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6303A - 가변식 골밀도 측정기 - Google Patents

가변식 골밀도 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6303A
KR20000036303A KR1019990053238A KR19990053238A KR20000036303A KR 20000036303 A KR20000036303 A KR 20000036303A KR 1019990053238 A KR1019990053238 A KR 1019990053238A KR 19990053238 A KR19990053238 A KR 19990053238A KR 20000036303 A KR20000036303 A KR 200000363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density
plate
measuring
flat plate
contact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3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전식
Original Assignee
노천희
주식회사 비즈테크닷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천희, 주식회사 비즈테크닷컴 filed Critical 노천희
Priority to KR1019990053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6303A/ko
Publication of KR20000036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630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08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 A61B8/0875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for diagnosis of b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6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8/467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characterised by special input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골밀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기에 관한 것으로, 골밀도 측정기는 편평한 평면을 갖고 그 하부에 관통구가 형성된 체결돌기가 부착되어 있는 평판과 평판의 후방부에서 수직상방으로 연장하고 그 중앙부에 접촉센서 장착부를 갖는 후방판과 평판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아치형상으로 연장하고 소정크기의 수납홈을 갖는 전방아치부로 이루어진 가동지지판과, 가동지지판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갖고 골밀도 측정센서용 장착부가 각각 형성된 한쌍의 측판을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측판에는 포토가이드용 설치부가 형성되어 있는 측정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골밀도 측정기에 고정되어 있는 골밀도 측정센서가 골밀도 피측정자의 측정부위를 미리 기록한 후 골밀도를 측정하고, 추후에 동일 피측정자의 골밀도를 측정할 때, 미리 기록되어 있는 골밀도 측정센서의 위치를 재현함으로써, 피측정자의 신체구조가 상이하여도 동일 부위를 측정하므로, 골밀도의 측정재현성을 향상시켜 정확한 골밀도를 측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변식 골밀도 측정기{Bone densitometer device having flexible sensor locator}
본 발명은 초음파를 이용하여 피검진자의 골밀도를 측정하여 골다공증에 관한 임상적인 수치를 제공하기 위한 골밀도 측정기에 관한 것이고, 특히 피검진자의 골밀도 측정부위를 정확하게 인식함으로써 골밀도 측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골밀도 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다공증은 사람이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뼈의 골밀도가 감소하는 증상으로서, 뼈의 횡방향 단면구조를 관찰하면, 뼈에 구멍이 형성되는 등 골 조직이 황폐해짐으로써, 뼈의 강도를 저하시킨다. 따라서, 골다공증에 걸린 사람은 쉽게 뼈에 금이 가거나 또는 뼈골절을 당하게 되며, 심하게는 생명위협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피검진자의 뼈의 골밀도를 측정하여, 골다공증을 예방하거나 또는 골다공증이 진행되는 것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
즉, 피검진자의 골밀도 측정부위로서 발의 뒷꿈치에 위치하는 종골 또는 손목부위 등을 통해서 피검진자의 뼈의 골밀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피검진자의 골밀도 측정부위가 안착되는 골밀도 측정기(10)를 사용하게 된다.
예를 들어, 피검진자의 종골을 통해서 골밀도를 측정하기 위한 골밀도 측정기(10)는 피검진자의 발바닥을 지지하는 발판(12)과, 상기 발판(12) 상에 지지되는 발의 뒤꿈치가 접촉되는 후방판(18)과, 발의 발가락부위가 접촉되는 전방판(17)과, 상기 후방판(18)과 전방판(17)을 연결하는 한쌍의 측판(16a, 16b)이 일체로 제작되어 발의 안착공간을 형성하고, 각각의 측판(16a, 16b)에는 피검진자의 골밀도를 계측하기 위한 계측센서(14a, 14b)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피검진자 발의 뒤꿈치가 후방판(18)에 접촉될 수 있도록, 발판(12) 상에 발이 안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검진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조작기구를 조작하여, 측판(16a, 16b)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계측센서(14a, 14b)를 통해 피검진자의 골밀도를 측정하게 된다.
