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3759A -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에서의 사용자부 입중계선 호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에서의 사용자부 입중계선 호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3759A
KR20000033759A KR1019980050762A KR19980050762A KR20000033759A KR 20000033759 A KR20000033759 A KR 20000033759A KR 1019980050762 A KR1019980050762 A KR 1019980050762A KR 19980050762 A KR19980050762 A KR 19980050762A KR 20000033759 A KR20000033759 A KR 20000033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block
state
special resource
waiting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0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7702B1 (ko
Inventor
조민수
김태일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80050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7702B1/ko
Publication of KR20000033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3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7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77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64Distributing or queue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545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monitoring of signaling messages, intelligent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391Channel allocation to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1.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에서의 사용자부 입중계선 호처리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ISUP 입중계선 호 상태 모델을 이용해 ISUP 입중계선 호를 처리하는 사용자부 입중계선 호처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입중계선 호처리부가 초기 주소 메시지를 수신하여 연속성 시험 파라미터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타임 스위치 연결을 요구하여 연속성 시험 메시지를 수신하며, 통신망 정합부로 주소 완료 메시지 및 특수자원 요구를 송신하는 단계; 특수자원 제공 요구를 수신하여 가용한 특수자원 채널을 선택하고, 타임 스위치 연결을 요구하며,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고, 특수자원 서비스 제어부에 특수자원 구동을 요구하는 단계; 및 특수자원 서비스 제어부로부터 특수자원 제공 결과를 수신하여 통신망 정합부로 특수자원 제공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에 이용됨.

Description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에서의 사용자부 입중계선 호처리 방법
본 발명은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에서의 사용자부 입중계선 호처리 방법 및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교환기내 종래 호 처리 기술은 R2 또는 종합정보통신망 사용자부(ISDN User Part)(이하, "ISUP"라 함) 신호 방식을 이용하고, 입중계선과 초기 주소 메시지(IAM)내에 착신번호를 교환기내의 번호번역 기능을 이용하여 얻은 출중계선을 연결하였다.
하지만, 교환기내 종래 호처리 기술은 특수 자원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 차세대 지능망-서비스 교환 시스템(AIN-SSP)을 통해 차세대 지능망 서비스를 요구한 사용자에게 안내방송, 이중음 다주파(DTMF) 수집, 음성 녹음, 음성 합성, 음성 인식 및 팩스 송수신 등의 특수 자원을 제공하는 차세대 지능망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Advanced Intelligent Network Intelligent Peripheral)(이하, "AIN-IP"라 칭함)에서 입중계선과 AIN-IP내 특수자원 채널을 연결하는 ISUP 입중계선 호처리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차세대 지능망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에서 ISUP 입중계선 호 상태 모델을 이용해 ISUP 입중계선 호를 처리하는 사용자부 입중계선 호처리 방법 및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의 구성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의 ISUP 입중계선 호처리부의 구성예시도.
도 3 은 ISDN 사용자부 입중계선 호 상태 모델에 관한 설명도.
도 4a 내지 도 4f 는 본 발명에 따른 ISDN 사용자부 입중계선 호처리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AIN-SCP 102 : SS No.7
103 : AIN-SSP 104 : AIN-IP
105 : 관리 제어 유닛 106 : 자원 연결 유닛
107 : 특수 자원 유닛 201 : SRF 서비스 제어부
203 : 입중계 호처리부 208 : 통신망 정합부
211 : 운용 관리부 215 : 유지 보수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에 적용되는 사용자부 입중계선 호처리 방법에 있어서, 입중계선 호처리부가 유휴 상태에서 통신망 정합부로부터 초기 주소 메시지를 수신하여 초기 주소 메시지내의 파라미터를 저장하고, 연속성 시험 파라미터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확인 결과,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프로토콜 메시지 정합(PMM) 블록 응답 대기 상태로 천이하고, 설정되어 있으면 타임 스위치 연결을 요구하여 연속성 시험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PMM 블록 응답 대기 상태로 천이하여 상기 통신망 정합부로 주소 완료 메시지 및 특수자원 요구를 송신하여 응답 대기 상태로 천이하는 제 2 단계; 상기 응답 대기 상태에서 특수자원 제공 요구를 수신하여 가용한 특수자원 채널을 선택하고, 타임 스위치 연결을 요구하며,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고, 특수자원 서비스 제어부에 특수자원 구동을 요구하며, 통화 상태로 천이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입중계선 호처리부가 상기 통화 상태에서 상기 특수자원 서비스 제어부로부터 특수자원 제공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통신망 