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6611A - 신장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신장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6611A
KR20200016611A KR1020180091908A KR20180091908A KR20200016611A KR 20200016611 A KR20200016611 A KR 20200016611A KR 1020180091908 A KR1020180091908 A KR 1020180091908A KR 20180091908 A KR20180091908 A KR 20180091908A KR 20200016611 A KR20200016611 A KR 20200016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module
measurement
unit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1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8092B1 (ko
Inventor
장일영
김도형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Priority to KR1020180091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8092B1/ko
Publication of KR20200016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6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2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measuring distances on the body, e.g. measuring length, height or thick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장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측정신호를 송수신하여 측정 대상의 신장을 측정하는 초음파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를 구비한 신장 측정부를 포함하는 신장 측정 모듈; 상기 측정 대상을 사이에 두고 상기 신장 측정 모듈과 대향 배치되어, 상기 신장 측정부로부터 송신된 측정신호를 반사시키는 반사부; 및 상기 반사부에 빛을 투영하여, 상기 신장 측정 모듈과 상기 반사부의 설치 상태를 가이드하기 위한 레이저 발광소자 또는 LED 발광소자를 구비한 설치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신장 측정 장치{HEIGHT MEAS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신장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측정 대상이 침상 및 바닥에 누운 상태에서 신장을 측정할 수 있는 신장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환자들에게 영양상태를 평가하거나, 약물 용량을 결정할 때, 또는 치료 장비를 적용하는데 있어서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는 환자의 정확한 키 즉, 신장의 측정이 요구된다.
한편, 거동이 불편한 골절 및 중증 환자, 노인 환자의 경우, 환자의 신장을 측정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다.
이러한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경우, 신장을 측정하기 위해 일정시간 일어서 있어야 하므로, 검사 도중에 침상 등으로부터 낙상할 위험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의해,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신장 측정을 위해 환자가 누워있는 상태에서 신장을 측정하는 것이 곤란하여, 환자의 신장 측정을 문진에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환자의 신장을 문진에 의존하는 경우, 그 신장 데이터 또한 부정확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경우에 따라서는 의료진이 줄자를 이용하여 환자의 신장을 직접 측정하기도 하지만, 사람은 나이가 들면서 키가 변하며 특히 노인이 되면 키가 줄어들기 때문에 이 경우 또한 환자의 신장 데이터가 부정확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환자가 누운 상태에서도 간단히 환자의 신장을 측정하기 위해 발판과 초음파 신장 측정계로 구성된 신장 측정 장치가 보급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초음파를 이용한 신장 측정 장치는, 측정자가 초음파 센서와 발판의 설치 상태에 따라 측정 오차가 최대 5cm 이상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누워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측정하는 경우, 측정자가 초음파 센서와 발판을 놓는 위치 및 각도에 따라 그 오차가 더욱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674740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측정 오차를 줄이며 측정 대상의 신장을 측정할 수 있고, 측정자 혼자서도 신장을 측정할 수 있는 신장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측정 대상이 신장 측정을 위해 낙상하여 부상을 입는 것을 줄이며, 측정 대상이 일어나지 않고 누운 상태에서 간편하게 신장을 측정할 수 있는 신장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조립이 간단하고, 간편하게 휴대하며 이동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장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측정신호를 송수신하여 측정 대상의 신장을 측정하는 초음파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를 구비한 신장 측정부를 포함하는 신장 측정 모듈; 상기 측정 대상을 사이에 두고 상기 신장 측정 모듈과 대향 배치되어, 상기 신장 측정부로부터 송신된 측정신호를 반사시키는 반사부; 및 상기 반사부에 빛을 투영하여, 상기 신장 측정 모듈과 상기 반사부의 설치 상태를 가이드하기 위한 레이저 발광소자 또는 LED 발광소자를 구비한 설치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신장 측정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설치 