이때, 측정센서(14a, 14b)는, 대체적으로, 피검진자 발의 종골(2)에 위치하게 되며, 이러한 종골부위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골밀도가 낮은 중앙부위(4) 주위에 상대적으로 골밀도가 높은 테두리부위(6)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피검진자의 골밀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실질적으로 종골(2)의 중앙부위(4)를 측정하여야 하며, 또한 골다공증의 진행상황을 지속적으로 관찰하기 위해서는 측정된 종골(2)의 중앙부위(4)를 반복적으로 측정하여야 한다.
그러나, 피검진자에 따라서, 종골의 위치, 예를 들어 지면으로부터의 높이 뿐만 아니라 뒷꿈치로부터의 거리가 상이하다. 따라서, 종래의 골밀도 측정기를 사용하면, 즉 계측센서(14a, 14b)의 설치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골밀도 측정기를 사용하면, 피검진자의 골밀도를 측정할 때마다, 동일한 측정부위가 측정되지 못하며, 그 결과 피검진자의 정확한 골밀도 상태를 측정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검진자에 따라서 상이한 골격 형상에도 불구하고, 초기에 설정된 골밀도 측정부위를 재진시에도 동일하게 설정함으로써, 골밀도 측정치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골밀도 측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골밀도 측정기는 편평한 평면을 갖고 그 하부에 관통구가 형성된 체결돌기가 부착되어 있는 평판과 상기 평판의 후방부에서 수직상방으로 연장하고 그 중앙부에 접촉센서 장착부를 갖는 후방판과 상기 평판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아치형상으로 연장하고 소정크기의 수납홈을 갖는 전방아치부로 이루어진 가동지지판과, 상기 가동지지판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갖고 골밀도 측정센서용 장착부가 각각 형성된 한쌍의 측판을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측판에는 포토가이드용 설치부가 형성되어 있는 측정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정부재판에는 상기 가동지지판을 가로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가로축조정수단과, 상기 가동지지판을 소정의 경사각으로 틸팅시키기 위한 틸팅수단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골밀도 피측정자의 골밀도를 측정하기 위한 골밀도 측정기는 접촉센서 장착부가 형성된 후방판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연장하고 있고 연장단부에는 소정크기의 벽감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1평판과, 상기 제1평판의 벽감부에 활주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일단에 형성되어 있고 그 타단에는 아치형상으로 연장하고 소정크기의 수납홈을 갖는 전방아치부가 형성된 제2평판과, 상기 벽감부에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어 서로 결합하고 있는 상기 제1평판 및 제2평판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갖고 골밀도 측정센서용 장착부가 각각 형성된 한쌍의 측판을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측판에는 포토가이드용 설치부가 형성되어 있는 측정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측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골밀도 측정기의 평면도.
도 3은 종골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밀도 측정기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센서위치를 보정하기 위한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가동지지판의 평판이 길이변형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7에는 가동지지판의 전방아치부에 장착된 제2접촉센서를 나타내도록 도 6에 표시된 선 A를 따라 취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가동지지판
22 : 평판
24 : 후방판
26 : 전방아치부
30 : 측정부재
32, 34 : 측판
36 : 가로축조정수단
37 : 틸팅수단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골밀도 측정기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센서위치를 보정하기 위한 설명이 나타나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가동지지판의 평판이 길이변형되는 것을 나타나 있고, 도 7에는 가동지지판의 전방아치부에 장착된 제2접촉센서를 나타내도록 도 6에 표시된 선 A를 따라 취한 단면도가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골밀도 측정기는 발과 같은 피측정체를 지지하도록 편평한 평면을 갖고 그 하부에 관통구가 형성된 체결돌기가 부착되어 있는 평판(22)과 상기 평판(22)의 후방부에서 수직상방으로 연장하고 그 중앙부에 접촉센서 장착부(24a)를 갖는 후방판(24)과 상기 평판(22)의 전방부로부터 후방부로 아치형상으로 연장하고 소정크기의 수납홈을 갖는 전방아치부(26)로 이루어진 가동지지판(20)을 포함한다.
또한, 골밀도 측정기는 상기 가동지지판(20)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갖고 골밀도 측정센서용 장착부(32a, 34a)가 각각 형성된 한쌍의 측판(32, 34)을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측판(32)에는 포토가이드용 설치부(32b)가 형성되어 있는 측정부재(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측정부재(30)의 양측판에는,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가동지지판(20)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가로축조정수단(36)과 상기 가동지지판(20)을 소정각도로 틸팅시키기 위한 틸팅수단(37)이 설치된다.
