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4887A - 종이조각꽂이 - Google Patents

종이조각꽂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4887A
KR20000034887A KR1019990028675A KR19990028675A KR20000034887A KR 20000034887 A KR20000034887 A KR 20000034887A KR 1019990028675 A KR1019990028675 A KR 1019990028675A KR 19990028675 A KR19990028675 A KR 19990028675A KR 20000034887 A KR20000034887 A KR 20000034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curved
piece
base member
wal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8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6367B1 (ko
Inventor
모리마코도
Original Assignee
모리 쥬조
가루 지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 쥬조, 가루 지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 쥬조
Publication of KR20000034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4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6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63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Abstract

두께가 다른 여러가지의 종이단편을 일정하게 일으켜 세운상태로 안정하게 보전할 수 있는 종이조각꽂이를 제공하려 한다.
만곡벽면을 형성한 기본부재(1)의 노치부(1a)에 힌지부(5)를 개재하여 끼워두는 부재(2)를 요동이 자유롭도록 원추형 접합함과 동시에 끼워두는 부재(2)의 만곡부를 코일스프링(6)에 의하여 만곡벽면으로 향하여 가압하게 하며, 또, 기본부재(1)의 만곡벽면과 끼워두는 부재(2)의 만곡부와의 사이에, 만곡벽면보다도 면적이 큰 만곡면(3a)을 형성한 종이조각보전부재(3)를 착탈이 자유롭도록 배치하여 종이조각꽂이를 구성하였다.
복사용지나 비교적 얇은 종이조각의 경우는 종이조각보전부재(3)의 만곡면(3a)과 끼워두는 부재(2)의 만곡부와의 사이에 종이조각을 만곡한 기립상태로 보전하게 하고, 또, 비교적 두꺼운 종이조각의 경우는 종이조각보전부재(3)를 떼어내어 기본부재(1)의 만곡벽면과 끼워두는 부재(2)의 만곡부와의 사이에 직접 종이조각을 기립상태로 보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종이조각꽂이{PAPER STAND}
본 발명은 여러가지의 두께가 다른 사이트 형상조각, 특히, 종이조각을 일정하게 일으켜 세운상태로 안정하게 보전할 수 있는 종이조각꽂이에 관한 것이다.
종래, 타지문서를 작성하는 경우 타이프라이터 본체나 탁상위의 일정위치에 원고를 붙잡아주는 보전부재를 부착하고, 보전부재에 설치한 클립, 혹은 자석토막 등으로 원고를 눈높이에 위치하도록 보전하여 왔다.
또, 워드프로세서, 퍼스널컴퓨우터를 사용하여 문서작성을 하는 사람이 증가하고 있으며 각종 문서를 작성하는 경우, 워드프로세서나 퍼스널컴퓨우터의 타건반의 옆에 원고를 놓는다거나, 혹은 원고에 문진 등의 무거운 것을 재치한다던가 하여 일정한 위치에 보전한다.
그러나, 타이프라이터 본체나 탁상위에 지지하게 하는 보전부재는 일정한 위치에 원고를 보전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기 쉬우나 근년에 급속하게 보급하고 있는 워드프로세서나 퍼스널컴퓨우터는 점점 소형화의 경향이 강하여져 있기 때문에 워드프로세서나 퍼스널컴퓨우터 본체에 보전부재를 부착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며, 또, 탁상위에 부착하는 형식의 보전부재는 문서작성작업에 맞추어서 탁상위의 임의의 위치에 부착할 수 없기 때문에 설치장소를 한정하지 않는 사용하기 편리한 정도가 좋은 보전부재를 희구하고 있다.