가이드부는 상기 측정 대상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신장 측정부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설치 가이드부는 상기 반사부에 특정 패턴을 투영하기 위한 어댑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장 측정 모듈이 분리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신장 측정 모듈이 거치되는 모듈 거치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장 측정 모듈 또는 상기 모듈 거치대에 마련되어, 상기 신장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측정 대상의 신장 데이터를 외부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장 측정 모듈 또는 상기 모듈 거치대에 마련되어, 상기 신장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측정 대상의 신장 데이터를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부에 관통 형성된 결합공; 및 상기 모듈 거치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반사부의 상기 결합공에 결합하는 결합돌기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모듈 거치대에 관통 형성된 결합공; 및 상기 반사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모듈 거치대의 상기 결합공과 결합하는 결합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부에 마련되어, 상기 반사부의 수평 상태를 측정하는 수평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 거치대에 마련되어, 상기 모듈 거치대의 수평 상태를 측정하는 수평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부에 마련되어, 상기 반사부를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부는, 측정 대상을 사이에 두고 상기 신장 측정 모듈과 대향 배치된 반사판; 및 상기 반사판의 저부에 마련된 받침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 거치대는, 일단부에 로킹홈이 함몰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이 상기 신장 측정부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한 로드; 및 상기 로드의 타단부에 마련되어, 측정 대상이 누워있는 침상 또는 바닥에 지지되는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킹홀에는 상기 신장 측정 모듈의 저부에 마련된 로킹돌기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측정 오차를 줄이며 측정 대상의 신장을 측정할 수 있고, 측정자 혼자서도 신장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측정 대상이 신장 측정을 위해 낙상하여 부상을 입는 것을 줄이며, 측정 대상이 일어나지 않고 누운 상태에서 간편하게 신장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조립이 간단하고, 간편하게 휴대하며 이동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신장 측정 모듈과 모듈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신장을 측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 장치(1)는 신장 측정 모듈(10)과, 반사부(20)와, 설치 가이드부(40)를 포함한다.
신장 측정 모듈(10)은 일정 길이의 봉 형상을 가진다.
신장 측정 모듈(10)은 측정신호를 송수신하여 측정 대상(100, 도 4 참조)의 신장을 측정하는 신장 측정부(11)를 포함한다.
신장 측정부(11)는 측정신호의 송신과 측정신호의 수신이 행해지는 센서로 이루어지며, 신장 측정부(11)로서 초음파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신장 측정 모듈(10)의 저부에는 후술할 모듈 거치대(50)의 로킹홈(53)에 장착되는 로킹돌기(15)가 형성되어 있다.
반사부(20)는 반사판(21)과 받침대(31)를 포함한다.
반사판(21)은 일정 크기의 단면적을 갖는 판 형상을 가지며, 측정 대상(100)을 사이에 두고 신장 측정 모듈(10)과 대향 배치된다. 반사판(21)의 중앙에는, 신장 측정부(11)로부터 송신된 측정신호를 반사시키며, 설치 가이드부(40)로부터 조사된 빛이 투영되는 타겟 영역이 형성된다.
반사판(21)의 타겟 영역 하부에는 측정 대상(100)의 발이 밀착된다. 여기서, 반사판(21)에는 측정 대상(100)의 발의 밀착을 안내하기 위한 발바닥 형상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반사판(21)에는 후술할 모듈 거치대(50)의 결합돌기(55)가 결합되는 결합공(25)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결합공(25)은 타겟 영역의 하방에 위치한다.
그리고, 반사판(21)에는 반사부(20)를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27)가 마련되어 있다. 손잡이(27)는 타겟 영역의 상방에 위치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손잡이(27)로서 손잡이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손잡이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받침대(31)는 반사판(21)의 저부에 마련되어, 측정 대상(100)이 누워있는 침상 또는 바닥에 지지된다.
또한, 받침대(31)에는 한 쌍의 수평계(33)가 동일 평면상에서 서로 직각을 이루며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수평계(33)를 통해 반사판(21)의 수평 상태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즉, 반사판(21)이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침상 또는 바닥에 대해 수직을 이루며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받침대(31)에 마련된 한 쌍의 수평계(33)를 통해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설치 가이드부(40)는 반사부(20) 예컨대, 반사판(21)의 타겟 영역에 빛을 조사하여, 신장 측정 모듈(10)과 반사부(20)의 설치 상태를 가이드한다.
