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6269A - 가습기 - Google Patents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6269A
KR20000036269A KR1019990012668A KR19990012668A KR20000036269A KR 20000036269 A KR20000036269 A KR 20000036269A KR 1019990012668 A KR1019990012668 A KR 1019990012668A KR 19990012668 A KR19990012668 A KR 19990012668A KR 20000036269 A KR20000036269 A KR 20000036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umidifier
humidification tank
water supply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2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수
Original Assignee
김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수 filed Critical 김태수
Priority to KR1019990012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6269A/ko
Publication of KR20000036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6269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조통없이 가습조만으로 구성된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수조통없이 가습조(1)만으로 구성하되 수도나 정수기등의 물 공급수단에 의하여 물이 직접 가습조(1)에 공급되도록 하여서 가습조 내부에 세균이 번식할 수 없도록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관리 및 내부 청소가 용이하도록 하여서 병원등과 같은 공공장소에서도 널리 사용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빌라등의 고급주택을 신축할 시에 옵션설비로 채택할 수도 있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수도등과 같은 물 공급장치로부터 물이 가습조(1)에 직접 공급될 수 있도록 물공급관(14)을 사용하여 직접 연결 구성하되, 상기 가습조(1)의 내부에는 수위센서(13)를 구비하고 물공급관(14)에는 상기 수위센서(13)로 부터의 신호에 의해 개폐제어되는 셧오프밸브(Shut off valve)(2)를 구비하여서, 가습조(1)에서 물 공급을 필요로 할 때마다 신선한 상태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별도의 수조통을 구비하지 않고 가습조(1)만으로 구성함에 따라 부피가 작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고 있으며, 특히 병원등과 같은 공공장소에서는 수도라인만 형성되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자주 청소할 필요가 없으므로 관리상 큰 부담을 느끼지 않고 널리 적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Description

가습기{Humidifier}
본 발명은 수조통없이 가습조만으로 구성된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가습조 내부에 수위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수위센서로부터 가습조 내부로 물을 공급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인식되면 셧오프밸브(Shut off valve)가 열려서 물이 가습조 내부에 수시로 공급되어지도록 함에 따라 수조통없이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되는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환절기나 동절기에는 대기에 수분 함유량이 부족하므로 호흡기 질환이나 피부질환을 앓기 쉬운데, 특히 유아나 환자들의 경우 질병에 대한 저향력이 크게 부족하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심각한 상태를 당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미 오래전부터 대기중의 수분함유량을 강제적인 방법에 의하여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가습장치가 여러 가지의 방식으로 개발되어져 왔는데,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물을 끓여서 수증기화하는 방식과 물에 초음파 진동을 주어 수증기화 하는 방식이 있다.
그런데, 물을 끓여서 수증기화하는 방식의 경우 사용도중 화상을 당할 염려가 있고 수증기 분무량 조절에도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물을 수증기화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열량을 공급할 필요가 있으므로, 처음 수증기를 발생시킬 때까지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되며 전기 소비도 크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물을 끓여서 가습하는 방식은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주로 초음파 진동에 의해 가습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도 1 참조)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초음파 진동방식의 가습기에서는, 물을 다량 저장하기위한 수조통(20)과, 하부에는 초음파 진동부(23)를 구비하고 상부에는 대기중으로 수증기를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22)가 형성되어진 가습조(21)로 구성되며, 상기 수조통(20)과 가습조(21)는 밸브(24)를 사이에 두고 서로 연결되어 상기 수조통(20)의 물이 가습조(21)에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져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가습기에서는 수조통(20)에 물을 미리 저장해두었다가 사용도중 가습조(21)에 보충되어지도록 구성되어져 있으므로 사용자가 물을 자주 공급하여야 하는 불편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수조통(20)이 자연히 커져야 하는데, 이와 같이 수조통이 커질 경우 가습기의 부피가 커지게 되므로 보관 및 운반하기에 불편하게 되며, 수조통(20)의 물을 한번에 사용하지 않고 오랜기간에 걸쳐 사용할 경우 그 내부에 라지오넬라균과 같은 각종 세균이 번식하게 되므로, 가습기 사용자들에게 치명적인 질병이 감염되도록 할 문제점도 있었다.