또, 찰기가 없는 종이조각이나 접어지는 버릇이 붙은 종이조각 등 그 형상을 보전하기 어려운 종이조각을 일정한 일으켜 세우기 위치에 안정하게 보전하는 적당한 수단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사정에 비추어 본 발명은 여러가지의 두께가 다른 시이트 형상조각, 특히 종이조각을 소정의 기립상태로 안정하게 보전할 수 있는 종이조각꽂이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히기 위하여,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은 저면부 및 끼워두는 부재와 대향하는 만곡벽면을 형성한 노치부를 구비한 기본부재와, 이 기본부재의 노치부에 요동이 자유롭도록 원추형접합함과 동시에 탄성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만곡벽면으로 향하여 가압되는 만곡부를 형성한 끼워두는 부재와, 상기 기본부재의 만곡벽면과 상기 끼워두는 부재의 만곡부와의 사이에 착탈이 자유롭도록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만곡벽면 보다도 면적이 큰 만곡면을 구비한 종이조각보전부재 등으로 종이조각꽂이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 기재의 종이조각꽂이에 있어서, 상기 기본부재의 만곡벽면을 수직면에서 소정각도 전방으로 경사지게 하여 형성하였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 기재의 종이조각꽂이에 있어서, 상기 종이조각보전부재의 만곡면을 수직면에서 소정각도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였음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서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3중의 어느항에 기재한 종이조각꽂이에 있어서, 상기 기본부재의 만곡벽면에 대하여 양면접착테이프를 개재하여 상기 종이조각보전부재를 착탈이 자유롭도록 배치하였음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서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4중의 어느항에 기재한 종이조각꽂이에 있어서, 상기 종이조각보전부재의 만곡면을 요철형상으로 형성하였음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 기재의 종이조각에 의하면, 찰기가 없는 종이조각이나 접어지는 버릇이 붙은 종이조각의 경우는 비교적 큰 표면적을 구비한 종이조각 부전부재의 만곡면과 끼워두는 부재의 만곡부와의 사이에 종이조각을 끼움으로써, 또, 비교적 두꺼운 종이조각이나 합본(合本)과 같은 종이조각의 경우는 종이조각보전부재를 떼어내어 기본부재의 만곡벽면과 끼워두는 부재의 만곡부와의 사이에 종이조각을 끼움으로써 종이조각은 일정한 곡률로 만곡하게 되어, 그 결과 종이조각의 접어구부리는 강도가 증가하므로 종이조각은 일으켜 세운상태에서 안정하게 유지된다.
또, 청구항 2 또는 3 기재의 종이조각꽂이에 의하면, 기본부재의 만곡벽면, 또는 종이조각보전부재의 만곡면을 수직면에서 소정각도 전방으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종이조각은 더욱 안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청구항 4 기재의 종이조각꽂이에 의하면, 종이조각보전부재를 기본부재에 대하여 착탈이 자유롭도록 하였음에 따라, 종이조각보전부재의 필요성에 대응한 종이조각보전부재의 취급이 매우 편리하게 되었다.
나아가서 또, 청구항 5 기재의 종이조각꽂이에 의하면, 종이조각보전부재의 만곡면을 요철형상으로 형성하였음에 따라 종이조각보전부재의 만곡면과 끼워두는 부재의 만곡부와의 사이에 종이조각을 끼워두었을 경우, 만곡면에 종이조각이 부착하기 어렵게 되어 특히, 얇은 종이조각을 다루기에 편리하게 된다.
그 위에 본 발명의 종이조각꽂이를 구성하는 경우, 기본부재의 만곡벽면, 끼워두는 부재의 만곡면 및 종이조각보전부재의 만곡면의 모두를 같은 곡률의 철곡면 또는 요곡면으로 형성하여도 좋으며, 또는 적어도 하나를 그 밖의 둘과 다른 곡률의 철곡면 또는 요곡면에 형성하여도 좋다.
또, 본 발명의 종이조각꽂이를 구성하는 경우, 기본부재의 저면에 미끄럼막이를 한다거나 기본부재내의 저면근방에 자석트막을 묻어넣는다거나, 또는 기본부재의 저면의 일부에 자석면을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기본부재에 대하여 종이조각보전부재를 착탈이 자유롭도록 부착하는 경우, 한편의 부재에 홈을 설치하고, 다른편의 부재에 한편의 부재의 홈에 끼워맞춤할 수 있는 돌출줄기를 형성하여 양자를 결합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종이조각꽂이의 후방으로부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종이조각꽂이의 전방으로부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종이조각꽂이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종이조각꽂이에 있어서 종이조각보전부재를 제거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본부재 1a : 노치부
1b : 만곡벽면 1c : 저면부
2 : 끼워두는 부재 2a : 만곡부
3 : 종이조각보전부재 3a : 만곡면
4 : 양면접착테이프 5 : 힌지부
6 : 코일스프링(탄성부재) 7 : 축받침핀
8 : 자석토막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 1∼도 5에 따라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종이조각꽂이는 기본부재(1), 끼워두는 부재(2), 종이조각보전부재(3)로 개략구성되어 있다.