설치 가이드부(40)는 신장 측정 모듈(10)에 마련되며, 측정 대상(10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신장 측정부(11)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 가이드부(40)를 신장 측정부(11)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측정 대상(100)의 신장을 측정할 때 신장 측정 모듈(10)과 반사부(20)의 반사판(21) 사이에 측정 대상(100)의 손이나 무릎 등의 장애물이 존재할 경우, 설치 가이드부(40)에 의해 반사판(21)에 투영되는 빛이 반사판(21)에 투영되지 않음에 따라, 측정자는 신장 측정 모듈(10)과 반사부(20)의 반사판(21) 사이에 장애물이 있음을 판단하여 정상적으로 신장을 측정할 수 없음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설치 가이드부(40)는 빛을 조사하는 광원으로 이루어지며, 설치 가이드부(40)로서 레이저 발광소자 또는 LED 발광소자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설치 가이드부(40)에는 빛이 통과하는 특정 패턴의 개구가 형성된 어댑터(41)가 장착될 수 있다.
이로써, 설치 가이드부(40)에 장착된 어댑터(41)의 개구를 통하여, 반사판(21)에 투영되는 빛의 투영 형상이 어댑터(41)의 개구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투영되는지 아닌지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신호 측정 모듈(10)과 반사부(20)가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어댑터(41)의 빛이 통과하는 개구의 단면형상이 원형일 경우, 설치 가이드부(40)를 통해 반사판(21)에 투영되는 빛의 투영 형상이 정상적인 원형의 단면형상일 때, 반사부(20)와 신호 측정 모듈(10)은 정상으로 설치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반면, 설치 가이드부(40)를 통해 반사판(21)에 투영되는 빛의 투영 형상이 일측으로 찌그러지거나 타원형의 단면형상일 때, 반사부(20)와 신호 측정 모듈(10)은 정상으로 설치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어댑터(41)의 개구 단면형상은 원형, 정사각형 등 식별이 용이한 특정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신호 측정 모듈(10)과 반사부(20)가 정상적으로 설치된다는 의미에 대해 부연 설명하면, 신장 측정부(11)가 반사부(20)의 반사판(21)에 측정신호를 송신하면, 송신된 측정신호가 반사판(21)에 직각을 이루며 반사되어, 다시 신장 측정부(11)로 돌아오도록 신호 측정 모듈(10)과 반사부(20)가 배치된 것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 장치(1)는 신장 측정 모듈(10)을 거치하기 위한 모듈 거치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듈 거치대(50)는 로드(51)와 패드(61)를 포함한다.
로드(51)는 일정 길이의 봉 형상을 가진다. 로드(51)의 일단부에는 로킹홈(53)이 함몰 형성되어 있다. 이 로킹홈(53)에는 신장 측정 모듈(10)의 저부에 마련된 로킹돌기(15)가 장착된다. 이로써, 신장 측정 모듈(10)은 로드(51)와 분리가능하게 예컨대, 모듈 거치대(50)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로드(51)는 측정 대상(100)의 높이보다 큰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사부(20)를 향하는 로드(51)의 전면은 신장 측정부(11)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로드(51)의 일측에는, 반사부(20)의 결합공(25)에 결합되는 결합돌기(55)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모듈 거치대(50)에 결합돌기(55)를 형성하고, 반사부(20)에 결합돌기(55)가 결합되는 결합공(25)을 형성함으로써, 신장을 측정하지 않을 때 모듈 거치대(50)를 반사부(20)에 간단하게 조립하여 보관 및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반사부(20)에 결합공(25)이 관통 형성되고, 모듈 거치대(50)에 결합돌기(55)가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사부(20)에 결합돌기(55)가 돌출 형성되고, 모듈 거치대(50)에 결합공(25)이 관통 또는 함몰 형성될 수도 있다.
패드(61)는 장방형의 판 형상을 가진다. 패드(61)는 로드(51)의 타단부에 마련되어, 측정 대상(100)이 누워있는 침상 또는 바닥에 지지된다.