정합부로 특수자원 제공 결과를 전송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한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에, 입중계선 호처리부가 유휴 상태에서 통신망 정합부로부터 초기 주소 메시지를 수신하여 초기 주소 메시지내의 파라미터를 저장하고, 연속성 시험 파라미터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제 1 기능; 상기 제 1 기능의 확인 결과,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프로토콜 메시지 정합(PMM) 블록 응답 대기 상태로 천이하고, 설정되어 있으면 타임 스위치 연결을 요구하여 연속성 시험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PMM 블록 응답 대기 상태로 천이하여 상기 통신망 정합부로 주소 완료 메시지 및 특수자원 요구를 송신하여 응답 대기 상태로 천이하는 제 2 기능; 상기 응답 대기 상태에서 특수자원 제공 요구를 수신하여 가용한 특수자원 채널을 선택하고, 타임 스위치 연결을 요구하며,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고, 특수자원 서비스 제어부에 특수자원 구동을 요구하며, 통화 상태로 천이하는 제 3 기능; 및 상기 입중계선 호처리부가 상기 통화 상태에서 상기 특수자원 서비스 제어부로부터 특수자원 제공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통신망 정합부로 특수자원 제공 결과를 전송하는 제 4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의 구성예시도로서, 차세대 지능망 지능형-서비스 제어 시스템(Service Control Point)(이하, "AIN-SCP"라 함)(101), 공통선 신호망(Signaling System No.7)(이하, "SS No.7"이라 함)(102), 차세대 지능망 지능형-서비스 교환 시스템(Service Switching Point)(이하, "AIN-SSP"라 함)(103), AIN-IP(104), 관리 제어 유닛(Management & Control Unit)(이하, "MCU"라 함)(105), 자원 연결 유닛(Resource Switching Unit)(이하, "RSU"라 함)(106) 및 특수 자원 유닛(Specialized Resource Unit)(이하, "SRU"라 함)(107)을 구비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RSU(106)는 TDX-10A계열 시스템의 원격 액세스 스위칭 모듈(Remote Access Switching Module)(이하, "RASM"이라 함) 형상을 활용하여 외부 망과의 통신을 위하여 통신망 정합부에 공통선 신호망(102)의 하위 프로토콜 스택인 메시지 전송부(Message Transfer Part : MTP)와 신호 연결 제어부(Signaling Connection Control Part : SCCP)가 있으며, 상위 프로토콜 스택으로서 AIN-SSP(103)와 통신을 위한 ISUP와, AIN-SCP(101)와 통신을 위한 지능망 응용 프로토콜(Intelligent Network Application Protocol : INAP)이 있다.
RSU(106)에는 AIN-SSP(103)로부터의 중계선과 SRU(106)로의 특수자원 채널 및 공통선 신호망(102)으로부터의 신호 데이터 링크가 연결된다. RSU(106)의 운용관리부는 중계선과 루트 및 No.7 신호 데이터를 처리하고, 유지보수부는 관련장치의 장애, 경보, 상태를 관리한다.
또한, SRF 서비스 제어부는 AIN-IP(104)내의 자원 제공 서비스 로직을 수행하며, 입중계선 호처리부는 전술한 4 가지 소프트웨어부와 연계하여 RSU(106)내의 하드웨어 장치를 제어하여 입중계선에 특수자원 채널을 연결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5가지 소프트웨어부는 메인 프로세서(MP: Main Processor)인 스위칭 액세스 및 관리 프로토콜(Switch Access and Management Processor)(이하, "SAMP"라 함)에서 동작한다. SAMP에서는 각 하드웨어 장치에 해당하는 주변 프로세서(Peripheral Processor)(이하, "PP"라 함)를 통해 장치를 제어한다.
AIN-IP(104)에서 PP는 AIN-SSP(103) 및 AIN-SCP(101)와의 통신을 위한 신호 데이터 링크 연결, AIN-SSP(103)와의 중계선 접속, 특수자원 채널 접속을 담당하는 디지털 CEPT 인터페이스 프로세서(Digital CEPT Interface Processor)(이하, "DCIP"라 함), SS No.7(102)의 하위 프로토콜 처리를 담당하는 신호 메시지 처리 프로세서(Signaling Message Handling Processor)(이하, "SMHP"라 함), RSU(106)의 내부 스위칭, 망 동기 장치 제어를 담당하는 타임 스위치, 망 동기 및 로컬 서비스 프로세서(Time switch, Network synchronization and Local service Processor)(이하, "TNLP"라 함)를 구비한다.
메인 프로세서인 SAMP는 글로벌(Global) 버스를 통해 DCIP, SMHP, TNLP에게 동작을 지시하고, 각 PP들은 해당 하드웨어 장치들과 TD 버스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SRU(107)는 일반 워크스테이션에 구현되며, RSU(106)와 특수자원 채널의 연결이 설정된 상태에서 디지트 수집, 가청 신호음 송출, 음성 안내, 음성 녹음, 음성 합성 등의 특수자원을 제공한다. SRU(107)는 특수자원을 용이하게 추가 적용할 수 있으며, 특수자원을 필요로 하는 서비스 트래픽의 증가에 따라 모듈 또는 유니트 단위로 용이하게 증설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서버급 워크스테이션에 구현되는 MCU(105)는 중앙 집중 방식으로 처리되는 시스템 운용 관리 및 유지보수 기능을 담당하며, 시스템과 운용자간의 그래픽 정합 기능을 제공한다. 이는 AIN-IP(104)를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프로세서들과 자원들, 이에 실장되어 동작하는 소프트웨어들을 효율적으로 운영 및 관리하며,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에서 발생한 이상 상태를 검출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 서비스에 미치는 영향을 극소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MCU(105)와 RSU(106)간에는 10Mbps LAN을, MCU(105)와 SRU(107)간에는 100Mbps LAN을 적용하였으며, AIN-IP(104)와 AIN-SSP(103)간의 입중계선과, RSU(106)와 SRU(107)간의 특수자원 채널은 E1 인터페이스를 적용하였다.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의 ISUP 입중계선 호처리부의 구성예시도로서, SRF 서비스 제어부(201), 입중계 호처리부(203), 통신망 정합부(208), 운용 관리부(211), 데이터베이스(214) 및 유지보수부(215)를 구비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중계선 호처리부(203)는 ISUP 입중계선 호처리의 IP 사용자부 제어(IP User Part Control)(이하, "IUPC"라 함)블록(206), 호 제어 라이브러리인 호 프로세스 공유 라이브러리(Call Process Shared Library)(이하, "CSL"이라 함) 블록(205)과 로컬 서비스 라이브러리(Local Service Library) (이하, "LSL"이라 함) 블록, ISUP과 INAP간의 프로토콜 메시지를 정합하는 프로토콜 메시지 정합(Protocol Message Matching)(이하, "PMM"이라 함) 블록을 구비한다.