종이조각꽂이를 구성하는 각 구성부재는 비교적 중량이 있는 경질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으나, 금속 등의 그 밖의 재료이라도 좋으며, 금속제로 하는 경우에는 내부를 중공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어느 경우에도 종이조각을 기립상태에서 안정한 상태로 보전할 정도의 중량이 필요하다.
이하, 각 구성부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기본부재(1)는 그 전단에서 후단에 걸쳐서 점차 폭이 넓도록, 또한 전단에서 후단에 걸쳐서 점차 그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된 대략 쐐기형상이며, 그 저면이 접지면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본부재(1)의 대략 중앙에서 후단으로 걸쳐서 저면부(1c)를 남기도록 노치부(1a)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노치부(1a)내에 나중에 설명하는 끼워두는 부재(2)가 요동이 자유롭도록 배치되어 있다.
노치부(1a)에는 그 전단부에 전방에 돌출하여 폭방향으로 만곡하는 요곡면을 형성하도록 만곡벽면(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만곡벽면(1b)은 종이조각을 끼워두었을 경우에 종이조각을 만곡시켜서 기립상태로 보전할 수 있을 정도의 곡률이며, 또한 수직면에서 질정한 각도(α)(도 4 참조)만큼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또, 저면부(1c)의 상면의 전단보다는 대략 U자형상의 한편의 힌지부(5a)가 상방에 돌출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나중에 설명하는 끼워두는 부재(2)의 다른편의 힌지부(5b)에 핀(7)으로 결합되어서 힌지부(5)가 구성되어 있다.
그 위에 이 실시형태에서는 요곡면을 이루는 만곡벽면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철곡면을 이루는 만곡벽면의 경우라도 마찬가지로 실시할 수 있다.
또, 기본부재의 저면에 미끄럼막이를 형성한다거나, 또는 기본부재내에 자석조각(8)을 매설하여도 좋다(도 4 참조).
끼워두는 부재(2)는 기본부재(1)의 노치부(1a)의 상방의 형상과 일치하도록 그 전단에서 후단에 걸쳐서 점차 폭이 넓어지도록 되는 대략 사다리꼴의 판형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 끼워두는 부재(2)의 전단부는 기본부재(1)의 노치부(1a)의 만곡벽면(1b)과 일치하도록 철곡면을 형성하는 만곡부(2a)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 기본부재(1)의 노치부(1a)의 만곡벽면(1b)과의 사이에 나중에 설명하는 종이조각보전부재(3)에 두께에 상당하는 일정한 간격(L)(도 5 참조)을 형성하도록 기본부재(1)의 노치부(1a)내에 요동이 자유롭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끼워두는 부재(2)의 하면에는 기본부재(1)의 저면부(1c)에 설치한 한편의 힌지부(5a)에 대향하도록 대략 역 U자형상의 다른편의 힌지부(5b)가 하방에 돌출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끼워두는 부재(2)를 기본부재(1)의 노치부(1a)내에 배치하는 경우, 한편의 힌지부(5a) 및 다른편의 힌지부(5b)에 천설한 핀삽통구멍(도해없음)이 겹치도록 하며, 또한 끼워두는 부재(2)의 다른편의 힌지부(5b)내에 위치하도록 탄성부재인 코일스프링(6)을 배치하여 양편의 힌지부(5a, 5b)의 핀삽통구멍 및 코일스프링(6)을 관통하도록 하여 축받침핀(7)을 삽통한다.