이러한 관리상의 문제로 인하여 병원과 같은 공공기관에서는 사용을 기피하고 있다. 따라서 대개는 가습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개인이 직접 가져와서 자기 책임하에 관리하고 있는데, 이와 같이 사용할 경우 사용하기에도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사용측면에서 보더라도 비효율적이고 낭비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조통없이 가습조만으로 구성하되 수도나 정수기등의 물 공급수단에 의하여 물이 직접 가습조에 공급되도록 하여서 가습조 내부에 세균이 번식할 수 없도록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관리 및 내부 청소가 용이하도록 하여서 병원등과 같은 공공장소에서도 널리 사용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빌라등의 고급주택을 신축할 시에 옵션설비로 채택할 수도 있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수도등과 같은 물 공급장치로부터 물이 가습조에 직접 공급될 수 있도록 물공급관을 사용하여 직접 연결 구성하되, 상기 가습조의 내부에는 수위센서를 구비하고 물공급관에는 상기 수위센서로 부터의 신호에 의해 개폐제어되는 셧오프밸브(Shut off valve)를 구비하여서, 가습조에서 물 공급을 필요로 할 때마다 신선한 상태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별도의 수조통을 구비하지 않고 가습조만으로 구성함에 따라 부피가 작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고 있으며, 특히 병원등과 같은 공공장소에서는 수도라인만 형성되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자주 청소할 필요가 없으므로 관리상 큰 부담을 느끼지 않고 널리 적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가습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의 작동방법을 도시한 제어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가습조 2 ; 셧오프 밸브
3 ; 제어부 4 ; 호스
5 ; 케이스 11 ; 배출구
12 : 초음파 진동부 13 : 수위센서
14 : 물 공급관 15 : 드레인 플러그
첨부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의 작동방법을 도시한 제어흐름도로서 이상의 도면에서 보면,
하부에 초음파 진동부(12)가 구비되고 상부에는 배출구(11)가 형성되어 공급된 물을 수증기상태로 배출하기 위한 가습조(1)로 이루어지는 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가습조(1)의 내부에는 수위센서(13)가 구비되고 상기 가습조(1)의 하부에는 물공급관(14)이 형성되어서, 이에 연결된 호스(4)를 통해 수도나 정수기등의 물공급수단으로부터 물이 직접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물공급관(14)에는 수위센서(13)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개폐제어되는 셧오프밸브(Shut off valve)(2)가 구비되어져서 상기 가습조(1)에서 물공급을 필요로 할 때마다 수시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수위센서(13)는 미리 상한치와 하한치를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수위센서(13)에서 가습조(1) 내부의 물이 상한치에 이른 것으로 인식되면 제어부(3)를 통해 상기 셧오프 밸브(2)가 닫히도록 하여서 물이 더 이상 공급되지 않도록 하고, 가습조(1) 내부의 물이 하한치에 이른 것으로 인식되면 제어부(3)를 통해 상기 셧오프 밸브(2)가 열리도록 하여서 물이 다시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수위센서(13)와 셧오프밸브(2)는 기구적인 방법에 의해 작동하도록 적용될 수도 있겠으나, 전기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제어부(3)를 사용함에 따라 셧오프밸브(2)가 수위센서(13)로 부터의 신호에 의해 신속 정확하게 작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가습조(1) 내부에 저장되어져 있던 물을 필요에 따라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가습조(1)의 하부위치 또는 물공급관(14)의 중간에는 드레인 플러그(Drain plug)가 결합되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장치의 작동방법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도나 정수기등의 물 공급수단과 가습조(1)의 물공급관(14)과의 사이에 호스(4)를 연결하여 물이 가습조(1) 내부로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가습기에 전원을 연결하면 제어부(3)가 작동하기 시작하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센서(13)로부터 검출된 값이 미리 설정된 목표수위(하한치)보다 적을 경우 셧오프 밸브(2)가 열리도록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므로 물이 물공급관(14)을 통해서 가습조(1)로 공급되어진다.
이와 같이 물이 어느정도 공급되어지면 초음파 진동부(12)가 작동하게 되므로 수증기가 발생되기 시작하는데, 그 후에도 물이 계속 공급되어 가습조(1)에서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목표수위(상한치)를 초과하게 되면 제어부(3)에서는 셧오프 밸브(2)가 닫히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므로 가습조(1)로의 물공급이 중단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도 초음파 진동부(12)는 계속 동작하므로 가습조(1) 내부에 있던 물은 수증기화되어 배출구(11)를 통해 대기중으로 배출되는데, 가습조(1) 내부의 물 수위가 미리 설정된 목표수위(하한치)보다 적어질 경우 제어부(3)에서는 셧오프 밸브(2)가 열리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므로 물이 가습조(1)로 보충되어지는 것이며, 가습기의 전원이 연결된 동안에는 이러한 공정을 지속적으로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수위센서(13)와 제어부(3)및 셧오프밸브(2)에 의하여 물이 가습조(1) 내부에 수시로 보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져 있으므로, 수조통과 같은 별도의 물 저장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지속적으로 신선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에서는 