또한, 패드(61)에는 한 쌍의 수평계(63)가 동일 평면상에서 서로 직각을 이루며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수평계(63)를 통해 모듈 거치대(50)의 수평 상태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신장 측정 모듈(10)이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침상 또는 바닥에 대해 수직을 이루며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패드(61)에 장착된 한 쌍의 수평계(63)를 통해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패드(61)에 한 쌍의 수평계(63)가 서로 직각을 이루며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두 쌍의 수평계가 패드(61)의 각 변을 따라 서로 직각을 이루며 배치될 수도 있다.
이로써, 신장 측정 모듈(10)을 모듈 거치대(50)에 장착함으로써, 신장 측정 모듈(10)의 신장 측정부(11) 및 설치 가이드부(40)는 측정 대상(100)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신장 측정 모듈(10)은 측정 대상(100)이 누워있는 침상 또는 바닥에 대해 기립하며 배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 장치(1)는 디스플레이부(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1)는 신장 측정 모듈(10)에 마련되어, 신장 측정부(11)에서 측정된 측정 대상(100)의 신장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71)가 신장 측정 모듈(10)에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스플레이부(71)는 모듈 거치대(50)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 장치(1)는 통신 모듈(7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75)은 신장 측정 모듈(10)에 마련되어, 신장 측정부(11)와 전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통신 모듈(75)은 외부 기기인 서버,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동기화된다.
한편, 외부 기기는 통신 모듈(75)과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 앱이 인스톨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앱은 모바일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mobile native application), 모바일 웹 애플리케이션(mobile web application) 및 모바일 하이브리드 애플리케이션(mobile hybrid 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75)은 신장 측정부(11)에서 측정된 측정 대상(100)의 신장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외부 기기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원격지에서도 외부 기기를 통해서, 측정 대상(100)의 신장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통신 모듈(75)이 신장 측정 모듈(10)에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통신 모듈(75)은 모듈 거치대(50)에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미 설명된 참조부호 17은 조작 버튼이다. 조작 버튼(17)은 신장 측정 모듈(10)의 일측에 마련되고, 신장 측정시 조작 버튼(17)을 누름에 따라 신장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조작 버튼(17)을 누름에 따라, 설치 가이드부(40)로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하고, 신장 측정부(11)로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하며, 디스플레이부(71)로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 장치(1)를 이용하여 측정 대상(100)의 신장을 측정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반사부(20)를 측정 대상(100)의 발 측에 위치시키고, 측정 대상(100)의 발바닥을 반사판(21)에 밀착시킨다.
이 때, 반사부(20)에 마련된 수평계(33)를 이용하여, 반사부(20)가 측정 대상(100)이 누워있는 바닥과 수평을 이루도록 반사부(20)를 위치 조절한다.
다음, 신장 측정 모듈(10)이 장착된 모듈 거치대(50)를 측정 대상(100)의 머리 측에 위치시키고, 측정 대상(100)의 머리를 모듈 거치대(50)의 로드(51)에 밀착시킨다.
이 때, 모듈 거치대(50)에 마련된 수평계(63)를 이용하여, 모듈 거치대(50)가 측정 대상(100)이 누워있는 바닥과 수평을 이루도록 모듈 거치대(50)를 위치 조절한다.
여기서, 반사부(20)와 신장 측정 모듈(10)의 설치 과정은 그 순서를 달리할 수 있다.
이어서, 설치 가이드부(40)에 전원을 인가하여, 도 4에서 화살표로 기재된 바와 같이 반사판(21)에 빛을 투영한다.
이 때, 반사판(21)에 투영되는 형상이 설치 가이드부(40)에 장착된 어댑터(41)의 개구 단면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투영되는지 육안으로 확인하며, 반사부(20) 또는 신장 측정 모듈(10)을 바닥을 따라 방향 조절하여, 신호 측정 모듈(10)과 반사부(20) 사이의 간격을 조정한다.
설치 가이드부(40)를 통해 신호 측정 모듈(10)과 반사부(20)가 정상적으로 설치되면, 신장 측정부(11)에 전원을 인가한다.
신장 측정부(11)에 전원이 인가되면, 신장 측정부(11)는 도 4에서 화살표로 기재된 바와 같이 반사부(20)의 반사판(21)에 측정신호를 송신하고, 송신된 측정신호가 반사판(21)에 직각을 이루며 반사되어, 다시 신장 측정부(11)로 돌아오게 된다.