또, 코일스프링(6)에는 그 양단에 상하방향으로 이간하도록 일정한 길이를 갖는 아암(6a)이 설치되어 있으며, 축받침핀(7)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방의 아암(6a)은 끼워두는 부재(2)의 하면에 맞닿았으며, 또 하방의 아암(6a)은 저면부(1c)의 상면에 맞닿음에 따라 끼워두는 부재(2)의 만곡부(2a)를 기본부재(1)의 만곡벽면(1b)으로 향하여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종이조각보전부재(3)는 전체의 형상이 원의 일부를 잘라낸 형상의 대략 초승달 형상으로 기본부재(1)의 만곡벽면(1b)과 같은 곡률의 만곡면(3a)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 그 두께는 기본부재(1)의 만곡벽면(1b)과 끼워두는 부재(2)의 만곡부(2a)와의 간격(L)과 대략 같은 두께이며, 그 크기는 기본부재(1)와 끼워두는 부재(2)와의 사이에 끼워둔 상태에서 만곡벽면(1b)의 높이 및 폭의 대략 2배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또, 종이조각보전부재(3)의 만곡면(3a)을 요철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만곡면(3a)에 종이조각이 부착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그리고, 종이조각보전부재(3)는 기본부재(1)의 만곡벽면(1b)과 끼워두는 부재(2)의 만곡부(2a)와의 사이에 배치될때, 기본부재(1)의 만곡벽면(1b)과 끼워두는 부재(2)의 만곡부(2a)와의 사이에 배치되었을때, 기본부재(1)의 만곡벽면(1b)에 양면접착테이프(4)를 개재하여 점착되어 그 위치에 정착된다.
여기서, 종이조각보전부재(3)는 기본부재(1)의 만곡벽면(1b)과 끼워두는 부재(2)의 만곡부(2a)와의 간격(L)과 대략 같은 두께로 형성되어 있으나 종이조각보전부재(3) 자체에 경사부를 형성하여 기본부재(1)와 끼워두는 부재(2)와의 사이에 배치하였을때 소정각도 전방으로 경사진 경사부를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경사각도가 다른 경사부를 형성한 종이조각보전부재를 여러종류 준비하여 두는 것이 편리하다.
또한, 비교적 두꺼운 종이조각이나 합본 등을 보유할때는 종이조각보전부재(3)를 제거하여 두께가 얇은 종이조각보전부재(3)를 장착하던가 또는, 종이조각보전부재(3)를 제거하여 기본부재(1)의 만곡벽면(1b)과 끼워두는 부재(2)의 만곡부(2a)와의 사이에 직접 종이조각을 끼워두게 하여도 좋다.
또, 양면접착테이프(4)는 종이조각보전부재(3)에 점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기본부재(1)의 만곡벽면(1b)에 양면접착테이프(4)를 점착시켜두어도 좋다.
그 위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기본부재의 만곡벽면, 끼워두는 부재의 만곡부 및 종이조각부재의 만곡면을 같은 곡률로 형성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들중의 적어도 하나를 그 밖의 둘과 상이한 곡률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 기본부재의 만곡벽면 및 종이조각보전부재의 만곡면을 요곡면에 끼워두는 부재의 만곡부를 철곡면(凸曲面)에 형성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기본부재의 만곡벽면 및 종이조각보전부재의 만곡면을 철곡면에 끼워두는 부재의 만곡부를 요곡면에 형성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종이조각꽂이의 사용법을 설명한다.
(1) 복사용지와 같은 두께의 종이조각인 경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가락의 힘으로 끼워두는 부재(2)를 화살표 B-B 방향으로 요동시켜서 끼워두는 부재(2)를 쇄선(chain line)으로 나타낸 위치까지 소정각도 일으켜서 이 상태를 보전하여 둔다.
다음에 종이조각보전부재(3)의 만곡면(3a)과 끼워두는 부재(2)의 만곡면(2a)과의 사이에 종이조각을 설정한다.
그런다음, 끼워두는 부재(2)를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에 귀환하여 종이조각보전부재(3)의 만곡면(3a)과 끼워두는 부재(2)의 만곡부(2a)와의 사이에 종이조각을 끼워두게 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이조각(P)은 종이조각보전부재(3)의 만곡면(3a)에 잇따른 형상으로 만곡되어서 안정한 기립상태로 보유된다.
그 위에 복사용지와 같은 두께의 종이조각으로 잘 접어지지 않는 종이조각인 경우에는 종이조각보전부재(3)를 제거하여도 종이조각의 기립상태를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2) 찰기없는 종이조각이나 또는 접어지는 버릇이 붙은 종이조각인 경우 기본적으로 (1)의 경우와 같지만, 대상이 되는 종이조각이 찰기가 없고 또는 접어지는 버릇이 붙어있기 때문에 굴곡하기 쉬우므로, 기본부재(1)의 만곡벽면(1b)과 끼워두는 부재(2)의 만곡부(2a)와의 사이에 종이조각보전부재(3)를 개재시킨 상태에서 종이조각보전부재(3)의 만곡면(3a)과 끼워두는 부재(2)의 만곡부(2a)와의 사이에 종이조각을 끼워 넣는다.