IUPC 블록(206)은 사용자부 인터페이스(User Part Interface)(이하, "UPI"라 함)(209)를 통해 ISUP 입중계선 연결 요구를 받으면 CSL(205)를 통해 호 레지스터(Call Register)를 할당하고, 입중계선 호가 해제될 때까지 호 상태를 제어하며 종합정보통신망(ISDN) 호 처리 절차에 따라 입중계선 호를 진행한다.
호 레지스터(Call Register)에는 AIN-IP를 위해 초기 주소 메시지(Initial Address Message)(이하, "IAM"이라 함)내 추가된 서비스 제어 기능(SCF) 식별번호와 상관 번호 파라미터를 추가로 저장한다.
또한, 텔레포니 디바이스 시스템 라이브러리(Telephony Device System Library)(이하, "TDSL"이라 함)를 호출하여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되어 있는 입중계선 및 특수자원 채널 상태를 점검 및 변경한다.
특수 자원 기능(SRF) 서비스 제어부인 기본 자원 서비스 제어(Basic Resource Service Control)(이하, "BRSC"라 함) 블록(202)으로부터 입중계선과 특수자원 채널의 연결 지시를 받으면, 루트 및 중계선 데이터를 참조하여 해당 특수자원 채널을 선택하고, LSL(207)을 호출하여 타임 스위치, 망 동기 및 로컬 서비스 인터페이스(Time Switch and Network Sync. and Local service Interface)(이하, "TNLI"라 함)에게 타임 스위치 연결을 지시한다.
PMM 블록(204)은 IUPC(206), 단일 결합 동작 제어(Single Association Operation Control)(이하, "SAOC"라 함) 블록(210), BRSC 블록(202)과 인터페이스하여 ISUP, INAP 메시지내 파라미터를 BRSC 블록(202)에 전달하고, 반대로 BRSC 블록(202)에서 지시 및 응답 메시지를 IUPC 블록(206) 및 SAOC 블록(210)에 전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BRSC 블록(202)에서 호마다 생성되는 자식 프로세스 식별번호(child process id)는 호 레지스터를 통해 관리한다. 또한, AIN-IP에서 AIN-SCP와 INAP 오퍼레이션을 이용하여 상호작용할 때 AIN-SCP로부터 전달되는 오퍼레이션간의 타이머(Tsrf)를 제어한다.
CSL 블록(205)은 PMM 블록(204), IUPC 블록(206), BRSC 블록(202)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할 호처리 공통 프로시져 및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된다. 따라서 CSL 블록(205)은 호처리 프로시져의 집합체이고, 해당 프로시져를 호출할 때는 호처리 블록에서 점유하고 있는 호 레지스터 번호로 정합한다. 호 레지스터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는 입중계선 번호, SCF 식별번호와 상관 번호, IUPC 자식프로세서 식별번호, BRSC 자식프로세스 번호이다. 또한, CSL 블록(205)은 LSL 블록(207)을 이용하여 타임 스위치, No.7 신호장치 등을 할당, 연결 및 해제 기능을 제어한다. 또한 유지보수 블록(215)과의 정합하기 위해 TDSL(215)를 이용하고 데이터베이스(DB) 사용을 위하여 데이터베이스 관리 장치와 정합한다.
LSL 블록(207)은 IUPC 블록(206)에서 신호 링크 연결을 위한 타임 스위치 후단의 Intra-Junctor 및 No.7 신호 장치인 SMHP(219)와, 입중계선과 특수자원 채널간을 연결하는 타임 스위치를 제어하는 프로시져 및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다.
기타 입중계선 호처리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타부에 구현된 블록은 다음과 같다. BRSC 블록(202)은 관련 호처리 블록인 IUPC 블록(206) 및 SRU와 연동하여 고정음성 안내, 합성음성 안내, 디지트 수집, 음성 녹음, 메시지 삭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로직을 제공한다. UPI 블록(209)은 IUPC 블록(206)과 SMHP(219)내 S7MH(SS No.7 Message Handling) 블록간의 정합 기능을 갖고, 중계선으로 대국 신호점 정보와 회선 식별 번호 등을 관리하여 대국으로 송수신 메시지를 제어한다.