이 때, 신장 측정부(11)는 신장 측정부(11)로부터 송신되어 반사판(21)을 거쳐 신장 측정부(11)에 도달한 시간을 측정하고, 신장 측정부(11)는 측정된 시간에 의거하여 신장 측정부(11)와 반사판(21) 사이의 거리를 연산함으로써, 측정 대상(100)의 신장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신장 측정부(11)에 의해 측정된 측정 대상(100)의 신장 데이터는 디스플레이부(71)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신장 데이터는 통신 모듈(75)을 통해 실시간으로 외부 기기로 전송되어, 원격지에서도 간편하게 측정 대상(100)의 신장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측정 대상(100)의 신장 데이터를 획득하게 되면, 측정 대상(100)의 하중 데이터와 측정된 신장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지된 신체질량지수(BMI, body mass index) 연산 공식을 통해 신체질량지수를 연산하고, 연산된 신체질량지수에 의거하여 측정 대상(100)에게 적합한 약물의 농도를 결정하여 처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측정 대상을 사이에 두고, 측정신호를 송수신하여 신장을 측정하는 신장 측정부와, 신장 측정부로부터 송신된 측정신호를 반사시키는 반사부를 대향 배치하고, 반사부에 빛을 투영하는 설치 가이드부를 이용하여 신장 측정 모듈과 반사부의 설치 상태를 가이드함으로써, 측정 오차를 줄이며 측정 대상의 신장을 측정할 수 있고, 측정자 혼자서도 신장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측정 대상이 신장 측정을 위해 낙상하여 부상을 입는 것을 줄이며, 측정 대상이 일어나지 않고 누운 상태에서 간편하게 신장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모듈 거치대에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반사부에 결합돌기가 결합되는 결합공을 형성하고, 반사부에 손잡이를 마련함으로써, 신장을 측정하지 않을 때 모듈 거치대를 반사부에 간단하게 조립하여, 간편하게 휴대하며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신장 측정 모듈이 모듈 거치대에 장착되어 신장 측정 모듈이 측정 대상이 누워있는 바닥에 기립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신장 측정 모듈을 측정 대상의 높이보다 높게 길이 연장하도록 형성하여, 신장 모듈 자체를 바닥에 기립 설치함과 동시에, 측정 대상을 사이에 두고 반사부를 설치하여, 측정 대상의 신장을 측정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신장 측정 장치
10: 신장 측정 모듈
11: 신장 측정부
20: 반사부
21: 반사판
40: 설치 가이드부
50: 모듈 거치대

Claims (13)

  1. 측정신호를 송수신하여 측정 대상의 신장을 측정하는 초음파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를 구비한 신장 측정부를 포함하는 신장 측정 모듈;
    상기 측정 대상을 사이에 두고 상기 신장 측정 모듈과 대향 배치되어, 상기 신장 측정부로부터 송신된 측정신호를 반사시키는 반사부; 및
    상기 반사부에 빛을 투영하여, 상기 신장 측정 모듈과 상기 반사부의 설치 상태를 가이드하기 위한 레이저 발광소자 또는 LED 발광소자를 구비한 설치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신장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가이드부는 상기 측정 대상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신장 측정부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신장 측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가이드부는 상기 반사부에 특정 패턴을 투영하기 위한 어댑터를 더 포함하는, 신장 측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 측정 모듈이 분리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신장 측정 모듈이 거치되는 모듈 거치대를 더 포함하는, 신장 측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 측정 모듈 또는 상기 모듈 거치대에 마련되어, 상기 신장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측정 대상의 신장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신장 측정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 측정 모듈 또는 상기 모듈 거치대에 마련되어, 상기 신장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측정 대상의 신장 데이터를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신장 측정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에 관통 형성된 결합공; 및 상기 모듈 거치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반사부의 상기 결합공에 결합하는 결합돌기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모듈 거치대에 관통 형성된 결합공; 및 상기 반사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모듈 거치대의 상기 결합공과 결합하는 결합돌기를 더 포함하는, 신장 측정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에 마련되어, 상기 반사부의 수평 상태를 측정하는 수평계를 더 포함하는, 신장 측정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거치대에 마련되어, 상기 모듈 거치대의 수평 상태를 측정하는 수평계를 더 포함하는, 신장 측정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에 마련되어, 상기 반사부를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신장 측정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측정 대상을 사이에 두고 상기 신장 측정 모듈과 대향 배치된 반사판; 및
    상기 반사판의 저부에 마련된 받침대를 포함하는, 신장 측정 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거치대는,
    일단부에 로킹홈이 함몰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이 상기 신장 측정부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한 로드; 및
    상기 로드의 타단부에 마련되어, 측정 대상이 누워있는 침상 또는 바닥에 지지되는 패드를 포함하는, 신장 측정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홀에는 상기 신장 측정 모듈의 저부에 마련된 로킹돌기가 장착되는, 신장 측정 장치.