즉,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가로축조정수단(36)은 측정부재(30)의 상기 수납공간을 가로지른 상태로 양측판(32, 34)을 관통하여 연장하고 있는 제1샤프트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수납공간 내에 존재하는 상기 제1샤프트의 표면에는 나사부(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판을 관통하여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는 조정수단(36)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1노브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틸팅수단(37)은 상기 가로축조정수단(36)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수납공간을 가로지른 상태로 양측판(32, 34)을 관통하여 연장하고 있는 제2샤프트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수납공간 내에 존재하는 상기 제2샤프트의 대략 중앙 위치는 편심캠형상부(3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판을 관통하여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는 틸팅수단(37)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2노브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지지판(20)의 평판(22) 하부 양측에는 상기 가로축조정수단(36)의 제1샤프트가 삽입되는 관통구가 형성된 체결돌기(22a)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샤프트가 체결돌기(22a)의 관통구를 관통하여 평판(22)의 하부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샤프트의 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평판용 나사부(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상기 평판의 하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가동지지판(20)이 측정부재(30)의 수납공간에 수납되어 있고 상기 제1샤프트의 나사부와 상기 평판용 나사부가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가로축조정수단(36)의 제1노브를 회전시키면, 이와 연동하여서 평판(22)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평행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틸팅수단(37)의 제2노브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틸팅수단(37)의 제2샤프트 중앙에 형성된 편심캠형상부(38)가 회전하게 되고, 이와 연동하여 가동지지판(20)은,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축조정수단(36)의 제1샤프트를 회전축으로 하여, 소정각도로 틸팅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측정기의 작동상태를 하기와 같이 설명한다.
먼저, 측판(32, 34)에 형성된 측정센서 장착부(32a, 34a)에 골밀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센서(7)가 각각 장착되고 또한 하나의 측판(예를 들어, 도면 번호 32)에 형성된 포토가이드용 설치부(32b)에 포토가이드(9)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측정부재(30)의 수납공간에, 후방판(24)에 형성된 접촉센서 장착부(24a)에 접촉센서(5)가 장착되어 있는, 상기 가동지지판을 수납함으로써, 골밀도 측정기를 제작한다.
피측정자는 상술된 바와 같이 제작된 골밀도 측정기의 평판(22) 상에 그의 골밀도 측정부위, 예를 들어 발을 안착시킨다. 즉, 피측정자는, 그의 발뒤꿈치가 가동지지판(20)의 후방판(24)에 장착된 접촉센서(5)에 접촉될 수 있도록, 그의 발을 평판(22) 상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가로축조정수단(36)과 틸팅수단(37)을 조작하여, 골밀도 측정부위를 측정센서(7)와 정렬되도록 하고, 이때 피측정자에 대한 포토가이드(9)의 위치를 세팅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센서(5)는 측정센서(7)의 위치 및 포토가이드(9)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기준점으로 작용한다. 즉, 측정센서(7)는 접촉센서(5)로부터 소정거리(D) 만큼 수평으로 이격되어 있고, 또한 평판으로부터 수직으로 소정거리(H) 이격된다. 마찬가지로, 포토가이드(9)도 접촉센서로부터 소정거리만큼 이격되고 또한 수직으로 소정거리(H2) 만큼 이격된다.