또한, 유지보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텔레포니 디바이스 유지보수 처리(Telephony Device Maintenance Handling)(이하, "TDMH"라 함) 블록(217)과 IUPC 블록(206)간에 정합하여 각종 장애처리 및 중계선의 폐쇄(blocking) 및 복구(unblocking) 기능을 보조한다.
루트 데이터 처리(Route Date Handling)(이하, "RDH"라 함) 블록(212)은 루트 데이터를, 중계선 데이터 처리(Trunk Data Handling)(이하, "TDH"라 함) 블록(213)은 중계선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B)(214)를 이용하여 처리한다.
TNLI 블록은 IUPC 블록(206)의 지시하에 타임 스위치와 망동기 제어 장치를 동작한다. SAOC 블록(210)은 INAP를 처리한다. 기존 교환기 호처리 블록중 번호 번역 (Number TRanslation) 블록, 번호 데이터 처리(Number Data Handling) 블록은 출중계선 루트와 중계선을 선택하는데 사용되는데, AIN-IP는 AIN-SCP 요구에 따라 SRF 서비스 제어부에서 AIN-IP의 출중계선인 특수자원 채널을 대신 선택하기 때문에 필요없다.
도 3 은 ISDN 사용자부 입중계선 호 상태 모델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상태의 천이는 UPI 블록 및 PMM 블록으로부터 보내지는 메시지 즉, AIN-SSP와 AIN-SCP로부터 전송되는 ISUP 및 INAP 메시지의 처리에 따라 천이한다.
도 3에서 "e1"은 연속성 시험 파라미터가 설정된 초기 주소 메시지(Initial Address Message)(이하, "IAM"이라 함) 수신을 나타내고, "e2"는 연속성 시험 파라미터가 미설정된 IAM 수신을 나타내며, "e3"은 연속성 시험(Continuity Test)(이하, "COT"라 함) 성공 메시지 수신을 나타내고, "e4"는 COT 실패 또는해제(Release)(이하, "REL"이라 함) 메시지 수신을 나타내며, "e5"는 특수자원 비가용 메시지 수신을 나타내고, "e6"은 주소 완료 메시지(Address Complete Message)(이하, "ACM"이라 함) 송신 요구 수신을 나타내며, "e7"은 BRSC 블록으로부터의 입중계선과 특수자원 연결 요구 메시지 수신을 나타내고, "e8"은 REL 송신 요구 메시지 수신을 나타내며, "e9"는 응답 메시지(Answer Message)(이하, "ANM"이라 함) 송신 요구 수신을 나타내고, "e10"은 REL 메시지 수신을 나타내며, "e11"은 BRSC 블록으로부터의 입중계선과 특수자원 연결 요구 메시지 수신을 나타내고, "e12"는 REL 송신 요구 메시지 수신을 나타내며, "e13"은 REL 메시지 수신을 나타내고, "e14"는 해제 완료(Release Complete)(이하, "RLC"라 함) 메시지 수신을 나타내며, "e15"는 REL 송신 요구 메시지 수신을 나타내고, "e16"은 REL 메시지 수신을 나타내며, "e17"은 REL 메시지 수신을 나타낸다.
ISUP 입중계선 호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IUPC 블록은 호 설정부터 해제까지 호를 제어한다. 특히, 입중계선과 특수자원 채널 상태를 관리하여 타임 스위치를 통해 연결하는 기능은 AIN-IP의 고유한 호처리 동작이다. 유휴(idle)상태에서 AIN-IP가 IAM을 수신하면, UPI블록에서 IAM내의 회선식별번호(CIC: Circuit Identification Code)와 발신신호점(OPC: Originating Point Code) 파라미터값을 참조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루트와 중계선 데이터를 액세스하여 입중계선 라인 번호를 구한다. IUPC 블록은 구한 라인 번호에 해당하는 입중계선 상태를 TDSL을 호출하여 점검한다. 만약, 현재 입중계선 상태가 통화중(Busy)인 경우에는 REL을 AIN-SSP에 송부하고, RLC메시지 대기 상태(상태 c)로 천이하고, 유휴 상태(Idle)인 경우에는 PMM으로 IAM 수신을 통보하고, PMM 응답 대기상태(상태 d)로 천이한다. IAM내 연속성 시험 파라미터가 설정되어 있으면, 입중계선을 루프백하고 AIN-SSP로부터 연속성 시험 결과를 기다린다. 연속성 시험결과 대기 상태(상태 b)에서 COT 메시지를 수신하고 결과 파라미터가 성공이면 PMM으로 IAM 수신을 통보하고 PMM 응답 대기상태(상태 d)로 천이하고, 실패이면 RLC 메시지를 송신하고 유휴상태로 천이한다.
IUPC 블록은 구한 라인 번호를 가지고 CSL 블록을 호출하여 호 레지스터를 할당하고 상태 d로 천이한다. 이때, 호 레지스터는 라인번호, 호 상태, SCF ID, 상관번호(Correlation ID) 파라미터 등이 저장된다. SCF ID와 상관번호는 AIN-SSP로부터 IAM내의 사용자간 정보(User-to-User Information) 파라미터에 포함되어 AIN-IP에 전달된다.