KR1020180091908A 2018-08-07 2018-08-07 신장 측정 장치 KR102198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908A KR102198092B1 (ko) 2018-08-07 2018-08-07 신장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908A KR102198092B1 (ko) 2018-08-07 2018-08-07 신장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6611A true KR20200016611A (ko) 2020-02-17
KR102198092B1 KR102198092B1 (ko) 2021-01-04

Family

ID=69670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908A KR102198092B1 (ko) 2018-08-07 2018-08-07 신장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80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0865A1 (ko) * 2021-12-20 2023-06-29 주식회사 맥파이테크 신장 측정 장치 및 신장 측정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7826A (ko) * 2014-10-23 2016-05-03 주식회사 인바디 휴대용 신장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장 측정 방법
KR20170077657A (ko) * 2015-12-28 2017-07-06 (주)포티스 초음파 신장 측정기
KR101772216B1 (ko) * 2016-03-11 2017-08-2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정밀 신장계, 고정밀 신장계를 이용한 신장 측정 방법 및 신장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7826A (ko) * 2014-10-23 2016-05-03 주식회사 인바디 휴대용 신장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장 측정 방법
KR101674740B1 (ko) 2014-10-23 2016-11-09 주식회사 인바디 휴대용 신장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장 측정 방법
KR20170077657A (ko) * 2015-12-28 2017-07-06 (주)포티스 초음파 신장 측정기
KR101772216B1 (ko) * 2016-03-11 2017-08-2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정밀 신장계, 고정밀 신장계를 이용한 신장 측정 방법 및 신장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0865A1 (ko) * 2021-12-20 2023-06-29 주식회사 맥파이테크 신장 측정 장치 및 신장 측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8092B1 (ko) 2021-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1680B2 (en) Device for monitoring position and movements of an eye, particularly suitable for ocular radiotherapy
CN106793950B (zh) 使用电磁辐射的非侵入式原位葡萄糖水平检测
JP3579686B2 (ja) 測定位置再現方法および測定位置再現装置並びにそれを使用した光学測定装置
US10493198B2 (en) Pump device
US7575554B2 (en) Breathing monitoring device having a multi-point detector
US20180249911A1 (en) Diffusing wave spectroscop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12004134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body fat mass
WO2001076485A1 (fr) Instrument et procede d'analyse d'informations biologiques
JP4214324B2 (ja) 生体組織の測定装置
JP2017528736A (ja) 測定装置
US20140330097A1 (en) Method and system for a non-invasive measurement of optically active component concentration
KR20200016611A (ko) 신장 측정 장치
JP2003310578A (ja) 生体信号測定方法及び生体信号測定装置
CA3055341A1 (en) Jugular venous pressure measurement devices
WO2016052282A1 (en) Non-invasive in situ glucose level sensing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US10252084B2 (en) Optical water surface detector and method
US7710554B2 (en)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alignment of marking lasers
TW202120008A (zh) 非接觸式紅外線溫度計
US9662004B2 (en) Apparatus for non-invasive glucose monitoring
WO2021020528A1 (ja) 血流計
KR20170077657A (ko) 초음파 신장 측정기
CN110850423A (zh) 一种移动设备位置测量装置
JP4843784B2 (ja) 多点検出型呼吸モニター装置
CN109199401A (zh) 检测装置及生物体信息测量装置
CA3112241A1 (en) Jugular venous pressure measurement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