이와 같이, 골밀도 피측정자의 측정부위가 설정된 상태에서 피측정자의 골밀도를 측정한 후, 추후에 기설정된 위치에 측정센서와 포토가이드를 위치시켜 동일 피측정자의 골밀도를 측정하면, 보다 정밀한 골밀도 측정치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동지지판(20)의 평판(22)은 접촉센서 장착부(24a)가 형성된 후방판(24)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연장하고 있고 연장단부에는 소정크기의 벽감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1평판(22b)과, 상기 제1평판(22b)의 벽감부에 활주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일단에 형성되어 있고 그 타단에는 아치형상으로 연장하고 소정크기의 수납홈을 갖는 전방아치부(26)가 형성된 제2평판(22c)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평판(22b)의 벽감부에 삽입되는 제2평판(22c)의 삽입돌기의 삽입길이를 조정함으로써, 평판(22)의 길이를 조정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골밀도 측정기는 평판(22)의 길이를 자동으로 조정하기 위한 길이조정수단을 더 갖는다. 상기 길이조정수단는 제1평판(22b)의 벽감부에 제2평판(22c)의 삽입돌기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평판 및/또는 제2평판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며, 그 결과 평판(22)의 길이는 자동으로 조정된다. 이때, 상기 길이조정수단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전방아치부(26)의 수납홈에는 골밀도 피측정자의 측정부위의 전방, 예를 들어 발가락의 끝부분이 접촉되는 접촉센서가 장착되는 제2접촉센서 장착부(28)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길이조정수단에 의하여 평판(22)의 길이가 조정되는 동안, 후방부(24)에 설치된 접촉센서와 제2접촉센서 장착부(28)에 장착된 접촉센서에 물체가 동시에 접촉하게 되면, 길이조정수단의 작동이 중지되어 평판(22)의 길이는 고정된다.
즉, 측정부재(30)의 수납공간에 가동지지판(20)이 수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가동지지판의 평판의 길이가 최대로 신장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피측정자가 골밀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그의 발을 평판(22) 상에 안착시킨다. 이때, 피측정자의 발뒤꿈치가 후방판(24)에 장착되어 있는 접촉센서(5)에 접촉되면, 상기 길이조정수단이 작동되어 제2평판(22c)의 삽입돌기가 제1평판(22b)의 벽감부에 활주식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그 결과 평판(22)의 길이는 점차적으로 축소된다.
그 후에, 제2평판(22c)의 전방아치부(26)의 수납홈 내에 형성된 제2접촉센서 장착부(28)에 장착되어 있는 제2접촉센서에 피측정자의 발가락 끝부분이 접촉하게 되면, 상기 길이조정수단의 작동이 중지되어 평판의 길이가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술된 바와 같이, 가로축조정수단(36)과 틸팅수단(37)을 조정하여, 상기 접촉센서(5)에 대한 측정센서(7)와 포토가이드(9)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측정센서(7)에 의하여 피측정자의 골밀도를 측정한다.
이 후에, 동일 피측정자의 골밀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기측정 시에 설정된 상기 접촉센서(5)에 대한 측정센서(7) 및 포토가이드(9)의 위치를 재현한 후, 측정센서에 의하여 피측정자의 골밀도를 측정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골밀도 측정기에 고정되어 있는 골밀도 측정센서가 골밀도 피측정자의 측정부위를 미리 기록한 후 골밀도를 측정하고, 추후에 동일 피측정자의 골밀도를 측정할 때, 미리 기록되어 있는 골밀도 측정센서의 위치를 재현함으로써, 피측정자의 신체구조가 상이하여도 동일 부위를 측정하므로, 골밀도의 측정재현성을 향상시켜 정확한 골밀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다.

Claims (8)

  1. 골밀도 피측정자의 골밀도를 측정하기 위한 골밀도 측정기에 있어서,
    상기 피측정자의 측정부위가 지지되는 평면을 갖고 그 하부에 관통구가 형성된 체결돌기가 부착되어 있는 평판과 상기 평판의 후방부에서 수직상방으로 연장하고 접촉센서 장착부를 갖는 후방판과 상기 평판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아치형상으로 연장하고 소정크기의 수납홈을 갖는 전방아치부로 이루어진 가동지지판과,
    상기 가동지지판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갖고 골밀도 측정센서용 장착부가 각각 형성된 한쌍의 측판을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측판에는 포토가이드용 설치부가 형성되어 있는 측정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골밀도 측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재에는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된 가동지지판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가로축조정수단과 상기 가동지지판을 소정각도로 틸팅시키기 위한 틸팅수단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밀도 측정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은 길이가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밀도 측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의 길이를 자동으로 가변시키기 위한 길이조정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밀도 측정기.