PMM 응답 대기상태(상태 d)에서 AIN-IP내에 제공할 자원이 없어 PMM 블록으로부터 특수자원 비가용 메시지를 수신하면 AIN-SSP로 REL 메시지를 송부하고 RLC메시지 대기 상태(상태 c)로 천이하고, AIN-IP내에 제공할 자원이 있어 PMM 블록으로부터 ACM 송신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면 응답대기 상태(상태 f)로 천이한다.
응답대기 상태에서 BRSC 블록의 로직에 따라 특수자원 연결을 요구할 때, BRSC 블록은 SRU ID와 SRU내의 채널 번호 파라미터를 IUPC 블록으로 전달한다. IUPC 블록은 이 파라미터들을 참조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특수자원 채널 루트와 중계선 데이터를 액세스하여 특수자원 채널에 해당하는 타임 슬롯(Time slot)을 구한다. 타임 슬롯에 해당하는 특수자원 채널 상태는 TDSL 블록을 호출하여 점검하고, 유휴 상태이면 LSL 블록을 호출하여 타임 스위치 연결을 지시한 후, 특수자원 채널과 입중계선 상태를 통화중 상태로 변경한다. 그리고, ANM을 AIN-SSP로 송부하고 통화 상태(상태 e)로 천이한다.
상태 b, 상태 d, 상태 e 및 상태 f에서 AIN-SSP로부터 REL 메시지를 수신하면 RLC 메시지를 송신하고 현재 호 상태에 따라 LSL 블록을 호출하여 타임 스위치 연결 해제를 지시한 후, TDSL 블록을 호출하여 특수자원 채널과 입중계선 상태를 유휴 상태로 변경한다. 그리고, 할당된 호 레지스터를 유휴화하고 유휴상태(상태 a)로 천이한다. 상태 c에서 AIN-SSP로부터 RLC 메시지를 수신하면 위와 동일하게 처리한다.
도 4a 내지 도 4f 는 본 발명에 따른 ISDN 사용자부 입중계선 호처리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중계선 호처리부가 유휴 상태(S1)에서 통신망 정합부의 UPI 블록으로부터 IAM을 수신하면(S2) IAM내의 파라미터를 호 레지스터에 저장하고(S3), IAM에 연속성 시험 파라미터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S4) 연속성 시험 파라미터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PMM 응답 대기 상태로 천이하며(S5), 연속성 시험 파라미터가 설정되어 있으면 입중계선을 자체 루프백하기 위해 타임 스위치 연결을 요구하고(S6) COT 메시지 대기 상태로 천이한다(S7).
한편, 입중계선 호처리부가 유휴 상태(S1)에서 통신망 정합부의 UPI 블록으로부터 REL 메시지를 수신하면(S8) 통신망 정합부의 UPI 블록으로 RLC 메시지를 송신하고(S9), 유휴 상태로 천이한다(S1).
한편, 입중계선 호처리부가 유휴 상태(S1)에서 통신망 정합부의 UPI 블록으로부터 RLC 메시지를 수신하면(S10) 통신망 정합부의 UPI 블록으로 REL 메시지를 송신하고(S11), RLC 메시지 대기 상태로 천이한다(S12).
이후, 입중계선 호처리부가 PMM 응답 대기 상태(S5)에서 SRF 서비스 제어부의 특수 자원 제공이 가능한지를 판단하여(S13) SRF 서비스 제어부의 특수 자원 제공이 가능하지 않으면 통신망 정합부의 UPI 블록으로 REL 메시지를 송신하고(S14), RLC 메시지 대기 상태로 천이하며(S12), SRF 서비스 제어부의 특수 자원 제공이 가능하면 통신망 정합부의 UPI 블록으로 ACM을 송신하고(S15), 호 레지스터에서 호 정보를 추출하며(S16), 통신망 정합부의 SAOC 블록으로 제공할 특수 자원 요구를 송신하고(S17), 응답 대기 상태로 천이한다(S18).
이후, 입중계선 호처리부가 COT 메시지 대기 상태(S7)에서 통신망 정합부의 UPI 블록으로부터 연속성 시험(COT) 메시지를 수신하면(S19) 연속성 시험 결과를 판단하여(S20) 시험 결과가 성공이면 자체 루프백한 입중계선의 타임 스위치 연결 해제를 요구하고(S21), PMM 응답 대기 상태로 천이하며(S5), 시험 결과가 실패이면 자체 루프백한 입중계선의 타임 스위치 연결 해제를 요구하고(S22), 유휴 상태로 천이한다(S1).
한편, 입중계선 호처리부가 COT 메시지 대기 상태(S7)에서 통신망 정합부의 UPI 블록으로부터 REL 메시지를 수신하면(S23) 자체 루프백한 입중계선의 타임 스위치 연결 해제를 요구하고(S24), 통신망 정합부의 UPI 블록으로 RLC 메시지를 송신하며(S25), 유휴 상태로 천이한다(S1).
한편, 입중계선 호처리부가 COT 메시지 대기 상태(S7)에서 통신망 정합부의 UPI 블록으로부터 RLC 메시지를 수신하면(S26) 자체 루프백한 입중계선의 타임 스위치 연결 해제를 요구하고(S27), 통신망 정합부의 UPI 블록으로 REL 메시지를 송신하며(S28), 통신망 정합부로부터의 RLC 메시지 대기 상태로 천이한다(S12).
