기 사용자 컴퓨터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단축키 입력기능, 단축키 편집기능, 회원정보 관리기능 등 크게 3가지로 구성되는 단축키 서비스을 제공하는 상기 웹 서버와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키를 이용한 인터넷 서핑방법.
KR1020000016836A 2000-03-31 2000-03-31 단축키를 이용한 인터넷 서핑방법 KR200000368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6836A KR20000036885A (ko) 2000-03-31 2000-03-31 단축키를 이용한 인터넷 서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6836A KR20000036885A (ko) 2000-03-31 2000-03-31 단축키를 이용한 인터넷 서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6885A true KR20000036885A (ko) 2000-07-05

Family

ID=19660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6836A KR20000036885A (ko) 2000-03-31 2000-03-31 단축키를 이용한 인터넷 서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688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4160A (ko) * 2001-11-29 2003-06-09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무선 매크로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834172B1 (ko) * 2007-02-22 2008-06-09 이준호 엔터키의 연속누름을 이용한 검색 카테고리 자동선택이이루어지는 검색포탈 서버시스템
KR100939074B1 (ko) * 2007-12-28 2010-01-28 엔에이치엔(주)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이기록된 기록매체
KR101013677B1 (ko) * 2002-04-22 2011-02-10 톰슨 라이센싱 스크린 번을 방지하기 위한 텔레비전 표시 장치용 웹브라우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4160A (ko) * 2001-11-29 2003-06-09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무선 매크로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013677B1 (ko) * 2002-04-22 2011-02-10 톰슨 라이센싱 스크린 번을 방지하기 위한 텔레비전 표시 장치용 웹브라우저
KR100834172B1 (ko) * 2007-02-22 2008-06-09 이준호 엔터키의 연속누름을 이용한 검색 카테고리 자동선택이이루어지는 검색포탈 서버시스템
KR100939074B1 (ko) * 2007-12-28 2010-01-28 엔에이치엔(주)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이기록된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3037B2 (en) Searchable task-based interface to control panel functionality
US73799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data partially displayed on a user interface
US7111243B1 (en) Customization of tab-order functionality in internet applications
US7263663B2 (en) Customization of user interface presentation in an internet application user interface
US7603657B2 (en) Customization of client-server interaction in an internet application
US8099664B2 (en) Dynamic help user interface control with secured customization
EP1031222B1 (e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information on a network
JP4846922B2 (ja) ネットワーク上の情報へのアクセス方法及びシステム
US7243307B2 (en) Customizable database-driven menu structure for a portable computing device
US20070220429A1 (en) Layered customization of a help user interface
US7263662B1 (en) Customization of immediate access and hotkey functionality in an internet application user interface
US7600199B2 (en) Task-based interface with underlying extensible framework
US20130005313A1 (en) Service access method and apparatus
JP2006318286A (ja) アプリケーション検索方法、アプリケーション検索プログラム、データテーブル生成方法及びデータテーブル生成プログラム
KR20000036885A (ko) 단축키를 이용한 인터넷 서핑방법
US200600312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simplified retrieval of data objects
KR20000029062A (ko) 핸드-헬드 장치의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사이의 데이터공유 방법
KR100477577B1 (ko) 마우스 양쪽버튼의 동시클릭을 이용한 프로그램실행시스템 및 실행방법
KR20040069530A (ko) 전자 제품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0417639B1 (ko) 인터넷 사이트 접속 방법
TWI405090B (zh) 嵌入式的搜尋系統及其方法
US20030036811A1 (en) Operating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a software functional interface at any time
JP2011203981A (ja) 項目名変更装置、項目名変更方法及び項目名変更プログラム
KR20020043430A (ko) 인터넷 데이터베이스 연동과 마우스 클릭에 의한 웹사이트회원로그인 및 회원가입 서비스 및 시스템
Borge Registry Oper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