  5. 골밀도 피측정자의 골밀도를 측정하기 위한 골밀도 측정기에 있어서,
    접촉센서 장착부가 형성된 후방판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연장하고 있고 연장단부에는 소정크기의 벽감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1평판과,
    상기 제1평판의 벽감부에 활주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일단에 형성되어 있고 그 타단에는 아치형상으로 연장하고 소정크기의 수납홈을 갖는 전방아치부가 형성된 제2평판과,
    상기 벽감부에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어 서로 결합하고 있는 상기 제1평판 및 제2평판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갖고 골밀도 측정센서용 장착부가 각각 형성된 한쌍의 측판을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측판에는 포토가이드용 설치부가 형성되어 있는 측정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밀도 측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아치부의 수납홈에는 제2접촉센서가 장착되는 제2접촉센서장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밀도 측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벽감부 내에서 상기 삽입돌기를 활주시키기 위한 활주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밀도 측정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수단은 상기 후방판의 접촉센서장착부에 장착된 접촉센서로부터의 접촉신호에 의하여 작동개시하고 상기 수납홈 내에 장착되는 제2접촉센서로부터의 접촉신호에 의하여 작동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밀도 측정기.
KR1019990053238A 1999-11-27 1999-11-27 가변식 골밀도 측정기 KR200000363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3238A KR20000036303A (ko) 1999-11-27 1999-11-27 가변식 골밀도 측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3238A KR20000036303A (ko) 1999-11-27 1999-11-27 가변식 골밀도 측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6303A true KR20000036303A (ko) 2000-07-05

Family

ID=19622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3238A KR20000036303A (ko) 1999-11-27 1999-11-27 가변식 골밀도 측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630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2378A (ko) * 2001-04-20 2002-10-31 디지탈에코 주식회사 초음파를 이용한 골다공증 진단장치및 그 방법
KR20170035295A (ko) 2015-09-22 2017-03-30 주식회사 메디코어스 사각 프레임 구조의 이동부를 갖는 엑스선 골밀도 측정기
KR101725055B1 (ko) 2015-11-24 2017-04-10 주식회사 메디코어스 엑스선 발생부와 검출부를 와이어 연결로 동기화하는 엑스선 골밀도 측정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2378A (ko) * 2001-04-20 2002-10-31 디지탈에코 주식회사 초음파를 이용한 골다공증 진단장치및 그 방법
KR20170035295A (ko) 2015-09-22 2017-03-30 주식회사 메디코어스 사각 프레임 구조의 이동부를 갖는 엑스선 골밀도 측정기
KR101725055B1 (ko) 2015-11-24 2017-04-10 주식회사 메디코어스 엑스선 발생부와 검출부를 와이어 연결로 동기화하는 엑스선 골밀도 측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1458B1 (ko) 허리 둘레 계산 장치 및 체성분 판정 장치
CN101273888B (zh) 腹部阻抗测量装置
CA2028675C (en) Machine and method for measuring skeletal misalignments in the human body
US7575554B2 (en) Breathing monitoring device having a multi-point detector
CA2200814A1 (en) System for assessing bone characteristics
US79753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flare on foot and shoe-last
CN101299961A (zh) 身体组成测定装置
KR20030021934A (ko) 거치대 일체형 골밀도 측정기
US5156162A (en) Scoliosis measurement instrument with midline leg member
US4986273A (en) Method of radiologically scanning the spine for measuring bone density
WO1993019382A1 (en) System for digitiz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an object
KR20000036303A (ko) 가변식 골밀도 측정기
US5891033A (en) System for radiologically scanning the spine for measuring bone density
US5713361A (en) Bone assessment apparatus
US20020014017A1 (en) System using anthropometric frame for measurement of bony spatial relationships
US4220163A (en) Tibial torsion measuring device
KR100458391B1 (ko) 회전형 손잡이를 구비하는 골밀도 측정기
JP3526807B2 (ja) 骨評価装置
GB2312754A (en) Foot joint position determination
EP0358717A1 (en) X-RAY DEVICE FOR MEASURING BONE DENSITY.
CN217365842U (zh) 一种动脉零点固定支撑装置
KR20200016611A (ko) 신장 측정 장치
CN218852698U (zh) 一种重力分布式脊柱侧弯程度测量装置
CN216349255U (zh) 一种便携式y平衡智能测试装置
US4873988A (en) Vasometric test apparatus for testing blood supply to the toe of a pati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