이후, 입중계선 호처리부가 응답 대기 상태(S18)에서 통신망 정합부의 SAOC 블록으로부터 특수 자원 제공 요구를 수신하면(S29) SRF 서비스 제어부에서 특수자원 제공이 가능한지를 판단하여(S30) 특수자원 제공이 가능하면 가용한 특수자원 채널을 선택하고, 타임 스위치 연결을 요구하며(S31), 통신망 정합부의 UPI 블록으로 ACM을 송신하고(S32), SRF 서비스 제어부에 특수자원 구동을 요구하며(S33), 통화 상태로 천이하며(S34), 특수자원 제공이 가능하지 않으면 통신망 정합부의 SAOC 블록으로 자원 제공 실패를 통보하고(S35), 응답 대기 상태로 천이한다(S18).
한편, 입중계선 호처리부가 응답 대기 상태(S18)에서 통신망 정합부의 SAOC 블록으로부터 인터페이스 해제 요구를 수신하면(S36) 통신망 정합부의 UPI 블록으로 REL 메시지를 송신하고(S37), 통신망 정합부로부터의 RLC 메시지 대기 상태로 천이한다(S12).
한편, 입중계선 호처리부가 응답 대기 상태(S18)에서 Tsrf 타이머의 타임이 초과하면(S39) 통신망 정합부의 SAOC 블록으로 인터페이스 해제 요구를 송신하고(S39), 통신망 정합부의 SAOC 블록으로 REL 메시지를 송신하며(S40), RLC 메시지 대기 상태로 천이하고(S12), 통신망 정합부의 UPI 블록으로부터 REL 메시지를 수신하면(S45) 통신망 정합부의 UPI 블록으로 RLC 메시지를 송신하며(S46), 타임 스위치가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S47) 타임 스위치가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유휴 상태로 천이하고(S1), 타임 스위치가 연결되어 있으면 타임 스위치 연결 해제를 요구하며(S49), 유휴 상태로 천이한다(S1).
한편, RLC 메시지 대기 상태에서 통신망 정합부의 UPI로부터 RLC 메시지를 수신하면(S48) 타임 스위치가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S47) 타임 스위치가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유휴 상태로 천이하고(S1), 타임 스위치가 연결되어 있으면 타임 스위치 연결 해제를 요구하며(S49), 유휴 상태로 천이한다(S1).
한편, 입중계선 호처리부가 응답 대기 상태(S18)에서 통신망 정합부의 UPI 블록으로부터 REL 메시지를 수신하면(S41) 통신망 정합부의 UPI 블록으로 RLC 메시지를 송신하고(S42), 유휴 상태로 천이한다(S1).
한편, 입중계선 호처리부가 응답 대기 상태(S18)에서 통신망 정합부의 UPI 블록으로부터 RLC 메시지를 수신하면(S43) 통신망 정합부의 UPI 블록으로 REL 메시지를 송신하고(S44), 통신망 정합부로부터의 RLC 메시지 대기 상태로 천이한다(S12).
이후, 입중계선 호처리부가 통화 상태(S34)에서 SRF 서비스 제어부로부터 특수자원 제공 결과를 수신하면(S50) 통신망 정합부의 SAOC 블록으로 특수자원 제공 결과를 송신하고(S51), 통화 상태로 천이한다(S34).
한편, 입중계선 호처리부가 통화 상태(S34)에서 통신망 정합부의 SAOC 블록으로부터 특수 자원 제공 요구를 수신하면(S52) SRF 서비스 제어부로 특수 자원 제공을 요구하고(S53), 통화 상태로 천이한다(S34).
한편, 입중계선 호처리부가 통화 상태(S34)에서 Tsrf 타이머의 타임이 초과하면(S34) 통신망 정합부의 SAOC 블록으로 인터페이스 해제 요구를 송신하고(S55), 통신망 정합부의 UPI 블록으로 REL 메시지를 송신하며(S56), RCL 메시지 대기 상태로 천이한다(S12).
한편, 입중계선 호처리부가 통화 상태(S34)에서 통신망 정합부의 SAOC 블록으로부터 인터페이스 해제 요구를 수신하면(S57) 통신망 정합부의 UPI 블록으로 REL 메시지를 송신하고(S58), 통신망 정합부의 UPI 블록으로부터의 RLC 메시지 대기 상태로 천이한다(S12).