이러한 경우, 기본부재(1)의 만곡벽면(1b)에 비하여 면적이 큰 종이조각보전부재(3)의 만곡면(3a)에서 종이조각을 보유하므로 찰기가 없는 종이조각이나 접어지는 버릇이 붙은 종이조각에서도 기립상태를 안정하게 보유할 수 있다.
그 위에 접어지는 버릇이 붙은 종이조각의 경우는 접어지는 버릇을 조금이라도 바로 잡아두면 보다 안정하게 그 기립상태를 보전할 수 있다.
(3) 비교적 두꺼운 종이조각 또는 합본 등의 경우
대상이 되는 종이조각이 비교적 두꺼운 경우, 또는, 여러장의 종이조각을 잇대어 꿰맨 합본 등의 경우에는 종이조각이 굴곡하기 어려우므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이조각보유부재(3)를 떼어내어 기본부재(1)의 만곡벽면(1b)과 끼워두는 부재(2)의 만곡부(2a)와의 사이에 직접 종이조각을 끼워넣도록 한다. 종이조각의 기립상태가 안정하므로 기본부재(1)의 만곡벽면(1b)만으로 충분히 종이조각을 보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하였으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청구항 1 기재의 종이조각꽂이에 있어서는 기본부재의 만곡벽면과 끼워두는 부재의 만곡벽면과 끼워두는 부재의 만곡부와의 사이에 기본부재의 만곡벽면보다도 면적이 큰 만곡면을 갖는 종이조각보전부재를 착탈이 자유롭도록 배치하였으므로 보통의 복사지는 물론이고, 찰기가 없는 종이조각이나 접어지는 버릇이 붙은 종이조각이라도 종이조각과의 접촉면적이 큰 종이조각보전부재의 만곡면에 잇따르게 하여 끼워두는 부재의 만곡부에서 끼워둠에 따라, 종이조각이 만곡된 상태에서 보전되므로 종이조각의 기립상태에서의 강도가 증가하여 안정한 기립상태로 보전할 수 있다.
또, 종이조각보전부재를 떼어냄으로써 기본부재의 만곡벽면과 끼워두는 부재의 만곡부와의 사이에 일정한 틈새가 형성되므로 비교적 두꺼운 종이조각이나 합본 등의 종이조각이라도 기본부재의 만곡벽면과 끼워두는 부재의 만곡부와의 사이에 끼움으로써 종이조각을 만곡시켜서 그 강도를 증가시켜서 용이하게 기립상태에서 보전할 수 있다.
청구항 2 기재의 종이조각꽂이에 있어서는 기본부재의 만곡벽면을 수직면에서 소정각도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였으므로 종이조각보전부재의 형상에 관계없이 종이조각을 소정각도 전방으로 경사지게 끼워둘 수 있었고, 그 결과 종이조각을 수직면과 평행으로 보전하였을 경우보다도 종이조각의 기립상태가 안정하고 또, 종이조각이 소정각도 전방으로 경시져서 원고가 작업인의 시선의 편으로 향하게 되므로 문서작성작업이 편하게 된다.
청구항 3 기재의 종이조각꽂이에 있어서는 종이조각보전부재의 만곡면을 수직면에서 소정각도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였으므로 만곡면의 경사각도가 다른 종이조각보전부재를 적당히 선택하여 종이조각의 경사각도를 바꿀 수 있으므로 작업인의 시선의 높이에 맞추어서 원고의 경향을 변경할 수 있어 문서작성작업이 더욱 편하게 된다.
청구항 4 기재의 종이조각꽂이에 있어서는 기본부재의 만곡벽면에 대하여 양면접착테이프에 의하여 종이조각 보존부재를 착탈이 자유롭도록 배치하였으므로 종이조각 보존부재의 장착시에는 커다란 면적의 만곡면에 종이조각이 단단하게 보존되며, 또, 종이조각 보존부재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간단히 떼어낼 수 있으므로 종이조각 보존부재의 필요성에 상응한 종이조각 보존부재의 취급이 지극히 간편하게 된다.