사용도중 물을 수시로 공급받도록 구성되어져 있어서 가습조(1) 내부에 다량의 물을 저장하여둘 필요가 없으므로 그 내부에는 항상 초음파 진동부(12)를 작동하기에 적당한 양만큼의 물이 저장되어져 있겠으나, 가습기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는 이 정도의 물에 의해서도 세균이 번식될 염려가 있으므로, 가습기 사용후에는 드레인 플러그(15)를 분리하여 가습조(1) 내부에 있던 미량의 물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수조통없이 가습조(1)만으로 구성하되 수도나 정수기등의 물 공급수단에 의하여 물이 직접 가습조(1)에 공급되도록 하여서 가습조 내부에 세균이 번식할 수 없도록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관리 및 내부 청소가 용이하도록 하여서 병원등과 같은 공공장소에서도 널리 사용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빌라등의 고급주택을 신축할 시에 옵션설비로 채택할 수도 있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수도등과 같은 물 공급장치로부터 물이 가습조(1)에 직접 공급될 수 있도록 물공급관(14)을 사용하여 직접 연결 구성하되, 상기 가습조(1)의 내부에는 수위센서(13)를 구비하고 물공급관(14)에는 상기 수위센서(13)로 부터의 신호에 의해 개폐제어되는 셧오프밸브(Shut off valve)(2)를 구비하여서, 가습조(1)에서 물 공급을 필요로 할 때마다 신선한 상태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별도의 수조통을 구비하지 않고 가습조(1)만으로 구성함에 따라 부피가 작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고 있으며, 특히 병원등과 같은 공공장소에서는 수도라인만 형성되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자주 청소할 필요가 없으므로 관리상 큰 부담을 느끼지 않고 널리 적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Claims (2)

  1. 하부에 초음파 진동부(12)가 구비되고 상부에는 배출구(11)가 형성되어 공급된 물을 수증기상태로 배출하기 위한 가습조(1)로 이루어지는 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가습조(1)의 내부에는 수위센서(13)가 구비되고 상기 가습조(1)의 하부에는 물공급관(14)이 형성되어서, 이에 연결된 호스(4)를 통해 수도나 정수기등의 물공급수단으로부터 물이 직접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물공급관(14)에는 수위센서(13)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개폐제어되는 셧오프밸브(Shut off valve)(2)가 구비되어져서 상기 가습조(1)에서 물공급을 필요로 할 때마다 수시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2. 제 1항에 있어서, 가습조(1) 내부에 저장되어져 있던 물을 필요에 따라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가습조(1)의 하부위치 또는 물공급관(14)의 중간에는 드레인 플러그(Drain plug)가 결합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KR1019990012668A 1999-04-10 1999-04-10 가습기 KR200000362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2668A KR20000036269A (ko) 1999-04-10 1999-04-10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2668A KR20000036269A (ko) 1999-04-10 1999-04-10 가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6269A true KR20000036269A (ko) 2000-07-05

Family

ID=19579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2668A KR20000036269A (ko) 1999-04-10 1999-04-10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626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00077A1 (en) * 2007-02-13 2008-08-21 Deok Yong Kim Built-in humidifier
KR20090086658A (ko) * 2008-02-11 2009-08-14 나노제트(주) 가습기
KR100977034B1 (ko) * 2009-07-31 2010-08-19 주식회사 다안 복합 환기조화기의 가습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00077A1 (en) * 2007-02-13 2008-08-21 Deok Yong Kim Built-in humidifier
KR100870903B1 (ko) * 2007-02-13 2008-11-28 김덕용 빌트인 가습기
KR20090086658A (ko) * 2008-02-11 2009-08-14 나노제트(주) 가습기
KR100977034B1 (ko) * 2009-07-31 2010-08-19 주식회사 다안 복합 환기조화기의 가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0803B2 (ja) ミストサウナ装置及び殺菌方法
KR100211160B1 (ko) 초음파.히터 겸용 가습기
KR20000036269A (ko) 가습기
US7871062B1 (en) Microwave humidifier
KR100870903B1 (ko) 빌트인 가습기
KR200192360Y1 (ko) 외부의 수원을 이용하는 가습기
KR102047673B1 (ko) 고온 살균 가습키트
CN208952240U (zh) 一种超薄风管式精密恒温恒湿节能空调装置
KR100955417B1 (ko) 빌트인 직수 연결형 가습기
KR101946716B1 (ko) 전해수 대공간 가습장치
JP5264102B2 (ja) ミストサウナ装置及びミストサウナ装置の殺菌方法
KR100346936B1 (ko) 수도직결식 순간 가습기
CN108916998A (zh) 一种超薄风管式精密恒温恒湿节能空调装置
CN216522138U (zh) 用于净化加湿器的免加水连续供水结构
KR200309992Y1 (ko) 가습장치
KR200326205Y1 (ko) 수조부가 소독되는 가습기
KR101731976B1 (ko) 직수 연결형 가습기
KR100259028B1 (ko) 물통이 없는 구조의 가습기
KR200293592Y1 (ko) 다용도 초음파 가습기
KR20230031157A (ko) 건조 기능을 갖는 가습기
KR200254132Y1 (ko) 천장 매설형 가습 장치
JPS623636Y2 (ko)
JPH09205909A (ja) 灌水装置
KR0158949B1 (ko) 가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0360694A (zh) 一种具有排水功能的加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