한편, 입중계선 호처리부가 통화 상태(S34)에서 통신망 정합부의 UPI 블록으로부터 REL 메시지를 수신하면(S59) 통신망 정합부로부터 REL 메시지를 송신하고(S60), 타임 스위치 연결 해제를 요구하며(S61), 유휴 상태로 천이한다(S1).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기존 교환기 입중계선 호처리 기능과는 달리 AIN-IP에 구현된 입중계선 호처리부는 상위 SRF 서비스 제어부의 지시하에 입중계선 호처리 상태를 관리할 수 있고, SRU에 연결되는 특수자원 채널을 선택하여 지능망 사용자와 특수자원을 연결할 수 있으며, AIN-IP처럼 신호단국(Signaling End Point) 특성을 갖는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에 적용되는 사용자부 입중계선 호처리 방법에 있어서,
    입중계선 호처리부가 유휴 상태에서 통신망 정합부로부터 초기 주소 메시지를 수신하여 초기 주소 메시지내의 파라미터를 저장하고, 연속성 시험 파라미터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확인 결과,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프로토콜 메시지 정합(PMM) 블록 응답 대기 상태로 천이하고, 설정되어 있으면 타임 스위치 연결을 요구하여 연속성 시험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PMM 블록 응답 대기 상태로 천이하여 상기 통신망 정합부로 주소 완료 메시지 및 특수자원 요구를 송신하여 응답 대기 상태로 천이하는 제 2 단계;
    상기 응답 대기 상태에서 특수자원 제공 요구를 수신하여 가용한 특수자원 채널을 선택하고, 타임 스위치 연결을 요구하며,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고, 특수자원 서비스 제어부에 특수자원 구동을 요구하며, 통화 상태로 천이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입중계선 호처리부가 상기 통화 상태에서 상기 특수자원 서비스 제어부로부터 특수자원 제공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통신망 정합부로 특수자원 제공 결과를 전송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에서의 사용자부 입중계선 호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입중계선 호처리부가 유휴 상태에서 상기 통신망 정합부의 사용자부 인터페이스(UPI) 블록으로부터 초기 주소 메시지(IAM)를 수신하면 IAM내의 파라미터를 호 레지스터에 저장하고, IAM에 연속성 시험 파라미터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 5 단계;
    상기 입중계선 호처리부가 상기 유휴 상태에서 상기 UPI 블록으로부터 해제(REL)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UPI 블록으로 해제 완료(RLC)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유휴 상태로 천이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입중계선 호처리부가 상기 유휴 상태에서 상기 UPI 블록으로부터 RLC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UPI 블록으로 REL 메시지를 송신하고, RLC 메시지 대기 상태로 천이하는 제 7 단계
    를 포함하는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에서의 사용자부 입중계선 호처리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제 1 단계의 확인 결과,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PMM 블록 응답 대기 상태로 천이하는 제 8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확인 결과, 설정되어 있으면 타임 스위치 연결을 요구하고, 연속성 시험(COT) 메시지 대기 상태에서 상기 UPI 블록으로부터 연속성 시험 메시지를 수신하여 연속성 시험 결과를 확인하여 타임 스위치 연결 해제를 요구하며 상기 PMM 응답 대기 상태로 천이하는 제 9 단계;
    상기 COT 메시지 대기 상태에서 상기 UPI 블록으로부터 REL 메시지를 수신하면 타임 스위치 연결 해제를 요구하고, 상기 UPI 블록으로 RLC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유휴 상태로 천이하는 제 10 단계;
    상기 COT 메시지 대기 상태에서 상기 UPI 블록으로부터 RLC 메시지를 수신하면 타임 스위치 연결 해제를 요구하고, 상기 UPI 블록으로 REL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통신망 정합부로부터의 RLC 메시지 대기 상태로 천이하는 제 11 단계; 및
    상기 PMM 응답 대기 상태에서 특수자원 서비스 제어부의 특수 자원 제공이 가능한지를 확인하여 주소 완료 메시지(ACM)을 송신하고, 호 레지스터에서 호 정보를 추출하며, 단일 결합 동작 제어(SAOC) 블록으로 제공할 특수 자원 요구를 송신하고, 상기 응답 대기 상태로 천이하는 제 12 단계
    를 포함하는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에서의 사용자부 입중계선 호처리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응답 대기 상태에서 상기 SAOC 블록으로부터 특수 자원 제공 요구를 수신하면 상기 특수자원 서비스 제어부에서 특수자원 제공이 가능한지를 확인하여 가용한 특수자원 채널을 선택하고, 타임 스위치 연결을 요구하며, 상기 UPI 블록으로 ACM을 송신하고, 상기 특수자원 서비스 제어부에 특수자원 구동을 요구하며, 상기 통화 상태로 천이하는 제 13 단계;
    상기 응답 대기 상태에서 상기 SAOC 블록으로부터 인터페이스 해제 요구를 수신하면 상기 UPI 블록으로 REL 메시지를 송신하고, 통신망 정합부로부터의 상기 RLC 메시지 대기 상태로 천이하는 제 14 단계;
    상기 응답 대기 상태에서 타이머의 타임이 초과하면 상기 SAOC 블록으로 인터페이스 해제 요구 및 REL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RLC 메시지 대기 상태로 천이하고, 상기 UPI 블록으로부터 REL 메시지나 RCL 메시지를 수신하면 타임 스위치가 연결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유휴 상태로 천이하는 제 15 단계;
    상기 응답 대기 상태에서 상기 UPI 블록으로부터 REL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UPI 블록으로 RLC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유휴 상태로 천이하는 제 16 단계; 및
    상기 응답 대기 상태에서 상기 UPI 블록으로부터 RLC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UPI 블록으로 REL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RLC 메시지 대기 상태로 천이하는 제 17 단계
    를 포함하는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에서의 사용자부 입중계선 호처리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통화 상태에서 상기 특수자원 서비스 제어부로부터 특수자원 제공 결과를 수신하면 상기 SAOC 블록으로 특수자원 제공 결과를 송신하고, 상기 통화 상태로 천이하는 제 18 단계;
    상기 통화 상태에서 상기 SAOC 블록으로부터 특수 자원 제공 요구를 수신하면 특수자원 서비스 제어부로 특수 자원 제공을 요구하고, 상기 통화 상태로 천이하는 제 19 단계;
    상기 통화 상태에서 타이머의 타임이 초과하면 상기 SAOC 블록으로 인터페이스 해제 요구를 송신하고, 상기 UPI 블록으로 REL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RCL 메시지 대기 상태로 천이하는 제 20 단계;
    상기 통화 상태에서 상기 SAOC 블록으로부터 인터페이스 해제 요구를 수신하면 상기 UPI 블록으로 REL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UPI 블록으로부터의 상기 RLC 메시지 대기 상태로 천이하는 제 21 단계; 및
    상기 통화 상태에서 상기 UPI 블록으로부터 REL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통신망 정합부로부터 REL 메시지를 송신하고, 타임 스위치 연결 해제를 요구하며, 유휴 상태로 천이하는 제 22 단계
    를 포함하는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에서의 사용자부 입중계선 호처리 방법.