청구항 5 기재의 종이조각꽂이에 있어서는 종이조각 보존부재의 만곡면을 요철형상으로 형성하였으므로 만곡면과 종이조각과의 접촉면적이 감소하여 만곡면에 정전기가 대전하였을 경우라도 만곡면에 종이조각이 부착하기 어렵게 되어 특히. 얇은 종이조각의 취급이 간편하게 된다.

Claims (5)

  1. 저면부 및 끼워두는 부재와 대향하는 만곡벽면을 형성한 노치부를 구비한 기본부재와, 이 기본부재의 노치부에 요동이 자유롭도록 원추형접합됨과 동시에 탄성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만곡벽면으로 향하여 가압되는 만곡부를 형성한 끼워두는 부재와, 상기 기본부재의 만곡벽면과 상기 끼워두는 부재의 만곡부와의 사이에 착탈이 자유롭도록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만곡벽면보다도 면적이 큰 만곡면을 구비한 종이조각 보존부재 등으로 구성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조각꽂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부재의 만곡벽면을 수직면에서 소정각도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조각꽂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조각 보존부재의 만곡면을 수직면에서 소정각도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조각꽂이.
  4. 제1∼3항중의 어느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부재의 만곡벽면에 대하여 양면접착테이프를 개재하여 상기 종이조각 보존부재를 착탈이 자유롭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조각꽂이.
  5. 제1∼4항중의 어느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조각 보존부재의 만곡면을 요철형상으로 형성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조각꽂이.
KR1019990028675A 1998-11-06 1999-07-15 종이조각 꽂이 KR1003263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8759 1998-11-06
JP1998008759U JP3058938U (ja) 1998-11-06 1998-11-06 紙片立て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4887A true KR20000034887A (ko) 2000-06-26
KR100326367B1 KR100326367B1 (ko) 2002-02-28

Family

ID=18528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8675A KR100326367B1 (ko) 1998-11-06 1999-07-15 종이조각 꽂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058938U (ko)
KR (1) KR100326367B1 (ko)
CN (1) CN1122607C (ko)
TW (1) TW3860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26094C (zh) * 2004-04-14 2009-08-12 有限会社织咲诚互联工作室 弹簧部件、开关部件的连接构造、桥接部件以及吊架组件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8581Y2 (ko) * 1973-08-04 1977-06-29
JPH036984A (ja) * 1989-06-02 1991-01-14 Mitsubishi Heavy Ind Ltd 映像を用いた異常検知装置
KR200147296Y1 (ko) * 1997-05-28 1999-06-15 신윤식 원고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058938U (ja) 1999-06-22
TW386061B (en) 2000-04-01
CN1259436A (zh) 2000-07-12
CN1122607C (zh) 2003-10-01
KR100326367B1 (ko) 200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45163A (en) Clip board desk and stand
US20030001064A1 (en) Portable document holder
US4903376A (en) Card holder
US5775663A (en) Copy Stand
US6267346B1 (en) Device for holding a paper sheet
US5582382A (en) Folding book stand
CN101389492B (zh) 纸架
CA2425461C (en) Support device for displaying individual books or similar items
US20050017149A1 (en) Paper holder structure
KR20000034887A (ko) 종이조각꽂이
USD405979S (en) Computer desk
JP7338232B2 (ja) 書見台
JPS6227161Y2 (ko)
USD397365S (en) Outdoor business card holder
USD328099S (en) Combined card file, note pad holder and desk caddy
US20040089562A1 (en) Compact case for re-positionable notes
JP3131604B2 (ja) ホルダー
KR200228534Y1 (ko) 자석을 이용한 책 받침대
KR102152527B1 (ko) 휴대용 독서대
JP2512613Y2 (ja) ポケット式ファイル
KR102287717B1 (ko) 스마트 기기 및 책 거치대
KR20180000047U (ko) 독서대
KR200212941Y1 (ko) 메모지 꽂이
KR200153279Y1 (ko) 탁상용 클립
USRE43158E1 (en) Device for holding a paper she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