  6. 프로세서를 구비한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에,
    입중계선 호처리부가 유휴 상태에서 통신망 정합부로부터 초기 주소 메시지를 수신하여 초기 주소 메시지내의 파라미터를 저장하고, 연속성 시험 파라미터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제 1 기능;
    상기 제 1 기능의 확인 결과,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프로토콜 메시지 정합(PMM) 블록 응답 대기 상태로 천이하고, 설정되어 있으면 타임 스위치 연결을 요구하여 연속성 시험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PMM 블록 응답 대기 상태로 천이하여 상기 통신망 정합부로 주소 완료 메시지 및 특수자원 요구를 송신하여 응답 대기 상태로 천이하는 제 2 기능;
    상기 응답 대기 상태에서 특수자원 제공 요구를 수신하여 가용한 특수자원 채널을 선택하고, 타임 스위치 연결을 요구하며,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고, 특수자원 서비스 제어부에 특수자원 구동을 요구하며, 통화 상태로 천이하는 제 3 기능; 및
    상기 입중계선 호처리부가 상기 통화 상태에서 상기 특수자원 서비스 제어부로부터 특수자원 제공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통신망 정합부로 특수자원 제공 결과를 전송하는 제 4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9980050762A 1998-11-25 1998-11-25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에서의 사용자부 입중계선 호처리 방법 KR100277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762A KR100277702B1 (ko) 1998-11-25 1998-11-25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에서의 사용자부 입중계선 호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762A KR100277702B1 (ko) 1998-11-25 1998-11-25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에서의 사용자부 입중계선 호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3759A true KR20000033759A (ko) 2000-06-15
KR100277702B1 KR100277702B1 (ko) 2001-02-01

Family

ID=19559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0762A KR100277702B1 (ko) 1998-11-25 1998-11-25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에서의 사용자부 입중계선 호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77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246B1 (ko) * 2001-11-24 2004-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세대 개방형 네트워크에서 패킷 망과 피에스티엔간의 호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246B1 (ko) * 2001-11-24 2004-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세대 개방형 네트워크에서 패킷 망과 피에스티엔간의 호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7702B1 (ko) 2001-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892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ocessing of a service call
KR100261937B1 (ko) 호출 가입자 식별 고지 서비스용 장치
US5771279A (en) Advanced intelligent network interacting with customer premises equipment
US603830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ternally controlling processing of a service call
RU2144271C1 (ru) Система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ым обслуживанием
EP0550975B1 (en) A method of redirecting a telephone call to an alternate destination
CA1331802C (en) Modularly structured digital communications system having operations-oriented and security-oriented components
AU719309B2 (en) Programmable service architecture for call control processing
US4922484A (en) ISDN remote switching unit for accommodating analog and digital lines
RU97116719A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вязью и соединением
US5442692A (en) Tele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capability of changing the alerting tone
JPH08321882A (ja) 複数呼同時転送システム
JPH08130577A (ja) 交換機装置及び同交換機装置の試験方法
KR100277702B1 (ko)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에서의 사용자부 입중계선 호처리 방법
US5566223A (en) Communications system having a host exchange and a mate exchange and a method for managing maintenance state of subscriber accommodated in the mate exchange
US6771762B1 (en) System and method for call merge to an AIN SSP from an intelligent peripheral
KR100307496B1 (ko) 지능망에서의 호 자동 연결방법
KR100275525B1 (ko) 팩시밀리 장치의 통화중시 지능형 정보 제공시스템을 이용한 팩시밀리 자동 전송 서비스 처리 방법
KR0132948B1 (ko) 협대역 종합정보통신망(n-isdn)용 교환기에서의 디지틀 삼자통화 서비스 처리방법
KR100606096B1 (ko) 브이5.2 프로토콜 규격의 링크 식별 절차 수행방법
KR940007917B1 (ko) Isdn 사용자부의 구현방법
JPH03108847A (ja) 遠隔電源制御方式
JP2000244638A (ja) 私設交換機、通信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H10336328A (ja) 呼生起情報の通知方式
KR19980016049A (ko) 전전자교환기에서의 통화중 가입자에게 메시지 송출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0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